KR20190117091A -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7091A
KR20190117091A KR1020180040180A KR20180040180A KR20190117091A KR 20190117091 A KR20190117091 A KR 20190117091A KR 1020180040180 A KR1020180040180 A KR 1020180040180A KR 20180040180 A KR20180040180 A KR 20180040180A KR 20190117091 A KR20190117091 A KR 20190117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hole
fixture
fixture body
alveolar b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은수
Original Assignee
장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은수 filed Critical 장은수
Priority to KR1020180040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17091A/ko
Publication of KR20190117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0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9Consolidating prostheses or implants, e.g. by means of stabilising p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 임플란트용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구성은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 상기 나사산 절단부(11)에서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Implant fixture with enhanced combination force by connection holes}
본 발명은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형상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픽스츄어 주변부위 신생골 형성과정과 골융합과정에서 픽스츄어와 나사산 주변 치조골의 볼륨을 증가시키고 혈류량을 증대시켜 줌으로써 치조골과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자연치아가 상실되었을 때,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임플란트의 한 구성요소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따라서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견고하게 식립되어야 한다.
이에, 픽스츄어의 외면에는 드릴홀을 형성하는 치조골의 내측벽 부분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나사산)가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부는 치조골에 인입되어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픽스츄어의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임플란트 시술은 드릴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식립하고, 이어 골융합이 진행되면 픽스츄어에 지대주를 결합시키고 최종적으로 인공치아(보철물)를 씌우는 단계로 진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임플란트용 픽스츄어는,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액 공급량이 부족하여 치유를 위한 수개월의 골융합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치조골에 대한 골융합이 밀도 있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하고, 식립 초기에는 뼈와 픽스츄어간 골융합이 생성되었더라도 음식 저작 등으로 과도한 교합압등이 가해지고 잇몸염증이 발생하면 몇년의 사용시간이 지나면서 픽스츄어 주변 치조골이 손상되어 픽스츄어의 흔들림, 탈락 등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이 된다.
잘 사용하던 임플란트가 쑥 빠지는 실패가 많이 발생하는 원인은 픽스츄어에 가해지는 과도한 교합압과 치조골과 임플란트 사이 결합이 느슨해지며 구강내 세균이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하는 경우, 픽스츄어 주변 뼈에 공급되는 혈류량이 부족하여 치조골 손상으로 인한 microfracture(미세골절)와 치조골 파괴가 발생하여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흔들리게 되는 경우 등이 있다. 도 1에서는 건강한 임플란트와 염증이 진행된 임플란트 및 염증이 더욱 진행된 임플란트의 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임플란트를 식립한 치조골을 손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금속이나 세라믹 제질로 제작되어 피가 돌지 않는 인공구조물이므로 자연치아 보다 주변뼈가 더 두껍게 둘러 싸야 한다. 피가 통하지 않는 인공구조물인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둘러싼 치조골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최소 2mm 미만인 경우 치조골 괴사나 손상이 많이 발생하여 임플란트가 실패하는 주요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도 3과 도 4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주위의 치조골의 두께가 2mm 이하인 경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자연치아의 경우보다 임플란트 픽스츄어 주변뼈(치조골)이 적어도 2mm 이상의 두께로 충분히 두껍지 못한 경우 치조골 괴사나 손상이 많이 발생하여 임플란트가 실패하는 것이다.
도 5는 자연치아와 임플란트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자연치아(1) 주변에서는 자연치아(1) 자체에서도 혈액 공급이 가능하고 치조골(4) 주변 잇몸(2)에서도 혈액(3) 공급이 가능하여 치아주변 치조골(4)에의 혈액(3) 공급이 활발하므로 치아 주변 치조골(4)이 건강하지만, 임플란트 픽스츄어 자체는 금속이나 세라믹 제질의 인공 구조물이므로 혈액(3) 공급이 불가능하다.
특히, 픽스츄어 주변 나사산과 나사산(7) 사이 깊은곳 뼈로의 혈액(3) 공급이 부족하여 치조골 손상부(9)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골다공증 환자나 폭이 좁은 치조골(4)의 경우 급속한 치조골(4) 파괴로 임플란트 실패의 큰 원인이 된다. 즉, 기존의 임플란트 픽스츄어 주변은 적은 혈액(3) 공급(less blood supply)으로 치조골(4)이 쉽게 손상된다.
대부분 임플란트 수술은 지름 4 ~ 5mm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식립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경우 치조골(4) 폭이 5~7mm 정도로 좁은 치조골(4)의 경우 뼈의 지지와 두께가 부족하여 임플란트 나사산(7)부위의 혈액(3) 공급량이 부족하게 되어 치조골(4) 손상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이 자주 발생하고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요인이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실패를 줄이기 위하여 부족한 치조골을 두껍게 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심한 통증을 유발하며 치료기간이 오래 걸리는 치조골 이식술을 시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도 7은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치지골과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치조골을 보여주고, 도 8은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가 시술된 상태를 보여주는데, 도 7에서와 같이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시술하고자 할 경우 임플란트 실패를 줄이기 위하여 폭이 좁은 치조골을 두껍게 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며, 도 8에서와 같이 폭이 부족한 치조골에 임플란트를 시술할 경우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나사산(7)부위의 혈액(3) 공급량이 부족하게 되어 치조골(4) 손상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이 자주 발생하고 임플란트 실패로 이어진다.
도 9에서는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긴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9에서와 같이 픽스츄어 주변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깊은곳 치조골(뼈)로의 혈액 공급이 부족하여 픽스츄어 주위에 염증이 생길 수밖에 없는 것이다.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기면 임플란트를 잡고 있는 뼈들이 녹아서 통증을 일으키며, 염증으로 뼈가 많이 상실된 경우 이식한 임플란트를 제거해야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도 10에서는 임플란트 시술 이후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 손상으로 인한 임플란트 실패 사례를 보여준다.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의 나사산(7) 사이 깊은 부위의 검은 부분은 혈액(3)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치조골(4) 염증이 생겨 치조골 손상부(9)가 된 부분으로서 임플란트 실패의 주요 원인이다. 치조골 손상부(9)의 대부분은 픽스츄어의 두 나사산(7) 사이의 깊은 부위 치조골(뼈)에 전체 치조골(4)로부터 혈액(3)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서 발생한다.
자연치아의 경우는 치아 바로 옆에 붙어 있는 치조골(4)에도 자연치아 자체와 치주인대 등을 통해서 혈액(3) 공급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뼈가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지만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금속, 세라믹등의 인공 구조물 이이기 때문에 픽스츄어 상하 나사산(7) 사이의 깊은곳에 위치한 뼈에는 혈류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서 치조골(4) 손상이 많이 발생하여 임플란트 흔들림, 탈락등 실패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환자의 치조골 손상을 최대한 줄이고 픽스츄어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류량을 높여 임플란트 식립후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한 픽스츄어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액공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임플란트 픽스츄어 식립후에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의 두께가 상기 2mm 이상이 되지 못하는 불가피한 경우에는 픽스츄어와 치조골의 접촉 면적을 최대한 늘려주고 픽스츄어 나사산 주위의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하면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의 염증이나 괴사가 방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의 염증이나 괴사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과정과 신생골 생성과정, 골융합과정에서 나사산주변 치조골에의 혈액 공급량이 부족하여 골파괴나 뼈의 생성부족, 치조골 손상이 일어나 임플란트 실패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치조골에 골융합되는 새로운 구성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환자의 치조골 손상을 최대한 줄이고 픽스츄어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류량을 높여 임플란트 식립 이후 성공 확률을 높이도록 픽스츄어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액공급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치조골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나사산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 상기 나사산 절단부에서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상기 나사산에 구비된 나사산 구멍;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몸통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상기 나사산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몸통 구멍; 상기 나사산에 구비된 나사산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몸통 구멍; 상기 나사산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상기 나사산 절단부에서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몸통 구멍; 상기 나사산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상기 나사산 절단부에서 상기 내부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 상기 나사산에 구비된 나사산 구멍;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제공된다.
상기 몸통 구멍과 상기 나사산 절단 구멍은 상기 내부 구멍 쪽으로 일정 각도 경사진 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픽스츄어 밑면에 내부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픽스츄어 내부구멍과 연결되는 몸통 구멍을 형성하여,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 속에 생성된 치조골이 픽스츄어 몸통 구멍을 통해서 픽스츄어 외부의 치조골과 서로 연결되므로,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에의 혈류량을 증대시켜 치조골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임플란트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조골과 픽스츄어간의 골융합을 더욱 강화시킨다. 픽스츄어와 치조골 사이의 골융합시에 치조골에 인입된 픽스츄어와 치조골이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픽스츄어 바디에 형성된 몸통 구멍과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구멍에 의해 치조골이 내외부에서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됨으로써 나사산 주변 치조골에의 혈류량을 증대시켜 치조골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임플란트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구멍에 채워져서 버티고 있는 코어 치조골과 픽스츄어 바디 외부의 치조골 사이는 강하게 연결되고 치조골과 픽스츄어간의 골융합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건강한 임플란트와 염증이 진행된 임플란트 및 염증이 더욱 진행된 임플란트의 상태를 단면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임플란트를 식립한 치조골의 손상을 보여주는 사진
도 3과 도 4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와 주위의 치조골의 두께가 2mm 이하로 부족한 폭인 경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출처 : https://blog.naver.com/guanine051/221100138504)
도 5는 자연치아와 임플란트를 비교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출처 : https://blog.naver.com/guanine051/221100138504)
도 6은 폭이 좁은 치조골을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폭이 좁은 치조골과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치조골을 보여주는 사진
도 8은 폭이 좁은 치조골에 임플란트 픽스츄어가 식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진
도 9는 임플란트 주위염이 생긴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및 사진(출처 : https://blog.naver.com/guanine051/221100138504)
도 10은 임플란트 시술 이후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 손상으로 인한 임플란트 실패 사례를 보여주는 사진
도 11과 도 12는 임플란트 시술 이후 픽스츄어 주위의 치조골 손상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내부구멍과 몸통구멍이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내부구멍과 몸통구멍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픽스츄어 바디의 내부구멍에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을 채워넣은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임플란트 픽스츄어를 이용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내부구멍과 몸통구멍 및 나사산 구멍이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내부구멍과 몸통구멍과 나사산 구멍 및 나사산 절단부가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내부구멍과 몸통구멍과 나사산 구멍 및 나사산 절단부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나사산 절단부의 일부에 나사산 절단부 구멍이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에 내부구멍과 몸통구멍과 나사산 구멍 및 나사산 절단부가 형성되고 복수개의 나사산 절단부 전체에 나사산 절단부 구멍이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저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주요부인 몸통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몸통구멍의 경사 각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다른 주요부인 나사산 절단부 구멍이 경사지게 형성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의 경사 각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식립되는 뼈인 치조골(4)에서 픽스츄어의 나사산(7) 깊숙한 부분까지 혈액(3)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지도록 함은 물론 픽스츄어의 내부에도 혈액(3)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픽스츄어 바디(6)에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과 나사산 절단부(11) 및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포함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은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이라 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편의상 내부구멍(8)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7)이 구비된다. 상기 나사산(7)은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 나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픽스츄어를 옆에서 볼 때에 상하 방향으로 복수개의 나사산(7)이 일정 피치 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옆에서 볼 때에 최하단의 나사산(7)을 1층 나사산(7), 그 다음 위의 나사산(7)을 2층 나사산(7)이라 하면, 상기 나사산(7)들은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N개 층으로 구비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는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쪽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홀에는 지대주(Abutment)에 형성된 나사축이 결합되어,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지대주(Abutment)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구멍(8)은 픽스츄어 바디(6)의 하단부에서부터 상단부 쪽을 향하여 일정 높이만큼 파여진 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구멍(8)과 상기 나사홀 사이에는 차단부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구멍(8)은 픽스츄어 바디(6)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는 테이퍼홀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산 절단부(11)는 나사산(7)에 구비된다. 나사산(7)의 선단부에서부터 기단부 쪽으로 나사산 절단부(11)가 연통된다. 나사산 절단부(11)는 나사산(7)의 상면에서 저면으로도 연통된다. 나사산 절단부(11)는 각 층의 나사산(7)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나사산 절단부(11)는 각 층의 나사산(7)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층의 나사산(7)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 중에서 상기 내부구멍(8) 영역의 외주면에 있는 나사산 절단부(11)의 기단부에는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구비된다.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은 나사산 절단부(11)의 기단부에서부터 내부구멍(8)까지 연통된다. 나사산 절단부(11)는 나사산(7)의 선단부에서부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까지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나사산 절단부(11)가 있는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부터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내부구멍(8)까지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나사산 절단부(11)는 각 층의 나사산(7)마다 복수개로 구비된다. 나사산 절단부(11)는 모든 층의 나사산(7)에 전부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 층의 나사산(7)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나사산 절단부(11)의 구성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과 나사산 절단부 구멍(12) 및 나사산 구멍(10)을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 구멍(10)은 나사산(7)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다. 나사산 구멍(10)은 나사산(7)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나사산 구멍(10)은 각 층의 나사산(7)에 모두 형성될 수도 있고, 각 층의 나사산(7) 중에서 일부 층의 나사산(7)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는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을 포함한다.
상기 몸통구멍(9)은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부터 상기 내부구멍(8)까지 연통된다. 상기 몸통구멍(9)이 내부구멍(8) 영역에 구비된 나사산(7)들 사이의 외주면에서부터 상기 내부구멍(8)으로 연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몸통구멍(9)은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 및 나사산 절단부(11)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 절단부(11)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나사산(7)에 구비된다. 나사산(7)의 선단부에서부터 기단부 쪽으로 나사산 절단부(11)가 연통된다. 나사산 절단부(11)는 나사산(7)의 상면에서 저면으로도 연통된다. 제4실시예의 나사산 절단부(11)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나사산 절단부(11)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픽스츄어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 및 나사산 구멍(1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제5실시예의 나사산 구멍(10)의 상기 제2실시예에서 기술한 나사산 구멍(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는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 및 나사산(7) 절단면 구멍을 포함한다. 제6실시예에서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 및 나사산(7) 절단면 구멍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술한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 및 나사산(7) 절단면 구멍의 구성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서는 픽스츄어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과 나사산 절단부(11)와 나사산 절단부 구멍(12) 및 나사산 구멍(10)을 포함한다. 제7실시예에서의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과 나사산 절단부(11)와 나사산 절단부 구멍(12) 및 나사산 구멍(10)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기술한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과 나사산 절단부(11)와 나사산 절단부 구멍(12) 및 나사산 구멍(10)의 구성과 동일 유사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픽스츄어를 치조골(4)에 천공된 식립홀에 나사 돌리는 방식으로 회전시켜서 식립한 다음, 상기 픽스츄어 바디(6) 위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하고, 지대주(Abutment)에 크라운(5)(인공치아)를 결합하여 임플란트 시술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구멍(8)에 골생성 촉진 물질(22)을 채워넣을 수 있다. 골생성 촉진 물질(22)로는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식립을 위하여 치조골(4)에 식립홀을 천공할 때에 생긴 뼈조각, 인공뼈, 콜라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골생성 촉진 물질(22)로는 상기 내부구멍(8)에 치조골(4)을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이면 모두 채용 가능하다. 물론,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은 선택 사항으로서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을 내부구멍(8)에 채워놓지 않고 임플란트를 시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몸통구멍(9)은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 내부구멍(8)까지 연통되어, 상기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는데,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통구멍(9)은 내부구멍(8) 쪽으로 일정 각도(a) 경사진 구멍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절삭하여 몸통구멍(9)을 형성할 때에 절삭 각도(a)를 준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몸통구멍(9)의 절삭방향은 픽스츄어 식립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절삭 각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평단면으로 볼 때에 몸통구멍(9)의 외측단부를 접하여서 지나가는 접선에 대하여 몸통구멍(9)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몸통구멍(9)의 중심선과 상기 접선 사이의 각도(a)가 예각 범위가 되도록 몸통구멍(9)이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부터 내부구멍(8)까지 경사지게 관통된다. 도면에서는 나사산(7)이 오른 나사 방향인 경우에 몸통구멍(9)이 경사지게 관통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오른 나사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나사산(7)이 치조골(4)을 밀거나 잘라먹을 때에 생기는 뼈조각이 상기 경사진 몸통구멍(9)을 타고 내부구멍(8)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4에서 화살표 방향(RD)은 나사산(7)이 오른 나사 방향일 경우에 픽스츄어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상기 나사산(7)이 왼나사 방향인 경우에도 몸통구멍(9)의 절삭방향은 픽스츄어 식립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절삭 각도(a)가 된다. 즉, 나사산(7)이 왼나사 방향인 경우에도 몸통구멍(9)의 중심선과 상기 몸통구멍(9)의 외측단부를 접하여서 지나가는 접선 사이의 각도(a)가 예각 범위가 되도록 몸통구멍(9)이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부터 내부구멍(8)까지 경사지게 관통된다. 상기 나사산(7)이 왼나사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왼 나사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나사산(7)이 치조골(4)을 밀거나 잘라먹을 때에 생기는 뼈조각이 상기 경사진 몸통구멍(9)을 타고 내부구멍(8)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1)도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 내부구멍(8)까지 연통되어, 상기 내부구멍(8)과 나사산 절단부 구멍(11)이 서로 연결된 구조를 취하는데,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2)도 내부 구멍 쪽으로 일정 각도(a) 경사진 구멍으로 구성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서 나사산 절단부(11)가 형성된 외주면을 절삭하여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형성할 때에 절삭 각도(a)를 준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절삭방향은 픽스츄어 식립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절절삭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평단면으로 볼 때에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외측단부를 접하여서 지나가는 접선에 대하여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중심선과 상기 접선 사이의 각도(a)가 예각 범위가 되도록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서부터 내부구멍(8)까지 경사지게 관통된다. 도면에서는 나사산(7)이 오른 나사 방향인 경우에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경사지게 관통된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오른 나사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나사산(7)이 치조골(4)을 밀거나 잘라먹을 때에 생기는 뼈조각이 상기 경사진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타고 내부구멍(8)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7)이 왼나사 방향인 경우에도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절삭방향은 픽스츄어 식립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절삭 각도(a)가 된다. 즉, 나사산(7)이 왼나사 방향인 경우에도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중심선과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외측단부를 접하여서 지나가는 접선 사이의 각도(a)가 예각 범위가 되도록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픽스츄어 바디(6)의 나사산 절단부(11)가 형성된 외주면에서부터 내부구멍(8)까지 경사지게 관통된다. 상기 나사산(7)이 왼나사 방향으로 구성되어 상기 픽스츄어 바디(6)를 왼쪽 나사 방향으로 돌려주면 상기 나사산(7)이 치조골(4)을 밀거나 잘라먹을 때에 생기는 뼈조각이 상기 경사진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타고 내부구멍(8)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임플란트 픽스츄어는 주요부인 픽스츄어 바디(6)에 내부구멍(8)과 몸통구멍(9)을 형성하여 치조골(4)과 픽스츄어간의 골융합을 더욱 강화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기존의 임플란트 픽스츄어에서는 밑면이 막혀 있어서 특별한 역할이 거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픽스츄어 밑면에 내부구멍(8)을 형성(즉, 픽스츄어 바디(6)의 하단부에서부터 내부로 연통된 내부구멍(8)을 형성)하고, 상기 내부구멍(8)(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과 연결되는 몸통구멍(9)을 형성하여,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 속에 생성된 치조골(4)이 픽스츄어 몸통구멍(9)을 통해서 픽스츄어 외부의 치조골(4)과 서로 연결되므로, 임플란트 주변 치조골(4)에의 혈류량을 증대시켜 치조골(4)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여 임플란트 치료기간을 단축시키고 치조골(4)과 픽스츄어간의 골융합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 속에 생성된 뼈와 픽스츄어 내부면에서도 골결합이 이루어져 전체적인 골융합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더욱 튼튼한 임플란트 식립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임플란트 식립시 드릴링 과정중 뼈에 구멍이 뚤리면서 발생하는 자가골을 채취한 후 작은 수술기구를 이용하여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에 자가골을 밀어 넣어서 내부구멍(8)속 빈 공간을 자가골뼈로 채운 다음, 픽스츄어를 식립할 수도 있고,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에 인공뼈나 콜라겐등 뼈 대체물들을 채워서 식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자가골, 인공뼈, 콜라겐은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에 상기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을 채워넣고 임플란트를 시술하면, 상기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에 의해 픽스츄어의 내부에도 기밀하게 채워진 치조골(4)이 픽스츄어를 내부에서 강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픽스츄어와 치조골(4) 사이의 결합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은 임플란트 피시술자의 치조골(4)과 친화적인 물질이므로, 이물감은 전혀 없이 보다 강력한 임플란트 픽스츄어의 지지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로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을 채워넣어서 상기 내부구멍(8)에 치조골(4)이 생성되어 채워지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많이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 외주면의 나사산(7) 깊숙한 곳까지 혈액 공급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픽스츄어 바디(6) 내부에 형성된 내부구멍(8)에 치조골(4)이 채워지는 기간을 단축함으로써 잇몸(2)의 염증 발생은 근절하면서도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가진다는 점에서 상기 치조골 생성 촉진 물질(22)이 가지는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 픽스츄어 몸통구멍(9), 나사산 구멍(10), 픽스츄어 나사산(7) 여러 부분에 형성된 다수의 나사산 절단부(11) 사이로 임플란트 식립후 골융합 과정중에 신생 치조골(4)이 형성 연결되어 상하 나사산(7) 사이의 치조골(4)에 혈액(3) 공급이 증가하고 치조골(4)이 픽스츄어를 그물망처럼 감싸안아서 나사산(7) 부위 치조골(4)의 혈류량을 높이고 임플란트와 치조골(4) 간의 골융합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교합압이나 치주염증 등에 의한 치조골(4) 손상을 방지하여 임플란트 탈락, 흔들림 등의 실패를 없애주게 된다. 본 발명은 내부구멍(8), 몸통구멍(9), 나사산 구멍(10), 나사산 절단부(11)에 치조골(4)이 채워지면서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서 강한 코어 치조골(4)을 형성하고, 픽스츄어 바디(6)의 바깥에서 코어 치조골(4)에 그물망처럼 여러 군데의 치조골(4)들이 연결되므로, 픽스츄어를 치조골(4)에 상당히 강력한 지지력으로 식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 픽스츄어 몸통구멍(9), 나사산 구멍(10)은 원형, 타원형, 여러형태의 변형된 타원형, 다원형, 사각형, 육각형등 다각형상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나사산 구멍(5)과 절단부(8)와 오목홈(10)마다 접촉되는 면적 내지 볼륨에 있어서 차이를 두게 되어 혈액(3) 공급량을 더욱더 확실하게 늘려줄 수 있고, 픽스츄어를 잡아주는 치조골(4)의 그물망과 같은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어서, 교합압이나 치주염증에 의한 치조골(4) 손상과 임플란트 탈락, 흔들림 등의 실패를 완벽하게 없애줄 수 있게 된다. 픽스츄어 바디(6)와 나사산(7)을 그물망처럼 잡아주는 치조골(4)의 형상이 다양해질 수 있어서 픽스츄어를 잡아주는 그물망 치조골(4)의 구조가 더욱 견고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교합압이나 치주염증에 의한 치조골(4) 손상과 임플란트 탈락, 흔들림 등의 실패를 완벽하게 없애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사산 절단부(11)에서부터 내부구멍(8)까지 이어지는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더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에도 치조골(4)이 채워져서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구멍(8)에 채워진 치조골(4)과 연결되고 동시에 픽스츄어 바디(6) 외부의 치조골(4)에도 연결되므로,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에 채워진 치조골(4)에 의해서도 픽스츄어 바디(6)와 치조골(4) 사이의 식립 지지 강도를 더 높이게 되고 혈액 공급량도 더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구멍(9)과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이 내부구멍(8) 쪽으로 일정 각도(a) 경사진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픽스츄어 바디(6)를 돌려주면 나사산(7)이 치조골(4)을 밀거나 잘라먹을 때에 생기는 뼈조각(자가골)이 경사진 몸통구멍(9)과 경사진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타고 내부구멍(8)으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픽스츄어 식립 과정에서 생기는 자가골을 픽스츄어 바디(6) 내부의 지지골로 자연스럽게 생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자가골이 픽스츄어 내부 지지골로 형성되도록 할 때에 편리성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픽스츄어 몸통구멍(9)과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의 절삭방향은 픽스츄어 식립시 회전방향에 대응하는 절삭 각도(a)를 주어 픽스츄어 회전식립시 압축, 절단되는 주변 뼈가 픽스츄어 몸통구멍(9)과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통하여 픽스츄어 밑면 내부구멍(8)으로 밀려 들어가도록 제작하여 픽스츄어 내부 구멍(8)에 치조골(4)이 형성되는 것을 촉진시킨다..
또한, 나사산(7)과 나사산(7) 사이의 치조골(4)가 서로 관통 연결되도록 나사산(7)에 다수개의 나사산 구멍(5)이 형성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 외주면의 각 층의 나사산(7)마다 상하면으로 관통된 나사산 구멍(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를 치조골(4)에 식립하고 임플란트를 시술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산 구멍(5)으로 치조골(4)이 들어와서 상하 나사산(7) 사이를 연결하는 뼈가 생성된다. 상하 나사산(7) 사이를 나사산 구멍(5)을 통하여 연결하는 뼈 부분을 연결 치조골(4)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픽스츄어 바디(6) 외주면의 나사산(7)마다 형성된 나사산 구멍(5)을 통하여 생성된 연결 치조골(4)에 의해 나사산(7)에 접촉된 치조골(4)의 크기와 볼륨을 증가시켜 혈액 공급이 증가하기 때문에, 건강한 상태의 치조골(4)이 유지되고 치조골(4)이 픽스츄어 주변을 그물망처럼 감싸안게 되어서 교합압이나 치주염증에 의한 치조골(4)에 손상부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임플란트 탈락, 흔들림 등의 실패를 없애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나사산 구멍(5)은 상하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다. 픽스츄어 바디(6)를 측면에서 볼 때에 위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에 대하여 아래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이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에 위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과 아래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이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그래서, 상기 나사산 구멍(5)이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다.
나사산 구멍(5)이 일렬로 상하간에 연결되면 잇몸(2) 염증 발생시 상하로 일렬 연결된 나사산 구멍(5)의 치조골(4)을 따라서 치주염이 뿌리 끝까지 쭉 퍼지는 통로 역활을 하기 때문에, 픽스츄어가 빨리 탈락될 여지가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나사산 구멍(5)을 상하부 나사산(7)간에 지그 재그로 배치하여, 나사산 구멍(5)들 사이의 중간부분의 치조골(4)(뼈)도 튼튼하고 염증에도 더 강하다. 다시 말해, 나사산 구멍(5)을 상하부 나사산(7)간에 지그 재그로 배치하여, 나사산 구멍(5)이 일렬로 상하간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하부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 사이는 치조골(4)로 채워져서 잇몸(2) 염증 발생시 상하로 일렬 연결된 나사산 구멍(5)의 치조골(4)을 따라서 치주염이 뿌리 끝까지 쭉 퍼지는 통로가 형성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만약에 잇몸(2)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염증이 상하로 일자형으로 쉽게 퍼지는 것이 아니라 치조골(4)의 일부분에만 염증이 국한되기 때문에, 치주염에 의해 픽스츄어가 빨리 탈락될 여지는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결과적으로 염증에 보다 강한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위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을 통해 치주염이 아래로 퍼지려고 하여도 아래층의 나사산(7)이 치주염이 퍼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차폐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염증이 위에서 아래로 더 많이 퍼지지 않고 위쪽에만 국한되는 것이다. 한편, 아래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구멍(5)을 통해 치주염이 위쪽으로 퍼지려고 하여도 위층의 나사산(7)이 치주염이 퍼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차폐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염증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더 많이 퍼지지 않고 아래쪽에만 국한되는 것이다
한편, 바람직하게 나사산 절단부(11)(8)도 픽스츄어 바디(6)의 옆에서 볼 때에 위아래로 지그재그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픽스츄어 바디(6)를 측면에서 볼 때에 위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8)에 대하여 아래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8)가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에 위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8)와 아래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8)가 서로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 것이다. 그래서, 상기 나사산 절단부(11)(8)가 지그재그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나사산 절단부(11)(8)는 나사산(7)의 끝단에서부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위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8)를 통해 치주염이 아래로 퍼지려고 하여도 아래층의 나사산(7)이 치주염이 퍼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차폐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염증이 위에서 아래로 더 많이 퍼지지 않고 위쪽에만 국한되는 것이고, 아래층의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8)를 통해 치주염이 위쪽으로 퍼지려고 하여도 위층의 나사산(7)이 치주염이 퍼지지 않도록 막아주는 차폐 기능을 하기 때문에, 염증이 아래에서 위쪽으로 더 많이 퍼지지 않고 아래쪽에만 국한되는 것이다. 상기 확장 나사산 절단부(11)(8)도 위아래로 어긋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하는 것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자연치아 2. 잇몸
3. 혈액 4. 치조골
5. 크라운 6. 픽스츄어 바디
7. 나사산 8. 내부구멍
9. 몸통구멍 10. 나사산 구멍
11. 나사산 절단부 12. 나사산 절단부 구멍

Claims (9)

  1.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나사산(7)에 형성된 나사산 절단부(11);
    상기 나사산 절단부(11)에서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구멍(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3.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몸통구멍(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5.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몸통구멍(9);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구멍(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7.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몸통구멍(9);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11);
    상기 나사산 절단부(11)에서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8. 픽스츄어 바디(6);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외주면에 구비된 나사산(7);
    상기 픽스츄어 바디(6)의 내부에 구비된 내부구멍(8);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몸통구멍(9);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11);
    상기 나사산 절단부(11)에서 상기 내부구멍(8)에 연통되도록 상기 픽스츄어 바디(6)에 구비된 나사산 절단부 구멍(12);
    상기 나사산(7)에 구비된 나사산 구멍(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구멍(9)과 상기 나사산 절단부 구멍(12)은 상기 내부구멍(8) 쪽으로 일정 각도(a) 경사진 구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0180040180A 2018-04-06 2018-04-06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1901170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80A KR20190117091A (ko) 2018-04-06 2018-04-06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180A KR20190117091A (ko) 2018-04-06 2018-04-06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091A true KR20190117091A (ko) 2019-10-16

Family

ID=68421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180A KR20190117091A (ko) 2018-04-06 2018-04-06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170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298B1 (ko) * 2019-12-13 2020-08-18 장은수 의료용 차폐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차폐막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298B1 (ko) * 2019-12-13 2020-08-18 장은수 의료용 차폐막 및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차폐막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41664C (en) Dental implant
KR10102906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0923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12213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N106102649B (zh) 牙种植体
KR1010923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59960B1 (ko) 생분해성 물질을 구비한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11533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90117091A (ko) 내외부 연통 구멍에 의한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70119802A (ko) 임플란트
KR101905579B1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0894986B1 (ko) 스크류타입의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481296Y1 (ko) 임플란트 픽스쳐
KR20190107928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01519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90115251A (ko) 치조골과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90005848U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287204B1 (ko) 치아 이식물 및 시술 가이드
KR102599229B1 (ko) 미세 커팅 엣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US20220031430A1 (en) Dental implant and surgery guide therefor
KR20230140056A (ko) 결합홈이 형성된 치아보철물
KR20190107462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