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9802A -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9802A
KR20070119802A KR1020060054187A KR20060054187A KR20070119802A KR 20070119802 A KR20070119802 A KR 20070119802A KR 1020060054187 A KR1020060054187 A KR 1020060054187A KR 20060054187 A KR20060054187 A KR 20060054187A KR 20070119802 A KR20070119802 A KR 200701198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screw
core
bon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7642B1 (ko
Inventor
허영구
Original Assignee
허영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영구 filed Critical 허영구
Priority to KR102006005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7642B1/ko
Publication of KR20070119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9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7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7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platform switching, i.e. platform between implant and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골유착 임플란트를 개선하여 임플란트 하단부의 드릴링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드릴링 시 과열을 막아주어 골의 괴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은 치조골이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매우 어려운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과 위치에서 쉽고 안전하며 견고하게 식립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시술의 성공률을 높이고 보다 빨리 기능할 수 있으며 식립 후 치조골의 흡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외형이 전체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하단으로 가면서 유선형으로 급격히 좁아지면서 끝이 뾰족해지는 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나사구조는 삼각형 나사산의 위아래 또는 위 부분을 제거한 모양을 가지고 있다.
인공 치아, 임플란트, 골유착, 임플란트, 유선형, 나사형, 돌기, 코아

Description

임플란트{IMPLANT}
도 1은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나사선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나사형태에 따른 지지 골량의 비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나사선의 수에 따른 비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비교설명도이다.
도 7은 건강한 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와 기존 임플란트의 매식설명도이다.
도 8은 상실된 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와 기존 임플란트의 매식설명도이다.
도 9는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골 압축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매식후 골의 상실 정도의 차를 비교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익스터널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널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바디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인공 치아용 골유착 임플란트의 외형에 관한 것이다. 1960년 초 골유착 임플란트 발명 이후 지금까지 임플란트의 골유착 성공률을 높이면서 외과시술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임플란트의 외형을 변형시켜왔다.
종래의 임플란트 형태는 치조골 속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부위의 직경이 상부와 하부가 거의 일치하는 원통형이었다. 종래의 이러한 원통형의 임플란트는 치조골과의 접촉 면적이 넓고 지지력이 높은 반면, 골 삭제 시 하단부의 삭제량이 많아 하단에 과열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며 임플란트 주위의 치조골이 괴사될 확률이 높다. 또한 쎌프테핑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어려우며 드릴링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반복되는 삭제로 홀이 넓어져 종종 충분한 초기고정을 얻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익스터널(External) 임플란트는 식립된 후 상단부의 치조골이 일정량 흡수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골의 지지력을 약화시키고 임플란트가 외부로 노출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전치부에 임플란트를 수복하였을 때 심미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는 임플란트와 외부 연결부 사이에 인체의 외부 방어를 위한 일정한 생리적인 폭경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따라서 최소한의 생리적 폭경을 제공하여 주면서 실제 상부 치조골의 흡수를 줄일 수 있는 임플란트의 새로운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지고 있다.
오늘날 치아용 골융합 임플란트의 개선과제들 중 핵심적인 부분은, 임플란트 식립이 용이하면서도 이상적인 초기 고정을 쉽게 얻어내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오래 기다리지 않고 빠르게 기능할 수 있으며 골흡수가 적은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임플란트를 쉽게 식립할 수 있으려면 우선 치조골을 삭제하는 드릴링이 용이해야 한다. 드릴링이 용이하다 함은 치조골의 손상이 적으며 드릴링 과정을 줄일 수 있고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는 것이다.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켜주는 임플란트 중 하나의 형태는 종래의 원통형보다는 위에서 아래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의 임플란트이다. 원추형 임플란트는 하단부의 골 삭제량이 적으며 삭제가 드릴(drill)의 끝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모든 면에서 골고루 이루어지므로 과열의 위험이 줄어들고 드릴링시 방향의 변경이 용이하다.
그러나 원추형 임플란트는 삽입 시 파고들어가는 힘이 약하여 일정량 이상의 탈락하려는 힘이 가해지면 나사산 사이의 골이 쉽게 파괴되어 임플란트가 쉽게 겉돌게 된다. 식립 도중 임플란트가 겉돌면 실패하기 쉽고 성공한다 해도 오래 기다려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간의 치조골은 일정한 골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깊이에 따라 골밀도가 다르므로 이런 곳에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 더욱이 임플란트가 겉돌 확률이 높아진다.
또 하나의 과제는 종래의 임플란트 상단부의 골흡수를 어떻게 감소시킬 수 있는 가의 문제이다. 브레네막 임플란트와 같은 투 스테이지 익스터널(Two stage external)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상단부와 상부연결부의 경계에서 1.5-2mm의 골흡수를 보인다. 이것의 가장 큰 원인은 생리적 폭경이다. 치조골을 외부의 노출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치조골과 외부 사이에 연조직의 존재가 필요하고 그 최소한의 길이는 약 1.5mm 이며 이것을 '생리적 폭경'이라 부른다. 따라서 임플란트 상부의 구조를 변경하여 임상적으로 생리적 폭경을 줄일 수 있다면 치조골의 흡수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임플란트의 상부가 치조골에 덮이지 아니하고 노출되었거나 임플란트 주위에 염증이 유발되었을 때 변경된 구조로 인하여 종전의 임플란트보다 염증을 더 빨리 확산시키거나 치조골의 파괴를 촉진시키는 구조가 되어서는 아니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원추형의 임플란트이면서 골질이 약하여도 쉽게 겉돌지 않으며 최소한의 골 삭제로 어느 경우에도 쉽게 파고들어 원하는 깊이에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며 확실한 초기고정을 얻을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발명은 임플란트의 상부구조를 변경하여 짧은 길이에서도 잇몸이 임플란트에 결합하는 면적을 넓게 만들어 생리적인 폭경을 확보해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임플란트의 상부에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골 흡수를 줄이고 그러면서도 혹시 임플란트가 치조골 밖으로 노출되더라도 치주적으로 건강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에 대한 것이다. 본발명은 치조골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부분이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그 하단부는 뾰족하게 되어 만나는 형태의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는 한 개 이상의 원형 또는 나사형의 홈이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상부는 코아나 나사 외경이 모두 일정 부분만큼 같은 직경을 가지고 내려오며, 상기 임플란트의 중간 부분은 코아나 나사외경 모두가 5-10도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부분의 상부와 중간부의 코아나 나사 외경이 모두 5-10도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발명에서 임플란트의 하단부에서 나사산의 외형과 임플란트의 중심코아 모두가 전체적으로 유선의 곡선으로 급격히 좁아지면서 끝이 뾰족하게 되어 서로 만나는 형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하단부에서 나사산의 외형과 임플란트의 중심코아 모두가 전체적으로 원추형인 직선형으로 좁아지면서 끝이 뾰족하게 되어 만나는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을 할 수가 있으며, 임플란트의 하단부의 뾰족한 끝 부분의 코아 직경이 0-1.5mm 로 시작되어 상부로 넓어지며, 하단의 코아로부터 그 둘레로 0-0.5mm 깊이의 나사가 시작되어 상부로 선명하게 나사가 형성되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상부 연결부와 만나는 나선부가 만나는 부분에는 잇 몸결합부를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잇몸결합부는 한 개 이상의 원형 또는 나사형 홈 또는 돌기를 형성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잇몸결합부의 하부와 나선부의 상부에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표면증대부를 형성을 할 수가 있다. 상기 표면증대부에는 나선상의 홈 또는 돌기가 다수 구성이 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임플란트를 개선하여 치조골 내에 쉽고 안전하며 견고하게 식립할 수 있으며 보다 빨리 기능할 수 있고 또한 식립 후 치조골의 흡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구성되는 새로운 형태의 임플란트가 개시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익스터널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정면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임플란트(100)는 인공치아와 연결되는 연결부(140)와 나선부(110)로 구성이 되며, 상기 연결부(140)와 나선부(110) 사이에는 홈 또는 돌기를 가지는 잇몸결합부(130)가 상기 연결부의 하부에 형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잇몸결합부(130)의 하부와 나선부의 사이에 경사된 면으로 구성이 되는 표면증대부(120)를 구성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표면증대부에는 나선상의 홈 또는 돌기가 다수 구성이 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100)의 나선부(110)는 나선부 중간위치 이하에서 아래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면서 하단부로 가면서 급격히 좁아지면서 치아의 근단처럼 유선형으로 끝이 뾰족해지는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즉, 나선부는 일정부분 직경이 같게 원통형으로 내려오다가 중간부 부터 위에서 아래로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직경이 좁아지며 하단부로 가면서는 급격히 좁 아지면서 치아의 근단처럼 유선형으로 끝이 뾰족해지는 형상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플란트의 특징은 치조골 내에 들어가는 몸체 부분에 관한 것으로서, 비단 익스터널 임플란트에서 뿐만 아니라 투스테이지 인터널(two stage internal) 임플란트와 원스테이지 인터널(one stage internal) 임플란트, 또는 일체형의 원바디(one body) 임플란트 등, 상부구조의 형태에 관계없이 어떤 임플란트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 임플란트의 나선부의 원통형 부분은 임플란트 식립 시 임플란트가 탈락하려는 힘에 가장 큰 저항을 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이며, 나선부의 중간 부분으로 완만한 경사부를 가지는 부분은 임플란트 드릴링과 식립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가장 큰 특징인 나선부의 하단부는 치조골 삭제를 최소로 하며 약하거나 단단한 어떠한 치조골 상황에서도 안전하게 원하는 위치와 깊이에 임플란트가 성공적으로 식립되게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3은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나사선의 상세도이다.
도 3a는 정삼각 나사산의 위(20)와 아래 부분(22)을 제거하여 길고 가늘며 끝이 뾰족한 형상을 구성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이러한 나사산은 임플란트 하단까지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b는 종래의 정삼각 나사산을 수평으로 나누어 상부 쪽 반(24)은 완전히 제거하고 하부는 일부(26)를 제거한 형태의 실시예이다.
도 3a와 도 3b에서 나사의 평행한 부분의 상하 두께(28)는 이상적으로는 0.2-0.3mm 정도이나 0.1-0.6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임플란트 몸체(이하 '코 아')(30)와 나사의 상부면(32)이 이루는 각도(34)는 70-90도가 이상적이나 60-11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며, 코아와 나사의 하부면(36)이 이루는 각도(38)는 다양하게 90-120도를 가질 수 있다. 나사의 뾰족한 나사산 끝(40)의 각도(42)는 30도가 적당하나 10-60도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나사의 수평적 길이(44)는 0.4mm가 적당하나 0.3-0.8m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나사산의 간격(46)은 0.6-0.8mm가 적당하나 0.3-1.0m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도 3c는 종래의 정삼각나사의 상부(48)만 제거하고 하부(50)는 제거함 없이 반삼각형 그대로 놔두는 형상을 갖는 형태의 실시예이다.
이 형태 역시 상기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원추형 임플란트의 삽입시 단점을 극복한 구조이나 수직적인 하중에는 견디는 힘이 도3a나 도3b 보다 작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나사형태 중 정삼각나사의 상부(20,24,48)를 제거한 형태는 주로 임플란트 삽입 시 임플란트가 탈락하려는 힘에 유리하게 설계된 구조이며 정삼각나사의 하부(22,26)를 제거한 형태는 임플란트 식립 후 기능 시 수직적인 교합력에 삼각나사구조보다 더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는 구조로써 식립 시나 기능 시 모두 유리하다 할 수 있다.
도 3a나 도 3b의 나사 형태는 정삼각나사의 위 아래를 제거하여 나사의 두께(28)를 가늘고 길게 한 것으로 이것은 나사산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하면서도 나사산 사이의 골량을 최대로 할 수 있어 임플란트의 골 접촉면적을 증가시킬 뿐 아니라 나사를 가늘게 함으로써 셀프태핑으로 식립 시 필요한 회전삽입력이 최소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셀프태핑이라 함은 골에 나사산을 미리 형성하지 않고 임플란트를 삽입해서 임플란트 나사산에 의하여 골이 깎여 들어가도록 하는 시술법이다. 또한 아래 부분(36)의 평행한 면으로 인하여 기능 시 임플란트에 의하여 골에 가해지는 하중이 항상 수직으로 가해질 수 있도록 하여 조기 기능에 유리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나사의 끝을 모두 뾰족하게 설계한 목적은 끝이 직각인 사각형의 나사 보다 셀프태핑이 유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나사구조는 셀프태핑에 의한 임플란트 삽입 시 사각나사보다 작은 삽입회전력으로 효과적으로 치조골에 파고들게 하면서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사각나사는 상하 수직압력에 견디는 힘은 우수하나 셀프태핑에 의한 삽입 시 과회전부하가 걸려 임플란트가 중간에 멈추어 더 이상 돌려 넣거나 돌려 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사각나사는 임플란트 삽입 전 반드시 나사산을 미리 형성해주는 프리태핑(pre-tapping) 방법을 적용해야하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경우 드릴링 시간이 증가되고 임플란트가 헐거워질 확률이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상기 나사구조는 나사산의 간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나사산 사이의 골량을 증가시키고 임플란트와의 골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한편 식립 시 과도한 회전삽입력 없이도 셀프태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수직인장력과 수직교합압력 뿐만 아니라 측방력에도 잘 견디는 구조로써 임플란트의 식립 시 겉돌거나 탈락될 확률을 줄이며 어느 경우에도 초기고정을 확실히 확보하여 조기에 기능할 수 있는 임플란트를 제공하도록 발명된 구조라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나사형태에 따른 지지 골량의 비교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원통형의 임플란트의 지지 골량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b는 종래의 원추형 임플란트의 지지 골량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c는 본발명의 임플란트의 지지 골량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삼각나사를 가지는 원추형의 임플란트는 삼각나사를 가지는 원통형의 임플란트에 비해 빠지려는 힘에 저항하는 골량(52,54)이 적고 그 골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마저도 측방이므로 삽입 시 파고드는 힘이 약하며 따라서 임플란트 삽입 시 임플란트에 충분한 압력을 가해주지 않으면 쉽게 겉돌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나사의 형태는 상기 임플란트와 같이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 임플란트의 취약점을 획기적으로 극복한 구조이다. 도 4-c에서 보듯이 삼각나사의 위 부분 반 정도를 코아면에서 직각 또는 예각(34)을 가지면서 직선 또는 오목곡선의 형태로 제거하여 임플란트가 빠지려는 힘에 저항하는 골량(56,58)을 현저히 증가시켰으며 골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도 적어도 수직적이거나 임플란트 코아쪽으로 받게 하여 인장력에 나사산 사이의 골이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원추형 임플란트에서 흔히 나타나는 삽입 시 겉도는 현상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키며, 조골 내에 형성된 홀 속에 효과적으로 쉽게 파고들어가며, 원하는 충분한 초기고정을 얻으며, 중간에 멈춤 없이 계획된 깊이까지 자유로이 돌려 넣을 수 있게 되었다.
도 5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실시예의 나사선의 수에 따른 비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실시예에서 한줄나사를 채택한 실시예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실시예에서 두줄나사를 채택한 실시예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실시예에서 세줄나사를 채택한 실시예이다.
본발명의 다양한 임플란트 나사모양은 한 줄 나사뿐 아니라 삽입 속도를 배가하고 초기고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2줄 또는 3줄 나사 형태로 변형되어 응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임플란트의 하단부 나사산의 형태를 설명하는 비교설명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실시예에서 하단부의 나사산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b는 종래의 임플란트의 하단부의 나사산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c는 또다른 형태의 종래의 임플란트의 하단부의 나사산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하단부의 모양은 임플란트 하단에서 3-5개의 나사산이 남은 부분부터 아래로 유선형(54)으로 급격히 좁아지면서 끝(56)이 뾰족한 형태로 끝나며 나사산이 임플란트 하단까지 비슷한 크기로 선명하게 형성(58)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부의 유선형 형태는 나사산을 포함한 외형(60)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또 다른 의미로는 나사산을 제외한 코아 모양(62) 또한 외형과 거의 같은 비율로 뾰족하게 좁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종래의 임플란트의 하단은 도 6b와 같이 끝이 절단된 모양 같이 평평(64)하 거나 도 6c와 같이 약간 볼록(66)하다.
또한 나사산 3-5개 정도부터 나사산이 서서히 사라지며 직경이 좁아진다(68,70). 이러한 끝이 납짝하고 넓은 평면이고 하단까지 나사산이 잘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임플란트 하단의 코아의 직경은 좁아지지 않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종래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임플란트 하단부까지 코아의 직경 크기에 맞게 드릴링을 해야하는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하단부까지 넓은 홀을 형성해야 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많은 위험을 내포한다. 하부의 직경을 넓혀갈수록 인접 치근이나 신경을 손상시킬 위험이 커지고, 하단에 있는 강한 골은 쉽게 드릴링되지 않으며 쉽게 과열되어 괴사되고, 하단의 강한 골을 넓히기 위하여 드릴링 할 필요가 없는 상부의 약한 골까지 필요 이상으로 넓히게 되어 결국 임플란트의 초기고정을 약하게 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등 많은 부작용을 초래하게 된다. 반대로 하단부의 홀을 작게 형성할 경우 종래의 임플란트는 평평한 단면 때문에 더 이상 파고들지 못하며 중간에 걸려서 겉돌기 쉽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하단의 코아 형태는 도 6a에서 보듯이 끝이 뾰족하고 직경이 2mm 굵기의 트위스트 드릴(twist drill)로 드릴링한 모양과 비슷하게 형성되어 코아의 끝의 직경(56)이 약 0.3mm (0.1-1.5mm)에서 시작하여 상부로 유선형처럼 곡선으로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을 할 수가 있다. 임플란트 하단의 코아의 둘레로는 약 0.5mm(0.1-0.7mm) 깊이의 나사구조(58)가 임플란트 코아 끝까지 형성되게 할 수가 있다. 결국 임플란트 하단의 전체 외형의 직경(72)은 약 0.8mm(0.2-2.2mm) 정도에서 시작하여 2mm 코아 부위에는 약 3mm 정도 되고 일 정 길이까지 계속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건강한 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와 기존 임플란트의 매식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처럼 끝이 뾰족한 임플란트를 위한 치조골을 삭제할 때는 직경이 작은 드릴에서 큰 드릴로 단계별로 삭제 시에 종래의 원통형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와 같이 빗금친 부분(76)을 계속적으로 넓혀가며 삭제할 필요가 없다. 다시 말하면 임플란트 하단부는 임플란트 드릴링시 처음 드릴인 2mm 드릴로 한 번만 드릴링하면 된다.
이것은 골 삭제 시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상부 쪽의 골 삭제는 어렵지 않으며 술자의 판단에 따라 변형하여 드릴링하면 된다. 문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하부에서 골 삭제를 얼마나 적게 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 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하부의 치조골을 최소한으로 삭제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긴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경우나 밀도가 높은 치조골 또는 밀도가 낮은 치조골 등 어떠한 골을 드릴링 할 경우라도 빠르고 쉽게 그리고 간단하게 드릴링 할 수 있다. 또한 인접치가 가까이 있는 경우나 하치조 신경이 가까운 경우라도 위험을 최소화하며 안전하게 드릴링 할 수 있다.
상기 발명된 임플란트는 단지 코아 넓이로 홀을 형성하고 임플란트를 돌려 넣으면 나사산 부분이 치조골 속을 파고들며 임플란트가 삽입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하단이 유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임플란트의 끝까지 상기 나사구조가 선명하게 살아 있으므로 홀이 작거나 없어도 쉽게 파고들 수 있다. 아주 단단한 치조골이 아니면 대부분 치조골 내에 미리 나사산을 형성(pre-tapping)하지 않고 자체로 파고들어가는 셀프태핑(self-tapping) 이 가능하다.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하단부의 유선형 구조와 상기 나사구조 때문에 임플란트의 끝에서도 강력한 초기고정을 얻을 수 있어 짧은 임플란트에서나 골질이 약한 곳에서도 강력한 초기고정을 얻을 수 있다.
*도 8은 상실된 골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와 기존 임플란트의 매식설명도이다.
도 8에서와 같이 골이 심하게 파괴되어 임플란트의 끝만 골에 삽입되는 불리한 경우라 할지라도 초기고정이 우수하며 측방력에 잘 저항하여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지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끝이 평평하거나 나사산이 희미해지는 종래의 임플란트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임플란트는 상악골 후방치아 부위처럼 골질이 약한 부위에서 초기고정을 확실하게 얻을 수 있는 임플란트 구조이다. 골질이 약한 부위에서는 충분한 초기고정을 얻기 힘들고 따라서 성공률도 매우 떨어진다.
도 9는 임플란트 형태에 따른 골 압축도의 차이를 비교하는 설명도이다.
상악골 후방부는 골질이 약하므로 홀을 크게 형성하면 임플란트가 쉽게 헐거워져 실패하기 쉽다. 따라서 골질이 약할수록 최소한으로 홀을 형성하고 임플란트만으로 파고드는 방법을 적용해야하는데 종래의 임플란트가 그 방법을 적용 시 어려움이 있는 것은 끝이 납작한 평면이거나 두껍고 하단까지 나사산이 잘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밀고 들어갈 때 치조골을 옆으로 밀어내지 못하고 하방으로 밀어내며 파고들어가는 힘마저 약하여 결국에는 중간에 겉돌아버리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를 이용하면 골질이 약한 치조골에도 단지 작은 홀만 간단하게 형성한 후 직경이 큰 임플란트를 밀어넣으며 치조골을 옆으로 압축시키면서 어느 경우에건 쉽고 간단하게 강력한 초기고정을 얻으며 식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것은 상기 임플란트가 임플란트 하단이 뾰족하며 거기에 파고드는 효과가 뛰어난 나사구조가 선명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파고들수록 치조골을 옆으로 압축시키는 효과가 뛰어난 구조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는 상악동 하연의 치밀골에서 강력한 초기고정을 얻는데 아주 유리하다. 대개는 상악 후방부 치조골은 골질이 약하며 상악동 하연은 밀도가 높은 단단한 뼈로 구성이 되어있다. 만약 이 부위에 종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다면 넓은 홀을 상악동 하연을 관통하기까지 형성하여야 하고 그 경우 약한 골부에서는 초기고정을 얻기가 힘들며 단지 상악동 하연에서만 미약한 초기고정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작은 홀을 형성한 후 삽입할 경우 약한 골은 파고들수 있을지 모르나 임플란트 하단이 단단한 상악동 하연에 걸리게 되고 결국 파고들지 못하여 겉돌게 된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위와 같은 경우에도 상악동 하연에 넓은 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약한 치조골을 넓힐 필요가 없다. 단지 작은 홀만을 하연까지 형성한 후 밀고 들어가면 단단한 상악동 하연의 작은 홀을 따라서 걸리지 않고 강력히 파고들어 약한 골에서나 단단한 상악동 하연골 모두에서 뛰어난 초기고정을 얻어낼 수가 있다.
도 10은 매식후 골의 상실 정도의 차를 비교하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은 상기 익스터널 임플란트의 상부연결부와 임플란트가 만나는 임플란트 상단부에 한 개 이상의 원형 또는 나사형의 홈 또는 돌기가 있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스테이지 인터널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는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임플란트의 투스테이지인터널(two stage internal) 임플란트로서 상부 표면증대부에는 하나 이상의 나사형의 홈 또는 돌기가 있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스테이지 인터널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는 본 발명 임플란트의 또 하나의 실시 예로서 원스테이지인터널(one stage internal) 임플란트로써 상부 표면증대부에 하나이상의 나사형의 홈 또는 돌기가 있는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바디 임플란트의 상부구조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원바디(one body) 임플란트에서 치조골 상단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위인 잇몸과 만나는 부위에 한 개 이상의 원형 또는 나사형의 홈 또는 돌기가 있는 것을 보인 것이다. 상기 원형 또는 나사형의 홈 또는 돌기는 상기 임플란트 상단부의 잇몸과 만나는 부위에서 짧은 길이에서도 잇몸이 임플란트에 결합하는 면적을 넓게 만들어 주어 종래의 임플란트보다 짧은 길이에서 생리적인 폭경을 확보해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상단의 치조골의 흡수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다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 임플란트는 전체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직경이 작아지며 특히 하단부가 유선형으로 뾰족하게 끝나므로 치조골 내를 드릴링할 때 가장 짧은 시간에 매우 쉽게 그러나 더 정확하고 실수없이 드릴링할 수 있으며 치조골이 과열하여 괴사될 우려가 매우 적은 드릴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치조골의 구성은 다양하여 어느 부위는 치밀하여 드릴링이 매우 어렵고 과열되기 쉬우며, 어느 부위는 매우 약하여 쉽게 드릴링되나 망가지기 쉬우며 홀이 너무 넓게 형성되어 임플란트의 고정이 약해질 수 있다. 또한 너무 좁게 홀을 형성하면 임플란트가 들어가다가 멈추어 설 수 있고 이 경우 임플란트나 치조골이 망가지면서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될 수 있다.
이상적인 홀을 형성하여야 원하는 임플란트의 초기고정을 얻을 수가 있고 적절한 초기고정이야말로 임플란트의 성공률을 높이는 첫 관문이다. 그러나 치조골은 깊이와 부위에 따라서 다양한 골밀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상적인 홀을 형성하기란 여간 어렵지가 않다. 상기 임플란트는 어떠한 치조골 상황에서도 쉽게, 최소한의 골삭제로 이상적인 임플란트 홀을 형성할 수 있는 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의 두번 째 효과는 상기 임플란트가 임플란트 식립 시 예측가능한 이 상적인 초기고정을 얻으며 원하는 깊이까지 안전하게 식립되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기존의 임플란트 보다 항상 드릴에 의한 홀(hole)삭제를 적게함으로 식립시 헐거움을 막아주고 아주 빡빡(tight)하게 식립되어진다. 그리고 식립 도중 적게 삭제된 딱딱한 치조골에 걸리더라도 상기 나사산의 구조로 인하여 강력하게 파고들어가 중간에 서지 않고 안전하게 삽입되는 임플란트이다.
보통 임플란트 홀을 얼마나 넓게 형성하느냐 하는 것은 술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데 잘못 판단하였을 경우 너무 헐거워져 빠지거나 너무 좁아서 중간에 서버리게 되는 경우는 흔히 있는 일이다. 그러나 상기 임플란트는 술자의 잘못된 판단에 의한 실수를 줄여줌은 물론 혹시 술자가 잘못 드릴링하였다 하더라도 그것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언제나 만족할 만한 식립 결과를 가져다주는 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의 셋째 효과는 상기 임플란트는 유선형의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치조골 속에서 쉽게 겉돌지 않는 임플란트라는 것이다. 임플란트 삽입 시 임플란트가 중간에 더 이상 들어가지 않고 겉도는 경우가 종종 있다. 치조골이 너무 약하거나 중간에 치밀한 골을 만나거나 형성한 홀 깊이 보다 더 깊이 넣고자 돌릴 때 나사산 속에 있는 치조골이 부서지면서 겉돌게 된다.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임플란트는 직경이 같은 임플란트 보다 더욱 겉도는 현상이 많다. 겉돌게 되면 임플란트가 실패할 확률이 높다. 상기 임플란트는 직경이 좁아지는 임플란트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치조골이 약하거나 치밀한 골을 만나거나 좀더 깊이 넣고자 하는 어떠한 경우에도 겉돌지 않는 임플란트이다.
상기 임플란트는 또한 임플란트 상단의 골흡수를 최소화하는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그러기 위해 본 발명은 임플란트의 상단 부분이 구강내 연조직과 잘 융합하여 완벽한 씰링(sealing)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잇몸과 임플란트가 만나는 상부 접합면에 미세한 스레드나 그루브(groove)를 줌으로써 작은 거리에서 생리적 폭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골흡수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Claims (11)

  1. 치과용 골유착 임플란트에 있어서,
    치조골에 삽입되는 임플란트 나선부는 하부로 가면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나선부의 하단부는 뾰족하게 되어 만나는 형태의 유선형 형상을 가지며, 그 상단부에는 한 개 이상의 원형 또는 나사형의 홈이나 돌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2.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상부는 코아나 나사 외경이 모두 일정 부분만큼 같은 직경을 가지고 내려오며, 상기 임플란트의 중간 부분은 코아나 나사외경 모두가 5-10도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3.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부분의 상부와 중간부의 코아나 나사 외경이 모두 5-10도로 직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4.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나선부의 외형과 임플란트의 중심코아 모두가 전체적으로 유선의 곡선으로 급격히 좁아지면서 끝이 뾰족하게 되어 서로 만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5.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나선부 하단부의 외형과 임플란트의 중심코아 모두가 전체적으로 원추형인 직선형으로 좁아지면서 끝이 뾰족하게 되어 만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나사산의 하단부의 뾰족한 끝 부분의 코아 직경이 0.1-1.5mm 로 시작되어 상부로 넓어지며, 하단의 코아로부터 그 둘레로 0.1-0.7mm 깊이의 나사가 시작되어 상부로 선명하게 나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7.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나사구조는, 정삼각형의 나사산을 상하 중앙을 중심으로 위 아래 부분을 수평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제거하여, 길고 가늘며 끝이 뾰족한 나사모양을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8.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나사구조는, 나사의 상부면은 정삼각형의 나사산을 수평으로 반을 직선이나 오목곡선으로 절단하여 상부 쪽을 제거하고, 나사의 하부면은 삼각나 사의 하부면을 그대로 유지하거나 오목 또는 볼록 곡면의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임플란트 나사의 수치는 코아와 나사의 상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60-110도이고, 임플란트의 코아와 나사의 하부면이 이루는 각도는 90-120도이며, 상기 나사의 상하 두께는 0.1-0.6mm 이며, 나사산 끝의 각도는 10-60도이며, 코아에서 나사 끝까지의 수평길이는 0.3-0.8mm이고, 나사산의 간격은 0.3-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나사구조가 한 줄 나사 또는 2줄 또는 3줄 나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임플란트의 상부 연결부와 나선부 사이의 잇몸결합부 표면에 한 개 이상의 원형 또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KR1020060054187A 2006-06-16 2006-06-16 임플란트 KR100817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187A KR100817642B1 (ko) 2006-06-16 2006-06-16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187A KR100817642B1 (ko) 2006-06-16 2006-06-16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9802A true KR20070119802A (ko) 2007-12-21
KR100817642B1 KR100817642B1 (ko) 2008-03-27

Family

ID=3913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187A KR100817642B1 (ko) 2006-06-16 2006-06-16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764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3568B2 (en) 2009-02-24 2013-09-03 Neobiotech Co., Ltd. Dental implant
KR20190031711A (ko) 2017-09-18 2019-03-27 장경하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및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제작 방법
KR102118038B1 (ko) * 2019-10-11 2020-06-09 (주)아름덴티스트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357745B1 (ko) * 2021-05-11 2022-02-08 이영욱 상악동 막 천공 처치용 픽스츄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933B1 (ko) * 2011-02-11 2012-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임플란트 픽스쳐
KR101586082B1 (ko) * 2015-08-03 2016-01-15 왕제원 티타늄과 뼈의 강도를 고려한 치과 임플란트용 매직 핀 스래더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0374C2 (de) 1982-08-14 1984-08-30 Friedrichsfeld Gmbh, Steinzeug- Und Kunststoffwerke, 6800 Mannheim Zahnimplantat aus Metall
KR200204815Y1 (ko) 2000-06-29 2000-12-01 조성암 인공치아 이식수술용 임플랜트
KR100372258B1 (ko) * 2000-08-17 2003-02-17 이동환 치아 교정용 임플란트
KR100414885B1 (ko) * 2000-12-09 2004-01-24 주식회사 워랜텍 치과용 임플란트 및 컴팩션 드릴 헤드
KR100430770B1 (ko) * 2002-06-27 2004-05-17 박영철 임플랜트
KR100649628B1 (ko) * 2004-12-08 2006-11-28 최경수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23568B2 (en) 2009-02-24 2013-09-03 Neobiotech Co., Ltd. Dental implant
KR20190031711A (ko) 2017-09-18 2019-03-27 장경하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및 무치악 시술용 가이드 제작 방법
KR102118038B1 (ko) * 2019-10-11 2020-06-09 (주)아름덴티스트리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357745B1 (ko) * 2021-05-11 2022-02-08 이영욱 상악동 막 천공 처치용 픽스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7642B1 (ko) 2008-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506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US3466748A (en) Anchor screw for dental prosthesis
KR10102906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17642B1 (ko) 임플란트
US20060216673A1 (en) Dental implant
KR200443018Y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RU2459594C2 (ru) Постэкстракционный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JPH0244540B2 (ko)
JPH05200055A (ja) 埋込義歯
JP5259557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56292Y1 (ko) 임플란트 픽스쳐
US8998612B2 (en) Dental implant fixture and implant system having the same
KR100598937B1 (ko) 컷팅 에지를 갖는 치근형 인공치아 시술용 픽쳐
KR100807289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100864085B1 (ko) 임플랜트시스템
KR102093545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JP4179652B2 (ja) インプラント体とインプラント体の形成方法
KR100280119B1 (ko) 치과용 인공치아의 인공치근
KR102599229B1 (ko) 미세 커팅 엣지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EP2497441A1 (en) Dental implant system
TWI362254B (en) Dental cervical slop and cervical steps implant
KR20190115251A (ko) 치조골과의 결합 강도를 강화시킨 임플란트 픽스츄어
KR200215624Y1 (ko) 인공치근
CN206792499U (zh) 一种种植义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