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246Y1 -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246Y1
KR200383246Y1 KR20-2005-0003966U KR20050003966U KR200383246Y1 KR 200383246 Y1 KR200383246 Y1 KR 200383246Y1 KR 20050003966 U KR20050003966 U KR 20050003966U KR 200383246 Y1 KR200383246 Y1 KR 2003832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screw
fixture
handpiece
scre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9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김정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찬 filed Critical 김정찬
Priority to KR20-2005-00039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2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2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2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082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 A61C1/084Positioning or guiding, e.g. of drills of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내측구멍과 상기 내측구멍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내부나사부를 갖는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상기 제1내부나사부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제1나사부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나사부의 나사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가 상기 제1나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를 통하여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마운트스크류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와의 원추 접촉연결(conical connection)을 위해 하단부의 내측벽 및 외측벽 중 적어도 어느 일벽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부와 나사결합가능한 제2내부나사부를 갖는 마운트(mount);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의 상단면이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헤드부의 하단면과 접촉된 때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와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마운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시킨 후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때 마운트홀더(mount holder)를 마운트에 고정시키고 마운트스크류에 핸드피스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된 핸드피스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어느 일정시점에서 핸드피스를 정지시키고 마운트홀더를 마운트로부터 결합 해제하여야만 다시 핸스피스를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시술의 불편함 및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도록 마운트홀더를 마운트로부터 결합 해제하지 않고서도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수 있어 임플란트 수술을 종래 보다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시술시간을 종래 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Mount Device For Dental Implant}
본 고안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근 즉 치아뿌리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아의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뼈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첨단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은 치과계에 있어서 산업혁명에 비유될 정도로 혁명적인 발전이다. 이러한 발전에 힘입어 각종 임플란트가 시장에 나와있고 그러한 임플란트들은 국내산과 외국산을 합쳐 수십 종에 이르고 있다. 그와 같이 많은 종류의 임플란트들은 또한 각각의 다른 구조와 형상을 가지고 있어 많은 치과의사들이 혼란스러워 하며 시술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러한 어려움은 종종 임플란트 시술을 실패로 만들기도 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시술을 보다 쉽게 만들고 시술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은 치과의사와 치과환자에 있어서 꼭 필요한 필수적인 과제이며,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서 임플란트를 쉽게 식립하는 과정 못지 않게 식립을 가능하게 한 마운트 장치의 손쉬운 제거 또한 중요하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에 대하여 먼저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Fixture)(150)라는 인공치근을 자연치아의 뿌리처럼 상, 하악 치조골(이하, '치조골'이라 약칭한다)(180)에 우선 매식시킨 후 치조골(180)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고, 골유착시킨 후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50)에 지대주 나사(abutment screw)(미도시)로 지대주(abutment)(160)를 연결시키고 그 위에 인공치관(170)을 장착하면 임플란트 인공치아가 완성된다. 이때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150)는 골 밀도가 높은 치밀골(180a)을 통과하여 골 밀도가 낮은 해면골(180b)로 매식된다.
한편,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Fixture)를 치조골에 매식할 때에는, 픽스츄어에 마운트를 마운트스크류로 결합하고, 마운트스크류의 상단부를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를 통하여 핸드피스(handpiece)에 끼워 강한 회전력으로 치조골에 식립하게 된다. 그런데 픽스츄어의 매식을 위해 치조골에 미리 형성되는 체결구멍은 픽스츄어에 형성된 나사의 외경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픽스츄어가 치조골에 나사를 내면서 식립되게 되므로, 픽스츄어와 마운트가 원추 접촉연결(conical connection)된 형식의 픽스츄어의 경우 픽스츄어를 매식하는 과정에서 픽스츄어의 내면과 마운트의 외면 사이에 강한 토크가 걸려 서로 밀착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픽스츄어를 매식하고 난 뒤에, 픽스츄어의 내면과 마운트의 외면 사이에 강한 토크가 걸려 서로 밀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특별한 구조를 갖추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 마운트 장치를 픽스츄어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핸드피스를 매식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운트 장치만 빠지지 않고 매식된 픽스츄어도 함께 딸려오게 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며, 현재 픽스츄어의 매식 후에 마운트 장치만 빠질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 구조가 상당히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101)가 소개된 바 있다. 이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101)는, 하단부에 오른나사가 형성된 제1나사부(112)가 마련되고 제1나사부(112)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왼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113)를 마련한 몸체부(111)를 갖는 마운트스크류(110)와,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와 나사결합가능한 제2내부나사부(123)가 관통형성된 삽입공(122)의 내측벽에 마련된 마운트(120)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픽스츄어(150)를 매식할 때에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에 마운트(120)의 제2내부나사부(123)를 결합시키고 마운트스크류(110)의 제1나사부(112)에 픽스츄어(150)의 내측구멍(153)의 제1내부나사부(152)와 결합시킨 뒤,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140)를 통하여 마운트스크류(110)와 연결된 핸드피스(handpiece)(160)에 의하여 마운트스크류(11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마운트스크류(110)가 픽스츄어(1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픽스츄어(15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마운트스크류(110)의 제1나사부(112)와 픽스츄어(150)의 제1내부나사부(152)의 나사결합 외에도, 핸드피스에 의하여 마운트스크류(1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와 마운트(120)의 제2내부나사부(123)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마운트(120)가 이동하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이 상호 밀착되게 됨으로써 그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마운트스크류(110)의 제1나사부(112)와 픽스츄어(150)의 제1내부나사부(152)의 나사결합 외에 접촉면적이 넓은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 사이의 마찰력이 픽스츄어(150)를 회전시키는 주된 힘으로 작용하여 픽스츄어(150)를 마운트스크류(110)와 함께 일체로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픽스츄어(150)가 회전하면서 소정의 깊이까지 치조골(180) 내에 식립이 되어 매식을 완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픽스츄어(150)를 매식한 후 마운트 장치(101)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운트홀더(mount holder)(13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0)에 결합시킨 뒤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가 회전을 하지 못하도록 하든가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든가 하면서 마운트스크류(110)를 매식 시와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번에는 마운트(120)의 제2내부나사부(123)와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가 상호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쪽으로 마운트(120)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의 압박된 상태가 해제되어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아니하여 마운트스크류(110)만이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츄어(15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픽스츄어(15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여기서 보다 깊은 이해를 위하여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고정하는 이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만약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고정하지 않고서 마운트스크류(11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었을 때를 가정해 보면, 식립 직후에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이 상호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마운트스크류(11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힘은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 사이의 마찰력이 픽스츄어(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마운트(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마찰력이 픽스츄어(150)를 회전시키는 주된 힘이므로 픽스츄어(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한다는 것은 결국 마운트스크류(110)와 픽스츄어(150)가 함께 회전하게 되어 픽스츄어(150)가 딸려오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고정하고서 또는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서 마운트스크류(11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었을 경우에는, 마운트스크류(11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는 힘은, 마운트(120)의 경사면(1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151) 사이의 마찰력이 픽스츄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는 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마운트(12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픽스츄어(15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마찰력이 작용한다는 것은 결국 픽스츄어(150)가 마운트스크류(110)와 함께 회전되는 것이 마찰력에 의하여 저지하게 되어 픽스츄어(15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매식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는,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가 헤드부(115)에 너무 인접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시킨 후 마운트 장치(101)를 제거할 때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고정시키거나 마운트홀더(130)로 마운트(12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핸드피스(16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마운트스크류(110)의 회전에 의하여 마운트(120)가 마운트스크류(110)를 향하여 상방으로 올라오다가 마운트스크류(110)의 제2나사부(113)와 마운트(120)의 제2내부나사부(123)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기 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스크류(110)의 헤드부(115)의 하단면과 마운트(120)의 상단면이 상호 접촉하게 되어 마운트홀더(130)에 연결된 핸드피스(160)가 더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이 때에 핸드피스를 정지시키고 마운트홀더(130)를 마운트(120)로부터 결합 해제해야만 핸스피스를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운트 장치(101)를 제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임플란트 수술을 상당히 번거럽게 만들며 이러한 번거러운 작업이 시각적으로 잘 볼 수 없고 협소한 공간인 환자의 구강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술시간을 증대시키고 수술받는 환자들의 고통을 증대시키며 치과의사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마운트홀더(130)가 환자의 구강 내에서 사용되는 관계로 마운트홀더(130)를 두껍게 만들기가 어렵고 그리하여 충분한 두께를 갖지 못한 단구 렌치(the open ended wrench)를 마운트홀더(130)로 사용하게 되면 개구된 부위가 쉽게 벌어져서 사용에 적당하지 않기 때문에 함마 렌치(slugging ring wrench)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마운트홀더(130)를 분리하기 위해서 핸드피스 커넥터(140)와 핸드피스(160)를 완전히 분리시켜야 하므로 임플란트 수술을 상당히 번거럽고 불편하게 만들고 수술시간을 현저히 증대시키게 되고 치과의사들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120)가 하단부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는 원추형이고 마운트(120)의 하단부가 픽스츄어(15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픽스츄어(150)의 상단부가 두께가 얇은 형상을 갖는데, 마운트(120)가 픽스츄어(150)에 삽입 접촉된 때에 마운트(120)가 픽스츄어(150)의 반경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어 픽스츄어(150)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시킨 후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때 마운트홀더(mount holder)를 마운트에 고정시키고 마운트스크류에 핸드피스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된 핸드피스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어느 일정시점에서 핸드피스를 정지시키고 마운트홀더를 마운트로부터 결합 해제하여야만 다시 핸스피스를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시술의 불편함 및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도록 마운트홀더를 마운트로부터 결합 해제하지 않고서도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수 있어 임플란트 수술을 종래 보다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시술시간을 종래 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종래 보다 픽스츄어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내측구멍과 상기 내측구멍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내부나사부를 갖는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상기 제1내부나사부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제1나사부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나사부의 나사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가 상기 제1나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를 통하여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마운트스크류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와의 원추 접촉연결(conical connection)을 위해 하단부의 내측벽 및 외측벽 중 적어도 어느 일벽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부와 나사결합가능한 제2내부나사부를 갖는 마운트(mount);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의 상단면이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헤드부의 하단면과 접촉된 때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와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마운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의 외측벽에 형성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내측경사면과 원추접촉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경사면이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의 내측벽에 형성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픽스츄어의 외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외측경사면과 원추접촉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종래 보다 픽스츄어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경우를 줄일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나사부는 오른나사이며, 상기 제2나사부는 왼나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마운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0.01mm 내지 3mm 더 작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1)는, 일반적으로 픽스츄어(50)를 치조골에 매식할 때 사용되는데, 여기서, 픽스츄어(50)는 일반적으로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내측구멍(53)과, 내측구멍(53)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내부나사부(52)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1)는, 마운트스크류(10)와, 마운트스크류(10)에 나사결합되는 마운트(20)를 갖는다. 마운트스크류(10)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며 몸체부(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헤드부(15)를 구비하며, 몸체부(11)에는 픽스츄어(50)의 제1내부나사부(52)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제1나사부(12)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제1나사부(12)의 나사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13)가 제1나사부(12)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되어 몸체부(11)에 마련된다. 또한 픽스츄어(50)를 매식할 때에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미도시)를 통하여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미도시)가 헤드부(1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마운트(20)는, 픽스츄어(50)의 상단부와 원추 접촉연결(conical connection)을 위해 하단부의 외측벽에 형성된 경사면(21)과,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삽입공(22)과, 삽입공(22)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2내부나사부(23)를 갖는다. 또한 마운트(20)의 상단면이 마운트스크류(10)의 헤드부(15)의 하단면과 접촉된 때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트(20)의 상단까지의 거리(L2)는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상단으로부터 헤드부(15)의 하단까지의 거리(L1)보다 더 작게 구성된다.
마운트스크류(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몸체부(11)와 헤드부(15)를 갖는다. 몸체부(11)의 제1나사부(12)는 오른나사이며, 제2나사부(13)는 왼나사로 구성된다. 오른나사는 수나사를 시계 돌아가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돌릴 때 암나사 속으로 박혀 돌아가는 나사로서, 오른쪽으로 회전시켜서 앞으로 진행하는 나사이며, 왼나사는 이와 반대로 왼쪽으로 회전시켜서 앞으로 진행하는 나사이다. 몸체부(11)의 제1나사부(12)는 픽스츄어(50)를 치조골에 매식할 때 픽스츄어(50)의 제1내부나사부(52)와 나사결합되며 몸체부(11)의 제2나사부(13)는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나사결합되어, 마운트스크류(10)가 회전하여 치조골로 식립될 때 마운트(20)는 픽스츄어(50) 측으로 이동하여 마운트(20)와 픽스츄어(50)가 상호 접촉결합하게 된다. 헤드부(15)는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미도시)를 통하여 핸드피스(handpiece)(미도시)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육각형 머리를 가지며, 핸드피스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마운트(20)는 하단부가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이에 따라 외측벽이 경사면(21)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 경사면(21)은 마운트스크류(10)가 회전하여 치조골로 식립될 때 픽스츄어(50)의 내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과 원추 접촉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픽스츄어(50)를 매식할 때에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에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를 결합시키고 마운트스크류(10)의 제1나사부(12)에 픽스츄어(50)의 제1내부나사부(52)와 결합시킨 뒤, 핸드피스에 의하여 마운트스크류(10)를 회전시키게 되면 마운트스크류(10)가 픽스츄어(5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픽스츄어(50)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마운트스크류(10)의 제1나사부(12)와 픽스츄어(50)의 제1내부나사부(52)의 나사결합 외에도, 핸드피스에 의하여 마운트스크류(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가 왼나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와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가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마운트(20)가 이동하게 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20)의 경사면(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이 상호 밀착되게 됨으로써 그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픽스츄어(50)를 마운트스크류(10)와 함께 일체로 회전시키기 때문이다. 즉, 마운트스크류(10)의 제1나사부(12)와 픽스츄어(50)의 제1내부나사부(52)의 나사결합 외에 접촉면적이 넓은 마운트(20)의 경사면(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 사이의 마찰력이 픽스츄어(50)를 회전시키는 주된 힘으로 작용하여 픽스츄어(50)를 마운트스크류(10)와 함께 일체로 회전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반대로, 픽스츄어(50)를 매식한 후 마운트 장치(1)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운트홀더(mount holder)(미도시)에 마운트(20)를 결합시킨 뒤 마운트홀더로 마운트(20)를 고정하든가 마운트홀더로 마운트(20)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든가 하면서 핸드피스에 의하여 마운트스크류(10)를 매식 시와 반대방향인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번에는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가 상호 나사결합이 체결되는 쪽으로 마운트(20)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올라오게 되는데 이에 의하여 마운트(20)의 경사면(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의 압박된 상태가 해제되어 마운트(20)의 경사면(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 사이에는 마찰력이 작용하지 아니하여 마운트스크류(10)만이 치조골에 매식된 픽스츄어(5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픽스츄어(50)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마운트(20)의 상단면이 마운트스크류(10)의 헤드부(15)의 하단면과 접촉될 때 또는 접촉되기 전에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그리하여 마운트홀더가 마운트(20)를 계속하여 고정하고 있더라도 핸드피스가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따라서 핸드피스와 연결된 마운트스크류가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트(20)의 상단까지의 거리(L2)는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상단으로부터 헤드부(15)의 하단까지의 거리(L1)보다 더 작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마운트스크류(110)의 회전에 의하여 마운트(120)가 마운트스크류(110)를 향하여 상방으로 올라오더라도 마운트(20)의 상단면이 마운트스크류(10)의 헤드부(15)의 하단면과 접촉될 때 또는 접촉되기 전에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나사결합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되기 때문에 마운트홀더로 마운트(20)를 고정시킨 상태로 처음부터 계속하여 핸스피스와 이에 연결된 마운트스크류(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운트(20) 장치를 픽스츄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종래보다 임플란트 수술이 훨씬 수월하게 되며 수술시간을 종래 보다 단축되며 수술받는 환자들의 고통을 줄이고 치과의사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함마 렌치(slugging ring wrench)를 마운트홀더로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현저한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의 하단으로부터 마운트(20)의 상단까지의 거리(L2)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상단으로부터 헤드부(15)의 하단까지의 거리(L1) 보다 0.01mm 내지 3mm 더 작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1)를 사용하여 픽스츄어(50)를 치조골에 매식시키는데, 우선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를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와 나사결합시키고 마운트스크류(10)를 픽스츄어(50)의 내측구멍(53)에 삽입하여 픽스츄어(50)의 제1내부나사부(52)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1나사부(12)를 나사결합시킨다.
그런 다음에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미도시)를 통하여 핸드피스에 마운트스크류(10)의 헤드부(15)와 결합시키고 핸드피스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마운트스크류(10)의 회전에 따라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가 나사결합이 해제되는 방향인 하방으로 마운트(20)가 이동하려는 힘이 발행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마운트(20)의 경사면(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이 밀착되어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 마찰력을 주된 힘으로 하여 픽스츄어(50)가 마운트스크류(10)와 일체로 회전되어 치조골에 매식되게 된다. 매식이 완료되고 마운트 장치(1)를 제거할 때에는 마운트홀더를 마운트(20)에 고정하고 마운트스크류(1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마운트스크류(10)의 회전에 따라 마운트(20)가 나사결합되는 방향으로 상방으로 올라오면서 마운트(20)의 경사면(21)과 픽스츄어내측경사면(51)의 마찰력이 해제되고, 또한 마운트(20)의 상단면이 마운트스크류(10)의 헤드부(15)의 하단면과 접촉될 때 또는 접촉되기 전에 마운트(20)의 제2내부나사부(23)와 마운트스크류(10)의 제2나사부(13)의 나사결합이 해제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마운트스크류(10)를 회전시킬 수 없는 상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마운트홀더를 마운트(20)로부터 빼지 않고서도 마운트 장치(1)를 픽스츄어(5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그 후 픽스츄어(50)를 자연치아의 뿌리처럼 뼈에 완전히 고정되도록 골유착시키고, 골유착 후 픽스츄어(50)에 지대주(abutment)(미도시)를 연결시키고 그 위에 인공치관(미도시)을 장착하면 임플란트 인공치아 완성된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여 픽스츄어를 매식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도 10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의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와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술한 제1실시 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는 'a'가 부가된 참조부호가 지시되며, 전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중복되므로 생략하기로 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1a)에서는, 마운트(20a)의 경사면(21a)이 마운트(20a)의 하단부의 내측벽에 형성되도록 마운트(20a)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경사면(21a)은 픽스츄어(50a)의 외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외측경사면(55)과 원추 접촉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점만 다르다. 본 실시 예에의 경우에는 마운트(20a)의 경사면(21a)이 내측에 형성되어 픽스츄어외측경사면(55)과 마운트(20a)의 경사면(21a)이 접촉되므로 종래 보다 픽스츄어(50a)의 상단부가 파손되는 경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마운트스크류의 제1나사부가 오른나사로 형성되고 제2나사부가 왼나사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특별한 경우에는 마운트스크류의 제1나사부가 왼나사로 형성되고 제2나사부가 오른나사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단순한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시킨 후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때 마운트홀더(mount holder)를 마운트에 고정시키고 마운트스크류에 핸드피스 커넥터를 통하여 연결된 핸드피스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다가 어느 일정시점에서 핸드피스를 정지시키고 마운트홀더를 마운트로부터 결합 해제하여야만 다시 핸스피스를 계속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수 있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시술의 불편함 및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도록 마운트홀더를 마운트로부터 결합 해제하지 않고서도 마운트 장치를 제거할 수 있어 임플란트 수술을 종래 보다 훨씬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시술시간을 종래 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가 제공된다. 임플란트 수술을 종래 보다 훨씬 수월하게 하고 또한 수술시간을 종래 보다 단축시킬 수 있음으로 하여 수술받는 환자들의 고통을 감소시킬 수 있고 치과의사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여 임플란트 수술의 성공확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운트의 경사면이 마운트의 하단부의 내측벽에 형성되도록 마운트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마운트의 경사면은 픽스츄어의 외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외측경사면과 원추접촉연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보다 픽스츄어의 상단부의 파손되는 경우를 더 줄일 수 있도록 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여 픽스츄어를 매식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픽스츄어를 매식한 후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분리하기 위하여 마운트홀더를 마운트에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로부터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의 마운트의 헤드부와 마운트의 상단면이 접촉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의 부분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여 픽스츄어를 매식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서 픽스츄어를 매식한 후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의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와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를 사용하여 픽스츄어를 매식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0에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의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와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10 : 마운트스크류
11 : 몸체부 12 : 제1나사부
13 : 제2나사부 15 : 헤드부
20 : 마운트 21 : 경사부
22 : 삽입공 23 : 제2내부나사부
50 : 픽스츄어 51 : 픽스츄어내측경사면
52 : 제1내부나사부 53 : 내측구멍
55 : 픽스츄어외측경사면

Claims (5)

  1.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깊이 함몰형성된 내측구멍과 상기 내측구멍의 내측벽에 형성된 제1내부나사부를 갖는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매식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스츄어의 상기 제1내부나사부와 나사결합 가능하도록 제1나사부가 하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나사부의 나사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가 상기 제1나사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상방으로 이격되어 마련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가지고 상기 몸체부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핸드피스 커넥터(handpiece connector)를 통하여 치과용 핸드피스(handpiece)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헤드부를 갖는 마운트스크류와;
    상기 픽스츄어의 상단부와의 원추 접촉연결(conical connection)을 위해 하단부의 내측벽 및 외측벽 중 적어도 어느 일벽에 형성된 경사면과,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의 내측벽에 형성되며 상기 제2나사부와 나사결합가능한 제2내부나사부를 갖는 마운트(mount);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의 상단면이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헤드부의 하단면과 접촉된 때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와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나사결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마운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의 외측벽에 형성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픽스츄어의 내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내측경사면과 원추접촉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이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의 내측벽에 형성되도록 상기 마운트의 하단부는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픽스츄어의 외측벽에 형성된 픽스츄어외측경사면과 원추접촉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부는 오른나사이며, 상기 제2나사부는 왼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의 제2내부나사부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마운트의 상단까지의 거리는 상기 마운트스크류의 제2나사부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헤드부의 하단까지의 거리보다 0.01mm 내지 3mm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20-2005-0003966U 2005-02-15 2005-02-15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2003832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66U KR200383246Y1 (ko) 2005-02-15 2005-02-15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966U KR200383246Y1 (ko) 2005-02-15 2005-02-15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210A Division KR100594753B1 (ko) 2005-02-15 2005-02-15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246Y1 true KR200383246Y1 (ko) 2005-05-03

Family

ID=4368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966U KR200383246Y1 (ko) 2005-02-15 2005-02-15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246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24B1 (ko) 2005-07-15 2007-03-19 이석원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0743929B1 (ko) 2006-06-21 2007-08-01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0788240B1 (ko) 2006-12-04 2007-12-27 장경삼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WO2014003484A1 (ko) * 2012-06-29 2014-01-0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KR101479186B1 (ko) * 2006-05-04 2015-01-05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디바이스, 수술용 템플릿 제조방법 및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방법
KR101509643B1 (ko) * 2012-12-20 2015-04-1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CN107928820A (zh) * 2017-11-25 2018-04-20 南通玉蕙口腔医院有限公司 一种防旋转膜钉系统
KR20240033884A (ko) *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 커넥터용 제거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6324B1 (ko) 2005-07-15 2007-03-19 이석원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101479186B1 (ko) * 2006-05-04 2015-01-05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디바이스, 수술용 템플릿 제조방법 및 뼈 조직에 치과 임플란트를 고정하는 방법
KR100743929B1 (ko) 2006-06-21 2007-08-01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0788240B1 (ko) 2006-12-04 2007-12-27 장경삼 왼나사로 된 치과용 임플란트 추출유니트
WO2014003484A1 (ko) * 2012-06-29 2014-01-0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CN104812330A (zh) * 2012-06-29 2015-07-29 大恩土主 牙科用种植体
JP2015525602A (ja) * 2012-06-29 2015-09-07 デントーズ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Dentoz Co.,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101509643B1 (ko) * 2012-12-20 2015-04-13 덴토즈 주식회사 치과용 임플란트
CN107928820A (zh) * 2017-11-25 2018-04-20 南通玉蕙口腔医院有限公司 一种防旋转膜钉系统
KR20240033884A (ko) * 2022-09-06 2024-03-13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 커넥터용 제거장치
KR102689192B1 (ko) 2022-09-06 2024-07-29 주식회사 디오 임플란트 커넥터용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4753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1111176B1 (ko) 치과용 앵커 장치 및 방법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33258B1 (ko) 시술 및 보정이 용이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US20050019730A1 (en) Dental minipin with interchangeable abutments
ES2325954T5 (es) Sistema de implante dental
JPH0244540B2 (ko)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10077922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TWI787608B (zh) 牙科夾具操作連接器
KR101250493B1 (ko) 임플란트 식립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방법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20080103318A (ko)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KR200392276Y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KR20140105098A (ko) 경사형 임플란트
KR20150086699A (ko) 멀티플 어버트먼트
KR101072274B1 (ko) 분리형 치과용 임플란트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WO2007145454A1 (en) Healing abutment and implant having the same
BRPI0905306A2 (pt) implante múltiplo com áncora interna e tensores com instrumento para a colocação
KR100919776B1 (ko) 치조골의 골 이식용 스텐트 및 그를 이용한 골 이식시 골의모양을 유지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2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