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421Y1 -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 Google Patents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421Y1
KR200357421Y1 KR20-2004-0010543U KR20040010543U KR200357421Y1 KR 200357421 Y1 KR200357421 Y1 KR 200357421Y1 KR 20040010543 U KR20040010543 U KR 20040010543U KR 200357421 Y1 KR200357421 Y1 KR 2003574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artificial
artificial tooth
treatment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5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현
허성주
류인철
최용창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워랜텍
한종현
류인철
최용창
허성주
김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워랜텍, 한종현, 류인철, 최용창, 허성주, 김용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워랜텍
Priority to KR20-2004-00105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4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4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4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4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having a cylindrical implant connecting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Abstract

본 고안은 인공치근에의 착탈 시 인공치근에 전혀 비틀림 하중을 전달하지 않도록 스패너에 의해 파지되는 외부 실린더부와 실린더부를 인공치근에 결합시키는 코어부로 이분하여 제작한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는 인근치근(3)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상단에 정합되며, 중심 축선을 따라 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57)이 임의의 다각형 모양으로 각져 있는 실린더부(51); 및 상기 관통공(53)에 끼워져 상기 인공치근(3)의 체결공(17)에 나사 결합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코어부(5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치료용 지대주에 의하면, 치료용 지대주를 인공치근에 결합한 뒤 인공치근이 완전히 잇몸 치조골에 유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패너로 실린더부를 파지한 상태로 코어부를 회전시켜 인공치근에서 치료용 치대주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치료용 지대주를 임시치아로 대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Healing Abutment of a Implant}
본 고안은 인공치아(dental implant) 즉, 임플란트의 시술에 사용하는 치료용 지대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탈이 용이할 뿐 아니라 결합 안정성이 뛰어나면서도 착탈 시 인공치근에 전혀 전혀 비틀림 하중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빈번한 착탈 시술에도 불구하고 치근에 의한 치조골의 손상을 염려할 필요가 없도록 해주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상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상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런 일반적 치과치료방법은 인접해 있는 치아나 주위 잇몸 및 뼈조직에 어느 정도의 손상을 가져오므로 이를 감수하지 않을 수 없고, 틀니를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자연치아에 비해 저작 능력의 감소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불편감이나 이물감 등을 초래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보편적인 보철치료방법의 단점을 보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 인공치아 이식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치아 결손시 주위의 치아나 조직에 손상을 주지 않고 거의 자연치아와 동일한 모든 기능과 외모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최근 들어 각광을 받고 있는 인공치아는 자연치아의 인공 대체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일반적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근(103), 지대주(105), 가공치아(107)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인공치근(103)은 자연치아의 치근과 같이 결손된 치아부위의 치조골(109) 속에 심어져 가공치아(107)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체이다. 또한, 지대주(105)는 지대치라고 하며 잇몸(111)에 심어져 인공치근(103)과 가공치아(107)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공치아(107)는 지대주(105)에 의해 구강내에 고정되어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와 기능을 재현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공치아(101)를 이용하여 상실된 치아를 회복하고자 할 때의 이식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식과정은 크게 외과적 술식 즉, 수술방식과 보철적 수복으로 구분되며, 수술에 앞서 적합성 여부를 검사하기 위해 혈액검사 등의 기본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이식할 부위를 선정하여 그 부위의 골조직 질과 양을 평가하기 위해 구강검사 및 방사선 사진검사 등을 선행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검사가 완료되면 외과적 술식에 들어가는데, 먼저 국소마취 하에 치근에 해당하는 인공치근(103)을 골(109) 내에 이식하기 위한 1차 수술시 잇몸(111)을 절개하고 골조직(109)을 노출시킨 다음 인공치근(103)을 삽입한 후 잇몸(111)을 일단 봉합한다.
그리고 나서, 골질에 따라 3 내지 6 개월이 경과한 뒤 2차 수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봉합했던 잇몸(111)을 재차 절개하고 이미 골(109)내에 이식된 인공치근(103)의 상면에 지대주(105)를 얹어놓는다. 그런 다음 지대주(105)의 중심에 형성된 삽입공(113)을 통해 연결나사(115)를 삽입하여, 인공치근(103)의 중심부에 삽입공(113)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117)과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잇몸(111) 내에서 지대주(105)를 인공치근(103) 상단에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잇몸(111)을 통해 구강내로 지대주(105)를 돌출시킨 다음 2차 수술이 치유되면 보철치료를 시행하게 되는데, 먼저 지대주(105)의 상면에 골드 실린더(gold cylinder; 121)를 동축상으로 얹어놓는다. 이때, 연결나사(115)의 상단 돌출부(119)는 골드 실린더(121)의 원뿔대 모양의 하부 관통공(123)에 삽입된다.
그리고 나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골드 실린더(121) 상단에서 가공치아(107)를 제작한 후 가공치아(107)의 중심선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는 치아공(127)을 통해 골드 스크류(129)를 삽입하여, 연결나사(119)의 돌출부(119) 상면에 관통된 체결공(125)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인공치아(101)의 이식이 완결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인공치아(101)의 구성 및 이식과정은 일반적인 것으로,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형 인공치아(101)가 갖고 있는 이식 적용대상 등에 따른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인공치아가 개발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다이렉트형 인공치아(201)이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일반형 인공치아(101)는 인공치근(103)과 가공치아(107)를 연결하기 위해서 지대주(105)와 골드 실린더(121)의 이중구조가 요구되므로, 이식치아의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해짐은 물론 이러한 복잡한 구조로 인해 부품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대주(105)와 골드 실린더(121)의 이중부품사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 3에 도시된 다이렉트형 인공치아(201)는 일반형 인공치아(101)와 같이 인공치근(210), 지대주(230), 가공치아(250)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다. 다만, 지대주(23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하단부는 인공치근(210)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가공치아(250)가 몰딩되는 골드 실린더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공치근(210)의 육각 돌출부(213)와 결합되기 위한 체결홈(231)이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그 체결홈(231)의 상부 중심에는 인공치근(210)에 나사 체결되기 위한 연결나사(235)가 결합되는 삽입공(233)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이렉트형 인공치아(201)는 지대주(230)를 하단부로부터 필요한 부분만을 남겨두고 상단부를 잘라낸 다음 그 상단부에 가공치아(250)를 몰딩 결합시키고, 지대주(230)의 하단 체결홈(231)을 치조골(209)에 심어진 인공치근(210)의 육각 돌출부(213)에 결합시킨 다음 연결나사(235)를 통해 지대주(230)와 인공치근(210)을 서로 체결시킴으로써 치아 이식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아(101,201)를 시술함에 있어 먼저 잇몸(111)을 절개한 후 치조골(109,209)에 인공치근(103,210)을 심은 뒤 다시 잇몸(111)을 봉합한다. 이 때, 인공치근(103,210)의 체결공(117) 안으로 잇몸이 자라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공(117)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치료용 지대주(151) 또는 커버 스크류를 체결한다. 그리고 나서, 3 내지 6 개월이 경과하여 인공치근(103,210)이 치조골과 유착되면 체결공(117)에서 치료용 지대주(151) 또는 커버 스크류를 빼내고 지대주(105,230)를 체결한 후 그 위에 가공치아(107,250)를 결합하면 일련의 인공치아(101,201) 시술이 종료된다.
그런데, 인공치근(103,210)을 심는 1차 시술 후 환자는 잇몸(111) 부위에 치료용 지대주(151) 또는 커버 스크류가 위치한 상태에서 3 내지 6개월의 치유기간을 보내야 하므로 그 기간 동안 안면 외관을 해치게 되고, 저작력을 회복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1차 시술이 종료되고 7일에서 14일 정도가 경과된 후 인공치근(103,210) 위에 임시 치아를 시술할 수 있게 되면 위와 같은 문제가 생기지 않으나, 아직 인공치근(103,210)이 치조골(109,209)에 완전하게 유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인공치근(103,210) 위에 임시 치아를 체결하기 위해 체결공(117)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치료용 지대주(105,230)를 돌려 빼게 되면, 이 때 발생하는 비틀림 하중이 그대로 인공치근(103,210)에 전달되어 인공치근(103,210) 외주면의 나사부분에 의해 주위의 골유착이 실패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임시 치아 시술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치료용 지대주를 중심부분의 코어부와 외주부분의 실린더부로 이분하여 조립식으로 제작하고, 코어부를 인공치근의 체결공에 나사 결합시켜 실린더부를 인공치근 위에 고정하거나 반대로 인공치근의 체결공에서 코어부를 빼내어 실린더부를 인공치근으로부터 탈거할 때 실린더부를 별도의 렌치로 회전하지 못하게 잡아줌으로써, 코어부로부터 인공치근에 전달되는 비틀림 하중으로 인해 인공치근이 함께 회전하여 외주면의 나사부에 의해 주위의 치조골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형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이렉트형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
도 4는 종래의 치료용 지대주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치료용 지대주가 적용된 인공치아의 구조 및 이식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치료용 지대주의 실린더부 반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치료용 지대주의 실린더부 저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치료용 지대주의 코어부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치료용 지대주의 코어부 평면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료용 지대주의 실린더부 반단면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치료용 지대주를 인공치근에서 제거할 때 사용되는 스패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치료용 지대주 3,3' : 인공치근
9 : 치조골 13 : 각형 돌출부
13' : 각형 오목부 17 : 체결공
51,71 : 실린더부 53 : 관통공
55 : 코어부 57 : 외주면
59 : 각형 홈 61 : 스패널
79 : 각형 돌출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인근치근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상단에 정합되며, 중심 축선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이 임의의 다각형 모양으로 각져 있는 실린더부; 및 관통공에 끼워져 인공치근의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코어부;로 구성되어 있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1)는 크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실린더부(51)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코어부(5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실린더부(51)는 실질적으로 치료용 지대주(1)의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치조골(9)에 깊이 박혀 있는 인공치근(3)의 상단면에 정합된다. 이 때 인공치근(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면에 육각 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실린더부(51)는 인공치근(3)의 상단면 형태에 맞추어 육각 돌출부(13)에 정합될 수 있도록 하단면에 육각형의 각형 홈(59)이 함입,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인공치근(3)은 상단의 육각 돌출부(13)가 실린더부(51) 하단의 각형 홈(59)과 정합됨으로써 육각 돌출부(13)에 장착된 치료용 지대주(1)에 대해 전혀 상대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실린더부(51)는 중심 부분에 코어부(55)가 삽입되는 관통공(53)이 축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바, 하단의 각형 홈(59)과 이어져 있으며, 중간 부분에 코어부(55)의 헤드(58)가 걸려 안착되는 걸림턱(54)이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공(53)에 자전이 자유롭게 삽입되는 코어부(55)는 관통공(53)을 통과해 아래쪽으로 길게 연장되어 실린더부(51) 아래의 인공치근(3) 체결공(17)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되며, 걸림턱(54)에 걸린 헤드(58)를 통해 실린더부(51)를 인공치근(3) 위에 압착시키게 된다.
아울러, 실린더부(51)는 인공치근(3)의 자전을 억제하도록 스패너(61)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스패너(61)에 의해 파지될 수 있도록 외주면이 다양한 형태의 횡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실린더부(51) 외주면 상단은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육각형을 기본으로 사각형, 팔각형 등의 다각형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부(51)의 중심부에 끼워지는 코어부(55)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치근(3) 위에 정합된 실린더부(51)를 통과해서도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인공치근(3)의 체결공(17)에 나사 결합되도록 실린더부(51)의 2배 정도 되는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단에 실린더부(51)의 걸림턱(54)에 걸려 고정되는 헤드(58)가 형성되어 있고, 중간 부분에 체결공(17)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60)가 가공되어 있다. 또한, 코어부(55)는 상단 중심부분에 각형 끼움공(56)이 가공되어 있는 바, 실린더부(51)에 끼워진 상태에서도 각형 끼움공(56)에 착탈용 렌치를 끼워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코어부(55)를 인공치근(3)의 체결공(17)에 나사 결합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인공치근(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류에 따라 상단에 각형 내부 체결(internal connection)이 될 수 있는 바, 이 때 실린더부(71)는 이 각형 오목부(1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단면에 각형 돌출부(79)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에 관통공(7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실린더부(71)의 각형 돌출부(79)가 인공치근(3')의 각형 오목부(13') 정합된 상태에서는 실린더부(71)가 스패너(61) 등에 의해 파지되어 고정되어 있는 한, 코어부(51)가 정역회전하면서 인공치근(3')에 비틀림 하중을 가하더라도 인공치근(3')은 전혀 자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위와 같이 치료용 지대주(1)의 실린더부(51,71)를 회전하지못하게 파지하는 수단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패너를 제안하고 있는데, 물론 실린더부(51,71)를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일반적인 스패너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도시된 것처럼 스패너(61)의 파지부(63)를 스패너 축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굴절시킴으로써 파지부(63)에 접하는 실린더부(51,71)의 면적을 넓혀 스패너(61)의 파지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인공치아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잇몸을 절개하고 치조골에 인공치근(3)을 심는다. 그리고 나서 치유기간을 갖기 위해 일단 인공치근(3)의 상단에 임시로 치료용 지대주(1)를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도 5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먼저 인공치근(3,3') 상단의 육각 돌출부(13) 또는 육각 오목부(13')에 지대주 실린더부(51,71)를 정합 상태로 올려 놓는다. 그리고 나서 실린더부(51,71)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53,73)에 코어부(55)를 끼워 인공치근(3,3')의 체결공(17)에 나사 결합시키는데, 이 때 코어부(55)는 끼움공(56)에 삽입되는 렌치에 의해 쉽게 회전된다.
이와 같이, 코어부(55)를 관통공(53,73)에 끼운 채 체결공(17)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실린더부(51,71)를 인공치근(3,3') 위에 단단히 고정시킨 다음에는 대략 7일 정도의 치유 기간이 경과한 뒤에 치료용 지대주(1)를 임시 치아로 대체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스패너(61)로 지대주(1) 외부의 실린더부(51,71)를 잡고, 렌치를 끼움공(56)에 끼워 코어부(55)를 회전시킴으로써 인공치근(3,3')의 체결공(17)에서 빼낸다. 이 때, 스패너(61)로 실린더부(51,71)를 고정하여 회전을 억제하고 있으므로 실린더부(51,71)에 정합되어 있는 인공치근(3,3')도 전혀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인공치근(3,3')의 회전으로 인한 주위 치조골 손상을 염려하지 않고 인공치근(3,3')에서 코어부(55), 이어서 실린더부(51,71)를 차례로 빼낼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매우 손쉽고, 안전하게 인공치근(3,3')에서 치료용 지대주(1)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에 의하면, 지대주를 중심부분의 코어부와 외곽부분의 실린더부로 이분하여 제작함으로써, 인공치근을 치조골에 심은 후 인공치근이 아직 치조골에 완전히 유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스패너를 이용해 외곽의 실린더부를 파지한 채로 중심부분의 코어부를 회전시켜 인공치근에서 빼낼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근의 회전으로 인한 주위 치조골의 손상을 염려할 필요 없이 안전하고, 편리하며, 신속하게 인공치근에서 치료용 지대주를 제거하고 그 대신에 임시 치아를 시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공치근을 심고 대략 7일 정도 경과한 짧은 기간 내에 치료용 지대주를 제거하고 임시 치아를 시술할 수 있게 되므로 인공치근 시술 후 3 내지 6 개월이 소요되는 치유기간 동안에도 임시치아를 통해 안면 외관이나 저작력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인근치근(3)에 대해 상대 회전하지 않도록 상단에 정합되며, 중심 축선을 따라 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57)이 임의의 다각형 모양으로 각져 있는 실린더부(51); 및
    상기 관통공(53)에 끼워져 상기 인공치근(3)의 체결공(17)에 나사 결합되도록 연장되어 있는 코어부(5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51)는 외주면(57)이 4각형, 6각형, 8각형 중 어느 하나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각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51)는 상기 인공치근(3)의 상단에 돌출된 각형 돌출부(13)가 삽입되도록 하단에 각형 홈(59)이 함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부(71)는 상기 인공치근(3')의 상단에 함입된 각형 오목부(13')에 삽입되도록 하단에 각형 돌출부(79)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부(55)는 상단면에 착탈용 렌치가 삽입되는 각형 끼움공(5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6. 제1 항의 지대주(1)를 인공치근(3)에서 탈거할 때 상기 인공치근(3)의 체결공(17)에 나사 결합된 상기 지대주(1)의 코어부(55) 회전에 의해 상기 지대주(1)의 실린더부(5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실린더부(51)의 외주면에 파지되며, 파지면을 넓히기 위해 파지부(63)가 축선에 대해 경사지도록 굴절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패너.
KR20-2004-0010543U 2004-04-16 2004-04-16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KR2003574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43U KR200357421Y1 (ko) 2004-04-16 2004-04-16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543U KR200357421Y1 (ko) 2004-04-16 2004-04-16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421Y1 true KR200357421Y1 (ko) 2004-07-30

Family

ID=4943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543U KR200357421Y1 (ko) 2004-04-16 2004-04-16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4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9B1 (ko) 2006-06-21 2007-08-01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1768410B1 (ko) 2017-01-18 2017-08-17 박건제 상부 보철물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형 락킹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상부 보철물 조립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3929B1 (ko) 2006-06-21 2007-08-01 주식회사 워랜텍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1768410B1 (ko) 2017-01-18 2017-08-17 박건제 상부 보철물의 보정을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형 락킹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상부 보철물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1218B1 (ko) 임플란트 장치
KR100938991B1 (ko) 미니 임플란트.
KR100948074B1 (ko) 임플란트 보철 부품세트 및 상기 부품세트를 이용하여 지대주가 포함된 복제 석고모델의 제작방법
JP2000083970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カバースクリュー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101140620B1 (ko) 골이식 임플란트 시술용 임시 체결 부재
RU2597776C2 (ru) Фиксатор зубного протеза со свободно регулируемым углом и положением
KR101446072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KR101388185B1 (ko) 인상채득이 가능한 힐링 어버트먼트
US11730571B2 (en) Dental technology kit
KR200383246Y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마운트 장치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100332383B1 (ko) 만곡 인공치아 지대주
KR20200053276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20090016560A (ko)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15012431A1 (ko) 힐링 어버트먼트에 체결이 가능한 임프레션 캡
EP2907473B1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US20180280121A1 (en) Dental implant systems and methods of implantation
KR200357421Y1 (ko) 인공치아의 치료용 지대주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200357422Y1 (ko) 플랜지에 이단 홈이 가공된 인공치아의 지대주
KR100622545B1 (ko) 앞니용 인공치근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US20130059271A1 (en) Implant detector cover screw
KR101059741B1 (ko) 미니 임플란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