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28889A - 임플란트용 차폐막 - Google Patents

임플란트용 차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28889A
KR20140128889A KR1020140051790A KR20140051790A KR20140128889A KR 20140128889 A KR20140128889 A KR 20140128889A KR 1020140051790 A KR1020140051790 A KR 1020140051790A KR 20140051790 A KR20140051790 A KR 20140051790A KR 20140128889 A KR20140128889 A KR 20140128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implant
shielding film
graft material
bone g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수
정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덴테크
Publication of KR2014012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61K38/1875Bone morphogenic factor;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inducing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치조골에 결합된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치조골 주위에 골재생 유도술을 위하여 첨가되는 골 이식재를 덮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골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임플란트용 차폐막{MEMBRANE FOR IMPLANT OPERATION}
본 발명은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
치아 임플란트 시술은 대체적으로,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있는 잇몸뼈(이를 '치조골'이라 한다)에 임플란트용 포스트를 삽입하고, 임플란트용 포스트에 인공치아(Crown)를 결합함으로써 완성된다.
임플란트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픽스쳐가 식립되는 치조골은 충분한 길이와 폭이 필요하다. 뼈는 다른 조직에 흡수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뼈유도 재생술(이를 '골유도 재생술'이라고도 한다)이 필요한데, 뼈는 다른 조직과 달리 신체의 구조로 완전히 회복되는 유일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뼈가 올바른 형태로 재생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상태가 필요한데, 기계적 안정성과 풍부한 혈액 공급이 그것이다.
골유도 재생술의 생물학적 필요조건은 혈류의 공급, 안정화, 골아세포, 제한된 공간, 공간 유지, 창상피개 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여러 외과적 술식이 시행된다. 골 이식재에 적절한 압력을 제공하는 경우, 밀착성이 높아지고 골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특히, 안정화 및 제한된 공간을 위해 차폐막을 사용한다. 차폐막은 혈병을 보호해주고, 연조직 세포가 골 결손부로 이주해 오는 것을 막고 골성 세포가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안정적으로 골 이식재를 지지하여 골재생 유도술을 시술 가능한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조골에 결합된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치조골 주위에 골재생 유도술을 위하여 첨가되는 골 이식재를 덮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골 성분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일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 성분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는 이종골 또는 합성골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이종골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와 상기 돌출부는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금속 재질 및 플라스틱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 또는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임시볼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형성된 오목부에 억지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용 차폐막은 상기 골 이식재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 패드 형태로 부착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표면에는 관통하도록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통공은 지름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은 상기 바디부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치조골 및 상기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바디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결합하는 고정부재결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면은 치열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골 성분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골재생 유도술을 시행한 후 골 이식재에 쉽게 흡수됨은 물론, 하방의 골 이식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골 재생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가 식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
도 2는 익스터널형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및 인터널형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임플란트용 차폐막이 골 이식재를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이 형성된 이종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4의 (a)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 및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도 4의 (b)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 및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차폐막의 사시도,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차폐막의 관통홀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일반적으로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치근인 픽스쳐(fixture)를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인공치근에 치아 보철을 고정하여 형성된 인공 치아 구조를 의미한다. 임플란트라는 용어는 넓게 이러한 치과 시술 방법을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고, 좁게는 픽스쳐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구조는 주로 일반적인 인공 치아 구조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가 식립된 것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임플란트 기구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는 골조직 결합부(10), 치관 연결부(20), 어버트먼트(30) 및 치관(40)을 포함할 수 있다. 골조직 결합부(10) 및 치관 연결부(20)를 임플란트 포스트(1)라 칭하기로 한다.
치관 연결부(20)는 하단부가 골조직 결합부(10)와 연결되고 상단부에 어버트먼트(30)가 결합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는 골조직 결합부(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플란트는 치관 연결부(20)가 어버트먼트(30)와 일체로 형성된 일체형과 분리 가능한 분리형이 있다. 분리형은 치관 연결부(20)와 어버트먼트(30)의 결합 구조에 따라 인터널(internal)형 및 익스터널(external)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익스터널 형에 대해 도시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인터널 및 익스터널 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의 외주면은 어버트먼트(30)가 삽입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형태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치관 연결부(20)는 다각 기둥 형태일 수 있다. 어버트먼트(30)의 내부에는 치관 연결부(20)가 삽입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홈의 형태도 치관 연결부(2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어버트먼트(30) 내부의 홈은 치관 연결부(20)가 다각 기둥인 경우 다각 기둥 형태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치관 연결부(20)는 어버트먼트(30)에 삽입되고, 치관 연결부(20)의 외면과 어버트먼트(30)의 내면이 서로 대응됨으로써 치관 연결부(20)에 어버트먼트(30)를 결합한 후 치관(40)이 회전하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치관 연결부(20)의 상면에는 골조직 결합부(10)를 향하여 함몰되게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22)(이하, '암나사부'라 칭한다)가 형성될 수 있다. 어버트먼트(30)는 치관 결합용 볼트(50)가 삽입되는 삽입홀(30b)을 구비할 수 있다. 치관 고정용 볼트(50)는 어버트먼트(30) 및 치관 연결부(20) 중 적어도 하나를 결합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치관(4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치관(40)은 인공치아의 외관을 형성한다. 치관(40)은 크라운(crown), 인공치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치관(40)은 어버트먼트(30)에 향후에 형성됨으로써 치관 연결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는 몸체와 헤드로 나눠서 지칭될 수 있다. 임플란트 포스트(1)의 몸체는 치골에 삽입되는 부분을 지칭하며, 임플란트 포스트(1)의 헤드는 몸체의 상부를 지칭하는 것으로 치관이 결합되는 부분을 지칭한다. 대부분 임플란트 포스트(1)의 헤드는 치관 연결부(20)와 동일한 부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지금까지, 도 1 및 도 2는 치관(크라운(crown))을 임플란트 포스트(1)(또는 픽스쳐)나 어버트먼트(30)에 나사에 의해 고정하는 나사유지형 방식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픽스쳐에 어버트먼트(30)를 나사 고정하고, 별도로 제작된 크라운을 고정된 어버트먼트(30) 위에 배치하여,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30)를 합착하는 시멘트 유지형 방식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임플란트용 차폐막(121)이 골 이식재(60)(이를 "뼈 이식재"라고도 한다)을 덮고 있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시술시 우선 환자의 잇몸을 절개한 후 그 속에 임플란트 포스트(1)를 치조골(B)에 삽입한다. 치조골(B)이 부족한 경우 부족한 치조골(B)에 각형 인공뼈를 이식하거나 분말형 인공뼈(골 이식재(60))를 삽입하여 치조골(B)이 증대되도록 하는 골유도 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을 시술할 수 있다. 골 이식재(60)가 채워진 후에, 골 이식재(60)가 필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연조직 개입을 막고 골조직 유입을 유도하기 위해 임플란트용 차폐막(121)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차폐막(121)은 다양한 재질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차폐막(121)은 치조골(B)에 임플란트 포스트(1) 및 골 이식재(60)를 덮고, 골유도 재생술 후 골 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차폐막(121A) 및 흡수성 차폐막(121A)의 외측면에 노출되도록 결합되어 흡수성 차폐막(121A)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수성 차폐막(121A)은 생체분해물질로 만들어져 일정기간 장벽(Barrier)의 기능을 수행한 뒤 분해되어 조직에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제품이다. 십자형 타입(Cross-linked Type)과 비 십자형 타입(Non-Cross-linked Type) 등으로 구분되며 최소 2주부터 최대 54주까지 흡수되어 추가적인 제거 술식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흡수성 차폐막(121A)이 외부에 노출되거나 손상이 되더라도 장벽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서 감염의 위험도가 낮은 편이다.
주로 콜라겐(Collagen),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 폴리 그라틱 산(Polyglactic acid) 등으로 만들어지는 흡수성 차폐막(121A)은 2차 수술이 필요 없으며, 상피세포의 이동을 막고, 공간을 형성해 선택적 세포 증식 및 골 재생을 유도한다. 또한 흡수성 차폐막(121A)는 탄성이 있어 상처에 가해지는 기계적 스트레스를 차단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흡수성 차폐막(121A)는 콜라겐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는데 보통 동물의 힘줄(Tendon) 등에서 얻어진 콜라겐을 처리해서 만든다. 이와 같은 흡수성 차폐막(121A)의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보다 골재생에 있어 다소 지연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부작용이 비흡수성 차폐막(121B)보다 적고 안전성에서도 우수한 편이다.
하지만 흡수성 차폐막(121A)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121B)에 비해 공간확보 능력이 다소 떨어지며 지지대로서의 효능이 작은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하여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소재를 사용하는 비흡수성 차폐막(121B)은,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여 세포가 증식되는 데 필요한 기간 확보가 용이하다는 점이 장점이다.
임플란트 차폐막(121)은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것 이외에도 골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골 성분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 차폐막(12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이 형성된 이종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은 골 성분인 바디부(210, 210A)를 구비할 수 있다. 골 성분은 동종골, 합성골, 및 이종골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종골은 인간의 뼈를 의미한다. 동종골로 이루어진 바디부(210, 210A)는 환자 본인 또는 다른 사람의 뼈 일부를 깍아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임플란트 포스트(미도시)가 장착될 치조골의 일부를 쉘(shell) 형태로 가공하여, 바디부(210, 210A)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종골은 이식재를 동결시키거나 동결건조, 탈회동결건조, 그리고 방사선 조사를 가한 형태로 항원성을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골형성에 필요한 기간이 길고 새로 생성되는 골량도 적지만 필요한 양을 아무 때나 사용할 수 있고 부가적 수술부위를 만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동종골의 종류로는 동결건조골 중 비탈회형태(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allografts, DFDBA), 탈회형태(Freeze dried bone allografts, FDBA) 그리고 방사선 조사 해면골 형태(Irradiated cancellous bone,ICB)가 있다.
이종골은 소나 돼지 등의 동물의 뼈를 의미한다. 이러한 여러 과정을 거쳐 면역반을을 떨어뜨려 골전도 능력을 기대하는 이식재이며, 추가적인 수술부위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장점과 원하는 양만큼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흡수되고 치환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는 관계로 골유도 보다는 골전도의 기전으로 이해되는 것이 현재의 흐름이다. 이러한 이종골의 종류로는 Bio-Oss, ABM/P-15 및 BioCeraTM 등이 있다.
또한, 합성골은 인공적으로 형성된 뼈를 의미한다. 합성골은 동물의 뼈인 이종골을 일부 성분으로 하여 다른 재질을 혼합하여 형성되거나, 골 성분을 대체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합성골은 실제 뼈가 아니라 인공적으로 합성해서 만든 뼈이기 때문에 다른 뼈이식재에 비해서 가장 질이 떨어지고 골형성에 필요한 기간이 길지만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합성골은 non-porous hydroxyapatite(HA), hydroxyapatite cement, porous hydroxyapatite, beta tricalcium phosphate, polymethlymethacrylate(PMMA)와 hydroxyet-hylmethacrylate(HEMA) polymer, 그리고 bioactive glass 등이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HA 그리고 PMMA와 HEMA polymer는 비흡수성이며, tricalcium phosphate와 bioactive는 흡수성이다. 이러한 합성골의 종류는 제3 인산칼슘, 경조직 개체 중합체 및 생활성 유리질 세라막 등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디부(210, 210A)는 이종골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 210A)의 두께는 치조골(미도시)의 손실부에 첨가되는 골 이식재(미도시)에 밀착하여 덮을 수 있도록 얇은 막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 210A)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210, 210A)는 유선형 또는 곡률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0, 210A)는 반구 형상, 구 형상, 타원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210, 210A)는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바디부(210, 210A)는 상기 치조골의 형태, 인접하는 치아의 배열 형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디부(210, 210A)는 일부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4(a)의 바디부(210)는 커버부(211)와, 커버부(21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절곡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1)는 바디부(211)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며, 제1 절곡부(212)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제2 절곡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1)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가 시술된 상기 골 이식재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으며, 제1 절곡부(211)는 상기 골 이식재의 측면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부(213)는 정상적인 상기 치조골에 걸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절곡부(212, 213)는 서로 치열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절곡부(212, 213)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치조골을 중심으로 입술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절곡부(212, 213)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치조골을 중심으로 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조골 및 상기 골 이식재는 제1 및 제2 절곡부(212, 213)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절곡부(212, 213)는 상기 치조골 및 상기 골 이식재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b)의 바디부(210A)는 커버부(211A)와 제1 절곡부(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1A)와 제1 절곡부(212A)는 상기에서 설명한 도 4의 (a)의 커버부(211A) 및 제1 절곡부(212A)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커버부(211A) 및 제1 절곡부(212A) 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부재결합부(219A)를 구비할 수 있다. 나사나 쐐기 형태의 고정부재(미도시)는 고정부재결합부(219A)를 통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A), 특히 차폐막의 어느 한 절곡부(예를 들어, 제1 절곡부(212A))를 치조골에 결합시킬 수 있다. 고정부재결합부(219A)는 바디부(210A)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홀 형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을 이종골(70)로부터 가공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은 해면조직(74) 또는 치밀골(76)로 가공될 수 있으며, 치밀골(76)과 해면조직(74) 모두 포함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이 치밀골(76)로 가공되는 것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 차폐막(200, 200A)은 이종골(70)의 외곽에 위치한 치밀골(76) 부위에서 필요한 형태로 가공되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이종골(70)은 중앙에서부터 외각으로 갈수록 혈관부(72), 해면조직(74) 및 치밀골(76)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치밀골(76) 부위는 골밀도가 다른 부위에 비해 높으므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은 치밀골(76) 부위에서 필요한 형태로 가공되어 추출될 수 있다.
임플란트 차폐막(200, 200A)은 캐드캠(CAD/CAM) 또는 3D플린터를 통하여 이종골(70)에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가공되어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캐드캠(CAD/CAM)은 또는 3D프린터는 이종골(70)의 외곽부에 위치한 치밀골(76)부위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차폐막(200, 200A) 형태로 절삭되어 추출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 차폐막(200, 200A)을 이종골(70)로 가공하는 경우, 면역 반응 및 감염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임플란트 차폐막(200, 200A)의 표면은 면역반응 제거 처리 또는 감염 차단 처리를 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는 저온 또는고온 처리, 동결건조, 및 화학약품을 이용한 처리, 멸균처리 등 인체에 무해하도록 다양한 후처리를 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 차폐막(200, 200A)은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이종골(70)이나 합성골 성분을 압축 성형하여 가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차폐막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은 바디부(210, 210A)에 형성되는 돌출부(220, 22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 220A)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를 향하도록 커버부(211, 211A)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20, 220A)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차폐막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차폐막의 관통홀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임프란트 차폐막(100')은 도 4(a)에 도시된 임플란트 차폐막(100)의 돌출부(220) 대신, 관통홀(220')을 구비한다.
관통홀(220')은 임플란트 포스트에 커버 스크류(또는 힐링 어버트먼트)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임플란트용 차폐막(200, 200A)이 임플란트 포스트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관통홀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일 수 있다. 다만 관통홀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홀(220'-1)과 바형 슬릿(220'-2)이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바형 슬릿(220'-2)은 원형홀(220'-1)의 지름보다 큰 포스트의 부분을 임플란트 차폐막이 통과하도록 하는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여러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차폐막에 구비된 돌출부는 관통홀로 대체될 수 있다.
그 외에 구성요소는 도 4(a)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호가 지시하는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도 4의 (a)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 및 임플란트 포스트 시술이 적용된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시술 시 잇몸(미도시)을 절개한 후 치조골(B)에 임플란트 포스트(1)를 심을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 포스트(1)는 인터널형 임플란트 포스트 또는 익스터널형 임플란트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임플란트 포스트(1)가 인터널형 임플란트 포스트를 포함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 포스트(1)를 치조골(B)에 심는 경우, 치조골(B)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일부가 함몰되거나 소실된 상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실된 부위에 임플란트 포스트(1)를 삽입하면, 포스트의 유지 고정력이 저하되며 심미 보철에 문제가 발생하며, 포스트의 수명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치조골(B) 일부가 함몰되거나 소실된 부분에 골 이식재(60)를 채울 수 있다. 이때, 골 이식재(60)는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야 뼈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골 이식재(60)가 치조골(B)에 대체될 때까지 치조골(B) 일부와 골 이식재(60)의 외면에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을 설치하여 골 이식재(6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 포스트(1)를 치조골(B)에 시술하는 경우 골조직 결합부(10)는 치조골(B)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치관 연결부(20)의 적어도 일부분은 치조골(B)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술이 완료되면, 임플란트 포스트(1)가 자리를 잡도록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인 임플란트 포스트(1)가 치조골(B)에 설치된 후 치조골(B)이 소실된 부분에 골 이식재(6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골 이식재(60)가 삽입된 부분에는 골 이식재(60)가 이탈되거나 형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에서 설명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을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은 임플란트 포스트(1)의 상면 및 골 이식재(6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1)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포스트(1)의 상면에 배치되며, 제1 절곡부(212)는 골 이식재(60) 부분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부(213)는 제1 절곡부(212)와 반대 방향에서 치조골(B)의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곡부(212)와 제2 절곡부(213)의 위치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반대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디부(210)가 설치되는 경우, 돌출부(220)는 치관 연결부(220)의 상기 암나사부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임시볼트(150)가 상기 암나사부에 설치되는 경우 돌출부(220)는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치관 연결부(20)에 임시볼트(150)가 설치되고, 돌출부(220)는 오목부(153)에 삽입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220)는 오목부(153)에 억지 끼움될 수 있다. 이때, 오목부(153)는 오목부(153)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오목부(153)의 단면이 정육각형 등의 정다각형인 다각기둥, 원기둥, 원뿔, 또는 반구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220)는 원기둥, 원뿔, 반구 또는 단면이 정육각형 등과 같은 정다각형인 다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와 오목부(153)의 형상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오목부(153)이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220)의 단면은 원기둥, 원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오목부(153)이 원기둥, 원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돌출부(220)는 정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오목부(153)가 정다기둥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부(22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220)와 오목부(153)가 억지 끼움되는 경우에도 돌출부(220)의 외면과 오목부(153)의 내면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220)와 오목부(153)의 형상이 상이함으로써 오목부(153)로부터 돌출부(220)를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돌출부(220)가 오목부(153)에 적절한 억지 끼움이 되도록, 돌출부(220) 중 어느 한 단면의 지름은 오목부(153)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단 이격거리 보다 크고, 오목부(153) 단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내측단의 최장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돌출부(220)가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억지끼운 상태에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을 회전시키는 경우,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은 임시볼트(150)에 대하여 상대적인 원형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은 시술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의 위치 및 방향을 정한 후, 임플란트 포스트(1)에 수직으로 장착 가능하며, 방향에 오차가 있는 경우 간단하게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을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쉽게 그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220)는 바디부(210)와 동일한 재질 또는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220)는 동종골, 이종골 및 합성골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는 바디부(210)를 형성하는 경우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바디부(210)에 연결되도록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220)는 바디부(210)와 완전히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220)는 티타늄과 같은 금속 재질 또는 레진이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금속과 플라스틱 재질이 혼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돌출부(220)는 바디부(210)와 별도로 제작되어 바디부(2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22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후 바디부(210)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하거나 접착 물질을 통하여 바디부(210)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220)는 바디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220)를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설치한 후 시간이 경과하면, 골 이식재(60)가 치조골(B)에 완전히 접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은 골 이식재(60)의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골 이식재(60)가 치조골(B)에 안전하게 안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용 차폐막(200)은 골 성분으로 형성됨으로써 골 이식재(60)가 치조골(B)에 단시간내에 안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7은 도 4의 (b)에 도시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A) 및 임플란트 포스트(1) 시술이 적용된 부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임플란트 시술 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A)을 사용하여 골 이식재(6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용 차폐막(200A)은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포스트(1), 골 이식재(B), 치조골(60) 일부를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골 이식재(6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A)는 임시볼트(150)의 오목부(153)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커버부(211A)는 임플란트 포스트(1)의 상면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212A)는 골 이식재(60) 부분을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 차폐막(200A)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의 충격 또는 내부의 골 이식재(60)의 유동에 따라서 임플란트 차폐막(200A)이 움직일 수 있다.
임플란트 차폐막(200A)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재(300)를 고정부재결합부(219A)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와 같이 바디부(210A)가 배치된 후 고정부재결합부(219A)에 고정부재(300)를 결합하면, 고정부재(300)는 바디부(210A)를 관통하여 골 이식재(60) 부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300)는 제1 절곡부(212A)를 골 이식재(60) 부분에 완전히 밀착시켜 골 이식재(60)가 제1 절곡부(212A)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300)는 볼트, 나사, 핀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차폐막(200A)은 골 이식재(60)가 단시간내에 안착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차폐막(200A)은 고정부재(300)를 통하여 바디부(210A)를 치조골(B) 및 골 이식재(6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시킴으로써 골 이식재(60)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C)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C)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21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C)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C)의 내부 공간에는 임플란트 포스트(미도시) 및 골 이식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위치시켜 커버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0C)는 골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골 성분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임플란트 차폐막(200C)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디부(210C) 내부 공간으로 형성되는 돌출부(220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C)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시술 시 임플란트 차폐막(200C)의 위치가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C)는 선택적으로 바디부(210C)에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돌출부(220C)가 바디부(210C) 내부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임플란트 차폐막(200C)은 상기 골 이식재를 시술 한 후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를 커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는 바디부(210C)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골 이식재의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상기 골 이식재의 형상 변화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바디부(210C)가 설치되는 경우, 돌출부(220C)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에 결합하여 바디부(210C)를 고정시킬 수 있다. 특히 돌출부(220C)가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에 결합하는 방법 및 구조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임플란트 차폐막(200C)은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상기 골 이식재의 양생을 보조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차폐막(220C)은 골 성분으로 형성됨으로써 시술 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골 이식재의 양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D)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D)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이 개방되도록 개구부(218D)를 구비하는 바디부(21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D)는 골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210D)는 다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원기둥 형태, 원뿔 형태, 쐐기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디부(210D)는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D)는 커버부(211D)와 절곡부(212D)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절곡부(212D)는 커버부(211D)로부터 절곡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212D)는 커버부(211D)의 외면을 완전히 깜싸도록 커버부(211D)와 연결될 수 있다.
바디부(210D)는 상기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커버부(211D)와 대향되는 면에 개구부(218D)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바디부(210D)는 커버부(211D) 및 절곡부(212D)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임플란트 포스트(미도시) 및 골 이식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임플란트용 차폐막(200D)은 바디부(210D)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20D)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20D)는 커버부(211D)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D)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를 설치한 후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200D)은 시술 시 상기 치조골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D) 내부의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디부(210D)가 설치되는 경우 절곡부(212D)의 일부는 상기 치조골과 상기 골 이식재를 지지하고, 절곡부(212D)의 다른 일부는 상기 치졸골 및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20D)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시볼트(미도시)의 오목부(미도시)에 삽입되도록 설치되어 바디부(210D)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D)은 임플란트 시술 시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가적인 이차 수술이 필요 없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0를 참고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바디부(210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E)는 골 성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211E)와, 커버부(211E)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212E)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절곡부(212E)는 커버부(211E)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부(211E)와 절곡부(212E)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커버부(211E)와 절곡부(212E)는 치열에 대응되도록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1E)의 곡률반경과 절곡부(212E)의 곡률반경은 일정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커버부(211E)의 곡률반경 및 절곡부(212E)의 곡률반경은 일정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커버부(211E) 및 절곡부(212E)는 각각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바디부(210E)는 임플란트 포스트(미도시)에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미도시)가 결합하는 결합부(290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90E)는 홀이나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결합부(290E)는 커버부(211E)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290E)가 커버부(211E)를 관통하는 홀 형태인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은 여러 개의 임플란트를 동시에 시술할 때 적합할 수 있다. 아울러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은 전부 발치된 치아의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부(210E) 내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가 배치될 수 있다.
우선 상기와 같이 형성된는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은 환자의 구강 구조 즉, 치조골(미도시)의 형태, 배열 등을 고려하여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를 설치한 후 상기 치조골에 골 이식재(미도시)를 배치하고,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의 바디부(210E)는 상기 치조골 및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1E)에 형성되는 결합부(290E)는 미리 식재될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위치를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치관 결합부(미도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E)이 배치되는 경우 임플란트 차폐막(200E)의 설치 후 상기 결합부에 임시볼트(미도시)를 삽입하여 상기 치관 결합부에 형성되는 암나사부(미도시) 및 삽입홈(미도시)을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 포스트(200E)는 바디부(210E)를 통하여 상기 골 이식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골 이식재의 형태 변화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포스트(200E)는 상기 골 이식재의 형태를 미리 예측할 수 있으므로 시술자가 뼈 형성량을 쉽게 예측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F)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A-A선 및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F)은 골 성분으로 형성되는 바디부(210F)와, 바디부(210F)에 형성되는 돌출부(220F)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F)는 커버부(211F) 및 커버부(211F)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212F)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커버부(211F)와 절곡부(212F)는 서로 연결됨으로써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내부 공간에는 치조골(미도시) 및 골 이식재(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될 수 있다.
커버부(211F) 및 절곡부(212F)는 각각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커버부(211F) 및 절곡부(212)는 각각 길이 방향으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211F)는 절곡부(212)의 높이 방향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길이 방향의 커버부(211F) 곡률반경 및 절곡부(212F) 곡률반경은 일정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복수개일 수 있다. 특히 커버부(211F)와 절곡부(212F)는 치열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F)의 단면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디부(210F)의 단면은 'ㄷ'자 또는 말발굽과 같은 'U'자 형태의 아치형일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F)의 단면 형상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치열 또는 상기 치조골의 형상, 상기 골 이식재의 배치 형태, 상기 골 이식재로 인한 전체 형상 등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도 12의 (a) 및 (b) 참고)
상기와 같은 커버부(211F)에는 외부로부터 체결 기구가 삽입되는 결합부(290F)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90F)는 커버부(211F)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290F)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90F)는 커버부(211F)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211F) 및 돌출부(212F)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290F)에는 임시볼트(미도시) 또는 임플란트 포스트(미도시)에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미도시), 치관 결합용 볼트(미도시) 등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결합부(290F)는 커버부(211F)만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부(290F)가 형성되는 경우 결합부(290F) 및 돌출부(220F)는 서로 교번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200F)은 상기 골 이식재를 설치한 경우 골 이식재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임플란트용 차페막(200F)은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에 돌출부(220F)가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골 이식재의 경화가 완료되면, 상기 치관 결합용 볼트를 결합부(290F)에 삽입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의 고정 방법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치관 결합용 볼트를 결합부(290F)를 통하여 상기 치관 연결부의 상기 암나사부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F)은 골 성분으로 형성되므로 치아의 손상부위가 매우 적어 골 생성 부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별도로 흡수성 차폐막 및 비흡수성 차폐막의 기능상 성분으로 분리 제작하지 않고, 골 성분으로부터 필요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시술에 직접 이용되는 바, 골 생성부에 대한 흡수성 및 차폐성과 유지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G)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고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G)은 바디부(210G) 및 돌출부(220G)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0G)는 커버부(211G)와 절곡부(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G)는 상기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0G)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골 이식재(미도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디부(210G)가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G)는 커버부(211G), 제1 절곡부(212G) 및 제2 절곡부(213G)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곡부(212G) 및 제2 절곡부(213G)는 커버부(211G)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커버부(211G)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G)은 바디부(210G)에 설치되는 패드부(240G)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드부(240G)는 커버부(211G), 제1 절곡부(212G) 및 제2 절곡부(213G)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패드부(240G)는 치조골(미도시)의 일부가 소실된 부분에 배치되도록 바디부(210G)에 설치될 수 있다.
패드부(240G)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드부(240G)는 상기 치조골이 탈루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드부(240G)는 직사각기둥 형태 일 수 있으며, 원뿔, 타원형의 패드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패드부(240G)는 상기 골 이식재를 바디부(210G)에 동결 건조하여 제조할 수 있다. 특히 패드부(240G)는 바디부(210G)의 일면에 미리 결정된 두께 및 면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때, 패드부(240G)의 두께 및 면적은 상기 치조골의 결손 정도, 발치에 따른 상기 치조골의 변형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G)은 상기 골 이식재를 패드 형으로 바디부(210G)에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용 차폐막(200G)은 골 성분으로 형성됨으로써 시술 후 상기 치조골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골 이식재의 경화시 상기 골 이식재의 형태가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용 차폐막(200H)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H)은 바디부(210H) 및 돌출부(220H)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210H)는 커버부(211H)와 절곡부(미표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바디부(210H)는 상기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10H)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골 이식재(미도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모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디부(210H)가 상기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H)는 커버부(211H), 제1 절곡부(212H) 및 제2 절곡부(213H)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절곡부(212H) 및 제2 절곡부(213H)는 커버부(211H)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커버부(211H)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H)는 바디부(210H)를 관통하도록 통공(280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통공(280H)은 바디부(210H)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공(280H)은 커버부(211H)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절곡부(212H) 또는 제2 절곡부(213H)에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공(280H)은 커버부(211H)와 제1 절곡부(212H)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절곡부(213H)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통공(280H)이 제1 절곡부(212H)에만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통공(280H)은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통공(280H)의 지름은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개의 통공(280H) 중 제1 절곡부(211H)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통공(280H)의 지름은 다른 부분의 통공(280H)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절곡부(280H)의 중앙 부분을 중심으로 제1 절곡부(212H)의 외곽으로 갈수록 통공(280H)의 지름은 순차적으로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통공(280H)의 지름은 절곡부(280H)의 중앙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통공(280H)의 지름 골 이식재(미도시)가 가장 많이 밀집한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통공(280H)의 지름이 서로 동일한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바디부(210H)는 혈액이나 골 성장 인자 등을 일부 통과시키나 양이 아주 적을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통공(280H)은 치은(미도시)으로부터 혈액이나 골 성장 인자 등이 임플란트용 차폐막(200H) 안쪽의 골 이식재(미도시)에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통공(280H)을 통하여 이동하는 혈액이나 골 성장 인자 등으로 인하여 상기 골 이식재가 치조골(미도시)에 원활하게 재생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용 차폐막(200H)은 골 성분으로 형성됨으로써 시술 후 상기 치조골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골 이식재의 경화시 상기 골 이식재의 형태가 가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B: 치조골 G: 치은
10: 골조직 결합부 20: 치관 연결부
22: 암나사부 40: 치관
50: 치관 고정용 볼트 60: 골 이식재
200 내지 200G: 임플란트용 차폐막
210 내지 210G : 바디부
220 내지 220G : 돌출부

Claims (13)

  1. 치조골에 결합된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치조골 주위에 골재생 유도술을 위하여 첨가되는 골 이식재를 덮는 바디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골 성분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측으로 구부러지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절곡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 성분으로 형성되는 상기 바디부는 이종골 또는 합성골인 임플란트용 차폐막.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이종골을 절삭 가공하여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공간의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 및 상기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가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임플란트 포스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 또는 상기 치관 결합용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임시볼트의 상부면에 형성된 형성된 오목부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 이식재로 형성되며, 상기 바디부에 패드 형태로 부착되는 패드부;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표면에는 관통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복수개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통공은 지름이 서로 상이한 임플란트용 차폐막.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은 상기 바디부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치조골 및 상기 골 이식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바디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결합하는 고정부재결합부;를 구비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면은 치열에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되는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20140051790A 2013-04-29 2014-04-29 임플란트용 차폐막 KR201401288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7118 2013-04-29
KR1020130047118 2013-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89A true KR20140128889A (ko) 2014-11-06

Family

ID=5245464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2006A KR20140128896A (ko) 2013-04-29 2014-04-29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40051767A KR20140128888A (ko) 2013-04-29 2014-04-29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20140051790A KR20140128889A (ko) 2013-04-29 2014-04-29 임플란트용 차폐막
KR1020160081023A KR20160098105A (ko) 2013-04-29 2016-06-28 임플란트용 차폐막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52006A KR20140128896A (ko) 2013-04-29 2014-04-29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40051767A KR20140128888A (ko) 2013-04-29 2014-04-29 임플란트용 차폐막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023A KR20160098105A (ko) 2013-04-29 2016-06-28 임플란트용 차폐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1401288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221B1 (ko) * 2016-03-10 2016-12-13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날개형 멤브레인
KR20190000789U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경접형동 접근법 수술용 임플란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441B1 (ko) * 2015-08-27 2016-09-08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조합 메시
KR101703802B1 (ko) * 2015-10-15 2017-02-08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3d 치과용 차폐막 성형기구
KR101930797B1 (ko) * 2018-02-20 2019-03-11 주식회사 아이두바이오텍 발치와 보존 기능을 갖는 임플란트 장치
KR102146161B1 (ko) * 2018-08-29 2020-08-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결합돌기가 구비된 치조골 골유도재생용 차폐막
KR102595731B1 (ko) * 2020-05-14 2023-10-27 이노베디스 게엠베하 힘줄 고정판
CN112472334B (zh) * 2020-11-25 2021-10-29 广州市弘健生物医用制品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牙槽骨重建的支架结构
KR102283471B1 (ko) * 2020-11-30 2021-07-30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츄어 가이드 커버
WO2023121061A1 (ko) * 2021-12-20 2023-06-29 문천호 치과 임플란트용 스크류
KR20230122756A (ko) * 2022-02-15 2023-08-22 주식회사 바이오템 3d 골유도 재생술용 본 스크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6221B1 (ko) * 2016-03-10 2016-12-13 안필호 임플란트 시술용 날개형 멤브레인
KR20190000789U (ko) * 2017-09-20 2019-03-28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경접형동 접근법 수술용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896A (ko) 2014-11-06
KR20140128888A (ko) 2014-11-06
KR20160098105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28889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AU2003250711B2 (en) Implant for implanting in bone tissue or in bone tissue supplemented with bone substitute material
US20230181293A1 (en) Dental devices for extraction site reconstruction
US7135042B2 (en) Surgical implant
US8353967B2 (en) Self-supporting collagen tunnel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30261672A1 (en) Universal distraction device for bone regeneration
WO2015167050A1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US20120083882A1 (en) Spinal impla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503261A (ja) 改良された延長メンブレン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20120116412A (ko) 잇몸과 뼈를 성장시키고 보존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방법
KR20150133671A (ko) 임플란트용 차폐막
KR20170089577A (ko) 잇몸과 뼈를 성장시키고 보존하기 위한 임플란트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