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683Y1 - 치과용 차폐막 - Google Patents

치과용 차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683Y1
KR200471683Y1 KR2020120003818U KR20120003818U KR200471683Y1 KR 200471683 Y1 KR200471683 Y1 KR 200471683Y1 KR 2020120003818 U KR2020120003818 U KR 2020120003818U KR 20120003818 U KR20120003818 U KR 20120003818U KR 200471683 Y1 KR200471683 Y1 KR 200471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lat
planar
dental
sid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6616U (ko
Inventor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Priority to KR2020120003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83Y1/ko
Publication of KR20130006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8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002/2817Bone stimulation by chemical reactions or by osteogenic or biological products for enhancing ossification, e.g. by bone morphogenetic or morphogenic proteins [BMP] or by transforming growth factors [TG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차폐막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은, 픽스츄어(fixture)가 식립된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평면부; 및 평면부와 연결되되 골이식제를 채우기 위한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평면부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cutting)된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차폐막{DENTAL MEMBRANE}
본 고안은, 치과용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상적인 골이식 공간을 제시할 수 있어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골이식제를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손된 치조골을 감쌀 수 있으며,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골유도재생술(GBR)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치과용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픽스츄어의 식립 전에 골량이 부족하거나 골부피의 부족이 예상되는 경우나 픽스츄어의 식립 후에 다양한 이유(염증에 의한 치조골 흡수 등)로 식립체의 일부가 골 밖으로 노출 되었을 때는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이라는 시술이 시행된다. 골유도재생술 시술 시 많은 경우에 있어 치과용 차폐막과 다양한 골재료(자가골, 동종골, 이종골, 합성골)가 이용된다.
여기서, 골유도재생술(GBR)이란 치주조직과는 무관하게 무치악 부위에서 차폐막을 사용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 하부의 골결손부 내로 오스테오블라스트(Osteoblast)의 유입을 유도함으로써 골조직 재생을 도모하는 술식이다.
골유도재생술(GBR)의 기원은 치주조직유도재생술(Guided tissue regeneration: GTR)로부터 발전되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한편, 골유도재생술(GBR) 진행 시 사용되는 치과용 차폐막은 재생이 빠른 치은 상피가 손상부로 먼저 자라면서 들어가지 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치과용 차폐막은 적당한 공간유지 능력이 있어 결합 조직의 분화와 골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치과용 차폐막은 그 물리적인 성질에 따라 흡수성 차폐막과 비흡수성 차폐막으로 구분된다.
흡수성 차폐막에는 상품명 Biogide, Biomend Extend, Ossix, Resolut 등이 있고, 비흡수성 차폐막에는 e-PTFE(Expanded-polyetrafluoroethylene), 티타늄 메쉬(Titanium mesh) 등이 있다.
우선, 흡수성 차폐막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본다.
1) 상품명 Biogide(Geistlich 제조사가 위치한 지역 Sohne AG, Switzerland) ; 돼지의 진피(porcine dermis)에서 추출한 흡수성 차폐막으로 crosslinking이 없는 typeⅠ과 typeⅢ collagen으로 구성된다. 연조직의 침윤을 막는 기능을 하는 표면이 매끈한 compact layer와 내부 혈병을 안정화 시켜주고, 골형성 세포의 침착이 용이하도록 디자인 된 loose한 porous layer의 두 층으로 되어있다. 흡수되는 기간은 약 4~6개월 정도이다.
2) Biomend Extend(Sulzer Calcitec, carlsbad CA, USA) ; 소의 인대(bovine tendon)에서 추출한 typeⅠcollagen으로 glutaraldehyde를 이용하여 cross-linking을 많이 부여하여 차단기능이 연장되도록 한 흡수성 막으로 조직재생에 필요한 기간을 최대화 해주는 장점이 있다.
3) Ossix(Implant Innovations, Inc, Palm Beach Gardens FL, USA) ; Enzymatic cross-linked bovine typeⅠcollagen으로 감염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노출된 차폐막 위로 상피조직의 자연스러운 증식을 도모하여 발치와에서의 골조직재생과 같이 연조직의 완전한 봉합이 어려운 경우에 다른 흡수성 재료나 e-PTFE 차폐막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
4) Resolut(Polyglycolide and polylactide copolymer) ; 흡수되는 기간이 짧으므로 차폐막의 기능이 충분하게 작용되지 못하므로 특히 결손부위가 큰 치조골 재생의 경우 이상적인 재료로 평가되지는 못 하고 있다.
학자 Lundgren 등은 6개의 픽스츄어에 위의 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하여 골유도재생술(GBR)을 시행하였다. 6~7개월 후 자가골과 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한 경우 골조직이 완전히 재생되었고, 흡수성 차폐막만 사용한 경우는 2개 픽스츄어에서만 부분적으로 골조직이 재생되었다.
흡수성 차폐막은 막을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 없는 장점이 있으나, 대부분의 흡수성 막들은 막 자체의 견고성이 떨어지고, 조기에 흡수되는 기계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골조직 재생효과를 최대한 얻어내기 어려운 경우도 있게 된다. 그러나 최근 앞서 논의된 새로운 화학적 처리 방법을 통해 차단 기능을 연장한 흡수성 차폐막은 비흡수성 차폐막과 유사한 재생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다음으로 비흡수성 차폐막에 대해 알아본다.
1) e-PTFE(Expanded-polyetrafluoroethylene)은, 오랫동안 연구되고 사용되어 왔던 차폐막으로 안정성과 그 효과는 이미 증명되어 있으므로 골조직 재생술에 사용되는 막의 기준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이차수술을 통해 차폐막을 제거해야 하고, 차폐막이 노출되는 경향이 많으며, 일단 노출되면 치태의 침착이 많아 감염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일반적인 Gore-Tex 차폐막에 rigidity를 제공하는 titanium reinforced Gore-Tex도 사용되고 있다.
2) 티타늄 메쉬(Titanium mesh)는, 티타늄을 얇은 판의 형태로 제작하여 공간 확보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Ace사의 것은 152 ㅧ 66mm 크기로 두께가 0.1mm와 0.2mm의 두 종류가 있다.
개를 이용한 차폐막 실험에서 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한 경우, 비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한 경우, 차폐막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로 나누고, 약 3개월 후에 조직검사를 실행한 바 있는데, 특히 티타늄 메쉬의 비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한 경우에서만 완전한 골형성이 이루어지고 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한 경우나 차폐막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골조직이 최소한만 형성된 보고가 있다. 이 결과는 골형성을 증진할 수 있는 차단된 공간을 제공하고 유지하기에는 흡수성 차폐막의 기계적 성질이 부족함을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비흡수성 차폐막 중에서 대표적인 것에 티타늄 메쉬가 있는데, 이러한 티타늄 메쉬는 얇은 판의 형태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다. 즉 골유도재생술(GBR)을 위해 사용되는 치과용 차폐막 중에서 비흡수성 차폐막의 티타늄 메쉬는 사각 티타늄 판재에 다수의 구멍이 천공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치과용 차폐막을 사용하는 경우, 시술자는 골 결손(bone defect)이 발생된 위치의 형상을 인지하고 치과용 차폐막을 원하는 형상으로 적합하게 트리밍(Trimming) 한 후, 다시 3차원적으로 벤딩(bending)을 하여 결손 부위를 덮어(adaptation) 주었으며, 최종적으로 스크루를 이용하여 치과용 차폐막을 고정하여 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트리밍을 한 후에 피술자의 결손부위의 형상에 맞게 3차원적으로 벤딩과정에서 일부분이 과도하게 우는 현상 즉, 벤딩 부위가 국부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국부적으로 일부가 일어나는 현상은 돌출된 부위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그 벤딩의 중심라인인 벤딩라인을 중심으로 하여 그 주변부가 불룩하게 일어나면서 발생하게 되는데, 치과용 차폐막에 우는 현상이 발생되면 골재생 유도 기간 동안 일어서 있는 부위가 치은을 뚫고 나오게 되고 그 일어난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용이하게 침투됨과 동시에 해당부위가 감염이 되어 골재생을 실패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28059호와 같이 치과용 차폐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이상적인 골이식 공간을 제시하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골을 채우기가 어려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지 못할 수 있으며,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감안한 개선된 타입의 치과용 차폐막에 대한 연구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128059호
따라서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적인 골이식 공간을 제시할 수 있어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골이식제를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손된 치조골을 감쌀 수 있으며,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골유도재생술(GBR)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치과용 차폐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픽스츄어(fixture)가 식립된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되 골이식제를 채우기 위한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cutting)된 커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플랫 스크루(flat screw) 또는 어버트먼트(abutment)가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평면부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는 2-5mm이고,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평면부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1-4mm일 수 있다.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평면부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는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평면부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상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의 판면에는 다수의 제1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의 판면에는 상기 제1 홀과 사이즈가 다른 다수의 제2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제1 홀의 사이즈보다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홀의 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제1 홀들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홀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팅부는, 상기 평면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된 평면부측 커팅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된 측면부측 커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측 커팅부보다 상기 측면부측 커팅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측 커팅부의 폭은 최소 1mm이고, 상기 측면부측 커팅부의 폭은 최소 2mm일 수 있다.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평면부측 커팅부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1 홀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홀 구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부측 커팅부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2 홀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홀 구간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홀 구간보다 상기 제2 비홀 구간이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비홀 구간은 최소 1mm이고, 상기 제2 비홀 구간은 최소 2mm일 수 있다.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에는 접는선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는 측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측면부는 대칭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평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측면부와 마찬가지로 절곡되는 절곡헤드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상기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상기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는 티타늄(Titanium) 박판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평면부는 가상의 수평면과 나란하거나 상기 가상의 수평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상적인 골이식 공간을 제시할 수 있어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골이식제를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손된 치조골을 감쌀 수 있으며,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골유도재생술(GBR)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전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차폐막이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차폐막이 시술된 상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전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전개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 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전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차폐막이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차폐막이 시술된 상태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100)은 골유도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 시술 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픽스츄어(fixture, 101)가 식립된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며, 판면에 다수의 제1 홀(111)이 형성되는 평면부(110)와, 평면부(110)와 연결되되 골이식제(103, 도 4 참조)를 채우기 위한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며, 판면에 상기 제1 홀(111)과 사이즈가 다른 다수의 제2 홀(121)이 형성되는 측면부(12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할 때, 평면부(110)는 평평한 상태로 배치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측면부(120)는 평면부(110)와 연결되되 골이식제(103)가 채워지는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평면부(110)와 측면부(120)는 단일재료, 즉 티타늄(Titanium) 박판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평면부(110)와 측면부(120)가 개별적으로 분리된 후에 결합되어 하나의 치과용 차폐막(1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평면부(110)와 측면부(12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100)은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치조골의 최종 형상을 고려하여 시술자가 일일이 차폐막을 벤딩시켜야 하는 불편함 및 비효율성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상적인 골이식 공간을 제시할 수 있어 시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평면부(110)에 대해 살펴보면, 평면부(110)는 픽스츄어(101)가 식립된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평면부(110)는 가상의 수평면과 나란하거나 가상의 수평면에 대하여 예컨대 20도 내외의 각도만큼 일측으로 곡선 또는 직선의 형태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평면부(110)의 판면에는 다수의 제1 홀(111)이 형성된다.
평면부(110)가 픽스츄어(101)가 식립된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 배치될 수 있도록 평면부(110)의 중앙 영역에는 통과홀(113)이 형성된다.
통과홀(113)은 도 4처럼 플랫 스크루(flat screw, 102)가 통과되는 장소를 형성하는데, 도 4처럼 플랫 스크루(102)가 평면부(110)의 통과홀(113)을 통과하여 픽스츄어(101)에 체결됨으로써 픽스츄어(101) 영역에서 치과용 차폐막(100)의 평면부(110)가 평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임플란트의 진행 정도에 따라 플랫 스크루(flat screw, 102) 대신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는데, 어버트먼트 역시 평면부(110)의 통과홀(113)을 통과하여 픽스츄어(101)에 체결될 수 있기 때문에, 어버트먼트를 사용할 때에도 치과용 차폐막(100)의 평면부(110)가 픽스츄어(101)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과홀(113)에서 측면부(120)와 평면부(110)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D2)는 2-5mm이고, 통과홀(113)에서 상기 평면부(110) 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1-4mm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통과홀(113)에서 측면부(120)와 평면부(110)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D2)는 통과홀(113)에서 상기 평면부(110) 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그 길이(D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통과홀(113)에서 측면부(120)와 평면부(110)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D2)가 길게 확보되어야만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확보하기에 유리하고, 또한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도 4처럼 충분한 골이식제(103)를 채워 넣을 수 있게 된다. 그렇지 않고, 통과홀(113)에서 측면부(120)와 평면부(110)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D2)가 과도하게 짧은 경우, 실질적으로 골이식제(103)를 채워 넣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없기 때문에 시술의 성공도를 장담하기 어렵다.
평면부(110)의 일측 단부에는 평면부(110)를 기준으로 하여 측면부(120)와 마찬가지로 절곡되는 절곡헤드부(130)가 형성된다. 물론, 절곡헤드부(130)의 길이는 측면부(120)보다 훨씬 작다.
측면부(120)는 평면부(110)와 연결되어 한 몸체를 이루면서 치조골을 결손 전의 이상적인 형태로 재생시키기 위해 도 3과 같이 곡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측면부(120)는 치조골이 골이식제(103, 도 4 참조)를 채우기 위한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측면부(120)의 전체 면적이 평면부(110)의 전체 면적보다 훨씬 크게 제작된다. 이는 측면부(120)가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이루면서 동시에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부(120)의 판면에는 평면부(110)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제2 홀(121)이 형성된다.
이때, 평면부(110)에 형성되는 제1 홀(111)의 사이즈보다 측면부(120)에 형성되는 제2 홀(121)의 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평면부(110)에 형성되는 제1 홀(111)들의 간격(G1)보다 측면부(120)에 형성되는 제2 홀(121)의 간격(G2)이 더 좁게 형성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100)의 경우, 평면부(110)의 제1 홀(111)보다 측면부(120)의 제2 홀(121)의 사이즈가 크다. 이처럼 측면부(120)의 제2 홀(121)의 사이즈가 더 크기만 측면부(120)에 형성되는 제2 홀(121)의 간격(G2)이 평면부(110)에 형성되는 제1 홀(111)들의 간격(G1)보다 더 크기 때문에 측면부(120)에 발생되는 외력에 더 잘 견딜 수 있다.
다시 말해, 측면부(120)에는 도 4처럼 골이식제(103)가 채워져야 하고, 측면부(120)는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해야 하기 때문에 외력에 잘 견뎌야 하는데, 이를 위해 측면부(120)에 형성되는 제2 홀(121)의 사이즈와 제2 홀(121)의 간격(G2) 모두를 평면부(110)에 형성되는 제1 홀(111)의 사이즈와 제1 홀(111)의 간격(G1)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홀(121)의 사이즈가 커짐으로 해서 측면부(120)의 유연성 증가되고, 이러한 장점으로 치조골 재생 완료 후 차폐막(100)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변 조직이 상하지 않고 차폐막(10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100)은 이미 벤딩이 된 상태이지만 필요에 따라 세부 각도 등을 변경하려 하는 경우, 평면부(110)와 측면부(120)의 홀(111,121)의 사이즈 차이로 인해 세부 각도 변경 시 필요 최소의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홀(111,121)의 크기가 평면부(110)와 측면부(120)를 구분하는 경계로써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평면부(110)와 측면부(120)의 벤딩 각도는 대략 45도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시술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에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평면부(110)와 측면부(120)에는 해당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cutting)된 커팅부(115,125)가 형성된다. 커팅부(115,125)는 평면부(110)와 측면부(120)의 둘레면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평면부(110)와 측면부(120)에는 커팅부(115,125)가 끝나는 지점을 잇는 가상의 라인으로서 접는선(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100)이 재생되어야 하는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접는선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시술자가 접어야 하는 경우, 접는선이 표시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이러한 접는선을 토대로 평면부(110)와 측면부(120)의 단부 영역을 일정 부분 접어 사용할 수 있다.
접는선에 의해 접히는 부분은 채워진 골이식제(103)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벽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접는선에 의해 접히는 부분들은 치조골이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접힐 수 있다. 예컨대 90도 내외 혹은 그 이상의 각도로 접힐 수 있는데, 이때의 접히는 부분들은 커팅부(115,125)를 기준으로 하여 양쪽 부분이 서로 겹쳐지거나 측면으로 접면되면서 접힐 수 있다. 도면에는 후자의 경우에 대해 도시하였다.
커팅부(115,125)에 대해 좀 더 살펴보면, 커팅부(115,125)는 평면부(11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된 평면부측 커팅부(115)와, 측면부(120)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된 측면부측 커팅부(125)를 포함한다. 커팅부(115,125)들은 필요 시 해당 부위를 커팅하여 사용할 때의 기준 라인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100) 구조에서, 평면부측 커팅부(115)의 폭(T1)보다 측면부측 커팅부(125)의 폭(T2)이 더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평면부측 커팅부(115)의 폭(T1)은 최소 1mm이고, 측면부측 커팅부(125)의 폭(T2)은 최소 2mm일 수 있다. 물론, 이의 수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평면부(110)에는 평면부측 커팅부(115)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제1 홀(111)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홀 구간(Z1)이 형성되고, 측면부(120)에는 측면부측 커팅부(125)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제2 홀(121)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홀 구간(Z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비홀 구간(Z1)보다 제2 비홀 구간(Z2)이 더 크게 형성된다. 예컨대, 제1 비홀 구간(Z1)은 최소 1mm이고, 제2 비홀 구간(Z2)은 최소 2mm일 수 있다. 물론, 이의 수치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 및 제2 비홀 구간(Z1,Z2)은 벤딩 시 고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다른 곳에 비해 측면부(120) 하단부의 제2 비홀 구간(Z2)이 상대적으로 넓은 것은 환자의 잇몸 상태에 따라 잘라서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치과용 차폐막(10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치조골에 픽스츄어(101)를 식립한 후,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골이식제(103)를 채워 넣는다.
다음,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형성된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100)을 도 4처럼 배치한다. 즉 평면부의 통과홀(113)을 픽스츄어(101)의 상단부에 배치하고 플랫 스크루(102)가 평면부(110)의 통과홀(113)을 통과하여 픽스츄어(101)에 체결되도록 한다.
이로써 픽스츄어(101) 영역에서 치과용 차폐막(100)의 평면부(110)가 평평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측면부(120)는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제시하면서 동시에 결손된 치조골을 감쌀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어 시술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상적인 골이식 공간을 제시할 수 있어 이상적인 골이식제 보충 공간에 골을 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손된 치조골을 감쌀 수 있으며, 신생골이 생겨 골화될 기간동안 공간을 지지해 줄 수 있는 지지체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어 골유도재생술(GBR)을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200)은 평면부(210)와 측면부(220)가 측 방향으로 확장 가능한 멀티형 치과용 차폐막(200)으로 적용된다.
이와 같은 멀티형 치과용 차폐막(200)은 치조골 부위가 넓은 환자나 혹은 일반 환자의 치아 2개에 한 번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멀티형 치과용 차폐막(200)에는 2개의 통과홀(213)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통과홀(213)의 개수는 더 증가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측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 평면부(110, 도 3 참조)의 일측 단부에 절곡헤드부(130, 도 3 참조)가 형성되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300)의 경우, 절곡헤드부(130, 도 3 참조)가 없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도 6처럼 절곡헤드부(130, 도 3 참조)가 없는 치과용 차폐막(300)이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하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차폐막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예의 치과용 차폐막(400)은 평면부(410)를 기준으로 하여 한 쌍의 측면부(420)가 대칭되게 마련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치과용 차폐막(400)은 사용 시 평면부(410)를 기준으로 하여 한 쌍의 측면부(420)가 절곡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마치, 터널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치과용 차폐막(400)이 적용되더라도 본 고안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치과용 차폐막 101 : 픽스츄어
102 : 플랫 스크루 103 : 골이식제
110 : 평면부 111 : 제1 홀
113 : 통과홀 115 : 평면부측 커팅부
Z1 : 제1 비홀 구간 120 : 측면부
121 : 제2 홀 125 : 측면부측 커팅부
Z2 : 제2 비홀 구간 130 : 절곡헤드부

Claims (22)

  1. 픽스츄어(fixture)가 식립된 영역에서 평평한 상태로 고정 배치되는 평면부; 및
    상기 평면부와 연결되되 골이식제를 채우기 위한 골이식제 보충 공간을 형성하면서 결손된 치조골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cutting)된 커팅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팅부는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둘레면을 따라 미리 결정된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픽스츄어에 고정되는 플랫 스크루(flat screw) 또는 어버트먼트(abutment)가 통과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과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평면부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는 2-5mm이고,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평면부의 단부까지의 길이는 1-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측면부와 상기 평면부 사이의 경계 영역까지의 길이는 상기 통과홀에서 상기 평면부의 단부까지의 길이와 같거나 상기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판면에는 다수의 제1 홀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부의 판면에는 상기 제1 홀과 사이즈가 다른 다수의 제2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제1 홀의 사이즈보다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홀의 사이즈가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 형성되는 제1 홀들 사이의 간격보다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제2 홀들 사이의 간격이 더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는,
    상기 평면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된 평면부측 커팅부; 및
    상기 측면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미리 결정된 폭만큼 커팅된 측면부측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측 커팅부보다 상기 측면부측 커팅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측 커팅부의 폭은 최소 1mm이고, 상기 측면부측 커팅부의 폭은 최소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에는 상기 평면부측 커팅부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1 홀이 형성되지 않은 제1 비홀 구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측면부측 커팅부가 끝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상기 제2 홀이 형성되지 않은 제2 비홀 구간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홀 구간보다 상기 제2 비홀 구간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홀 구간은 최소 1mm이고, 상기 제2 비홀 구간은 최소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에는 접는선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는 측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측면부는 대칭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평면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측면부와 마찬가지로 절곡되는 절곡헤드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는 재생되어야 하는 상기 치조골의 최종 형상에 맞게 상기 치조골 방향으로 3차원의 입체적인 곡면형상으로 미리 포밍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와 상기 측면부는 티타늄(Titanium) 박판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는 가상의 수평면과 나란하거나 상기 가상의 수평면에 대하여 일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차폐막.
KR2020120003818U 2012-05-09 2012-05-09 치과용 차폐막 KR2004716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18U KR200471683Y1 (ko) 2012-05-09 2012-05-09 치과용 차폐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818U KR200471683Y1 (ko) 2012-05-09 2012-05-09 치과용 차폐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16U KR20130006616U (ko) 2013-11-19
KR200471683Y1 true KR200471683Y1 (ko) 2014-03-11

Family

ID=51484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818U KR200471683Y1 (ko) 2012-05-09 2012-05-09 치과용 차폐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51A (ko) 2021-04-05 2022-10-12 정록영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096B1 (ko) * 2015-08-27 2017-03-29 주식회사 덴티스 임플란트 시술용 절단 메시
KR102566819B1 (ko) * 2016-07-29 2023-08-14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IL248472A0 (en) 2016-10-13 2017-01-31 Zion Karmon Ben Devices for tissue growth
KR101998847B1 (ko) * 2018-08-08 2019-07-11 (주) 코웰메디 치주조직 재생용 차폐막
KR102492844B1 (ko) 2021-06-01 2023-01-2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길이 조절이 가능한 치과용 차폐막
CN113230002B (zh) * 2021-06-22 2024-05-14 安阳市第六人民医院(安阳市口腔医院) 一种用于牙种植区骨缺损重建的个性化钛网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758B1 (ko) * 2010-03-02 2011-09-02 (주) 시원 치과용 차폐막
KR200457226Y1 (ko) * 2009-09-2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101128059B1 (ko) * 2011-08-05 2012-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144322B1 (ko) 2011-12-23 2012-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26Y1 (ko) * 2009-09-2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101061758B1 (ko) * 2010-03-02 2011-09-02 (주) 시원 치과용 차폐막
KR101128059B1 (ko) * 2011-08-05 2012-03-29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조골 재생용 멤브레인
KR101144322B1 (ko) 2011-12-23 2012-05-11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치과용 멤브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151A (ko) 2021-04-05 2022-10-12 정록영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616U (ko) 201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1683Y1 (ko) 치과용 차폐막
JP2950922B2 (ja) 歯周病の治療のための改良した歯科挿入物
US5727945A (en) Impregnated barrier and method of assisting bone or tissue regeneration
US5769637A (en) Dental implant and alveolar process augmentation structures and method of installation
RU2625292C2 (ru) Свернутая сетка для пластики дефекта мышечной стенки
JP5891312B2 (ja) 歯科用メンブレン
Lang et al.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jawbone defects prior to implant placement
US5360341A (en) Method and appliance for promoting the healing of oral tissues
Louis et al. Reconstruction of the maxilla and mandible with particulate bone graft and titanium mesh for implant placement
KR101164444B1 (ko) 임플란트 조립체
KR101298249B1 (ko) 치과용 멤브레인
SE0002178L (sv) Integrerad barriär för styrd vävnads-återbildning för rotformade dentala implantat
WO1992010218A1 (en) Implantable bioabsorbable article
US20130288199A1 (en) Composite regeneration membrane
EP2849654B1 (en) Dental devices for extraction site reconstruction
KR20160091195A (ko) 흡수성 치주조직 재생막 및 이를 보관하는 앰플
KR200457226Y1 (ko) 치과용 차폐막
CN214549665U (zh) 牙种植用骨再生e-PTFE-Ti复合膜
KR102566819B1 (ko) 치과용 차폐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4087A (ko) 치조골의 골유도재생술용 천공형 차폐막
ES2814276T3 (es) Implante dental
KR20130042230A (ko) 연조직과 골조직 재생을 위한 임시 어버트먼트 조합 또는 임시 매식체 조합
KR101037892B1 (ko) 임플란트 디텍터 커버스크류
KR10106727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140017368A (ko) 치조골 재생용 차폐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