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3632A -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 Google Patents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3632A
KR20130083632A KR1020120004351A KR20120004351A KR20130083632A KR 20130083632 A KR20130083632 A KR 20130083632A KR 1020120004351 A KR1020120004351 A KR 1020120004351A KR 20120004351 A KR20120004351 A KR 20120004351A KR 20130083632 A KR20130083632 A KR 20130083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screw
tissue
gingival
gingiv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4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홍
Original Assignee
(주) 코웰메디
김수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웰메디, 김수홍 filed Critical (주) 코웰메디
Priority to KR1020120004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83632A/ko
Publication of KR2013008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3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7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shape following the gingival surface or the bon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Healing c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골조직 또는 연조직을 재생시키는데 있어서, 치아의 구조를 모방한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매식체에 연결하여 성장인자, 차폐막, 스케폴드 및 차폐막을 고정하여 신생 조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형상에 맞춘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로 자연스러운 치아구조로 회복시키고자 한다.

Description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Abutment system for regeneration of gingival and alveolar bone according to contour of extracted tooth}
본 발명은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임플란트의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와 폭경 및 형상의 골조직 또는 연조직을 재생시키고 이 형상에 맞춘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로 자연스러운 치은형상을 유지하는 지대체 시스템과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특허출원번호 10-2011-0106407에서 차폐막, 스케폴드 및 성장인자를 이용하여 골조직 단독만의 조직재생이 아닌 동시에 치은, 피부, 인대, 근육과 같은 연조직과 골조직을 재생시키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주변 연조직의 수축을 방지하고 조직이 재생되어야 할 공간과 형태를 유지하는 차폐막과 함께, 이를 지지해 주는 기구를 이용하여 기능적으로나 형태적으로 정상적인 연조직과 골조직에 일체성을 갖춘 조직으로 재생시키는데 있어, 최외층에 위치한 형태유지 능력을 가진 차폐막을, 골조직에 식립된 매식체에 고정하는 임시 어버트먼트 조합이나 골조직에 임시로 식립한 임시 매식체 조합의 개방된 상단부에 고정하는 기구이다.
발치된 부위에서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재현하는 골조직 또는 연조직을 재생시키도록 자연 치아의 형상을 모방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와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를 개발하였다.
Daftary는 미국특허 US5810592(1996)에서는 해부학적 보철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한 종류의 치유용 지대체와 그 부속품에 대해 주장하였다.
Howlett등은 미국특허 US7708559 B2(2004)에서 근심과 원심에서는 치은 형상처럼 위로 쏟고 외측과 내측에는 아래로 내려간 치은단부를 가진 임플란트 시스템을 소개하였다.
Lee는 미국특허US2002/0064758 A1에서 자연스러운 치은 형태를 얻기 위해 비 원통형 치은 조직 지대체를 가진 인상용 지대체를 소개하였다. 하지만 이들은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가 상악과 하악 및 전치와 구치에 따라 모두 다른 형태를 가진다는 개별성에 맞추지 않고 있다.
Hinds는 미국특허 US5759036(1996)에서 인상용 코핑(impression coping)과 치유용 지대체(healing abutment)를 치아의 치은위치에서의 형상에 맞추어 대표적인 4~5 가지의 형태를 결정하고 이를 임플란트에 연결하면 치은이 그 형태에 맞추어 형성되고 동일한 형상의 인상용 코핑을 사용하면 인상 채득 동안 치은에 자극을 적게 줄 수 있다고 하였다.
양은 미국특허 US 2010/0233654 A1에서 치유 지대체에 버튼 모양의 부속을 체결하여 치은 재생 형태를 정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치아가 발거되어 주변 치은조직이 발치된 빈 공간으로 수축되고 발치된 치아 주변의 치조골은 급격히 흡수되므로 정상 골조직과 치은조직이 재생되지 않고서는 치아 형상에 맞춘 지대치의 폭경에 맞는 조직이 형성될 수 없다.
따라서, 치아와 유사한 형태와 직경 및 높이의 치은관통부를 가진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매식체에 고정하여 그 주변에 충분한 골조직 및 연조직 재생을 유도하여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갖추도록 해주고, 형성된 해부학적 구조에 맞춘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를 이용하도록 한다.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골조직 또는 연조직을 재생시키는데 있어서, 치아의 구조를 모방한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매식체에 연결하여 성장인자, 차폐막, 스케폴드 및 차폐막을 고정하여 신생 조직이 형성되도록 하고 이 형상에 맞춘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로 자연스러운 치아구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치아가 발거되면 주변 치은조직이 발치된 빈 공간으로 수축되어 정상적 폭경과 높이의 치은 형상을 유지하지 못한다. 또한 발치된 치아 주변의 치조골은 급격히 흡수된다. 이러한 위축을 방지하거나 위축된 치은과 골조직을 원래대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임플란트를 식립함과 동시에 혹은 식립 후 보철제작을 위한 단계에서 필수적으로 정상 골조직과 치주조직의 형태로 재생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치아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의 치은관통부를 가진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이용하여야 한다.
수평 평면축으로 보면, 하악의 치근과 치관 및 이들의 연결 위치인 치경부에서 형상(도 1a, 1b, 1c, 및 1d)과 크기(도 2)가 다르고 상악 역시 서로 다른 형상(도 3a, 3b, 3c 및 3d)과 크기(도 4)를 가지고 있다. 치은 부위를 관통하는 부위인 치근 상방 1/3위치와 치근-치관 연결 위치와 치관 하방 1/3위치에서의 수평면축을 기준으로 보면, 전치부위에서는 삼각형이고, 소구치에서는 타원형이며, 구치부에서는 사각형을 가진다(도 5).
상악과 하악 및 전치와 구치부의 각각 치아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치은 관통부를 가진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와 폭경 및 형상의 골조직 또는 연조직을 재생시키고 조직재생용 지대체의 치은관통부 구조와 같은 치은 관통부를 가진 보철용 지대체나 맞춤형 지대체 소재로 자연스러운 치은형상을 유지하지 하고자 하는 용도이다.
각 부위별 치아의 형태와 크기에 따른, 치관과 치근의 경계부인 치경부의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형상을 도 5(5a, 5b, 5c)와 같이 설계하였다. 즉 임플란트와의 연결부는 항상 원형이며 치경부는 치아마다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고, 임플란트와의 연결부와 치경부 사이의 형태는 원형에서 타원형 그리고 최종 치경부 형상으로 변이되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변이 구간을 치은 관통부라고 칭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는 치경부를 모방한 치은 관통부를 가지고 있어, 임플란트 식립 중에 연결하거나 식립된 임플란트를 노출하여 연결하면 골조직이나 치은조직이 자연치아와 비슷한 형태로 재형성되도록 한다. 치은 관통부는 도 6과 같이 수직적으로 높이가 1에서 6mm 두께일 수 있다. 이는 임플란트 식립 부위의 치조골이 정상 높이에서 흡수된 정도에 따라 임플란트의 식립 깊이도 달라진다. 다양한 깊이로 식립된 임플란트에서 정상 치은 높이까지 골재생술이나 연조직 재생술을 통해 신생 조직을 재형성시키기 위해 지대체의 치은 관통부 높이를 다양하게 한다. 신생 조직은 표면에서는 부착치은이 2~3mm두께로 생물학적 폭경이 자연스럽게 재생되며, 그 아래는 골조직으로 재생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mm이상의 치은 관통부 높이가 사용된다.
지대체의 고정체와의 연결부는 도 7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고정체의 지대체와의 연결부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고정체와의 연결구조가 고정체 내부로 모스테이퍼 구조이거나 내부 함몰형인 구조에서 지대체는 고정체 연결구조의 삼각형 이상의 다각형이나 내부 수직 홈에 맞추어 회전방지되는 구조이거나 다각형에 맞추지 않아 회전방지나 방향성을 나타내지 않는 구조일 수 있다(도 7a, 7b). 고정체와의 연결구조가 고정체 상단으로 돌출된 다각형 머리를 가진 구조에서 지대체는 하단에 내부로 함몰된 연결 구조를 가지고 다각형 머리에 맞추어 회전방지되는 구조일 수 있다(도 7c).
조직재생용 지대체는 고정체에 연결하기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 홈과 체결단을 가져, 도 8a와 같이 나사부와 드라이버 홈으로 구성된 지대체 나사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골조직이나 치은조직을 재생하는 목적으로 이식한 골이식재와 치주조직재생재료를 보호하기 위해 차폐막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해, 도 8b과 같이 조직재생용 지대체 고정나사의 상단에 내부 나사홈과 체결 드라이버를 위한 십자나 다각형 홈을 구성시킨다. 또한 도 9와 같이 차폐막을 고정하기 위한 차폐막 고정나사를 함께 구성할 수도 있다. 재대체 나사는 상단부에 드라이버 체결을 위한 다각형 홈이 있고 하단부에 지대체에 고정되는 나사부가 있을 수 있으며, 위치가 바뀌어 상단부에 나사부가 있고 하단부에 드라이버 체결을 위한 다각형 홈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차폐막을 고정하는 외연으로 벌어진 고정부가 있다. 조직재생용 지대체 나사에 차폐막을 고정하는 차폐막 고정나사는 저작력이나 외력에 노출이 최소한 줄이기 위해 구강 내로 노출되는 부분을 3mm이하로 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로 정상 골조직과 치은조직의 형상으로 재생된 신생조직은 보철용 지대체와 보철을 장착한 이후에도 조직재생용 지대체와 같은 형상치은의 관통부을 가진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이에 도 10과 같이 치은관통부가 동일한 치유용 지대체, 보철용 지대체와 임시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를 갖추도록 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의 치은관통부 형상과 같은 형태의 치은 관통부를 가진 보철용 지대체(Prosthodontic abutment)는 보철지지부가 치은관통부에서 높이 4~10mm의 상방으로 좁아지는 비대칭이거나 대칭의 원통 모양으로 대면각도를 3°~ 20°를 유지하며 보철의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미리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최소한의 삭제와 조정으로 보철을 제작할 수 있다.
치경부를 모방한 치은 관통부를 가진 조직재생용 지대체가 재형성한 치은에 맞추어 설계된 맞춤형 지대체 제작을 위한 소재(block for customized abutment)는 치은 관통부를 제외하고는 원통 형상으로 가공기계에 고정하여 삭제되며, 고정 중에 방향성을 나타내는 홈부를 원통에 둘 수 있다.
지대체는 재질이 티타늄, 티타늄합금, 크롬-코발트합금, 니켈-크롬합금, 금합금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류이거나 Polyether ether ketone (PEEK), Polytetrafluoroethylene(PTFE), Methylacrylate 등과 같은 비흡수성 합성폴리머이거나 지르코니아나 알루미나 등과 같은 세라믹이나 이들의 복합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대체는 정밀주조법, 사출법,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이나 밀링 등을 이용한 가공법, 금속이나 폴리머의 적층법, 소결법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고정체 연결부와 연결 나사부를 일체형으로 하고 나머지 치은 관통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기계적 결합, 납착 및 용착, 결합제를 이용한 결합 또는 나사로 결합되는 지대체.
본 발명에 의한 치아의 구조를 모방한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매식체에 연결하여 자연 치아의 해부학적 구조를 가진 치은 관통부를 만들 수 있고, 이 형태를 유지하는 보철용 지대체나 맞춤형 지대체 소재로 자연스러운 치아구조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발치 후 치조골 흡수가 많이 일어난 경우에 쉽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골이식과 치은재생술 작용이 단순화되는 효과를 가지고 최종적으로 재생된 조직이 자연 치아의 형상을 가져 심미적인 결과를 나타낸다.
도 1a. 하악 치아의 치근 상방 1/3 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1b. 하악 치아의 치근-치관 연결 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1c. 하악 치아의 치관 하방 1/3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1d 하악 치아의 치관상방 1/3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2. 하악 치아의 치경부에서의 수평 크기,
도 3a. 상악 치아의 치근 상방 1/3 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3b. 상악 치근-치관 연결 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3c. 상악 치관 하방 1/3위치에서의 수평 구조,
도 3d. 상악 치관상방 1/3위치에서의 수평 구조에서의 수평 구조,
도 4. 상악 치아의 치경부에서의 수평 크기,
도 5a. 상악과 하악의 각 치아 별 임플란트 연결부,
도 5b. 임플란트연결부-치경부 사이의 이행부,
도 5c. 치경부에서의 지대체 수평 구조,
도 6. 지대체의 치은 관통부의 다양한 형태와 높이,
도 7a. 내부 다각형 홈 형상의 연결부를 가진 고정체에 맞춘 지대체의 연결부,
도 7b. 내부 모스테이퍼 다각형 홈 형상의 연결부를 가진 고정체에 맞춘 지대체의 연결부,
도 7c. 돌출형 다각형 홈 형상의 연결부를 가진 고정체에 맞춘 지대체의 연결부,
도 8a. 나사부분과 드라이버 홈을 가진 지대체의 지대체 나사,
도 8b. 차폐막 고정을 위해 상단에 내부 나사를 가진 조직재생용 지대체 고정나사,
도 9. 조직재생용 지대체의 다양한 구성,
도 10. 보철용 지대체,
도 11a. 조직재생용 지대체(100)의 각 부품을 예시한 것,
도 11b. 각 부품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한 것,
도 11c. 조직재생용 지대체(100)를 골조직에 식립한 것,
도 12. 임시보철용 및 보철용 지대체의 세부 구성,
도 13. 맞춤형 지대체의 세부 구성.
상악과 하악 및 전치와 구치부의 각각 치아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치은 관통부를 가진 조직재생용 지대체를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와 폭경 및 형상의 골조직 또는 연조직을 재생시키고 조직재생용 지대체의 치은관통부 구조와 같은 치은 관통부를 가진 보철용 지대체나 맞춤형 지대체 소재로 자연스러운 치은형상을 유지하지 하고자 하는 용도이다. 조직재생용 지대체는 골조직에 식립된 매식체의 개방된 상단부로 삽입되는 고정체와의 연결부와; 자연치아의 형상을 모방한 치은 관통부와: 고정체와 지대체를 체결하는 조직재생용 지대체 나사를 위한 관통홈 및 나사 고정을 위한 체결단으로 구성되고, 굽힘변형되는 성질을 가진 시트형상으로 상기 어버트먼트의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되는 차폐막을 상기 지대체에 고정하기 위해 지대체 고정나사의 상단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에 고정하는 고정나사로 구성되어, 골재생을 위한 성장인자 및/또는 스케폴드가 채워진 부위와 연조직 재생을 위한 성장인자 및/또는 흡수성 스케폴드가 채워진 부위를 상기 차폐막이 상기 지대체 몸체 외측으로 확장된 형상으로 밀착되면서 골조직과 연조직 재생 부위의 형태를 유지되도록 하고, 재생술식이 완료되면 상기 어버트먼트 몸체와 차폐막 및 고정나사는 상기 매식체로부터 제거되도록 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로 정상 골조직과 치은조직의 형상으로 재생된 신생조직은 보철용 지대체와 보철을 장착한 이후에도 조직재생용 지대체와 같은 형상치은의 관통부을 가진 임시 보철용,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이에 치은관통부가 동일한 치유용 지대체, 보철용 지대체와 임시 보철용 지대체 및 맞춤형 지대체 소재를 갖추도록 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
도11에서 도 11a는 조직재생용 지대체(100)의 각 부품을 예시한 것이며,
도 11b는 각 부품을 조립하는 단계를 예시한 것이며, 도 11c는 조직재생용 지대체(100)를 골조직에 식립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11b와 11c에서 조직재생용 지대체(100)는 치아 치은 관통부를 모방한 지대체 몸체(10)와 이를 고정체에 연결하는 지대체 나사(20)와 차폐막을 고정하는 차폐막 고정나사(30)로 구성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10)의 구조는 골조직에 식립된 매식체의 개방된 상단부로 삽입되는 체결부(11)가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형상을 모방한 치은관통부(12)와 매식체의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고정하는 지대체 나사(20)가 삽입되는 수직 관통홈(13)과 지대체 나사가 고정되는 체결단(14)로 구성된다. 지대체 나사(20)는 매식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체결되는 나사부(21)와 지대체(10)의 체결단(13)과 체결되는 나사머리(22)와 지대체 나사를 체결하는 드라이버 홈(23)과 차폐막을 고정하는 차폐막 고정나사(30)가 체결되는 내부나사(24)로 구성된다. 조직재생용 지대체(10)의 관통홈(13)에 지대체 나사(20)를 삽입하여 체결하고 발치된 부위의 위축된 치은과 치조골 조직을 재생하기 위한 스케폴드를 보호하기 위한 시트형상의 차폐막(40)에 형성된 구멍(41)을 형성하여 차폐막 고정나사(30)로 지대체 나사(20)의 상단에 있는 내부나사(24)에 시트의 차폐막을 고정한다. 차폐막 고정나사(30)은 나사부(31)와 나사머리(32) 및 드라이버홈(33)으로 구성된다. 치조골(60)에 매식된 고정체(50)에 조직재생용 지대체(10)를 연결하고 골이식재(90)를 골재생 부위에 삽입하고 표면의 부착치은(70)의 재생부위에 연조직재생을 위한 재생재(80)을 덮은 후, 차폐막(40)으로 보호하고 고정나사(30)로 고정한다.
임시보철용 또는 보철용 지대체:
완성된 보철을 제작하기 전에 임시 보철을 지탱하기 위한 지대체나 완성된 보철을 지탱하기 위한 것이다.
도12에서 보철용 지대체 조합(200)은 치아 치은 관통부를 모방한 보철용 지대체 몸체(210)와 이를 고정체에 연결하는 지대체 나사(220)으로 구성된다. 지대체(210)의 구조는 골조직에 식립된 매식체의 개방된 상단부로 삽입되는 체결부(211)가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형상을 모방한 치은관통부(212)와 매식체의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고정하는 지대체 나사(220)가 삽입되는 수직 관통홈(215)과 지대체 나사가 고정되는 체결단(216)과 보철의 마진(213)과 보철의 지대부(214)로 구성된다. 지대체 나사(220)는 매식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체결되는 나사부(221)와 지대체(210)의 체결단(216)과 체결되는 나사머리(222)와 지대체 고정나사를 체결하는 드라이버 홈(223)으로 구성된다.
맞춤형 지대체 소재:
완성된 보철을 제작하기 전에 각 개인의 치아 상태에 맞추어 보철의 지대부와 보철의 마진을 수치제어 밀링기계에서 가공하여 철을 지탱하기 위한 것이다.
도13에서 맞춤형 지대체 소재(300)는 치아 치은 관통부를 모방한 지대체 몸체(310)와 이를 고정체에 연결하는 지대체 고정나사(320)으로 구성된다. 지대체(310)의 구조는 골조직에 식립된 매식체의 개방된 상단부로 삽입되는 체결부(311)가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형상을 모방한 치은관통부(312)와 매식체의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고정하는 지대체 나사(320)가 삽입되는 수직 관통홈(315)과 지대체 나사가 고정되는 체결단(316)과 밀링기계로 가공될 보철 지대부(313)와 밀링기계에 방향성을 갖추도록 하는 방향홈(314)으로 구성된다. 지대체 나사(320)는 매식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체결되는 나사부(321)와 지대체(310)의 체결단(316)과 체결되는 나사머리(322)와 지대체 고정나사를 체결하는 드라이버 홈(323)으로 구성된다.
100....... 조직재생용 지대체, 10 ....... 지대체 몸체,
11 ....... 체결부, 12 ....... 치은관통부,
3 ....... 수직 관통홈, 14 ....... 체결단,
20 ....... 지대체 나사, 21 ....... 나사부,
22 ....... 나사머리, 23 ....... 드라이버 홈,
24 ....... 내부나사, 30 ....... 차폐막 고정나사,
31 ....... 나사부, 32 .......나사머리,
33 ....... 드라이버 홈, 40 ....... 차폐막,
41 ....... 차폐막에 형성한 구멍, 50 ....... 고정체,
60 ....... 치조골, 70 ....... 부착치은,
80 ....... 연조직 재생재, 200....... 보철용 지대체 조합,
210....... 보철용 지대체 몸통, 220....... 보철용 지대체 나사,
211....... 매식체 체결부, 212....... 치은관통부,
213....... 보철 마진, 214....... 보철 지대부,
215....... 수직 관통홈, 216....... 체결단,
220....... 지대체 나사, 221....... 나사부,
222....... 나사머리, 223....... 드라이버 홈,
300....... 맞춤형 지대체 소재 조합, 310....... 맞춤형 지대체 몸체,
320....... 지대체 나사, 311....... 체결부,
312....... 치은 관통부, 313....... 보철 지대부,
314....... 방향홈, 315 ....... 수직 관통홈,
316....... 체결단, 320 ....... 지대체 나사,
321....... 나사부, 322 ....... 나사머리,
323....... 드라이버 홈.

Claims (8)

  1. 치아치은 관통부를 모방한 조직재생용 지대체 몸체, 이를 고정체에 연결하는 지대체 나사로 구성되고 추가로 지대체 나사에 차폐막을 고정하는 차폐막 고정나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조직재생용 지대체 몸체는 골조직에 식립되는 매식체의 개방된 상단부로 삽입되는 체결부가 하부에 형성되고, 치아의 형상을 모방한 치은관통부와, 매식체의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 나사가 삽입되는 수직 관통홈 및 지대체 나사가 고정되는 체결단이 형성되고;
    지대체 나사는 매식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부 나사부에 지대체를 체결하는 나사부와 지대체의 체결단과 체결되는 나사머리와, 지대체 고정나사를 체결하는 드라이버홈으로 구성되며, 차폐막을 고정하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는 내부나사도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차폐막 고정나사는 나사부와, 나사머리, 및 드라이버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손된 자연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 시스템.
  2. 제 1항의 결손된 자연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 시스템으로, 상악과 하악 및 전치와 구치부의 각각 치아에 따른 해부학적 구조를 모방한 지대체의 임플란트와의 연결부는 원형이며, 치관과 치은이 연결되는 치경부는 치아마다 치아에 따른 형태를 가지며, i) 임플란트와의 연결부와 치경부 사이의 형태는 원형에서 타원형 그리고 최종 치경부 형상으로 변이되어지는 치은 관통부를 가지며, ii) 식립된 임플란트에서 정상 치은 높이까지 골조직과 치은조직의 재생시키기 위해 지대체의 치은 관통부 높이가 1 내지 6mm이며 iii) 고정체와의 연결부를 가지며, iv) 고정체에 연결하기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수직 관통 홈과 나사 고정단을 가진 보철용 조직재생용 지대체 시스템.
  3. 제 1항 및 제 2항에 있어서, 골조직이나 치은조직을 재생하는 목적으로 이식한 골이식재와 치주조직재생재료를 보호하기 위한 차폐막을 고정하고 고정체에 지대체를 고정하기 위한, 상단에 내부 나사홈과 체결 드라이버를 위한 십자나 다각형 홈이 구성된 조직재생용 지대체 나사와, 상단부에 드라이버 체결을 위한 다각형 홈이 있고 하단부에 지대체에 고정되는 나사부가 있으며, 차폐막을 고정하는 외연으로 벌어진 고정부가 차폐막을 고정하는 고정나사로 구성된 조직재생용 지대체 시스템.
  4. 제 1항 내지 제 3항에 있어서, 조직재생용 지대체의 치은 관통부와; 치은관통부 상단에서 높이 4 내지 10mm의 상방으로 대면각도 3°~ 20°를 유지하며 좁아지는 비대칭이거나 대칭의 원통 모양의 보철지지부와; 보철의 경계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거나 미리 형성되는 보철용 지대체(Prosthodontic abutment)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 시스템을 제작하기 위하여, 조직재생용 지대체가 재형성한 치은에 맞추어 설계된 치은 관통부와; 원통 형상으로 가공기계에 고정하여 삭제하는 보철 지지부와:, 기계에 고정하는 경우에 방향성을 나타내는 홈부로 구성된 맞춤형 지대체 제작용 소재(block for customized abutment).
  6. 제 5항에 있어서, 소재의 재질이 티타늄, 티타늄합금, 크롬-코발트합금, 니켈-크롬합금, 금합금 혹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류이거나 Polyether ether ketone (PEEK), Polytetrafluoroethylene(PTFE), Methylacrylate과 같은 비흡수성 합성폴리머이거나 지르코니아나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이나 이들의 복합품으로 구성된 지대체 시스템 소재.
  7. 제 5항 내지 제 6항의 소재를 사용하여, 정밀주조법, 사출법, 컴퓨터 수치제어 선반이나 밀링 등을 이용한 가공법, 금속이나 폴리머의 적층법, 소결법등으로 제작되는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지대체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고정체 연결부와 연결 나사부를 일체형으로 하고 나머지 치은 관통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기계적 결합, 납착 및 용착, 결합제를 이용한 결합 또는 나사로 결합되는 지대체 시스템.
KR1020120004351A 2012-01-13 2012-01-13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KR20130083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51A KR20130083632A (ko) 2012-01-13 2012-01-13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4351A KR20130083632A (ko) 2012-01-13 2012-01-13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3632A true KR20130083632A (ko) 2013-07-23

Family

ID=48994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4351A KR20130083632A (ko) 2012-01-13 2012-01-13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8363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94B1 (ko) * 2014-05-14 2015-07-10 최종훈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102024911B1 (ko) * 2018-11-16 2019-09-24 (주) 코웰메디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94B1 (ko) * 2014-05-14 2015-07-10 최종훈 디지털 힐링 어버트먼트
KR102024911B1 (ko) * 2018-11-16 2019-09-24 (주) 코웰메디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17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enhancing bone growth
US6645250B2 (en) Biocompatible form and method of fabrication
US9707058B2 (en) Patient-specific implants with improved osseointegration
JP4533467B2 (ja) 人工インプラント
US5873721A (en)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US20090047630A1 (en) Method for forming a dental prosthesis
JPS6141580B2 (ko)
NZ554216A (en) Temporary dental prosthesis
WO1996025120A1 (en) Implant abutment systems, devices, and techniques
JP2015504315A (ja) 多角度に製作されるコアクラウンの収容が可能であり、キャップを取り付けるとヒーリングアバットメントの機能を行うアバットメントと、それを用いたインプラント補綴物の製造方法及びインプラント手術方法
US20160128834A1 (en) Scaffold implant system
WO2013093927A1 (en) Three dimensional dental implants
RU274820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ременного зубного протезирования пациента на период направленной костной регенерации челюстей
JP2019005614A (ja) 一体型インプラント
KR20130083632A (ko) 결손된 자연 치아의 형상에 맞춘 치은과 치조골 재생을 위한 조직재생용 지대체시스템
EP3067012B1 (en) Method for providing a custom dental prosthesis, and custom dental prosthesis
US20160302892A1 (en) Supraosseous dental implant
KR20200078782A (ko) 악골 재생용 디지털 브리지장치
KR20210071682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 방법
WO2005092236A1 (en) Biomechanical implant
Infante et al. An acrylic resin shell with guide extensions for accurate positioning of provisional restorations
WO2010022541A1 (zh) 一次完成且具立即功能的植入式人工牙体及其相关技术
Morton et al. Relationship between Abutment Geometry and Peri‐implant Tissue in Esthetic Zone Ca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