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8151A -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 Google Patents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8151A
KR20220138151A KR1020210043923A KR20210043923A KR20220138151A KR 20220138151 A KR20220138151 A KR 20220138151A KR 1020210043923 A KR1020210043923 A KR 1020210043923A KR 20210043923 A KR20210043923 A KR 20210043923A KR 20220138151 A KR20220138151 A KR 202201381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der
layer
bone
collagen
spider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록영
정예빈
고보건
Original Assignee
정록영
정예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록영, 정예빈 filed Critical 정록영
Priority to KR1020210043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8151A/ko
Publication of KR20220138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81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28Bones
    • A61F2/2846Support means for bone substitute or for bone graft implants, e.g. membranes or plates for covering bone def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12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dental implants or prosthe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Dent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파손에 대한 우려가 적고, 시술자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안정적 시술이 가능하며,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등 생분해적 특징을 갖는 천연고분자 소재의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미섬유가 직조 또는 편조 가공되어 직물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10 내지 100 ㎛ 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공극을 형성하고, 0.1 내지 1 mm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55Gpa 이상의 고탄성률을 갖는 성질 조건과, 2.5Gpa 이상의 인장력을 갖는 성질조건을 만족하는 고강력 고탄성 고분자 섬유로 이루어진 거미섬유층; 상기 거미섬유층의 어느 일면에 적층 형성된 것으로, 콜라겐 및 식물성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콜라겐층; 상기 거미섬유층 또는 콜라겐층 중 최소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항균제, 살균제, 소염제, 골 형성 촉진제 중 최소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 약제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미섬유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도포되고, 상기 거미섬유층 하부에는 다수의 결속지지부가 돌출 형성되어 치조골 또는 골이식재와 안정적인 결속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결속지지부는 거미섬유 및 다공질 인산칼슘과 의료용 접착제가 혼합된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Bioabsorbable Membrane using Spider Silk for Periodontal Regeneration of Bone Defect}
본 발명은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임플란트 시술 중 치조골의 결손부위 재생을 위해 시행하는 골유도 재생술에서, 골 결손부위에 삽입된 골이식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골 재생을 위해 치주조직을 덮어 차단하며, 시간 경과시 치주조직내에 흡수되어 소멸되는 형태의 흡수성 차폐막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의 시술 과정은, 치조골을 드릴로 천공하여 치근형 픽스츄어(fixture)를 고정시키고, 구강 내로 기둥처럼 어버트먼트(abutment)를 연결한 후, 어버트먼트(abutment) 위에 크라운을 형성하는 단계를 거친다.
따라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 위해서는 손상되지 않은 충분한 양의 치조골이 있어야만 임플란트를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 과정은 임플란트의 장기간 예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외상, 치주질환으로 인한 치주조직의 파괴, 발치 및 치근단 병소 등의 이유로 치조골의 일부가 결손되어 잔존하는 치조골만으로는 인공치근으로 사용되는 임플란트용 삽입물을 충분하게 지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때 결손된 부분에 자가골 또는 인조골과 같은 골이식재를 채운 후에 그 골이식재가 새로운 치조골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을 시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시술방법을 골유도 재생술(Guided Bone Regeneration, GBR)이라 한다.
골유도 재생술을 시술하기 위해서는, 결손된 부위에 인조골 또는 자가골과 같은 골이식재(bone graft)를 채운 후, 채워진 골이식재가 필요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치주조직 재생막을 덮는다. 상기, 치주조직 재생막은 연조직으로부터 침투해 들어오는 세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막(membrane)의 기능을 수행한다.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조직으로부터 기인하는 섬유아세포가 치조골 이식 부위를 메워 치조골 생성을 방해하므로, 치조골 이식 부위를 잇몸으로부터 분리시키고, 골이식재료와 치조골 사이를 밀봉시켜 섬유 결합조직이 결손부위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노출되더라도 세균의 침입을 막아주며, 치조골 재생을 위한 기능적 재건에 알맞은 공간을 확보해주는 역할을 한다.
특히, 차폐막은 안정화 및 제한된 공간 제공하며, 혈병을 보호해주고, 연조직 세포가 골 결손부로 이주해 오는 것을 막아 골성 세포가 자리를 잡을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차폐막은 물리적으로 안정성이 있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치주조직 재생막으로 사용되는 차폐막은 티타늄(Ti)과 같은 금속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1998847호(2019.07.04.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57226호 (2011.12.05.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471683호 (2014.03.03. 등록) 등의 종래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차폐막을 비흡수성 차폐막이라고 한다.
상기와 같은 티타늄(Ti) 소재의 비흡수성 차폐막은, 시술자의 핸들링이 편하고 형태가 유지되어 지지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세포가 증식되는데 필요한 공간 및 기간 확보가 용이하여 골재생에 탁월한 예후를 나타내지만, 차폐막이 조직에 흡수되지 않으므로 치조골이 생성된 후에는 2차 수술을 통하여 차폐막을 제거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금속 소재와 치은 연조직 간의 장기간 접촉으로 인하여 치은 조직이 얇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금속 차폐막은 시술 후 노출되는 경향이 많은데 일단 노출되면 치태의 침착이 많아 감염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와 같이 골유도 재생술에서 비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치과에서는 임플란트 골유도 재생술 적용시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조직내에 흡수되는 특성을 갖는 흡수성 차폐막을 사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콜라겐으로 이루어진 기존의 흡수성 차폐막은 그 물리적 성질이 매우 부드럽고 낭창거려 서로 접히거나 달라붙는 등 작업성이 매우 좋지 못하여 안정적인 시술에 방해가 되는 문제 요소로 작용하였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콜라겐 차폐막은 물성이 약해서 시술과정 또는 시술 후 찢어지는 파손이 빈번하였으며 이는 골유도 재생을 방해하여 안정적인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8847호 (2019.07.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7226호 (2011.12.05.)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683호 (2014.03.03.)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여 파손에 대한 우려가 적고, 시술자의 작업성이 향상되어 안정적 시술이 가능하며,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등 생분해적 특징을 갖는 천연고분자 소재의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발명은 거미섬유가 직조 또는 편조 가공되어 직물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거미섬유층; 및 상기 거미섬유층의 어느 일면에 적층 형성된 것으로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이루어진 콜라겐층;을 포함하여 구성된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거미섬유층 또는 콜라겐층 중 최소 일면 이상에는 약제층이 더 형성되고, 약제층을 이루고 있는 약제 성분은 항균제, 살균제, 소염제, 골 형성 촉진제 중 최소 하나 이상이 포함된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미섬유층은 10 내지 100 ㎛ 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공극을 형성하고, 0.1 내지 1 mm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거미섬유층을 형성하고 있는 거미섬유는 55Gpa 이상의 고탄성률을 갖는 성질 조건과, 2.5Gpa 이상의 인장력을 갖는 성질조건을 만족하는 고강력 고탄성 고분자 섬유로 이루어진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거미섬유층을 형성하고 있는 거미섬유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도포된 형태인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콜라겐층은 전제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콜라겐 80중량%, 식물성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 20중량% 가 혼합된 형태인 흡수성 차폐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에 의하면, 인장강도 및 탄성력 등 물성이 우수하고, 인체 거부감 등 부작용이 없는 천연 소재인 거미섬유를 이용하여 차폐막을 형성함으로 물리적 안정성이 증대되어 시술과정 및 시술 후 파손에 대한 우려를 방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은 치주조직을 안정적으로 보호하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어 차폐막 제거 등 2차 수술을 요구하지 않아 간편한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은 거미섬유를 기본층으로 일면에 콜라겐층이 더 형성되되, 거미섬유층에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도포되고, 콜라겐층에는 식물성 폴리유산수지가 혼합된 구성으로부터 차폐막의 텐션이 강화되어 시술자로 하여금 작업성이 향상되어 안정적인 시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효과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골유도 재생술을 시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이 치주조직에서 반응 및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을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100)은 전체 구성이 생체분해물질로 만들어져 일정기간 장벽(Barrier)의 기능을 수행한 뒤 분해되어 조직에 흡수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본 발명 차폐막(100)의 전체 구성은, 탄성 및 강도를 유지하며 지지층을 형성하는 거미섬유층(110)과, 상기 거미섬유층(110) 하부에 형성된 콜라겐층(120)과, 상기 거미섬유층(110) 또는 콜라겐층(120)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된 약제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거미섬유층(110)은 고강도 및 생분해적 특성을 갖는 거미섬유를 이용하여 직조 또는 편조 가공함으로 직물 시트 형태의 섬유막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거미섬유는 강도, 인장력, 탄성력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거부감이 없으며, 생분해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바이오 재료로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천연고분자 소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거미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된 거미섬유층(110)을 통해 임플란트 시술시 사용되는 흡수성 차폐막의 주재료로 활용한 것으로 거미섬유의 물리적 특성으로부터 시술 과정에서의 작업성을 좋게하고 시술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거미섬유층(110)은 고강도 거미섬유를 직조 또는 편조 가공처리 함에 있어서 10 내지 100 ㎛ 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공극을 형성하고, 0.1 내지 1 mm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거미섬유층(110)에 공극을 형성함은 혈액의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져 치조골 생성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만약, 거미섬유층(110)에 형성된 공극의 크기가 10 ㎛ 미만으로 작게 형성되면 혈액을 통한 재생 세포들이 내부로 침투하지 못해 치조골 생성이 지연되거나 원활히 형성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거미섬유층(110)에 형성된 공극의 크기가 100 ㎛ 을 초과하여 형성되면 차폐막 내부에 형성된 골이식재(bone graft)가 거미섬유층(110)의 공극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에 안정성 저하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거미섬유층(1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0.1 mm 미만으로 너무 얇게 형성되면 거미섬유층(110)을 포함한 차폐막의 내구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거미섬유층(1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 1 mm 를 초과하여 형성되면 차폐막이 너무 두껍게 형성되어 작업성이 좋지 않고 골이식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거미섬유층(110)을 형성하는 거미섬유는 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형성된 것으로, 의료용으로 사용 가능한 고강력 고탄성 고분자 섬유인 것이며, 바람직하게 55Gpa 이상의 고탄성률을 갖는 성질 조건과, 2.5Gpa 이상의 인장력을 갖는 성질조건을 만족하는 고강력 섬유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미섬유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도포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거미섬유는 분말 또는 겔 타입으로 이루어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재료가 도포된 형태가 적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는 골아세포를 신속하게 끌어 당기는 골전도능을 갖는 특성으로부터 골이식재가 수용된 골조성 부위의 공간에 골아세포를 신속히 끌어 들이고 섬유아세포의 침입을 방지하여 치조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거미섬유층(110)은 섬유막 시트 하부에 다수의 결속지지부(111)가 돌출 형성된 것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속지지부(111)는 인산칼슘 및 의료용 접착제가 혼합 조성된 것으로, 이는 인플란트 시술시 본 발명 차폐막(100)이 견고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거미섬유층(110) 하부에서 연장된 구조를 갖으며, 다수의 결속지지부(111)는 치조골(10) 또는 골이식재(40) 내부에 삽입 고정되면서 거미섬유층(110)을 포함한 차폐막(100)의 움직임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결속 구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콜라겐층(120)은 상기 거미섬유층(110)의 하부에서 시트 형태로 적층 형성되는 것으로, 구강 내 치주조직에 부착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조직 수복용 흡수성 재료인 콜라겐을 주성분으로 형성된다.
콜라겐(Collagen)은 인체의 조직과 장기를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로 결체조직의 주성분이며, 글리신, 프롤린 등 약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동물의 섬유성 단백질을 말한다. 인간의 경우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종 단백질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구조의 단백질이며, 피부, 뼈, 힘줄에 많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콜라겐층(120)은 동물의 힘줄 등에서 얻어진 콜라겐을 주성분으로하여 형성된 것으로, 바람직하게 전제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콜라겐 80중량%, 식물성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 20중량%가 혼합된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라겐으로는 돼지 유래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돼지 유래 콜라겐이란 돼지의 표피 등의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콜라겐을 의미하는데, 돼지는 광우병 등의 우려로부터 안전하고 유전자 서열이 인간과 유사하여 다양한 대체 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돼지 유래 콜라겐 중 특히 돼지 인대에서 유래한 콜라겐을 사용하는 경우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폴리유산수지는 콜라겐층(1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탄성 및 지지력을 향상시켜 시술자로 하여금 작업성을 좋게한다.
또한, 상기 콜라겐과 식물성 폴리유산수지의 혼합비는 8:2 중량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만약, 콜라겐층(120)을 형성하는 조성물이 상기 혼합비를 벗어나 콜라겐이 너무 적게 함유되거나 식물성 폴리유산수지가 너무 많이 혼합되면 치조골에 콜라겐의 침착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치조골 생성이 지연되거나 부족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며, 콜라겐층(120)을 형성하는 조성물이 상기 혼합비를 벗어나 콜라겐이 너무 많이 함유되거나 식물성 폴리유산수지가 너무 적게 함유되면 콜라겐층(120)의 내구성, 탄성력 및 지지력이 좋지 않고 이로 인한 시술자로 하여금 작업성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거미섬유층(110) 또는 콜라겐층(120)의 적어도 어느 일 영역 이상에는 기능성 약제성분이 포함된 약제층(130)이 형성된다.
약제층(130)은 항균제, 살균제, 소염제, 골 형성 촉진제 중 최소 하나 이상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골 형성 촉진제는 뼈의 주성분인 인산염과 칼슘 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약제층(130)은 콜라겐층(120) 하부에 형성되어 치주조직 등 시술부위에 직접 접촉하도록하여 살균, 소염 및 골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을 이용하여 임플란트 골유도 재생술을 시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과 같이, 임플란트 시술시 골 결손이 발생한 치주골 부위는 골이식재를 삽입하여 치주골(10)을 보완하는 골유도 재생술이 요구된다. 이러한 경우의 임플란트 시술은 도 4와 같이 치은(20) 부위를 열어 개방한 후 남아있는 치주골(10)에 픽스츄어(30)를 삽입 고정한 후, 도 5와 같이 골 결손이 발생한 부위에 골이식재(40)를 삽입 충전한다. 이후, 도 6과 같이 골이식재(40)가 삽입된 부위에 차폐막(100)을 덮어 골이식재(40)의 이탈을 방지하고, 도 7과 같이 치은(20) 부위를 봉합 고정한다.
또한, 통상의 임플란트 골유도 재생술에서 골이식재를 삽입한 후 치은을 서로 봉합하는 과정은 치은이 서로 이격되어 봉합되지 않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거미섬유를 이용한 차폐막(100)을 이용하면, 치은(20)과 거미섬유 차폐막(100)을 서로 엮어서 봉합하는 시술도 가능하다. 즉, 기존의 콜라겐 차폐막은 그 물성이 약하여 바늘이 콜라겐 시트를 통과하면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나 거미섬유는 강도가 높아 봉합시 바늘이 통과하거나 봉합실이 거치되어도 차폐막(100)이 파손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이 치주조직에서 반응 및 흡수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과 같이, 치주조직에 삽입된 본 발명 차폐막(100)은 먼저 약제층(130)이 골이식재가 수용된 치주골(10) 부위에 흡수되면서 살균, 소염 및 골 형성을 촉진 위한 약제 반응이 진행된다.
약제 반응이 진행된 이후, 도 9과 같이 콜라겐층(120)이 치주조직에 부착되어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어 치조골 생성을 촉진시킨다.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거미섬유층(110)은 도 10과 같이 치조골이 완전히 생성되기까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다가 치주조직에 흡수되거나 분해되면서 소멸한다.
상기와 같은 시술과정을 통해 본 발명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은 생분해적 특징을 통해 별도의 차폐막 제거수술을 요구하지 않으며, 차폐막의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여 시술자로 하여금 작업성을 높여 시술과정 및 시술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10 : 치조골 20 : 치은 30 : 픽스츄어 40 : 골이식재 100 : 차폐막 110 : 거미섬유층 111 : 결속지지부 120 : 콜라겐층 130 : 약제층

Claims (2)

  1. 거미섬유가 직조 또는 편조 가공되어 직물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10 내지 100 ㎛ 의 간격을 갖는 다수의 공극을 형성하고, 0.1 내지 1 mm 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55Gpa 이상의 고탄성률을 갖는 성질 조건과, 2.5Gpa 이상의 인장력을 갖는 성질조건을 만족하는 고강력 고탄성 고분자 섬유로 이루어진 거미섬유층(110); 상기 거미섬유층(110)의 어느 일면에 적층 형성된 것으로, 콜라겐 및 식물성 폴리유산수지(Polyactic acid)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진 콜라겐층(120);상기 거미섬유층(110) 또는 콜라겐층(120) 중 최소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 항균제, 살균제, 소염제, 골 형성 촉진제 중 최소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된 약제층(1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2.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거미섬유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도포된 형태로 이루어지고,상기 거미섬유층(110) 하부에는 다수의 결속지지부(111)가 돌출 형성되어 치조골(10) 또는 골이식재(40)와의 안정적인 결속 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상기 결속지지부(111)는 인산칼슘과 의료용 접착제가 혼합된 조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KR1020210043923A 2021-04-05 2021-04-05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KR202201381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23A KR20220138151A (ko) 2021-04-05 2021-04-05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923A KR20220138151A (ko) 2021-04-05 2021-04-05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8151A true KR20220138151A (ko) 2022-10-12

Family

ID=83598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923A KR20220138151A (ko) 2021-04-05 2021-04-05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38151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26Y1 (ko) 2009-09-2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200471683Y1 (ko) 2012-05-09 2014-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101998847B1 (ko) 2018-08-08 2019-07-11 (주) 코웰메디 치주조직 재생용 차폐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226Y1 (ko) 2009-09-23 2011-12-09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200471683Y1 (ko) 2012-05-09 2014-03-11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차폐막
KR101998847B1 (ko) 2018-08-08 2019-07-11 (주) 코웰메디 치주조직 재생용 차폐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ler et al. Sinus lift grafts and endosseous implants: Treatment of the atrophic posterior maxilla
Hägi et al. Regenerative periodontal therapy
US10835640B2 (en) Resorbable crosslinked form stable membrane for use outside the oral cavity
RU2733387C9 (ru) Резорбируемая сшитая формостабильная мембрана
KR20100130178A (ko) 임플란트 펠렛 및 골 증강과 보존을 수행하는 방법
US20150265407A1 (en) Multi-Layer Distraction Membrane for Bone Defects
JP2019500085A (ja) 生体吸収性固定釘
JPS63170307A (ja) 結合誘発性組成物
Matsumoto et al. Evaluation of guided bone regeneration with poly (lactic acid-co-glycolic acid-co-ε-caprolactone) porous membrane in lateral bone defects of the canine mandible.
Rispoli et al. Surgery guidelines for barrier membranes in guided bone regeneration (GBR)
Fischer et al. Stage-two surgery using collagen soft tissue grafts: Clinical cases and ultrastructural analysis
Luczyszyn et al. Histologic analysis of the acellular dermal matrix graft incorporation process: a pilot study in dogs.
Zeiter et al. The use of a bone block graft from the chin for alveolar ridge augmentation.
US7314375B2 (en) Provisional dental implant for preparing an alveolus
Fontana et al. Freeze‐dried dura mater for guided tissue regeneration in post‐extraction dental implants: a clinical and histologic study
KR20220138151A (ko)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Barone et al. Bone, biomaterials & beyond
WO2021060597A1 (ko) 골 결손 부위의 치주조직 재생을 위한 거미 섬유를 이용한 흡수성 차폐막
RU2709723C1 (ru) Способ регенерации костной ткани челюстей
CN219022453U (zh) 一种口腔骨组织修复系统
Samarani Revisiting Guided Bone Regeneration in the Esthetic Zone
Kang et al. Bone Regeneration Using Block-type Deproteinized Porcine Bone Mineral with Collagen Membrane Using 3, 4-Dihydroxyphenylalanine as Bone Adhesive
JP2000116674A (ja) 歯槽骨堤増大用形状体
Scarano et al. A histomorphometric comparison of anorganic bovine bone (ABB) and calcium sulfate (CaS) used in sinus augmentation procedures: a study in sheep
RU2162715C2 (ru) Состав для покрытия пористых импланта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