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74307A2 -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 Google Patents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74307A2
WO2012074307A2 PCT/KR2011/009254 KR2011009254W WO2012074307A2 WO 2012074307 A2 WO2012074307 A2 WO 2012074307A2 KR 2011009254 W KR2011009254 W KR 2011009254W WO 2012074307 A2 WO2012074307 A2 WO 2012074307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arrier
housing
bag
ba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92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74307A3 (ko
Inventor
손종필
Original Assignee
Shon Jong Pil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Shon Jong Pil filed Critical Shon Jong Pil
Publication of WO2012074307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4307A2/ko
Publication of WO2012074307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74307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op carrier that can accommodate a bag-shaped accommodation bag in a loop carrier to fold or unfold as needed, and more particularly, a loading bag in a carrier housing and a carrier through a spread bar or an auxiliary bar.
  • a loading bag in a carrier housing and a carrier through a spread bar or an auxiliary bar.
  • a separate carrier is installed in a roof of a vehicle, and a load that exceeds the load capacity of the trunk is loaded and transported in a carrier.
  • the conventional roof carrier is installed on the roof upper surface of the vehicle by being coupled to the pair of roof 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opposed to each other.
  • such a loop carrier can load a large amount of load when the receiving volume is large, but due to the large volume, the driving efficiency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inducing the air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entering the height limit area.
  • the driving efficiency is reduced by increasing the fuel efficiency of the vehicle by inducing the air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driven, and entering the height limit area.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loading the receiving bag in the carrier housing and configured to secure the receiving space by opening the receiving bag after opening the carrier housing through the spread bar, the auxiliary bar to secure the receiving bag size It can be minimized to an acceptable level to reduce the resistance of air in the absence of a load.
  • the spread bar and the auxiliary bar function as a skeletal function of the ba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orage space of the bag and maintain a stable sha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oop carrier having a receiving bag capable of generating air resistance by optimizing the situation by adjusting the opening angle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loaded object as the opening angle can be adjust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of carrier installed on a roof outer surface of an automobile, wherein the roof carrier is separated into an upper housing and a lower housing by a hing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rier housing;
  • the auxiliary bar is hing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spread bar, a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bag are combined to raise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bag to be extende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spread bar, thereby forming an auxiliary bar.
  • a pair of hydraulic shovar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hing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are installed at certain inner points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so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shock is alleviated during opening and closing.
  • a predetermined height adjusting means is install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to be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respectively, so that the opening angles of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 the height adjusting means is a pair of detachable means made to be detachable with the upper housing and the lower housing, respectively, the pair of detachable means is coupled to both ends and has a certain length, but the length adjustment device is coupled to adjust the length It is made of possible straps.
  • the upper housing and the receiving bag are formed in a plurality of detachable means formed in a pair spaced apart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 position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spread bar is formed in a '' shape and diagonally at both ends Reinforcing wires are formed to be connected to predetermined points in the direction, respectively, to increase the supporting strength of the spread bar.
  •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not used because it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tretch or fold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the object to be load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ir resistance, thereby increasing the running efficiency.
  • the hydraulic housing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y the carrier housing, and the simple operation configuration of the spread bar and the auxiliary bar allows anyone to easily install the storage bag.
  • FIG. 1 is a view showing the unfolded receiving bag of the loo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loo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read bar and the auxiliary bar is selectively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a detachable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receiving bag of the loop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
  •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closed state of the loop carri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3 is a spread bar and the auxiliary bar according to the invention selectively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rotation
  •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removable mea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A' portion of FIG.
  • the loop carrier 100 is largely separated into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2 by a hing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arrier housing 10 and the lower housing 12.
  • a spread bar 20 hinged to an adjacent bottom surface of the opening side to selectively rotate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arrier housing 10 when the carrier housing 10 is opened; and the spread bar accommodated in the carrier housing 10.
  • the loading of the article is selectively selected as the spread or fol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read bar 20, the predetermined point and the hinge coupling of the spread bar 20
  •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receiving bag 30 is coupled to the auxiliary bar 40 to increase the receiving space by raising the upper side of the receiving bag 30 to be accompanied by the spread of the spread bar 20 and,
  • the upper housing 11 and A pair of hydraulic shobars 50 having one end and the other end hinged to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respectively, and the inner fixed points of the upper and lower housings 12 and 12, respectively.
  • One end and the other end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height adjusting means 60 for adjus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carrier housing 10.
  • the carrier housing 10 is composed of an upper housing 11 and a lower housing 12 which are hinged to each other to be opened and closed, and the upper housing 11 is formed in a streamline shape so as to minimize the resistance of the air. desirable.
  • the carrier housing 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or plastic material to impart a certain strength, and in the case of a metal material, an aluminum or stainless steel having a light and excellent strength is preferable for easy opening and closing.
  • a pair of hydraulic shobars 50 are hinged to allow a more stable and open with a smaller force when opening and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when opened. It is responsible for suppor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housing so as to maintain a stable, the hydraulic spring shobar is a known technique, so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upper housing 11 is connected to the lower housing 12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13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as well as a door lock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general key, and the like.
  • the spread bar 20 is hinged to the bottom near the opening side of the lower housing 12 to be selectively rotated in and out of the carrier housing 10 when opening the carrier housing 10, accordingly the spread
  • the bar 20 is rotated outwardly,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bag 30 coupled thereto is accompanied to open the folded receiving bag.
  • the form of the spread bar 20 is formed in a 'c' shape, but in some cases, a semicircle shape is also possible.
  • reinforcing wires 80 respectivel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oint in a diagonal direction are formed at both ends to support the spread bar 20.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increase the strength.
  • the tension of the reinforcing wire 80 can prevent the spread bar 20 from bending due to the weight of the load accommodated on the upper side.
  • the combination of the spread bar 20 and the receiving bag 30 forms a cylindrical coupling portion 31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receiving bag 30 so th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pread bar 20 is accommodated therethrough.
  • the guide groove (12a) is configured to be stably fixed without shaking when the spread bar 20 is rotated to the outside.
  • the fixing portion 12b is provided to prevent the up and down shaking of the spread bar 20.
  • the fixing part 12b is coupled to the upper housing housing 12 in close proximity to the guide groove (12a) forming point
  • the user is projected by the fixing part 12b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xing part 12b configuration In the case of forcibly conveying to one side, it shows an apparatus in which a locking end protrudes to prevent the shaking up and down by interfering with the spread bar 20.
  • any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the vertical shaking of the spread bar 20 may be adopted as the fixing part 1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auxiliary bar 40 is hinged to a predetermined point of the spread bar 20, and the upper and both sides of the accommodation bag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accommodation bag is extende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spread bar 20 ( It is provided to increase the upper side of the 30 to increase the receiving space, this auxiliary bar 40 also has a 'c' shape is coupled to both ends hinged to a certain point of the spread bar 20, the center and both sides Is coupled to the receiving bag 30 in the form of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coupling portion 31 and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receiving bag 30, such as the coupling configuration of the spread bar 20 and the receiving bag 30 described above.
  • the accommodation bag 30 coupled thereto can be easily and simply unfolded, as well as the formation of a large capacity storage space far beyond the size of the carrier housing 10. You lose.
  • the accommodation bag 30 is accommodated in the carrier housing 10 as described above, but the spread bar 20 and the auxiliary bar 40 are coupled with a predetermined portion to be unfold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pread bar 20. It is configured to be folded so that the loading of the article is made to be made selectively, and the receiving bag 30, the lower side and the center side of the receiving bag to facilitate the coupling with the spread bar 20 and the auxiliary bar 40 Cylindrical coupling portions 31 are formed on the upper and both sides.
  • the accommodating bag 30 is preferably made of vinyl or fiber material so as to be easily folded or unfolded, and an opening part (not show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or the like on one side to insert or discharge an object into an inner accommodating space. Of course it is formed.
  • the height adjusting means 60 is coupl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2 at the predetermined point inside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2, and installed, such height
  • the opening means of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2 by the adjusting means 60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 the height adjusting means 60 is a pair of detachable means 51 made to be detachable with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lower housing 12 respectively, and the pair of detachable means 51 are coupled to both ends. Having a certain length but the string length adjusting device (52a) is coupled is made of a coupling strap 52 is adjustable in length.
  • the detachable means 51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etachable means 70 as shown in FIG. 4, and other various types of detachable devices may be applied.
  • the coupling strap 52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a shoulder strap used for bags, etc.
  • the strap length adjustment device 52a can also be applied in the same way as the strap length adjustment device 52a used in existing bags, etc. Can be, such a coupling strap 52 configuration is a known technique so that a separ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detachable means 70 is formed in a pair so that the upper housing 11 and the accommodating bag 30 can be detached from each other in a positional manner, which is more accommodating when the accommodating bag 30 is unfolded. It serves to support the receiving bag edges so that it can be kept stable and increased at the same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 내에 가방 형태의 수용백을 수용하여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하우징 내에 수용백을 적재하고 스프레드바, 보조바를 통해 캐리어하우징 개구 후 수용백을 펼쳐 수용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캐리어하우징의 크기가 수용백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최소화할 수 있어 적재물이 없는 경우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스프레드바 및 보조바가 수용백의 골격 기능을 함에 따라 수용백의 수용공간 증대는 물론 안정적인 형태 유지가 가능하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개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적재되는 수용물의 용량에 맞게 개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최적화하여 공기 저항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본 발명은 루프 캐리어 내에 가방 형태의 수용백을 수용하여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쳐 적재물을 수용할 수 있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캐리어하우징 내에 수용백을 적재하고 스프레드바, 보조바를 통해 캐리어하우징 개구 후 수용백을 펼쳐 수용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캐리어하우징의 크기가 수용백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최소화할 수 있어 적재물이 없는 경우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스프레드바 및 보조바가 수용백의 골격 기능을 함에 따라 수용백의 수용공간 증대는 물론 안정적인 형태 유지가 가능하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개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적재되는 수용물의 용량에 맞게 개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최적화하여 공기 저항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를 이용한 레저활동 및 여가활동이 늘어남에 따라 자동차에는 많은 량의 화물을 적재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적재화물이 다량인 경우 특히, 트렁크의 적재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곤경에 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동차의 루프에 별도의 캐리어를 설치하여 트렁크의 적재용량을 초과하는 화물을 캐리어에 적재하여 운송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루프 캐리어는 차량의 루프 상면에 차량의 길이 방향이면서 상호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의 루프바 상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하지만 이러한 루프 캐리어는 수용 체적이 클 경우 많은 양의 수용물을 적재할 수 있으나 그 큰 체적으로 인해 차량이 주행시 공기 저항을 보다 유도함으로써 자동차 연비 증가에 따른 주행 효율이 감소되고, 높이제한구역에 출입이 제한될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수용 체적이 작을 경우 공기 저항은 감소되나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이 작아 루프 캐리어의 사용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수용 체적을 보다 늘리면서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는 루프 캐리어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캐리어하우징 내에 수용백을 적재하고 스프레드바, 보조바를 통해 캐리어하우징 개구 후 수용백을 펼쳐 수용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캐리어하우징의 크기가 수용백을 수용할 수 있는 정도로 최소화할 수 있어 적재물이 없는 경우에 공기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스프레드바 및 보조바가 수용백의 골격 기능을 함에 따라 수용백의 수용공간 증대는 물론 안정적인 형태 유지가 가능하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개구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음에 따라 적재되는 수용물의 용량에 맞게 개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상황에 최적화하여 공기 저항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루프 외면 상에 설치되는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루프 캐리어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로 분리되되 힌지 결합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캐리어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개구측 근접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캐리어하우징의 개구시 캐리어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선택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레드바와; 상기 캐리어하우징 내에 수용되되 상기 스프레드바와 하부 일측이 결합되어 스프레드바의 회전에 따라 펴지거나 접어짐에 따라 물품의 적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프레드바의 일정 지점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용백의 상부와 양측부가 결합되어 스프레드바의 회전에 따라 동반되어 펴지는 수용백의 상부측을 상승시켜 수용공간을 증대시키는 보조바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측 일정지점에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압식 쇼바가 설치되어 개폐시 개폐충격이 완화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측 일정지점에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개구 각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과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탈부착수단과, 상기 한 쌍의 탈부착수단이 양단에 결합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되 끈길이 조절장치가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결합끈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수용백에는 서로 위치적으로 대응되어 착탈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착탈수단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스프레드바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부에는 대각 방향의 일정 지점과 각각 연결되는 보강와이어가 형성되어 스프레드바의 지지강도를 보다 증대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하고자 하는 수용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펴거나 접도록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기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어 주행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유압식 쇼바에 의해 캐리어하우징의 개폐가 용이하고, 스프레드바, 보조바의 간단한 조작 구성에 의해 누구나 손쉽게 수용백의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수용백이 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바와 보조바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의 수용백이 펴진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레드바와 보조바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수단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루프 캐리어(100)는 크게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로 분리되되 힌지 결합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캐리어하우징(10)과,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개구측 근접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캐리어하우징(10)의 개구시 캐리어하우징(10)의 내외측으로 선택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레드바(20)와, 상기 캐리어하우징(10) 내에 수용되되 상기 스프레드바(20)와 하부 일측이 결합되어 스프레드바(20)의 회전에 따라 펴지거나 접어짐에 따라 물품의 적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백(30)과, 상기 스프레드바(20)의 일정 지점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용백(30)의 상부와 양측부가 결합되어 스프레드바(20)의 회전에 따라 동반되어 펴지는 수용백(30)의 상부측을 상승시켜 수용공간을 증대시키는 보조바(40)와,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2)의 내측 일정지점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압식 쇼바(50)와,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2)의 내측 일정지점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캐리어하우징(10)의 개구 각도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수단(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하우징(10)은 서로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으로 구성되며, 상부하우징(11)은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캐리어하우징(10)은 일정 강도가 부여되도록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금속재일 경우 개폐의 용이함을 위해 가볍고 강도가 우수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리스 재질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 간에는 한 쌍의 유압식 쇼바(50)가 힌지 결합되어 개방시 보다 안정적이고 작은 힘으로도 개방할 수 있게 해주며 개방시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의 개구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해주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상기 유압식 스프링 쇼바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하우징(11)에는 하부하우징(12)과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는 개폐수단(13)이 구비됨은 물론이며, 이는 일반적인 열쇠 등으로 개폐가능한 도어락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레드바(20)는 상기 하부하우징(12)의 개구측 근접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캐리어하우징(10)의 개구시 캐리어하우징(10)의 내외측으로 선택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스프레드바(20)가 외측으로 회전 배치되면 이와 결합된 수용백(30)의 하부측이 동반되어 접혀있던 수용백이 펴지게 된다.
이러한 스프레드바(20)의 형태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반원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스프레드바(20)가 'ㄷ'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양 단부에는 대각 방향의 일정 지점과 각각 연결되는 보강와이어(8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스프레드바(20)의 지지강도를 보다 증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와이어(80)의 장력이 스프레드바(20)가 상부측에 수용되는 적재물의 무게로 인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스프레드바(20)와 수용백(30)의 결합은 수용백(30) 하부 일측면 상에 원통 형상의 결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스프레드바(20)의 일정부분이 관통 수용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하부하우징(12)에는 스프레드바(20)가 외측으로 회전 배치될 때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가이드홈로(12a)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로(12a)가 스프레드바(20)의 좌우 흔들림 방지를 위한 것이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b)는 스프레드바(20)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12b)는 가이드홈로(12a) 형성지점과 근접하여 하우하우징(12) 상면에 결합되는데,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2b) 구성으로 사용자가 돌출부를 일측으로 강제 이송시킬 경우 스프레드바(20)를 간섭하여 상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단이 돌출되는 장치를 도시하였다.
이외에도 스프레드바(20)의 상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라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12b)로 채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바(40)는 상기 스프레드바(20)의 일정 지점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용백(30)의 상부와 양측부가 결합되어 스프레드바(20)의 회전에 따라 동반되어 펴지는 수용백(30)의 상부측을 상승시켜 수용공간을 증대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조바(40) 또한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양 단부가 스프레드바(20)의 일정지점에 힌지결합되며, 중앙부와 양 측부는 전술한 스프레드바(20)와 수용백(30)의 결합 구성과 같이 수용백(30)의 결합부(31)와 일정부분 관통 수용되는 형태로 수용백(30)과 결합된다.
이와 같은 스프레드바(20)와 보조바(40)의 구성에 의해 이와 결합되는 수용백(30)이 쉽고 간단하게 펴질 수 있음은 물론 캐리어하우징(10)의 크기를 훨씬 넘어서는 대용량 수용공간 형성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수용백(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캐리어하우징(10) 내에 수용되되 상기 스프레드바(20) 및 보조바(40)와 일정 부분이 결합되어 스프레드바(20)의 회전에 따라 펴지거나 접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물품의 적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기 수용백(30)에는 스프레드바(20) 및 보조바(40)와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수용백 일측 하부 모서리 측과 중앙측 상부 및 양측부 상에 원통형상의 결합부(3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백(30)은 접거나 펴지기 용이하도록 비닐류 또는 섬유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내부 수용공간에 수납물을 삽입 또는 배출하기 위해 일측에는 지퍼 등으로 개폐가 가능한 개방부(미도시)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수단(60)은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2)의 내측 일정지점에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부하우징(11)과 하부하우징(12)에 결합, 설치되는데, 이러한 높이조절수단(60)에 의해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2)의 개구 각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높이조절수단(60)은 상기 상부하우징(11) 및 하부하우징(12)과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탈부착수단(51)과, 상기 한 쌍의 탈부착수단(51)이 양단에 결합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되 끈길이 조절장치(52a)가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결합끈(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탈부착수단(51)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수단(70)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다양한 형태의 탈부착 장치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결합끈(52)은 가방 등에 사용되는 어깨 걸이용 끈과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끈길이 조절장치(52a) 또한 기존의 가방 등에 사용되는 끈길이 조절장치(52a)와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끈(52)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착탈수단(70)은 상기 상부하우징(11)과 상기 수용백(30)에는 서로 위치적으로 대응되어 착탈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수용백(30)을 펼 때 보다 수용공간이 안정적으로 유지됨과 동시에 증대될 수 있도록 수용백 모서리 면들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자동차의 루프 외면 상에 설치되는 루프 캐리어에 있어서,
    상기 루프 캐리어는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로 분리되되 힌지 결합되어 일측이 개구되는 캐리어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의 개구측 근접 바닥면에 힌지결합되어 캐리어하우징의 개구시 캐리어하우징의 내외측으로 선택 회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스프레드바와;
    상기 캐리어하우징 내에 수용되되 상기 스프레드바와 하부 일측이 결합되어 스프레드바의 회전에 따라 펴지거나 접어짐에 따라 물품의 적재가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바의 일정 지점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수용백의 상부 및 양측부가 결합되어 스프레드바의 회전에 따라 동반되어 펴지는 수용백의 상부측을 상승시켜 수용공간을 증대시키는 보조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측 일정지점에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힌지결합되는 한 쌍의 유압식 쇼바가 설치되어 개폐시 개폐충격이 완화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내측 일정지점에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부하우징과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어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의 개구 각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절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상부하우징 및 하부하우징과 각각 탈부착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한 쌍의 탈부착수단과, 상기 한 쌍의 탈부착수단이 양단에 결합되며 일정 길이를 가지되 끈길이 조절장치가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결합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하우징과 상기 수용백에는 서로 위치적으로 대응되어 착탈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착탈수단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드바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단부에는 대각 방향의 일정 지점과 각각 연결되는 보강와이어가 형성되어 스프레드바의 지지강도를 보다 증대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PCT/KR2011/009254 2010-12-01 2011-12-01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WO2012074307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271A KR101043845B1 (ko) 2010-12-01 2010-12-01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KR10-2010-0121271 2010-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307A2 true WO2012074307A2 (ko) 2012-06-07
WO2012074307A3 WO2012074307A3 (ko) 2012-09-13

Family

ID=44405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9254 WO2012074307A2 (ko) 2010-12-01 2011-12-01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43845B1 (ko)
WO (1) WO201207430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502A1 (de) * 2013-01-10 2014-07-17 Serle Espig Dachboxsystem für kraftfahrzeuge und koffer für ein dachboxsystem
EP3617000A1 (en) * 2018-08-31 2020-03-04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769U (ko) * 1996-05-31 1997-12-10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바닥판 구조
KR19980072642A (ko) * 1997-03-07 1998-11-05 김영귀 자동차 루프캐리어의 설치구조물
US20060182569A1 (en) * 2002-10-04 2006-08-17 Andersson Charlotte S Device at a box for a car
US20080149675A1 (en) * 2006-10-25 2008-06-26 Salflex Polymers Ltd. Collapsible roof basket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106B1 (ko) * 1996-02-17 1999-02-18 김정국 수퍼테이너 크레인 운전시간 계산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769U (ko) * 1996-05-31 1997-12-10 차량용 루프 캐리어의 바닥판 구조
KR19980072642A (ko) * 1997-03-07 1998-11-05 김영귀 자동차 루프캐리어의 설치구조물
US20060182569A1 (en) * 2002-10-04 2006-08-17 Andersson Charlotte S Device at a box for a car
US20080149675A1 (en) * 2006-10-25 2008-06-26 Salflex Polymers Ltd. Collapsible roof basket carrier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08502A1 (de) * 2013-01-10 2014-07-17 Serle Espig Dachboxsystem für kraftfahrzeuge und koffer für ein dachboxsystem
CN105339210A (zh) * 2013-01-10 2016-02-17 Ses解决方案有限公司 有关机动车车顶行李箱系统和有关车顶行李箱系统的行李箱
US9854885B2 (en) 2013-01-10 2018-01-02 SEs Solutions GmbH Roof box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case for a roof box system
CN105339210B (zh) * 2013-01-10 2018-12-18 Ses解决方案有限责任公司 有关机动车车顶行李箱系统和有关车顶行李箱系统的行李箱
EP2943375B1 (de) * 2013-01-10 2019-06-19 SEs Solutions GmbH Dachboxsystem für kraftfahrzeuge und koffer für ein dachboxsystem
US10864858B2 (en) 2013-01-10 2020-12-15 SEs Solutions GmbH Roof box system for motor vehicles and case for a roof box system
WO2020043921A1 (en) * 2018-08-31 2020-03-05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EP3617000A1 (en) * 2018-08-31 2020-03-04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EP3795423A1 (en) * 2018-08-31 2021-03-24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CN112638714A (zh) * 2018-08-31 2021-04-09 拓乐瑞典股份公司 货物承载装置
RU2751374C1 (ru) * 2018-08-31 2021-07-13 Туле Сведен Аб (Thule Sweden Ab) Грузовой бокс
US11148605B2 (en) 2018-08-31 2021-10-19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US11273769B2 (en) 2018-08-31 2022-03-15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EP4219240A1 (en) * 2018-08-31 2023-08-02 Thule Sweden AB Cargo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74307A3 (ko) 2012-09-13
KR101043845B1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14471A2 (ko) 차량용 자전거캐리어
US7699068B2 (en) Hammock tent
US6565139B2 (en) Vehicle canopy
WO2015053437A1 (ko) 슬라이딩 도어 방식의 접이식 컨테이너
CN103826994B (zh) 用于存放及取回衣物的便携式装置
WO2011087230A2 (ko) 트럭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JP2014500195A (ja) フレキシブル安全材を備えた車両積荷キャリアボックス
WO2017086579A1 (ko) 차량용 다목적 캐리어
WO2018174491A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US10099906B2 (en) Vehicle top lift and storage system
WO2012074307A2 (ko) 수용백을 가지는 루프 캐리어
KR20200110666A (ko) 덮인 골프 카트를 위한 비 및 태양 실드
WO2015194719A1 (ko) 차량용 캠핑 하우스
WO2017179774A1 (ko) 자유도 구속형 수직 가이드바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KR101595310B1 (ko) 화물차량 적재함용 개폐형 천막프레임
CN107458314B (zh) 行李箱地板遮盖装置和包含该遮盖装置的汽车行李箱
JPH09503468A (ja) 航空機貨物パニエアセンブリ
KR102186981B1 (ko) 트레일러에 설치되는 자전거 거치대
KR102428623B1 (ko) 개선된 차량용 적재함의 덮개장치
CN100515884C (zh) 具有侧帘推拉锁定装置的侧开式集装箱
WO2010120067A2 (ko)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가방
CA2734056A1 (en) Mobile barrier system
CN113519999B (zh) 一种行李箱
KR100806206B1 (ko) 화물차량용 호로
CN211622841U (zh) 不超过安全限高的箱式车载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44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443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