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122756A1 -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122756A1
WO2011122756A1 PCT/KR2010/008755 KR2010008755W WO2011122756A1 WO 2011122756 A1 WO2011122756 A1 WO 2011122756A1 KR 2010008755 W KR2010008755 W KR 2010008755W WO 2011122756 A1 WO2011122756 A1 WO 201112275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charging
charge
ed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87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대교
Original Assignee
Lee Dae-Kyo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Lee Dae-Kyo filed Critical Lee Dae-Kyo
Priority to CA2794476A priority Critical patent/CA2794476C/en
Priority to RU2012137171/07A priority patent/RU2521589C1/ru
Priority to BR112012024847A priority patent/BR112012024847A2/pt
Priority to US13/637,746 priority patent/US9184621B2/en
Priority to AU2010350279A priority patent/AU2010350279B2/en
Priority to JP2013501175A priority patent/JP5463604B2/ja
Priority to CN201080065220.2A priority patent/CN102918743B/zh
Priority to EP10849078.0A priority patent/EP2555373A4/en
Publication of WO201112275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12275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46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in response to parameters of a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2Energy efficient charging or discharging system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capacity capacitor,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temporarily drops while driving a vehicle, the current charged in the high-capacity capacitor is quickly discharged to power Compensation for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performed by the constant power pulse charging method to prevent the voltage unstable of the battery due to the overload of the generator generated during the charging, and the electric load of the vehicle when charging the high capacity capacitor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terminal is lowered, the charging of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suspended and the charged current is discharged to compensate for the electric load of the vehicle, thereby to compensate for the unstable state of the power supply such as voltage drop in real time. Improved vehicle output and temporary decele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electric load using a high-capacitance capacitor which greatly improves driving performance, improves fuel efficiency, and improves performance and lifespan of various electric drive parts.
  • eco-driving has been improved by more than 15% through eco-driving that improved driving habits such as rapid acceleration, rapid start, rapid braking, and constant speed, but it is a more effective way of improving fuel efficiency because the individual difference is not only large but also its effectiveness is small. I will not be able to.
  • the high-capacity capacitor is a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EDLC), which has a small amount of energy that can be stored than a battery, but the ability to supply instantaneous peak power in a very short time is several hundred times greater than that of a battery.
  • 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 the high-capacitance capacitor has a large capacitance of several thousand Fahrenheit to several Farads (F)
  • F Farads
  • A amper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charge the current charged in the high capacity capacitor quickly to compensate for the power when the voltage output from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temporarily drops while driving the vehicle.
  • the charging of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performed by the constant power pulse charging method to prevent the instability of the battery voltage due to the overload of the generator generated during charging,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terminal due to the electric load of the vehicle when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charged. If this is lowered, the charging of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suspended and the charged current is discharged to compensate for the electric load of the vehicle, thereby real-time power compensation of an unstable state of power supply such as a voltage drop, thereby improving the output of the vehicle. Prevents temporary deceleration and improves driving performanc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compensatio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ic vehicle electric load using a high capacity capacitor which greatly improves fuel efficiency and performance and lifespan of various electric drive part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wer supply apparatus for a vehicle comprising a generator of the vehicle, a battery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enerator, and a vehicle electric load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 a first EDLC module connected to the battery in parallel to perform a charge / discharge operation and compensating for low capacity power
  • a second EDLC module connected to the battery to perform a charge / discharge operation in parallel to compensating a high capacity of power
  •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operating power from the generator and the battery and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a battery voltage detector for detecting the voltage of the battery, and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EDLC module and the ground to charge the second EDLC module.
  • Charge and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discharge operation intermittently,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for controlling the constant power charging during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econd EDLC module, EDLC module voltage for detect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It comprises a detector and a discharge detector for detecting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second EDLC module,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while the voltage of the battery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second EDLC module. Or a sudden drop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to disconnect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to temporarily shut off the charge / discharge operation;
  • the controller When there is no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by comparing the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detected by the voltage and the EDLC voltage detection unit, the controller outputs a high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to output the battery and the second battery.
  •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and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does not rise above a predetermined valu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and does not drop below a certain value or in the normal state of the charging standby mode.
  • the controller when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is compared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detected through the EDLC voltage detector, and these values are determined to be constant voltage potentials, the controller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 the second EDLC module,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sequentially outputs a constant power charging mode for outputting a constant power pulse signal to charge the second EDLC module with a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otential difference. It is characterized by performing.
  •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ctric power compensation method of the vehicle electric load using a high capacity capacitor,
  • a first process of the control unit detecting and stor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a second process of the control unit detecting and stor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through the EDLC voltage detection unit, and the control unit of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A third step of detecting and stor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through the fourth step; and a fourth step of detecting, by the controller, whether the vehicle engine is running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is equal to or less than an allowable temperature value,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is not equal to or less than an allowable temperature value in the fifth process, A sixth process of outputting an error indication to the display unit; and if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is less than an allowable temperature value in the fifth process,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 step 9 In the seventh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performing the charging, and if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n the seventh step is not the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performing the charging,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An eighth process of outputting an error indication, and a ninth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ler is currently in charge standby mode if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in the seventh process; In step 9, if the current charge standby mode is not present,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has risen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rom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and in step 10,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is greater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has dropp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f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ri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the eleventh process and the tenth process, o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drop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the eleventh process, the controller A twelfth step of performing a charge standby mode to temporarily cut off the charge-discharge operation by dis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by outputting a low signal to the charge-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and the electrostatic charge switch unit and the charge in the ninth If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does not increas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step 10 o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does not drop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less by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step 11, the battery Compare the terminal voltage of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2EDLC modu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If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 a charge and discharge mode for performing a normal charge and discharge operation by connecting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by outputting a high signal, and charg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in the step 13; If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volt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e controller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to disconnect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is a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otential difference.
  • the control After outputting a constant power pulse signal to charge the second EDLC module, if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disappears, the control And a fifteenth process of outputting a high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to perform a constant power charging mode to connect the battery and the second EDLC module to perform a normal charge / discharge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by.
  • the current charged in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quickly discharged to compensate for power.
  •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charging of the high-capacitance capacitor by the constant power pulse charging method to prevent the instability of the voltage of the battery due to the overload of the generator generated during charging.
  •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terminal is lowered due to the electric load of the vehicle when the high capacity capacitor is charged, the present invention temporarily suspends the charging of the high capacity capacitor and discharges the charged current to compensate for the electric power of the vehicle electric loa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l-time power compensation for the unstable state of power supply such as voltage drop when driving a vehicle, improving the output of the vehicle and preventing temporary deceleration,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as well as improving fuel efficiency and performance of various electric drive device components. It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the service life.
  • FIG.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mpensation device for an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 capacitance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an EDLC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protection circuit of FIG. 2;
  • Figure 4 is an output timing diagram of the main part of the power compensation device of the electric load of the vehicle using the high capacity 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lowchart of a power compensation method of an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 capacitance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 chart of the precharge mode of FIG.
  • FIG. 7 is a flowchart of the constant power charging mode of FIG. 5.
  • FIG. 1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compensator of a vehicle electric load using a high capacity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wer compensation device of the vehicle electric load using the high capacity 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power compensation device of the vehicle electric load using the high capacity capaci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Power of a vehicle including a generator 10 of the vehicle, a battery 20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enerator 10, and a vehicle electric load 30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generator 10 and the battery 20.
  • a vehicle electric load 30 supplied with power from the generator 10 and the battery 20.
  • a first EDLC module 40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20 to perform a charge / discharge operation and compensating for a low capacity power, and a charge / discharge operation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battery 20 to perform a charge / discharge operation.
  • a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interposed between the module 50 and the ground to intermittently control the charge / discharge operation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constant power during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 a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that is switched and controlled to be charged, and the second E EDLC module voltage detector 110 for detect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DLC module 50, a discharge detector 120 for detecting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a temperature sensing unit 130 for detecting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battery, a setting unit 140 having various function setting keys, and a display unit 150 for displaying various error displays, setting values, and the like.
  • the first EDLC module 4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20 via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PS1, a diode D0, a D1, and an MPP capacitor C1.
  •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PS1 is a protection device that temporarily disconnects the circuit when overcurrent flow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first EDLC module 4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diode D0.
  • diode (D1) is a reverse voltage protection
  • MPP capacitor (C1) is used for a high frequency filter.
  • the first EDLC module 4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high capacitance capacitors edlc 1 to edlc n are connected in series, and a protection circuit P is connected to each of the high capacitance capacitors edlc 1 to edlc n in parallel, and an electrolytic capacitor EC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EDLC module. to be.
  • the protection circuit P is a circuit that protects the voltage charged in the high capacitance capacitor from exceeding its rating.
  • the first EDLC module 4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charged with the voltages of the generator 10 and the battery 20, and perform a discharge operation during power compensation.
  • the first EDLC module 40 having a low capacity is in charge
  • the second EDLC module 50 having a high capacity is in charge of several ms to several seconds to perform its discharge function.
  • the protection circuit P is connected such that the divided voltages of the comparator COM, the resistor R10 and the resistor R11 are input to the terminal + of the comparator COM as a comparison voltage.
  • the divided voltages of the zener diode D8 and the resistor R12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 of the comparator COM as a reference voltage, and the output of the comparator COM is connected to the transistor R13 through a resistor R13.
  •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3 is connected to one end (+) of the high capacitance capacitor edlc 1 through the resistor R14 and the resistor R15 and at the same time the base of the transistor Q4 It is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5 via the resistor R16, and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s Q4 and Q5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high capacitance capacitor edlc 1 through the discharge resistor R18.
  •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Q5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one end ( ⁇ ) of the high capacitance capacitor edlc 1.
  • the resistor R17 is a balance resistor.
  • the transistors Q4 and Q5 remain turned off by the turn-on of the transistor Q3, and the current of the high capacitance capacitor edlc 1 is collected through the resistors R15 and R14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3 and It flows between emitters.
  • the overvoltage above the rated voltage is prevented from being applied to the high capacity capacitors edlc 1 to edlc n to prevent burnout of the high capacity capacitor and increase its lifespan.
  • the instantaneous voltage drop prevention unit 6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battery 20 and includes a reverse current flow blocking diode (D2) (D3) and a charging capacitor (C6).
  • the instantaneous voltage drop prevention unit 60 prevents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6 from flowing back into the battery 20 due to the instantaneous voltage drop of the battery 20 to drive the controller 70. To provide a stable voltage.
  • the operation is such that the diodes D2 and D3 block the voltage charged in the capacitor C6 from flowing back to the battery 20 at the start of the vehicle.
  •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includes a resistor R8 and a resistor R9, and detects a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70.
  •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is composed of a FET Q1.
  • the FET Q1 is interposed between the one end (-) and the ground terminal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turn on the FET Q1 when the second EDLC module 50 has completed charging or discharged. ON to allow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form a closed circuit.
  •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sistor R3 and a FET Q2 are connected in series.
  • the resistor R3 and the FET Q2 are interposed between one side (-)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ground terminal to turn on the FET Q2 when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charged. (ON)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form a closed circuit, and when charging, considering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2
  • the FET Q2 is driven by a constant power pulse switching method to ensure stable charging of the EDLC module 50.
  • the constant power charging is performed such that the charging current decreases in proportion to a larger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Pulse switching signal.
  • the FET Q2 when the FET Q2 is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pulse switching signal, the current of the battery 20 flows to the second EDLC module 50 through the FET Q2 and the resistor R3 to the second EDLC module ( 50) is charged with constant power.
  •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PS2 is interposed between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disconnect the line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rough the second EDLC module 50. 2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charging and the generator 10 of the EDLC module 50.
  • the EDLC voltage detector 110 includes a resistor R4 and a resistor R5, and detects a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inputs it to the controller 70.
  • the discharge detecting unit 120 is composed of a resistor (R6) (R7), diodes (D5 ⁇ D7), capacitor (C4), the control unit 70 by detecting a signal when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discharged Enter it as
  • the discharge detecting unit 120 first, when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are not in the off state or the charge or discharge state is caused by the forward voltage of the diode D5. A 0.5 V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unit 70. However, when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are in an off state or a charging operation (pulse switching signal) is performed through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the second EDLC is performed. When the module 50 is discharged, a voltage of 0.5 V or less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70 while the cathode terminal of the diode D5 is applied with a negative voltage. At this time, the controller 70 recognizes that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being discharged.
  • the diodes D6 and D7 are surge protection devices, and the capacitor C4 is a noise protection device.
  • a diode D4 and a resistor R1 ar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ground terminal, respectively, wherein the diode D4 is large from the second EDLC module 50.
  • a device for inducing current flow when discharging current, and the resistor (R1) is a small charge and discharge from the second EDLC module 50 when the charge and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is off It is a device that induces a current to flow.
  • Reference numeral capacitors C2 and C3 are noise removing elements.
  • the control unit 70 is a device that embeds a predetermined program and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apparatus, and performs the following control of ⁇ charge standby mode>, ⁇ charge and discharge mode> and ⁇ static power charge mode>.
  • the controller 7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attery 20 ha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second EDLC module 50 by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detected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 the controller 70 may include a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 90) and a low signal is output to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to turn off both the FET Q1 and the FET Q2, thereby disconnecting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charge and discharge the battery. Perform a charge standby mode to temporarily block the.
  • the charging standby mode separates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when the current voltage of the battery 20 rises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drop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from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t is to prevent the overload of the generator 10 by preventing the overcharge and discharge operation at a moment.
  •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refers to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not overcharged or rated below the discharge end voltage. In other words, the battery 20 can be used normally.
  •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refers to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stored before detect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current battery 20, and the battery detected when the initial power is applied.
  • the control unit 70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does not increase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In the normal state without sudden drop,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is not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oltage by compar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detected through the EDLC voltage detector 110.
  •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high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to turn on both the FET Q1 and the FET Q2, thereby allowing the battery 20 to be turned on.
  •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connected to perform a charge / discharge mode for normal charging / discharging operation.
  • control unit 70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 the terminal voltage and the EDLC voltage of the battery 20 When compar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110 and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is determined to be a predetermined voltage or more, the controller 70 send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Outputs the FET Q1 to turn off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supplies the second power at a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otential difference. In order to charge the EDLC module 50, a constant power pulse signal is output, thereby performing a constant power charging mode in which the FET Q2 is switched and driven.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 By outputting a high signal to 100 and turning on both the FET Q1 and the FET Q2,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connected to perform normal charge / discharge operation.
  • the controller 70 detects a value input through the discharge detector 120, and when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detected,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20. Determined to be higher than the voltage),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high signal to the charge and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to the FET (Q1) and FET (Q2) By turning on both,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connected to allow a normal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 FIG. 4 for example, a timing diagram according to a control method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drops rapidly below a predetermined voltage is shown.
  • the interval between the time points t0 to t1 is a normal state (charging completed) in which the terminal voltage V1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V2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the same, and the controller 70 charges and discharges the battery.
  • a high signal is output to th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to keep the FET Q1 and the FET Q2 on.
  •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form a closed circuit, and the voltage charged in the second EDLC module 50 may compensate for power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voltage variation of the battery 20.
  • the voltage charged in the second EDLC module 50 may compensate for power at that time according to the voltage variation of the battery 20.
  • the controller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so that the FET Q1 and the FET Q2 are turned off. Therefore,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disconnected to maintain the charging standby mode.
  • the waveform diagram of FIG. 4 illustrates only a waveform in which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drops rapidly below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but the same control is performed even when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rises above the predetermined voltage. Proceed to charging standby mode.
  • the charging standby mode wh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rises or falls rapidly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of a certain electric load 30,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temporarily interrupted, thereby overloading the generator 10. To prevent.
  • the charging current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discharged in a small amount through the discharge resistor R1.
  • the charging voltage V2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quickly discharged to the battery 20,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rises again at the time t4 due to the voltage provided by the generator 10.
  • the controller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to output the FET Q1.
  • FET Q2 are turned off.
  • the controller 100 charges the second EDLC module 50 again.
  • the charging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performed in the second EDLC module 50 in consideration of the voltag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s in the period t5 to t6.
  •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is driven by a constant power pulse switching method to achieve a stable constant power charging.
  •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so that the FET Q1 is The off state is maintained, and the charging current is proportionally increased as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voltage V1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V2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increased.
  • Outputs a pulse switching signal for constant power charging so that the second EDLC module 50 provides stable constant power charging instead of sudden charging.
  • 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Low outputs a high signal to turn on FET Q1 and FET Q2.
  • FIG. 5 is a flowchart of a power compensation method of an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 capacitance capac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process (S10) in which the controller 70 detects and stores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and the controller 70, through the EDLC voltage detector 110, the second EDLC module.
  • a second process (S20) for detecting and storing the charging voltage of the (50) and the third control unit 70 detects and stor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through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30
  • the controller 70 detects whether the vehicle engine is in operation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and the vehicle engine operates in the fourth process S4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equal to or less than an allowable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EDLC module (S50) in the fifth process S50.
  •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and (S70). If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not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in the seventh step S70,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n error indication to the display unit 150. S80 and the ninth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controller 70 is currently in charge standby mode if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in the seventh process (S7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has risen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from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S100). ), And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n the tenth step (S100) If the controller 70 does not rise above the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drops or falls below the predetermined terminal voltage by a predetermined value (S110), and the tenth process (S100).
  • control unit 70 If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step 11, or if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drop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the eleventh step (S110)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to disconnect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temporarily block the charge / discharge operation.
  • the eleventh process (S1) If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has not dropp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in 10),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i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with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Charge and discharge to output a high signal to the charge and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to connect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perform a normal charge and discharge operation If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in the fourteenth step S140 and the thirteenth step S130, the control unit 70 performs a mode. )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to form a batter.
  •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is charged to charge the second EDLC module 50 at a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otential difference.
  • the control unit 70 is the charge-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 a fifteenth step (S150) of performing a constant power charging mode to output a high signal to connect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perform a normal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 the fourth process (S40), if the vehicle engine is not in operation, further includes a sixteenth process (S160) to proceed to the precharge mode.
  •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which is not started first is about 2.1 V ⁇ the number of cells.
  • the start is started, there is a voltage instability time such as voltage drop at the start of the start, but the start is started and the generator 10 is driven so that the charge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increased by about 2.1 V x 7-15% of the number of cells. do.
  • About 0.9-2V is supplied by the generator 10.
  • This difference in voltage can be detected to indicate whether the engine is currently running or before starting.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S161), and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charged in the step (S161). If it is not the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performing the step of outputting an error indic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150 (S162), and in the step (S161)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normal to perform charging If it is a reference voltage, comparing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determine whether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is above a certain voltage (S163), and in the step (S163) If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not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oltage, the controller 70 is connected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to turn off the FET Q1 (S151), and the control unit 70 to the electrostatic charge switch unit 100. Switching driving the FET Q2 by outputting a constant power pulse signal to charge the second EDLC module 50 with a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 In step S152, the control unit 7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being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detecting unit 120 (S153), and in step S153, the second EDLC module.
  • step (S154)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complete charging, the second EDLC module 50 in the step (S153) is discharged, or If the charging is completed in the second EDLC module 50 in step S154,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And outputting a low signal to connect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S155).
  • the applied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EDLC module 40 and the first through the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PS1, the diodes D0, D1 and the MPP capacitor C1. 2 is applied to the EDLC module 50, and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controller 70 via the instantaneous voltage drop prevention unit 60 and the regulator REG1.
  • the controller 70 detects and stores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S10).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detected through the EDLC voltage detecting unit 110 (S20).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a voltage input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ing unit 80.
  •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is detected and stor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oltages using the value input through the EDLC voltage detector 110.
  • the temperature sensor 130 detects and store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vehicle engine is currently running through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detected by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In other words, it is determined before and after the engine start. (S40)
  • the second EDLC module 50 determines whether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130 is equal to or less than an allowable temperature value. If the ambient temperature is not less than the allowable temperature,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is difficult, the control unit 70 outputs the error display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150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50). (S6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
  •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refers to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and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not overcharged to the rated voltage or not lower than the discharge end voltage.
  • the control unit 70 outputs an error indic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150. The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is stopped (S80).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charging standby mode.
  • the control unit 70 detects whethe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ri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or decreases by a predetermined voltage value or lower than the previous terminal voltage.
  • the controller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when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controller rises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than the predetermined terminal voltage. Then,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disconnected to perform the charge standby mode to temporarily block the charge / discharge operation. (S100 to S120)
  • the terminal voltage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of the battery 20 are not in the charging standby mode, or the current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does not increase by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erminal voltage. (A), it is determined whether a potential difference between these values is generated by comparing the charging voltages of (S130).
  • the controller 70 controls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Outputs a high signal.
  • the FET Q1 and the FET Q2 are turned on to perform the charge / discharge mode for connecting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perform normal charge / discharge operation.
  • the controller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disconnected by turning off the FET Q1, and the second EDLC module has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otential difference. Outputs a constant power pulse signal to charge 50.
  • the FET Q2 is turned on and off by the constant power pulse switching signal, so that the second EDLC module 50 starts charging, and the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second EDLC module 50 and the terminal of the battery 20 are applied.
  • the controller 70 outputs a high signal to both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so that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low normal charge and discharge operation.
  • the precharge mode is an operation for precharging the voltage in the battery 20 with the second EDLC module 50 before starting the vehicle engine.
  • the controller 7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S161).
  • the controller 70 If the terminal voltage of the battery 20 is not a normal reference voltage capable of charging, it is determined that the normal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is difficult, and the controller 70 outputs an error indication according to the display unit 150. And stop the operation of the device (S162).
  • the second terminal input through the battery 20 terminal voltage and the EDLC voltage detector 110 inputted through the battery voltage detector 80.
  • the potential difference of the charging voltage of the EDLC module 50 is compared (S163).
  • the controller 70 may include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 The low signal is output to 100 to block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 the controller 70 outputs a low signal to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to display the battery (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are disconnected, and the constant power charging switch unit 100 uses the constant power pulse to charge the second EDLC module 50 with a constant power proportional to the detected potential difference.
  • the controller 70 passes through the charge / discharge connection switch unit 90 and the constant power charge switch unit 100. The low signal is output to block the battery 20 and the second EDLC module 50 to maintain the standby state.
  • the pre-charge is performed in advance, so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power compensation of the battery very quickly when the vehicle is ru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행 시 발전기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고용량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를 신속히 방전하여 전력을 보상토록 하여 주되,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정 전력 펄스 충전방식으로 수행하여 충전 시 발생되는 발전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의 불안정을 방지하고, 또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를 충전할 때 차량의 전기부하로 인해 배터리단자의 전압이 낮아질 경우에는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일시 중단하고 충전된 전류를 방전하여 차량 전기부하에 전력을 보상해 줌으로써, 전압강하와 같은 전력공급의 불안정한 상태를 실시간 전력 보상해 주게 되어 차량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일시적인 감속현상을 방지하여 주행성 향상은 물론 연비개선 및 각종 전기구동장치부품들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향상시킨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 시 발전기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고용량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를 신속히 방전하여 전력을 보상토록 하여 주되,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정 전력 펄스 충전방식으로 수행하여 충전 시 발생되는 발전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의 불안정을 방지하고, 또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를 충전할 때 차량의 전기부하로 인해 배터리단자의 전압이 낮아질 경우에는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일시 중단하고 충전된 전류를 방전하여 차량 전기부하에 전력을 보상해 줌으로써, 전압강하와 같은 전력공급의 불안정한 상태를 실시간 전력 보상해 주게 되어 차량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일시적인 감속현상을 방지하여 주행성 향상은 물론 연비개선 및 각종 전기구동장치부품들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향상시킨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자동차는 부품과 전자제어장치(ECU)의 소프트웨어 제어기술의 발달로 인해 완전연소에 가까울 정도로 성능이 매우 우수한 편이나, 동력 전달의 비효율성과 ECU의 안정적인 작용에 영향을 주는 효율성 제고 등은 아직 기술적 발달이 절실한 상태이다.
향후 과제로, 차량 주행 시 운전상황에 따라 엔진의 힘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연비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적 방법 및 기계적 발달에 더욱 매진해야 할 것이다.
일례로, 급가속, 급출발, 급제동, 정속운행 등의 운전습관을 고친 에코드라이빙을 통해 15%이상의 연비향상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는 개인차가 클 뿐 아니라 실효성도 작기 때문에 연비향상의 보다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운전습관을 통한 연비향상은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어려우니 운전자에게 시내 교통흐름을 무시한 운전방법의 요구는 실효성과 거리가 멀다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차량의 배터리에 슈퍼 커패시터를 연결하고, 이의 충전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 전압의 안정화를 기하고자한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여기서 고용량 커패시터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L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로,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가 배터리보다는 작지만 아주 짧은 시간 동안에 순간 피크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이 배터리보다 수백 배 이상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점을 차량의 배터리에 적용하면 약 수 초 이내에 발생하는 순간전압 강하를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민감 부하에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전력의 안정화를 도모함은 물론 배터리를 어시스트하여 그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는 수 패러드(F)에서 수천 패러드의 큰 정전용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충전 시 수십에서 수천 암페어(A)의 전류가 흐르게 되어 순간적으로 전압 강하될 뿐 아니라 발전기의 과부하로 인한 배터리 충전전압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어 있어서 출력과 소음감소는 향상되나, 연비향상은 거의 개선되지 않는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결국, 종래 고용량 커패시터를 단순하게 이용한 전원 안정화 장치는, 오히려 배터리나 발전기에 발전 과부하를 발생시켜 연비 향상에 악영향을 주기 때문에 대부분 고용량의 커패시터를 이용하지 못하고 소용량의 커패시터를 이용하고 있는데, 소용량의 커패시터는 자동차의 ECU가 학습한 다음에 연료량을 정하기 때문에 전압이 순간적으로 강하될 때는 연비향상이나 성능개선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 주행 시 발전기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고용량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를 신속히 방전하여 전력을 보상토록 하여 주되,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정 전력 펄스 충전방식으로 수행하여 충전 시 발생되는 발전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전압의 불안정을 방지하고, 또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를 충전할 때 차량의 전기부하로 인해 배터리단자의 전압이 낮아질 경우에는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일시 중단하고 충전된 전류를 방전하여 차량 전기부하에 전력을 보상해 줌으로써, 전압강하와 같은 전력공급의 불안정한 상태를 실시간 전력 보상해 주게 되어 차량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일시적인 감속현상을 방지하여 주행성 향상은 물론 연비개선 및 각종 전기구동장치부품들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향상시킨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와, 상기 발전기 및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 전기부하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에 병렬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며 저용량의 전력을 보상하는 제1 EDLC모듈과, 상기 배터리에 병렬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되, 고용량의 전력을 보상하는 제2 EDLC모듈과, 상기 발전기 및 배터리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본 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와, 상기 제2 EDLC모듈과 접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EDLC모듈의 충방전 동작을 단속 제어하는 충방전 연결 스위치부와, 상기 제2 EDLC모듈의 충전 동작시 정 전력 충전이 되도록 제어하는 정전력 충전스위치부와, 상기 제2 EDLC모듈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는 EDLC모듈 전압검출부와, 상기 제2 EDLC모듈의 방전동작을 검출하는 방전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를 통해서 검출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제2 EDLC모듈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거나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단선시켜 충방전 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와,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고, 상기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과 EDLC 전압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제2EDLC모듈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연결시켜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와,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고, 상기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이거나 상기 충전대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과 EDLC 전압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제2EDLC모듈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이 일정전압 전위차가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정전력 충전모드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배터리 전압검출부를 통해 배터리의 단자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는 제1과정과, 제어부가 EDLC 전압검출부를 통해 제2 EDLC모듈의 충전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는 제2과정과, 제어부가 온도감지부를 통해 상기 제2 EDLC모듈의 주변 온도를 검출 및 저장하는 제3과정과,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를 통해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이라면, 제어부가 상기 제2 EDLC모듈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값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상기 제2 EDLC모듈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값 이하가 아니라면 제어부가 표시부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상기 제2 EDLC모듈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 값 이하이면 제어부가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하는 제7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제어부가 표시부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제8과정과, 상기 제7과정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상기 제어부가 현재 충전대기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9과정과, 상기 제9과정에서 현재 충전대기모드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가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10과정과, 상기 제10과정에서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가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11과정과, 상기 제10과정에서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거나, 상기 제11과정에서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다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단선시켜 충방전 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를 수행하는 제12과정과, 상기 제9과정에서 충전대기모드이거나, 상기 제10과정에서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았거나, 상기 제11과정에서 배터리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지 않았다면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3과정과, 상기 제13과정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4과정과, 상기 제13과정에서 상기 배터리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와 제2 EDLC모듈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주는 정 전력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제15과정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차량 주행 시 발전기와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경우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를 신속히 방전하여 전력을 보상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정 전력 펄스 충전방식으로 수행하여 충전 시 발생되는 발전기의 과부하에 따른 배터리의 전압의 불안정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를 충전할 때 차량의 전기부하로 인해 배터리단자의 전압이 낮아질 경우에는 고용량 커패시터의 충전을 일시 중단하고 충전된 전류를 방전하여 차량 전기부하에 전력을 보상하여 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 운행 시, 전압강하와 같은 전력공급의 불안정한 상태를 실시간 전력 보상해 주게 되어 차량의 출력을 향상시키고 일시적인 감속현상을 방지하여 주행성 향상은 물론 연비개선 및 각종 전기구동장치부품들의 성능과 수명을 크게 향상시킨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EDLC모듈의 회로도,
도 3은 상기 도 2의 보호회로의 상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의 주요부분의 출력 타이밍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의 흐름도,
도 6은 상기 도 5의 예비충전모드의 흐름도,
도 7은 상기 도 5의 정전력 충전모드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의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는,
차량의 발전기(10)와, 상기 발전기(10)에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20)와, 상기 발전기(10) 및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 전기부하(30)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에 병렬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며 저용량의 전력을 보상하는 제1 EDLC모듈(40)과, 상기 배터리(20)에 병렬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되, 고용량의 전력을 보상하는 제2 EDLC모듈(50)과, 차량시동 시 순간 전압강하에 따른 역전류 흐름을 차단하여 제어부(70)의 동작 전원을 안정하게 공급하여 주는 순간전압 강하 방지부(60)와, 상기 발전기(10) 및 배터리(2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본 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80)와, 상기 제2 EDLC모듈(50)과 접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방전 동작을 단속 제어하는 충방전 연결 스위치부(9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전 동작시 정 전력 충전이 되도록 스위칭 제어되는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는 EDLC모듈 전압검출부(11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방전동작을 검출하는 방전감지부(12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130)와, 각종 기능 설정키를 구비한 설정부(140)와, 각종 에러표시나 설정 값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터리(20)의 출력단에는 과전류보호소자(PS1), 다이오드(D0)(D1) 및 MPP콘덴서(C1)를 거쳐 제1 EDLC모듈(40)과 제2 EDLC모듈(50)이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과전류보호소자(PS1)는 상기 제1 EDLC모듈(40)과, 제2 EDLC모듈(50)의 충방전시 과전류가 흐르면 일시적으로 회로를 단선시켜주는 보호소자이고, 상기 다이오드(D0)는 서지전압방지, 다이오드(D1)는 역전압방지, MPP콘덴서(C1)는 고주파필터용으로 사용된다.
상기 제1 EDLC모듈(40) 및 제2 EDLC모듈(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고용량 커패시터(edlc 1~edlc n)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edlc 1~edlc n)에는 보호회로(P)가 각각 병렬로 연결되고 EDLC모듈 양단에 전해콘덴서(EC)가 연결된 구성이다.
상기 보호회로(P)는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이 정격을 초과하지 않도록 보호해 주는 회로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 EDLC모듈(40) 및 제2 EDLC모듈(50)은 발전기(10)와 배터리(20)의 전압으로 충전되고, 또 전력 보상 시 방전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데, 수 us ~ 수 ms는 저용량인 제1 EDLC모듈(40)이 담당하고, 수 ms ~ 수초는 고용량인 제2 EDLC모듈(50)이 담당하여 그 방전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보호회로(P)는 도 3에서와 같이, 비교기(COM)와, 저항(R10) 및 저항(R11)의 분압 전압이 비교전압으로 상기 비교기(COM)의 단자(+)에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제너다이오드(D8) 및 저항(R12)의 분압전압이 기준전압으로 상기 비교기(COM)의 단자(-)에 입력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COM)의 출력이 저항(R13)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이 저항(R14) 및 저항(R15)을 통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일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저항(R16)을 거쳐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4)(Q5)의 컬렉터단이 방전저항(R18)을 통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일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단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저항(R17)은 밸런스 저항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호회로(P)의 동작을 살펴본다.
먼저,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에 정상 전압, 예를 들어 2.5V 미만의 전압이 인가(또는 충전)되는 경우, 저항(R10) 및 저항(R11)의 분압 전압이 제너다이오드(Z8) 및 저항(R12)의 기준전압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COM)는 고전위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COM)의 고전위 출력에 따라 트랜지스터(Q3)는 턴온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의 턴온으로 트랜지스터(Q4)(Q5)는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전류는 저항(R15) 및 저항(R14)을 통해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 및 에미터간을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은 정상상태에서,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즉 2.5V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너다이오드(D8)가 도통되어 저항(R12)을 통한 기준전압이 저항(R10) 및 저항(R11)의 분압 전압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비교기(COM)는 저전위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기(COM)의 저전위 출력에 따라 트랜지스터(Q3)는 턴오프 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3)의 턴오프로 트랜지스터(Q4)(Q5)의 베이스단에는 고전위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4)(Q5)는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Q4)(Q5)의 턴온으로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에 걸린 과전압은 방전저항(R17)을 통해 신속하게 방전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정격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 ~ edlc n)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용량 커패시터의 소손을 방지하고 그 수명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순간전압 강하방지부(60)는 상기 배터리(20)의 출력단에 연결 구성되는 것으로, 역전류 흐름 차단용 다이오드(D2)(D3)와, 충전용 커패시터(C6)로 이루어진다.
상기 순간전압 강하방지부(60)는 차량 시동 시, 배터리(20)의 순간 전압 강하로 커패시터(C6)에 충전되어 있던 전압이 배터리(20)로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제어부(70)의 구동전압을 안정하게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 동작은, 상기 커패시터(C6)에 충전된 전압이 차량의 시동으로 배터리(20)로 역류되는 것을 다이오드(D2)(D3)가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는 저항(R8) 및 저항(R9)으로 구성되며,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70)로 입력하여 준다.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는 FET(Q1)로 구성된다.
상기 FET(Q1)는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일측단(-)과 접지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이 충전을 완료했거나 방전할 때 상기 FET(Q1)를 온(ON) 시켜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여준다.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는 저항(R3)과 FET(Q2)가 직렬 연결된 구성이다.
상기 저항(R3)과 FET(Q2)는 제2 EDLC모듈(50)의 일측(-)과 접지단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시킬 때 상기 FET(Q2)를 온(ON) 시켜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여주되, 충전 시 상기 배터리(20) 전압과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를 고려하여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안정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FET(Q2)를 정전력 펄스 스위칭방식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FET(Q2)를 구동하기 위한 정전력 펄스 스위칭방식은, 상기 배터리(20) 전압과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클수록 이에 비례하여 충전전류는 작아지도록 한 정 전력 충전을 위한 펄스 스위칭신호가 된다.
따라서 상기 FET(Q2)가 펄스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 되면, 배터리(20)의 전류가 상기 FET(Q2) 및 저항(R3)을 통해 제2 EDLC모듈(50)로 흐르게 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은 정 전력으로 충전되어 진다.
또한,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와 제2 EDLC모듈(50) 사이에는 과전류보호소자(PS2)가 개재되어 제2 EDLC모듈(50)에 과전류가 흐를시 라인을 단선(open)시켜 제2 EDLC모듈(50)의 충전 과부하와 발전기(10)의 과부하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EDLC 전압검출부(110)는 저항(R4) 및 저항(R5)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하여 준다.
상기 방전감지부(120)는 저항(R6)(R7), 다이오드(D5~D7), 커패시터(C4)로 구성되어, 제2 EDLC모듈(50)이 방전될 때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70)로 입력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방전감지부(120)를 살펴보면, 먼저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가 오프상태로 충전 또는 방전 상태가 아닐 때에는 다이오드(D5)의 포워드 전압에 의해 제어부(70)로는 0.5V의 신호가 입력된다. 그러나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가 오프상태, 또는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를 통해 충전 동작(펄스 스위칭 신호)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제2 EDLC모듈(50)이 방전되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5)의 캐소우드단이 마이너스(-)전압으로 인가되면서 제어부(70)로는 0.5V이하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제어부(70)는 현재 제2 EDLC모듈(50)이 방전되는 중임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D6)(D7)는 서지보호 소자이고, 커패시터(C4)는 노이즈 방지소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제2 EDLC모듈(50)과 접지단 사이에는 다이오드(D4)와 저항(R1)이 각각 개재되며, 여기서 상기 다이오드(D4)는 제2 EDLC모듈(50)로부터 큰 전류의 방전 시 전류 흐름을 유도하는 소자이고, 상기 저항(R1)은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가 오프상태에서 제2 EDLC모듈(50)로부터 작은 충방전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는 소자이다.
미 설명 부호 커패시터(C2,C3)는 노이즈 제거용 소자이다.
이하 상기 제어부(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70)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본 장치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소자로, 다음과 같은 <충전대기모드>, <충방전모드> 및 <정전력충전모드>의 제어를 수행한다.
<충전대기모드>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서 검출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제2 EDLC모듈(50)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배터리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예: 0.2~0.3V) 이상 상승하거나 일정값(예: 0.5V) 이하 급강하 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모두 오프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 충방전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충전대기모드는 배터리(20)의 현재 전압이 배터리(20)의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거나, 일정값 이하 급하강 할 때,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분리하여 순간적으로 과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전기(1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데 있다.
여기서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전압이라 함은, 배터리(20)의 전압이 정격 전압 대비 과충전 상태이거나, 방전종지전압 이하의 전압이 아닌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즉 배터리(20)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배터리(20)의 이전 단자전압이라 함은, 현재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검출하기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말하는 것으로, 초기 전원 인가시에 검출된 배터리 단자전압을 시작으로 주행 중 변화되는 배터리 단자전압 중, 현재 검출한 배터리 단자전압의 이전에 저장된 배터리 단자 전압을 말한다.
<충방전모드>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고,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는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모두 온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를 수행한다.
<정전력 충전모드>
또한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고,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지않고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이거나 상기 충전대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를 오프시켜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하여 이에 FET(Q2)가 스위칭 구동되는 정 전력 충전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정전력 충전모드의 구동 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전위차가 같아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모두 온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준다.
또한, 상기 정 전력 충전모드 구동제어 중에,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방전감지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값을 검출하여,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되는 동작이 검출되면,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배터리(20) 전압보다 더 높게 충전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모두 온시킴으로써,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준다.
도 4에는, 일례로, 배터리(20)의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급하강 되었을 경우의 제어방법에 따른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통해 설명하면,
시점(t0~t1)의 구간은 배터리(20)의 단자 전압(V1)과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V2)이 동일한 정상상태(충전완료)로,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가 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준다.(도 4 (A)(B)파형) <충방전모드>
따라서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은 폐회로를 이루게 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충전된 전압은 상기 배터리(20) 전압 변동에 따라 그때그때 전력을 보상해 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배터리(20)의 단자 전압(V1)이 일정 전압 이하로 급격히 낮아지는 경우, 즉 시점(t1)에서, 배터리 전압검출부(80)로부터 입력되는 값이 낮아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FET(Q1) 및 FET(Q2)가 오프상태가 되도록 하여준다. 따라서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은 단선되어 충전 대기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충전대기모드>
여기서 도 4의 파형도에는 배터리(20)의 전압이 단자전압이 일정 기준전압 이하로 급격히 떨어지는 파형만을 도시하였으나,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일정 전압 이상을 상승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제어를 수행하여 충전대기모드로 진행한다.
이와 같은 충전대기모드는 배터리(20)의 전압이 어떤 전기부하(30)의 환경적 요인으로 급격히 상승하거나 저하될 때 제2 EDLC모듈(50)의 충전동작을 일시 차단함으로써 발전기(10)의 과부하를 방지하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 시점(t1)에서, 상기 FET(Q1) 및 FET(Q2)가 오프상태가 된 이후에는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류는 방전 저항(R1)을 통해 소량 방전된다.
이후, 시점(t3)에서,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V2)이 낮아지면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다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온시켜 준다. <충방전 모드>
이후,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V2)은 배터리(20)로 신속하게 방전되고 발전기(10)의 전압 제공으로 시점(t4)에서는 배터리(20)의 전압은 다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상승하는 시점(t4)에서, 상기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오프시켜 준다.
이후, 배터리(20)의 전압이 다시 상승하여 정상 기준전압 상태로 되는 시점(t5)이 도래하면, 제어부(100)는 제2 EDLC모듈(50)을 다시 충전시켜 주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충전을 수행하는 방법은, t5~t6 구간에서처럼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양단전압 전위차를 고려하여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안정된 정전력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를 정전력 펄스 스위칭방식으로 구동시키게 되는데,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는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은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배터리(20) 단자전압(V1)과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V2)의 전위차가 클수록 이에 비례하여 충전전류는 적어지도록 정 전력 충전을 위한 펄스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 EDLC모듈(50)에는 급격한 충전이 아닌 안정적인 정전력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준다.<정전력 충전모드>
이후,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이 배터리(20)의 전압과 같아지는 시점(t6)에서는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FET(Q1) 및 FET(Q2)를 온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은,
제어부(70)가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는 제1과정(S10)과, 제어부(70)가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는 제2과정(S20)과, 제어부(70)가 온도감지부(130)를 통해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를 검출 및 저장하는 제3과정(S30)과, 제어부(70)가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4과정(S40)과, 상기 제4과정(S40)에서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이라면, 제어부(70)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값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5과정(S50)과, 상기 제5과정(S50)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값 이하가 아니라면 제어부(70)가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제6과정(S60)과, 상기 제5과정(S50)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 값 이하이면 제어부(70)가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하는 제7과정(S70)과, 상기 제7과정(S7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제어부(70)가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제8과정(S80)과, 상기 제7과정(S7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상기 제어부(70)가 현재 충전대기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9과정(S90)과, 상기 제9과정(S90)에서 현재 충전대기모드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가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10과정(S100)과, 상기 제10과정(S10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70)가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11과정(S110)과, 상기 제10과정(S10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거나, 상기 제11과정(S11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다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 충방전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를 수행하는 제12과정(S120)과, 상기 제9과정(S90)에서 충전대기모드이거나, 상기 제10과정(S10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고, 상기 제11과정(S11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지 않았다면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3과정(S130)과, 상기 제13과정(S13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없다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4과정(S140)과, 상기 제13과정(S13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주는 정 전력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제15과정(S15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4과정(S40)에는,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이 아니라면, 예비충전모드로 진행하는 제16과정(S16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4과정(S40)에서, 차량 엔진의 가동 여부는,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서 감지하게 되는데, 먼저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의 배터리(20) 단자전압은 약 2.1V×셀수의 값이 되나, 시동이 걸리게 되면 시동 초기 시에 전압 강하 등 전압 불안정 타임이 있지만은 시동이 걸리면서 발전기(10)가 구동되어 배터리(20)의 충전전압은 약 2.1V×셀수의 7~15%가 상승된다. 약 0.9~2V가 발전기(10)에 의해 공급되어지는 것이다.
이런 전압의 차이를 검출하여 현재 엔진이 기동 상태인가 아니면 시동 전 인가를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예비충전모드인 제16과정(S160)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1)와, 상기 단계(S161)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표시부(150)로 출력하는 단계(S162)와, 상기 단계(S161)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3)와, 상기 단계(S163)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차단하여 주는 단계(S164)와, 상기 단계(S163)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차단하여 주는 단계(S165)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자면,
상기 정전력 충전모드인 제15과정(S150)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을 오프하는 단계(S151)와,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 전압의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하여 FET(Q2)를 스위칭 구동하는 단계(S152)와, 상기 제어부(70)가 방전감지부(120)를 통해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53)와, 상기 단계(S153)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중이 아니라면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충전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54)와, 상기 단계(S153)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중이거나, 상기 단계(S154)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충전이 완료되었다면 제어부(70)가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주는 단계(S15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의 전체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본 장치에 배터리(20)의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은 과전류보호소자(PS1), 다이오드(D0)(D1) 및 MPP콘덴서(C1)를 거쳐 제1 EDLC모듈(40) 및 제2 EDLC모듈(50)에 인가되고, 동시에 순간전압강하 방지부(60) 및 레귤레이터(REG1)를 거쳐 제어부(70)에 구동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0)가 초기화되면, 상기 제어부(70)는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검출 및 저장한다.(S10)
그리고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검출한다.(S20) 여기서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은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입력된 전압과, 상기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입력된 값을 이용하여 두 전압의 차이로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온도감지부(130)를 통해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를 검출 및 저장한다.(S30)
*이와 같은, 검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검출된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통해 현재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엔진 시동 전후를 판단하는 것이다.(S40)
여기에서, 현재 엔진이 가동 중이면, 상기 온도감지부(130)를 통해 검출된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 값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 이하값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어려운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70)는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고 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50)(S60)
그러나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 이하 값이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한다.(S70)
여기서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전압이라 함은, 배터리(20)의 전압이 정격 전압대비 과충전 상태이거나, 방전종지전압 이하의 전압이 아닌 상태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어려운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70)는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고, 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80)
그러나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상기 제어부(70)는 현재 충전대기모드인가를 판단한다.(S90)
여기서 현재 충전대기모드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가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거나, 또는 일정 전압값 이하 급하강 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거나,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다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 충방전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를 수행한다.(S100~S120)
그러나 상기 충전대기모드 중이거나,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았거나, 일정 값 이하 급하강 하지 않았다면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발생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30)
이때,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발생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FET(Q1) 및 FET(Q2)는 온되어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를 수행한다.(S140)
그러나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일정 전압 이상)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를 오프시켜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FET(Q2)는 정 전력 펄스 스위칭 신호에 의해 온오프 동작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은 충전이 개시되며, 이후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과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같아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모두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이 연결되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준다.
이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주는 정 전력 충전모드를 수행한다.(S150)
이와 같은 동작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서 감지된 배터리(20) 단자전압을 통해 차량 엔진이 시동이 걸리지 않은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예비충전모드를 수행하게 된다.(S160)
상기 예비충전모드는 차량엔진의 시동 전, 배터리(20)에 있는 전압을 제2 EDLC모듈(50)로 미리 충전하여 두기 위한 동작이다.
따라서 이의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70)는 엔진이 가동 중이 아닌 경우,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한다.(S161)
여기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어려운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70)는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고 기기의 동작을 중지시킨다.(S162)
그러나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입력된 배터리(20) 단자전압과 EDLC전압검출부(110)를 통해 입력된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를 비교한다.(S163)
이때,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차단하여 주어 대기상태를 유지한다.(S164)
그러나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차단하여 주어 대기상태를 유지하여 주는 것이다.(S165)
본 발명에 따르자면, 엔진이 가동 중이 아닐 때에도 배터리의 전압이 정상 전압이라면 미리 예비 충전을 수행하여, 차량 운행 시 배터리의 전력 보상을 매우 신속하게 수행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4)

  1. 차량의 발전기(10)와, 상기 발전기(10)에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20)와, 상기 발전기(10) 및 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차량 전기부하(30)를 포함하는 차량의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에 병렬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며 저용량의 전력을 보상하는 제1 EDLC모듈(40)과, 상기 배터리(20)에 병렬 연결되어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되, 고용량의 전력을 보상하는 제2 EDLC모듈(50)과, 상기 발전기(10) 및 배터리(20)로부터 동작 전원을 공급받고 본 장치의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70)와,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검출부(80)와, 상기 제2 EDLC모듈(50)과 접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방전 동작을 단속 제어하는 충방전 연결 스위치부(9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전 동작시 정 전력 충전이 되도록 제어하는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충전 전압을 검출하는 EDLC모듈 전압검출부(110)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방전동작을 검출하는 방전감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서 검출된 상기 배터리(20)의 전압이 제2 EDLC모듈(50)로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였거나 일정값 이하 급강하한 경우, 상기 제어부(70)는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 충방전 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와,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고,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없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시켜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와,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고, 상기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값 이상 상승하지 않고 일정값 이하 급강하 하지 않은 정상 상태의 경우이거나 상기 충전대기 모드인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검출된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이 일정 전압 전위차가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하는 정전력 충전모드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EDLC모듈(40) 및 제2 EDLC모듈(50)은, 복수개의 고용량 커패시터(edlc 1~edlc n)가 직렬 연결되고,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edlc 1~edlc n)에는 보호회로(P)가 각각 병렬 연결되고, 상기 고용량 커패시터(edlc 1~edlc n)의 양단에 전해콘덴서(EC)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회로(P)는 비교기(COM)와, 저항(R10) 및 저항(R11)의 분압 전압이 비교전압으로 상기 비교기(COM)의 단자(+)에 입력되도록 연결되고, 제너다이오드(D8) 및 저항(R12)의 분압전압이 기준전압으로 상기 비교기(COM)의 단자(-)에 입력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비교기(COM)의 출력이 저항(R13)을 거쳐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컬렉터단이 저항(R14) 및 저항(R15)을 통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일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와 저항(R16)을 거쳐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상기 트랜지스터(Q4)(Q5)의 컬렉터단이 방전저항(R18)을 통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일단(+)에 연결됨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단이 고용량 커패시터(edlc 1)의 일단(-)에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의 공급전원 단과 제어부(70) 사이에는 다이오드(D2)(D3) 및 커패시터(C6)로 이루어진 순간전압 강하 방지부(60)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는 FET(Q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는 저항(R3)과 FET(Q2)가 직렬연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감지부(120)는 저항(R6~R7), 다이오드(D5~D7), 커패시터(C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에는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감지부(130)와, 각종 기능 설정키를 구비한 설정부(140)와, 각종 에러표시나 설정 값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50)가 더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20)와 제1EDLC모듈(40) 사이에는 과전류보호소자(PS1)가 더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EDLC모듈(50)과 접지단 사이에는 다이오드(D4)와 저항(R1)이 각각 개재되어, 제2 EDLC모듈(50)로부터 큰 전류의 방전 시나 작은 충방전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와 제2 EDLC모듈(50) 사이에는 과전류보호소자(PS2)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12. 차량의 발전기(10)와, 배터리(20)와, 차량 전기부하(30)와, 제1 EDLC모듈(40)과, 제2 EDLC모듈(50)과, 제어부(70)와, 배터리 전압검출부(80)와, 충방전 연결 스위치부(90)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와, EDLC모듈 전압검출부(110)와, 방전감지부(120)와, 온도감지부(130)와, 설정부(140)와,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에 적용되는 전력보상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가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는 제1과정(S10)과, 제어부(70)가 EDLC 전압검출부(110)를 통해 제2 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검출 및 저장하는 제2과정(S20)과, 제어부(70)가 온도감지부(130)를 통해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를 검출 및 저장하는 제3과정(S30)과, 제어부(70)가 상기 배터리 전압검출부(80)를 통해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인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4과정(S40)과, 상기 제4과정(S40)에서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이라면, 제어부(70)가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값 이하인가를 판단하는 제5과정(S50)과, 상기 제5과정(S50)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값 이하가 아니라면 제어부(70)가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제6과정(S60)과, 상기 제5과정(S50)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의 주변 온도가 허용 온도 값 이하이면 제어부(70)가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하는 제7과정(S70)과, 상기 제7과정(S7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제어부(70)가 표시부(150)로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출력하는 제8과정(S80)과, 상기 제7과정(S7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상기 제어부(70)가 현재 충전대기모드인가를 판단하는 제9과정(S90)과, 상기 제9과정(S90)에서 현재 충전대기모드가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가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10과정(S100)과, 상기 제10과정(S10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70)가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는가를 판단하는 제11과정(S110)과, 상기 제10과정(S10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였거나, 상기 제11과정(S11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였다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와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 충방전 동작을 임시 차단하는 충전대기모드를 수행하는 제12과정(S120)과, 상기 제9과정(S90)에서 충전대기모드이거나, 상기 제10과정(S10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상 상승하지 않았고, 상기 제11과정(S110)에서 배터리(20)의 현재 단자전압이 이전 단자전압 보다 일정 값 이하 급하강하지 않았다면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제13과정(S130)과, 상기 제13과정(S13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방전 모드를 수행하는 제14과정(S140)과, 상기 제13과정(S130)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정상적인 충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주는 정 전력 충전모드를 수행하는 제15과정(S150)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S40)에는, 차량 엔진이 가동 중이 아니라면 예비충전모드로 진행하는 제16과정(S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예비충전모드는,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1)와, 상기 단계(S161)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 아니라면 이에 따른 에러표시를 표시부(150)로 출력하는 단계(S162)와, 상기 단계(S161)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이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정상 기준 전압이라면,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을 비교하여 이 값들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63)와, 상기 단계(S163)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 아니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차단하여 주는 단계(S164)와, 상기 단계(S163)에서 상기 배터리(20)의 단자전압과 제2EDLC모듈(50)의 충전전압의 전위차가 일정 전압 이상이라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단선시켜주고,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는 상기 검출된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한 후,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의 사이의 전위차가 없어지면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차단하여 주는 단계(S16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5과정(S150)인 정전력 충전모드는,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로 로우신호를 출력하여 FET(Q1)을 오프하는 단계(S151)와, 상기 제어부(70)가 상기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 전압의 전위차에 비례하는 정전력으로 상기 제2 EDLC모듈(50)을 충전하기 위하여 정전력 펄스신호를 출력하여 FET(Q2)를 스위칭 구동하는 단계(S152)와, 상기 제어부(70)가 방전감지부(120)를 통해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중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53)와, 상기 단계(S153)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중이 아니라면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충전이 완료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54)와, 상기 단계(S153)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이 방전중이거나, 상기 단계(S154)에서 상기 제2 EDLC모듈(50)에 충전이 완료되었다면 제어부(70)가 상기 충방전 연결스위치부(90) 및 정전력 충전스위치부(100)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배터리(20)와 제2 EDLC모듈(50)을 연결하여 주는 단계(S1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방법.
PCT/KR2010/008755 2010-04-01 2010-12-08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WO2011122756A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A2794476A CA2794476C (en) 2010-04-01 2010-12-08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e power of an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capacity capacitor
RU2012137171/07A RU2521589C1 (ru) 2010-04-01 2010-12-08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компенсации мощности устройства энергопитани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посредством конденсатора высокой емкости
BR112012024847A BR112012024847A2 (pt) 2010-04-01 2010-12-08 Aparelho e método para compensar a potência de um dispositivo de alimentação de energia de um veículo.
US13/637,746 US9184621B2 (en) 2010-04-01 2010-12-08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power of power supply device in vehicle using high-capacitance capacitor
AU2010350279A AU2010350279B2 (en) 2010-04-01 2010-12-08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the power of an electric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capacity capacitor
JP2013501175A JP5463604B2 (ja) 2010-04-01 2010-12-08 高容量コンデンサを用いた車両電気負荷の電力補償装置及び方法
CN201080065220.2A CN102918743B (zh) 2010-04-01 2010-12-08 利用高容量电容器的车辆电气负载的电力补偿装置及方法
EP10849078.0A EP2555373A4 (en) 2010-04-01 2010-12-08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THE POWER OF AN ELECTRICAL LOAD OF A VEHICLE USING A HIGH CAPACITOR CAPACI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095A KR100973142B1 (ko) 2010-04-01 2010-04-01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KR10-2010-0030095 2010-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756A1 true WO2011122756A1 (ko) 2011-10-06

Family

ID=42646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8755 WO2011122756A1 (ko) 2010-04-01 2010-12-08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184621B2 (ko)
EP (1) EP2555373A4 (ko)
JP (1) JP5463604B2 (ko)
KR (1) KR100973142B1 (ko)
CN (1) CN102918743B (ko)
AU (1) AU2010350279B2 (ko)
BR (1) BR112012024847A2 (ko)
CA (1) CA2794476C (ko)
RU (1) RU2521589C1 (ko)
WO (1) WO201112275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9839A (zh) * 2014-01-24 2014-05-07 南京邮电大学 一种采用可充电电池供电的自关断启动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42284A1 (en) * 2011-09-21 2015-02-12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battery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battery
ITMI20130182A1 (it) * 2013-02-08 2014-08-09 Maurizio Egidio Brioschi Sistema per la distribuzione e l'accumulo di energia elettrica
US9267996B2 (en) * 2013-03-14 2016-0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estimating voltage of a battery element
JP6470501B2 (ja) * 2014-04-18 2019-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負荷駆動回路
KR101618444B1 (ko) 2014-07-28 2016-05-09 현대로템 주식회사 차량용 발전계통 과부하시 전력변환장치의 출력전압 조정방법
KR102336856B1 (ko) * 2014-11-13 2021-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배터리 충방전 제어 방법
CN104599850B (zh) * 2014-12-30 2017-10-1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充电方法及装置
KR102334713B1 (ko) * 2015-03-05 2021-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GB2538079A (en) * 2015-05-05 2016-11-09 Control Techniques Ltd Low capacitance drive with improved immunity
JP7089496B2 (ja) * 2019-08-20 2022-06-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源制御システム、車両用電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478419A (zh) * 2020-03-18 2020-07-31 宁波吉利汽车研究开发有限公司 一种超级电容的充电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308A (ko) * 1998-02-06 1999-09-06 최성규 자동차 전원 회로의 입력 전원 안정화 회로
KR20020091472A (ko) * 2001-05-30 2002-12-06 전윤수 차량 배터리의 전압 안정화를 통한 엔진효율 향상 장치 및그 향상방법
KR20040047222A (ko) * 2002-11-29 2004-06-05 우경식 차량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방법
JP2008193795A (ja) * 2007-02-05 2008-08-21 Meidensha Corp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充電制御機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22314A (ja) * 1996-05-31 1997-12-12 Isuzu Motors Ltd 電気自動車電源制御装置
RU2144869C1 (ru) * 1998-10-26 2000-01-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ационная электроника 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Система энергопит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электромобиля
JP2002266730A (ja) * 2001-03-08 2002-09-18 Nippon Avionics Co Ltd エンジン起動装置
DE10213105A1 (de) * 2001-03-31 2002-11-07 Heinz Leiber Antrieb für ein Kraftfahrzeug
JP3896258B2 (ja) * 2001-04-25 2007-03-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電源装置
JP2003116232A (ja) * 2001-10-04 2003-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源装置
DE10305058B3 (de) * 2003-02-07 2004-03-25 Daimlerchrysler Ag Energieversorgungsschaltung für ein Kraftfahrzeug-Bordnetz
EP1661226A4 (en) * 2003-06-30 2007-07-04 Maxwell Technologies Inc FAST CHARGER FOR ULTRACORPONDENSORS
JP2005094917A (ja) * 2003-09-17 2005-04-0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システム
WO2005069321A1 (ja) * 2004-01-19 2005-07-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及びその製造方法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RU39542U1 (ru) * 2004-04-02 2004-08-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ационная электроника 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Система энергопит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40264U1 (ru) * 2004-05-05 2004-09-10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иационная электроника и 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итани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DE102004062938A1 (de) * 2004-12-28 2006-07-13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s Hybridenergiespeichers in einem Fahrzeug mit einem Hybridantriebsystem
CN100554984C (zh) * 2005-08-25 2009-10-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压监视装置及使用此电压监视装置的蓄电装置
JP4702368B2 (ja) * 2005-08-31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両用補助電源とそれを用いた車両用充放電装置
FR2893770B1 (fr) * 2005-11-24 2008-08-29 Valeo Equip Electr Moteur Dispositif de gestion d'alimentation d'un reseau de consommateurs pour vehicule automobile
JP4572840B2 (ja) * 2006-02-10 2010-11-04 株式会社明電舎 直流電力貯蔵装置
US8482263B2 (en) * 2008-08-01 2013-07-09 Logitech Europe S.A. Rapid transfer of stored energy
WO2010026715A1 (ja) * 2008-09-08 2010-03-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電源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9308A (ko) * 1998-02-06 1999-09-06 최성규 자동차 전원 회로의 입력 전원 안정화 회로
KR20020091472A (ko) * 2001-05-30 2002-12-06 전윤수 차량 배터리의 전압 안정화를 통한 엔진효율 향상 장치 및그 향상방법
KR20040047222A (ko) * 2002-11-29 2004-06-05 우경식 차량 배터리의 충방전 효율 안정화 장치 및 안정화 방법
JP2008193795A (ja) * 2007-02-05 2008-08-21 Meidensha Corp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の充電制御機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555373A4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9839A (zh) * 2014-01-24 2014-05-07 南京邮电大学 一种采用可充电电池供电的自关断启动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84621B2 (en) 2015-11-10
RU2012137171A (ru) 2014-05-20
CA2794476A1 (en) 2011-10-06
CN102918743A (zh) 2013-02-06
EP2555373A4 (en) 2015-10-14
CA2794476C (en) 2016-02-16
AU2010350279A1 (en) 2012-10-25
EP2555373A1 (en) 2013-02-06
AU2010350279B2 (en) 2014-06-12
RU2521589C1 (ru) 2014-06-27
KR100973142B1 (ko) 2010-07-29
BR112012024847A2 (pt) 2017-10-03
CN102918743B (zh) 2015-01-14
JP2013521757A (ja) 2013-06-10
JP5463604B2 (ja) 2014-04-09
US20130015701A1 (en) 201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122756A1 (ko) 고용량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 전기부하의 전력보상장치 및 방법
WO2017082705A1 (ko) 이차 전지의 출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9151779A1 (ko) 프리차지 저항 보호 장치
WO2017222186A1 (ko) 전기 자동차용 구동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CN101174770B (zh) 充电保护装置
WO2015126036A1 (ko) 전류 측정을 통한 배터리 랙 파손 방지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8021664A1 (ko)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및 방법
WO2019059567A1 (ko) 배터리 관리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자동차
KR101489563B1 (ko) 역접속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예비 전원 공급장치
WO2018056504A1 (ko) 독립형 마이크로그리드의 주파수 제어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용 전력변환장치
WO2020226441A1 (ko) 배터리 컨트롤러, 무선 배터리 제어 시스템, 배터리 팩 및 배터리 밸런싱 방법
CN101119020A (zh) 一种终端设备充电过压保护装置及其方法
KR20010009240A (ko)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 팩 충전 장치 및 방법
WO2014030914A1 (ko) 전기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및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기자동차용 에너지 시스템의 작동 방법
WO2021054716A1 (ko) 배터리 전압 데이터 및 온도 데이터를 이용한 이상 상태 사전 감지 시스템
WO2015069010A1 (ko) 무정전 직류전원장치
WO2018216899A1 (ko) 군용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JPH114548A (ja) 2次電池パック
WO2019093625A1 (ko)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21040217A1 (ko)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셀 안정화 방법 및 시스템
CN210927452U (zh) 一种缓启动电路
WO2020111899A1 (ko)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TWI437790B (zh) 湧入電流保護電路
CN111654078A (zh) 过压保护电路和过压保护器
WO2022114464A1 (ko) 직류/직류 컨버터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65220.2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9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7338/CHENP/2012

Country of ref document: IN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49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3501175

Country of ref document: JP

Ref document number: 20108490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012501875

Country of ref document: PH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794476

Country of ref document: C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6377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350279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01208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137171

Country of ref document: RU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2024847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2024847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2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