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90239A1 -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90239A1
WO2011090239A1 PCT/KR2010/003990 KR2010003990W WO2011090239A1 WO 2011090239 A1 WO2011090239 A1 WO 2011090239A1 KR 2010003990 W KR2010003990 W KR 2010003990W WO 2011090239 A1 WO2011090239 A1 WO 201109023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cpd
oil
fat
oils
fa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399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윤식
이상범
박승원
이강표
Original Assignee
씨제이 제일제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 제일제당(주) filed Critical 씨제이 제일제당(주)
Publication of WO201109023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902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DEDIBLE OILS OR FATS, e.g. MARGARINES,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0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 A23D9/02Other edible oils or fats, e.g. shortenings, cooking oil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ion or working-up
    • A23D9/04Working-u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1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of the means hereafter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008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filtration, e.g. including ultra filtration, dia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0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adsorp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3/00Refining fats or fatty oils
    • C11B3/12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distillation
    • C11B3/14Refining fats or fatty oils by distillation with the use of indifferent gases or vapours, e.g. stea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edible oi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edible oil with reduced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 of genotoxic or carcinogenic risk. It is about.
  • 3-MCPD-FS (3-chloro-1,2-propanediol forming substances) is a generic term for substances that produce 3-MCPD (3-chloro-1,2-propanediol).
  • 3-MCPD-FS in the form of fatty acids is detected.
  • Bound 3-MCPD refers to 3-MCPD fatty acid esters (monoesters and diesters with higher fatty acids), which are known to occur naturally in the manufacture or processing of foods containing fats and salts (sodium chloride). It is detected with 3-MCPD in a variety of foods, including breads (donuts), french fries, roasted coffee, and roasted malt. In addition, bound 3-MCPD is also detected in acid-mediated pickled olives and herring at low temperatures, particularly in vegetable fats and oils including refined olive oil (Seefelder, W. et al.
  • 3-MCPD is a colorless or pale yellow chemical of chloropropanol, which is produced by the reaction of trace amounts of glycerin with hydrochloric acid when hydrolyzable fat is hydrolyzed to glycerin and fatty acids when vegetable proteins are broken down into amino acids and fats. It is a kind. Although it is known that 3-MCPD is not carcinogenic to humans, animal experiments have shown the possibility of reducing fertility and sperm production and genotoxicity (Hamlet, CG et al., Chloropropanols and Chloroesters, in Process-Induced Food). Toxicants: Occurrence, Formation, Mitigation, and Health Risks, edited by Richard H. Stadler and David R.
  • Bound glycidol is a combination of one fatty acid in a glycidol substance, and the safety of the bound glycidol itself is not clear at present, but it may be digested and degraded in the body to release glycidol. Glycidol is classified as a carcinogenic risk to humans by the 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IARC), and the safety of the combined glycidol contained in processed foods, especially in Europe and Japan. Discussion is underway. Currently, in the case of bound glycidol included in foods, there is no known method for analyzing glycidol alone, and a method of converting glycidol to 3-MCPD and calculating the total amount of 3-MCPD is used.
  • IARC 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 1,3 or 1,2-diacylglycerol is produced by reaction of triacylglycerol and salt by heating during food manufacturing process and is an intermediate of cyclicacyloxonium 1,2-diacylchloropropane-1,2-diol, which is a 3-MCPD bound type, by hydrolysis and chlorine substitution through ions Hydrolysis reaction to produce 1 or 2-acyl-3-chloropropane-1,2-diol (1 or 2-acyl-3-chloropropane-1,2-diol), followed by hydrolysis reaction.
  • 3-MCPD The reaction scheme of the production mechanism of 3-MCPD-FS is shown in FIG.
  • 3-chloro-1,2-propanediol may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of hydrochloric acid in the production of acid-decomposed soy sauce, which is produced by hydrolyzing some foods, especially animal and plant proteins with hydrochloric acid.
  • a method of preparing soy sauce with a minimum content of (MCPD) is know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999-0075193).
  • no method of reducing 3-MCPD-FS in edible oil or fat is known at all.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o prepare edible oils with reduced amount of 3-MCPD-FS, which may be harmful to the human body.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a method of reducing 3-MCPD-FS in edible oils using an adsorbent. This completes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dible fat with reduced 3-MCPD-FS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 reduced edible fats and oils, which is treated by adding an adsorbent to the refined fats and oils which have been deodorized and then filtered.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edible oils with reduced 3-MCPD-FS prepared according to the above production method.
  •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 reduced edible fats and oils, which is treated by adding an adsorbent to the refined fats and oils which have been deodorized and then filtered. It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 the refined fats and oils may be vegetable oils, for example, soybean oil, corn oil, rapeseed oil, rice bran oil, safflower oil, sunflower oil, cottonseed oil, peanut oil, olive oil, palm oil, palm oil, processed oil, or a combination thereof. It is not limited to this.
  • the adsorbent used in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dible fat and oil is food acceptable and can be used any adsorbent that can adsorb 3-MCPD-FS without degrading the quality of edible fat, acidic clay, activated carbon, Diatomaceous earth, or a combination thereof may be used.
  • diatomaceous earth may be used to reduce the quality of fats and oils by darkening the color of fats and oils
  • the adsorbent is preferably acidic clay, activated carbon,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adsorbent may be used in a content of 0.5% by weight or more and 5.0% by weight or less of the refined fats and oils, if it does not fall within the above ranges may not sufficiently reduce 3-MCPD-FS, the above ranges If it overflows, the economy may be inferior to the effect.
  • an adsorbent is added to the refined oils and oils subjected to the deodorizing process, stirred at 25-100 ° C., and the adsorbents are filtered to prepare edible oils with reduced 3-MCPD-FS.
  • the stirring temperature may be carried out at 30-90 °C.
  • the 3-MCPD-FS reduction effect tends to increase.
  • the 3-MCPD-FS reduction effect may be lowered.
  • the preparation of edible oil and fat is completed by passing the adsorption process by the adsorbent and the filtration process of the adsorbent in the refined fat and oil having undergone the deodorization process, and the conventional purification process of the edible fat and oil before the deodorization Can be rough.
  • Such conventional edible fat and oil purification procedures are well known in the art.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edible oi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dible fats and oils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edible fats and o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because the content of 3-MCPD-FS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dible fats and lower the risk that can be generated thereb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dible fats and oils reduced by 3-MCPD-FS prepa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edible oils and fats may contain 0.3 ppm or less of 3-MCPD-FS.
  • Figure 1 is a reaction scheme showing the production mechanism of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
  • FIG. 2 is a flowchart of a method of preparing edible o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results of GC / MS analysis of 3-MCPD-FS content in edible oils prepar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iacylglycerol-containing fat or oil composition is prepared by mixing fatty acids derived from soybean oil with glycerol according to the method of Examples 1 and 5 specifi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4-0079402 and using 1,3-position specific lipase under vacuum drying.
  • a liquid fat or oil composition containing a high diglyceride by carrying out an ester synthesis reaction, the diglyceride high fat or oil composition obtained here was subjected to molecular distillation, decolorization and deodorization, the final fat and oil composition is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 1-18 3-MCPD-FS Reduction Treatment According to Adsorbent Type
  • Acidic clay was used as the adsorbent, and cooking oil having reduced 3-MCPD-FS content was prepared while varying the reaction temperature.
  • the acidic clay (DC-SUPER, Donghae Chemical Co., Ltd., Korea) was added 2.0 wt% to the cooking oil (control group) deodorized at 240 ° C to prepare a high content of diacylglycerol, and 30 ° C (Example 19) and 50 ° C. (Example 20), 90 degreeC (Example 21), and 120 degreeC (Example 22) were stirred for 1 hour, respectively.
  • the adsorbent was then filtered to complete cooking oil with reduced 3-MCPD-FS content.
  • tBME t-butylmethylate
  • EA ethyl acetate
  • NaOCH sodium methoxide
  • phenylboronic acid 250 ul of phenylboronic acid, a derivatization reagent, is added to a water layer and reacted at 80 ° C. for 20 minutes. At this time, the standard derivatization is also performed. After cooling to room temperature and extracted with 3ml hexane, the hexane layer is analyzed by GC / MS. Quantitative analysis is 196m / z (3-MCPD) and 201m / z (3-MCPD- d 5) ion was used as the qualitative character is 147m / z (3-MCPD) and 150m / z (3-MCPD- d 5 Ion was used.
  • the purified edible oils obtained in Examples 1 to 18 were analyzed for 3-MCPD-FS content according to the 3-MCPD-FS content analysis metho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3-MCPD-FS content analysis for the purified edible oil obtained in Example 4 is shown in FIG.
  • the 3-MCPD-FS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3-MCPD-FS content increased, indicating that about 30-90 ° C. was the preferred temperature ra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Oils And Fat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취 공정을 거친 정제 유지에 흡착제를 가하여 처리한 다음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식용 유지에 비해 3-MCPD-FS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식용 유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3-MCPD-FS의 존재로 인해 우려되었던 유전 독성 및 발암성의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 식용 유지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전 독성 또는 발암 위험성이 있는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3-MCPD-FS(3-chloro-1,2-propanediol forming substances)란 3-MCPD(3-chloro-1,2-propanediol)를 생성하는 물질의 총칭으로서 크게 4 가지 종류의 물질, 즉 3-MCPD, 글리시돌(glycidol), 그리고 이들 물질에 지방산이 결합된 형태인 결합형 3-MCPD, 결합형 글리시돌이 이에 해당한다. 식용 유지에서는 지방산이 결합된 형태의 3-MCPD-FS가 검출된다.
결합형 3-MCPD는 3-MCPD 지방산 에스테르(monoesters and diesters with higher fatty acids)를 의미하는 것으로 지방과 소금(염화나트륨) 함유 식품의 제조 또는 가공 시에 자연적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자류(비스킷), 빵류(도넛), 감자튀김, 볶은 커피, 볶은 맥아 등 다양한 식품에서 3-MCPD와 함께 검출된다. 또한, 결합형 3-MCPD는 낮은 온도에서 산(acid)을 매개체로 가공된 절인 올리브나 청어 등에서도 검출되며, 특히, 정제 올리브유를 포함한 식물성 유지에서도 검출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Seefelder,W. et al., Esters of 3-Chloro-1,2-propanediol(3-MCPD) in Vegetable Oils: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of 3-MCPD, Food Additives & Contaminants. Part A, Chemistry, Analysis, Control, Exposure & Risk Assessment 4:391-400 (2008)). 결합형 3-MCPD의 독성과 체내에서의 생태학적 특성에 대하여 정확히 알려진 바는 없으나,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결합형 3-MCPD가 3-MCPD로 전환 가능성이 있기에 결합형 3-MCPD의 저감화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3-MCPD는 무색 또는 엷은 황색의 화학 물질로 식물성 단백질이 아미노산과 지방으로 분해될 때 잔존하는 지방이 글리세린과 지방산으로 가수분해되는 과정에서 미량의 글리세린이 염산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클로로프로판올류 계열의 일종이다. 3-MCPD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은 발암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동물실험에 의하면 불임이나 정자 생산의 감소 가능성과 유전 독성을 가지고 있다(Hamlet,C.G. et al., Chloropropanols and Chloroesters, in Process-Induced Food Toxicants: Occurrence, Formation, Mitigation, and Health Risks, edited by Richard H. Stadler and David R.Lineback, John Wiley & Sons, Inc., pp.175-214(2009)). 지난 1996년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남아의 여러 국가뿐만 아니라 서양의 여러 나라에서도 다량 소비되고 있는 인스턴트 면류의 스프 및 간장, 산분해-HVP 등에서 3-MCPD가 검출되어 문제화 되었으며, 간장에서의 3-MCPD 함유량을 EU가 0.02 ppm, 캐나다가 1.0 ppm, 오스트레일리아가 0.2 ppm, 국내에서는 0.3 ppm으로 제한하고 있다.
결합형 글리시돌이란 글리시돌이라는 물질에 지방산이 1개 결합된 것으로, 결합형 글리시돌 자체에 대한 안전성에 대해서는 현재 명확히 밝혀진게 없지만, 인체 내에서 소화 및 분해되어 글리시돌이 유리될 가능성이 있으며, 글리시돌은 국제암연구기관(IARC)에서 인체에 발암 위험성이 있음(2A군)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최근 유럽 및 일본을 중심으로 가공식품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결합형 글리시돌의 안전성에 대해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 식품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결합형 글리시돌의 경우, 글리시돌만을 분석하는 공인된 방법이 알려져 있지 않아 글리시돌을 3-MCPD로 전환시킨 후 3-MCPD의 총량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3-MCPD 함량의 10 ~ 60% 정도가 글리시돌로부터 유래한다고 보고되고 있다(ILSI Europe Report 2009, 3-MCPD esters in food products. in ILSI workshop, Brussels, Belgium). 이러한 유해성이 있거나 유해 가능성이 있는 3-MCPD-FS 물질의 생성 메커니즘은 아직 많은 종류의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으나, 2004년 HAMLET 등은 결합형 3-MCPD의 3-MCPD로의 전환 메커니즘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Hamlet C.G. et al, Generation of monochloropropanediols (MCPDs) in model dough systems. 1. Leavened doughs. Journal of Agriculture and Food Chemistry, 2004, 52, 20592066).
식품의 제조가공 과정에서 가열에 의한 트리아실글리세롤(triacylglycerol)과 소금의 반응으로 1,3 또는 1,2-디아실글리세롤(1,2-diacylglycerol)이 생성되고 중간체인 시클릭아실옥소늄(cyclicacyloxonium) 이온을 거쳐 가수분해 및 염소치환반응에 의해 결합형 3-MCPD인 1,2-디아실-3-클로로프로판-1,2-디올(1,2-diacylchloropropane-1,2-diol)등이 생성되고, 다시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1 또는 2-아실-3-클로로프로판-1,2-디올(1 or 2-acyl-3-chloropropane-1,2-diol)이 생성된 다음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3-MCPD로 전환된다. 이러한 3-MCPD-FS의 생성 기전의 반응식을 도 1에 나타내었다.
식용 유지의 경우는 정제 과정 중에서 높은 온도 조건에서 원료나 물에 포함되어 있는 미량의 염소 화합물들이 유지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높은 온도에서 수행하는 탈취 공정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제 유지에서 검출되는 3-MCPD-FS 함량은 0.3~13 ppm 수준이다(ILSI Europe Report 2009, 3-MCPD esters in food products. in ILSI workshop, Brussels, Belgium).
이러한 3-MCPD-FS의 유해성을 저감화하기 위해서 일부 식품 특히, 동·식물 단백질을 염산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제조하는 산분해간장 제조 시 염산의 농도를 조절하여 3-클로로-1,2-프로판디올(MCPD)의 함량을 최소화한 간장의 제조방법이 알려져 있다(한국특허공개 1999-0075193). 그러나, 식용 유지에서 3-MCPD-FS를 저감화하는 방법은 전혀 알려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의 우려가 있는 3-MCPD-FS의 양이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흡착제를 이용하여 식용 유지에서 3-MCPD-FS를 저감화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취 공정을 거친 정제 유지에 흡착제를 가하여 처리한 다음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식용 유지에 통상적으로 0.3 ~ 13 ppm의 농도로 존재하는 3-MCPD-FS의 함량이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식용 유지에 흡착제를 가하여 혼합한 다음 여과할 경우 3-MCPD-FS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질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리하여, 매우 간단한 공정을 거치면서도 인체에 유해성이 있을 것으로 우려되는 3-MCPD-FS의 함량을 낮춘 식용 유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취 공정을 거친 정제 유지에 흡착제를 가하여 처리한 다음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제 유지는 식물성 유지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콩기름, 옥수수유, 채종유, 미강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목화씨유, 땅콩유,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가공 유지,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제 유지 중 가공 유지는 디아실글리세롤 함량이 10 중량% 이상인 것을 사용할 경우, 현저한 3-MCPD-FS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흡착제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하고 식용 유지의 품질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3-MCPD-FS를 흡착할 수 있는 임의의 흡착제가 이용될 수 있으며, 산성 백토, 활성탄, 규조토, 또는 이들의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규조토는 유지의 색상을 진하게 하는 등 유지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면도 있어, 상기 흡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산성 백토, 활성탄, 또는 이들이 조합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흡착제는 정제 유지의 0.5 중량% 이상 5.0 중량% 이하의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3-MCPD-FS를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넘칠 경우 효과에 비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탈취 공정을 거친 정제 유지에 흡착제를 가하고 25 - 100℃에서 교반한 다음, 흡착제를 여과하면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가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교반 온도를 30 - 90℃에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온도가 증가할수록 3-MCPD-FS 저감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나, 상기 온도 범위를 초과할 경우 3-MCPD-FS 저감 효과가 오히려 낮아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유지의 제조 방법은 탈취 공정을 거친 정제 유지를 흡착제에 의한 흡착 공정 및 흡착제의 여과 공정을 거침으로써 식용 유지의 제조가 완성되며, 탈취 공정 이전에 식용 유지의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러한 통상적인 식용 유지 정제 과정은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의 흐름도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식용 유지는 종래의 식용 유지에 비해 3-MCPD-FS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되어 그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위험성이 낮아져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를 제공한다.
상기 식용 유지는 3-MCPD-FS의 함량을 0.3 ppm 이하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종래의 식용 유지에 비해 3-MCPD-FS의 함량이 현저히 감소된 식용 유지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3-MCPD-FS의 존재로 인해 우려되었던 유전 독성 및 발암성의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 식용 유지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은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의 생성 기전을 나타낸 반응식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제조된 식용 유지 중의 3-MCPD-FS 함량에 대한 GC/MS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 조성물(대조군 식용유)의 제조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 조성물은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4-0079402에 명시된 실시예 1 및 5의 방법에 따라 콩기름 유래의 지방산을 글리세롤(glycerol)과 혼합하고 진공 건조 하에서 1,3-위치특이성 리파제를 이용하여 에스테르 합성반응을 실시함으로써 디글리세라이드를 고함유한 액상 유지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여기서 수득된 디글리세라이드 고함유 유지 조성물을 분자증류, 탈색 탈취하였으며, 최종적인 유지의 조성은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Figure PCTKR2010003990-appb-T000001
실시예 1-18: 흡착제 종류에 따른 3-MCPD-FS 저감화 처리
대표적인 흡착제인 산성백토(DC-SUPER, 동해화학공업㈜, 대한민국), 활성탄(MP-5020, 무림화확㈜회사명, 대한민국), 규조토(Celite503, 세라이트코리아, 대한민국)를 선택하여 식용 유지를 정제하였다. 상기 제조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240℃에서 탈취한 식용유(대조군)에 백토, 활성탄, 또는 규조토를 각각 하기 표 2의 조건에 따라 0.1 ~ 3.0 중량% 첨가하고 9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 처리 하였다. 그런 다음, 흡착제를 여과하여 3-MCPD-FS 함량이 저감화된 식용유를 완성하였다.
표 2
Figure PCTKR2010003990-appb-T000002
실시예 19-22: 온도에 따른 3-MCPD-FS 저감화 처리
흡착제로 산성 백토를 이용하고, 흡착 시 반응 온도를 달리하면서 3-MCPD-FS 함량이 저감화된 식용유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디아실글리세롤 고함유 유지를 240℃에서 탈취한 식용유(대조군)에 산성백토(DC-SUPER, 동해화학공업㈜, 대한민국)를 2.0 중량% 첨가하고 30℃(실시예 19), 50℃(실시예 20), 90℃(실시예 21), 120℃(실시예 22)에서 1 시간 동안 각각 교반 처리 하였다. 그런 다음, 흡착제를 여과하여 3-MCPD-FS 함량이 저감화된 식용유를 완성하였다.
<실험예>
3-MCPD-FS 함량 분석방법
3-MCPD-F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였다. 분석 조건은 하기 표 3과 같은 조건으로 수행하였다.
시료 100 mg을 t-부틸메틸레이트(tBME):에틸아세테이트(EA)(8:2, v/v, 용매 A)에 녹인 후 200 ppm 농도 내부표준물질 50 uL과 1 ml의 소듐메톡사이드(NaOCH3) 용액을 넣은 후 5~10 분간 상온에 방치한다. 내부표준물질로는 3-MCPD-d5를 사용한다. 여기에 3 ml 헥산과 아세트산 : 20% NaCl 용액(1:30, v/v, 용매 B)를 3 ml 넣은 후 상층부인 유기용매층을 제거한다. 유도체화 시약인 페닐보로닉산(phenylboronic acid) 250 ul를 물층에 넣은 후 80℃에서 20분간 반응한다. 이 때 표준물질 유도체화도 함께 진행한다. 상온에서 방냉한 후 3ml 헥산으로 추출한 후 헥산층을 GC/MS로 분석한다. 정량분석은 196m/z(3-MCPD)와 201m/z(3-MCPD-d5)이온을 사용하였으며, 정성자로는 147m/z(3-MCPD)와 150m/z(3-MCPD-d5)이온을 사용하였다.
표 3
Figure PCTKR2010003990-appb-T000003
실험예 1: 흡착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른 3-MCPD-FS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18에서 얻어진 정제된 식용 유지에 대해 상기 3-MCPD-FS 함량 분석방법에 따라 3-MCPD-FS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에서 얻어진 정제된 식용 유지에 대해 상기 3-MCPD-FS 함량 분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PCTKR2010003990-appb-T000004
상기 실험 결과에 따르면, 처리하는 흡착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3-MCPD-FS 저감화 효과에 차이가 있었다. 가장 효과가 좋은 것은 활성탄이며, 3% 처리 시 0.13 ppm까지 감소되었다. 규조토의 경우 처리 농도에 따라서 3-MCPD-FS 저감효과는 있으나, 유지의 색상이 매우 진해져서 식용 유지 품질을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0.3 ppm 이하까지 낮추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산성백토와 활성탄 모두 0.5 중량% 이상 사용시에 효과가 있었으며, 산성백토 0.25 중량% 와 활성탄 0.25 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 3-MCPD-FS 함량 분석결과 0.29 ppm수준으로 두 흡착제를 혼합한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처리 온도에 따른 3-MCPD-FS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9 내지 22에서 얻어진 정제된 식용 유지에 대해 상기 3-MCPD-FS 함량 분석방법에 따라 3-MCPD-FS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PCTKR2010003990-appb-T000005
상기 결과에 따르면,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3-MCPD-FS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온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오히려 3-MCPD-FS 함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어 약 30 ~ 90℃가 바람직한 온도 범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8)

  1.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탈취 공정을 거친 정제 유지에 흡착제를 가하여 처리한 다음 여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MCPD-FS (3-chloro-1,2-propandiol forming substance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제 유지는 콩기름, 옥수수유, 채종유, 미강유, 홍화유, 해바라기유, 목화씨유, 땅콩유, 올리브유, 팜유, 야자유, 가공유지,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유지가 디아실글리세롤 함량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백토, 활성탄, 또는 백토와 활성탄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정제 유지의 0.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를 가하여 처리하는 온도는 25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3-MCPD-FS의 함량이 0.3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용 유지.
PCT/KR2010/003990 2010-01-19 2010-06-21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WO201109023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757 2010-01-19
KR1020100004757A KR20110085142A (ko) 2010-01-19 2010-01-19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90239A1 true WO2011090239A1 (ko) 2011-07-28

Family

ID=4430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3990 WO2011090239A1 (ko) 2010-01-19 2010-06-21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147435A (ko)
KR (1) KR20110085142A (ko)
WO (1) WO201109023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279A1 (en) 2012-11-21 2014-05-30 Universiti Putra Malaysia An improved palm oil refining process
CN111330539A (zh) * 2018-12-19 2020-06-26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复合型固体吸附剂以及一种纯化油脂的方法
CN112834665A (zh) * 2021-03-04 2021-05-25 厦门泓益检测有限公司 一种三重四极杆气相色谱质谱联用法检测食用油中氯丙醇脂肪酸酯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644B1 (ko) * 2012-05-22 2014-05-12 주식회사농심 결합형 3-mcpd가 저감화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JP2014009292A (ja) * 2012-06-29 2014-01-20 Taiyo Yushi Kk 3−クロロプロパン−1,2−ジオール脂肪酸エステルの量を低減させた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5399544B1 (ja) * 2012-08-31 2014-01-29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精製油脂の製造方法
CN103266013B (zh) * 2013-05-20 2014-06-11 山东沂蒙山花生油股份有限公司 去除花生油毒素的方法
JP5947931B2 (ja) * 2015-02-09 2016-07-06 花王株式会社 油脂組成物
ES2915598T3 (es) 2018-12-12 2022-06-23 Nippon Suisan Kaisha Ltd Una composición que contiene un ácido graso altamente insaturado o un éster alquílico del mismo y un método para producirl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4870B2 (ja) * 1986-01-28 1999-03-24 ダブリユ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ツト グリセリド油の精製方法
JP2000096077A (ja) * 1998-09-21 2000-04-04 Yoshihara Oil Mill Ltd 精製オリーブ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3578A (ja) * 2002-04-25 2003-11-0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油脂の精製方法
JP2008061577A (ja) * 2006-09-07 2008-03-21 Kao Corp 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0503B2 (ja) * 2009-09-07 2015-04-15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グリセリド組成物及び該グリセリド組成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4870B2 (ja) * 1986-01-28 1999-03-24 ダブリユー・アール・グレイス・アンド・カンパニー−コネチカツト グリセリド油の精製方法
JP2000096077A (ja) * 1998-09-21 2000-04-04 Yoshihara Oil Mill Ltd 精製オリーブ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13578A (ja) * 2002-04-25 2003-11-0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油脂の精製方法
JP2008061577A (ja) * 2006-09-07 2008-03-21 Kao Corp 油脂組成物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1279A1 (en) 2012-11-21 2014-05-30 Universiti Putra Malaysia An improved palm oil refining process
CN111330539A (zh) * 2018-12-19 2020-06-26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复合型固体吸附剂以及一种纯化油脂的方法
CN111330539B (zh) * 2018-12-19 2022-08-26 丰益(上海)生物技术研发中心有限公司 一种复合型固体吸附剂以及一种纯化油脂的方法
CN112834665A (zh) * 2021-03-04 2021-05-25 厦门泓益检测有限公司 一种三重四极杆气相色谱质谱联用法检测食用油中氯丙醇脂肪酸酯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42A (ko) 2011-07-27
JP2011147435A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90239A1 (ko)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WO2011090240A1 (ko)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EP2471897B1 (en) Method for reducing chloropropanols and formative substance thereof, glycidol fatty acid esters, in glyceride oils
KR101207413B1 (ko) 3-클로로-1,2-프로판디올 생성물질이 저감된 식용유지 및 그 제조방법
JP6008596B2 (ja) 精製油脂の製造方法
JP5717351B2 (ja) 精製油脂の製造方法
EP2449070B1 (en) Process for removing unwanted propanol components from unused triglyceride oil
US892703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fined fat or oil
WO2010126136A1 (ja) グリセリド油脂中のクロロプロパノール類及びその形成物質の生成を抑制する方法
KR101820179B1 (ko) 유지 조성물
WO2011055732A1 (ja) グリセリド油脂中のクロロプロパノール類及びその形成物質を低減する方法
JP2005504862A (ja) 1,3−ジグリセリド油を製造するための化学的方法
Šmidrkal et al. Formation of acylglycerol chloro derivatives in vegetable oils and mitigation strategy.
JP2011195622A (ja) 精製油脂の製造方法
Yung et al. Mitigation of 3-monochloropropane 1, 2 diol ester and glycidyl ester in refined oil–A review
WO2013176415A1 (ko) 결합형 3-mcpd가 저감화된 식용유지의 제조방법
KR20120135161A (ko) 3-mcpd-fs가 저감화된 식용 유지의 제조방법
JP6219147B2 (ja) 精製魚油の製造方法
Sim et al. 3-MCPD and glycidyl esters in palm oil
CN112592761A (zh) 用于降低牛油中3-氯丙醇酯含量的控制方法
JPH0726288A (ja) 米ぬか油精製法
JPH08173036A (ja) 安定化トコフェロール含有油脂組成物
JP5550282B2 (ja) ジアシルグリセロール高含有油脂の製造方法
CN117136228A (zh) 精制油脂的制造方法
JP2021195471A (ja) 油脂中の3−mcpd含有量を低減させ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4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403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