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81464A2 - 하드코팅필름 - Google Patents

하드코팅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81464A2
WO2011081464A2 PCT/KR2010/009530 KR2010009530W WO2011081464A2 WO 2011081464 A2 WO2011081464 A2 WO 2011081464A2 KR 2010009530 W KR2010009530 W KR 2010009530W WO 2011081464 A2 WO2011081464 A2 WO 201108146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
hard coating
acrylate
coating film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95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81464A3 (ko
Inventor
황성철
강경구
김병수
김도영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0013489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11005B1/ko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108146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464A2/ko
Publication of WO201108146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81464A3/ko
Priority to US13/535,407 priority Critical patent/US9080058B2/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05Dendritic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09D7/62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modified by treatment with othe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8Ingredients agglomerated by treatment with a binding agen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ing film and a hard coating agent included therein.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rd coating film and a hard coating agent included therein that have a small curling effect,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prevent a rainbow phenomenon, even though the coating film thickness is 10 ⁇ m or more while maintaining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It is about.
  • a polarizing film is one in which a cellulose resin film is bonded to both surfaces of a polarizer on a film made of polyvinyl alcohol (PVA) or the like.
  • a protective film is usually adhered to the base film, which is one resin film,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urface damage during transportation, and the other resin film has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n adhesive layer and a release film are laminated.
  • Such a polarizing plate is used as a major componen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hard coating must be more than 10 ⁇ m to satisfy the pencil hardness more than 3H.
  • the curling phenomenon is severe, and there is a problem of causing film breakage in manufacturing the polarizing plate.
  • an acrylic polymer, a urethane polymer, an epoxy polymer, a silicon polymer, or a silica compound is mainly used.
  • Such polymers exist in the form of monomers or oligomers, and have a hard coating property by adding a photoinitiator to them to form a polymer by heat or UV.
  • Most of these coatings have increased wear resistance as the crosslinking density increases.
  • due to shrinkage of the coating layer cracking may occur during bending or transportation and deformation of the coating seam may occur. This reduces the adhesion to the material, which results in the easy separation even with a slight contact.
  • curling occurs, and even when thermal processing, curling may occur and color may chang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coating film with less curling phenomenon, even if the coating film thickness of 10 ⁇ m or more while maintaining the pencil hardness 3H or mor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coating film having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and preventing the rainbow phenomenon.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ard coating agent included in the hard coating film.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coat film having a height of curling phenomenon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20 mm and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 the hard coat film comprises (a) a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b) reactive nanoparticles; And (c) a hard coating agent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onomer, wherein the (a)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may have 21 to 200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 (a)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the core is an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containing or not containing a hetero atom of C3-50 having a functional group which can be bonded to R1, and each of R1 and R2 independently or without a hetero atom.
  • C1-50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E is an ester bond.
  • the reactive nanoparticles (b) may be inorganic nanoparticles surface treated with a (meth) acrylate compound.
  • the reactive nanoparticle (b) may be inorganic nanoparticles in which 3 to 50% of the particle surface area is surface treated with a (meth) acrylate compound.
  • the inorganic nanoparticles may be selected from one or more of the group consisting of SiO 2 , Al 2 O 3 , CaCO 3 , and TiO 2 .
  • the polyfunctional monomer (c) is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tri (2-hydroxyethyl) isocyanuate tri (meth) acrylic Hydroxy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meth) acrylates including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hexanedioldi (meth) acrylate and dicyclodecanedimethanoldi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 (meth) acrylate; Ditrimethylolpropane tetra (meth) acrylate; A fluorine-modified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formed by react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with a compound containing a perfluoro polyether can be us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hard coating agent (a) 15 to 60% by weight of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b) 5 to 60 weight percent of reactive nanoparticles; And (c) may include 1 to 40% by weight of the multifunctional monomer.
  • the hard coat film may further include a reactive fluorine-based compound.
  •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is (a) a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b) reactive nanoparticles; And (c) a polyfunctional monomer, and relates to a hard coating agent having 21 to 200 or less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in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a).
  •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ling phenomenon is less than the coating film thickness of 10 ⁇ m or more while maintaining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has excellent scratch resistanc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rainbow phenomenon.
  •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eight of the curling phenomenon is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20mm and the pencil hardness may be more than 3H.
  • Curl is a measure of the highest height at which the hard coat film with a coating thickness of 2-30 ⁇ m is bent relative to the bottom.
  • the curl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or equal to 20 mm. Preferably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5 mm.
  • Pencil hardness can be measured after drawing at 500 kg / cm 2 load, 0.5 mm / sec using Mitsubishi Evaluation Pencil (UNI) using a pencil hardness tester (Shinto Scientific, Heidon).
  • the pencil hardness may be 3H.
  •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a hyper branch (meth) acrylate oligomer; (b) reactive nanoparticles; And (c) a hard coating agent containing a polyfunctional monomer, wherein the number of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in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a) may be 21 or more and 200 or less.
  • the number of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in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is less than 21, the effect of reducing curling is not seen.
  • the number of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is more than 200, the curling effect may be reduced, but pencil hardness may be reduced.
  • the number of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may be 21 to 150, more preferably 50 to 120.
  •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21 or more and 200 or less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 the number of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may be 21 to 150, more preferably 50 to 120.
  • (Meth) acrylates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both acrylates and methacrylates.
  •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core is an aliphatic or aromatic hydrocarbon containing or not containing a hetero atom of C3-50 having a functional group which can be bonded to R1, and R1 and R2 are each independently C1-50 containing or not containing a hetero atom.
  • R1 and R2 are each independently C1-50 containing or not containing a hetero atom.
  •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has a core, R1, E and R2 hyperbranched as shown in the following formula (2), and the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 surrounds the core, R1, E and R2 It is structured.
  •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can be synthesized by a conventional method by Diels-Alder reaction or ester condensation reaction. This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those skilled in the art.
  • a highly functional polyester polyol is prepared by ester condensation of a monomer having a tri- or six-functional hydroxy group with a carboxylic acid and a monomer having two hydroxy groups simultaneously. Then, it can be synthesized by introducing (meth) acrylic acid into the prepared high functional polyester polyol.
  • the monomer having a tri- or six-functional hydroxy group may preferably include trimethyl propanol, pentaeryl tritol, dipentaryl tritol, and the like.
  • a monomer which has the said carboxylic acid and two hydroxyl groups simultaneously dimethyl propanoic acid, dimethyl butanoic acid, etc. are preferable.
  • the (meth) acrylic acid may be acrylic acid or methacrylic acid.
  •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is easy to purchase commercially.
  • UNIDIC V 683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can be used,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preferably applied that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5,000 ⁇ 10,000g / mol.
  • the viscosity of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400 cps at 25 °C.
  • the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is preferably added in 15 to 60% by weight of the hard coating agent. Within this range, the curling phenomenon can be reduced, and pencil hardness does not decrease. Preferably it may be included in 20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30 to 45% by weight.
  • Reactive nanoparticles can increase the surface hardness of the hard coat film.
  • the reactive nanoparticles are surface treated with a (meth) acrylate compound.
  • the reactive nanoparticles do not require a dispersant and a coupling agent due to the uniform self-dispersion property, do not scatter the transmitted light, have a stable dispersion property, there is no entanglement between the particles, high transparency and low turbidity.
  • nanoparticles for such reactive nano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nanoparticles in which 3 to 50% of the particle surface area is surface-treated with a (meth) acrylate compound.
  • a (meth) acrylate compound When using nanoparticles in the above range, it has a uniform dispersibility and excellent transparency.
  • the reactive nanoparticles us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organic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used.
  • organic particles, inorganic particles, or a combination thereof can be used.
  • SiO 2 , Al 2 O 3 , CaCO 3 , TiO 2 , or the like may be used.
  • Reactive nano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a (meth) acrylate compound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silica sol with a silane coupling agent (eg, Shin-Etsu KBM503) containing a reactive acrylate group,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Reactive nanoparticles surface-treated with the (meth) acrylate compound may be purchased commercially.
  • Nanopol C784 etc. of Nano resins can be used, but it is not limited to these.
  • the average diameter of the said reactive nanoparticle is 10-100 nm. Within this range, the surface strength and scratch resistance of the hard coat film are not lowered, and the turbidity of the hard coat film does not increase.
  • the reactive nanoparticles are preferably added in 5 to 60% by weight of the hard coating agent. Within this range, surfac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may be good, less curling may occur, and the haze (cloudiness) of the coating film of the particles may not increase. Preferably from 10 to 50%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20 to 45% by weight.
  • a hydroxy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etraacrylate, ditrimethyllopropane tetraacrylate, a fluorine-modified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and the like may be used. It is not limited.
  • the hydroxy group-containing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is dipentaerythritol hexa (meth) acrylate, pentaerythritol tri (meth) acrylate, tri (2-hydroxyethyl) isocyanuate tri Hydroxy-group containing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ntaining (meth) acrylate, trimethylolpropane tri (meth) acrylate, hexanediol di (meth) acrylate, and dicyclodecane dimethanol di (meth) acrylate Etc.
  •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fluorine-modified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s formed by react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with a compound containing perfluoro polyether. More specifically, perfluoro polyether polyol having a hydroxy group, a perfluoro polyether dibasic acid having a carboxylic acid, a perfluoro polyether epoxy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and the like By reacting an ether compound with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including a modified (meth) acrylate compound having a carboxylic acid, a (meth) acrylat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a (meth) acrylate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and the like This corresponds to a monomer having 2 to 16 functional groups form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polyfunctional monomer is preferably added in 1 to 40% by weight of the hard coating agent. Within this range, the surface hardness and scratch resistance do not decrease, the curling phenomenon occurs less, and the haze (cloudiness) of the coating film of the particles does not increase. Preferably from 10 to 30% by weight, more preferably from 15 to 25% by weight.
  • Hard coat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a hyper branch (meth) acrylate oligomer; (b) reactive nanoparticles; And (c) in addition to the polyfunctional monomer, a reactive fluorine compound may further be included.
  • the reactive fluorine-based compound is a surfactant for improving scratch resistance (scratch resistance) of the film, and is a fluorine-based compound having a reactor of at least one functional group, preferably at least bifunctional group.
  • the reactive fluorine-based compound includes monomers, oligomers, prepolymers and the like containing bifunctional or higher polyfunctional acrylates or methacrylates containing fluorinated alkyl groups and the like.
  • the polyfunctional acrylate or methacrylate has a (meth) acrylate having an epoxy group, a (meth) acrylate having a carboxyl group, a (meth) acrylate having a hydroxy group, a (meth) acrylate having an amino group, and a sulfonic acid (Meth) acrylates, and the like.
  • the reactive fluorine-based compound may be a fluorine-modified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compound obtained by reacting a polyfunctional (meth) acrylate with a compound having a perfluoro polyether. More preferably, a perfluoro polyether compound such as a perfluoro polyether polyol having a hydroxy group, a perfluoro polyether dibasic acid having a carboxylic acid, a perfluoro polyether epoxy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and the like, and a carboxylic acid It can be a monomer or oligomer having 2 to 16 functional groups formed by reacting a polyfunctional acrylate compound such as a modified acrylate compound, an acrylate compound having an epoxy group, an acrylate compound having an isocyanate group, and the like.
  • a perfluoro polyether compound such as a perfluoro polyether polyol having a hydroxy group, a perfluoro polyether dibasic acid having a carboxylic acid,
  • Such reactive fluorine-based compound may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 R1 i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 Rf is a perfluoroalkylene group
  • Rf may be (a), (b), (c), (d) or (e) of Formula 4
  • Rf1 is a linear or branched perfluoroalk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 Rf2, Rf3, Rf4 and Rf5 are linear or branched perfluoroalkyl groups having 1-14 carbon atoms
  • the reactive fluorine-based compound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hard coating agent based on the solid content. Within this range, scratch resistance is improved. Preferably, it may be included in 0.1 to 3 parts by weight.
  • the hard coating agent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ultraviolet curable resin.
  • the ultraviolet curable resin include a (meth) acrylate-based functional group, for example, a relatively small molecular weight, for example, a polyester resin of 100-1,000 Mw, a polyether resin,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And (meth) acrylate resins of polyfunctional compounds such as urethane resins, alkyd resins, spiro acetal resins, polybutadiene resins, polythiol polyene resins, and polyhydric alcohols.
  • the hard coating agent included in the hard coating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solvent, a photosensitizer, a photosensitizer, a polymerization inhibitor, a leveling agent, a wettability improving agent, a surfactant, a plasticizer, an ultraviolet absorber, an antioxidant, an antistatic agent,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silane coupling agents, inorganic fillers, antifoaming agents and the like may be further includ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a conventional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for example, a benzophenone-based compound such as 1-hydroxy cyclohexylphenyl ketone may be used.
  • the solvent may be preferably a solvent having solubility and swelling property in the base film.
  • Specific examples include methyl ethyl ketone, cyclohexanone, acetone, diacetone alcohol, polyhydric alcohol, and ethers, methyl cellosolve, ethyl cellosolve, butyl cellosolve, cellosolve acetate, and ester methyl acetate and acetic acid.
  • Ethyl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includ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tetrachloroethane, and nitrogen-containing compounds, such as nitromethane, acetonitrile, N-methylpyrrolidone, N, N-dimethylformamide, and others, and dimethyl sulfoxide.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ese solvent can be used 1 type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method of forming the hard coat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 the hard coating agent is applied to a base film, dried, and then cured by UV to prepare a hard coating film. Drying and ultraviolet curing condition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hard coating film has a film thickness of 2 to 30 Curl at ⁇ m may be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20 mm. Preferably greater than 0 and less than 15 mm.
  • the hard coating film may be a pencil hardness of 3H or more, preferably 4H or more.
  • the hard coat film has a thickness of 2 to 30 ⁇ m, preferably 10 to 20 ⁇ m. It has excellent high hardness in the above range, the curling phenomenon of the film does not occur, the rainbow phenomenon does not occur.
  • Hyperbranched (meth) acrylate oligomer UNIDIC V 6830 (number of (meth) acrylate functional groups: 100) manufactured by DIC CORPORATION was used.
  • the prepared hard coating agent was coated on a TAC film (thickness 80 ⁇ m, manufactured by Fuji) using a # 16 meyer bar coater to a thickness of 12 ⁇ 13 ⁇ m and dried at 80 °C for 2 minutes. After drying, UV irradiation was performed at a light quantity of 350 mJ / cm 2 with a high pressure mercury lamp to cure.
  • Pencil hardness, curl, scratch and rainbow of the TAC film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hard coating layer was measured according to JIS standard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Example 1 The same procedure as in Example 1 was carried out except that each component was changed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below.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 Pencil hardness by using a pencil hardness tester (Shinto Scientific, Heidon) with a Mitsubishi evaluation pencil (UNI) at 500kg / cm 2 load, 0.5mm / sec and then, the pencil hardness was confirmed.
  •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pencil hardness and less curling phenomenon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1-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필경도 3H 이상을 유지하면서 말림이 0 초과 20mm 미만인 하드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드코팅필름
본 발명은 하드코팅필름 및 이에 포함되는 하드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연필경도 3H 이상을 유지하면서 도막 두께 10㎛ 이상이어도 말림(curl) 현상이 적고,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며, 레인보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드코팅필름 및 이에 포함되는 하드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편광판(Polarizing Film)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콜(PVA)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 상의 편광자 양면에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통상 한 쪽의 수지필름인 기재필름에는 운송 중의 표면손상 방지 등의 목적으로 보호필름이 접착되고, 다른 쪽의 수지필름에는 점착체층 및 이형필름이 적층되는 다층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편광판은 액정표시장치(LCD)의 주요한 구성부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을 각종 환경 하에서 사용함에 있어 높은 내구성을 발휘하기 위하여는, 편광 표면처리 중 고경도 하드코팅 제품의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고경도의 제품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코팅의 도막 두께가 10㎛이상이 되어야 연필경도 3H 이상을 만족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막 두께가 증가할수록 말림 현상이 심하여 편광판 제조시 필름 파단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 하드코팅제에 포함되는 고분자로는 아크릴성 중합체, 우레탄 중합체, 에폭시 중합체, 규소 중합체, 또는 실리카 화합물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고분자는 모노머나 올리고머 형태로 존재하며, 이들에 광개시제를 부가하여 열이나 UV에 의해 중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하드코팅성을 갖게 된다. 이러한 대부분의 코팅제는 가교밀도를 증가시킬수록 내마모성은 증가한다. 그러나, 코팅층의 수축성으로 인해 구부려지거나 운반 시 크랙이 발생될 수 있으며 코팅 이음매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재질과의 접착력이 감소되어 약간의 접촉에도 쉽게 떨어져 나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리고 기재의 두께가 얇아질수록 말림이 발생되며 열적 가공을 할 경우에도 말림이 발생하고 색상이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연필경도 3H 이상을 유지하면서 도막 두께 10㎛이상이어도 말림 현상이 적고,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며, 레인보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드코팅필름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필경도 3H 이상을 유지하면서 도막 두께 10㎛ 이상이어도 말림 현상이 적은 하드코팅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며, 레인보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하드코팅필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하드코팅필름에 포함되는 하드코팅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말림 현상의 높이가 0 초과 20mm 미만이고 연필경도가 3H 이상인 하드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하드코팅필름은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반응성 나노입자; 및 (c)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제를 포함하고, 상기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이상 200개 이하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1
(상기에서 코어(core)는 R1과 결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C3-50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50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E는 에스테르 결합임.)
일 구체예에서, 반응성 나노입자(b)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무기 나노입자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반응성 나노입자(b)는 입자 표면적 중 3 ~ 50%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무기 나노입자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무기 나노입자는 SiO2, Al2O3, CaCO3, 및 Ti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다관능 모노머(c)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2-하이드록시 에틸)이소시아누에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반응되어 형성된 불소 변성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하드코팅제는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60 중량%; (b)반응성 나노입자 5 내지 60 중량%; 및 (c)다관능 모노머 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하드코팅필름은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반응성 나노입자; 및 (c)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이상 내지 200개 이하인 하드코팅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연필경도 3H 이상을 유지하면서 도막두께 10㎛이상이어도 말림 현상이 적고, 우수한 내스크래치성을 가지며, 레인보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필름은 말림 현상의 높이가 0 초과 20mm 미만이고 연필경도가 3H 이상이 될 수 있다.
말림은 도막 두께 2-30㎛인 하드코팅 필름이 바닥을 기준으로 휘어진 최고 높이를 측정한 것이다. 상기 말림은 0 초과 20mm 이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 초과 15mm 미만이 될 수 있다.
연필경도는 미쯔비시 평가용 연필(UNI)로 연필경도측정기(Shinto Scientific, Heidon)를 이용하여 500kg/cm2 하중, 0.5mm/sec의 속도로 그은 후,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필경도는 3H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드코팅필름은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반응성 나노입자; 및 (c)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제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a)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이상 내지 200개 이하가 될 수 있다.
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미만인 경우, 말림 현상 감소 효과를 볼 수 없다.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00개 초과인 경우, 말림 현상 감소 효과는 있으나 연필경도가 감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는 21 내지 150개,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개가 될 수 있다.
이하, 하드코팅제에 포함되는 각 성분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a)하이퍼브랜치 (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이상 200개 이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는 21 내지 150개, 더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모두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는 상기 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2
(상기에서 core는 R1과 결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C3-50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50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E는 에스테르 결합임.)
일례로서, 상기 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2와 같이 core, R1, E 및 R2가 하이퍼브랜치화되어 있고,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가 상기 core, R1, E 및 R2를 둘러싸고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3
(상기에서, "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4
"는 core, R1, E 및 R2가 하이퍼브랜치화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Diels-Alder 반응 또는 에스테르 축합 반응에 의해 통상의 방법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는 3관능 내지 6관능의 하이드록시기를 지니고 있는 모노머와, 카르복실산과 두개의 하이드록시기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모노머를 에스터 축합 반응을 시켜 고관능의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제조한다. 그런 다음, 상기 제조된 고관능의 폴리에스터 폴리올에 (메타)아크릴산을 도입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상기 3관능 내지 6관능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모노머는 바람직하게는 트리메틸 프로판올, 펜타에릴 트리톨, 다이 펜타에릴 트리톨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카르복실산과 2개의 하이드록시기를 동시에 지니고 있는 모노머로는 디메틸프로판산, 디메틸부탄산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산으로는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상업적 구입이 용이하다. 예를 들면, DIC CORPORATION에서 제조된 UNIDIC V 6830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10,000g/mol 인 것이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의 점도는 25 ℃에서 100 내지 400 cps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드코팅제 중 15 내지 6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말림 현상이 감소할 수 있고, 연필경도가 저하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b)반응성 나노입자
반응성 나노입자는 하드코팅필름의 표면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것이다.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는 균일한 자기분산 특성으로 인해 분산제 및 커플링제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투과하는 빛을 산란시키지 않으며, 안정적인 분산 특성을 가져 입자간의 엉김현상이 없어 투명성이 높고 혼탁도가 낮다.
이러한 반응성 나노입자는 입자 표면적 중 3 ~ 50%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의 나노입자를 사용하는 경우, 균일한 분산성 및 우수한 투명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반응성 나노입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유기입자, 무기입자 혹은 이들의 조합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SiO2, Al2O3, CaCO3, TiO2 등이 하나 또는 2이상 이용될 수 있다.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반응성 나노입자는 반응성 아크릴레이트기를 포함하는 실란 커플링제(예를 들면 신에츠의 KBM503)와 실리카 졸을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반응성 나노입자는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Nano resins의 Nanopol C784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의 평균 직경은 10~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하드코팅필름의 표면강도 및 내스크래치 특성이 저하되지 않고, 하드코팅필름의 혼탁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는 하드코팅제 중 5 내지 6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표면 경도 및 내찰상성이 좋고, 말림 현상이 덜 발생하고, 입자들의 도막의 헤이즈(혼탁도)가 증가하지 않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 중량%로 첨가된다.
(c)다관능 모노머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로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불소 변성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예에서 상기 하이드록시기 함유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2-하이드록시 에틸)이소시아누에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불소 변성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반응되어 형성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폴리올, 카르복실산을 가지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이염기산 및 에폭시그룹을 가지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에폭시 화합물등과 같이 다양한 작용기를 가지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카르복시산을 가지는 변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그룹을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을 포함하는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 2개 ~ 16개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가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관능 모노머는 하드코팅제 중 1 내지 4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에서, 표면경도 및 내찰상성이 저하되지 않고, 말림 현상이 덜 발생하고, 입자들의 도막의 헤이즈(혼탁도)가 증가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중량%로 첨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은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반응성 나노입자; 및 (c)다관능 모노머 이외에도,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필름의 내찰상성(내스크래치성, scratch resistnace)을 개선하기 위한 계면 활성제로서, 1관능기 이상, 바람직하게는 2관능기 이상의 반응기를 갖는 불소계 화합물이다.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불소화알킬기 등을 함유하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모노머, 올리고머, 프리폴리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폭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아미노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술포닉산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갖는 화합물에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반응시킨 불소 변성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폴리올, 카르복시산을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이염기산 및 에폭시기를 갖는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에폭시 화합물등과 같은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 화합물과, 카르복시산을 갖는 변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에폭시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및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등과 같이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 2개 ~ 16개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CH2=CR1COO)2Rf
(상기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Rf는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상기 Rf는 하기 화학식 4의 (a), (b), (c), (d) 또는 (e)가 될 수 있고
<화학식 4>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5
상기에서, Rf1은 탄소수 1-10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Rf2, Rf3, Rf4 및 Rf5는 탄소수 1-14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고형분 기준으로 하드코팅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내찰상성이 향상된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에서 하드코팅제는 통상의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상기 자외선 경화성 수지로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의 관능기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분자량 예를 들면, 100-1,000 Mw의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에테르수지, 아크릴수지, 에폭시수지, 우레탄수지, 알키드수지, 스피로아세탈수지, 폴리부타디엔수지, 폴리티올폴리엔수지, 다가알콜 등의 다관능화합물의 (메타) 아크릴레이트 수지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드코팅필름에 포함되는 하드코팅제는 광중합 개시제, 용매, 광 증감제, 광 감감제, 중합금지제, 레벨링제, 습윤성 개량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무기 충전제, 소포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중합 개시제로는 종래의 광중합 개시제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 시클로헥실페닐케톤과 같은 벤조페논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기재필름에 용해성 및 팽윤성이 있는 용매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케톤류로서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톤, 디아세톤알콜, 다가알콜 및 에테르류로서 메틸셀로솔브, 에틸셀로솔브, 부틸셀로솔브, 셀로솔브아세테이트, 에스테르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할로겐화 탄화수소류로서 클로로포름, 염화 메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질소포함화합물로서 니트로메탄, 아세토니트릴, N-메틸피롤리돈, N,N-디메틸포름아미드, 그 외, 디메틸설폭시드를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용매를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코팅필름의 형성방법은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는 기재필름에 상기 하드코팅제를 도포하고, 건조한 다음 자외선 경화시켜 하드코팅막을 제조한다. 건조 및 자외선 경화 조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도막 두께 2 내지 30 ㎛에서 말림이 0 초과 20mm 미만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 초과 15mm 미만이 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연필경도 3H 이상, 바람직하게는 4H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막의 두께는 2 ~ 30㎛ , 바람직하게는 10 ~ 20㎛이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고경도성을 가지며, 필름의 말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레인보우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하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은 다음과 같다:
(a)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DIC CORPORATION에서 제조된 UNIDIC V 6830((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 : 100개)을 사용하였다.
(a')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수지: DIC CORPORATION에서 제조된 RC27-947(하이퍼브랜치 구조를 포함하지 않음)를 사용하였다.
(b)반응성 나노입자 : Nano resins에서 제조된 Nanopol C784를 사용하였다.
(c)다관능 모노머: SK Cytec에서 제조된 DPHA(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상기 각 성분을 하기 표1의 조성으로 투입하고 20분간 25℃에서 교반하여 분산하였다. 이 후, 광중합 개시제로서 Irgacure-184(Ciba社)를 고형분 대비 3 phr 양만큼 상기 분산액에 첨가한 뒤 10분간 25℃에서 교반하여 최종 하드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드코팅제를 TAC 필름(두께 80㎛, Fuji사 제조)에 #16 meyer bar coater를 이용하여 12~13㎛ 두께로 코팅한 후 80℃에서 2분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고압 수은등으로 350mJ/cm2의 광량으로 자외선 조사를 실시하여 경화시켰다.
상기의 과정으로 제조된 하드코팅층이 형성된 TAC 필름을 JIS규격에 따라 연필경도, 말림, 내스크래치 및 레인보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5
각 성분을 하기 표1의 조성으로 변경하여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평가
(1) 연필경도 : 미쯔비시 평가용 연필(UNI)로 연필경도측정기(Shinto Scientific, Heidon)를 이용하여 500kg/cm2 하중, 0.5mm/sec의 속도로 그은 후, 연필경도를 확인하였다.
(2) 말림: 25℃에서 100mm x 100mm 크기의 필름 시료를 준비하고, 바닥에서 네 모서리의 높이 중 가장 높은 곳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상기 말림은 도막 두께 2-30㎛인 상기 하드코팅 필름이 바닥을 기준으로 휘어진 최고 높이를 의미한다.
- 0 내지 20mm : 양호,
- 20mm 초과 40mm 이하 : 불량,
- 40mm 초과 : 매우 불량
(3) 내스크래치: #0000의 스틸울로 내스크래치측정기(Shinto Scientific, Heidon)를 이용하여 1,000kg/cm2 하중, 50mm/sec의 속도로 100mm를 10회 왕복한 후 스크래치를 확인하였다.
(4) 레인보우(간섭 무늬) 유무 시험 : 이면 반사를 막기 위해, 하드 코팅층의 반대면에 흑색 테이프를 붙이고, 하드 코팅층의 면에서 삼파장 형광 하에 목시검사 후, 하기 평가 기준으로써 평가하였다.
<레인보우 평가 기준>
1 : 전 방향에서 레인보우 발생 없음.
2 : 약하게 발생
3 : 강하게 발생
표 1
실시예 1 비교예
1 2 3 4 5
(a)하이퍼브랜치(메타)아크릴레이트 40 100 60 60 - -
(a')우레탄 아크릴레이트 - - - - 100 50
(b)반응성 나노입자 40 - 40 - - 35
(c)다관능 모노머 20 - - 40 - 15
연필경도 4H 2H 2H 2H 2H 3H
말림(mm) 양호,14 양호,0 양호,6 불량,22 측정불가, 매우불량,40
내스크래치
레인보우 1 1 1 1 1 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하드코팅제는 비교예 1-5에 비해 연필경도가 우수하고 및 말림 현상이 적음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8)

  1. 말림(curl) 현상의 높이가 0 초과 20mm 미만이고 연필경도가 3H 이상인 하드코팅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반응성 나노입자; 및 (c)다관능 모노머를 포함하는 하드코팅제를 포함하고, 상기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이상 200개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화학식 1]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6
    (상기에서 코어(core)는 R1과 결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C3-50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50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E는 에스테르 결합임.)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b)는 평균 직경이 10~1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b)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무기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나노입자(b)는 입자 표면적 중 3 ~ 50%가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무기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입자는 SiO2, Al2O3, CaCO3, 및 TiO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 모노머(c)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2-하이드록시 에틸)이소시아누에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디사이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로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퍼플루오로 폴리에테르를 함유하는 화합물에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반응되어 형성된 불소 변성 다관능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제는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15~60 중량%; (b)반응성 나노입자 5 내지 60 중량%; 및 (c)다관능 모노머 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제는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화학식 3>
    (CH2=CR1COO)2Rf
    (상기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Rf는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상기 Rf는 하기 화학식 4의 (a), (b), (c), (d) 또는 (e)가 될 수 있고,
    <화학식 4>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7
    상기에서, Rf1은 탄소수 1-10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Rf2, Rf3, Rf4 및 Rf5는 탄소수 1-14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상기 하드코팅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제는 광중합 개시제, 용매, 광 증감제, 광 감감제, 중합금지제, 레벨링제, 습윤성 개량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대전 방지제, 실란커플링제, 무기 충전제 및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필름은 도막 두께 2 내지 30 ㎛에서 말림이 0 초과 20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필름.
  15.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b)반응성 나노입자; 및
    (c)다관능 모노머;
    를 포함하고, 상기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메타)아크릴레이트 관능기 수가 21개 이상 200개 이하인 것인 하드코팅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하이퍼브랜치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제:
    [화학식 1]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8
    (상기에서 코어(core)는 R1과 결합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C3-50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C1-50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이고, E는 에스테르 결합임.)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드코팅제는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불소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코팅제:
    <화학식 3>
    (CH2=CR1COO)2Rf
    (상기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3의 알킬기이고, Rf는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상기 Rf는 하기 화학식 4의 (a), (b), (c), (d) 또는 (e)가 될 수 있고,
    <화학식 4>
    Figure PCTKR2010009530-appb-I000009
    상기에서, Rf1은 탄소수 1-10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퍼플루오로알킬렌기이고, Rf2, Rf3, Rf4 및 Rf5는 탄소수 1-14의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PCT/KR2010/009530 2009-12-31 2010-12-29 하드코팅필름 WO2011081464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535,407 US9080058B2 (en) 2009-12-31 2012-06-28 Hard coating film, hard coating agent,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hard coat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35678 2009-12-31
KR10-2009-0135678 2009-12-31
KR10-2010-0134899 2010-02-24
KR20100134899A KR101411005B1 (ko) 2009-12-31 2010-12-24 하드코팅필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3/535,407 Continuation US9080058B2 (en) 2009-12-31 2012-06-28 Hard coating film, hard coating agent, and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hard coating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64A2 true WO2011081464A2 (ko) 2011-07-07
WO2011081464A3 WO2011081464A3 (ko) 2011-11-10

Family

ID=44227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9530 WO2011081464A2 (ko) 2009-12-31 2010-12-29 하드코팅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108146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4966A (zh) * 2013-11-25 2016-07-13 株式会社Lg化学 塑料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355A (ko) * 2006-12-29 2008-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20080070349A (ko) * 2007-01-26 2008-07-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성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20080078407A (ko) * 2007-02-23 2008-08-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20090028133A (ko) * 2007-09-14 2009-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090039345A (ko) * 2007-10-18 2009-04-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용 조성물,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화상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62355A (ko) * 2006-12-29 2008-07-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20080070349A (ko) * 2007-01-26 2008-07-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방현성 하드코팅액 및 이를 사용한 고경도 하드코팅 필름
KR20080078407A (ko) * 2007-02-23 2008-08-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KR20090028133A (ko) * 2007-09-14 2009-03-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KR20090039345A (ko) * 2007-10-18 2009-04-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용 조성물, 하드코팅 필름, 편광판 및화상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64966A (zh) * 2013-11-25 2016-07-13 株式会社Lg化学 塑料膜及其制备方法
CN105764966B (zh) * 2013-11-25 2019-10-22 株式会社Lg化学 塑料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1464A3 (ko)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79522A (ko) 하드코팅필름
KR101459121B1 (ko) 하드코팅필름, 이에 포함되는 하드코팅필름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WO2010098636A2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코팅 조성물 및 코팅 필름
WO2012008757A2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이 우수한 눈부심 방지 코팅 조성물 및 눈부심 방지 코팅 필름
WO2018143554A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윈도우
WO2018110830A2 (ko) 윈도우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2008780A2 (ko) 반사방지 방현 코팅 조성물, 반사방지 방현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1102650A2 (ko) 눈부심 방지 필름용 코팅층 및 이를 포함하는 눈부심 방지 필름
WO2017116103A1 (ko) 폴리이미드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기판 모듈
WO2018159923A1 (ko) 윈도우 필름,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필름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6032157A1 (ko) 비산 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56330A1 (ko) 반사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06272588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6052883A1 (ko)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표시 장치
WO2011081464A2 (ko) 하드코팅필름
WO2020101396A1 (ko) 광학 적층체,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080757A1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1028075A9 (ko) 하드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하드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하드 코팅 필름
JP2006201650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16085072A1 (ko) 편광자 보호층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자 보호층,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149583A1 (ko)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7648A1 (ko) 플렉서블 윈도우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0256476A1 (ko) 라디칼계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용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062631A1 (ko) 반사방지 필름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반사방지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2015205A1 (en) Reflection sheet for backligh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412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412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