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1019174A2 -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1019174A2
WO2011019174A2 PCT/KR2010/005207 KR2010005207W WO2011019174A2 WO 2011019174 A2 WO2011019174 A2 WO 2011019174A2 KR 2010005207 W KR2010005207 W KR 2010005207W WO 2011019174 A2 WO2011019174 A2 WO 201101917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concentrate
makgeolli
skin
antioxi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0/0052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1019174A3 (ko
Inventor
박준성
김동현
배지현
김진한
한고운
김지은
최소웅
박창만
김덕희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US13/389,30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20134946A1/en
Priority to CN2010800457394A priority patent/CN102548534A/zh
Priority to JP2012524638A priority patent/JP2013501777A/ja
Publication of WO201101917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19174A2/ko
Publication of WO201101917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1019174A3/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23L33/21Addition of substantially indigestible substances, e.g. dietary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wine (Takju) concentrate having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icacy.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melanocytes melanocytes
  • the distribution of blood vessels the thickness of the ski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igments, such as carotenoids, bilirubin, etc.
  • pigments such as carotenoids, bilirubin, etc.
  • Excessive melanin pigment may cause symptoms such as blemishes, freckles, senile plaques, and hyperpigmentation of the skin.
  • the leisure population increases,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being active outside increases the demand to prevent melanin pigmentation caused by ultraviolet rays.
  • An object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ontaining makgeolli concentrate.
  • Another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oxidant composition containing the Makgeolli concentrate.
  • Another object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whitening containing makgeolli concentrat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contains the Makgeolli concentrate as an active ingredient.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 through which it can be variously used in cosmetics, health food or medicin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makgeolli (Takju) concentrat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repeated and various experiments, confirmed that the makgeolli concentrate had the effect of antioxidant and whitening and came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 the makgeolli concentrate is obtained by, for example, filtering or centrifuging makgeolli to obtain a supernatant or filtrate and concentrating it.
  • Makgeolli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e following process.
  • the general manufacturing process of makgeolli consists of milling / semi-lamination / seasoning / water cutting ⁇ steaming and cooling ⁇ entry / primary seeding (base liquor) ⁇ primary fermentation ⁇ secondary fermentation ⁇ aging ⁇ defrosting. Looking at each process in more detail, as follows.
  • the milling / semi process is a process of removing rice by milling the rice in a mill and removing impurities.
  • the steaming process is a process of steaming rice by applying strong steam over 100 °C to rice containing proper moisture
  • the immigration / jumpering process is a process of expanding and cultivating mold by artificially breeding molds on steamed rice.
  • the primary fermentation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water is immersed in the prepared immigration / base hair to start the initial fermentation process.
  •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is a stage in which full-scale alcoholic beverages are produced after about 5 to 6 hours of feeding yeast, water, and rice starch into the initial stage.
  • the aging process is a process of ripening makgeolli at a temperature of about 25 ° C. or les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secondary fermentation process.
  • the forming process is a process of filtering takju while adding water by using a sieve, etc. after the aging process, and finally, the rice wine is completed.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makgeolli concentrate for the finished makgeolli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the concentrate can be extracted by the following method. All. After filtration and / or centrifugation for makgeolli, the residue and the filtrate can be separated, and the concentrated filtrate can be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a concentrate.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pical skin composition containing makgeolli concentrat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composition is recognized for its antioxidant and / or whitening effect.
  • the composition may be an antioxidant composition.
  • the makgeolli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exhibits antioxidant efficacy by inhibi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Free radical species refers to a state in which oxygen has a free radical and is not stable, and thus has a strong activity.
  • Active oxygen species are produced by various physical, chem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enzyme system, reducing metabolism, chemicals, pollutants and photochemical reactions.
  • ROS reactive oxygen species
  • it is known to cause various diseases including cell aging or cancer by non-selective and irreversible destruction of cell components such as lipids, proteins, sugars and DNA. Excessive free radical species results in toxicity to the living body, ie oxidative stress. Therefore,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tioxidant efficacy by inhibiting or eliminating the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 the composition may be a composition for whitening.
  • the makgeolli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exhibits skin whitening efficacy through inhibition of melanin production and / or improvement of pigmentation.
  • Melanin pigment is a phenolic macromolecular substance produced in melanocytes of the body skin and has a complex form of black pigment and protein. Melanin pigments play a useful role in protecting proteins and genes in the skin, such as blocking UV rays from the sun, protecting skin organs below the dermis, and freeing the free radicals generated in the skin.
  • melanin produced by stress stimulation inside or outside the skin is a stable substance that does not disappear until it is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skin keratinization even when the stress disappears.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skin whitening efficacy by inhibiting melanin production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state in which the pigment is overdeposited.
  • the composition may be a topical skin composition, more specifically a cosmetic composition.
  • the content of the makgeolli concentrate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0.001 to 90% by weight, specifically 0.01 to 30%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1 to 1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Can be.
  • the content range of the makgeolli concentrate is selected through a repetitive experiment, a preferred range that can improve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
  • the 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in the form of cosmetics, such as softening cosmetics, astringent cosmetics, nourishing cosmetics, eye cream,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owder, essence or pack It may be formulated in a form, the formul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cosmetics such as softening cosmetics, astringent cosmetics, nourishing cosmetics, eye cream,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owder, essence or pack It may be formulated in a form, the formul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kgeolli concentrate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an antioxidant composition and / or a whitening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 health food composition or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 the health food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 various forms such as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and drinks.
  • the said health food composition can be mix
  • various fruits concentrated juice, powder juice, etc.
  • Vitamins remithol palmitate, riboflavin, pyridoxine, cyanocobalamine, sodium ascorbate, nicotinic acid amide, calcium pantothenate, folic acid, biotin, cholecalciferol, cholinergic acid choline, tocopherol, ⁇ Water-soluble and fat-soluble vitamins such as carotene); Flavors (lemon flavors, orange flavors, tali flavors, grapefruit flavors, vanilla essences, etc.); Amino acids, nucleic acids and salts thereof (glutamic acid, sodium glutamate, glycine, alanine, aspartic acid, sodium aspartate, i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pharmaceutical aid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hydrating or emulsifying accelerators, salts for regulating osmotic pressure and / or buffers,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and various oral agents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methods. Or in parenteral dosage forms.
  • pharmaceutical aids such as preservatives, stabilizers, hydrating or emulsifying accelerators, salts for regulating osmotic pressure and / or buffers, and other therapeutically useful substances, and various oral agents in accordance with conventional methods. Or in parenteral dosage forms.
  •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for example, tablets, pills, hard and soft capsule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fiers, syrups, granules, etc. These formulations may contain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lubricants such as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its magnesium or calcium salts and polyethylene glycols.
  • diluents e.g., lactose, dextrose, Sucrose, mannitol, sorbitol, cellulose and glycine
  • lubricants such as silica, talc, stearic acid and its magnesium or calcium salts and polyethylene glycols.
  • Tablets may also contain binders such as magnesium aluminum silicate, starch paste, gelatin, tragacanth, 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nd polyvinylpyrrolidine, optionally starch, agar, alginic acid or its sodium salt Pharmaceutical additives such as disintegrants, absorbents, colorants, flavors, and sweeteners. Tablets may be prepared by conventional mixing, granulating or coating methods.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external skin preparations, injections, and the like, and the external skin preparations are preferably ointments, and may be isotonic aqueous solutions or suspensions.
  • Determination of the dosage of the active ingredient is within the level of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daily dose of the dr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pends on various factors such as less progression, onset time, age, health condition, complications, etc. of the subject to be administered. Although based on an adult, generally 1 to 500 mg / kg, preferably 30 to 200 mg / kg, of the composition combined in the above-mentioned weight ratios may be administered once or twice a day.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in any way.
  • the content of the makgeolli concentr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90% by weight, specifically 20 to 5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ontent of the powder and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manufacture of tablets and soft capsules may be 10 to 60%, and the content of the powder and functional ingredients in the preparation of hard capsules may be 10 to 90%.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health food composition or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10% to 90% Makgeolli concentrate.
  • the method of evaluating the antioxidant activity through the change of absorbance generated by the reduction of the organic radical DPPH (1,1-diphenyl-2-picryl hydrazyl) (an antioxidant is oxidized) was used.
  • the antioxidant degree was measured by the degree that the oxidation of DPPH was inhibited and the absorbance was reduced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he concentration (IC 50 ) showing an absorbance of 50% or less compared to the absorbance of the control was evaluated as the effective antioxidant concentration.
  • the cell line used in the test was 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 (Du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DMEM), which was divided into four 2.0x10 pores per 96-hole black plate for fluorescence measurement and added penicillin / streptomycin.
  • the test sample was treated after incubation for 1 day at 37 ° C. and 5% CO 2 using FBS 10%) medium.
  • Serum-free DMEM (FBS free) to which penicillin / streptomycin was added was used as a medium used for the sample treatment shown in Table 2 below, and cultured for 1 day at 37 ° C. and 5% CO 2 .
  • makgeolli concentrate has a superior ability to inhibit ROS production rather than trolox.
  • the cultured Mel-Ab cells are detached with 0.25% trypsin-EDTA, the cells are incubated at concentrations of 10 5 cells / well in 24-well plates and 10 ppm each test for 3 consecutive days from day 2 Hydroquinone and the Makgeolli concentrate of Example 1 were added as a substance and cultured. At this time, the hydroquinone was used as a positive control group. Then, the culture solution was removed, washed with PBS, and the cells were dissolved with 1 N sodium hydroxide and absorbance was measured at 400 nm. The melanin production inhibition rat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1,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Dooley's method).
  • UVB ultraviolet light
  • the difference in skin color ( ⁇ L *) between the start point of application and the end point of application of each test substanc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2, which is shown in Table 4 below.
  • the whitening effect is determined by comparing ⁇ L * between the sample application site and the control site. When ⁇ L * value is about 2, the whitening effect of the deposited pigment is clear, and when it is about 1.5 or more, the whitening effect is determined. Can be.
  • the makgeolli concentrate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to show a degree of skin color brightness similar to hydroquinone. This is because the materials brighten the skin color by improving pigmentation produced by ultraviolet light.
  • Makgeolli concentrate 80 mg, vitamin E 9 mg, vitamin C 9 mg, palm oil 2 mg, vegetable hardened oil 8 mg, lead 4 mg and lecithin 9 mg were mixed and mix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to prepare a soft capsule filling solution. 400 mg per capsule was filled to prepare a soft capsule.
  • a soft capsule sheet was prepared at a ratio of 66 parts by weight of gelatin, 24 parts by weight of glycerine, and 10 parts by weight of sorbitol solution and filled with the filler to prepare a soft capsule containing 400 mg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 Makgeolli concentrate 80 mg, vitamin E 9 mg, vitamin C 9 mg, glucose 10 g, citric acid 0.6 g, and liquid oligosaccharide 25 g were mixed, and 300 ml of purified water was added to each bottle to fill 200 ml. After filling the bottle sterilized for 4 to 5 seconds at 130 °C to prepare a beverage.
  • Nutritional longevity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5.
  • Nutritional cream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6.
  • the ointment was prepared in a conventional manner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described in Table 9.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used in the cosmetic, health food or medicine fiel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막걸리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된다.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건강식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본 발명은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탁주) 농축액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생활 패턴의 급격한 변화 및 환경 오염의 악화 등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인체에 각종 스트래스가 가해지게 되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이 증가하게 된다. 활성산소종은 노화를 촉진하는 원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특히, 활성산소종에 의한 지질과산화의 결과로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비롯한 체내 과산화물들은, 세포에 대한 산화적 파괴를 일으켜 각종 기능장애를 야기함으로써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편,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는데,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 빌리루빈 등의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중요하다. 멜라닌 색소가 과잉되면, 기미, 주근깨, 노인성 색소반, 피부색소 과침착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레저 인구의 증가로 외부에서 활동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 색소 침착을 막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목적은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의 목적은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막걸리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건강식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막걸리(탁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반복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막걸리 농축액이 항산화 및 미백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막걸리 농축액은, 예를 들어, 막걸리를 여과 또는 원심분리하여 상등액 또는 여과액을 얻고, 이를 농축함으로써 얻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막걸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음의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막걸리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도정/세미→ 침미/수절 → 증자 및 냉각 → 입국/주모(밑술) → 1차 발효 → 2차 발효→ 숙성 → 제성으로 이루어진다. 각 공정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정/세미 공정은 쌀을 도정기에서 도정해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공정이고, 침미/수절 공정은 쌀을 물에 불린 후 물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증자공정은 적당한 수분을 함유한 쌀에 100℃ 이상의 강한 스팀을 가하여 쌀을 찌는 공정이며, 입국/주모 공정은 증자시킨 쌀에 곰팡이류를 인위적으로 번식시켜 곰팡이를 확대 배양 시키는 공정이다. 1차 발효공정은 제조된 입국/주모에 물을 혼합하여 담금하는 공정으로 초기발효공정을 시작하는 단계이다. 2차 발효공정은 초기 단계를 거친 주모에 누룩, 물 및 쌀 전분의 원료를 투입해 대략 5∼6 시간 정도 경과한 이후부터 본격적인 주정이 생성되는 단계이다. 숙성공정은 2차 발효공정이 완료된 후 막걸리를 약 25℃ 이하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는 공정이다. 제성공정은 숙성공정을 거친 후, 체 등을 이용하여 물을 가하면서 탁주를 거르는 공정으로 이러한 제성공정을 마지막으로 막걸리가 완성된다.
완성된 막걸리를 대상으로 막걸리 농축액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농축액을 추출할 수 있다. 다. 막걸리에 대한 여과 및/또는 원심분리 공정을 거쳐,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농축액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 및/또는 미백 효과가 인정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활성산소종은, 산소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을 가져 안정되지 못한 상태를 의미하며, 그로 인해 강한 활성을 갖는다는 특징이 있다. 활성산소종은, 체내 효소계, 환원대사, 화학약품, 공해물질 및 광화학반응 등의 각종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 요인 등에 의하여 생성된다. 또한, 세포구성 성분들인 지질, 단백질, 당 및 DNA 등에 대하여 비선택적, 비가역적인 파괴작용을 함으로써, 세포노화 또는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산소종이 과잉되면, 생체에 대해 독성 즉, 산화적 손상(oxidative stress)을 가져온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억제 내지 제거함으로써,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게 된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용 조성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이 멜라닌 생성 억제 및/또는 색소 침착의 개선을 통해, 피부 미백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멜라닌 색소는,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며,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이다. 멜라닌 색소는,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피부 내부 또는 외부의 스트레스성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나 주근깨,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멜라닌 생성 억제하고, 동시에 색소가 과침착된 상태를 개선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능을 발휘하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는 0.01 내지 30 중량%, 보다 구체적으로는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막걸리 농축액의 함량 범위는,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범위를 선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막걸리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산화용 조성물 및/또는 미백용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캡슐제 및 드링크 등과 같은 각종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식품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서 하기의 첨가제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첨가 배합할 수 있다.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그레이프프루트, 사과, 오렌지, 레몬, 파인애플, 바나나, 배 등의 각종 과즙(농축 과즙, 분말 과즙 등이어도 좋다); 비타민류(팔미트산 레티놀, 리보플라빈, 피리독신, 시아노코발아민(cyanocobalamine),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니코틴산 아미드, 판토텐산 칼슘, 엽산, 비오틴, 콜레칼시페롤(cholecalciferol), 중주석산 콜린, 토코페롤, β-카로틴 등의 수용성 및 지용성 비타민류); 향미료(레몬플레이버, 오렌지플레이버, 딸리플레이버, 그레이프프루트플레이버, 바닐라 에센스 등); 아미노산, 핵산 및 그들의 염류(글루탐산, 글루탐산나트륨, 글리신, 알라닌, 아스파라긴산, 아스파라긴산 나트륨, 이노신산 등); 식물 섬유(폴리덱스트로오즈, 펙틴, 크산탄 고무, 글루코만난, 알긴산 등); 또는 미네랄류(염화 나트륨, 초산 나트륨, 황산 마그네슘, 염화 칼륨, 염화 마그네슘, 탄산 마그네슘, 염화 칼슘, 인산 2칼륨, 인산 1나트륨, 글리세로 인산 칼슘, 구연산제1철 나트륨, 구연산철 암모늄, 구연산철, 황산망간, 황산구리, 요오드화나트륨, 솔빈산칼륨, 아연, 망간, 구리, 요오드, 코발트 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즈 및 글리신),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즈,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즈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피부외용제, 주사제 등을 포함하며, 피부외용제로는 연고제가 바람직하며, 주사제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일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의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약물의 1 일 투여 용량은 투여하고자 하는 대상의 미만 진행 정도, 발병 시기, 연령, 건강상태, 합병증 등의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지지만,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일반적으로는 상기 언급된 중량비로 조합된 조성물 1 내지 500 mg/kg,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200 mg/kg을 1 일 1 내지 2 회 분할하여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 막걸리 농축액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 90 중량%, 구체적으로는 20 ~ 50 중량% 범위일 수 있다. 이는 정제 및 연질캡슐 제조시, 분말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10 ~ 60%, 하드캡슐의 제조시, 분말 및 기능성 성분의 함량이 10 ~ 90% 일 수 있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막걸리 농축액을 10 ~ 90%로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막걸리 농축액의 제조
시판 막걸리 5 kg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농축하여 막걸리 농축액 50 g을 얻었다.
[실험예 1] 막걸리 농축액의 항산화 효과 시험(DPPH test)
유기 라디칼인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항산화도는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IC50)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 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 ㎕를 실시예 1의 막걸리 농축액과 대조시료를 각각 10 ㎕씩 혼합하여 반응액을 준비하였다. 혼합된 반응액을 37℃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시료로는 합성 항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트롤록스(Trolox)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경우에 대한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시료 IC50(ppm)
막걸리 농축액 7.45
트롤록스 8.64
표 1의 결과를 통해, 막걸리 농축액은 트롤록스보다 항산화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형광물질을 이용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생성 억제능 시험
시험에 사용한 세포주는 인간 각질형성세포 HaCaT 세포주(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로 형광측정용 96공 블랙 플레이트에 각 공당 2.0x104 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 일간 배양한 후 시험시료를 처리하였다. 하기 표 2에 나타나 있는 시료 처리에 사용된 배지로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무혈청 DMEM(FBS free)을 사용하고 37℃, 5% CO2 조건에서 1 일간 배양하였다.
시험시료를 넣고 24 시간 배양한 후,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HCSS에 20 μM로 준비된 DCFH-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Inc)를 100 ㎕ 가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0 분간 배양하고 HCSS로 세척하였다. 이 후 시료 농도별로 처리된 HCSS를 100 ㎕ 가한 다음, 초기에 ROS로 산화된 DCF (dichlorofluorescein)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 nm, Em=530nm)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이후 UVB(30 mJ/cm2)를 조사하고 처리직후 및 처리 3시간 후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 nm, Em=530 nm)로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비교시료로서 트롤록스를 사용하였다. 각 시험물질의 ROS 생성억제능(대조군의 %)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농도(ppm) 막걸리 농축액 트롤록스
50 43.2 58.5
25 51.7 73.3
10 61.5 74.6
1 68.2 76.9
위의 표 2에서와 같이, 막걸리 농축액이 트롤록스 보다도 오히려 ROS 생성 억제능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쥐의 색소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측정
C57BL/6 마우스 유래의 쥐의 색소세포(Mel-Ab cell)(Dooley, T.P. et al, Skin pharmacol, 7, pp 188-200)를 DMEM에 10% 우태반 혈청, 100 nM 2-O-테트라데카노일포르빌(tetradecanoyphorbol)-13-아테이트, 1 nM 콜레라 독소(cholera toxin)을 첨가한 배지에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배양된 Mel-Ab 세포를 0.25% 트립신-EDTA로 떼어내고, 24-웰 플레이트에 105 세포/웰(cells/well)의 농도로 세포를 배양하고, 이틀째부터 3 일 연속으로 10 ppm의 각 시험물질로 하이드로퀴논, 상기 실시예 1의 막걸리 농축액을 가하여 배양하였다. 이때, 상기 하이드로퀴논은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그런 다음,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 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포를 녹여 4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Dooley의 방법).
수학식 1
Figure PCTKR2010005207-appb-M000001
표 3
시험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비처리군 100.0
막걸리 농축액 38.2
하이드로 퀴논(양성대조군) 41.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수득한 막걸리 농축액이 하이드로 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시험
상기 실시예 1의 막걸리 농축액에 대한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건강한 12 명의 남자를 대상으로 피검자의 상박 부위에 직경 1.5 ㎝의 구멍이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 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였다.
자외선 조사 후, 실시예 1의 막걸리 농축액 1%(용매는 1,3-부틸렌그리콜:에탄올 = 7:3), 하이드로 퀴논 1%, 및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1%를 각각 도포하였으며, 한 곳은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10 주 동안 상태변화를 관찰하였다. 1 주 단위로 피부의 색깔을 색차계 CR2002(일본, 미놀타 사)로 측정하였다.
그 다음 상기 각 시험물질의 도포 개시시점과 도포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고, 이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한편,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며, △L* 값이 2 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1.5 정도 이상이면 미백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PCTKR2010005207-appb-M000002
표 4
시험물질 피부색 밝기 정도(△L*)
막걸리 농축액 1.85±0.25
하이드로 퀴논(양성 대조군) 1.90±0.11
용매(Vehicle)(음성 대조군) 0.50±0.1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수득한 막걸리 농축액은 하이드로 퀴논과 유사한 정도의 피부색 밝기 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상기 물질들이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피부색을 밝게 하기 때문이다.
하기에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연질 캡슐의 제조
막걸리 농축액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팜유 2 mg, 식물성 경화유 8 mg, 황납 4 mg 및 레시틴 9 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혼합하여 연질캡슐 충진액을 제조하였다. 1 캡슐당 400 ㎎씩 충진하여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별도로 젤라틴 66 중량부, 글리세린 24 중량부 및 솔비톨액 10 중량부의 비율로 연질캡슐시트를 제조하고 상기 충진액을 충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400 mg이 함유된 연질캡슐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정제의 제조
막걸리 농축액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갈락토올리고당 200 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 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 mg을 첨가하였다. 이들 조성물 504 mg을 통상의 방법으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드링크제의 제조
막걸리 농축액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포도당 10 g, 구연산 0.6 g, 및 액상 올리고당 25 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 ㎖를 가하여 각 병에 200 ㎖씩 되도록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과립의 제조
막걸리 농축액 80 mg, 비타민 E 9 mg, 비타민 C 9 mg, 무수결정 포도당 250 mg 및 전분 550 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여 제조하였다.
[제형예 5] 영양화장수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표 5
성분 함량(중량 %)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제형예 6] 영양크림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6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제형예 7] 마사지 크림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표 7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제형예 8] 팩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표 8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제형예 9] 피부외용제 중 연고
하기 표 9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연고를 제조하였다.
표 9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 건강식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유효성분으로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미백용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은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거나 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01 내지 9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함유된 막걸리 농축액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9. 유효성분으로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10. 유효성분으로 막걸리 농축액을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12.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PCT/KR2010/005207 2009-08-10 2010-08-09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WO2011019174A2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389,305 US20120134946A1 (en) 2009-08-10 2010-08-09 Composition having antioxidant and whitening effects containing a concentrate of korean rice wine
CN2010800457394A CN102548534A (zh) 2009-08-10 2010-08-09 含有韩国米酒浓缩液、具有抗氧化和美白效果的组合物
JP2012524638A JP2013501777A (ja) 2009-08-10 2010-08-09 抗酸化及び美白効能を有するマッコリ濃縮液含有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295A KR101134890B1 (ko) 2009-08-10 2009-08-10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KR10-2009-0073295 2009-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9174A2 true WO2011019174A2 (ko) 2011-02-17
WO2011019174A3 WO2011019174A3 (ko) 2011-06-03

Family

ID=43586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0/005207 WO2011019174A2 (ko) 2009-08-10 2010-08-09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134946A1 (ko)
JP (1) JP2013501777A (ko)
KR (1) KR101134890B1 (ko)
CN (1) CN102548534A (ko)
WO (1) WO201101917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937B1 (ko) * 2012-05-22 2014-08-13 주식회사 국순당 한방 이화주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29161B1 (ko) * 2012-10-04 2014-08-11 주식회사 국순당 이화누룩 약주를 포함하는 미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8255B1 (ko) * 2017-07-05 2019-06-12 한국식품연구원 항산화, 항고혈압 및 미백활성을 갖는 오메기곡 발효 분획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547993A (zh) * 2018-05-31 2019-12-10 苏育攀 一种蛋黄甘油颈膜
KR102196282B1 (ko) 2019-02-20 2020-12-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KR102202554B1 (ko) * 2019-07-23 2021-01-14 주식회사 현대바이오랜드 삼백초잎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마치현 추출물 및 고두밥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837A (ja) * 2004-11-26 2006-06-15 Fukumitsuya Inc 化粧品原料用のノンアルコールコメ発酵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4395A (ja) * 2007-01-26 2008-08-14 Japan Natural Laboratory Co Ltd 制汗・消臭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9679A (ja) * 1992-10-08 1994-07-19 Kyodo Nyugyo Kk チロシナ−ゼ活性阻害剤
JP3550413B2 (ja) * 1993-12-27 2004-08-04 株式会社創研 米からの抗酸化剤および鮮度保持剤
JPH08119870A (ja) * 1994-10-25 1996-05-14 Soken Kk 米からのターンオーバー正常化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1837A (ja) * 2004-11-26 2006-06-15 Fukumitsuya Inc 化粧品原料用のノンアルコールコメ発酵液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4395A (ja) * 2007-01-26 2008-08-14 Japan Natural Laboratory Co Ltd 制汗・消臭化粧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548534A (zh) 2012-07-04
WO2011019174A3 (ko) 2011-06-03
JP2013501777A (ja) 2013-01-17
KR20110015866A (ko) 2011-02-17
US20120134946A1 (en) 2012-05-31
KR101134890B1 (ko) 2012-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19174A2 (ko)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KR20070056674A (ko) 이카린의 가수분해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용 조성물
WO2020060060A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09003352A1 (fr) Extrait de vaccinium vitis idaea l. et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osition cosmétique, aliment et utilisation
EP3130331A1 (en) Skin aging inhibitor and concentrate of resveratrol 3-o- -glucoside
KR101973639B1 (ko) 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3055068A2 (ko) 구기자와 솔잎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레티노익산 수용체의 활성화를 통한 항노화용 조성물
KR20040107713A (ko) 황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바이칼린, 바이칼레인,우고닌 또는 5,7,2,5-테트라하이드록시-8,6-디메톡시플라본을 함유하는 노화 방지 및 억제용 약학조성물
EP1560561A1 (en) METHOD FOR PROTECTION OF SKIN AGAINST SUN-INDUCED DAMAGE BY ORAL ADMINISTRATION OF AN EXTRACT OF EMBLICA OFFICINALIS (syn. PHYLLANTHUS EMBLICA)
KR20100026835A (ko) 염증 억제능을 갖는 녹차 산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20130108853A (ko) 차나무 뿌리에서 추출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을 함유하는 조성물
WO2023042959A1 (ko) 복합 진세노사이드 조성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736981B1 (ko) 납떼기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73107B1 (ko) 베리 칵테일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230138679A (ko) 홍경천 발효물을 포함하는 인지기능 장애 또는 기억력 장애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20111540A1 (ko) 안토시아닌-폴리사카라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 또는 노화 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040770A2 (ko) 누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2407B1 (ko) 스피루리나에서 유래한 파이코시아노블린 및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1064A (ko) 아위느타리버섯으로부터 분리된 신규한 엘라스타제 저해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2014961B1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AU781176B2 (en) Whitening composi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KR20130054518A (ko) 해조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의 용도
WO2019156498A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16650A1 (ko) 간보호, 숙취해소, 항산화 및 항염증 효능을 갖는 펩티드
WO2023249155A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080045739.4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08083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3389305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2524638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080832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