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56498A1 -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56498A1
WO2019156498A1 PCT/KR2019/001563 KR2019001563W WO2019156498A1 WO 2019156498 A1 WO2019156498 A1 WO 2019156498A1 KR 2019001563 W KR2019001563 W KR 2019001563W WO 2019156498 A1 WO2019156498 A1 WO 20191564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ticancer agent
anticancer
extract
side effects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156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노수
김영아
김진희
신사라
이진무
방옥선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ublication of WO20191564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564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8Peptides having 5 to 11 amino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Sicyos angulatus )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side effects of an anticancer agent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Cancer is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in Korea, and 30% of deaths in Korea's 50s and 60s are dying of cancer. Surgical surgery, radiation therapy, and chemotherapy are most commonly used to treat such cancers. Among them,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develop anticancer drugs as chemotherapy, but until now, anticancer drugs have not been developed as a true therapeutic agent, and they are only supplementary treatment or short term life support.
  • Anticancer agents used as chemotherapy are cytotoxic to cells by interfering with the metabolic pathways of cancer cells and directly interacting with DNA to block DNA replication, transcription, and translation, or to inhibit the synthesis of nucleic acid precursors and to inhibit cell division. Indicates.
  • current anticancer drugs have no specific selectivity for cancer, resulting in both therapeutic and toxic effects.
  • the toxic effects of anticancer drugs can be attributed to the effects of bone marrow destruction such as leukocytes, platelets, erythrocytes, and follicular cell destruction.
  • Sicyos angulatus is a two or two year old vine plant belonging to the fruit family, the stem extends about 4-8m, and it grows around other objects with tendrils, and the running leaves are divided into 5-7 branches in the shape of palms.
  • Female flowers have two pistils and one pistil. Fruits are clustered together and covered with hairy thorns. Native to North America, it is a naturalized plant in Korea.
  •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thorn gourd extract or a fraction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and administering the composition to a suspected liver disease individual It disclos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liver disease, comprising the step of, and the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metabolic diseases comprising a barley gourd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in Korean Patent No.
  • the present invention is derived from the above requiremen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anticancer drug side effects containing Sicyos angulat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in detail Sicyos angulat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reated with bone marrow cells of mice whose hematopoietic stem cells have been reduced by administration of docetaxel, thereby remarkably restoring the survival of hematopoietic stem cells, and the treatment of hematopoietic related cytokines IL-3,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d amount of expression of IL-6 and IFN- ⁇ ), it was found that to relieve hematopoietic toxicity due to anticancer drugs of various mechanisms of action in the ex vivo model, primary splenic immune cell growth and NO pro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that the hematopoietic toxicity could be alleviated even in the in vivo mode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containing angulatu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diseases caused by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containing thorn gour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nticancer adjuvant containing the thorn gour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ameliora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side effects of an anticancer agent containing an extract of thorn gourd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significantly reduces a decrease in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ies induced by an anticancer agent,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xpression level of caine, relieves hematopoietic toxicity by anticancer drugs of various mechanisms of action, promotes the growth and NO production of primary spleen immune cells, and also reduces the hematopoietic toxicity in in vivo models.
  • the thorn gourd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as a medicine, health functional food or anticancer adjuvant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diseases caused by anticancer side effects.
  • Figure 1 shows a decrease in bone marrow hematopoietic stem cells of mice by docetaxel treatment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ies by docetaxel, and 25, 50 and 100 ⁇ g / ml spiny starch hot water extract (A); And the combination of spiny gourd ethanol extract (B) was confirmed that the spiny gourd hot water extract and spiny gourd ethanol extract effectively restor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ies.
  • CFUs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y forming units
  • Figure 2 shows a decrease in bone marrow hematopoietic stem cells of mice by docetaxel treatment and a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ies by docetaxel and 25, 50 and 100 ⁇ g / ml of spinach leaf hydrothermal extract (A); And thorny leaf stem hot water extract (B) in combination, the result of confirming that the thorny leaf hot water extract and thorny leaf stem hot water extract effectively restor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ies.
  • CFUs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y forming units
  • Figure 3 shows the reduction of bone marrow hematopoietic stem cells in mice by docetaxel treatment an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ies by docetaxel, and 25, 50 and 100 ⁇ g / ml of spinach hot water extract and fractions thereof (hexane, Hx; ethyl).
  • Acetate, EtOAc; butanol, BuOH; water, Wa was used in combination to confirm that spiny hot water extract, butanol (BuOH) fraction and water (Wa) fraction effectively recovered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s.
  • ####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olony forming units (CFUs) in the docetaxel-only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t treated with the docetaxel, and p ⁇ 0.0001.
  • CFUs colony forming units
  • Figure 4 shows a decrease in the CFU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s by docetaxel treatment in a culture medium that promotes hematopoietic stem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a specific lineage, and when the docetaxel and the spinach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reated in combin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CFU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s can be effectively recovered.
  • GF M3434 media promotes hematopoietic stem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in all lineages
  • GF M3534 media promotes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monocytes, eosinophils and neutrophils) in the myeloid lineage
  • SF M3436 medium is a medium for promoting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erythroid stem cells (erythrocytes).
  • ###, ####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number of CFUs of hematopoietic stem cells in the docetaxel-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without the docetaxel, ### is p ⁇ 0.001, ### # Is p ⁇ 0.0001.
  • *, **, ***, ****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CFU of hematopoietic stem cells of the group treated with docetaxel and spinach hot water extract compared to the docetaxel alone treatment group, * is p ⁇ 0.05 , ** is p ⁇ 0.01, *** is p ⁇ 0.001, and **** is p ⁇ 0.0001.
  • FIG. 5 shows hematopoietic and immune function-related cytokines (IL-3, IL-6) when treated with raw splenocytes or Raw macrophage, mouse macrophage, Raw264.7 cells. , IFN- [gamma] and TNF- [alpha])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 and ***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cytokine expression in the group treated with spinach hot water extrac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vehicle), ** is p ⁇ 0.01, *** p ⁇ 0.001.
  • ConA is a positiv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 using spleen immune cells
  • Concanavalin A Concanavalin A
  • LPS is a positive control group used in the experiment using Raw264.7 cells
  • lipopolysaccharide lipopolysaccharide
  • *, **, ***, **** are docetaxel and spiny bacterium compared to the group treated with anticancer agents of actinomycin D (A), doxorubicin (B), paclitaxel (C) or mitomycin (D), respectively.
  • the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 CFU in the group treated with the hydrothermal extra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 for p ⁇ 0.05, ** for p ⁇ 0.01, *** for p ⁇ 0.001, and **** for p ⁇ 0.0001.
  • Figure 7 shows the growth of spinal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imary splenocytes (A) and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itric oxide, NO) which is an immune-related intracellular signaling material from spleen immune cells (B) This is to confirm that it can promote.
  • A primary splenocytes
  • Nitric oxide, NO nitric oxide
  • B spleen immune cells
  • G-CSF a positive control group, is a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agent used clinically as a neutropenia treatment.
  • spleen, thymus and bone marrow which are major immune organs when daily oral administration of the spinach hot water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animal model (mouse) inducing hematopoietic toxicity by repeated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docetaxel.
  • Hematoxylin-eosin (H & E) tissue staining technique has been shown to effectively protect against tissue damage caused by chemotherapy in the microenvironment of bone marrow.
  • R and W refer to the red and white pulp observed in the spleen and C and M refer to the cortex and medulla observed in the thymus.
  • G-CSF a positive control group, is a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agent used clinically as a neutropenia treatm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Sicyos angulatus ) relates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disease caused by side effects of an anticancer agent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piny gourd extract may be prepared by a metho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tep (3) preparing the extract by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he filtered extract of step (2).
  • the extraction solvent in step (1) is preferably water, lower alcohols of C 1 ⁇ C 4 or mixtures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of the thorn extract can be used for all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such as filtration, hot water extraction, immersion extraction, reflux cooling extraction and ultrasonic extraction.
  • the extraction solvent is preferably extracted by adding 1 to 20 times the volume of dried spiny foil, more preferably 3 to 10 times.
  •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20 ⁇ 50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extraction time is preferably 10 to 100 hours, more preferably 24 to 96 hours, most preferably 72 hours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ecompression concentration in step (3) preferably uses a vacuum decompression concentrator or a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ying is preferably reduced pressure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or freeze dry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orn gourd extract may be extracted using an outpost, leaf or stem area,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cancer is preferably any one selected from lung cancer, breast cancer, liver cancer, stomach cancer, colon cancer, colon cancer, skin cancer, bladder cancer, prostate cancer, ovarian cancer, cervical cancer, thyroid cancer, kidney cancer, fibrosarcoma, melanoma and hematological canc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cancer that can be diagnosed is not limited.
  • the anticancer agents include antitumor antibiotics, topoisomerase inhibitors, platinum anticancer agents, taxane anticancer agents or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s, This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ll anticancer drugs that can be used clinically, pharmaceutically and biomedically.
  • the antitumor antibiotics are actinomycin D, bleomycin sulfate, bleomycin sulfate, daunomycin, daunorubicin, doxorubicin, doxorubicin, idarubicin ), Mitomycin, mitomycin-C, and mitramycin;
  • the topoisomerase inhibitor is irinotecan, irinotecan, camptothecin, novobiocin, epirubicin, epirubicin, dactinomycin, amsacrin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eniposide and etoposide;
  • the platinum-based anticancer agent is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isplatin, carboplatin, and oxaliplatin;
  • the taxane-based anticancer agent is paclitaxel or docetaxel;
  • the tyrosine kinase inhibitor is preferab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gefitinib, erlot
  • the disease caused by the side effects of the anticancer agent is preferabl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matopoietic toxicity, anemia and neutropenia,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erm 'hematopoietic toxicity' refers to damage or disorder of organs or cells of the hematopoietic system, resulting in hematopoietic dysfunction, in particular hematopoietic disorder or dysfunction of erythrocytes or immune system cells such as leukocytes.
  • hematopoiesis or function of the immune system in the bone marrow is affected by hematopoietic toxicity.
  • the hematopoietic toxicity generally includes myelotoxicity, anemia and neutropenia, and more preferably is induced by or as a result of the administration of a chemical compound or drug.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0.1 to 99.9% by weight of the spiny gourd extract or fra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cipient or diluent.
  •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 various oral or parenteral formulations.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and surfactants are usually used.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and the like, which may comprise at least one excipient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at least one compound). lactose) and gelatin.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talc and the like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vents, emulsions, and syrups, and include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and preservatives, in addition to commonly used simple diluents such as water and liquid paraffin.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formul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when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skin external or intraperitoneal, rectal,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cerebrovascular injection method.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at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an effective dose level means the type, severity, and activity of the patient's disease. , Sensitivity to the drug, time of administration, route of administration and rate of release, duration of treatment, factors including concurrent use of the drug,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arts.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individual therapeutic agents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single or multiple doses. Tak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nto consideration,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achieve the maximum effect with a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readily determined by one skilled in the art.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weight, age, sex, health status, diet, time of administration, administration method, excretion rate and severity of the disease of the patient, the daily dosage is the amount of thorn extract 0.01 to 2,000 mg / kg, preferably 30 to 500 mg / kg, more preferably 50 to 300 mg / kg, and may be administered 1 to 6 times per day.
  •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 the present invention ( Sicyos) angulatus ) relates to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improvement of diseases caused by side effects of anticancer drugs containing th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extraction solvent of the spiny gourd extract is preferably water, a lower alcohol of C 1 ⁇ C 4 or a mixture there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cancer agent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an antitumor antibiotic, a phase isomerase inhibitor, a platinum anticancer agent, a taxane anticancer agent, or a 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and includes all anticancer agents that can be used clinically, pharmaceutically, and biomedically.
  • the disease caused by side effects of the anticancer agent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matopoietic toxicity, anemia and neutropenia.
  • the nutr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as it is, or may be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 or food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a conventional metho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dietary supplement.
  • foods to which the thorn extract may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 bread, chocolate, candy,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 various soups, drinks, teas, Drinks,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etc., includes all of the health functional foods in the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beverage comprising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s, natural carbohydrates, and the like as additional ingredient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 the abov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glucose, monosaccharides such as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and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 and cyclodextrin,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sweetening agent natural sweetening agents such as tautin and stevia extract, synthetic sweetening agent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 to 0.04 g, preferably about 0.02 to 0.03 g per 100 g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ing agents, coloring agents, pectic acid and salts thereof, alginic acid and salts thereof,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 thickeners, pH regulators, stabilizers, preservatives , Glycerin, alcohol, carbonation agent used in the carbonated beverage may further contain. In addition it may further contain a pulp for the production of fruit juices or vegetable drinks. These components can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Although the ratio of such an additive is not critical, it is generally selected from 0.01-2 weight part with respect to 100 weight part of compositions of this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 Sicyos) angulatus ) relates to an anticancer adjuvant containing a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anticancer adjuvant is characterized by suppressing at least one anticancer drug side effect selected from hematopoietic toxicity, anemia and neutropenia caused by the administration of an anticancer agent.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contain one or more active ingredients exhibit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thorn gourd extract.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during clinical administration, and intraperitoneal injection, rectal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uterine dural injection, cerebrovascular injection, or thoracic injection during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can be administered by internal injection and can be used in the form of a general pharmaceutical formulation.
  • the anticancer adjuvant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methods using surgery, radiation therapy, hormone therapy, chemotherapy and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 the daily dosage of the anticancer adjuvant is about 0.0001 to 100 mg / kg, preferably 0.001 to 10 mg / kg, preferably administered once or several times a day, but the weight, age, sex, health status, The range varies depending on the diet, the time of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the rate of excretion and the severity of the disease.
  • the anticancer adjuva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in various parenteral dosage forms in actual clinical administration, and when formulated,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ting agents, surfactants, etc., which are commonly used, may be used. It is prepar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lyophilized preparations,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the suspension solv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 such as olive oil, injectable ester such as ethyl oleate, and the like can be used.
  • As the base of the suppository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butter, glycerogelatin and the like can be used.
  • the thorn gourd which is an active ingredi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horn gourd was harvested in the wild, and the dried thorn gourd was dried in a shade without light, and then, 100 g of dry thorn gourd starch was pulverized, and 2 liter of water and Put together in a round flask and mix.
  • a water bath connected to a reflux extraction device with a cooling tube was heated and repeatedly extracted two times, once every two hours.
  • the extracted spiny hot water extract was filtered under reduced pressure using a paper filter paper (Whatman No. 2) and a vacuum pump (Vacuum pump, GAST).
  • thorny hot water extract means that extracted by using thorny starch.
  • the spiny leaf or stem was subjected to hydrothermal extraction in the same manner as the spiny starch starch to obtain the spiny leaf hydrothermal extract and the spiny leaf stem hydrothermal extract, which were stored in a sealed plastic container until stored in a 4 ° C. low temperature reservoir.
  • the thorny leaf or stem was extracted with ethanol in the same manner as the thorny outpost, to obtain the thorny leaf ethanol extract and thorny stem ethanol extract, and stored in a sealed plastic container until 4 °C low temperature storage until the experiment.
  • the remaining fractions were obtained by concentrating under reduced pressure 80-90% at a vacuum degree of 0.07 MPa and then lyophilizing.
  • bone marrow nucleated cells are isolated from the mouse femur, and then 20 nM docetaxel is added to a mouse-derived murine stem cell factor (rm stem cell factor), interleukin-3.
  • rm stem cell factor mouse-derived murine stem cell factor
  • interleukin-3 mouse-derived murine stem cell factor
  • culturing the bone marrow cells for 7-10 days in medocult GF M3434 medium containing (rm IL-3), human-derived recombinant IL-6 (rh IL-6) and erythropoietin (rh erythropoietin) Thereby inducing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 Colony Forming Unit assay (CFU assay) of hematopoietic stem cells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effect of docetaxel anticancer agent on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mouse hematopoietic stem cells.
  • mouse bone marrow cells were treated with 20 nM docetaxel in combination with 25, 50 and 100 ⁇ g / ml thorny berry extracts to determine whether thorny berry extracts could alleviate hematopoietic toxicity induced by anticancer drugs.
  • the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he solvents (70% ethanol and water) used for the extraction of thorns and the parts of the thorns (outposts, leaves and stems) used for extraction were compared.
  • the number of mouse hematopoietic stem cell CFU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creased by docetaxel, and the spinach starch hydrothermal extract and ethanol extract were able to mitigate the decrease in the CFU number of hematopoietic stem cells by docetaxel, but were more visible than the spinach ethanol extract. Park hot water extract was confirmed to be more effective (Fig. 1).
  • thorny leaf hot water extract and thorny leaf stem hot water extract also had a hematopoietic toxicity-reducing effect by anticancer drugs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thorn gourd starch extract (FIG. 2).
  • GF M3434 for four kinds of solvent fractions (hexane (Hx), ethyl acetate (EtOAc), butanol (BuOH) and water (Wa) fractions) derived from the thorny hot water extract and thorny hot water extract, which are the active subst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ulture medium was used to compare the hematopoietic alleviation effect induced by docetaxel (Fig. 3).
  • Docetaxel and spinach hot water extract 50, 100, 200 ⁇ g / ml), or fractions thereof (1, 10, 100 ⁇ g / ml) were co-treated and the CFU number was counted.
  • Hexane and ethyl acetate fractions showed strong cytotoxicity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s, but butanol and water fractions showed similar hematopoietic toxicity-releasing effects similar to prickly water extract.
  • the activity of butanol and water fractions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prickly water extracts, even at low concentrations of 1 ⁇ g / ml, which showed a similar effect to the cytoprotective effect observed at 50 ⁇ g / ml of the hydrothermal extract. was judged to be better (Fig. 3).
  • a culture medium that promotes the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of a specific strain was used to confirm the mitigating effect of Pseudothermal hot-water extract in hematopoietic toxicity test system induced by docetaxel anticancer drugs.
  • the culture line used for the hematopoietic stem cell CFU test and a combination of growth factors that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dium and cell lines forming colonie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Culture medium used for the CFU test growth factors constituting the medium and colony types differentiated badge Growth factor Colony type GF M3434 rh EPO, rm SCF, rh IL6, rm IL3 All hematopoietic stem cells including BFU-E, CFU-GM, CFU-G, CFU-M, CFU-GEMM GF M3534 rm SCF, rh IL6, rm IL3 CFU-GM, CFU-G, CFU-M of Myeloid Lines SF M3436 cytokines containing rh EPO BFU-E of the Erythroid strain
  • the spiny hot water extract is not only an entire hematopoietic stem cell (FIG. 4A) and a myeloid (myeloid) line (FIG. 4B) but also red blood cells. Hematopoietic stem cell differentiation of the (erythroid) line (FIG. 4C)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reducing hematopoietic toxicity.
  • thorny hot water extrac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or treating neutropenia (FIG. 4B) and anemia (FIG. 4C) induced by anticancer agents.
  • Example 5 Primary splenocytes splenocyte ) And mouse macrophage (Raw264.7) Barbed Hydrothermal Expression of Hematopoietic and Immune-Related Cytokines by Extracts
  • cytokines IL-3, IL-6
  • INF- ⁇ and TNF- ⁇ An increase in cytokines (INF- ⁇ and TNF- ⁇ ), which enhance the immune response and antitumor function to viruses in splenic immune cells and Raw264.7 macrophages, was confirmed (FIG. 5).
  • thorny hot water extract can alleviate hematopoietic toxicity induced by anticancer drugs with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 the medium used was SF M3436 medium that induces hematopoietic stem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erythroid family.
  • the thorny hot water extract was treated with anti-cancer agent actinomycin D (DNA binding, Fig. 6A), doxorubicin (topoisomerase activity inhibition, Fig. 6B), paclitaxel (paclitaxel, inhibition of cell division, Figure 6C) and mitomycin C (mitomycin C, DNA cross-linking, Figure 6D) was confirmed that it can effectively restore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CFU of hematopoietic stem cells induced.
  • actinomycin D DNA binding, Fig. 6A
  • doxorubicin topoisomerase activity inhibition, Fig. 6B
  • paclitaxel paclitaxel, inhibition of cell division, Figure 6C
  • mitomycin C mitomycin C, DNA cross-linking, Figure 6D
  • mice When mice were treated with 0 ⁇ 200 ⁇ g / ml concentration of spinach hot water extract, the primary splenocytes were treated with nitric oxide (NO), a cell signaling material that regulates the growth and immune function of spleen immune cells. The production was confirmed. Growth and cell viability of spleen immune cells was determined using an automatic cell counter (ADAM-MC) and the concentration of NO in culture medium was determined using a Thermo Scientific NO measurement kit.
  • NO nitric oxide
  • Example 8 In animal models of hematopoietic toxicity induced by anticancer drugs Barbed Hydrothermal Confirmation of the Hematopoietic Toxicity Efficacy of Extracts in vivo )
  • hematopoietic toxic effect of the prickly pear hot water extract confirmed in the test system is effective in the in vivo animal model
  • hematopoietic toxicity is obtained by oral administration of the prickly pear hot water extract in a mouse animal model that induces hematopoietic toxicity by repeatedly injecting anticancer drugs. It was confirmed that this was alleviated.
  • mice C57BL / 6 mice were purchased and subjected to a period of purification for one week, and then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using an online random program (www.randomizer.org) (day 0 on experimental day, groups 1 to 6).
  • day 0 on experimental day, groups 1 to 6 On the first day of the experiment, a 26-gauge needle and a capillary tube coated with 10% (w / v)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potassium salt (K 2 -EDTA) were obtained from the saphenous vein of mice in each group.
  • K 2 -EDTA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dipotassium salt
  • the white blood cell (WBC) level was measured using a hematology analyzer (HemaVet) to determine the baseline value of the white blood cell (baseline) before inducing hematopoietic toxicity.
  • Group 1 contained 0.9% (w / v) saline containing 5% (v / v) ethanol and 2% (v / v) polysorbate 80.
  • Groups 2 to 6 were dissolved in 0.9% saline containing 5% (v / v) ethanol and 2% (v / v) polysorbate 80 to induce hematopoietic toxicity.
  • mice belonging to Group 1 normal control group, sham
  • Group 2 model hematopoietic model group, Model, M
  • mice belonging to groups 3 to 5 were orally administered every 30, 100, 300 mg / kg / d dose of spiny hot water extract dissolved in sterile water, respectively.
  • Group 6 was a positive control group injected with human recombinant G-CSF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subcutaneously in the back of the nape of the neck at the dose of 61.5 ⁇ g / kg on the 5th day and 7th day of the experiment. All doses and dose volumes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weight of the experimental animals measured daily. Peripheral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cloned vein at 2-3 days interval after the end of docetaxel administration and the leukocyte count was checked using a hemocytometer.
  • G-CSF 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 H. pylori water extract The hematopoietic mitigating effect of H. pylori water extract was observed through hematoxylin-Eosin (H & E) staining in the tissues of the spleen, thymus and bone marrow, which are the main immune organs. Specifically,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day 12 of the experiment), mice belonging to each group were sacrificed by inhalation of carbon monoxide, the spleen, thymus and hind limbs were collected, and the tissues were fixed in soaked formalin fixative. Fixed tissues were observed by tissue microscopy after paraffin embedding, tissue dissection and H & E staining.
  • necrosis and bleeding of the cells in the spleen tissue of the model group caused by docetaxel administration, and the atrophy of the tissue in the thymus tissue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cortex and the medulla were unclear.
  • hypocellularity was observed due to a decrease in hematopoietic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은 항암제의 투여에 의해 감소된 조혈모세포의 생존을 현저하게 회복시키고, 조혈 관련 사이토카인(IL-3, IL-6 및 IFN-γ)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며, ex vivo 모델에서 다양한 작용 기전의 항암제에 의한 조혈독성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일차 비장 면역세포의 성장 및 NO 생성을 촉진하였고, in vivo 모델에서도 조혈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시박 추출물은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항암 보조제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발명은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암은 국내 사망원인 1~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 50~60대 사망자의 30%가 암으로 죽어가고 있다. 이러한 암의 치료에는 일반적으로 외과적 수술, 방사선 요법, 화학 요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 중 화학적 요법으로서의 항암제 개발은 다양한 시도가 많았지만, 현재까지 진정한 치료제로서의 항암제는 개발되지 않은 상태이고, 보조 치료제 혹은 단기간의 생명연장을 돕는 정도에 불과한 상태이다.
화학요법으로 사용되는 항암제는 암세포의 대사경로에 개입하여 DNA와 직접 작용하여 DNA의 복제, 전사, 번역과정을 차단하거나, 핵산 전구체의 합성을 방해하고, 세포의 분열을 저해함으로써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현재의 항암제는 암에 대한 특이적 선택성이 없어서 치료 효과와 독성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며, 항암제 투여로 인한 독성 효과는 골수 파괴로 인한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 등의 혈구 감소증, 모낭 세포 파괴로 인한 탈모증상, 난소와 고환에 대한 부작용으로 월경불순 및 남성불임의 원인, 소화기의 점막 세포 파괴로 인한 부작용으로 구내염, 오심구토 및 음식 연하장애와 소화 장애, 설사증상, 세뇨관 괴사에 의한 신장 독성, 신경계 장애로 발생하는 말초 신경염과 쇠약감, 혈관 통증 및 발진 등의 혈관장애, 피부 및 손발톱 변색 등의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난다. 이에, 항암제에 의한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항암치료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약제의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한편, 가시박( Sicyos angulatus)은 박과에 속하는 한 두해살이 덩굴식물로서, 줄기는 4~8m 정도로 뻗으며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자라고,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7갈래로 갈라진다. 암수한그루로 6~9월에 꽃이 피는데 수꽃은 연녹색으로 총상화서로 달리고, 암꽃은 두상화서로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여러 개가 뭉쳐서 털 같은 가시로 덮여 있다.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된 귀화식물이다.
가시박 추출물의 의약 용도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802970호에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간질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793145호에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대사성 질환의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도세탁셀의 투여에 의해 조혈모세포가 감소된 마우스의 골수 세포에 처리함으로써, 현저하게 조혈모세포의 생존을 회복시키고, 가시박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조혈 관련 사이토카인(IL-3, IL-6 및 IFN-γ)의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작용 기전의 항암제에 의한 조혈독성을 완화시키는 것을 ex vivo 모델에서 확인하였으며, 일차 비장 면역세포의 성장 및 NO 생성을 촉진하였고, in vivo 모델에서도 조혈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보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항암제에 의해 유발된 조혈모세포 콜로니의 감소를 현저하게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조혈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작용 기전의 항암제에 의한 조혈독성을 완화시키고, 일차 비장 면역세포의 성장 및 NO 생성을 촉진하며, in vivo 모델에서도 조혈독성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본 발명의 가시박 추출물을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또는 항암 보조제로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도세탁셀 처리에 의한 마우스의 골수 조혈모세포의 감소 및 상기 도세탁셀에 의한 조혈모세포 콜로니 개수의 감소를 도세탁셀과 25, 50 및 100㎍/㎖의 가시박 전초 열수 추출물(A); 및 가시박 전초 에탄올 추출물(B)을 병용 처리하여 가시박 열수 추출물과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이 조혈모세포 콜로니 개수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은 도세탁셀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대비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에서의 조혈모세포 콜로니 형성 유닛(colony forming unit, CFU)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1이고, *, **은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 대비 도세탁셀 및 가시박 열수 추출물; 또는 도세탁셀 및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병용처리한 군에서 조혈모세포의 CFU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 **는 p<0.01이다.
도 2는 도세탁셀 처리에 의한 마우스의 골수 조혈모세포의 감소 및 상기 도세탁셀에 의한 조혈모세포 콜로니 개수의 감소를 도세탁셀과 25, 50 및 100㎍/㎖의 가시박 잎 열수 추출물(A); 및 가시박 줄기 열수 추출물(B)을 병용 처리하여 가시박 잎 열수 추출물과 가시박 줄기 열수 추출물이 조혈모세포 콜로니 개수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은 도세탁셀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대비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에서의 조혈모세포 콜로니 형성 유닛(colony forming unit, CFU)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고, *, **은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 대비 도세탁셀 및 가시박 잎 열수 추출물; 또는 도세탁셀 및 가시박 줄기 열수 추출물을 병용처리한 군에서 조혈모세포의 CFU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 **는 p<0.01이다.
도 3은 도세탁셀 처리에 의한 마우스의 골수 조혈모세포의 감소 및 상기 도세탁셀에 의한 조혈모세포 콜로니 개수의 감소를 도세탁셀과 25, 50 및 100㎍/㎖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 및 이의 분획물(헥산, Hx; 에틸아세테이트, EtOAc; 부탄올, BuOH; 물, Wa)을 병용 처리하여 가시박 열수 추출물, 부탄올(BuOH) 분획물 및 물(Wa) 분획물이 조혈모세포 콜로니 개수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은 도세탁셀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대비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에서의 조혈모세포 콜로니 형성 유닛(colony forming unit, CFU)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001이고, **, ***, ****은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 대비 도세탁셀 및 가시박 열수 추출물;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 또는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물 분획물;을 병용처리한 군에서 조혈모세포의 CFU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 ***는 p<0.001, ****는 p<0.0001이다.
도 4는 특정 계통(lineage)의 조혈모세포 성장과 분화를 촉진하는 배양 배지 에서 도세탁셀 처리에 의한 조혈모세포의 CFU 수 감소 및 상기 도세탁셀과 본 발명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병용처리하였을 때, 특정 계통의 조혈모세포의 CFU 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GF M3434 배지는 모든 계통의 조혈모세포 성장과 분화를 촉진하며, GF M3534 배지는 골수(myeloid) 계통의 조혈모세포(단핵구(monocyte), 호산구(eosinophil) 및 호중구(neutrophil)) 성장과 분화를 촉진하고, SF M3436 배지는 적혈구(erythroid) 계열의 조혈모세포(적혈구(erythrocyte))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시키는 배지이다. ###, ####은 도세탁셀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대비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의 조혈모세포의 CFU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01이고, ####은 p<0.0001이다. *, **, ***, ****은 도세탁셀 단독 처리군 대비 도세탁셀 및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병용처리한 군의 조혈모세포의 CFU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 **는 p<0.01, ***는 p<0.001, ****는 p<0.0001이다.
도 5는 일차 비장 면역세포(splenocyte) 또는 마우스 대식세포(macrophage)인 Raw264.7 세포에, 본 발명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 처리하였을 때, 조혈 및 면역 기능 관련 사이토카인 (IL-3, IL-6, IFN-γ 및 TNF-α)의 발현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 ***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vehicle) 대비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의 사이토카인 발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1, ***는 p<0.001이다. ConA는 비장 면역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의 양성대조군으로,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이고, LPS는 Raw264.7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사용된 양성대조군으로,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서로 다른 작용기전의 항암제에 의해 유도되는 조혈독성을 완화하는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 ##, ####은 항암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 대비, 액티노마이신 D(A), 독소루비신(B), 파클리탁셀(C) 또는 미토마이신(D)의 항암제를 각각 단독 처리한 군의 조혈모세포 CFU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 ##는 p<0.01, ####는 p<0.0001이다. *, **, ***, ****은 액티노마이신 D(A), 독소루비신(B), 파클리탁셀(C) 또는 미토마이신(D)의 항암제를 각각 단독 처리한 군 대비 도세탁셀 및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병용처리한 군의 조혈모세포 CFU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는 p<0.05, **는 p<0.01, ***는 p<0.001, ****는 p<0.0001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일차 비장면역세포(primary splenocyte)의 성장(A) 및 비장 면역세포로부터 면역 관련 세포 내 신호전달 물질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B)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 **, ***은 음성대조군(vehicle) 대비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의 세포 성장 및 산화질소 생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은 p<0.05, **는 p<0.01, ***는 p<0.001이다.
도 8은 반복적으로 도세탁셀을 복강 투여함으로써 조혈독성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에서, 본 발명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매일 경구투여함으로써, 항암제 독성으로 인한 실험동물(생쥐)의 체중 저하(A), 말초 혈액에서의 백혈구 수치 감소(B), 주요 면역 장기인 비장(C)과 흉선(D)의 절대무게 또는 체중 대비 상대무게(spleen index, SI; thymus index, TI)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G-CSF는 양성대조군으로, 임상에서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제제이다. #은 정상대조군(sham) 대비 도세탁셀을 단독 처리한 조혈독성 모델군(Model, M)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흉선의 절대무게 및 상대무게가 감소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은 조혈독성 모델군(Model, M)대비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흉선의 절대무게 및 상대무게가 증가하였다는 것으로, p<0.05이다.
도 9는 반복적으로 도세탁셀을 복강투여 함으로써 조혈독성을 유발시킨 동물모델(생쥐)에서 본 발명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매일 경구투여 하였을 때, 주요 면역장기인 비장(spleen), 흉선(thymus) 및 골수(bone marrow)의 미세환경에서 항암제 투여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헤마톡실린-에오신(H&E) 조직 염색 기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R과 W는 비장에서 관찰되는 적색수(red pulp)와 백색수(white pulp)를 의미하며 C와 M은 흉선에서 관찰되는 피질(cortex)과 수질(medulla)을 의미한다. G-CSF는 양성대조군으로, 임상에서 호중구 감소증 치료제로 사용되는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제제이다.
본 발명은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시박 추출물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가시박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 1~C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시박 추출물의 추출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추출 등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건조된 가시박 부피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10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20~5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0~100 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24~96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72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감압농축은 진공감압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가시박 추출물은 전초, 잎 또는 줄기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암은 폐암, 유방암, 간암, 위암, 대장암, 결장암, 피부암, 방광암, 전립선암, 난소암, 자궁경부암, 갑상선암, 신장암, 섬유육종, 흑색종 및 혈액암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암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진단 가능한 암이라면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 플래티넘(platinum)계 항암제, 탁산(taxane)계 항암제 또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상, 약학, 생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항암제를 포함한다.
상기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는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토마이신-C(mitomycin-C), 및 미트라마이신(mitramyc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는 이리노테칸(irinotecan), 캠프토테신(camptothecin), 노보비오신(novobio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암사크린(amsacrine), 테니포시드(teniposide) 및 에토포시드(etopos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플래티넘(platinum)계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탁산(taxane)계 항암제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또는 도세탁셀(docetaxel)이며; 상기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는 제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및 아파티닙(afatini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은 조혈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조혈독성'은 조혈 기능 장애, 특히 조혈 장애 또는 적혈구 또는 면역계 세포, 예컨대 백혈구의 기능 장애를 초래하는, 조혈 시스템의 기관 또는 세포의 손상 또는 장애에 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골수에서의 조혈 또는 면역계의 기능이 조혈독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상기 조혈독성은 일반적으로 골수 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 화학적 화합물 또는 약물의 투여에 의해 유도되거나 그러한 투여의 결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본 발명의 가시박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0.1 내지 99.9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가시박 추출물의 양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00mg/kg이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mg/kg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mg/kg이며, 하루 1 내지 6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가시박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 1~C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 플래티넘계 항암제, 탁산계 항암제 또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임상, 약학, 생의학적으로 사용 가능한 모든 항암제를 포함한다. 상기 항암제의 부작용에 의한 질환은 조혈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가시박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가시박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g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 내지 0.03g이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과일 주스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보조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조혈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암제 부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가시박 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비경구 투여 시 복강 내 주사, 직장 내 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 내 주사, 자궁 내 경막주사, 뇌혈관 내 주사 또는 흉부 내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고,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는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암 보조제의 일일 투여량은 약 0.000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0.001~10㎎/㎏이며, 하루 1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 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항암 보조제는 실제 임상 투여 시에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가시박 추출물의 제조
(1)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제조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가시박 추출물 제조하기 위하여, 가시박을 야생에서 채취하였다, 상기 채취한 가시박을 빛이 들지 않는 음지에서 충분히 말린 후, 음건한 가시박 전초 100g을 분쇄하여, 물 2ℓ와 함께 둥근 플라스크에 넣어 혼합하였다. 냉각관이 부착된 환류추출 장치에 연결된 항온수조(water bath)를 가열하여 1회 2시간씩, 총 2회 반복추출하였다. 추출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종이 여과지(Whatman No.2)와 진공펌프(Vacuum pump, GAST)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하였다.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 EYELA)를 이용하여 여과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고, 농축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동결건조한 후, 막자사발로 균질화하여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는 실험 전까지 밀봉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4℃ 저온 저장소에 보관하였다. 본 발명에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은 가시박 전초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시박 잎 또는 줄기를, 상기 가시박 전초와 동일하게 열수 추출하여 가시박 잎 열수 추출물과 가시박 줄기 열수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험 전까지 밀봉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4℃ 저온 저장소에 보관하였다.
(2)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삼각플라스크에 분쇄된 가시박 전초 10.0g과 70%(v/v) 에탄올을 넣어 혼합한 후, 초음파 추출(Branson 5210)을 1시간씩 총 2회 반복 추출하였다. 추출된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종이여과지(Whatman No.2)와 진공펌프(vacuum pump, GAST)를 사용하여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된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 EYELA)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였으며, 농축된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진공건조(vacuum dry oven, WiseVen) 또는 동결건조(Freeze Dryer, IlshinBioBase)하여,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은 실험 전까지 밀봉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4℃ 저온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본 발명에서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은 가시박 전초를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가시박 잎 또는 줄기를, 상기 가시박 전초와 동일하게 에탄올 추출하여 가시박 잎 에탄올 추출물과 가시박 줄기 에탄올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험 전까지 밀봉 플라스틱 용기에 담아 4℃ 저온 저장소에 보관하였다.
(3)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의 제조
① 가시박 헥산 분획물(Hx) 제조
가시박 열수 추출물 300g을 0.8ℓ의 증류수에 현탁시킨 다음, 헥산 1.2ℓ를 넣어 용매 분획을 2회 실시하였다. 계면층은 없었으며 헥산 층 분리 후, 진공도 0.07 MPa에서 감압 농축하여 헥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② 가시박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EtOAc) 제조
상기 헥산 분획 후, 남은 분획물에 에틸아세테이트 1.5ℓ를 넣어 용매 분획을 2회 실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진공도 0.07MPa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하였다.
③ 가시박 부탄올 분획물(BuOH) 제조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후, 남은 분획물에 수포화된 부탄올 1.5ℓ를 넣어 용매 분획을 2회 실시하였다. 부탄올 분획물은 진공도 0.07 MPa에서 감압 농축하여 수득하였다.
④ 가시박 물 분획물(Wa) 제조
상기 부탄올 분획 후, 남은 분획물을 진공도 0.07 MPa에서 80~90% 감압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도세탁셀의 조혈독성 및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조혈독성 완화 효과 확인( ex vivo )
현재 종양 임상에서 고형 암환자에게 빈번하게 투여되고 있으나 조혈독성 부작용이 강한 것으로 알려진 도세탁셀(docetaxel) 항암제가 마우스 골수세포에서 조혈모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ex vivo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대퇴골(femur)로부터 골수 세포(bone marrow nucleated cells)를 분리한 후, 20nM의 도세탁셀이 첨가된 쥐 유래 재조합 줄기세포 인자(recombinant murine stem cell factor, rm stem cell factor), 인터루킨-3(rm IL-3), 인간 유래 재조합 IL-6(rh IL-6) 및 에리스로포이에틴(rh erythropoietin)을 포함하는 메도컬트 GF M3434(methocult GF M3434) 배양배지에 상기 골수 세포를 7~10일 동안 배양하여 조혈모세포의 성장 및 분화를 유도하였다. 조혈모세포의 콜로니 형성 유닛 분석(Colony Forming Unit assay, CFU assay)를 수행하여 도세탁셀 항암제가 마우스 조혈모세포의 성장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또한, 마우스 골수세포에 20nM의 도세탁셀과 함께 25, 50 및 100㎍/㎖ 농도의 가시박 추출물을 병용처리하여, 가시박 추출물이 항암제에 의해 유발된 조혈독성을 완화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가시박 추출에 사용된 용매(70% 에탄올과 물)와 추출에 사용된 가시박의 부위(전초, 잎 및 줄기)에 따른 효과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세탁셀에 의해 마우스 조혈모세포 CFU의 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가시박 전초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추출물은 도세탁셀에 의한 조혈모세포의 CFU 수의 감소를 완화할 수 있으나,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보다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도 1).
또한, 가시박 잎 열수 추출물과 가시박 줄기 열수 추출물에서도 가시박 전초 추출물과 유사한 수준으로 항암제에 의한 조혈독성 완화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3. 마우스 골수세포에서 가시박 열수 추출물 및 그 분획물의 조혈독성 완화 효과 확인( ex vivo )
본 발명의 유효물질인 가시박 열수 추출물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로부터 유래한 4종의 용매분획물(헥산(Hx), 에틸아세테이트(EtOAc), 부탄올(BuOH) 및 물(Wa) 분획물)에 대해 GF M3434 배양 배지를 이용하여 도세탁셀로 유도된 조혈독성 완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도 3). 도세탁셀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50, 100, 200㎍/㎖), 또는 그 분획물(1, 10, 100㎍/㎖)을 병용처리한 후, CFU 수를 계수하였다.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경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강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의 경우, 가시박 열수 추출물과 유사한 조혈독성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의 경우, 1㎍/㎖의 낮은 농도에서도 열수 추출물 50㎍/㎖ 농도에서 확인된 세포보호 효과와 유사한 수준의 효과를 보였기 때문에 부탄올 및 물 분획물의 활성이 가시박 열수 추출물보다 효능 측면에서 더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도 3).
실시예 4. 다양한 분화배지를 이용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항암제 유발 조혈독성 완화능 확인( ex vivo )
특정 계통의 조혈모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촉진하는 배양배지를 이용하여 도세탁셀 항암제로 유발된 조혈독성 시험계에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조혈모세포 CFU 시험을 위해 사용된 배양배지 및 각 배지의 특성을 규정짓는 성장인자들의 조합 및 콜로니를 형성하는 세포 계통은 하기 표 1과 같다.
CFU 시험에 사용된 배양배지, 배지를 구성하는 성장인자 및 분화되는 콜로니 유형
배지 성장인자 콜로니 유형
GF M3434 rh EPO, rm SCF, rh IL6, rm IL3 BFU-E, CFU-GM, CFU-G, CFU-M, CFU-GEMM 등 모든 조혈모세포
GF M3534 rm SCF, rh IL6, rm IL3 Myeloid 계통의 CFU-GM, CFU-G, CFU-M
SF M3436 rh EPO를 포함하는 사이토카인 Erythroid 계통의 BFU-E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조혈독성 완화 효과가 특정 계통의 조혈모세포 성장과 분화에 한정되는지 확인한 결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전체 조혈모세포(도 4A) 및 골수(myeloid) 계통(도 4B) 뿐만 아니라, 적혈구(erythroid) 계통(도 4C)의 조혈모세포 분화에서도 조혈독성 완화 효능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항암제로 유발되는 호중구 감소증(도 4B)과 빈혈(도 4C)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5. 일차 비장면역세포(primary splenocyte ) 및 생쥐 대식세포(Raw264.7) 배양을 통해 가시박 열수 추출물에 의한 조혈 및 면역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 변화 확인
마우스 비장(spleen)으로부터 분리한 일차 비장 면역세포(primary splenocyte)와 생쥐 대식세포(macrophage)인 Raw264.7 세포를 적절한 배양 배지를 선택하여 배양하였다. 본 발명의 유효물질인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1~100㎍/㎖ 농도로 세포에 처리한 후 72시간 경과 후, 비장 면역세포와 Raw264.7 세포에서 조혈 및 면역기능 관련 사이토카인의 발현 양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효소면역분석(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키트를 이용하여 배지 내 사이토카인 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시예 5에서는 일차 비장 면역세포 및 Raw264.7 세포에서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콘카나발린 A(Concanavalin A: Con A)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를 양성대조군으로 각각의 세포 실험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일차 비장 면역세포에서 조혈(hematopoiesis) 과정의 상위 단계에서 골수(myeloid) 세포로 분화를 촉진하는 사이토카인(IL-3, IL-6)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비장 면역세포와 Raw264.7 대식세포에서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 및 항종양 기능을 향상시키는 사이토카인(INF-γ 및 TNF-α)의 증가를 확인하였다(도 5).
실시예 6. 다양한 작용기전의 항암제에 의해 유도된 조혈독성 모델에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조혈독성 완화 효능 확인( ex vivo )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서로 다른 작용기전을 갖는 항암제로 유도된 조혈독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용한 배지는 적혈구(erythroid) 계열의 조혈모세포 성장 및 분화를 유도하는 SF M3436 배지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은 서로 다른 작용 기전의 항암제인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DNA 결합, 도 6A), 독소루비신(doxorubicin, 위상이성질화효소(topoisomerase) 활성 억제, 도 6B), 파클리탁셀(paclitaxel, 세포분열 억제, 도 6C) 및 미토마이신 C (mitomycin C, DNA 교차 결합, 도 6D)으로 유발된 조혈모세포의 CFU 수의 감소를 효과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가시박 열수 추출물이 일차 비장면역세포(primary splenocyte )의 성장 및 면역기능 조절 세포신호전달 물질(NO)의 생성에 대한 영향( in vitro )
마우스 일차 비장 면역세포(primary splenocyte)에 0~200㎍/㎖ 농도의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비장 면역세포의 성장 및 면역기능 조절 세포신호전달물질인 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비장 면역세포의 성장 및 세포생존률은 자동세포계수기(ADAM-MC)를 이용하여 결정하였고 배양배지내 NO의 농도는 Thermo Scientific사의 NO 측정 키트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그 결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비장 면역세포의 성장과 함께 NO의 생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7).
실시예 8. 항암제로 유발된 조혈독성 동물모델에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조혈독성 완화 효과 확인( in vivo )
Ex vivo 시험계에서 확인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의 조혈독성 완화 효과가 in vivo 동물모델에서도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하여, 반복적으로 항암제를 주사함으로써 조혈독성을 유발한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경구투여하였을 때 조혈독성이 완화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C57BL/6 마우스를 구입하여 일주일 동안 순화기간을 거친 후, 온라인 무작위 프로그램(www.randomizer.org)을 이용하여 6개의 그룹으로 무작위 분리하였다(실험일 0일째, 그룹 1~6). 실험 1일째, 각 그룹에 속한 마우스의 뒷다리 복제정맥(saphenous vein)으로부터 26 게이지의 주사침과 10%(w/v)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디칼륨염(K 2-EDTA)로 코팅된 모세관을 이용하여 말초혈액을 채취한 후, 혈구분석기(HemaVet)을 사용하여 백혈구(white blood cell, WBC) 수치를 측정함으로써 조혈독성을 유발하기 전의 백혈구 기저 수치(baseline) 값을 확인하였다. 실험 2~4일째(3일 동안), 그룹 1은 5%(v/v) 에탄올과 2%(v/v) 폴리소르베이트 80 (polysorbate 80)을 포함하는 0.9%(w/v) 식염수를 복강투여 하였고, 그룹 2~6는 조혈독성을 유발하기 위하여, 도세탁셀을 5%(v/v) 에탄올과 2%(v/v) 폴리소르베이트 80 (polysorbate 80)을 포함하는 0.9% 식염수에 녹인 후, 30mg/kg/d 용량으로 매일 복강투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세탁셀을 투여한 이튿날부터 7일 동안(실험일 5~11) 그룹 1(정상대조군, sham)과 그룹 2(조혈독성 모델군, Model, M)에 속한 마우스에는 멸균수(sterile distilled water)를, 그룹 3~5에 속한 마우스에는 멸균수에 녹인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각각 30, 100, 300mg/kg/d 용량으로 매일 경구투여 하였다. 그룹 6은 양성대조군으로 인간 재조합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를 실험일 5일째와 실험일 7일째에 61.5㎍/kg 용량으로 목덜미 뒷쪽으로 피하주사하였다. 모든 투약 용량 및 투여 부피는 매일 측정하는 실험동물의 체중을 기준으로 결정하였다. 도세탁셀 투여가 종료된 이튿날부터 2-3일 간격으로 복제정맥으로부터 말초혈액을 채취한 후 혈구분석기를 이용하여 백혈구 수치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모델군(Model, 그룹 2)에서 도세탁셀 투여로 인하여 급격한 체중 저하와 백혈구 수치의 감소가 관찰되었고, 유효물질인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그룹 3~5)에서는 용량의존적으로 감소된 체중이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A). 또한, 실험일 9일째와 12일째에 모델군과 비교하여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백혈구의 수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8B). 실험 종료 후(실험일 12일째), 각 그룹에 속한 마우스를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CO 2) 흡입을 통해 희생시키고 주요 면역장기인 비장과 흉선을 절취한 후, 각 장기의 절대무게(absolute organ weight)와 절대무게를 각 실험동물의 체중으로 나눈 상대무게(spleen index, SI; thymus index, TI)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투여한 그룹에서 비장(도 8C) 및 흉선(도 8D)의 절대무게 및 상대무게가 모두 모델군에 비해 용량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 G-CSF를 투여한 경우 실험일 9일째에 모델군 대비 백혈구 수치는 증가하였으나, G-CSF를 중단하고 3일 후(실험일 12일째) 모델군과 비슷한 수준으로 백혈구 수치가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도 8B). 또한, G-CSF 투여군의 경우 면역장기인 비장과 흉선의 무게 측정값이 모델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도 8C 및 8D).
가시박 열수 추출물에 의한 조혈독성 완화 효과를 주요 면역장기인 비장, 흉선 및 골수의 조직에서 헤마톡실린 & 에오신(Hematoxylin-Eosin, H&E) 염색을 통해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 종료 후(실험 12일째), 각 그룹에 속한 마우스를 일산화탄소 흡입을 통해 희생시키고, 비장, 흉선 및 뒷다리 대퇴골을 채취한 후 포르말린 고정액에 담가 조직을 고정하였다. 고정된 조직은 파라핀 포매, 조직 박절 및 H&E 염색법을 거친 후 조직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세탁셀 투여로 인하여 모델군의 비장 조직에서는 세포의 괴사 및 출혈(bleeding)이, 흉선 조직에서는 조직의 위축(atrophy) 및 피질(cortex)과 수질(medulla) 사이의 경계가 불명확해지는 현상이 나타났고, 골수에서는 조혈세포의 감소로 인한 저세포 충실도(hypocellularity) 현상이 나타났다. 항암제 투여에 따른 이러한 면역 조직 손상은 가시박 열수 추출물을 경구투여 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9).

Claims (11)

  1.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 1~C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 플래티넘(platinum)계 항암제, 탁산(taxane)계 항암제 및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는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토마이신-C(mitomycin-C), 및 미트라마이신(mitramyc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는 이리노테칸(irinotecan), 캠프토테신(camptothecin), 노보비오신(novobio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암사크린(amsacrine), 테니포시드(teniposide) 및 에토포시드(etopos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플래티넘(platinum)계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탁산(taxane)계 항암제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또는 도세탁셀(docetaxel)이며; 상기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는 제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및 아파티닙(afatini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은 조혈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는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 플래티넘(platinum)계 항암제, 탁산(taxane)계 항암제 또는 수용체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종양 항생제(antitumor antibiotics)는 액티노마이신 D(actinomycin D), 블레오마이신 설페이트(bleomycin sulfate), 다우노마이신(daunomycin),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이다루비신(idarubicin), 미토마이신(mitomycin), 미토마이신-C(mitomycin-C), 및 미트라마이신(mitramyc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상기 위상이성질화효소 억제제(topoisomerase inhibitor)는 이리노테칸(irinotecan), 캠프토테신(camptothecin), 노보비오신(novobiocin), 에피루비신(epirubicin),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 암사크린(amsacrine), 테니포시드(teniposide) 및 에토포시드(etoposide)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플래티넘(platinum)계 항암제는 시스플라틴(cisplatin), 카르보플라틴(carboplatin) 및 옥살리플라틴(oxaliplat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탁산(taxane)계 항암제는 파클리탁셀(paclitaxel) 또는 도세탁셀(docetaxel)이며; 상기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receptor tyrosine kinase inhibitor)는 제피티닙(gefitinib), 엘로티닙(erlotinib) 및 아파티닙(afatinib)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은 조혈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가시박( Sicyos angulat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 보조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항암 보조제는 항암제 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조혈독성, 빈혈 및 호중구 감소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암 보조제.
PCT/KR2019/001563 2018-02-09 2019-02-08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64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16389 2018-02-09
KR10-2018-0016389 2018-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56498A1 true WO2019156498A1 (ko) 2019-08-15

Family

ID=67549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1563 WO2019156498A1 (ko) 2018-02-09 2019-02-08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5078B1 (ko)
WO (1) WO20191564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824A (ko) 2021-09-06 2023-03-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원지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제로 인한 부작용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51A (ko) * 2012-10-09 2014-04-17 장효섭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US20150366838A1 (en) * 2014-06-19 2015-12-24 Thomas Christian Lines Method for treating cancer with a combination of quercetin and a chemotherapy agent
KR20170069170A (ko) * 2015-12-10 2017-06-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3145B1 (ko) * 2016-06-09 2017-11-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51A (ko) * 2012-10-09 2014-04-17 장효섭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US20150366838A1 (en) * 2014-06-19 2015-12-24 Thomas Christian Lines Method for treating cancer with a combination of quercetin and a chemotherapy agent
KR20170069170A (ko) * 2015-12-10 2017-06-20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793145B1 (ko) * 2016-06-09 2017-11-08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NA, C. S.: "Flavonol 3,7-di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Sicyos angulatus (Cucurbitaceae) in Korea and Japan", BIOCHEMICAL SYSTEMATICS AND ECOLOGY, vol. 48, 2013, pages 235 - 237, XP029004062, doi:10.1016/j.bse.2012.12.01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824A (ko) 2019-08-20
KR102205078B1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696A (ko) 흰점박이꽃무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7014502A1 (ko) 해당화 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6 매개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134307B1 (ko) 안토시아닌-후코이단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제, 면역항암제 및 항암제 부작용 완화제
KR20170082249A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6498A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4054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WO2017142371A1 (ko) 노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008973A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064899A1 (ko) 오리나무, 재쑥 및 백화전호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48782B1 (ko) 대추나무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092797B (zh) 一类克罗烷型二萜化合物及其在制药中的应用
WO2015041458A1 (ko) 모노아세틸디아실글리세롤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혈구계 세포 분화 또는 증식 촉진용 조성물
CN113633689A (zh) 低聚半乳糖醛酸聚糖中药复合制剂、制备方法及应用
WO2018056772A1 (ko) 쑥부지깽이 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종양 또는 항종양 면역작용 유도용 조성물
WO2020246671A1 (ko) 당근잎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뼈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742102B1 (ko) 괄루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81142B1 (ko) 육종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89527A (ko) 석창포 및 황칠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806476B1 (ko) 갈색거저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해마신경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2588240B1 (ko)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감염증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11397B1 (ko)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2227261B1 (ko) 고욤 효소처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5690B1 (ko) 담팔수 추출물 또는 이의 정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KR102487793B1 (ko) 사상자로부터 분리한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암용 약학 조성물
KR101209646B1 (ko) 야베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세포증가 또는 암세포 전이 억제 또는 간염 바이러스 증식 억제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51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5109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