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45651A -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45651A
KR20140045651A KR1020120111635A KR20120111635A KR20140045651A KR 20140045651 A KR20140045651 A KR 20140045651A KR 1020120111635 A KR1020120111635 A KR 1020120111635A KR 20120111635 A KR20120111635 A KR 20120111635A KR 20140045651 A KR20140045651 A KR 2014004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anol
extract
weight
detergent composition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0347B1 (ko
Inventor
장효섭
Original Assignee
장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효섭 filed Critical 장효섭
Priority to KR1020120111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34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8Medical, disinfecting agents, disinfecting, antibacterial, germicidal or antimicrobial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박 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고 세정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Sicyos angulatus extract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박 잎을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고 세정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대장균 및 황색 포도상구균 등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가시박(Sicyos angulatus)은 박과에 속하는 한두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우리나라 중부 및 남부지방의 바닷가나 산기슭 또는 물가나 습기가 있는 땅에서 자라고 있다. 원산지는 북아메리카이며 귀화식물이다. 줄기는 4~8 m 길이로 덩굴손으로 다른 물체를 감고 오른다. 가장자리가 5~7갈래로 갈라지는 손바닥 모양의 잎은 줄기에 어긋난다. 암수한그루로 꽃은 6~9월에 피는데 암꽃은 동그란 두상 꽃차례인 모리 모양의 꽃차례에 모여 피고, 수꽃은 총상 꽃차례인 술 모양의 꽃차례에 연녹색으로 피며 달린다. 그리고 꽃줄기에 털이 많이 나 있으며 열매는 여러 개가 뭉쳐나며 털처럼 가느다란 가시로 덮여 있고, 꽃은 연녹색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는 피지선에서 피지가 모공을 통하여 피부 표면으로 분해되어 피부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며 탄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 상피 세포의 비정상적인 각화에 의해 모공이 막히고, 이로 인해 피지가 피부 표면으로 배출이 되지 않으면 피지가 모공 내에 뭉쳐 있게 되고 여기에 혐기성 균이 침투하게 되면 염증이 생기고 피부가 붉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세균의 감염 이동로는 손이라고 본다. 우리가 이러한 세균을 살균하기 위해서 손을 자주 씻는다. 손에 있는 세균은 세정제 없이 손으로만 비벼서 즉 물리적인 힘만 가해서도 미미하지만 어느 정도 균을 제거할 수 있으나, 우리는 통상 비누바를 사용하여 손을 씻는다. 비누의 살균과정은 비누의 계면 활성을 이용하는 것으로 보통 1분 이상 씻어줘야 효과가 있다. 그러나 손 세척 평균시간은 10초 정도이다. 그리고 1시간 정도 지나면 다시 피부 모공 사이에 있던 세균이 다시 피부 밖으로 이동하여 피부에 많은 세균들이 상주하게 된다.
특히, 식육, 어패류의 가공 또는 식당의 조리장 등 식품관련 업계 종사자들이나 병원 또는 보건소 등의 의사, 간호사, 간병인, 환자 등의 손의 세척·살균에 관해서는 종래부터 다양한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먼저 비누 등으로 손을 잘 세척한 후에 살균 처리를 거치는 것인데, 상기 살균 방법으로는 손을 소독약에 침지하거나 소독약을 분무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처리 순서가 손의 세척과 살균의 2단계로 나누어지기 때문에 과도하게 시간이 걸리고, 2단계 조작이 불확실하게 되기 쉽고, 게다가 세척 또는 살균의 어느 한쪽이 불완전하게 행해진 경우에는 그 효력이 극단적으로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피부 표면에 피지가 잘 배출이 되더라도 세정한 후 시간이 흐르면 공기 중의 미생물들이 피부표면에 번식하여 피지를 산패시킴으로써 피부의 냄새를 나쁘게 하고, 통상적으로 비누를 사용하여 신체 세정시 피부 냄새에 어느 정도의 효과는 있으나 완전하지 못하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63036호에는 한방추출물, 무수에탄올, 알로에베라겔, 히알루론산, 정제수, 자몽씨 추출물, 에센셜 오일로 구성되는 한방 손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136184호에는 정제 농축된 팔각회향, 산화텅스텐, 염화구리, 염화백금, 리튬실리케이트, 산화몰리브덴 또는 로듐수용액 중의 어느 하나의 성분과 증류수를 포함하는 항균 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선행기술에는 본원 발명과 같이 가시박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은 전무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안출된 것으로서, 현재 우리나라의 생태계를 교란하는 가시박을 제거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겪고 있는데, 본 발명자는 이러한 골칫덩이 가시박을 활용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오랜기간의 시행착오를 거쳐 연구한 결과, 가시박의 새로운 항균효과를 밝혀낼 뿐만 아니라 상기 가시박의 항균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상기 전처리한 가시박을 적정량 첨가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에 자극 및 독성이 없고 높은 항균력을 지니는 친환경적인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브리오 속(Vibrio sp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 시겔라 속(Shigella spp.),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p.) 또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시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사용시 기포 발생 정도와 양이 우수하면서 표면 감촉이 매끄럽고, 피부 흡수가 뛰어나고 사용 전후에 피부 자극이 없으며, 건조되었을 때 갈라지지 않아 보습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성의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세정효과와 더불어 비브리오 속(Vibrio sp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 시겔라 속(Shigella spp.),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p.) 및 대장균(Escherichia coli) 등에 우수한 항균효과로 인해 세균 및 곰팡이에 의해서 감염되는 각종 습진 등의 피부 질환 경감 또는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은 가시박 시료의 제조과정을 사진으로 보여준다.
(a) 가시박 즙, (b) 가시박 분말, (c) 가시박 삶은 물, (d)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도 2는 가시박 시료 처리 없이 배양된 균(콜로니)을 배지에 접종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준다.
도 3은 배양된 균(콜로니)을 배지에 접종하고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준다.
도 4는 배양된 균(콜로니)을 배지에 접종하고 가시박 즙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준다.
도 5는 배양된 균(콜로니)을 배지에 접종하고 가시박 삶은 물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준다.
도 6은 배양된 균(콜로니)을 배지에 접종하고 가시박 분말을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한 페트리 접시를 보여준다.
도 2 내지 도 6의 사진상에서 상부의 페트리 접시는 TCBS 배지를 이용한 것이며, 하부의 페트리 접시는 TSA 배지를 이용한 것이다. 또한, 맨 좌측 페트리 디쉬부터 첫번째 페트리 접시 세균은 Vibrio fluvialis , 두번째 페트리 접시 세균은 Pseudomonas oryzihabitans , 세번째 페트리 접시 세균은 Shigella spp.이며, 네번째 페트리 접시는 세균이 성장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도 7은 Staphylococcus aureus(황색 포도상구균) 및 Escherichia coli(대장균)의 배지에 항생제를 처리하고 항균환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Staphylococcus aureus(황색 포도상구균) 및 Escherichia coli(대장균)의 배지에 부위별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하고 항균환 크기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시박은 가시박 잎일 수 있는데, 가시박 잎은 가시박의 다른 부위(줄기 등)에 비해 항균 효과가 우수하여 세정제 조성물로 제조할 경우 세균 및 곰팡이 등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시박 추출물은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가시박 100~200 g에 에탄올 800~1200 ml을 넣고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한 후 34~40℃에서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가시박 150 g에 에탄올 1000 ml을 넣고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한 후 37℃에서 건조하여 제조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이 가시박 추출물은 가시박 잎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에탄올 추출물을 40~50℃에서 1~3시간 동안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시박 잎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에탄올 추출물을 45℃에서 2시간 동안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법으로 가시박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이 다른 전처리 방법에 비해 항균 효과가 우수한 가시박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항균효과는 비브리오 속(Vibrio sp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 시겔라 속(Shigella spp.),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p.) 또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효과일 수 있는데, 상기 비브리오 속(Vibrio spp.)은 바람직하게는 비브리오 플루비알리스(Vibrio fluvialis), 상기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은 바람직하게는 슈도모나스 오리지하비탄스(Pseudomonas oryzihabitans), 상기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p.)은 바람직하게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가시박 추출물은 세정제 조성물 내에 0.01~50 중량% 함유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20 중량% 함유될 수 있는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 향균효과가 미미한 단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세정제 제형의 형성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세정제 조성물의 유효성분이 가시박 추출물의 성분 안정화를 위하여 안정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정화제는 비타민 C,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사과산, 탄산나트륨, 중조, 치오황산나트륨, 중아황산나트륨, 치오우레아,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초산 토코페롤, 아스코르빈산 나트륨, 무수나트륨 비설파이트, 무수나트륨 설파이트, 이미드우레아, 글루타치온, 폴리페놀, 부틸화하이드록시 아니솔, 부틸화 하이드록시 톨루엔,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아스코르빌 올레에이트, 폴리소르베이트 80, 온레인산, D·B·A(알킬벤젠설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안정화제는 조성물 내에 0.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2 중량% 함유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 충분한 안정화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피부 자극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세정제 조성물에 담체 성분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이온 봉쇄제를 조성물 내에 약 0.2 중량% 이하로 첨가하고, 향료, 염료, 안료 등을 약 6.0 중량% 이하의 수준으로 첨가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에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고체화장비누, 손 세정제, 액체샴푸, 액체비누, 액체린스, 바디 세정제 또는 크림상 비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 중 고체화장비누를 제조할 경우 기존의 통상적인 비누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혼합기에 수분이 8~25 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화장비누 베이스를 넣고 유효 성분인 가시박 추출물을 넣고 향료, 염료 및 기타 첨가제를 넣은 후 교반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면서 안정화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한 다음 압출, 성형 및 절단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화장비누 베이스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천연 유지인 팜유(palm oil)의 나트륨염과 칼륨염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0~25개인 팜지방산유 나트륨염과 칼륨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제 조성물 중 고체화장비누에서는 수분 8~25 중량부 함유된 화장비누 베이스(soap base)를 약 50~98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체화장비누에 보습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는데, 사용할 수 있는 보습제로는 호호바유, 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4000), 에틸렌글리콜로 비누 내에 0.1~5 중량%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매일 사용하여도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는 친환경적인 조성물이며, 특히 세정효과와 더불어 우수한 항균효과로 인해 진균류에 기인한 대부분의 피부 질환에 탁월한 치료 효과와 보다 위생적인 사용감을 나타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가시박 가공 시료들의 세균 억제효과 검토
1. 항균효과 측정을 위한 가시박 시료의 제조
1) 항균효과 측정을 위한 가시박 시료의 제조를 위한 준비물로는 가시박 150 g×4set, 증류수 500 ml, 에탄올 150 ml, 물 150 ml, 비커 500 ml 2개, 알코올램프, 삼발이, 막자사발, 막자, 녹즙기, 삼각플라스크(100 ml) 20개, 저울을 이용하였다.
2) 가시박을 이용한 시료 만들기
가시박을 이용한 시료는 가공방법에 따라 즙형태, 분말, 삶은 물 및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시료로 제조되었으며, 각각의 종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가) 가시박 즙 제조 : 가시박 150 g을 증류수 500 ml로 깨끗하게 세척한 후 녹즙기를 이용하여 즙으로 만든 후 가시박 즙 50 ml(가시박 150 g → 가시박즙 100 ml 제조)를 소독된 병에 보관하였다(도 1의 (a)).
나) 가시박 분말 제조 : 가시박 150 g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서늘한 곳에서 20일 정도 건조 후 막자사발을 이용하여 분말로 분쇄한 후(가시박 150 g→가시박 분말 50 g 제조) 깨끗한 용기에 보관하였다(도 1의 (b)).
다) 가시박 삶은 물 제조 : 가시박 150 g을 동량의 물과 함께 비커에 넣고 2시간 동안 삶아 시료를 준비하였다(도 1의 (c)).
라)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제조 : 가시박 150 g을 에탄올 1000 ml와 함께 비커에 넣고 2시간 동안 알코올램프에서 중탕으로 가열 후 찌꺼기를 제거하였다. 상기 찌꺼기를 제거한 에탄올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 후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에탄올을 서서히 증발시켜 제거하고 농축액을 37℃에서 건조시켜, 남은 분말을 0.85%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도 1의 (d)).
상기와 같이 준비한 4가지의 가시박 시료는 세균효과 실험시까지 -20℃ 냉동실에 보관하였다.
2. 가시박 시료들의 세균 억제 효과 검토
1) 세균실험용 배지 만들기
삼각플라스크에 시약(BD DifcoTM Tryptic Soy Agar)을 증류수(D.W) 1 L당 40 g을 넣은 다음 steal bar를 넣고 교반하여 TSA 배지를 제조(해수에서 분리된 균을 배양할 경우에는 1.5% sodium chloride를 첨가해서 사용)하였다. 또한, 삼각플라스크에 시약(BD DifcoTM TCBS Agar)을 증류수(D.W) 1 L당 89 g을 넣은 다음 steal bar를 넣고 교반하여 TCBS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TSA 배지 및 TCBS 배지가 든 삼각플라스크 위쪽 부분을 각각 호일로 덮은 다음, 라벨하였다. 그리고 약 50℃ 이상 및 약 400 rpm에서 시약을 충분히 녹인 후 멸균기에 넣고 멸균하였다. 멸균 후, 배지가 약간 식으면 페트리 접시에 약 20~25 ml씩 부어주었다. 이때, 삼각플라스크를 잡기 위해 장갑, 킴타올 사용할 경우에는 소독을 해서 사용하였다. 그 다음 페트리 접시 뚜껑을 열고 완전히 말리고, 페트리 접시를 비닐 랩으로 싸서 지퍼팩에 넣어 냉장 보관하였다.
2) 세균의 분리와 배양
가) 바닷물의 접종 : 바닷가에 채수한 바닷물을 실험실에 운반한 후, 준비된 배지에 1차로 접종하여 25℃ 인큐베이터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된 균(콜로니)을 일회용 백금이를 이용하여 떼어낸 후, 새로운 배지(TCBS, TSA)에 다시 접종시키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나) 균액 만들기 : 일회용 백금이를 이용, 배지에서 자란 균(콜로니)을 하나 따서 0.85% 생리 식염수와 함께 50 ml 플라스틱 시험관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고루 혼합, 균액을 준비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4종의 세균 액을 만들었다.
다) 세균배지 만들기 : 준비한 각 균액 200 ㎕를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배지(TCBS, TSA)에 떨어뜨린 후 스프레드로 밀어서 완전히 흡수시켰다.
라) 가시박 시료의 처리 : 세균 배지에 4종류의 가시박 시료(에탄올 추출물, 즙, 삶은 물, 분말)를 25 ㎕ 혹은 25 mg을 배지의 중앙에 떨어뜨린 후 인큐베이터에 넣고 24시간 동안 25℃에서 배양시켰다. 대조구는 가시박 시료 처리 없이 세균 배지만을 이용하였다.
3) 가시박의 세균억제 효과 확인
24시간 후 가시박 시료 처리구와 대조구를 인큐베이터에서 꺼내서, 각 배지에서 세균이 자라지 않은 부분을 확인하였다.
4) 세균의 동정
세균동정을 위해 API-20 키트를 사용하였다.
가) 세균 1번 : Vibrio fluvialis(장염 비브리오를 닮은 염분(3%)을 좋아하는 세균으로 연안 바닷물에 널리 분포하고 주로 어패류를 매개로 해서 식중독을 일으키며 이 균에 의한 식중독에서는 장염 비브리오 등과 혼합해서 감염이 일어남 - 증상: 구토, 복통, 설사)
나) 세균 2, 4번: Pseudomonas oryzihabitans(4개의 속과 수백 개의 종으로 이루어진 크고 다양한 슈도모나스과(Pseudomonadaceae)에 속하는 세균으로, 저항력이 약한 사람에게 항생제 저항성 감염을 일으킨다. 외과적 상처나 심한 화상조직에 병원 획득성 감염을 일으키고, 면역 억제성 약품으로 치료받는 암 환자에게 치명적인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 세균 3번: Shigella spp.(장내세균과(腸內細菌科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며 막대 모양인 세균의 한 속(屬).보통 사람의 장관(腸管)에 살며 이질이나 시겔라증(shigellosis)을 일으킨다. 시겔라이질은 위생상태가 좋지 않은 후진국에서 흔히 발생한다. 원인은 시겔라(shigella)라는 세균에 의한 감염이며, 대개 환자나 보균자의 손에 묻어있던 세균에 접촉하여 감염된다.)
실험예 2: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의 세균 억제( Staphylococcus aureus , Escherichia coli )효과 검토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이 세균억제에 효과가 있어서 우리 일상 생활에서 발생하기 쉬운 황색 포도상구균과 대장균에는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실험하였다. 실험은 가시박의 부위별(줄기, 잎, 줄기+잎) 에탄올 추출물으로 세균 억제 효과를 비교하였다.
1) 실험과정
가) 가시박의 에탄올 추출물 준비 및 농축하기 : 각각의 시료(가시박의 잎, 줄기, 잎+줄기)를 에탄올에 용해시켜 에탄올 추출물을 준비하였다. 에탄올 추출물 70 ml를 농축용기(1 리터)에 넣고 항온수조에서 45℃로 가열하면서 끓어 넘치지 않게 압을 조정하며 추출액이 걸쭉해질 때까지 농축(약 2시간 소요)하였다.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약 20 ml 정도의 에탄올을 넣고 건조물을 녹였다. 큰 농축수기에서 끝까지 건조시키면 최종 건조물을 회수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작은 농축수용기를 사용한다. 작은 농축시료병에 녹인 용액 약 5 ml를 넣고 다시 감압 농축하였다. 감압농축시 감압으로 인해 끓어 넘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약 5 ml씩 추가하면서 최종적으로 건조한다.
2) 항균력 조사(Paper disc 실험)
가) 실험 세균의 배양 : 대상 미생물은 Staphylococcus aureus(황색 포도상구균), Escherichia coli(대장균)을 이용하였다. 각 미생물(세균)의 배지로부터 단일 콜로니를 분리하여 5 ml의 액체배지 (LB)에 접종, 37℃에서 12시간 배양하여 세균을 준비하였다.
나) 세균 배지의 준비 : 페트리접시에 LB 배지액를 부어서 LB 배지를 준비하였다. 배양된 각각의 세균액을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100 ㎕씩 세균배지(LB 배지) 표면에 면봉으로 고르게 도말한 후 액이 충분히 스며들도록 30분간 건조시켰다.
다) 항균실험용 디스크의 제작 : 가시박 추출분말(잎, 줄기, 잎+줄기의 3종류) 0.02 g을 1.5 ml 마이크로튜브에 넣고 DMSO(dimethy sulfoxide) 200 ㎕를 혼합하여 충분히 용해시켰다(최종농도를 모두 100 mg/ml로 맞추기 위함이다). 용해된 3종류의 가시박 추출물을 페이퍼디스크(직경 6 mm)에 각각 10 ㎕, 30 ㎕, 50 ㎕ 씩 흡수시켜 최종농도가 디스크 당 1, 3, 5 mg이 되도록 제작하였다. 제작된 가시박 디스크는 클린벤치에서 30분간 건조하였다.
라) 항균 활성도 실험 : 농도별로 제작된 가시박 디스크를 세균도말배지에 올려놓고 37℃에서 10시간 배양하였다. 디스크 주위에 형성된 투명대(항균환 혹은 억제환)의 직경을 자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마) 항생제의 항균효과 비교실험(대조군) : 항생제로서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을 사용하였고, 세균의 종류는 대장균(E. coli), 황색 포도상구균(S. aureus)을 이용하였으며, 도말 및 배양, 항균력(항균환 크기) 조사는 위의 실험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가시박 시료의 세균억제 효과
실험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가시박 4종류의 시료들의 세균억제 효과를 세균 및 배지별로 비교하여 표 1 및 도 2 내지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대조구(도 2)에 비해 가시박의 에탄올 추출물은 세균비브리오, 슈도모나스, 시겔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고, 에탄올 추출물은 각 세균의 TCBS와 TSA 배지 모두에 효과가 있었다(도 3).
가시박 즙은 TCBS에서 자란 세균 비브리오, 슈도모나스에서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도 4). 가시박 삶은 물과 분말은 세균억제에 효과가 없었고(도 5 및 6), 가시박 분말은 보관 과정에서 잡균의 감염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도 6).
실험 결과, 가시박은 에탄올 추출물 혹은 즙으로 만들었을 때 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삶은 물이나 분말로 제조할 경우에는 세균억제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시박을 살균 목적이나 세균 억제 등을 위하여 응용할 때는 삶거나 분말로 만드는 것보다는 즙이나 에탄올 추출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 에탄올 추출물이 보다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4종류의 세균에 미치는 가시박의 세균 억제 효과
가시박시료 세균-1 세균-2 세균-3 세균-4
TCBS TSA TCBS TSA TCBS TSA TCBS TSA
에탄올추출물 - -
× × - -
삶은 물 × × × × × × - -
분말 × × × × × × - -
※ 세균-4는 세균의 성장이 되지 않았음.
※ ○, 세균억제 효과있음; ×, 세균억제효과 없음; - 세균이 자라지 않았음
세균-1: Vibrio fluvialis
세균-2: Pseudomonas oryzihabitans
세균-3: Shigella spp.
실시예 2: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의 세균(대장균,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효과
가시박의 잎, 줄기 및 잎+줄기 에탄올 추출물의 대장균 및 황색 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는 표 3과 같으며, 대조구로 항생제인 스트렙토마이신의 항균효과와도 비교해 보았다(표 2).
그 결과, 가시박의 잎에는 세균을 억제하는 항균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가시박의 줄기에는 항균성분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가시박은 1 mg/ml의 농도에서도 항균력을 보여주며, 농도가 3 mg/ml, 5 mg/ml로 증가할수록 항균력은 비례하여 높아졌다.
가시박의 항균력은 대장균에서보다 황색 포도상구균에서 2~3배 높게 나타났다. 가시박과의 비교를 위하여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 1~10 ㎍을 대장균과 황색 포도상구균에 처리한 결과, 가시박 잎 추출물의 1~5 mg/ml와 비슷한 항균력을 보여주었다(도 7 및 8).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의 항균효과 비교(항균환 크기의 단위 mm)
항생제 농도 대장균(E. coli) 황색 포도상구균(S. aureus)
1 ug/disc 10 9
2 ug/disc 14 13
10 ug/disc 20 18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의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항균환 크기의 단위: mm)
가시박
농도
대장균(E. coli) 황색 포도상구균(S. aureus)
줄기 잎 + 줄기 줄기 잎 + 줄기
1 mg/ml 4 - 3 12 - 6
3 mg/ml 8 - 7.5 21 - 17
5 mg/ml 10 - 9 24 - 23
3.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제의 제조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의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확인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세정제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제형예 1: 고체화장비누
실험예 1의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또는 실험예 2의 가시박 잎 에탄올 추출물 3 내지 5 중량부, 글리세린 0.2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0.8 중량부, 비누베이스 95.25 내지 93.25 중량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3 중량부, 호호바유 0.3 중량부 및 세탄올 0.15 중량부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잘 혼합한 후 비누 제조 기계에서 압출하고 일정한 크기로 절단, 형타하여 고체형태의 화장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손 세정제 조성물
실험예 1의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또는 실험예 2의 가시박 잎 에탄올 추출물 5 내지 15 중량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3 중량부, 글리세린 0.2 중량부, 알킬벤젠 설폰산 0.4 중량부, 비누베이스 10 중량부, 올레인산 0.1 중량부, 세탄올 5 중량부 및 증류수 69 내지 79 중량부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액체 형태인 물비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샴푸 조성물
실험예 1의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또는 실험예 2의 가시박 잎 에탄올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비누베이스 5 중량부, 호호바유 0.3 중량부, 세탄올 0.15 중량부, 글루타치온 1.0 중량부,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0.05 중량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3 중량부, 글리세린 0.2 중량부, 알킬벤젠 설폰산 0.4 중량부 및 증류수 72.6 내지 82.6 중량부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잘 혼합하여 액체형태인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린스 조성물
실험예 1의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또는 실험예 2의 가시박 잎 에탄올 추출물 3 내지 5 중량부, 호호바유 0.3 중량부, 세탄올 0.15 중량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3 중량부, 글리세린 0.2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0.8 중량부 및 증류수 93.25 내지 95.25 중량부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액체형상인 린스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5: 바디 세정제 조성물
실험예 1의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 또는 실험예 2의 가시박 잎 에탄올 추출물 10 내지 20 중량부, 올레인산 0.1 중량부, 세탄올 0.15 중량부, 글루타치온 1.0 중량부,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톨루엔 0.05 중량부,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0.3 중량부, 글리세린 0.2 중량부 및 증류수 78.2 내지 88.2 중량부 성분들을 혼합기에서 혼합하여 액체 형태인 바디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가시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은 세정효과와 더불어 비브리오 및 대장균 등에 우수한 항균효과로 인해 세균 및 곰팡이에 의해서 감염되는 각종 습진 등의 피부 질환 경감 또는 개선에 도움을 주며, 기포 발생 정도와 양이 우수하면서 표면 감촉이 매끄럽고, 피부 흡수가 뛰어나고 사용 전후에 피부 자극이 없으며자연재료를 이용한 세정제로서 자연친화적으로 활용가능하며 외래식물의 활용면 등의 산업적으로도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1. 가시박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박은 가시박 잎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박 추출물은 가시박 100~200 g에 에탄올 800~1200 ml을 넣고 1~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에탄올을 증발시켜 제거한 후 34~40℃에서 건조하여 제조되거나 가시박 잎을 에탄올에 용해시킨 에탄올 추출물을 40~50℃에서 1~3시간 동안 농축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효과는 비브리오 속(Vibrio spp.), 슈도모나스 속(Pseudomonas spp.), 시겔라 속(Shigella spp.), 스타필로코커스 속(Staphylococcus spp.) 또는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손 전용 세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고체화장비누, 손 세정제, 액체샴푸, 액체비누, 액체린스, 바디 세정제 또는 크림상 비누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세정제 조성물.
KR1020120111635A 2012-10-09 2012-10-09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KR1013903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35A KR101390347B1 (ko) 2012-10-09 2012-10-09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635A KR101390347B1 (ko) 2012-10-09 2012-10-09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651A true KR20140045651A (ko) 2014-04-17
KR101390347B1 KR101390347B1 (ko) 2014-05-07

Family

ID=50652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635A KR101390347B1 (ko) 2012-10-09 2012-10-09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3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509A1 (ko) * 2015-12-10 2017-06-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WO2017213437A1 (ko) * 2016-06-09 2017-12-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6498A1 (ko) * 2018-02-09 2019-08-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6249A (ja) 2000-02-17 2001-08-21 Ichimaru Pharcos Co Ltd 植物水蒸気蒸留水含有化粧料組成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509A1 (ko) * 2015-12-10 2017-06-1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CN108367039A (zh) * 2015-12-10 2018-08-03 韩国生命工学研究院 包含刺果瓜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肝疾病的治疗或预防用组合物
US10695390B2 (en) 2015-12-10 2020-06-30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nting liver diseases, containing sicyos angulatu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CN108367039B (zh) * 2015-12-10 2022-01-21 韩国生命工学研究院 包含刺果瓜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肝疾病的治疗或预防用组合物
WO2017213437A1 (ko) * 2016-06-09 2017-12-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가시박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56498A1 (ko) * 2018-02-09 2019-08-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부작용에 의한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347B1 (ko) 2014-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6902B2 (ja) 抗菌漢方薬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使用方法
CN103451032B (zh) 安全环保茶籽洗洁粉及其制备方法
KR20180054177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손소독제 조성물
CN104207957B (zh) 一种具有缩阴美白作用的蚕丝蛋白护理液及其制备方法
CN111228173A (zh) 一种植物型的免洗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1390347B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JP2006523684A (ja) 活性化かんきつ類果皮エキス含有組成物
CN103451036A (zh) 安全环保茶籽洗洁液及其制备方法
KR101451730B1 (ko) 항균 계면활성제 조성물
CN109602667B (zh) 一种抑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11671816A (zh) 一种植物型免洗抑菌消毒剂及其制备方法
KR20030037094A (ko) 천연 항균 조성물
CN110946159A (zh) 植物精华生物复方衣物除霉汗臭剂
KR20180120660A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및 항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8571B1 (ko) 산돌배나뭇잎추출물이 함유된 기능성 조성물
CN107536764A (zh) 一种具有防腐杀菌功效的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20040092144A (ko)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1432996B1 (ko) 불미나리, 인진쑥 및 인진쑥 꽃의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그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EP2230919A2 (en)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based on botanical extracts from oil palm vegetation liquor
KR2005002964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KR101943153B1 (ko) 탱자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방부 활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3148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691509B1 (ko) 물수세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JP2004269410A (ja) アルコール殺菌製剤
US11877987B2 (en) Method for preparing an Eruca sativa extract and use for sha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