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2144A -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2144A
KR20040092144A KR1020030026359A KR20030026359A KR20040092144A KR 20040092144 A KR20040092144 A KR 20040092144A KR 1020030026359 A KR1020030026359 A KR 1020030026359A KR 20030026359 A KR20030026359 A KR 20030026359A KR 20040092144 A KR20040092144 A KR 20040092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extract
acid
weigh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6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9176B1 (ko
Inventor
이도현
조정미
권훈태
안혜준
김한수
권익부
박경우
조왕희
이윤수
Original Assignee
롯데쇼핑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쇼핑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쇼핑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26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917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9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9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0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parsley, caraway, dill, lovage, fennel or snakeb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02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thio analogues thereof;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this oxygen or sulfur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carboxylic group or of a thio analogue, or of a derivative thereof, e.g. hydrox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 A01N37/4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two bonds to halogen, e.g.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t least one carboxylic group or a thio analogue, or a derivative thereof, and a nitrogen atom attache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by a single or double bond, this nitrogen atom not being a member of a derivative or of a thio analogue of a carboxylic group, e.g. amino-carboxylic acids
    • A01N37/46N-acyl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 A23L3/3454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chemicals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L3/3463Organic compounds; Microorganisms; Enzymes
    • A23L3/3472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btained from animals o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연물인 소회향 추출물,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로써,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비를 특이성있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항균제 조성물과 비교시 유효성분의 미량 첨가로도 월등한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천연 유래의 성분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인체에 대한 위해가 없으며, 식품의 맛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식품의 보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서 식품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과 관련된 기구, 기기 등의 살균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Antibacterial and Antifungal Composition Including Fennel Ex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인 소회향 추출물,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비를 특이성있게 구성함으로 인하여 기존의 항균제 조성물과 비교시 유효성분의 미량 첨가로도 월등한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음은 물론, 천연 유래의 성분을 사용함으로 인하여 인체에 대한 위해가 없으며, 식품의 맛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도 식품의 보존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어서 식품에 적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과 관련된 기구, 기기 등의 살균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은 그 구성 성분이 다양하고 유통 기간 및 저장 조건에 따라서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등의 미생물에 의해서 쉽게 부패 또는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많아 식품을 보존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식품의 보존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식품의 보존료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는 천연 보존료 개발에 따른 다양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주로 화학적 합성 보존료에 대한 개발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우리 나라에서도 소르빈산 칼륨, 안식향산 나트륨, 프로피온산 칼슘 등의 화학적 합성 보존료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화학적 합성 보존료들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 체내에 지속적으로 축적되며, 이러할 경우 만성 독성, 발암성 및 돌연변이 유발성 등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그 허용량이 엄격히 규제될 뿐만 아니라, 사용 대상 식품도 제한되는 등의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일반 현대인들의 소비성향이 점점 고급화, 천연 지향적, 건강 지향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천연 소재로서 미량 사용으로도 탁월한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천연 유래의 식품용 항균제의 필요성이 점차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요구와 필요성으로 인하여,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를 제조함에 있어, 미생물 유래의 폴리리신을 함유시키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공지된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먼저 폴리리신을 적용한 공지된 기술로는 일본 칫소사가 미생물을 이용하여 폴리리신를 제조하였으며(일본특허공개 소59-20359호), 폴리리신, 유기산, 저급지방산 모노 글리세라이드, 비타민B, 초산소다 등을 병용할 경우 항균 상승 효과가 있음이 게시되어 있으며(일본특허공개 소62-58975호), 또한 폴리리신, 중쇄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및 리소자임을 병용한 식품용 항균제가 공지되었다(일본특허공개 평6-225740호). 그러나 상기한 기술들은 항균성에 있어서 그 효과가 미약하여 첨가되는 항균제의 함량을 과다하게 증가시켜야만 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인산염이 많이 함유된 육가공 식품 등에 사용할 경우에는 폴리리신의 양이온과 인산의 음이온이 반응을 일으켜 항균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사용이 제한된다는 지적이 있다. 또한 효소인 리소자임을 혼합한 경우에는 리소자임이 열에 약하기 때문에 가열 공정이 있는 식품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천연물 유래의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시켜 식품용 항균제를 제조하는 방법들도 꾸준히 개발되고 있으며, 공지된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먼저 자몽종자 추출물과 관련된 기술로는 자몽종자 추출물에 대한 항균 효과 및 이의 추출방법 및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으며(미국특허 제1,354,818호), 또한, 자몽종자 추출물과 난백 리소자임을 일정 비율로 혼합 사용시 상승 효과가 있음이 게시되어 있고(특허등록 제71796호), 그리고 자몽종자 추출물과 폴리리신을 병행 사용하여 항균력의 상승 효과를 유도하는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특허등록 제319252호). 상기와 같은 자몽종자 추출물은 넓은 범위의 pH에서도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열에 안정하며, 금속과 반응을 하지 않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나, 반면 자몽종자 추출물 특유의 쓴맛과 수렴성이 강하기 때문에 식품에 적용할 경우, 특정 농도(150 ∼ 200 ppm) 이상은 사용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식품용 항균제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다른 용도의 일반 항균제보다는 많은 제약을 받는데, 그 제약사항으로서는 식품첨가물로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식품에 첨가할 때 식품의 맛과 향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하고,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해서 항균 효과가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천연 소재 중 그 향균 효과가 뛰어난 물질일지라도 위와 같은 조건에 상응하기가 힘들뿐만 아니라 또한 단일 물질로는 사용상에 많은 제약을 받으며 그에 따른 효과도 미미한 편이다.
현재 식품용 항균제 제품으로 판매되는 자몽종자 추출물, 폴리리신 등은 현재 제조방법이 외국에서 특허 등록이 되어있는 상태이므로 국내에서 구입하여 사용하는데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천연 소재에서 항균 성분을 추출하여 단일 또는 복합으로 사용해 항균제를 제조하려는 시도가 많이 되었으나 현재까지 기존 항균제를 가격면이나 항균 효과면에서 능가하면서 식품 첨가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천연 추출물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천연 소재에서 항균력이 가장 우수한 소재를 선별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지니며 이와 동시에 함께 사용하는 성분이 항균력을 발휘함에 있어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를 찾기 위하여 연구노력한 결과 자체로서 우수한 항균작용을 가지는 소회향 추출물을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과 특이성 있게 구성된 함량비로 사용할 경우 유효성분을 미량 첨가하더라도 식품 및 식기의 살균에 보다 우수하고 폭넓은 항균효과를 나타냄을 알게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 소재인 소회향 추출물,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며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을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소회향 추출물 0.01 ∼ 1 중량%, 폴리리신 0.01 ∼ 1 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1 ∼ 1 중량%,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05 ∼ 5 중량%, 유기산 0.05 ∼ 3 중량%, 알코올 5 ∼ 90 중량% 및 정제수 5 ∼ 90 중량%를 포함하는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소회향 추출물,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및 알코올을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로써,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비를 특이성있게 구성하여 기존의 항균제 조성물과 비교시 유효성분의 미량 첨가로도 월등한 항균력 시너지 효과를 유도할 수 있으며, 식품 및 식품과 관련된 기구, 기기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소회향은 산형과(Umbelliferae) 식물인 회향(Foeniculum vulgare Mill.)의 과실로서 주요 성분은 아니톨(anethole), dl-리모넨(limonene), α-피넨(pinene)이다. 소회향은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주며 구토, 복통, 생리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소회향의 항균 효과는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다양한 천연 성분이 복합적으로 항균 작용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소회향 추출물은 소회향을 사용된소회향 총중량에 대해 물,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및 헥산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액 2 ∼ 20 중량비에 침지한 후 상온 또는 가열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농축 또는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소회향의 추출물을 전체 항균제 조성물에 0.01 ∼ 1 중량% 첨가시키는데, 만일 그 첨가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1 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폴리리신은 필수아미노산인 L-라이신으로 연결된 직쇄상의 염기성 폴리펩타이드로써 방선균의 일종인 스트랩토마이세스 알불루스(streptomyces albulus)를 호기 배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Shoji, 1981). 이러한 상기 폴리리신은 분자 중에 에틸렌기를 중심으로 하는 소수성 영역과 아미노기와 카르복실기를 중심으로 하는 친수성 영역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용액 중에서 아미노기가 양전하를 띠게 되고 양이온계의 계면활성제로 작용한다. 그리고 항균 작용 기작은 이러한 양이온계의 계면활성 성질에 의하여 폴리리신의 아미노산기가 미생물의 세포벽에 흡착되어 증식을 저해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가지는 폴리리신을 전체 항균제 조성물에 0.01 ∼ 1 중량% 첨가시키는데, 만일 그 첨가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1 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적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또 다른 주요 성분인 자몽종자 추출물은 자몽의 씨를 물, 주정 또는 유기용매로 추출한 것으로 이를 구성하는 주요성분으로는 바이오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아스콜빈산, 구연산 등이 있다. 자몽종자 추출물은 세포막의 투과성 악화와 세포 호흡작용의 억제를 도모함으로써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넓은 pH 범위에서도 항균효과가 우수하고, 열안정성이 높고 금속과 반응을 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자몽 종자 추출물은 자몽에서 종자를 분리, 건조한 후에 분쇄하여 글리세린을 중량대비 50%로 첨가하여 추출, 여과시켜 얻어지며, 관능적인 특성으로는 황갈색의 색깔과 쓰고 수렴성이 있는 독특한 맛을 들 수 있다. 그외의 기타규격은 [식품첨가물 공전, 115번, 1180페이지]에 기재된 규격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며, 본 발명에서는 퀴나브라(Quinabra)사의 제품인 바이오시트로(Biocitro)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자몽종자 추출물을 전체 항균제 조성물에 0.01 ∼ 1 중량% 첨가시키는데, 만일 그 첨가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1 중량%를 초과하면 쓴맛과 경제적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즉, 자몽종자 추출물은 쓴맛과 수렴성이 강하기 때문에 식품에 사용시 특정 농도(150 ∼ 200 ppm) 이상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자몽종자 추출물의 우수한 항균력을 식품 및 식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항균성을 가지는 물질을 혼합 사용함에 있어서, 이를 구성하는 함량비를 특이성 있게 구성함이 본 발명의 특징인 바, 천연 물질이면서 각각의 항균성을 인정받고 있는 폴리리신과 자몽종자 추출물의 혼합물에 본 발명에서 특징적으로 사용하는 유효성분인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시키되, 그사용량을 한정함으로써 기존에 폴리리신 또는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이들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보다 높은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조합된 각 구성성분들의 고유한 항균 기작이 복합적으로 발현되면서, 폴리리신 단독으로 적용할 수 없는 햄, 소시지 등 인산염이 많이 함유된 식품에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몽종자 추출물을 식품에 사용함에 있어서 문제점을 지적되던 쓴맛 또는 강한 수렴성을 효율적으로 완화시킴으로써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 뿐만 아니라 식품용 항균제 조성물로도 무리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회향 추출물, 폴리리신과 자몽종자 추출물 이외에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산, 알코올 및 정제수를 항균제 조성물의 성분으로 포함한다.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식품에 사용이 가능하며 유화제 원료로 사용되고, 또한 항균력도 뛰어나다. 이러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C8, C10, C12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종류를 달리하여 단독으로 또는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를 전체 항균제 조성물에 0.05 ∼ 5 중량% 첨가하는데, 만일 그 첨가량이 만일 그 첨가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유화 및 항균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5 중량%를 초과하면 거품 발생 등의 물성 변화로 인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유기산은 항균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식품에 사용이 가능한 젖산, 초산, 초산염, 사과산, 구연산, 주석산, 아디핀산 및 이들의 염 등 중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젖산을 사용한다. 이때, 유기산을 전체 조성물에 0.05 ∼ 3 중량%를 사용하는바, 만일 그 첨가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항균 증진 효과가 미미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3 중량%를 초과하면 신맛 및 산성이 강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알코올은 항균 효과 및 항균제 조성물의 수분 함량 조절 등을 위해 사용되는데, 상기 알코올을 전체 항균제 조성물에 5 ∼ 90 중량%를 사용하며, 정제수는 5 ∼ 90 중량% 사용한다. 이때, 알코올의 첨가량이 5 중량% 미만이면 수분이 과다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면에 90 중량%를 초과하면 침전 등의 물성 변화가 일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와 같은 성분으로 구성되는 항균제 조성물은 알코올 냄새 외의 특이한 다른 냄새를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자체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향료를 첨가할 수도 있다. 이때, 향료를 첨가할 경우, 전체 항균제 조성물에 0.01 ∼ 1 중량%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성분과 함량비로 제조되는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은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등 다양한 미생물에 대하여 광범위한 항균효과가 있기 때문에 식품용 및 식품 생산 라인용 항균 침지액과 항균 분무액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품과 관련된 기구, 기기 등의 살균 또한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용도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다음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 천연 소재의 항균력 측정
본 발명의 항균제 조성물에 사용될 우수한 항균력을 가진 항균 소재를 선별하기 위해서 국내에서 구입이 용이한 소재로서 문헌조사를 통해 선별된 천연 소재 67 종의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각 소재는 소재 중량에 10 배의 물과 에탄올(1:9) 혼합용액을 첨가하여 25 ℃에서 24 시간 추출한 후 여과하여 얻은 추출액을 회전 진공증발기로 농축하여 사용하였다. 각 소재의 항균력은 페이퍼 디스크(Paper disk)법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각종 질병과 관련된 대표적인 대상 피검균(E.coli, B.subtilis)을 접종하여 평판 배지(plate)를 만든 다음 각 평판 배지의 표면에 페이퍼 디스크를 올려놓고 상기 천연 소재 추출물을 적가하고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후, 페이퍼 디스크 주변에 발생되는 생육 저지환(mm)을 측정한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는데, 소회향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또한 소회향 추출물은 식품용 항균제 조건에도 적합하였다.
구 분 생육저지환(mm) 구 분 생육저지환(mm)
E.coli B.subtilis E.coli B.subtilis
주정 1.39 1.32 창출 0.64 0.57
오배자 0.80 1.56 소태자 1.38 0.30
오미자 0.70 0.45 비파엽 0.61 1.00
관중 2.90 3.40 노희 0.30 0.50
가자 4.00 4.80 식방풍 1.25 1.00
골쇄보 0.40 0.48 고삼 0.39 0.40
반변련 1.33 1.00 동과자 1.08 1.26
대황 × 0.59 관동차 0.40 0.50
용뇌 3.36 2.49 모과 0.14 0.61
삼릉 4.80 4.00 부소맥 × 0.95
박하뇌 1.40 1.76 익모초 × 1.02
경포부자 1.41 0.73 백급 0.25 ×
독활 × 0.70 갈근 2.00 4.00
신이화 × 1.07 괄루인 0.61 0.38
백부자 × 0.80 산초 1.09 0.49
상륙 0.57 0.61 오매 × 0.90
갈화 1.05 0.30 건율 × 0.09
상기생 1.37 0.95 녹반 1.11 1.07
건강 0.78 0.65 의이인 1.03 0.95
도인 1.04 0.65 쇠비름 0.62 0.90
냉화초 0.86 1.95 감수 0.72 0.56
대회향 0.15 0.55 피마자 0.03 0.08
송지 × 0.21 천궁 0.06 0.09
감송향 4.10 6.30 공사인 1.01 0.85
백두옹 1.45 0.39 천마 0.55 0.41
귀전우 1.38 0.06 상엽 0.33 ×
소회향 10.30 10.80 비자 0.62 0.54
복분자 0.21 1.05 사인추말 0.31 0.50
백두구 0.39 1.70 골담초 0.98 1.47
백련두 0.60 1.56 천남성 0.56 0.80
파고지 1.28 0.72 선학초 4.00 8.30
초과 0.60 0.70 정향 0.41 0.25
속수자 0.37 0.55 소백피 0.32 0.45
백굴채 0.57 0.61 감초 × 0.05
실시예 및 비교예 1 ∼ 3 : 항균제 조성물의 제조
상기 참고예에서 가장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낸 소회향 추출물에 폴리리신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사용한 항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다음 표 2에 각 구성성분 및 사용량을 나타내었다. 상기 항균제 조성물의 각 성분들을 혼합기에투입한 후, 실온에서 100 rpm으로 45분 동안 교반 처리하여 항균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사용량(단위: 중량%)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소회향 추출물1) 0.1 - 0.1 -
폴리리신2) 0.1 - - 0.1
자몽종자 추출물3) 0.1 - - 0.1
글리세린 지방산에스테르 0.5 0.5 0.5 0.5
젖산 0.3 0.3 0.3 0.3
알코올 50.0 50.1 50.0 50.0
정제수 48.9 49.1 49.1 49.0
1)소회향 사용량의 10 중량비의 물과 에탄올(1:9)혼합용액으로 상온추출2)칫소(Chisso)사 상품명 GU20K3)퀴나브라(Quinabra)사 상품명 바이오시트로
실험예 : 항균 효과 비교 실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항균제의 항균 효과를 알아보았다. 각 항균제의 항균력 측정은 페이퍼 디스크법과 최저 성장억제 농도(MIC)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각각 다음 표 3과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최저 성장 억제 농도(MIC)는 멸균된 영양 배지(Nutrient Broth: NB)에 E. coli, B. subtili와 S. aureus를 접종하여 37 ℃에서 8시간 배양한 후 이 균주를 멸균된 NB 배지에 농도별로 희석된 항균제와 같이 첨가한 후 37 ℃에서 24 시간 배양한 다음 균의 혼탁유무로 측정하였다.
구분 생육 저지환의 길이(단위: ㎜)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E.coli 4.00 0.90 1.25 1.50
B.subtilis 4.50 1.00 1.63 1.50
S.aureus 4.25 0.95 1.50 1.65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회향 추출물을 단독 사용하거나, 폴리리신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혼합 사용한 것보다 소회향 추출물,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동시에 혼합 사용할 때 항균력에 대한 높은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구 분 최저 성장 억제 농도(%)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E.coli 0.30 5.00 2.50 1.00
B.subtilis 0.15 5.00 2.00 1.25
S.aureus 0.25 5.50 2.10 1.1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소회향 추출물을 단독 사용하거나, 폴리리신과 자몽종자 추출물만을 혼합 사용한 것보다 소회향 추출물에 폴리리신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동시에 혼합 사용할 경우 보다 높은 항균력에 대한 시너지 효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보관시간에 따른 일반 세균수 측정
가래떡을 구입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3 에서 제조된 항균제 조성물에 침지한 후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보관 시간에 따른 일반 세균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보관 시간 일반 세균수(단위 : CFU/㎖)
무처리구 실시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0 일 2.7 × 102 2.7 × 102 2.7 × 102 2.7 × 102 2.7 × 102
1 일 5.2 × 106 5.9 × 103 3.8 × 105 2.8 × 104 2.1 × 104
2 일 1.6 × 107 2.4 × 104 2.7 × 106 1.1 × 106 5.5 × 105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래떡을 본 발명의 소회향 추출물과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에 침지한 후 보관하였을 경우, 무처리구나 다른 비교예와 비교시 현저히 균의 생육 저해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균제 조성물에 천연 소재 중에서 선별된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소회향 추출물을 폴리리신 및 자몽종자 추출물과 동시에 함유시킴으로써, 항균력에 있어서 우수한 시너지 효과를 나타내어 미량의 항균제 조성물을 사용하더라도 탁월한 항균력을 나타내며, 천연 소재로만 구성되어 인체에 무해함과 동시에 쓴맛 또는 수렴성 등의 식품의 풍미를 저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되어 충분해 식품에 적용되어 그 보존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식품과 관련된 기구, 기기 등의 살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회향 추출물 0.01 ∼ 1 중량%, 폴리리신 0.01 ∼ 1 중량%, 자몽종자 추출물 0.01 ∼ 1 중량%,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0.05 ∼ 5 중량%, 유기산 0.05 ∼ 3 중량%, 알코올 5 ∼ 90 중량% 및 정제수 5 ∼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회향 추출물은 소회향을 사용된 소회향 총중량에 대해 물, 알코올,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 및 헥산 중에서 선택된 1 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액 2 ∼ 20 중량비에 침지한 후 상온 또는 가열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농축 또는 건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는 C8, C10및 C12의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젖산, 초산, 사과산, 구연산, 주석산, 아디핀산 및 이의 염 중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2003-0026359A 2003-04-25 2003-04-25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KR100509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359A KR100509176B1 (ko) 2003-04-25 2003-04-25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6359A KR100509176B1 (ko) 2003-04-25 2003-04-25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144A true KR20040092144A (ko) 2004-11-03
KR100509176B1 KR100509176B1 (ko) 2005-08-22

Family

ID=37372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6359A KR100509176B1 (ko) 2003-04-25 2003-04-25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917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7528A3 (en) * 2005-02-15 2006-12-21 Medicative Ltd Biocidal composition comprising grapefruit seed extract
KR100728722B1 (ko) * 2005-12-27 2007-06-27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천연물을 함유하는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KR100835240B1 (ko) * 2006-12-08 2008-06-09 한명규 골프장 농약대체제 조성물
KR101318210B1 (ko) * 2011-12-16 2013-10-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회향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7567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서울식연 시트러스 추출물 또는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위생용 제제
WO2017171112A1 (ko) * 2016-03-30 2017-10-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소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8896A1 (ko) * 2018-04-12 2019-10-1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식품 신선도 유지를 위한 항균성 하이드로겔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7528A3 (en) * 2005-02-15 2006-12-21 Medicative Ltd Biocidal composition comprising grapefruit seed extract
GB2436054A (en) * 2005-02-15 2007-09-12 Medicative Ltd Biocidal Compositions
GB2436054B (en) * 2005-02-15 2009-07-01 Medicative Ltd Biocidal Compositions
KR100728722B1 (ko) * 2005-12-27 2007-06-27 알앤엘생명과학주식회사 천연물을 함유하는 살균 및 살바이러스 조성물
KR100835240B1 (ko) * 2006-12-08 2008-06-09 한명규 골프장 농약대체제 조성물
KR101318210B1 (ko) * 2011-12-16 2013-10-1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회향 종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7567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서울식연 시트러스 추출물 또는 자몽종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애완동물 위생용 제제
WO2017171112A1 (ko) * 2016-03-30 2017-10-0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소회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선천면역 증진 및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9176B1 (ko) 2005-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9252B1 (ko) 식품 및 식기용 항균제 조성물
CN104738033A (zh) 一种植物来源的防腐剂组方
KR20160141605A (ko) 로즈마리 조성물을 함유하는 천연보존료의 제조방법
CN107197940B (zh) 一种生物保鲜剂及其制备方法与在枇杷保鲜中的应用
KR101483563B1 (ko) 천연물의 염장 발효 방법 및 그 발효 추출물
KR100509176B1 (ko) 소회향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제 조성물
EP1617915A2 (en) Activated citrus peel extract
KR20090075282A (ko) 천연방부효과를 갖는 초피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46295A (ko) 녹차굴비의 제조방법
KR20160058294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방부제
KR100876667B1 (ko) 육두구, 육계 및 양강 혼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항균 활성 분획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626048B1 (ko) 항균용 세정제 조성물
KR101390347B1 (ko) 가시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이용한 손 세정제 제조방법
KR20190124549A (ko)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식품 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9990058672A (ko) 키토산을 주성분으로 한 천연 항균제 조성물
CN107232477A (zh) 一种用天然植物花、叶、皮提取物复合制成的保鲜剂
CN107347983A (zh) 一种猕猴桃保鲜液、其制备方法及保鲜方法
KR102117693B1 (ko) 로즈마리, 계피 및 지방산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항균제 및 그 제조방법
KR100439845B1 (ko) 선학초추출물로부터천연식품보존제및이를이용한식품보존방법
KR101769038B1 (ko) 황금소나무 잎과 송라의 혼합발효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HERRAZ et al. ESTIMATION OF TOTAL PHENOLIC AND FLAVONOIDS CONTENT AND ANTI-FREE RADICAL SCAVENGE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OF EXTRACT OF Matricaria pubescens (DESF.) SCH. BIP. COLLECTED FROM SOUTH EAST OF ALGERIA.
KR100615892B1 (ko) 쑥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KR102560979B1 (ko) 카피르라임 및 님트리를 혼합 추출한 ky항균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보존제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식품보존제.
Posseti et al. Extraction, chemical composition of peel and kernel mango extracts and their antimicrobial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nas frescal cheese.
KR20150044193A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식품보존제, 이의 제법 및 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