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282B1 -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282B1
KR102196282B1 KR1020190019802A KR20190019802A KR102196282B1 KR 102196282 B1 KR102196282 B1 KR 102196282B1 KR 1020190019802 A KR1020190019802 A KR 1020190019802A KR 20190019802 A KR20190019802 A KR 20190019802A KR 102196282 B1 KR102196282 B1 KR 102196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kgeolli
bath
composition
bath composition
ef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664A (ko
Inventor
김영아
민다솔
지은종
김대용
김승범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9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282B1/ko
Publication of KR2020010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2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유·수분 함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막걸리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입욕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A bath prepa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makgeolli and perfume}
본 발명은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욕제라 함은 천연 또는 합성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로서, 목욕시 탕 속의 물에 투입하여 입욕에 의한 피부 미용 및 건강 증진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목욕 보조제를 말한다.
대부분의 입욕제는 식물이나 한방 약재 등을 원료로 사용하여 약리 성분이나 향을 함유하는데, 이는 욕조의 물과 어우러져 사용자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는 것뿐만 아니라 약리 성분이 사용자의 피부를 통해 흡수되어 피로 회복 및 각종의 질병 예방 등에 있어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입욕제는 욕조에 혼합 시 거품을 형성하는 거품 및 발포성 입욕제, 꽃잎이나 약재를 이용한 티백 입욕제, 기능성 성분을 물에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파우더 입욕제, 아로마테라피 효과를 줄 수 있는 에센셜 오일 입욕제 등이 있다.
막걸리는 일반적으로 찹쌀, 멥쌀, 보리, 밀가루 등을 쪄서 누룩과 물을 섞어 발효시킨 한국 고유의 술로서 탁주(濁酒), 농주(農酒), 재주(滓酒), 회주(灰酒)라고도 한다. 이러한 막걸리는 알콜 도수가 6~7도로서 소주, 양주와 같은 증류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알콜 도수가 낮으며,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B, 비타민C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로완화에 도움은 물론 피부미용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막걸리는 일반 주류와는 달리 상당량의 단백질과 당질이 들어있고, 유기산, 식이섬유, 비타민 B군을 비롯한 라이신(lysine), 류신(leucine) 등의 필수아미노산 및 글루타티온(glutathione)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영양적, 기능적 가치가 높다(백란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한편,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5132호에는 막걸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0-1134890호에는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선행논문 [서고운 등,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4), 505-511, 2013]에는 막걸리 부산물의 미용 소재로서 기능성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막걸리에 향료를 더하여 막걸리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면서도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한 입욕제 조성물을 개시한 선행문헌은 아직까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05132호, 막걸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2011년 09월 26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134890호,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2012년 04월 02일, 등록.
백란희, 천연누룩과 막걸리 발효성분의 피부 생리활성 및 미백효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서고운 등, 막걸리 부산물의 미용 소재로서의 기능성 분석,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4), 505-511, 2013.
본 발명의 목적은 막걸리 및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미나리아재비, 라벤더, 오렌지, 레몬, 자몽, 바질 및 일랑일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향료는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미나리아재비, 라벤더, 오렌지, 레몬, 자몽, 바질 및 일랑일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및 미나리아재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막걸리 및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미나리아재비, 라벤더, 오렌지, 레몬, 자몽, 바질 및 일랑일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는 1:0.1~0.5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이다. 그러나 상기 중량비를 벗어나서 막걸리 및 향료를 혼합하는 경우 막걸리 특유의 시큼한 향이 저감되는 효과가 낮아지거나, 피부 유·수분 증가 효과가 낮아지거나, 또는 관능적 품질을 증가시키는 효과 상승 폭이 크지 않아 경제적이지 않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막걸리는 시판 제품이나, 통상적인 제조 공정에 따라 제조된 막걸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막걸리 및 향료의 혼합물은 막걸리 0.005~1중량% 및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미나리아재비, 라벤더, 오렌지, 레몬, 자몽, 바질 및 일랑일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 0.0005~0.5중량%가 되도록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석시 혼합물은 물(또는 정제수)에 희석하나, 필요에 따라 색소, 방부제, 안정화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제형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그 첨가량을 입욕제 조성물 고유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체분말, 액제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입욕제 조성물은 매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정해지지 않은 기간 동안에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피부상태 또는 피부타입에 따라 사용량, 사용횟수 및 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유·수분 함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막걸리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입욕제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입욕제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혼합 조건을 참고하여 막걸리 및 향료를 혼합하여 각 3㎖의 실시예 1 내지 9의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혼합비
막걸리 향료
실시예 1 1 유칼립투스 0.2
실시예 2 1 페퍼민트 0.2
실시예 3 1 미나리아재비 0.2
실시예 4 1 라벤더 0.2
실시예 5 1 오렌지 0.2
실시예 6 1 레몬 0.2
실시예 7 1 자몽 0.2
실시예 8 1 바질 0.2
실시예 9 1 일랑일랑 0.2
<비교예 1. 비교대상 입욕제 조성물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되, 하기 표 2의 혼합 조건을 참고하여 비교대상 입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건 혼합비
막걸리 향료
비교예 1 1 -
비교예 2 -
(물)
유칼립투스 0.2
<실험예 1. 피부 유·수분 변화 확인>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입욕제 조성물 3㎖을 물 5ℓ에 희석하여 20분 동안 족욕한 다음, 피부 유·수분 측정기(다음 네트웍스, 유수분측정기)로 족욕 전·후의 피부 유·수분 변화를 확인하여, 이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조건 피부 유·수분 변화량(%)
유분 수분
실시예 1 5.8 12.5
실시예 2 5.7 12.1
실시예 3 5.6 12.4
실시예 4 5.8 12.5
실시예 5 5.6 11.9
실시예 6 5.6 11.7
실시예 7 5.8 12.1
실시예 8 5.6 11.8
실시예 9 5.7 12.1
비교예 1 5.6 11.8
비교예 2 1.3 5.1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족욕 전 피부 유·수분에 비해 실시예의 입욕제 조성물을 넣고 족욕하는 경우, 피부 유분은 5% 이상 증가하였으며 수분은 10% 이상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막걸리가 포함되지 않은 비교예 2의 경우에는 피부 유·수분 증가 효과가 현저히 낮아, 입욕 또는 족욕시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피부의 유·수분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관능검사>
본 발명 실시예 및 비교예의 입욕제 조성물에 대해서 훈련된 패널요원 20명이 7점 척도법을 사용하여 막걸리가 지닌 시큼한 향의 저감 효과에 대해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입욕제 조성물 0.06㎖을 물 100㎖에 희석하여, 막걸리가 지닌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크면 높은 수치(7점)로 평가하였고 막걸리가 지닌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없으면 낮은 수치(0점)으로 평가(저감 효과 매우 높음(7점), 저감 효과 높음(5점), 저감 효과 보통(3점), 저감 효과 낮음(1점), 저감 효과 없음(0점))하였으며, 하기 표 4에는 20명이 평가한 점수의 평균으로 소수점 1자리까지만 나타내었다.
조건 냄새 차폐 효과
실시예 1 6.8
실시예 2 6.6
실시예 3 6.3
실시예 4 5.7
실시예 5 5.5
실시예 6 5.7
실시예 7 5.5
실시예 8 5.3
실시예 9 5.1
비교예 1 1.5
비교예 2 7.0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 실시예의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은 막걸리만 포함된 비교예 1의 입욕제 조성물에 비해 막걸리가 지닌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막걸리에 혼합되는 향료중에서도 특히 실시예 1 내지 3의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및 미나리아재비가 냄새 차폐 효과가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은 피부 유·수분 함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막걸리 특유의 시큼한 향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막걸리; 및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및 미나리아재비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
    가 1:0.1~0.5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희석하여 막걸리 0.005~1중량% 및 유칼립투스, 페퍼민트 및 미나리아재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향료 0.0005~0.5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욕제 조성물.
KR1020190019802A 2019-02-20 2019-02-20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KR102196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02A KR102196282B1 (ko) 2019-02-20 2019-02-20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802A KR102196282B1 (ko) 2019-02-20 2019-02-20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64A KR20200101664A (ko) 2020-08-28
KR102196282B1 true KR102196282B1 (ko) 2020-12-29

Family

ID=7226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802A KR102196282B1 (ko) 2019-02-20 2019-02-20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62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475A (ja) * 2002-08-27 2004-03-18 Takasago Internatl Corp 液体入浴剤用香料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液体入浴剤
JP2004315462A (ja) * 2003-04-18 2004-11-11 Kikusui Shuzo Kk 入浴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890B1 (ko) 2009-08-10 2012-04-13 (주)아모레퍼시픽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막걸리 농축액 함유 조성물
KR20110105132A (ko) 2010-03-18 2011-09-26 김미선 막걸리를 사용하여 제조한 미용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3475A (ja) * 2002-08-27 2004-03-18 Takasago Internatl Corp 液体入浴剤用香料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液体入浴剤
JP2004315462A (ja) * 2003-04-18 2004-11-11 Kikusui Shuzo Kk 入浴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보그 코리아, "고대인들의 목욕법"(2016.11.28.)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664A (ko) 2020-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06479A5 (ko)
WO2002051428A1 (fr) Composition de parfum stimulant le systeme sympathique
KR20200049201A (ko) 콜라겐 및 가바 유래 이미 또는 이취 마스킹 제제
JP2010088348A (ja) 香酸柑橘様香味増強剤
KR101834491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디퓨저 방향제 조성물
KR102196282B1 (ko) 막걸리 및 향료를 포함하는 입욕제 조성물
CN116869884A (zh) 一种含柠檬果皮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6519248B2 (ja) 生薬抽出物含有飲料
KR101154500B1 (ko) 구강 조성물
JP2020094182A (ja) シトラールの熱劣化抑制用組成物及び熱劣化抑制方法
KR20120025740A (ko) 항균용 천연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레이액
KR101830947B1 (ko) 쑥의 천연 정유 및 하이드로졸을 포함하는 아로마 바디샴푸 조성물
WO1994027566A1 (en) Improved peppermint flavor for oral hygiene products
JPH11255636A (ja) 血流促進剤
CN114245820A (zh) 香料组合物
JP4553730B2 (ja) 経口用育毛剤
KR101720739B1 (ko) 항산화 효과를 갖는 천연 향료 조성물
EP2448552B2 (de) Stabilisierung von hydrolisiertem milchprotein durch citrusöle
KR101940050B1 (ko)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KR101877290B1 (ko)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오미자와 참당귀 정유를 함유하는 포도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EP1291011A1 (en) Hand treatment lotion
JP3159543B2 (ja) 高麗人参エキスの精製法および高麗人参含有飲料
KR101791217B1 (ko) 측백엽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집중력 및 기억력 강화용 한약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601434B1 (ko) 석창포 추출액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