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4500B1 -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4500B1
KR101154500B1 KR1020050073761A KR20050073761A KR101154500B1 KR 101154500 B1 KR101154500 B1 KR 101154500B1 KR 1020050073761 A KR1020050073761 A KR 1020050073761A KR 20050073761 A KR20050073761 A KR 20050073761A KR 101154500 B1 KR101154500 B1 KR 10115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weight
composition
parts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9828A (ko
Inventor
김후덕
김영호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5007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450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9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9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45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를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의 베이스 조성물에 대하여 생강 추출물을 향미 조절제로 사용하는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구강 조성물은 생강 추출물에 더하여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강 베이스 조성물이 가지고 있는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떫은맛 등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거나 감소시켜, 사용감과 향미를 증진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사용감 및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생강,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고추, 향미 증진

Description

구강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본 발명은 연마제, 기포제, 결합제, 습윤제 및 약효제를 베이스로 하는 구강 조성물의 쓴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기 위해 생강 추출물을 향미 조절제로 사용한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연고 모양의 치약과 같은 구강 조성물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를 베이스 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각종 감미제, 향료, 방부살균제, 색소, 치석 방지물 및 안정제 등과 기타 필요한 성분들을 적절히 가하여 제조한다.
그러나 치약의 베이스 성분으로 사용되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는 텁텁한 맛, 쓴맛, 이미, 떫은맛, 아린맛 등 불쾌한 맛을 지니고 있어 소비자로 하여금 사용감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불쾌한 맛과 이미를 제거 또는 마스킹하기 위해서, 구강 조성물에 감미제와 민트 향료를 첨가하고 있으나, 이런 방법을 통해 베이스 조성물의 쓴맛과 이미를 마스킹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미합중국특허 제4,154,862호는 네오헤스페리딘(Neohesperidin)을 산화하여 합성한 네오디스민(Neodismin)을 첨가하여 치약 조성물의 이미를 마스킹한다고 개 시하고 있다. 그러나 네오디스민만으로 치약 조성물의 이미를 마스킹 하기에는 그 효과가 미약하고, 특히 치약에 사용된 약효제로부터 기인한 독특한 쓴맛 및 이 쓴맛과 동반된 약효제 고유의 맛을 마스킹하는 데는 한계 및 제한이 있다.
한편, 천연물에서 얻을 수 있는 소금 또는 죽염, 녹차류, 기타 한방 추출물 등을 추가하여 구강 조성물의 기능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3-104호는 지골피, 백지, 세신, 방풍, 승마, 천궁, 당귀, 괴화, 고본, 길경, 감초, 생강 및 흑두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한약재의 추출물을 고형분으로서 0.001 내지 5 중량%로 함유하고 있는 구강 조성물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구강 조성물 또한 여전히 약효제 특유의 불쾌감이 남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44,158호는 건조한 쑥갓, 쑥 또는 쑥갓과 쑥의 혼합물을 소금류와 함께 혼합하고 800 내지 1500 ℃에서 1회 내지 수회 용융시키고 분쇄하여 제조된 치약 조성물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안된 구강 조성물은 화학 물질 자체의 불쾌감과 더불어 약효제 고유의 이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 구강제품에 사용되는 연마제, 기포제, 결합제, 습윤제 및 약효제에 기인한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떫은맛 등의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데 역점을 두고, 이를 마스킹 함은 물론 사용감 및 향미를 증진 시킬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많은 연구와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통상의 구강 조성물에 생강 추출물을 향미 조절제로 구강 조성물에 적용시켜 상기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로부터 기인한 쓴맛 및 기타 불쾌한 맛을 대폭 경감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또한, 상기 생강 추출물에 더하여 각종 식재료인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더욱 혼합하여 상기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로부터 기인한 쓴맛 및 기타 불쾌한 맛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연마제, 기포제, 결합제, 습윤제 및 약효제를 포함하는 구강 베이스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미 조절제로 생강 추출물 0.01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구강 조성물은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 10.0 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기로 0.01 내지 10.0 중량부로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향미 조절제로 생강을 비롯한 각종 식물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종래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로부터 기인한 쓴맛 및 불쾌한 맛을 경감시켜 구강 조성물의 사용감 및 향미를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음식의 감칠맛을 살리는 향신료뿐만 아니라 한 방 처방에서는 빠질 수 없는 약재로도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생강 내 함유된 방향성 물질인 정유성분으로 보르네올(borneol), 시네올(cineole), 시트랄(citral), 페놀(phenol), 알카로이드(alkaloid) 등을 포함하여 비린내 등 좋지 못한 냄새나 맛을 제거하고 중추성 욕지기를 멈추며, 매운 성분인 진저롤(gingerol)과 쇼가올(shogaol)은 티푸스균이나 콜레라균 등 세균에 대한 강한 살균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생강을 추출하여 얻어진 생강 추출물을 구강 조성물의 향미 조절제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생강 추출물에 함유된 정유 성분으로 인하여 구강 조성물의 조성에서 기인한 불쾌한 맛을 감소시킨다.
생강 추출물은 액상 또는 분말 상태로 투입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 방법을 거쳐 얻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한정하지 않으며, 대표적으로 수용액 침지법과 같이 용제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또는 감압 증류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일예로, 생강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에, 예컨대 정제수, 유기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1,3-부틸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일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용매의 함량은 분쇄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15 부피배의 양으로 첨가한 후 5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는 온침 방법을 사용하거나, 4 내지 25 ℃의 낮은 온도에서 1 내지 20일간 침적시키는 냉침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얻어진 추출 여액을 탈수 또는 탈용매화한 후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액상 또는 분말 형태의 생강 추출물을 얻는다. 이러한 방법은 하기하는 다른 천연 추출물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생강 추출물은 향미 조절제로 구강 베이스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40.0 중량부로 사용한다. 만약, 생강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향미 조절제로서의 효과를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구강 조성물에 사용된 향미를 변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은 향미 조절제로 생강 추출물 이외에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 추출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깻잎(Perilla frutescens (L.) Britt.)은 임자엽(荏子葉)이라는 들깻잎으로, 칼륨, 칼슘, 철 등의 무기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알칼리성 식품이다. 상기 깻잎 내 함유된 정유성분인 리모넨(lomonene), 페릴라 알데하이드(perilla aldehyde) 및 페릴라 케톤(perilla ketone) 등으로 인해 깻잎 특유의 독특한 향을 나타낸다.
쑥갓(Chrysanthemum coronarium L.)은 맛이 산뜻한 녹황색 채소로, 비타민A와B1, B2 및 C를 비롯하여 철분, 칼슘. 칼륨 등의 미네랄이 다른 녹황색 채소에 비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쑥갓 내 함유된 정유 성분인 벤즈알데하이드(benzaldehyde)로 인해 독특한 향을 발산한다.
미나리(Oenanthe javanica(Blume)DC.)는 다년생 풀로서 습지에서 자생하며, 예로부터 해열, 해독, 혈압을 내리는데 민간 약으로 사용되던 미나리는 식욕을 돋우고 변비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나리의 정유성분인 페놀계 성분으로 인해 특유의 향기를 가진다.
부추(Allium tuberosum)는 대부분이 포도당, 과당으로 구성 되어 있어 피로회복에 매우 효과적인 녹황색 채소로, 대?소장을 보하는 효과가 있으며 위장의 나쁜 피와 체기를 없애 주고 간기능을 보완해 준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부추의 특유한 냄새는 황화 아릴류의 휘발성 정유 성분에 기인하다.
쑥(Artemisia ssp.)은 칼슘, 인, 철분 등 미네랄이 풍부하고 비타민A, C와 비타민B1 및 B6가 많이 들어 있어 있으며, 약효가 그 어느 것보다 뛰어나 민간약초 중에서 가장 널리 약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식품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쑥은 짙은 엽록소와 치네올(chineol), 세스커델펜, 트리사이클린(tricycline), 테르페놀(terpenol), 보르네올(borneol), 피넨(pinene) 등의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독특한 향을 발산한다.
산초는 산초나무(Z anthoxylum Schinifolium)의 열매로, 정유함량이 높아 예로부터 종자에서 기름을 짜서 위장병이나 기관지 천식에 사용해 왔을 뿐 아니라 외부 종기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산초는 특유한 향기 및 맛을 발산하여 향신료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향기의 주성분으로 리모넨(limonene), 게라니올(geraniol), 시트로넬랄(citronellal) 등이 있으며, 매운맛 성분으로 산쇼올(sanshol)이 있고, 쓴맛 성분으로 시트로넬랄(citronellal)이 함유되어 있다.
고추(Capsicum anuum)는 가지과에 속하는 작물로,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 (capsicin)이라고 하는 염기 성분에 의해 독특한 맛을 낸다.
전술한 바의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는 다양한 정유 성분으로 인해 독특한 맛과 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의 식문화에 널리 쓰이는 재료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정유 성분을 포함하는 식물을 구강 조성물의 향미 조절제로 생강 추출물에 더하여 사용함으로써, 구강 베이스 조성물 성분에서 기인한 불쾌한 맛을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
상기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 추출물은 액상 또는 분말 상태로 투입될 수 있으며, 이때 그 추출 방법은 전술한 바의 생강 추출물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 추출물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구강 조성물에 생강 추출물에 더하여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그 함량은 향미 조절제로 사용된 생강 추출물의 향미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구강 베이스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미만, 더욱 바람직하기로 0.01 내지 10.0 중량부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베이스 조성물은 연마제, 기포제, 결합제, 습윤제 및 약효제를 포함하며, 이하 각 성분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ⅰ) 연마제
연마제는 구강 조성물에 함유되어 연마에 의한 기본적인 세정작용을 한다. 이러한 연마제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 알루미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슘,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인회 석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물질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연마제는 지나친 연마에 의한 치아 마모가 없도록 최종 제품의 연마도가 30~100의 값을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입자 크기도 연마제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입자경이 20 ㎛ 이하인 것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연마도 값은 0에서 시작하여 표준 치약을 100으로 하여 상대 연마도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제품들이 200 이하의 값을 가진다.
상기 연마제는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12 내지 60 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18 내지 50 중량부로 사용하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구강 조성물의 연마도가 전혀 없어 기본적인 세정작용이 미흡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비중과 연마력이 커져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한다.
ⅱ) 기포제
기포제는 구강 조성물의 상용감과 세정작용을 좋게 하며, 약효성분의 분산 및 침투를 신속하게 하여 구강 내 이물질을 쉽게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포제로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 사용한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또는 알킬 황산나트륨이 사용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 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아주까리 경화유 유도체, N-라우릴 사르코신에이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소우프(Soap),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 모노라우레니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코코아미드 디이에이를 각각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된다.
이때 기포제의 함량은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0.5 내지 4.0 중량부로 사용하고,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구강 조성물의 상용감 및 세정작용이 저하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계면활성제 특유의 냄새가 나 불쾌감이 남게 되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ⅲ) 결합제
결합제는 치약에서 액상과 고상을 결합하여 액분리를 방지하고 구강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결합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 카라기난, 수용성 폴리비닐아크릴 수지, 잔탄검, 점증용 실리카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한다.
이때 결합제의 함량은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0.3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하고,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구강 베이스 조성물 및 구강 조성물의 액분리가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결합제 특유의 쓴맛과 자극을 동반한 아린맛 및 떫은맛이 잔류하여 불쾌감이 남아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ⅳ) 습윤제
습윤제는 연고상의 제형을 만드는데 필수적인 베이스 성분으로 구강 조성물이 공기 중에 노출될 때 건조, 고화되는 것을 방지하고 치약의 표면에 윤기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종류에 따라서는 양치 시 감미효과를 주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습윤제로 비결정형 소르비톨 수용액, 농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소르비톨액,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며, 바람직하기로는 비결정형 소르비톨 수용액, 농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한다.
이때 습윤제의 함량은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10.0 내지 60.0 중량부로 사용하고,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구강 조성물의 액분리가 발생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습윤제와 특유의 쓴맛 및 떫은맛, 텁텁한 맛 등의 불쾌한 맛을 나타내 불쾌감이 남아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ⅴ) 약효제
약효제는 사용 목적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며,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상귀니아, 과산화수, 탄산수소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소다, 아미노카르론산, 트라넥사민산,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 유도체 질산칼륨, 인산칼륨,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폴리인산염, 메타인산염, 소금, 죽염, 효소류, 녹차류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트리클로산, 질산칼륨, 인산칼륨, 메타인산염 및 죽염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약효제는 치아에 불소막을 형성하며 충치균의 대사 산물인 산(젖산 등)에 내산성을 만드는 불화물을 필수적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치주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 유도체가 동시에 사용될 수 있으며 구강 내 유해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여 구강 위생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트리클로산 등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지각 과민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질산칼륨, 염화 칼륨 및 인산칼륨이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약효제의 함량은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0.00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하고,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적절한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게 되면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및 약효제 고유의 이미를 나타내 불쾌감이 남을 수 있어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한다.
이외에 본 발명의 구강 베이스 조성물은 상기에 더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로는 방부제, 향료, 감미제 및 색소가 가능하며, 이때 함량은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방부제는 구강 조성물의 제조 및 사용 중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치약의 보존을 장기화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사용하며, 벤조산나트륨 또는 파라벤류 등이 가능하다.
향료는 식용 가능한 것으로, 페파민트 오일, 스피아민트 오일, 세이지 오일, 유칼립톨, 및 유게놀과 같은 식물에서 추출한 추출물과, 과일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삭카린 나트륨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색소로는 주로 식용 색소를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생강 추출물과, 추가로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향미 조절제로 사용함으로써 구강 조성물의 베이스 성분으로 사용되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및 약효제가 가지고 있는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떫은맛 등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거나 감소시켜, 사용감과 향미를 증진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사용감 및 만족감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구강 조성물은 치약, 구강 세정제, 구강 청량제, 구향제, 츄잉검, 트로키 또는 캔디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 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제조예 : 추출물의 제조
생강,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 각각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40 ℃의 온도에서 2일간 건조하였다. 상기 건조된 식물을 분말 상태로 분쇄하고, 각각의 분말 20g을 정제수 80g에 침지시켜 2일간 침적 추출하였다. 이어, 추출액을 1번 와트만지(Whatman N0.1)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추출 여액을 회수하고, 감압 증류하여 물을 제거하여 걸쭉한 상태의 추출물을 얻었다. 감압 증류의 조건은 70 mmHg에서 1시간 실시하였으며 최종 추출물 중 수분의 함량은 전체 추출물 중 20 중량부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구강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에 습윤제로 비결정형 소르비톨 수용액(70%) 50 중량%, 결합제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5 중량%, 카라기난 0.3중량%, 첨가제로 향료 1.0 중량%, 삭카린 0.2 중량%, 및 향미 조절제로 생강 추출액 15.0 중량%를 투입하여 분산 혼합하였다.
여기에 연마제로 침강실리카 20 중량%, 약효제로 불화나트륨 0.22 중량%, 트리클로산 0.1 중량%, 인산칼륨 3.0 중량%, 및 죽염 3.0 중량%를 투입하고, 약 30 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기포제로 라우릴황산나트륨 1.0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1.0 중량%를 투입하고, 진공상태에서 20 분간 교반하여 구강 조성물(치약)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8: 구강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의 조성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중량%)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연마제 침강실리카 20.0 20.0 20.0 - - 5.0 5.0
인산일수소칼슘 - - - 40.0 40.0 - -
탄산칼슘 - - - - - 35.0 35.0
실리카겔 - - - 3.0 3.0 - -
습윤제 비결정형 소르비톨 수용액 50.0 50.0 50.0 - - - -
농글리세린 - - - 30.0 30.0 25.0 25.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카라기난 0.3 0.3 0.3 0.3 0.3 0.3 0.3
기포제 라우릴 황산나트륨 1.0 1.2 1.2 2.0 2.0 0.8 0.8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1.0 0.8 0.8 1.0 1.0 1.2 1.2
약효제 불화나트륨 0.22 0.22 0.22 - - - -
불화인산나트륨 - - - 0.76 0.76 0.76 0.76
트리클로산 0.1 0.1 0.1 0.1 0.1 0.1 0.1
인산칼륨 3.0 - - - - - -
죽염 3.0 - - 1.5 1.5 - -
질산칼륨 - 4.0 4.0 - - - -
메타인산염 - 2.0 2.0 - - 3.0 3.0
첨가제 향료 1.0 1.0 1.0 1.0 1.0 1.0 1.0
삭카린 0.2 0.2 0.2 0.2 0.2 0.2 0.2
향미 조절제 생강 추출액 5.0 10.0 7.0 10.0 8.0 10.0 7.0
깻잎 추출액 0.1 0.1 - - 0.5 - 0.1
쑥갓 추출액 1.0 - 0.1 0.5 - - 0.1
미나리 추출액 0.1 - - 1.0 0.1 - -
부추 추출액 - - 0.1 - 0.3 0.5 -
쑥 추출액 - 0.5 1.0 - - - -
산초 추출액 - - 0.1 - 0.1 0.1 1.0
고추 추출액 0.1 - - - - 0.1 -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비교예 1-4: 구강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의 조성을 이용하여, 향미 조절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연마제 침강실리카 20.0 20.0 - 5.0
인산일수소칼슘 - - 40.0 -
탄산칼슘 - - - 35.0
실리카겔 - - 3.0 -
습윤제 비결정형 소르비톨 수용액 50.0 50.0 - -
농글리세린 - - 30.0 25.0
폴리에틸렌글리콜 3.0 3.0 3.0 3.0
결합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0.5 0.5 0.5 0.5
카라기난 0.3 0.3 0.3 0.3
기포제 라우릴 황산나트륨 1.0 1.2 2.0 0.8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1.0 0.8 1.0 1.2
약효제 불화나트륨 0.22 0.22 - -
불화인산나트륨 - - 0.76 0.76
트리클로산 0.1 0.1 0.1 0.1
인산칼륨 3.0 - - -
죽염 3.0 - 1.5 -
질산칼륨 - 4.0 - -
메타인산염 - 2.0 - 3.0
첨가제 향료 1.0 1.0 1.0 1.0
삭카린 0.2 0.2 0.2 0.2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관능시험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구강 조성물을 이용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여성 100명(각 샘플당 20명씩)에 대해 상기 구강 조성물을 사용하여 각각의 치약 중 쓴맛 및 불쾌한 맛의 마스킹 정도를 5점 척도로 평가토록 한 후, 평균값을 구하였다. 이때 얻어진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5점척도)
Figure 112005044337303-pat00001
쓴맛 기타 불쾌한 맛 쓴맛 기타 불쾌한 맛
실시예 1 3.09 3.02 실시예 7 3.71 3.80
실시예 2 3.56 3.45 실시예 8 3.61 3.60
실시예 3 3.62 3.58 비교예 1 2.86 2.88
실시예 4 3.61 3.59 비교예 2 2.89 2.82
실시예 5 3.67 3.73 비교예 3 2.54 2.46
실시예 6 3.73 3.68 비교예 4 2.41 2.30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조성물이 각종 추출물을 함유시킴으로써 치약의 연마제, 기포제, 습윤제, 결합제 및 약효제에 의한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떫은맛 등의 불쾌한 맛이 비교예에 비하여 상당히 저감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의 조성물의 경우 생강 추출물만 적용하였을 때 쓴맛 및 기타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확인은 하였다.
실시예 2 내지 8은 생강과 더불어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고추 추출물을 더욱 혼합함으로써 상기 쓴맛 및 불쾌한 맛이 유의적으로 저감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3 및 4의 경우, 구강 조성물이 매우 심한 쓴맛과 불쾌한 맛을 나타내었으나, 이에 해당되는 실시예 5 내지 8을 참조하면, 이러한 문제가 향상됨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연마제로 인산일수소칼슘이나 탄산칼슘을 사용하여 연마제 특유의 불쾌한 맛을 가진 치약의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내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치약과 같은 구강 조성물에 생강 추출물 및 추가로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구강 베이스 조성물에 사용되는 각종 화학 물질에 따른 쓴맛, 아린맛, 텁텁한 맛, 떫은맛 등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거나 감소시켜 치약의 사용감과 향미를 증진시킨다.

Claims (9)

  1. 연마제, 기포제, 결합제, 습윤제 및 약효제를 포함하는 구강 베이스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향미 조절제로 생강 추출물 0.01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구강용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조성물은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및 고추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을 구강 베이스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미만으로 더욱 포함하는 구강용 치약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생강, 깻잎, 쑥갓, 미나리, 부추, 쑥, 산초 또는 고추 추출물은 용제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방법, 또는 감압 증류하여 추출된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베이스 조성물은 연마제 12.0 내지 60.0 중량부, 기포제 0.5 내지 4.0 중량부, 결합제 0.3 내지 3.0 중량부, 습윤제 10.0 내지 60.0 중량부, 및 약효제 0.00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알루미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슘, 지르코니움 실리케이트 및 수산화인회석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알킬 황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및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오스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아주까리경화유 유도체, N-라우릴 사르코신에이트, 소디움라우릴에테르설페이트, 소우프(Soap), 폴리소르베이트, 데카글리세린 모노라우레니트, 모노올레인산소르비탄,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코코아미드 디이에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즈나트륨, 카라기난, 수용성 폴리비닐아크릴 수지, 잔탄검, 점증용 실리카 및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효제는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상귀니아, 과산화수, 탄산수소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산성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소다, 아미노카르론산, 트라넥사민산, 알란토인 및 알란토인 유도체 질산칼륨, 인산칼륨,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 폴리인산염, 메타인산염, 소금, 죽염, 효소류 및 녹차류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구강용 치약 조성물.
KR1020050073761A 2005-08-11 2005-08-11 구강 조성물 KR101154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61A KR101154500B1 (ko) 2005-08-11 2005-08-11 구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3761A KR101154500B1 (ko) 2005-08-11 2005-08-11 구강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28A KR20070019828A (ko) 2007-02-15
KR101154500B1 true KR101154500B1 (ko) 2012-06-13

Family

ID=43652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3761A KR101154500B1 (ko) 2005-08-11 2005-08-11 구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45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442A (ko) * 2019-02-08 2020-08-19 임경윤 천연식물 엑기스를 이용한 소취 조성물
KR20200097443A (ko) * 2019-02-08 2020-08-19 임경윤 식용 가능한 소취 조성물 제조방법
WO2022245099A1 (ko) * 2021-05-21 2022-11-24 김드보라 레몬즙에 크림제형을 혼합한 동물 링웜 혼합크림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8308B1 (ko) * 2018-02-22 2021-11-18 주식회사 온엔온 천연원료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구강 청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871A (ko) * 1997-09-10 2001-03-26 오카자키 야스오 구취 제거용 다층 연질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60399A (ko) *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쓴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구강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3871A (ko) * 1997-09-10 2001-03-26 오카자키 야스오 구취 제거용 다층 연질 캡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50060399A (ko) * 2003-12-16 2005-06-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쓴맛 및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구강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7442A (ko) * 2019-02-08 2020-08-19 임경윤 천연식물 엑기스를 이용한 소취 조성물
KR20200097443A (ko) * 2019-02-08 2020-08-19 임경윤 식용 가능한 소취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85962B1 (ko) * 2019-02-08 2021-08-05 임경윤 식용 가능한 소취 조성물 제조방법
KR102285957B1 (ko) * 2019-02-08 2021-08-05 임경윤 천연식물 엑기스를 이용한 소취 조성물
WO2022245099A1 (ko) * 2021-05-21 2022-11-24 김드보라 레몬즙에 크림제형을 혼합한 동물 링웜 혼합크림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9828A (ko) 200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9118B1 (en) Flavor blend for masking unpleasant taste of zinc compounds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TW201143844A (en)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Garcinia mangostana L. and related methods
JP2008511671A (ja) 精油類を含む口腔ケア組成物
CN102548526B (zh) 洁齿剂组合物
JP5381685B2 (ja) 歯磨剤組成物
KR20130059780A (ko) 천년초 분말과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4500B1 (ko) 구강 조성물
JP2021502325A (ja) 口腔洗浄用発泡性固形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8310931A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および口腔清浄化剤
JP4472404B2 (ja) 口腔用固形組成物
JP2003026557A (ja) 口腔用組成物
KR101703269B1 (ko)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KR20100034929A (ko)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JP7108304B2 (ja) 液体口腔用組成物
KR20170085703A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내 항염 및 구취 제거용 조성물
JP3281716B2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口腔用剤および飲食物
JP6753142B2 (ja) 口腔用組成物
CN105726402B (zh) 龙须藤提取物在制备口腔护理品中的应用
JP2020183350A (ja) 歯磨剤
KR102622954B1 (ko)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또는 예방 효과가 있는 치약 조성물
KR101287800B1 (ko) 구강 조성물
JP2003119117A (ja) 抗う蝕剤及び口腔用組成物
KR101905595B1 (ko) 미강을 천연 연마제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