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4929A -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4929A
KR20100034929A KR1020080094179A KR20080094179A KR20100034929A KR 20100034929 A KR20100034929 A KR 20100034929A KR 1020080094179 A KR1020080094179 A KR 1020080094179A KR 20080094179 A KR20080094179 A KR 20080094179A KR 20100034929 A KR20100034929 A KR 20100034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oral
walnut shell
shell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8832B1 (ko
Inventor
김찬호
이병렬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94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8832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8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제품에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천연 연마제인 호두껍질 파우더와 치태 제거에 도움을 주는 식물 추출물인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호두껍질 파우더의 물리적 작용과 식물 추출물의 항균 효과에 의한 화학적 작용을 통해서 치태를 제거하고 잇몸질환 예방 및 구강 위생 개선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호두껍질파우더*녹차*상백피*승마*몰약*치약*잇몸질환예방*치태제거*구강용조성물

Description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Oral composition for effective plaque care}
본 발명은 구강 제품에 적합한 입자 크기를 가지는 천연 연마제인 호두껍질 파우더와 치태 제거에 도움을 주는 식물 추출물인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호두껍질 파우더의 물리적 작용과 식물 추출물의 항균 효과에 의한 화학적 작용을 통해서 치태를 제거하고 잇몸질환 예방 및 구강 위생 개선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강 질환은 구강에 살고 있는 각종 세균들에 의해 발생하며, 유해 구강 세균들이 모여 프라그를 형성하고 충치 및 잇몸질환을 유발시키게 된다. 프라그 형성을 억제하고 제거하기 위해 물리적으로는 연마제를 사용하고 화학적으로는 항균제를 사용한다. 구강용 제품에 사용되는 연마제에는 탄산칼슘,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칼슘, 베이킹소다, 폴리에칠렌,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고분자물질이 있다. 또한, 구강용 제품에 사용되는 항균제에는 염화세틸피리디늄, 염화헥살코늄, 염화벤잘코니움, 염화데카리늄, 클로로헥시딘, 트리클로산, 티몰, 이소 프로필메칠페놀, 염화알킬디아미노에칠글리산 등의 원료 성분 등이 있다.
상기에서 치태 제거를 위해 사용하는 인공적인 연마제나 항균제들은 프라그를 제거하고 잇몸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되며, 양치 시 삼킨 경우에도 인체에는 무해하지만 화학성분이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적인 연마제나 항균제를 배제하고, 천연 연마제나 항균제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2-0071514호는 기존의 치약이나 구강치료제에서 사용하는 인체에 해가 될 수 있는 생화학 제품을 최대한 배제하고, 치약에 사용되는 탄산칼슘 등의 연마제 대신 순수 천연 미네랄 소재를 연마제로 첨가함으로써 자연치유력을 통한 치주질환 예방, 치료 및 충치 예방에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3-0068963호는 구강위생개선 및 구강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식물 잎을 적당한 크기로 절단하여 함유함으로써 양치 시 물리적인 작용을 통해 치아의 손상 없이 치아표면에 부착된 프라그 제거 능력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약효 성분의 효과적인 전달로 구강위생 및 질환의 예방, 치료에 효과적인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4-0054317호는 식물 잎, 줄기, 열매 껍질을 동결 건조 한 후, 동결 건조된 식물 잎, 줄기, 열매 껍질을 분쇄하여 적당한 크기로 선별, 상기 선별된 섬유소 분말을 전분용액 또는 고분자에 넣은 후 분무 건조하여 입자 크기가 20㎛이하의 알갱이로 제조함으로써 새로운 연마 기능을 가진 연마제로 개발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효과적으로 치태를 제거하고 인체에 무해한 구강용 조성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천연 연마제인 호두껍질 파우더와 구강 내 염증 완화, 소염, 진통, 항균 등의 효과가 있는 녹차 추출물, 몰약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상백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하고 치태 제거에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호두껍질 파우더는 눈으로 확인 가능하기 때문에 심미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연마제인 호두껍질 파우더와 치태 제거에 도움을 주는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우수한 치태 제거 효과를 갖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호두껍질 파우더; 및
b)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여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천연 연마제인 호두껍질 파우더와 치태 제거에 도움을 주는 식물추출물인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또는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여 인체에 무해하고, 호두껍질 파우더는 소비자들이 직접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심미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치아 표면의 손상 없이 치태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잇몸을 매끈하게 닦아주어 치주질환 예방 및 잇몸 마사지 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구강 위생 증진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은
a) 호두껍질 파우더; 및
b)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호두껍질 파우더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동결 건조한 후 분쇄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호두껍질 파우더는 100 내지 170㎛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크기가 100㎛ 미만이면 호두껍질 파우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170㎛을 초과하면 양치 시 이물감이 느껴져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호두껍질 파우더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20.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0중량%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3중량% 미만이면 호두껍질 파우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20.0중량%를 초과하면 양치 시 이물감이 강하고 사용감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녹차는 Camellia sinensis 및 동속 식물의 잎으로써 고대부터 기호품으로 음용되어 왔으며, 충치균에 대한 항균 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어 있다. 상백피는 Morus alba L. 및 동속 식물(뽕나무과)의 뿌리 껍질로 혈압강하, 소염, 치육종통작용이 있고, 승마는 Cimicifuga heracleifolia komarov 및 동속 식물(미나리아재비과)의 뿌리 줄기로 진통 및 해열작용이 있어 치통 및 구강 내 염증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몰약은 Commiphora molmol Engl. 및 동속 식물(감람나무과)의 껍질 부위 상처에서 얻은 고무 수지로 진통, 방부 작용이 있어 아구창, 치은염 및 구강세제에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식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각각의 녹차, 상백피, 승마 또는 몰약에 물,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등의 극성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후 여과액을 농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로 함유한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치태 제거 효과가 미미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양치 시 맛이나 사용감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 적인 예를 들면, 치약, 구강용 세정제, 치아 미백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결합제, 감미제, pH 조절제, 방부제, 약효성분, 향료, 증백제, 색소, 용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로는 탄산칼슘, 침강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 등이 있으며, 이들 연마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6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기포제로는 양이온성 살균제의 활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 피마자유,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알킬올아미드, 알킬글루코시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나 N-알킬디아미노 에틸글리신 등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5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결합제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잔탄검, 카라기난, 알긴산 나트륨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1 내지 5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중량%를 사용한다.
상기 감미제로는 삭카린나트륨,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자일리톨, 감초 산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나트륨, 구연산, 주석산 등이 있고,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나트륨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약효성분으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트리클로산, 염화세틸피리디움,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고, 상기 향료로는 페퍼민트오일, 스피아민트오일, 멘톨, 아네톨 등을 적당량 혼합하여 사용하고,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색소로는 식용색소를, 정제수 및 에탄올의 용제로 통상의 치약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호두껍질 파우더의 제조
호두껍질 100g을 약 10℃에서 건조한 후, 건조된 호두껍질을 100~170㎛ 크기로 분쇄하여 호두껍질 파우더 85g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녹차 추출물의 제조
차나무(Thea sinensis Linne, 동백나무과 Theaceae)의 건조된 잎 1kg에 10배 의 물을 넣어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25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여기에 포도당 시럽 750g을 넣어 총량을 1㎏으로 만들었다.
[제조예 3] 상백피 추출물의 제조
약전 상백피 1kg을 정선하여 약전 통칙 절도 및 분말도에 따라 조절하고 70% 에탄올(장원기 에탄올 70부+정제수 30부) 5kg을 넣어 가끔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7일간 침적한 후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건조된 분말 30g을 얻었다. 여기에 70% 식용 에탄올(에탄올 70부+정제수 30부) 30g을 넣고 혼합하였다.
[제조예 4] 승마 추출물의 제조
약전 승마 1kg을 정선하여 약전 통칙 절도 및 분말도에 따라 조절하고 70% 에탄올(장원기 에탄올 70부+정제수 30부) 5kg을 넣어 가끔 교반하면서 실온에서 7일간 침적한 후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60℃에서 감압 농축하여 건조된 분말 80g을 얻었다. 여기에 70% 식용 에탄올(에탄올 70부+정제수30부) 80g을 넣고 혼합하였다.
[제조예 5] 몰약 추출물의 제조
몰약은 아프리카 동부, 에쿠아도르 북부 및 아라비아 남부에서 자라는 콤미 포라종(Commiphora species)의 천연 올레오-검-레진(Oleo-gum-resin)으로부터 수증기 증류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잘게 부순 천연 올레오-검-레진(Oleo-gum-resin) 1kg에 수증기를 1.5kg/cm2의 압력하에서 0.5L/min의 속도로 2시간 동안 흘려 보내고, 흘러나온 수증기는 냉각기를 통과시켜 냉각시켰다. 냉각 후 수기플라스크에 모아진 추출물을 물 층으로부터 분리하여 90g의 추출물을 얻었다. 여기에 식용 에탄올을 추출물의 농도가 50%이 되도록 넣고 혼합하였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 치약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은 성분을 주성분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명(단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연마제 호두껍질 파우더(제조예 1) 10 10 10 10 10 - -
식물추출물 녹차 추출물(제조예 2) 1 - - - - 1 -
상백피 추출물(제조예 3) - 1 - - - - -
승마 추출물(제조예 4) - - 1 - - - -
몰약 추출물(제조예 5) - - - 1 - - -
연마제 실리카 10 10 10 10 10 10 10
유효성분 일불소인산나트륨 0.76 0.76 0.76 0.76 0.76 0.76 0.76
습윤제 소르비톨액(70%) 25 25 25 25 25 25 25
감미제 삭카린 나트륨 0.3 0.3 0.3 0.3 0.3 0.3 0.3
pH 조절제 구연산 나트륨 0.1 0.1 0.1 0.1 0.1 0.1 0.1
점증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2.0 2.0 2.0 2.0 2.0 2.0 2.0
방부제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0.2
향료 조합향료 1.0 1.0 1.0 1.0 1.0 1.0 1.0
증백제 이산화티탄 0.3 0.3 0.3 0.3 0.3 0.3 0.3
기포제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2 2 2 2 2 2 2
용제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시험예 1] 치태 제거능의 평가
실험 대상자 280명의 초기 구강 상태를 확인한 후 치면을 세마하고, 임의로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의 사용군을 각각 40명씩 나누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3을 실험 대상자들에게 제공하고, 습관화된 방법으로 칫솔질을 하도록 하고 4주 후에 치태 지수를 검사하였다.
상기 치태 지수는 치면 착색액 10방울에 물 20ml를 혼합하여 입안에서 1분간 머금은 뒤 뱉어내고 물로 가볍게 양치한 후, 하기 Quigley & Hein의 Turesky modification기준을 적용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 치태 지수 (Plaque index by Quigley & Hein)
0 = 치면세균막 불부착
1 = 치은연부에 점상부착
2 = 치은연을 따라서 선상부착
3 = 치경부측 1/3까지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4 = 치경부측 2/3까지 치면 세균막이 있는 경우
그룹 치태 지수 (평균 ± 표준편차) p 값 (by ANOVA)
초기값 4주 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0.47 ± 0.36 0.47 ± 0.36 0.47 ± 0.36 0.47 ± 0.36 0.46 ± 0.24 0.50 ± 0.36 0.49 ± 0.43 0.30 ± 0.36 0.31 ± 0.36 0.29 ± 0.36 0.30 ± 0.36 0.39 ± 0.19 0.45 ± 0.22 0.46 ± 0.24 p<0.05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4주 후의 치태 지수는 초기값과 비교하여 호두껍질 파우더만 사용한 비교예 1에서는 15%의 감소, 녹차추출물만 사용한 비교예 2에서는 10%의 감소, 호두껍질 파우더 및 녹차추출물을 모두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3에서는 6.12%의 감소를 나타냈지만, 호두껍질 파우더와 함께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또는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4은 초기값과 비교하여 치태 지수가 약 34%~38%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호두껍질 파우더 및 식물 추출물을 동시에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치태 제거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예 2] 외관 및 사용감의 평가
외관 및 사용감은 상기 시험예 1에서의 4주간 사용을 마친 후에 설문 조사를 통해 5점 척도로 평가되었다. (1점: 매우 불만족/ 2점: 불만족/ 3점: 보통/ 4점: 만족/ 5점: 매우 만족)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향미 3.7 3.8 3.7 3.8
외관 4.5 4.2 4.0 3.5
기포력 3.8 3.7 3.8 3.8
자극감 3.5 3.5 3.5 3.5
전체적 만족도 4.3 4.0 3.9 3.7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실시예1~4)은 비교예1~3과 향미, 기포력 및 자극감 부분에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호두껍질 파우더 및 식물 추출물에 의한 외관 만족도가 높아 전체적인 만족도가 더욱 우수하였다. 또한, 호두껍질 파우더 및 몰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4에서는 향미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전체적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Claims (5)

  1. a) 호두껍질 파우더; 및
    b) 녹차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승마 추출물 및 몰약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껍질 파우더가 100 내지 170㎛의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두껍질 파우더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2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5.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치태 예방 및 제거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080094179A 2008-09-25 2008-09-25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KR10151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79A KR101518832B1 (ko) 2008-09-25 2008-09-25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179A KR101518832B1 (ko) 2008-09-25 2008-09-25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929A true KR20100034929A (ko) 2010-04-02
KR101518832B1 KR101518832B1 (ko) 2015-05-11

Family

ID=4221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179A KR101518832B1 (ko) 2008-09-25 2008-09-25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88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35A3 (ko) * 2015-05-15 2017-01-12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WO2020139329A1 (en) * 2018-12-26 2020-07-0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including plant-based abrasives and methods for the same
US10835484B2 (en) 2018-12-26 2020-11-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including plant-based abrasives and methods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969A (ko) 2020-12-24 2022-07-0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파머스독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반려동물용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5107B2 (ja) * 1997-07-22 2002-10-15 有限会社ディー・アン・ディー 歯垢除去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6335A3 (ko) * 2015-05-15 2017-01-12 대한민국(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장)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WO2020139329A1 (en) * 2018-12-26 2020-07-0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including plant-based abrasives and methods for the same
US10835484B2 (en) 2018-12-26 2020-11-17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including plant-based abrasives and methods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8832B1 (ko) 201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8353B (zh) 含有木蘭萃取物之牙石控制口腔保健組成物
AU1065200A (en) Flavour blend for masking unpleasant taste of zinc compounds
KR10195546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의 제조방법
US20180338903A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nigella sativa and related methods
KR101518832B1 (ko)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81032A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51396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101916377B1 (ko) 치아 미백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30230A (ko) 해죽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28961A (ko) 녹차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63215B1 (ko) 미강, 볏짚 및 기장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60067295A (ko) 잇몸질환예방 및 구취억제용 구강 조성물
JP2002241253A (ja) 口腔組成物
KR20090091898A (ko) 수세미오이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30035323A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00030252A (ko)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70118984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528A (ko)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