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252A -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252A
KR20000030252A KR1020000007274A KR20000007274A KR20000030252A KR 20000030252 A KR20000030252 A KR 20000030252A KR 1020000007274 A KR1020000007274 A KR 1020000007274A KR 20000007274 A KR20000007274 A KR 20000007274A KR 20000030252 A KR20000030252 A KR 20000030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al hygiene
safflower seed
oral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091B1 (ko
Inventor
하재몽
김문무
장석윤
김상년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2000-000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09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0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0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과 손상된 치아의 회복에 효과가 우수한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홍화씨 추출물은 불소화합물과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전체중량에 대하여 0.001-5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Description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ENHANCING ORAL HYGIENE CONTAINING EXTRACT OF SAFFLOWER SEED}
본 발명은 충치 및 치주질환 예방과 손상된 치아의 회복에 효과가 우수한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홍화씨를 용매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에 일정 비율로 적용함으로써 충치 및 손상된 치아의 회복과 치조골 재생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고 시린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의 조직에 나타나는 각종 구강 질환은 구강에 존재하는 수많은 세균으로 구성된 프라그에 의해 야기되며 이에 대한 임상적, 병리적 중요성은 널리 연구되었고 알렉산더(Alexander A,G,J. Periodent,42,21-28,1971), 아쉬(Ash,M.M;J. Periodontol,35,424,1964)등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확인 되었다. 특히 구강질환 중 충치와 치주질환은 가장 널리 만연되고 있는 질환이다. 이중 충치는 구강미생물들이 치면세균막을 형성하고 이들이 대사하면서 생산한 대사산물들에 의하여 치질 중의 무기질이 이탈되고, 유기질이 파괴되어 결과적으로 치아조직이 손상을 입어 생기는 것이고, 치주질환은 세균막(프라그)이 치주낭 내에 축적되어 세균의 서식처가 됨으로서 이들이 생산한 대사산물이 치주조직을 파괴하거나 면역계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하므로써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질환을 예방하고,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치면세균막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거나, 대사산물들에 의하여 야기되는 이러한 질환의 발생 경로를 차단하거나 가역반응을 유도하므로써 예방, 치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강질환을 예방, 치료하기 위하여 다양한 약물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충치예방을 위한 공지된 대표적 약물로 불소화합물인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및 불화주석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약물은 대부분의 치약 제품에 함유되어 있고, 더 나아가 상수도수에 함유시켜 항상 마시게 함으로써 충치를 예방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와 같이 불소가 충치예방에 매우 유용한 약물이며, 구강위생제품 중 불소함량 기준량 사용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보고됨에도 불구하고 안전성에 대해 일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홍화(紅花, Safflower - 잇꽃 Carthamus tinctorius L.의 관상화를 그대로 또는 황색 색소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압착으로 하여 판상으로 한 것)는 50% 에탄올 또는 물로 추출하여 생쥐에 피하투여시 진통, 진정, 카라기난 부종억제작용이 있음이 보고되었고(기초와 임상 17,3175, 1983), 나가하타(Nagahata, T)등은 홍화의 물추출물을 쥐의 복부피하 또는 잇몸에 국소 적용시 각각 히스타민 또는 항혈청에 의한 혈관투과성 항진을 억제하고, 개의 프라그에 의한 치은염에 국소도포 했을 시 호중구(好中球)수의 감소를 확인하였다(JPN.J.Oral Biol. 27,299,1985)고 보고하고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JP10194943A)에서는 홍화(紅花:flower of Carthamus tinctorius L.)등을 물 또는 유기용매의 단독 또는 혼용하여 추출한 것을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프라그, 치석, 치은염 및 구취를 예방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고, 미국 특허 제 5,162,113 호에서는 홍화씨 분말 및 물추출물을 함유한 경구투여조성물로 부러진 뼈를 치료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면서 충치예방을 위한 치아 재석회화 및 치조골 재생을 위한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을 연구하던 중 옛부터 민간적으로 골다공증 및 골절상을 입은 환자들이 치료를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하던 홍화씨의 추출물이 손상치아의 재광화(재석회화) 효과 및 불소화합물들과 혼용 사용시 불소도포효과 상승을 통한 효과적인 충치예방 및 시린이 증상의 완화 효과를 제공하고,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면서 불소함량을 줄여 불소 안전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줄임과 동시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함으로서 치조골 재생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홍화(Carthamus tinctorius L.)의 씨를 물, 알코올수등의 용매로 추출하여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일정 비율로 적용하므로서 잇몸염증 완화의 효과외에 특히 치아 무기질의 이탈(demineralization)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콜라겐합성을 촉진하고 효과적으로 재석회화(remineralization)함으로써 손상된 치아의 회복을 가능하게하고, 불소화합물과 혼용사용시 불소도포 및 손상치아의 재석회화 효과를 증진시키는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홍화씨에 물, 알코올류,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포름, 아세톤등의 용매를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 사용하여 1 내지 10배 넣고 열탕, 온침, 냉침 및 퍼콜레이션(percolation)법으로 추출하거나 환류 추출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한 후, 그 여액을 농축하여 추출물을 얻고,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을 여러 제형의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에 적정 비율로 혼합하여 각 제형의 사용법에 따라 사용함으로써 유효한 재석회화 (remineralization)효과와 콜라겐 합성촉진효과로 손상된 치아의 회복 및 치조골 재생을 가능하게 하고, 불소화합물과 혼용 사용시 불소도포 및 손상치아의 재석회화에 있어서 상승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는 홍화씨 추출물을 단독 또는 공지의 약효 물질들과 일정량 혼합 사용할 수 있다. 홍화씨 추출물은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필요한 통상적인 성분과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연조엑스, 건조엑스 또는 건조된 것을 알코올에 일정량 다시 용해한 상태로 하여 0.001 내지 5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을 0.001중량% 이하로 할 때는 구강 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미약하게되고, 5중량% 이상 사용할 때는 구강 증진용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 및 사용감 등의 특징 부여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보다 더 바람직한 비율은 0.005 내지 2중량%이다.
본 발명의 다른성분인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로는 치약의 조성물을 포함하는데 통상적인 치약 성분들로는 연마제로서 탄산칼슘, 인산일 수소칼슘, 침강실리카, 함수알루미나, 실리카겔, 불용성 메타인산 나트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등이 있으며, 이들 연마제를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한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크실리톨,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비결정성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크실리톨등을 단독 혹은 2종이상 혼합하여 20 내지 50 중량%를 사용한다.
결합제로는 카라기난, 잔탄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나트륨,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아크릴산 폴리머,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알긴산 나트륨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카라기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아크릴산 폴리머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5 내지 1.5 중량%를 사용한다.
기포제로는 라우릴황산 나트륨, 라우릴사르코신산 나트륨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 고분자 물질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라우릴황산 나트륨 단독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축합 고분자 물질을 일정량 혼용 사용하여 0.5 내지 2.5 중량% 사용한다.
감미제는 삭카린 나트륨, 아스파탐, 감초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적당하기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0.5 중량% 사용한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 안식향산 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을 단독 또는 혼합 사용하며, 향료로는 페파민트오일, 스페아민트오일, 멘톨, 카르본 등을 적당량 혼합하며, pH 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호박산, 호박산 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이 사용되며, 적당한 pH범위로는 5 내지 8 이며,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며, 적당하기로는 0.1 내지 2 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트리넥사민산, 알란토인류, 불화아민, 불화주석, 클로르헥시딘, 트리크론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 카프론산류, 죽염, 황백, 생귀나리아, 길경, 형개, 치자 등의 추출물 등의 약효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중 구강청정제 조성물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알코올부와 정제수부로 나눌 수 있으며, 각종 성분들의 용해가 용이한 부에 녹여 두상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구강청정제 조성물이 프라그 형성 억제효과 치주질환 예방효과를 가지기 위해서는 살균제류, 효소류, 항프라스민제류 및 염화나트륨등의 사용은 필수적인데, 이때 살균제로는 항생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4급 암모늄 화합물등이 사용되며, 항생제의 경우는 과민반응과 세균의 내성이 생기는 문제로 인해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효소류는 프라그의 주성분인 덱스트라나제, 음식물 지꺼기 중 전분 및 기타 구강내 점착성 다당류물질을 분해하는 글루코아밀라제, 알파아밀라제, 베타아밀라제, 구강내 세균에 의해 혐기적으로 분해되어 유기산을 생성하여 치아표면을 용해시켜 충치의 원인이 되는 포도당을 산화시켜 과산화수소를 만드는 글루코스옥시다제 및 세균 세포벽에 직접 작용하여 세포벽을 파괴함으로서 살균효과를 갖는 리소자임등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1 내지 100,000단위/그람제품을 사용하고, 잇몸의 염증완화 및 살균등의 목적으로 염화나트륨을 3 내지 35 중량%를 사용한다. 가용화제로는 라우릴 황산 나트륨, 라우릴 사르코신산 나트륨 등의 음이온 계면 활성제와 소르비탄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칠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고분자 물질, 고급알킬아세테이트류 및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의 폴리옥시 에칠렌 유도체등이 있으며, 이중 바람직한 것으로는 라우릴황산 나트륨, 폴리 옥시 에칠렌 경화 피마자 유, 폴리옥시에칠렌 폴리옥시프로필렌계 축합고분자이다. 가용화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3.0 중량%이며,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3.0중량%이다.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비 결정성 소르비톨액,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칠렌글리콜, 크실리톨(XYLITOL)등이 있으며, 이중 바람직한 것으로는 글리세린, 비결정성 소르비톨액, 크실리톨이다. 이와같은 습윤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40.0 중량%이며, 바람직하기로는 3.0 내지 20중량%이다.
구강청정제 제품에 사용시 청량감을 주고 물에 녹지 않는 향료나 방부제등을 녹일 수 있도록 에탄올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에탄올의 함량이 높을수록 향료의 발산력은 좋으나, 너무 과량 사용하면 맛이 쓰고, 구강점막을 자극한다. 일반적으로 에탄올의 사용량은 1 내지 3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 중량%이다.
사용감을 좋게 하기위하여 향료 및 감미제를 사용하는데 향료로는 페파민트, 스피아민트, L-멘톨, 유칼립투스, 메칠살리실레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보통 0.1 내지 1.0 중량% 사용된다. 감미제로는 락토오스, 솔르비톨, 아스파탐, 삭카린 나트륨 등이 있으며, 삭카린나트륨은 보통 0.001 내지 0.1 중량%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방부제, 완충제, 색소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중 방부제는 주로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염,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크레졸 및 포르말린 등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기는 안식향산, 안식향산 나트륨염,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또는 프로필을 1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0.05 내지 0.15 중량%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 조성물은 트리넥사민산, 알란토인류, 불화아민, 클로르헥시딘, 트리크론산, 우르소데스옥시콜린산, 카프론산류, 죽염, 황백, 생귀나리아, 길경, 형개, 치자 등의 추출물 등의 약효제를 함유할 수 있다.
구강청정제 조성물의 산성도(pH)를 조정하기위하여 완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주로 제일인산 나트륨, 제2인산 나트륨, 제3인산 나트륨,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 호박산, 호박산 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등이 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기는 제1인산 나트륨, 제3인산 나트륨을 1종 또는 2종이상 배합 사용한다. 또한 구강청정제 조성물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사용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색소가 사용되는데 주로 식용색소가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홍화씨추출물 함유 조성물은 잇몸 마사지크림(연고제), 츄잉껌, 정제, 스프레이, 캔디, 패취등에도 통상의 다른 성분과 그 제조방법에 준하여 적정량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내지 6와 비교예 1 내지 3
본 발명을 치약 조성물에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들 치약조성물의 제조순서는 습윤성분인 글리세린 혹은 소르비톨액에 카르복시메칠 셀루로오스 나트륨, 카라기난, 사카린, 방부제등 분말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로 묽힌 다음 혼합기에서 혼합하고, 그 다음에 인산일수소 칼슘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포제인 알킬황산 나트륨, 안정제류, 향료성분을 넣고 진공상태하에서 혼합함으로써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 : %)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인산일수소칼슘 40.00 40.00 20.00 - 40.00 40.00 40.00 40.00 40.00 20.00
탄산칼슘 - - 20.00 - - - - - - 20.00
침강실리카 - - - 20.00 - - - - -
소르비톨 30.00 25.00 25.00 40.00 - - 30.00 30.00 25.00 -
글리세린 - - - - 25.00 25.00 - - - 25.00
알킬황산나트륨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삭카린나트륨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나트륨 - - - - - 1.00 - - - 1.00
카라기난 1.00 1.00 1.00 1.00 0.80 - 1.00 1.00 0.80 -
홍화씨90%알코올 추출물 0.001 0.005 0.10 2.00 5.00 0.10 - 0.0005 6.00 -
일불소인산나트륨 - - - - - 0.76 - - - 0.76
향 료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0.10
정제수를 가하여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실험1
표1의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을 사용하여 재석회화효과를 비교실험하였다.
실험방법(재석회화효과 평가 방법)
1. 시편제작
사람의 발거 치아로부터 직경 3mm의 원통형 법랑질 시편을 취한 후 자가중합반응레진을 이용하여 원기둥형 플렉시 그라스에 붙였다. 시편을 600 그릿(grit) 샌드페이퍼(sand paper)와 산화알루미나를 사용하여 광택이 나게 연마하였다. 각군당 12개의 시편을 제작하였다.
2. 탈회용액 제작
1) 1.0몰(mol) 젖산(lactic acid)을 90℃로 8시간 가열한 후에 사용하였다.
2) 1% 카르보폴 스톡 용액(carbopol stock solution)을 다음과 같이 준비하였다. 900ml의 증류수에 10g의 카르보폴 907을 넣고 용해시켰다. 카르보폴이 용해됨에 따라 pH가 2-3으로 되었다. NaOH를 사용하여 pH를 7.0으로 조절한 다음 최종 용액을 1,000ml이 되게하였다.
3) 과포화된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HAP/ 0.1 mol 젖산)용액을 다음 과정에 의해 준비하였다. 먼저 100ml의 1mol 젖산을 1,000ml 용량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를 1,000ml되게 채웠다. 이 용액을 2,000ml 비이커에 넣고 50% NaOH를 사용하여 pH가 5.0이 되게 조절하였다. 3g의 HAP를 넣고 pH를 5.0으로 유지하면서 30분간 용해시켰다. 여분의 HAP는 Watman 42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용액에 100ml의 1mol 젖산, 400ml 1% 카르보폴과 450ml의 증류수를 첨가하였다. 용액의 pH를 5.0으로 다시 조절하였다. 최종용액의 양이 2,000ml이 되게 증류수를 첨가하고 pH를 5.0이 되게 다시 조절하였다.
3. 인공 우식 법랑질 형성
인공 우식 병소는 pH5.0의 50% 포화 HAP, 0.1mol 젖산 그리고 0.2% 카르보폴 907을 함유한 용액에 96시간 처리하였다. 탈회된 시편은 표면경도계로 4부위에서 VHN을 측정하여 평균 VHN이 25-45 범위의 경도인 시편만을 실험에 이용하였다.
4. 처리시료
처리기간 동안 모든 시편은 매일의 치솔질과 유사하게 5g의 치약과 10mol의 타액으로 만든 반죽(Slurry)에 처리하였다.
5. 시편처리
시편의 처리는 4시간 동안 탈회용액에 의한 탈회과정과 일일 1분동안 4회 치약슬러리로 처리하였고 이 이외의 시간 동안은 재광화(재석회화)용액에 담가 두었다. 재광화용액은 인공타액을 이용하였다. 인공타액은 가스트릭 뮤신(gastric mucin)(0.22%), NaCl(0.038%) CaCl2.2H2O(0.0213%), KH2PO4(0.0738%) 그리고 KCl(0.1114%)로 구성되었다.
시편처리는 1분간 치약 처리, 59분간 타액처리를 2회 반복하고, 4시간 산처리(acid challenge), 다시 1시간 타액처리 후, 다시 1분 치약처리 59분 타액처리, 1분 치약처리 후 16시간 타액에 처리하는 방법으로 20일간 반복 처리한다.
6. 처리후 시편의 평가
치약 처리전 VHN측정부의 인접 부위에서 재차 VHN을 측정하여 전후의 VHN차이를 치약의 효과로 산정하였다. VHN(Vickers Hardness Number)은 '재석회화도'를 나타낸다.
7. 실험 결과 및 논의
실 험 군 실험군 처리전 VHN 실험군 처리후 VHN VHN 변화 값
실시예 1 37.22±3.70 54.71±5.40 17.49±3.70
실시예 2 37.17±3.23 58.67±5.27 21.50±3.23
실시예 3 36.11±3.40 61.11±5.40 24.00±3.40
실시예 4 37.31±3.45 64.36±5.65 27.05±3.45
실시예 5 37.53±3.10 66.66±5.02 29.12±3.10
실시예 6 37.08±3.43 69.02±5.43 31.94±3.43
실시예 1 37.16±3.15 49.65±6.15 12.49±3.15
실시예 2 37.26±3.15 50.70±6.75 13.44±3.15
실시예 3 37.02±3.35 66.32±5.05 29.30±3.35
실시예 4 37.34±3.10 59.34±3.10 22.00±3.10
실험결과 홍화씨 추출물을 0.001 내지 6.0%를 함유한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3 치약의 경우 비교예 1(홍화씨 추출물 미함유 치약 군)과 비교예 2의 홍화씨 추출물을 0.0005%이하 함유한 치약에 비하여 유의할 수준으로 재석회화가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비교예 1과 비교예 2 간에는 유의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리고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3 간에 있어서는 실시예 1과 실시예 2 내지 6, 비교예 3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실시예 2 내지 6과 비교예 3이 보다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시예 5와 비교예 3간에는 유의차이가 없었으며 비교예 3에 함유한 홍화씨 추출물 이상의 함량에 있어서는 사용감이 다소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실시예 3과 실시예 6간에는 유의한 효능차이가 확인되었다. 이는 홍화씨 추출물과 불화나트륨, 즉 불소화합물과 혼용 사용시 재석회화 효과의 상승효과가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시린이 증상의 완화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 2) 표 1의 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을 사용한 콜라겐 단백질 합성에 대한 효과를 비교실험하였다.
일차배양한 치은섬유아세포를 24-웰 플레이트에 106세포 웰되도록 분주한 다음 10% FBS가 함유된 DMEM배지에서 하루동안 배양한 다음날 기존의 배지를 신선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HBSS완충용액으로 바닥에 붙은 세포층을 세척한 다음 혈청과 프롤린(Proline)이 포함되지 않은 MEM 배지 0.8ml를 첨가한 다음 실시예1 내지 6과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을 증류수와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완전히 균질화시켜 5000g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처리한 다음14C-프롤린(10μ Ci)100㎕를 포함한 배양액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콜라겐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먼저 세포외 콜라겐 단백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각 웰의 배양액을 한쪽 끝을 봉인한 투석관에 넣고 다른쪽 끝을 봉인하여 냉각 완충액 (Tris-HCl 0.05mol/L, NaCl 0.2mol/L, CaCl20.05mol/L,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0.3mN)으로 24시간 투석을 완료한 다음 각각 100㎕를 취하여 1.5ml마이크로 튜브에 넣고, 세포내 콜라겐 단백질을 수집하기 위하여 세포배양액을 제거한 각 웰에 0.1N NaOH 및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0.3mN를 첨가한 다음 60℃에서 30분 동안 유지하여 세포막을 파괴시킨 후 세포균질액을 한쪽 끝을 봉인한 투석관에 넣고 다른쪽 끝을 봉인하여 냉각 완충액(Tris-HCl 0.05mol/L, NaCl 0.2mol/L, CaCl20.05mol/L,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 0.3mN)로 24시간 투석을 완료한 다음 각각 100㎕를 취하여 1.5ml Microtube에 넣고, 세포내.외 콜라겐 단백질의 합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위에서 투석을 완료하여 1.5ml 마이크로튜브에 수집된 세포배양액 및 세포균질액을 혼합한 후 콜라겐성 완충액(0.05M Tris-HCl , 1mM CaCl2,0.3 mM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콜라겐성 효소(100ppm)100㎕를 첨가한 후에 3시간 동안 37℃에서 유지시켜 콜라겐을 완전히 분해시킨 다음에 분해되지 않은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50%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및 1% 탄닌산을 함유하는 용액을 500㎕첨가한 다음에 4℃에서 30분동안 침전시킨 후에 1000xg에서 5분간 원심분리 시킨 다음에 상등액을 100㎕를 취하여 카운팅 바이얼에 담아 10ml의 신틸레이션 칵테일을 넣어 LSC로 1분간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실 험 군 결 과(cpm/106cell)
실시예 1 3250
실시예 2 3840
실시예 3 4820
실시예 4 5240
실시예 5 6200
실시예 6 5320
실시예 1 2550
실시예 2 2750
실시예 3 6540
실시예 4 2650
사람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에 대한 효능.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14C-프롤린을 포함한 세포배양액에 본 발명 치약조성물을 이상과 같이 처리한 결과,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 2, 3, 4, 5와 비교예 2,3에서는 콜라겐 합성촉진효과가 홍화씨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홍화씨 추출물과 불소를 혼용사용한 실시예 6은 홍화씨추출물을 단독사용한 실시예 3보다 콜라겐 합성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과 4에서는 콜라겐 합성 촉진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7
구강청정제 조성물(단위:중량%)
에탄올(90%) 10.00%
글리세린(98%) 10.00%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1.00%
불화나트륨 0.05%
홍화씨 추출물 0.05%
향료 1.00%
정제수 잔량
실시예 8
잇몸 마사지 크림(연고제)조성물(단위:중량%)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3.00%
올레일 알코올(Oleyl Alcohol) 5.00%
폴리에틸렌글리콜 15.00%
백색와세린 3.00%
N-팔미토일글루타민산 모노나트륨
(N-Palmitoyl Glutamic Acid Monosodium) 0.50%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5.00%
홍화씨 추출물 0.10%
우루소데스옥시콜린산 0.04%
향료 0.30%
정제수 잔량
실시예 9
츄잉껌 조성물(단위:중량%)
껌 베이스 25.00%
소르비톨 44.00%
마니톨 12.00%
백색와세린 3.00%
글리세린 13.00%
렉시딘 0.50%
불화나트륨 0.02%
홍화씨 추출물 0.05%
향료 1.50%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7 내지 9의 구강위생 조성물들은 실시예 1 내지 6의 치약조성물에서와 유사하게 충치 예방 및 손상된 치아의 회복에 및 콜라겐 합성에 효과적이며, 시린이 증상의 완화에도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강위생증진용 조성물의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산업적으로 대단히 유용한 발명임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므로서, 충치예방 및 재석회화와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에 의한 손상된 치아의 회복을 증진시키며 시민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불소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홍화씨 추출물이 물, 알코올수등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퍼콜레이션, 온침, 냉침, 초임계추출, 환류, 추출등의 방법으로 추출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불소화합물이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및 불화아민 297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홍화씨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에 대하여 0.001중량% 내지 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이 치약, 양치액과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청정제(양치액 스프레이),크림과 연고를 포함하는 잇몸마사지 크림, 츄잉껌을 포함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000-0007274A 2000-02-16 2000-02-16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0387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74A KR100387091B1 (ko) 2000-02-16 2000-02-16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74A KR100387091B1 (ko) 2000-02-16 2000-02-16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252A true KR20000030252A (ko) 2000-06-05
KR100387091B1 KR100387091B1 (ko) 2003-06-11

Family

ID=1964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74A KR100387091B1 (ko) 2000-02-16 2000-02-16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0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395A2 (en) * 2009-10-16 2011-04-21 Ahn-Gook Pharmaceutical Co., Ltd.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by herbal extra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0279B1 (ko) * 2002-07-18 2005-05-17 주식회사 서흥캅셀 구취제거 및 구강 청량 효과를 지닌 젤라틴 연질캅셀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34012A (ja) * 1982-02-04 1983-08-10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S59227812A (ja) * 1983-06-07 1984-12-21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CN1073410C (zh) * 1996-11-08 2001-10-24 山东医科大学 含药洁齿口嚼片
KR20000019869A (ko) * 1998-09-16 2000-04-15 정세영 홍화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조직 재생촉진제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46395A2 (en) * 2009-10-16 2011-04-21 Ahn-Gook Pharmaceutical Co., Ltd.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by herbal extract
WO2011046395A3 (en) * 2009-10-16 2011-10-13 Ahn-Gook Pharmaceutical Co., Ltd.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by herbal extract
US8491942B2 (en) 2009-10-16 2013-07-23 Ahn-Gook Pharmaceutical Co., Ltd. Preventing 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by herbal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091B1 (ko) 200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69118B1 (en) Flavor blend for masking unpleasant taste of zinc compounds
US20070098650A1 (en) Dental formulation
KR101354923B1 (ko)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EP3378466A1 (en) Composition for use in oral cavity
KR19980013946A (ko) 구강용 액체 조성물(Oral composition of liquid type)
DE102019119589B4 (de) Mundhygienemittel enthaltend Koffein und L-Lysin als Bitterblocker
JPH0253717A (ja) 歯磨または洗口料
JP3685470B2 (ja) 口腔衛生増進用組成物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387091B1 (ko)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00034929A (ko) 치태 제거에 효과적인 구강용 조성물
JP2005531556A (ja) 口腔衛生増進用組成物
KR20130060084A (ko) 치주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US9295627B2 (en) Mouthwash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or treating periodontal diseases
KR100495030B1 (ko) 캡슐화된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0170108B1 (ko) 유창목 수지 및 발색 조성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JP2000229823A (ja) 口腔用組成物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WO2006110183A2 (en) Dental formulation
KR20000060197A (ko) 구강 청정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3154285B2 (ja) コラゲナーゼ活性阻害剤
DE10065413A1 (de) Zahnpflegemitt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