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0197A - 구강 청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청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0197A
KR20000060197A KR1019990008328A KR19990008328A KR20000060197A KR 20000060197 A KR20000060197 A KR 20000060197A KR 1019990008328 A KR1019990008328 A KR 1019990008328A KR 19990008328 A KR19990008328 A KR 19990008328A KR 20000060197 A KR20000060197 A KR 20000060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oral
phosphate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8247B1 (ko
Inventor
신창국
Original Assignee
신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국 filed Critical 신창국
Priority to KR101999000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24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2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61K8/416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을 개시한다. 염화세틸피리디늄 0.1 ~ 20중량%, 벤토나이트 1 ~ 98중량%, 염화나트륨 1 ~ 20중량%, 및 인산일수소칼슘 0.1 ~ 5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분말상 구강 청정 조성물은 치약의 충치예방기능과 치석제거기능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세균억제 및 염증치료작용을 갖는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약리작용에 의하여 잇몸질환 완화 또는 치료, 구취제거, 구내염 완화 또는 치료의 효과를 추가적으로 발휘한다.

Description

구강 청정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cleaning oral cavity}
본 발명은 구강 보건을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내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로 대표되는 미생물은 당류 성분을 이용하여 불용성 글루칸을 생성하고, 이들이 각종 균체와 함께 치아 표면에 부착하여 치석을 형성하게 된다. 치아표면에 치석이 많이 부착되면 심미적인 관점에서 나쁠 뿐만 아니라 잇몸질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이들 치석에 부착된 미생물들은 당류를 분해하여 산을 생성시키고, 이 산이 치아 면의 에나멜층을 용해하여 충치가 발생된다.
한편, 치주질환이란 임상적으로 치은출혈과 종창, 치주낭의 형성 및 치조골의 파괴 등으로 치아의 상실을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주질환의 원인으로는 국소적 요인과 전신적 요인이 있다. 국소적 요인에 의한 치주질환의 발생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즉, 치태가 치주낭내에서 기계적으로 축적되어 주변에 존재하는 세균들의 서식처가 되므로써 점차 호기성, 통기성, 그람양성 세균에서 혐기성 그람 음성 세균으로 이행되어 치주낭의 심부로 증식하게 된다. 이때 증식된 혐기성 그람 음성 세균의 독소 및 모든 산물이 직접 조직을 파괴하거나 면역계를 자극하며 자극된 면역계로부터 여러가지 작용에 의하여 치주조직파괴와 더불어 염증을 유발하게 된다.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서는 백혈구의 작용과 면역반응이 전신적인 요인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근원적인 치주질환의 인자인 혐기성 그람음성 세균에 대한 항균작용 및 정균작용과 이들 세균의 독성산물인 염증을 제거하고 파괴, 소실된 치주조직을 원상회복시키는 것이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관건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충치예방, 치석제거, 치주질환의 예방 및 완화 또는 치료 등의 목적으로 소금, 치약 등을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소금, 치약은 충치예방, 치석제거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치주질환에는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충치예방, 치석제거 뿐만 아니라 치주질환의 완화 및 예방에도 효과가 있어 잇몸질환 완화 또는 치료, 구취제거, 구내염 완화 또는 치료에도 효과가 있는 구강 청정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세틸피리디늄 0.1 ~ 2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벤토나이트 1 ~ 98중량%, 염화나트륨 1 ~ 20중량%, 및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0.1 ~ 5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의 입도는 500 ~ 1500메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은 착향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향제의 함량은 상기 착향제를 제외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또한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0.1 ~ 2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벤토나이트 1 ~ 75중량%, 염화나트륨 1 ~ 20중량%,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0.1 ~ 50중량%,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합제 0.1 ~ 10중량%, 알킬 황산염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0.1 ~ 3중량%,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습윤제 20 ~ 5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벤트나이트, 및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등의 연마제의 입도는 500 ~ 1500메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은 착향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향제의 함량은 상기 착향제를 제외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는 시판중인 치약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치약의 충치예방기능과 치석제거기능을 상승시킬 뿐만 아니라 세균억제 및 염증치료작용을 갖는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약리작용에 의하여 잇몸질환 완화 또는 치료, 구취제거, 구내염 완화 또는 치료의 효과를 추가적으로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분말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은 염화세틸피리디늄 0.1 ~ 20중량%, 벤토나이트 1 ~ 98중량%, 염화나트륨 1 ~ 20중량%, 및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0.1 ~ 50중량%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사용시의 청량감을 위해서 페퍼민트향을 발산하는 멘톨과 같은 착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착향제의 함량은 착향제를 제외한 구강 청정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분말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의 성분중 염화세틸피리디늄은 세균억제작용과 염증치료작용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은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작용에 의하여 잇몸질환 완화, 구취제거, 구내염 완화의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염화세틸피리디늄의 함량은 0.1 ~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잇몸질환 완화, 구취제거, 구내염 완화의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20중량%를 초과하여도 더 이상의 이러한 효과의 증대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염화세틸피리디늄의 함량이 20중량%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토나이트(bentonite)는 흡착분해에 의한 치석제거작용, 미백작용, 및 수렴작용을 발휘하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은 1 ~ 98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염화나트륨은 치아연마에 의한 치석제거작용 및 항균작용을 발휘하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은 염화나트륨 1 ~ 2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또는 무수인산칼슘 등의 연마제는 치아연마에 의한 치석제거작용을 발휘하는 성분으로서 그 함량은 1 ~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청정 조성물에 있어서, 벤트나이트, 염화나트륨, 및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성분들의 입도는 500 ~ 1500메시(mesh)가 되도록 미세하게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각의 성분들의 입도가 500메시 미만이면 조성물 분말의 입자크기가 거칠어서 잇몸에 상처를 입힐 염려가 있고 1500메시를 초과하면 조성물 분말의 입자크기가 너무 미세하여 치아연마효과가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청정 조성물은 사용시의 청량감을 위해서 페퍼민트향을 발산하는 멘톨과 같은 착향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착향제의 함량은 상기 착향제를 제외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의 제조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강 청정 조성물을 이루는 각각의 성분인 염화세틸피리디늄, 벤토나이트, 염화나트륨,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및 착향제를 별도의 분쇄공정을 통하여 약 500 ~ 1500메시 정도의 입도를 갖는 미세한 분말로 분쇄 가공한다. 이때, 상기 분쇄공정은 볼 밀(ball mill)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본 발명의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을 이루는 성분을 위에 기재된 함량의 범위내에서 취하여 혼합한다. 이때 혼합은 함량이 가장 적은 성분인 착향제 성분과 염화세틸피리디늄 분말의 혼합부터 시작한다. 이렇게 하여 얻은 혼합물에 염화나트륨과 혼합한 후 계속하여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등의 연마제 분말을 더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마지막으로 벤토나이트 분말을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건조하고 포장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청정제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한다. 여기에서 각 성분들의 혼합순서는 가장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임의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 조성물의 성상은 엷은 갈색의 분말상이다. 본 발명의 분말상 조성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그 보다는 충치예방, 치석제거효과에 있어서 상승작용을 얻기 위하여 치약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방법으로서는 치약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1 ~ 3분간 칫솔질한 후 물로 헹궈내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분말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 있어서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구강 청정용 조성물은 (a) 염화세틸피리디늄 0.1 ~ 20중량%, (b) 벤토나이트 1 ~ 75중량%, (c) 염화나트륨 1 ~ 20중량%, (d)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0.1 ~ 50중량%, (e) 자신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으로 이루어진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의 착향제 (f)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합제 0.1 ~ 10중량%, (g) 알킬 황산염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0.1 ~ 3중량%, (h)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습윤제 20 ~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위 각각의 성분중에서 (a) ~ (e)의 성분의 역할은 분말상의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나머지 성분들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결합제의 예로서는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과 같은 다당류검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있는데, 이 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결합제는 크산탄검과 카라기난이며, 그 함량은 0.1 ~ 10중량%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치약에 사용될 수 있는 계면활성제는 알킬 황산염, 모노클리세라이드 황산염, α-올레핀 설폰산염, 모노 글리세라이드 설폰산염 등과 같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폴리옥시 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 에틸렌(경화)피마자유,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지방산 에스테르, 알킬롤 아미드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플루로닉 F-108, 미라놀 C2M 등과 같은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상 구강 청정용 조성물에서는 주로 소디움 라우릴 셀페이트와 같은 황산염계 음이온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며, 바람직한 함량은 0.1 ~ 3중량%이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에는 제품의 안정성과 단맛 및 약간의 점도를 주기 위하여 또는 공기중에 노출되었을 때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습윤제가 함유된다. 사용가능한 습윤제의 예로는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있으며, 그 함량은 20 ~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도 본 발명의 페이스트상 조성물은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 파라옥시 안식향산 프로필, 살리실산 등과 같은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불화나트륨, 불화인산나트륨, 알란토인, 아연염, 비타민류, 효소 등과 같은 약효제, pH조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실시예 1
염화세틸피리디늄 8g, 벤토나이트 950g, 염화나트륨 37g, 인산일수소칼슘 5g, 및 멘톨 2g을 각각 별도의 볼 밀에서 분쇄하여 약 600메시의 미세한 입자로 하였다. 이렇게 미세하게 분쇄된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 구강 청정용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아래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출혈 유무 및 그 정도,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의 정도, 구취제거효과, 치은색, 배농의 정도, 발적의 정도, 종창의 정도를 기준으로 치석제거효과 및 치주질환 치료효과를 관찰한 결과 본 조성물을 치약과 함께 사용한 실험군이 본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치약만을 사용한 대조군에 비하여 치석제거효과 및 치주질환 치료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세균억제 및 염증치료작용을 갖는 염화세틸피리디늄의 약리작용에 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
염화세틸피리디늄 16g, 벤토나이트 500g, 염화나트륨 84g, 인산일수소칼슘 400g, 및 멘톨 2g을 각각 별도의 볼 밀에서 분쇄하여 600메시의 미세한 입자로 하였다. 이렇게 미세하게 분쇄된 분말을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 구강 청정용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조성물을 사용하여 아래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치태지수, 치은지수, 치은출혈, 치주낭깊이, 치은열구액, 구취, 치은색, 배농, 발적, 종창의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치석제거효과 및 치주질환 치료효과를 한 결과 본 조성물을 치약과 함께 사용한 실험군이 본 조성물을 사용하지 않고 치약만을 사용한 대조군에 비하여 치석제거효과 및 치주질환 치료효과가 우수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한편,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한 구강 청정제 조성물의 각종 성능평가는 다음 방법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1) 실험대상자
치주낭 깊이가 4mm 이하인 중등도의 치은염을 가진 23 ~ 30세의 환자 90명을 대상으로 6개의 ramfjord 치아(#3, 9, 12, 19, 25, 28)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임상검사를 시행했다. 이때, 급성감염자, 치주낭 깊이 5mm 이상의 중등도의 치주염으로 이환된 자. 실험대상치아가 우식증으로 이환된 자, 교정치료 중인 자, 치근 1개월 이내에 항생제나 항균제를 사용한 기록이 있는 자 및 치주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자는 실험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실험기간 동안에는 해당 약물 이외의 모든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제한하였으며, 항생제, 소염진통제 및 스테로이드계 약물의 투약을 제한하였다.
(2) 실험방법
실험 2주전 실험대상자들에게 치석제거 및 치면세마를 실시하였다. 실험대상자 90명을 실험군 50명과 대조군 40명의 2그룹으로 나눈 후 실험전에 아래에서 설명할 임상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어서, 실험군 50명에게는 시판중인 치약에 실시예에서 제조한 구강 청정 조성물 약 1g을 더 첨가하여 식후 1회씩 하루 3회 양치질을 시켰으며, 대상군 40명에게는 시판중인 치약만을 사용하게 하여 식후 1회씩 하루 3회 양치질을 시켰다.
이때 실험군 및 대조군은 모두 동일한 칫솔(미국 butler사, # 311)과 동일한 치약(부광약품, 상품명 안티프라그 치약)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기간은 4주였다. 또한, 실험군과 대조군은 모두 바스법(Bass Method)에 의하여 칫솔질을 하도록 하였다. 4주간의 실험기간이 종류되면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설명할 임상검사를 실시하였다.
(3) 임상검사
① 치태지수(silness and Loe plaque index)
실험대상 치아에 발현액(disclosing liquid)을 사용하지 않고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육안으로 치태의 두께를 살핀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0 : 치태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
1 : 탐침소자로 치아표면을 긁어 보아 확인할 수 있는 정도로 치은변연에 치태가 엷게 부착된 상태
2 : 육안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치은변연을 따라 과량의 치태가 부착되어 있으나 치간사이에는 치태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
3 : 치은변연에 많은 양의 치태가 침착되어 있고 치간사이에도 치태로 채워져 있는 상태
② 치은지수(Loe and silness gingival index)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치아주위조직을 협면 변연부, 원심협면, 근심협면, 및 설면의 4개의 부위로 나누어 조직의 출혈유무를 관찰한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정상치은
1(경한 염증) : 경미한 색조변화, 가벼운 부종, 치주탐침에 의한 출혈성향이 없는 경우
2(중증도염증) : 발적, 부종, 치은의 색조변화, 치주탐침에 의한 출혈이 있는 경우
3(중증염증) : 상당한 발적과 부종, 궤양이 있으며 계속적인 출혈이 있는 경우
③ 치은출혈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탐침소자로 유두의 근심면과 원심면을 탐침하여 출혈유무 및 출혈량을 관찰한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없음
1 : 탐침후 20 ~ 30초 이내에 한 군데 이상에서 출혈이 나타나는 경우
2 : 선상으로 출혈이 있는 경우부터 출혈이 유두끝에서부터 확산되는 경우
3 : 치간유두 전체에 출혈이 확산되는 경우
④ 치주낭깊이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치주탐침으로 치주낭내에 일정한 압력(25 ~ 30g중)으로 치주낭의 기저부까지 집어 넣고 치은변연에서부터 그 깊이를 측정한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2mm미만 1 : 2mm 이상 ~ 3mm 미만
2 : 3mm이상 ~ 5mm미만 3 : 5mm 이상
⑤ 치은열구액
실험대상 6개의 치아 중에서 가장 치주낭 깊이가 깊은 곳에 페리오페이퍼 스트립(periopaper strip)을 30초간 삽입한 후 페리오트론(periotro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0 : ( )mm미만 1 : ( )mm 이상 ~ ( )mm 미만
2 : ( )mm이상 ~ 5mm미만 3 : ( )mm 이상(괄호안에 평가기준을 기입하여 주십시요)
⑥ 구취
직접 관측자가 후각으로 측정하여 평균적으로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0 ; 구취 느껴지지 않음
1 : 구취 약간 느껴짐(실험대상자의 구강에 코를 근접시켰을 때 느껴지는 정도)
2 : 실험대상자가 입을 다물고 있어도 구취가 느껴지는 경우(관측자가 마스크를 벗은 상태에서 구취를 느낄 수 있음)
3 : 실험대상자가 입을 두꺼운 수건으로 가려도 구취가 느껴지는 경우(관측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구취를 느낄 수 있음)
⑦ 치은색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치은색을 평가한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자연색 1 : 약간 짙은 선홍색
2 : 암홍색 3 : 암홍자색
⑧ 배농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손으로 가볍게 눌러서 배농의 정도를 살핀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없음 1 : 약간 확인
2 : 확인 3 : 자연상태에서도 배농
⑨ 발적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발적의 정도를 살핀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없음
1 : 치간유두의 일부에서 약간 확인
2 : 치간유두 전체 및 치은전체에서 확인
3 : 치간유두 및 부착치은에서까지 확인
⑩ 종창
실험대상 6개의 치아에 대하여 종창의 정도를 살핀 후 평균적으로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0 ; 없음
1 : 치간유두의 일부에서 약간 확인
2 : 치간유두 전체 및 치은전체에서 확인
3 : 치간유두 및 부착치은에서 까지 확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 또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은 치석제거효과 및 치주질환 치료효과가 우수하다.

Claims (8)

  1. 염화세틸피리디늄 0.1 ~ 2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분말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벤토나이트 1 ~ 98중량%, 염화나트륨 1 ~ 20중량%, 및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0.1 ~ 5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정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각 성분의 입도는 500 ~ 1500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정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은 착향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향제의 함량은 상기 착향제를 제외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청정 조성물.
  5. 염화세틸피리디늄 0.1 ~ 2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벤토나이트 1 ~ 75중량%, 염화나트륨 1 ~ 20중량%,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 0.1 ~ 50중량%, 크산탄검, 카라기난, 및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결합제 0.1 ~ 10중량%, 알킬 황산염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0.1 ~ 3중량%, 글리세린, 솔비톨,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프로필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습윤제 20 ~ 5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나이트, 및 상기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침강탄산칼슘, 인산삼칼슘,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실리카겔, 및 무수인산칼슘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연마제의 입도는 500 ~ 1500메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은 착향제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착향제의 함량은 상기 착향제를 제외한 상기 구강 청정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0.1 ~ 10중량%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상의 구강 청정 조성물.
KR1019990008328A 1999-03-12 1999-03-12 구강 청정용 조성물 KR100308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328A KR100308247B1 (ko) 1999-03-12 1999-03-12 구강 청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8328A KR100308247B1 (ko) 1999-03-12 1999-03-12 구강 청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197A true KR20000060197A (ko) 2000-10-16
KR100308247B1 KR100308247B1 (ko) 2001-09-26

Family

ID=1957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8328A KR100308247B1 (ko) 1999-03-12 1999-03-12 구강 청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2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396B1 (ko) * 2003-03-17 2010-04-07 동아제약주식회사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170003001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프라그 기질 용해제
KR20190055561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비온뒤컴퍼니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2142988B1 (ko) * 2019-10-21 2020-08-11 주식회사 라이프온 천연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효과를 갖는 구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4262A (en) * 1988-10-14 1991-02-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JPH0627062B2 (ja) * 1990-05-29 1994-04-1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H0684294B2 (ja) * 1990-05-29 1994-10-26 サンスター株式会社 口腔用組成物
JPH06239723A (ja) * 1993-02-15 1994-08-30 Johnson & Johnson Kk 口腔用組成物
JPH0725735A (ja) * 1993-07-08 1995-01-27 Kowa Co 含嗽剤
KR950005296A (ko) * 1993-08-26 1995-03-20 최근선 죽염을 함유하는 구강용 액체조성물
US5560906A (en) * 1995-03-27 1996-10-01 Oral Technology Laboratories, Inc. Non-alcoholic antimicrobial mouthwash for removal of dental plaqu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1396B1 (ko) * 2003-03-17 2010-04-07 동아제약주식회사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KR20170003001A (ko) * 2015-06-30 2017-01-09 (주)아모레퍼시픽 프라그 기질 용해제
KR20190055561A (ko) * 2017-11-15 2019-05-23 주식회사 비온뒤컴퍼니 잇몸질환 예방 및 개선용 치약 조성물
KR102142988B1 (ko) * 2019-10-21 2020-08-11 주식회사 라이프온 천연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주질환 치료효과를 갖는 구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08247B1 (ko) 2001-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6370B1 (en) Dental anti-hypersensitivity composition and method
US8303938B2 (en) Anti-calculus dental composition
CN110996891B (zh) 包含氯己定的凝胶
US20080031831A1 (en) Oral anti-calculus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Z156795A3 (en) Mouth preparation containing agents against formation of microbial plaque, tartar, gingivitis and foetor ex ore
CA2711262C (en) Dental composition comprising a basic amino acid for alleviating tooth sensitivity
US10702465B2 (en) Oral care formulation and method for the removal of tartar and plaque from teeth
JP2007169181A (ja) 歯牙貼付用製品及び口腔ケア方法
JP2000281548A (ja) 歯の美白用セット
TWI445551B (zh) Dentifrice composition
KR100308247B1 (ko) 구강 청정용 조성물
EP4000594A1 (en) Oral compositions for post-dental implants
KR100815397B1 (ko) 치아 개선 조성물
KR0119269B1 (ko) 구강 위생 개선용 조성물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Pader Dental products
JP2002193775A (ja) 歯の美白用セット
CN102512336A (zh) 一种脱敏牙膏及一种脱敏的早晚组合牙膏
JPH11240816A (ja) 歯牙被覆用組成物
WO2006110183A2 (en) Dental formulation
Gaffar Oral-care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