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00B1 - 구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7800B1 KR101287800B1 KR1020120103299A KR20120103299A KR101287800B1 KR 101287800 B1 KR101287800 B1 KR 101287800B1 KR 1020120103299 A KR1020120103299 A KR 1020120103299A KR 20120103299 A KR20120103299 A KR 20120103299A KR 101287800 B1 KR101287800 B1 KR 1012878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ral
- extract
- acid
- weight
- tran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4—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carboxyl groups, e.g. succinic, maleic or phthalic ac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47—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sorbito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포도산 0.1 ~ 1.0중량%; 및 색소 0.01 ~ 1.0중량%를 포함하고, 구강에 적용 시, 착색된 응고물이 형성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베타-하이드록시산(β-hydroxy acid, BHA)을 0.1 ~ 1.0중량%를 더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왕머루 왕머루(Vitis amurensis) 추출물 0.01 ~ 10.0중량%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취 억제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하면서, 특히 충치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성(항충치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취 억제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하면서, 또한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구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취는 구강 내의 단백질이나 음식물 잔사 등이 구강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생성된 아미노산이 탈회산 효소나 아미노 효소 등에 의해 분해되어 악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생성함으로써 발생되고 있다. 구취를 유발하는 주성분은 휘발성 황화물로서, 이러한 휘발성 화합물에는 황화수소, 메틸머캅탄, 디메틸머캅탄 등이 있으며, 이들 휘발성 황화물 이외에 트리에틸아민 등의 휘발성 아민화합물, 알데히드, 지방산, 암모니아 등이 있다.
또한, 최근 식생활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당류의 소비가 증가되어 구강 내 미생물이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미생물로 인해 충치의 발생이 많아지고 있다. 충치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은 치주 질환을 발생시키는 주요 균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은 플라그(plaque)를 발생시키는 주요 균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약, 구강 세정제(마우스 워시), 구강 청량제(스프레이 제품) 등의 구강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구취억제, 구취중화, 및 미생물의 살균 등을 위한 다양한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민트나 멘톨 등과 같은 특정한 향미 성분의 함량을 높이거나 피트산염 등을 사용하여 구취를 중화시키고 있다. 또한, 목단피 추출물, 유백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감초추출물 등의 생약 추출물이나 티몰, 유칼립투스 정유 등의 식물성 정유를 포함시켜 구취를 억제하거나, 트리클로산, 세틸피리듐클로라이드 등을 포함시켜 구강 미생물을 살균하는 조성물의 개발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138244호[선행 특허문헌 1]에는 생강 등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3-0000104호[선행 특허문헌 2]에는 생강 등의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74717호[선행 특허문헌 3]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7237호[선행 특허문헌 4]에는 감초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항충치)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한편, 하이드록시산(hydroxy acid)은 하이드록시(-OH)기와 카르복시산(-COOH)기를 모두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이는 피부 각질층을 제거하여 피부를 매끈하고 부드럽게 만들어줄 뿐 아니라 세포의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노화를 방지해 주는 성분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하이드록시산은 구조적으로 알파-하이드록시산(α-hydroxy acid, AHA), 베타-하이드록시산(β-hydroxy acid, BHA), 복합 하이드록시산(combination hydroxy acid, CHA), 폴리 하이드록시산(polyhydroxy acid, PHA)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알파-하이드록시산(AHA)은 알파 위치에 카르복시기가 존재하는 직쇄상의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적인 특징에 의해 알파-하이드록시산(AHA)은 물에 잘 녹는 수용성의 특성을 갖는다. 또한, 알파-하이드록시산(AHA)은 피부 각질층의 이온결합을 방해하여 각질층 제거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이는 주로 피부외용제나 화장료 등에 적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1049호[선행 특허문헌 5]에는 위와 같은 알파-하이드록시산(AHA)의 한 종류인 구연산을 포함하여, 구취 제거에 효과적이고, 가글 전에는 액상이나 가글 후에는 알갱이 형태의 응고물이 형성되어,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한 구강용 액상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 특허문헌 5에 제시된 구강 조성물은 가글 후 응고물의 형성되어 구취 제거의 가시적인 확인이 가능하나, 이는 구취 억제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상기 선행 특허문헌들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항충치 성능)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구취 억제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한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 특히 충치균으로 대표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구강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도산(tartaric acid) 0.1 ~ 1.0중량%; 및
색소 0.01 ~ 1.0중량%를 포함하고,
구강에 적용 시, 착색된 응고물이 형성되는 구강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베타-하이드록시산(β-hydroxy acid, BHA)을 0.1 ~ 1.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왕머루(Vitis amurensis) 추출물 0.01 ~ 10.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취 및 구강 세균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따르면,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 특히 충치균으로 대표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포도산(tartaric acid) 및 색소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100중량%)으로 상기 포도산은 0.1 ~ 1.0중량%로, 상기 색소는 0.01 ~ 1.0중량%로 포함한다.
상기 포도산은 알파-하이드록시산(α-hydroxy acid, AHA)의 한 종류로서, 이는 화학식(일반식) C4H4O6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포도산은 구취 제거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등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포도산은, 구체적으로 구강 내에서 구취를 유발하는 단백질이나 아미노산 등의 음식물 찌꺼기를 응고시켜 분리,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구취 및 구강 세균 증식의 생성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도산은 구연산보다 구취 제거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에 효과적이다. 또한, 포도산은 구연산보다 맛이 상쾌하다.
상기 포도산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 1.0중량%로 포함되는데, 이때 포도산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응고물 생성량이 적다. 즉, 구취 유발 물질이나 구취 유발 가능물질의 응고 분리가 적어 구취 제거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의 효과가 미미하다. 그리고 포도산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신맛과 떫은맛이 강해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응고물을 착색시켜 시각적(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인체에 무해하고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색소는 제한되지 않으며, 당분야 또는 음식물 등에 적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색소는 예를 들어 천연 식용 색소나 천연 식물(일례로, 녹차 분말 또는 녹차 추출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색소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카라멜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1.0중량%로 포함되는데, 이때 색소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 응고물의 시각적 확인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색상이 너무 진해질 수 있고 색소가 가지는 자체적인 맛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위와 같은 포도산과 색소를 포함하여, 구강에 적용 시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을 응고물 형태로 분리, 제거하여 구취 및 구강 세균 증식을 억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글 후 뱉어내었을 때, 포도산에 의해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이 응고물 형태로 분리, 제거되며, 상기 응고물은 색소에 의해 착색되어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구취 제거 및 구강 세균 증식 억제 등을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베타-하이드록시산(β-hydroxy acid, BHA)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은 응고물 형성을 촉진한다. 즉,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은 구취를 유발하는 물질, 즉 단백질이나 아미노산 등의 구취 유발 물질과 반응성이 좋아 응고물 형성을 촉진한다. 이때,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은, 바람직하게는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좋다. 상기 살리실릭산(Salicylic acid)은 구취 유발 물질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1 ~ 1.0중량%로 포함된다. 이때,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 응고물 형성의 촉진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베타-하이드록시산(BHA)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신맛이 너무 강해져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왕머루(Vitis amurensis)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왕머루(Vitis amurensis)의 잎과 줄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왕머루(Vitis amurensis) 추출물은 충치균에 대한 항균성, 특히 충치균으로 대표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에 대한 항균성(항충치성)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왕머루(Vitis amurensis)는 활엽의 포도과의 덩굴성 목본으로서, 이는 칼슘, 인, 철분, 회분 및 안토시아닌 등의 성분을 포도의 약 10배로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왕머루는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항암 활성 등의 약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왕머루는 보혈 강장 및 자양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위와 같은 왕머루 추출물을 항균성(항충치성)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왕머루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이나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왕머루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면 본 발명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왕머루 추출물은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왕머루 추출물은 추출 용매에 의한 액상의 추출물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추출한 후 정제 과정,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 등의 분리막을 막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의 정제 과정을 추가적으로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왕머루 추출물은 상기와 같이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 감압 증류와 건조(동결 또는 분무 건조 등) 등의 추가적인 과정을 통해 얻은 분말; 및 상기 분말을 용매에 희석한 희석액 등으로 제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상기 왕머루 추출물은 용매 추출(예, 에탄올 용매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액 또는 이의 농축액을 분획법으로 추출, 분리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액이나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 등을 이용하여 1종 또는 2종 이상의 단일 화합물로 분획하여 추출, 분리한 것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왕머루 추출물에는 충치균으로 대표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에 대한 항균성(항충치성)이 우수한 화합물들을 함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왕머루 추출물은 여러 종의 단일 화합물을 함유하되, 여러 종의 단일 화합물 중에서 7종의 단일 화합물로서 피세아타놀(Piceatannol),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 트랜스-ε-비니페린(trans-ε-Viniferin), (+)-암펠로프신 A(Ampelopsin A), (+)-암펠로프신 F(Ampelopsin F), 아무레신 G(Amuresin G), 및 2-γ-비니페린(2-γ-Viniferin)을 함유하여 항균성(항충치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왕머루 추출물은 상기 7종의 단일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면 좋다. 하기 화학식 1 내지 5에는 상기 단일 화합물 중 몇 가지의 구조식을 나타내었다. 보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왕머루 추출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3으로 표시되는 3종의 단일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피세아타놀(Piceatannol),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트랜스-ε-비니페린(trans-ε-Viniferin)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3종의 단일 화합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에 대한 항균성(항충치성)이 매우 우수하다.
[화학식 1]
Piceatannol
[화학식 2]
trans-Resveratrol
[화학식 3]
trans-ε-Viniferin
[화학식 4]
(+)-Ampelopsin A
[화학식 5]
(+)-Ampelopsin F
또한, 상기 왕머루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10.0중량%로 포함된다. 이때, 왕머루 추출물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함유에 따른 항균성(항충치성) 효과가 미미하다. 그리고 왕머루 추출물의 함량이 10.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함유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고 떫은맛이 강해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pH 2.5 내지 4.5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pH 범위에서 응고물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pH는 포도산이나 베타-하이드록시산의 함량에 의해 조절되거나, 별도의 pH 조절제가 첨가되어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구강 조성물은 구강에 적용 가능한 것이면 다양한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현탁액, 에어로졸, 페이스트상 및 고상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구체적인 예를 들어 치약, 구강 세정제(마우스 워시), 구강 청량제(스프레이 제품) 및 츄잉검 등의 제품으로 공급될 수 있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이러한 제형을 구성하는 베이스 성분에 포도산 및 색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조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타-하이드록시산(살리실릭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왕머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조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구강 조성물은 위와 같은 유효성분들을 상기한 바와 같은 적정 함량으로 포함하되, 조성물 전체 중량(100중량%) 중에 잔량은 각 제형을 구성하는 베이스 성분이거나, 첨가제 및 물(정제수) 등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상기한 유효성분들 외에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감미제, 향료, pH 조절제, 기포제(계면활성제), 방부제, 결합제 및 기능성 약효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미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린, 자이리톨, 삭카린나트륨, 락토오스, 솔비톨, 이스파탐 등 미각에 영향을 주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미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20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료는 가용화제나 에탄올 등의 용매에 용해되어 본 발명의 구강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페파민트 오일계, 멘톨, 스피아민트 오일계, 카르본, 아니스오일계, 아니톨, 유칼립투스 오일계, 유칼립톨(1,8-시네올), 클로브 오일계, 유제놀, 윈터그린 오일계, 메틸실리케이트, 신나몬 오일계, 신나믹알데히드 및 기타 향료 성분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향료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예를 들어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인산삼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및 주석산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pH 조절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01 ~ 2.0중량% 범위에서 포함되어 pH 2.5 ~ 4.5를 갖게 하는 것이면 좋다.
상기 기포제는 라우릴황산나트륨, N-라우로일살코실산나트륨, N-장쇄아실글루탐산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과 폴리옥시프로필렌의 코폴리머 등의 음이온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포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기준으로 0.1 ~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파라옥시안식향산 에스테르, 안식향산 및 안식향산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부제는 치약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 폴리비닐피롤리돈, 알긴산나트륨 및 검류(구아검, 젤란검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1 ~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약효제는 구강 세균의 살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가능성 약효제는 예를 들어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나트륨, 트리클로산, 클로로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탄산수소나트륨, 아미노카프론산, 트라넥사민산, 알란토인, 알란토인의 유도체, 염화나트륨, 토코페롤아세테이트 및 염산피리독신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 약효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2 ~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약리 효과, 항균 효과 및 구취 제거에 유리한 활성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활성 성분은, 예를 들어 목단피 추출물, 유백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감초추출물 등의 생약 추출물이나 티몰, 유칼립투스 정유 등의 식물성 정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활성 성분은 당업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카테킨(catechin), 트리클로산 및 세틸피리듐클로라이드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활성 성분은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01 ~ 20.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조성물은 일례로 치약 조성물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때 치약 조성물인 경우 베이스 성분으로서 불용성의 연마제와, 페이스트상의 제형을 갖게 하는 수용성의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마제는 침강실리카, 인산일수소칼슘, 탄산칼슘, 함수 알루미나, 실리카겔, 불용성 메타인산 나트륨 및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마제는 조성물(치약 페이스트)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습윤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및 다가 알코올(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등) 등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윤제는 조성물(치약 페이스트)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 ~ 60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약 조성물은 용제로서 물(정제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물(정제수)의 함량은 상기한 성분들과 합하여 100중량%를 만족시킬 수 있는 잔량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도산과 색소를 포함(바람직하게는, 베타-알파히드록시산을 더 포함)하여, 구강에 적용 후(예를 들어, 가글 후), 뱉었을 때 구취 유발 물질이 응고물 형태로 분리, 제거되며, 상기 응고물은 착색되어 가시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즉, 구강 내의 구취 유발 물질이 응고물 형태로 분리, 제거됨에 따라 구취 및 구강 세균 증식이 억제된다. 또한, 사용자에게 구취 유발 물질이 제거됨을 착색된 응고물을 통해 가시적으로도 확인하게 하여 상쾌함을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왕머루 추출물을 포함하여 충치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보와 같은 7종의 단일 화합물을 함유하는 왕머루 추출물을 포함하여, 특히 충치균으로 대표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treptococcus sanguis)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성(항충치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왕머루 추출물의 제조 >
먼저, 잘 건조된 왕머루(Vitis amurensis)의 잎과 줄기를 분쇄한 분말을 얻은 다음, 상기 분말 5.2kg을 70wt%의 에탄올 수용액 20L에 가하여 3시간 동안 용매 추출하였다. 그리고 여과 및 감압 농축한 농축액을 얻은 다음, 상기 농축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은 9종의 단일 화합물을 추출, 분리하였다.
항균 실험(1)
상기 왕머루(잎과 줄기)로부터 추출, 분리된 9종의 단일 화합물에 대하여, 디스크 확산법(Disk diffusion method)으로 치주균에 대한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주균으로는 대표적인 2종의 충치균으로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 sanguis)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단일 화합물 | S. mutans(㎍/disk) | S. sanguis(㎍/disk) | ||||||||
50 | 100 | 200 | 400 | 600 | 50 | 100 | 200 | 400 | 600 | |
피세아타놀 (Piceatannol) |
14 | 16 | 20 | 24 | 29 | 12 | 14 | 18 | 22 | 26 |
(+)-암펠로프신 A (Ampelopsin A) |
- | - | 9 | 11 | 15 | - | - | 10 | 11 | 15 |
(+)-암펠로프신 F (Ampelopsin F) |
- | 9 | 11 | 12 | 16 | - | - | 9 | 11 | 14 |
트랜스-레스베라트롤 (trans-Resveratrol) |
9 | 11 | 17 | 19 | 21 | - | 9 | 11 | 13 | 16 |
아무레신 G (Amuresin G) |
- | 9 | 10 | 11 | 12 | 10 | 11 | 11 | 12 | 13 |
트랜스-ε-비니페린 (trans-ε-Viniferin) |
13 | 15 | 18 | 20 | 23 | 14 | 15 | 16 | 17 | 18 |
피세아타놀-3-O-D-Glc (Piceatannol-3-O-D-Glc) |
- | - | - | - | - | - | - | - | - | - |
2-γ-비니페린 (2-γ-Viniferin) |
- | 10 | 11 | 12 | 14 | - | 9 | 10 | 11 | 12 |
트랜스-레스베라트롤-3-O-D-Glc (trans-Resveratrol-3-O-D-Glc) |
- | - | - | - | - | - | - | - | - | - |
< 왕머루에서 추출, 분리한 단일 화합물의 항균 실험 결과(1), 단위 : mm >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왕머루에서 추출, 분리된 9종의 단일 화합물 중에서 피세아타놀-3-O-D-Glc(Piceatannol-3-O-D-Glc)과 트랜스-레스베라트롤-3-O-D-Glc(trans-Resveratrol-3-O-D-Glc)를 제외한 7종의 단일 화합물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 sanguis)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항균 효과를 가지는 7종의 단일 화합물 중에서도 3종의 단일 화합물, 즉 피세아타놀(Piceatannol),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 및 트랜스-ε-비니페린(trans-ε-Viniferin)은 2종의 충치균 모두에 대해 매우 강한 항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항균 실험(2)
상기 항균 효과를 가지는 7종의 단일 화합물에 대하여, 치주균에 대한 MIC, MBC 및 TBAI 실험을 통상적인 액체백지 희석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때, 치주균으로는 상기와 같이 대표적인 2종의 충치균으로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 sanguis)균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대조군으로서, 통상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에리트로미신(Erythromycin)에 대해서도 실험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1)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 최소 생육 저지 농도로서, 충치균이 생육할 수 없는 최소 농도.
(2) MBC(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 - 최소 살균 농도로서, 충치균의 증식이 완전히 억제되고 사멸시키는데 요구되는 최소 농도.
(3) TBAI(Total Bacterial Adherence Inhibition) - 세균 부착력 저해능으로서, 위 최소 생육 저지 농도(MIC)의 값보다 적은 농도에서 저해값이 결정되면 항균 활성이 좋음.
단일 화합물 | S. mutans | S. sanguis | ||||
MIC (㎍/mL) |
MBC (㎍/mL) |
TBAI (㎍/mL) |
MIC (㎍/mL) |
MBC (㎍/mL) |
TBAI (㎍/mL) |
|
피세아타놀 (Piceatannol) |
50 | 100 | 50 | 50 | 100 | 50 |
트랜스-ε-비니페린 (trans-ε-Viniferin) |
25 | 50 | 25 | 12.5 | 50 | 50 |
2-γ-비니페린 (2-γ-Viniferin) |
50 | 50 | 25 | 200 | 400 | 100 |
트랜스-레스베라트롤 (trans-Resveratrol) |
50 | 50 | 25 | 25 | 100 | 100 |
(+)-암펠로프신 A (Ampelopsin A) |
200 | 200 | 100 | >400 | >400 | >200 |
(+)-암펠로프신 F (Ampelopsin F) |
100 | 200 | 100 | >400 | >400 | >200 |
아무레신 G (Amuresin G) |
50 | 50 | 25 | 12.5 | 100 | 50 |
에리트로미신 (Erythromycin) |
<1.5 | <1.5 | 6.25 | 12.5 | 50 | 50 |
< 왕머루에서 추출, 분리한 단일 화합물의 항균 실험 결과(2) >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왕머루에서 추출, 분리된 7종의 단일 화합물은 MIC, MBC 및 TBAI 측정을 통한 실험 결과에서도 항균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7종의 단일 화합물 중에서도 3종의 단일 화합물, 즉 피세아타놀(Piceatannol),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 및 트랜스-ε-비니페린(trans-ε-Viniferin)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균과 스트렙토코커스 상기스(S. sanguis)균 모두에 대하여 MIC 값이 50㎍/mL 이하로서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상기 3종의 단일 화합물은 세균 부착력 저해능(TBAI)의 경우, 충치균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에리트로미신(Erythromycin)보다 항균 활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의 경우에는 MIC 농도에서 충치균을 완전히 사멸시킴을 MBC 측정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은 세균 부착력 저해능(TBAI)에 있어서도 MIC 절반 수준의 농도에서 활성값이 결정되어 충치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구강 조성물의 제조 >
하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각 실시예에 따른 액상의 구강 조성물(가글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실시예 5 내지 7의 경우에는 상기에서 얻어진 왕머루 추출물을 첨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5의 경우에는 왕머루 추출물로서, 에탄올 용매 추출 후, 여과 및 감압 농축하여 얻은 농축액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6 및 7의 경우에는 왕머루 추출물로서, 상기 농축액으로부터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얻은 3종의 단일 화합물, 즉 피세아타놀(Piceatannol), 트랜스-레스베라트롤(trans-Resveratrol) 및 트랜스-ε-비니페린(trans-ε-Viniferin)을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류를 혼합 첨가하였다.
[비교예]
상기 실시예와 비교하여, 포도산을 첨가하지 않은 것(비교예 1)과, 포도산을 과량으로 첨가한 것(비교예 2)을 비교예에 따른 시편으로 사용하였다. 각 비교예에 따른 구강 조성물(가글액)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3]과 같다.
비 고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
포도산(AHA) | 0.5 | 0.2 | 0.5 | 0.2 | 0.2 | - | 1.5 | |
살리실릭산(BHA) | 0.3 | - | 0.3 | 0.3 | - | - | ||
색소 | 카라멜 색소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왕머루 추출물 |
농축액 | - | - | 0.2 | - | - | - | - |
피세아타놀 | - | - | - | 0.01 | - | - | - | |
트랜스-레스베라트롤 | - | - | - | - | 0.02 | - | - | |
트랜스-ε-비니페린 | - | - | - | 0.01 | - | - | - | |
감미제 | 삭카린나트륨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향료 | 멘톨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카테킨 | 1.0 | 1.0 | 1.0 | 1.0 | 1.0 | 1.0 | 1.0 | |
정제수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잔량 | |
합 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구강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단위 : 중량% >
< 선호도 평가 >
20대 남녀 30명(피시험자)을 대상으로 하여,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구강 조성물(가글액)을 가글하게 한 후, 느껴지는 맛, 응고물 생성량 및 구취 제거 정도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하게 하였다. 이때, 선호도는 아래의 [표 4]에 보인 바와 같은 5점 척도로 평가하게 하고, 그 평균값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1점 | 2점 | 3점 | 4점 | 5점 |
아주 좋지 않다 | 좋지 않다 | 보통이다 | 좋다 | 매우 좋다 |
< 선호도 척도 >
비 고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1 | 2 | |
맛 | 3.64 | 3.56 | 3.43 | 3.44 | 3.42 | 3.84 | 2.21 |
응고물 생성량 | 2.62 | 2.96 | 3.08 | 3.11 | 3.26 | 0.14 | 2.80 |
구취 제거 | 2.71 | 2.88 | 2.91 | 3.06 | 3.08 | 1.46 | 2.74 |
< 선호도 평가 결과 >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구강 조성물의 경우, 3개의 관능 시험에서 선호도가 모두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왕머루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 구취 제거 선호도에서 매우 양호한 결과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포도산을 과량으로 사용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응고물 생성량과 구취 제거는 양호하나 맛 선호도가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포도산의 떫은맛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Claims (5)
- 삭제
- 구강 내에서 구취 유발 물질을 응고시켜 응고물을 형성시키는 포도산 0.1 ~ 1.0중량%;
상기 응고물의 형성을 촉진하는 베타-하이드록시산 0.1 ~ 1.0중량%; 및
상기 응고물을 착색하는 색소 0.01 ~ 1.0중량%를 포함하고,
pH가 2.5 내지 4.5이며,
구강에 적용 시, 착색된 응고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타-하이드록시산은 살리실릭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왕머루 추출물 0.01 ~ 10.0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299A KR101287800B1 (ko) | 2012-09-18 | 2012-09-18 | 구강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3299A KR101287800B1 (ko) | 2012-09-18 | 2012-09-18 | 구강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87800B1 true KR101287800B1 (ko) | 2013-07-17 |
Family
ID=4899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3299A KR101287800B1 (ko) | 2012-09-18 | 2012-09-18 | 구강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780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000017527A1 (it) * | 2020-07-20 | 2022-01-20 | Logidex S R L | Composizione per uso nella prevenzione della carie denta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6576A (ko) * | 2002-11-27 | 2004-06-05 | 윤상권 | 구강청정용 정제 과립제 산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2
- 2012-09-18 KR KR1020120103299A patent/KR10128780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46576A (ko) * | 2002-11-27 | 2004-06-05 | 윤상권 | 구강청정용 정제 과립제 산제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T202000017527A1 (it) * | 2020-07-20 | 2022-01-20 | Logidex S R L | Composizione per uso nella prevenzione della carie dentale |
EP3943063A1 (en) * | 2020-07-20 | 2022-01-26 | Logidex S.r.l. |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of dental cari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0540B1 (ko) | 구강용 조성물 | |
KR101821422B1 (ko) | 치마제 조성물 | |
EP0321180B1 (en) | Oral compositions | |
JP5721973B2 (ja) | 口腔用組成物 | |
KR20110107327A (ko) | 치아 연마제 조성물 | |
KR20180081032A (ko) |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881636B1 (ko) |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0537834B1 (ko) | 목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 |
WO2005072691A1 (en) | Composition for inhibiting halitosis | |
KR101703269B1 (ko) | 후박 추출물 및 중탄산염을 포함하는 구강 관리용 조성물 | |
KR101287800B1 (ko) | 구강 조성물 | |
KR100637653B1 (ko) | 구취억제용 구강용 조성물 | |
JP7108304B2 (ja) | 液体口腔用組成物 | |
JP2004238375A (ja) | 殺菌性口腔用組成物 | |
JP4323979B2 (ja) | 口腔用組成物 | |
KR101195528B1 (ko) |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 |
JP6753142B2 (ja) | 口腔用組成物 | |
JP5892716B2 (ja) | 口腔用組成物 | |
KR20010001476A (ko) | 구취 억제용 구강 조성물 | |
KR101344803B1 (ko) |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 |
JP7508243B2 (ja) | 口腔用組成物 | |
JP5665280B2 (ja) | 口腔用組成物 | |
JP2010158375A (ja) | 硫化水素用消臭剤組成物 | |
KR101818211B1 (ko) |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2950674B2 (ja) | 口腔用組成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