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68014A2 -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68014A2
WO2010068014A2 PCT/KR2009/007307 KR2009007307W WO2010068014A2 WO 2010068014 A2 WO2010068014 A2 WO 2010068014A2 KR 2009007307 W KR2009007307 W KR 2009007307W WO 2010068014 A2 WO2010068014 A2 WO 2010068014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guide
water
structure suitabl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68014A9 (ko
WO2010068014A3 (ko
Inventor
박수범
김현곤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006801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8014A2/ko
Publication of WO2010068014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8014A9/ko
Publication of WO201006801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801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6Travelling trench sho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aka SK panel) used for construction for forming a pipeline such as a water pipe for water and sewage.
  • SK panel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 1 to 3 show th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simple earthenware construction using a pipeline.
  • the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for the pipeline is installed to prevent the side collapse of the pipeline oyster portion 2 formed by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1), basically a plurality of piles by the H-pile 20 and a retaining member (aka earth plate) 30 mounted between the thumb pile 20 and a gap holding member for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thumb pile 20 with the oyster portion 2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comprised by 40, and structures, such as a water pipe 10, are installed in the bottom face of the oyster part 2 reinforced by this.
  • the trench work in the pipeline construction has a feature that the depth of the excavation depth is very long and the length of the excavation portion is very long, compared to the general structure, so that a prefabricated earth block structure such as SK panel h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dismantle. It is desirable to.
  • the depth (L1) of the first gulto work is about 2m
  • the total depth (L2) of the second gulto work is about 4m. Due to the nature of the pipeline construction that the engine should be advanced at a high speed, once the primary work is carried out to the limit depth (about 2m) that can proceed with the excavation work without the clogging 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the clogging structure and the second excavation work are performed in that state. Because it is efficient.
  • the retaining member 30 is installed while being guided by both side grooves of the H-pile that is the thumb pile 20. Since the thumb pile 20, which is a reference of the installation, is ben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retaining member 30 is performed. There is no choice but to suffer from this difficulty.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easy and safe to construct, yet to provide a high depth simple earthquake structure suitable for water and sewag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structure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the material. do.
  • a simple earth block installed on both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excavation portion 2 to prevent side collapse of the excavation portion 2 formed by the excavation operation of the ground
  • a pair of pile member (200) A gap maintaining member 201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 a guide member 100 installed to guide the vertical driving of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and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1;
  • An upper earth plate 11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00; It proposes a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suitable for water and sewage construction, including; a lower earth plate 21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arth plate 110.
  • the guide member 100 has a guide region for guiding the up and down driving of the pile member 200 therein, and a pair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s 120 formed to couple the upper earth plate 110 to the rear surface thereof. );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130 for supporting the pair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is preferably a structure in which the cylindrical pipe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lower earth plate 210 slides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101 formed between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and the upper earth plate 110, and is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e members 200. desirable.
  • the upper earth plat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11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s 120; And a fixing plate 112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111, wherein the guide groove 101 is formed by an area between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and the guide plate 111. It is preferable.
  • the "c" shaped coupler 113 is mounted to couple to the guide plate 111.
  • guide portions 211 having a substantially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lower earth plate 2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guide groove 101.
  • a plurality of lower earth plate 210 is guided and installed in seque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plurality of lower earth plate 210 are mutually coupled.
  • a blade-shaped ground inserting portion 212 is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late installed at the lowermost side of the plurality of lower earth plate 210.
  •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1 is preferably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 a through hole 202 is form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02 so as to be rotatable, and further comprising a root member 300 installed to enter the lower soil body.
  • a drilling device coupling part 301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indentation member 300 to couple with the drilling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suitable for high-depth water and sewag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structure that is easy and safe to construction, and can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the material.
  • 1 to 3 show a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for a conventional pipeline worker
  • 1 is a perspective view.
  • Figure 2a to 2j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process.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use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use state of the first embodiment
  • FIG. 9 is a plan view of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and the upper earth plate.
  • FIG. 10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ot pipe.
  • guide portion 212 ground insertion por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water and sewage install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pit soil 2 to prevent side collapse of the pit soil 2 formed by the excavation of the ground (1) It relates to a simple earthquake structure suitable for construction.
  • a pair of pile member 200 A gap maintaining member 201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A guide member 100 installed to guide the vertical driving of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and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1; An upper earth plate 11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10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 the lower earth plate 210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earth plate (110).
  • the pair of pile member 200 and the gap maintaining member 201 is guided along the inner region of the guide member 100 in a state that is firmly coupled, while driving the lower side, the lower earth plate 210 is lower
  • the lower earth plate 210 is lower
  • the pile member 200 is driven to the lower side in a state that is supported laterally by the gap holding member 201,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bending phenomenon due to the back earth pressure is added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the material do.
  • the guide member 100 may be any structure as long as the guide member 100 can guide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and the space keeping member 201 by the inner region.
  • a guide region for guiding the vertical driving of the pile member 200 is formed on the inside, and a pair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s 120 formed to couple the upper earth plate 110 to the rear surface; It shows an embodi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 130 for supporting a pair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but also has the structural stability.
  •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ylindrical pipe is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fficient guide driving.
  • the pile member 200 is entered into the ground by driving, etc. during the excavation work of the pit part 2, bu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is narrow, simultaneous driving is possible, but when the gap is wide Simultaneous driving can be difficult.
  • the gap holding member 201 coupled between the pair of pile members 200 is to take a structure that is detachably coupled, when the gap between the pile member 200 is wide, maintaining the gap It is preferable to leave the member 201 so that both sides of the pile member 200 can be alternately driven.
  • the lower earth plate 210 may be any structure provided below the upper earth plate 110, but slides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 101 formed between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and the upper earth plate 110. In order to be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pile members 200, it is preferable in view of the efficiency of the structure.
  • the guide groove 101 is naturally formed between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and the upper earth plate 110 (FIG. 9), and the lower earth plate 210 is driven downward through the groove 101, thereby providing the excavation work. And at the same time as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pile member 20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the fall of the side of the earthenware of the lower region of the pit soil (2).
  • the lower earth plate 210 facilitates downward driving and provides a rigid support structure. More preferred in that it can be achieved (Fig. 9).
  • the lower earth plate 210 When the depth of the pit soil 2 is deep, the lower earth plate 2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s sequentially installed, the plurality of lower earth plate 210 takes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coupled by a separate coupler 213. It is preferable.
  • the bottom surface of the earth plat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plurality of lower earth plate 210 is formed by the blade-shaped ground inserting portion 212,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structural stability that the predetermined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und (Fig. 5).
  • the upper earth plate 110 may be any structu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to form the upper guide groove 101, but a plurality of guide plates coupl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lurality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s 120, respectively. (111); It is more preferable to take an assembly structure including a fixing plate 112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111 in terms of ease of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of materials.
  • the guide groove 101 is formed by the area between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and the guide plate 111 (FIG. 9).
  • Both sides of the fixing plate 112 is equipped with a "c" -shaped coupler 113 to be coupled to the guide plate 111, and taking a structure that is mutually coupled by a bolt-nut fastening structure, etc. in terms of ease of construction and stability of the structure Preferred in (Fig. 7,8).
  • the through-hole 202 is formed in the pile member 2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202 so as to be rotatable, the structure further provided with a root member 300 installed to enter the lower soil body
  • the thumb pile can form a structure firmly fixed 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construction is easy and safe.
  • the indenting member 300 is guided by the pile member 200 while being entered into the grou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bending phenomenon of the pipe when the indentation is added to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the material.
  • the indentation member 300 has a lower end of the indentation in the lower body by a punching device such as a rotary type, a driving type, a bit type, and the like.
  • a punching device such as a rotary type, a driving type, a bit type, and the like.
  • the drilling device coupling portion 301 for coupling with the above various drilling devices at the top of the.
  • FIG. 11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the access member 300 is coupled to a rotary drilling device.
  • the bit and the rod are exposed to the lower opening through the internal space of the access member 300 to crush the lower ground. The way is taken.
  • Such a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particularly effective in the case of high-depth water and sewerage pipeline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하수도용 수도관 등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공사에 사용되는 간이 흙막이 구조물(일명 SK 판넬)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구조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관로공사용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기본적으로 H-pile 등에 의한 복수의 엄지말뚝(20)과, 그 엄지말뚝(20) 사이에 장착되는 흙막이부재(일명 토류판)(30)와, 굴토부(2)를 사이에 두고 엄지말뚝(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40)에 의해 구성되며, 이에 의해 보강된 굴토부(2)의 저면에 수도 파이프(10) 등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관로공사에서 이루어지는 터파기 공사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경우에 비해, 굴토 심도가 낮고 굴토부의 길이가 매우 길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SK 판넬과 같은 조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로가 형성될 지반(1)에 1차 굴토 작업에 의해 굴토부(2)를 형성하고, 굴토부(2) 저면 위에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를 위치시킨다.(도 2a,2b,2c)
2차 굴토 작업을 수행하면서,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를 점진적으로 타입하고, 하부 흙막이부재가 소정 깊이에 도달하면, 그 위에 상부 흙막이부재를 끼워 넣는다.(도 2d,2e,2f)
일반적으로 1차 굴토 작업의 심도(L1)는 2m 정도이고, 2차 굴토 작업의 총심도(L2)는 4m 정도인데, 이와 같이 굴토 작업을 2차에 걸쳐 진행하는 이유는, 고심도의 굴토부가 빠른 속도로 전진되어야 한다는 관로공사의 특성상, 일단 흙막이 구조물 없이 굴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한계 심도(2m 정도)까지 1차 작업을 한 후, 그 상태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과 2차 굴토 작업을 병행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간이 흙막이 구조물이 완성되면, 그 내부공간에 파이프(10)를 매설하고, 되메움 작업 후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를 해체하여, 이를 전진 위치의 굴토부에 다시 시공한다.(도 2g,2h,2i,2j)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1차 심도(L1)까지 굴토 작업을 한 후, 2차 심도(L2)까지의 굴토 및 흙막이 구조물 타입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엄지말뚝(20)이 굴토부(2)의 내측을 향하여 어느 정도 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흙막이부재(30)는 엄지말뚝(20)인 H-pile의 양측 홈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설치되는데, 그 설치의 기준이 되는 엄지말뚝(20)이 휘어져 있으므로, 흙막이부재(30)의 설치작업이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둘째, 전체적으로 흙막이 구조물이 휘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타입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의 많은 변형을 피할 수 없고, 이는 자재의 해체 후 재활용을 곤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셋째, 흙막이 구조물이 제대로 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로의 설치작업이 진행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의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기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내측에 상기 말뚝부재(200)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에 상기 상부 토류판(110)이 결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 상기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가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토류판(110)은 복수의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한 복수의 가이드 판(111);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판(11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고정판(11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가이드 판(11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1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판(111)에 결합하도록 "ㄷ"자형 결합구(113)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토류판(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 구조의 가이드부(2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복수가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은 상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 중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토류판의 저면에는 칼날 형상의 지면 삽입부(2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201)는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부재(200)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0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측 토체에 근입되도록 설치된 근입부재(300)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입부재(300)의 상단에는 천공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천공장치 결합부(30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의 고심도용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j는 시공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단면도.
도 4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제1실시예의 제1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제2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상부 토류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토류판 결합부재와 상부 토류판의 평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은 근입 파이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반 2 : 굴토부
100 : 가이드부재 101 : 가이드 홈
110 : 상부 토류판 111 : 가이드 판
112 : 고정판 113 : "ㄷ"자형 결합구
120 : 토류판 결합부재 130 : 지지부재
200 : 말뚝부재 201 : 간격유지부재
202 : 관통공 210 : 하부 토류판
211 : 가이드부 212 : 지면 삽입부
300 : 근입부재 301 : 천공장치 결합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00)의 내측영역을 따라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구동함과 아울러, 하부 토류판(210)이 하측영역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다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또한, 말뚝부재(200)는 간격유지부재(201)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구동하는바, 배면 토압에 의한 휨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가이드부재(100)는 내측영역에 의해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를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도 4 이하에서는, 내측에 말뚝부재(200)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에 상부 토류판(110)이 결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가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아울러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말뚝부재(200)가 원통형 파이프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토류판 결합부재(120)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율적인 가이드 구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말뚝부재(200)는 굴토부(2)의 굴토작업시 항타 등에 의해 지반에 근입되는데,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동시 항타가 가능하지만, 그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동시 항타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결합하는 간격유지부재(201)는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를 취하도록 하고, 말뚝부재(200)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간격유지부재(201)를 이탈시켜 양측 말뚝부재(200)를 번갈아 항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토류판(210)은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복수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구조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는데(도 9), 하부 토류판(210)은 이 홈(101)을 통해 하측으로 구동하므로, 굴토작업 및 말뚝부재(200)의 설치작업과 동시에 굴토부(2) 하측 영역의 측면 토사의 무너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토류판(210)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 구조의 가이드부(211)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 토류판(210)의 하향 구동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한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도 9).
굴토부(2)의 심도가 깊어지는 경우, 하부 토류판(210)은 복수가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설치되고, 그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은 별도의 결합구(213)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 중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토류판의 저면에는 칼날 형상의 지면 삽입부(212)가 형성됨으로써, 소정 부분이 지반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5).
상부 토류판(110)은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위 가이드 홈(101)을 형성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복수의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한 복수의 가이드 판(111); 복수의 가이드 판(11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고정판(112);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를 취하는 것이 자재의 운반 및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 홈(101)은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가이드 판(11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도 9).
고정판(11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판(111)에 결합하도록 "ㄷ"자형 결합구(113)가 장착되고, 볼트-너트 체결구조 등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및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7,8).
말뚝부재(200)의 하단이 소정 지반에 근입되는 경우, 견고한 토류벽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간격유지부재(201)에 의재 지지되므로, 그 근입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말뚝부재(20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관통공(20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측 토체에 근입되도록 설치된 근입부재(300)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말뚝이 견고하게 지반에 고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근입부재(300)는 말뚝부재(2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지반에 근입되는바, 근입 시 파이프의 휨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근입부재(300)는 회전식, 항타식, 비트식 등의 천공장치에 의해 그 하단이 하측 토체에 근입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부재(300)의 상단에 위 각종 천공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천공장치 결합부(3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근입부재(300)가 회전식 천공장치와 결합하는 경우의 실시예이고, 비트식의 경우에는 비트 및 로드가 근입부재(3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단 개구에 노출되어 하측 지반을 파쇄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은 고심도의 상하수도 관로 공사의 경우, 특히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기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내측에 상기 말뚝부재(200)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에 상기 상부 토류판(110)이 결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
    상기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가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토류판(110)은
    복수의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한 복수의 가이드 판(111);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판(11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고정판(11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가이드 판(11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판(111)에 결합하도록 "ㄷ"자형 결합구(11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토류판(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 구조의 가이드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복수가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은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 중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토류판의 저면에는 칼날 형상의 지면 삽입부(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201)는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부재(200)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0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측 토체에 근입되도록 설치된 근입부재(3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입부재(300)의 상단에는 천공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천공장치 결합부(3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PCT/KR2009/007307 2008-12-08 2009-12-08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006801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03 2008-12-08
KR1020080123803A KR100935006B1 (ko) 2008-12-08 2008-12-08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8014A2 true WO2010068014A2 (ko) 2010-06-17
WO2010068014A9 WO2010068014A9 (ko) 2010-09-02
WO2010068014A3 WO2010068014A3 (ko) 2010-10-21

Family

ID=4180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307 WO2010068014A2 (ko) 2008-12-08 2009-12-08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5006B1 (ko)
WO (1) WO2010068014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396A (zh) * 2012-07-09 2012-10-17 江苏顺通建设集团有限公司 沿海软土深基坑筋膨凝边坡支护方法
WO2016166495A1 (fr) * 2015-04-17 2016-10-20 Sollase-Soblinter Dispositif de rangement et de stockage
CN107964960A (zh) * 2017-11-22 2018-04-27 山东电力建设第工程公司 一种市政管道沟槽支护结构及支护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161B1 (ko) * 2010-06-29 2013-05-21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2열말뚝흙막이공법 및 그 말뚝 연결구
KR101266162B1 (ko) * 2010-06-29 2013-05-21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2열말뚝흙막이공법 및 그 말뚝 연결구
CN102587391A (zh) * 2011-01-10 2012-07-18 孙冬梁 一种大口径砖混倒挂井施工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1A (ja) * 1998-07-31 2000-02-15 Nsp Corp 開削工法に使用される土留めパネル
JP2002038485A (ja) * 2000-07-28 2002-02-06 Nsp Corp 土留めパネルの連結レール
KR200434427Y1 (ko) * 2006-09-30 2006-12-20 김상훈 슬라이딩 버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824B2 (ja) * 1994-11-16 2004-01-13 池野通建株式会社 スライド矢板およびそれによる土留工法
JPH0921132A (ja) * 1995-07-05 1997-01-21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当て矢板用スライド支柱およびこの支柱を用いた埋設管の敷設方法
KR20070118828A (ko) * 2006-06-13 2007-12-18 이더테크놀로지(주) 트랜치 굴착용 조립식 흙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1A (ja) * 1998-07-31 2000-02-15 Nsp Corp 開削工法に使用される土留めパネル
JP2002038485A (ja) * 2000-07-28 2002-02-06 Nsp Corp 土留めパネルの連結レール
KR200434427Y1 (ko) * 2006-09-30 2006-12-20 김상훈 슬라이딩 버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396A (zh) * 2012-07-09 2012-10-17 江苏顺通建设集团有限公司 沿海软土深基坑筋膨凝边坡支护方法
WO2016166495A1 (fr) * 2015-04-17 2016-10-20 Sollase-Soblinter Dispositif de rangement et de stockage
FR3035086A1 (fr) * 2015-04-17 2016-10-21 Sollase-Soblinter Dispositif de rangement et de stockage
CN107964960A (zh) * 2017-11-22 2018-04-27 山东电力建设第工程公司 一种市政管道沟槽支护结构及支护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5006B1 (ko) 2010-01-06
WO2010068014A9 (ko) 2010-09-02
WO2010068014A3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8013A2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저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0068014A2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WO2022059977A1 (ko) 프리캐스트 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3133546A1 (ko) 지하터널의 시공방법
WO2018164412A1 (ko) 수직구용 다중결합 쐐기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WO2012044091A2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WO2018101733A1 (ko) 지반 굴착용 파일 가이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설치공법
WO2016006748A1 (ko)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744192B1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8147680A1 (ko) 흙막이 가시설 시공 구조 및 방법
WO2024075920A1 (ko) 가이드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WO2012011783A2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WO2016021854A1 (ko) 이동가설지지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KR101292717B1 (ko) 함체 견인에 의한 지하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함체의 구조
WO2013022194A1 (ko) 지중 벽체 시공방법
WO2013069838A1 (en) Tunnel reinforcement struture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ground displacement using pressurization
KR20100063979A (ko) 연속벽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연속벽 시공방법
WO2011139048A2 (ko)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WO2014189333A1 (ko) 플랜지가 결합된 케이싱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WO2015020257A1 (ko)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WO2010107153A1 (ko) 유선형 케이싱, 이를 이용한 유선형 파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유선형 물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6122215A1 (ko) 선단확장 보강판이 결합된 지반보강용 스크류파일
CN216640633U (zh) 一种可重复利用的基坑排水装置
JP7301203B1 (ja) 浅堀掘削溝用土留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2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2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