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0068014A9 -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0068014A9
WO2010068014A9 PCT/KR2009/007307 KR2009007307W WO2010068014A9 WO 2010068014 A9 WO2010068014 A9 WO 2010068014A9 KR 2009007307 W KR2009007307 W KR 2009007307W WO 2010068014 A9 WO2010068014 A9 WO 2010068014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arth plate
guide
water
structure suitable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73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0068014A2 (ko
WO2010068014A3 (ko
Inventor
박수범
김현곤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0068014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8014A2/ko
Publication of WO2010068014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8014A9/ko
Publication of WO2010068014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0068014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6Travelling trench shores

Definitions

  • the upper earth plat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plates 111 respective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earth plate coupling members 120; And a fixing plate 112 detachably coupled between the plurality of guide plates 111, wherein the guide groove 101 is formed by an area between the earth plate coupling member 120 and the guide plate 111. It is preferab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mple earth block structure suitable for high-depth water and sewage construction of an efficient structure that is easy and safe to construction, and can increase the recycling rate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상하수도용 수도관 등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한 공사에 사용되는 간이 흙막이 구조물(일명 SK 판넬)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구조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관로공사용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데, 기본적으로 H-pile 등에 의한 복수의 엄지말뚝(20)과, 그 엄지말뚝(20) 사이에 장착되는 흙막이부재(일명 토류판)(30)와, 굴토부(2)를 사이에 두고 엄지말뚝(20)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간격유지부재(40)에 의해 구성되며, 이에 의해 보강된 굴토부(2)의 저면에 수도 파이프(10) 등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관로공사에서 이루어지는 터파기 공사는 일반적인 구조물의 경우에 비해, 굴토 심도가 낮고 굴토부의 길이가 매우 길다는 특징을 가지므로, 조립과 해체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SK 판넬과 같은 조립식 흙막이 구조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로가 형성될 지반(1)에 1차 굴토 작업에 의해 굴토부(2)를 형성하고, 굴토부(2) 저면 위에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를 위치시킨다.(도 2a,2b,2c)
2차 굴토 작업을 수행하면서,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를 점진적으로 타입하고, 하부 흙막이부재가 소정 깊이에 도달하면, 그 위에 상부 흙막이부재를 끼워 넣는다.(도 2d,2e,2f)
일반적으로 1차 굴토 작업의 심도(L1)는 2m 정도이고, 2차 굴토 작업의 총심도(L2)는 4m 정도인데, 이와 같이 굴토 작업을 2차에 걸쳐 진행하는 이유는, 고심도의 굴토부가 빠른 속도로 전진되어야 한다는 관로공사의 특성상, 일단 흙막이 구조물 없이 굴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한계 심도(2m 정도)까지 1차 작업을 한 후, 그 상태에서 흙막이 구조물의 시공과 2차 굴토 작업을 병행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간이 흙막이 구조물이 완성되면, 그 내부공간에 파이프(10)를 매설하고, 되메움 작업 후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를 해체하여, 이를 전진 위치의 굴토부에 다시 시공한다.(도 2g,2h,2i,2j)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1차 심도(L1)까지 굴토 작업을 한 후, 2차 심도(L2)까지의 굴토 및 흙막이 구조물 타입 작업을 진행하다 보면, 엄지말뚝(20)이 굴토부(2)의 내측을 향하여 어느 정도 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첫째, 흙막이부재(30)는 엄지말뚝(20)인 H-pile의 양측 홈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설치되는데, 그 설치의 기준이 되는 엄지말뚝(20)이 휘어져 있으므로, 흙막이부재(30)의 설치작업이 곤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둘째, 전체적으로 흙막이 구조물이 휘어질 수밖에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타입에 의한 시공이 이루어지므로, 엄지말뚝(20) 및 흙막이부재(30)의 많은 변형을 피할 수 없고, 이는 자재의 해체 후 재활용을 곤란하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셋째, 흙막이 구조물이 제대로 시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관로의 설치작업이 진행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의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기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내측에 상기 말뚝부재(200)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에 상기 상부 토류판(110)이 결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 상기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가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 토류판(110)은 복수의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한 복수의 가이드 판(111);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판(11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고정판(11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가이드 판(11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판(1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판(111)에 결합하도록 "ㄷ"자형 결합구(113)가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토류판(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 구조의 가이드부(21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복수가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은 상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 중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토류판의 저면에는 칼날 형상의 지면 삽입부(212)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부재(201)는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말뚝부재(200)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0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측 토체에 근입되도록 설치된 근입부재(300)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근입부재(300)의 상단에는 천공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천공장치 결합부(301)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면서도,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구조의 고심도용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j는 시공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단면도.
도 4 이하는 본 발명에 의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제1실시예의 제1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제1실시예의 제2사용상태의 사시도.
도 6은 제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7은 제1실시예의 평면도.
도 8은 상부 토류판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토류판 결합부재와 상부 토류판의 평면도.
도 10은 제2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11은 근입 파이프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반 2 : 굴토부
100 : 가이드부재 101 : 가이드 홈
110 : 상부 토류판 111 : 가이드 판
112 : 고정판 113 : "ㄷ"자형 결합구
120 : 토류판 결합부재 130 : 지지부재
200 : 말뚝부재 201 : 간격유지부재
202 : 관통공 210 : 하부 토류판
211 : 가이드부 212 : 지면 삽입부
300 : 근입부재 301 : 천공장치 결합부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100)의 내측영역을 따라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구동함과 아울러, 하부 토류판(210)이 하측영역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다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또한, 말뚝부재(200)는 간격유지부재(201)에 의해 측방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구동하는바, 배면 토압에 의한 휨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가이드부재(100)는 내측영역에 의해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를 가이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다.
도 4 이하에서는, 내측에 말뚝부재(200)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에 상부 토류판(110)이 결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가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아울러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말뚝부재(200)가 원통형 파이프의 구조를 취하는 경우, 토류판 결합부재(120)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효율적인 가이드 구동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말뚝부재(200)는 굴토부(2)의 굴토작업시 항타 등에 의해 지반에 근입되는데,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는 동시 항타가 가능하지만, 그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동시 항타가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결합하는 간격유지부재(201)는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구조를 취하도록 하고, 말뚝부재(200)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 간격유지부재(201)를 이탈시켜 양측 말뚝부재(200)를 번갈아 항타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토류판(210)은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복수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구조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는 자연스럽게 가이드 홈(101)이 형성되는데(도 9), 하부 토류판(210)은 이 홈(101)을 통해 하측으로 구동하므로, 굴토작업 및 말뚝부재(200)의 설치작업과 동시에 굴토부(2) 하측 영역의 측면 토사의 무너짐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하부 토류판(210)의 양측면에 가이드 홈(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 구조의 가이드부(211)가 형성되는 경우, 하부 토류판(210)의 하향 구동을 용이하게 하고, 견고한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다는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도 9).
굴토부(2)의 심도가 깊어지는 경우, 하부 토류판(210)은 복수가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설치되고, 그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은 별도의 결합구(213)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 중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토류판의 저면에는 칼날 형상의 지면 삽입부(212)가 형성됨으로써, 소정 부분이 지반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5).
상부 토류판(110)은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설치되어 위 가이드 홈(101)을 형성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관계없으나, 복수의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한 복수의 가이드 판(111); 복수의 가이드 판(11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고정판(112);을 포함하는 조립 구조를 취하는 것이 자재의 운반 및 시공의 용이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가이드 홈(101)은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가이드 판(11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다(도 9).
고정판(112)의 양측면에는 가이드 판(111)에 결합하도록 "ㄷ"자형 결합구(113)가 장착되고, 볼트-너트 체결구조 등에 의해 상호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및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도 7,8).
말뚝부재(200)의 하단이 소정 지반에 근입되는 경우, 견고한 토류벽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는 간격유지부재(201)에 의재 지지되므로, 그 근입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말뚝부재(200)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관통공(20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측 토체에 근입되도록 설치된 근입부재(300)를 더 구비한 구조를 취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말뚝이 견고하게 지반에 고정된 구조를 이룰 수 있어, 시공이 용이하고 안전하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근입부재(300)는 말뚝부재(200)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지반에 근입되는바, 근입 시 파이프의 휨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자재의 재활용률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근입부재(300)는 회전식, 항타식, 비트식 등의 천공장치에 의해 그 하단이 하측 토체에 근입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입부재(300)의 상단에 위 각종 천공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천공장치 결합부(30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근입부재(300)가 회전식 천공장치와 결합하는 경우의 실시예이고, 비트식의 경우에는 비트 및 로드가 근입부재(300)의 내부 공간을 통해 하단 개구에 노출되어 하측 지반을 파쇄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구조물은 고심도의 상하수도 관로 공사의 경우, 특히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지반(1)의 터파기 작업에 의해 형성된 굴토부(2)의 측면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굴토부(2)의 양측 내면에 설치되는 간이 흙막이 구조물에 있어서,
    한 쌍의 말뚝부재(200);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201);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 및 간격유지부재(201)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100);
    상기 가이드부재(100)의 배면에 결합한 상부 토류판(110);
    상기 상부 토류판(110)의 하측에 설치된 하부 토류판(210);을
    포함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내측에 상기 말뚝부재(200)의 상하방향 구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영역이 형성됨과 아울러, 배면에 상기 상부 토류판(110)이 결합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
    상기 한 쌍의 토류판 결합부재(120)가 상호 이격하여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부재(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는 원통형 파이프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상부 토류판(11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 홈(101)을 따라 하측으로 슬라이드 구동하여, 상기 복수의 말뚝부재(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토류판(110)은
    복수의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의 배면에 각각 결합한 복수의 가이드 판(111);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판(111)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한 고정판(112);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홈(101)은 상기 토류판 결합부재(120)와 상기 가이드 판(111) 사이의 영역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112)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판(111)에 결합하도록 "ㄷ"자형 결합구(113)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토류판(210)의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1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실질적인 삼각형 단면 구조의 가이드부(21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토류판(210)은 복수가 순차적으로 가이드되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은 상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토류판(210) 중 가장 하측에 설치되는 토류판의 저면에는 칼날 형상의 지면 삽입부(2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201)는 상기 한 쌍의 말뚝부재(2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부재(200)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공(20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02)에 회전가능하도록 삽입되어, 하측 토체에 근입되도록 설치된 근입부재(3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근입부재(300)의 상단에는 천공장치와 결합하기 위한 천공장치 결합부(30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PCT/KR2009/007307 2008-12-08 2009-12-08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0068014A2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3803 2008-12-08
KR1020080123803A KR100935006B1 (ko) 2008-12-08 2008-12-08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8014A2 WO2010068014A2 (ko) 2010-06-17
WO2010068014A9 true WO2010068014A9 (ko) 2010-09-02
WO2010068014A3 WO2010068014A3 (ko) 2010-10-21

Family

ID=4180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7307 WO2010068014A2 (ko) 2008-12-08 2009-12-08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35006B1 (ko)
WO (1) WO201006801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6161B1 (ko) * 2010-06-29 2013-05-21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2열말뚝흙막이공법 및 그 말뚝 연결구
KR101266162B1 (ko) * 2010-06-29 2013-05-21 엘에스씨산업기술 주식회사 2열말뚝흙막이공법 및 그 말뚝 연결구
CN102587391A (zh) * 2011-01-10 2012-07-18 孙冬梁 一种大口径砖混倒挂井施工工艺
CN102733396B (zh) * 2012-07-09 2014-03-26 江苏顺通建设集团有限公司 沿海软土深基坑筋膨凝边坡支护方法
FR3035086B1 (fr) * 2015-04-17 2017-05-26 Sollase-Soblinter Dispositif de rangement et de stockage
CN107964960B (zh) * 2017-11-22 2023-04-18 山东电力建设第一工程公司 一种市政管道沟槽支护结构及支护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6824B2 (ja) * 1994-11-16 2004-01-13 池野通建株式会社 スライド矢板およびそれによる土留工法
JPH0921132A (ja) * 1995-07-05 1997-01-21 Nippon Steel Metal Prod Co Ltd 当て矢板用スライド支柱およびこの支柱を用いた埋設管の敷設方法
JP2000045281A (ja) * 1998-07-31 2000-02-15 Nsp Corp 開削工法に使用される土留めパネル
JP2002038485A (ja) * 2000-07-28 2002-02-06 Nsp Corp 土留めパネルの連結レール
KR20070118828A (ko) * 2006-06-13 2007-12-18 이더테크놀로지(주) 트랜치 굴착용 조립식 흙막이 장치
KR200434427Y1 (ko) * 2006-09-30 2006-12-20 김상훈 슬라이딩 버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8014A2 (ko) 2010-06-17
KR100935006B1 (ko) 2010-01-06
WO2010068014A3 (ko) 2010-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0068013A9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저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0068014A9 (ko) 상하수도 공사에 적합한 고심도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WO2017048056A1 (ko) 가시설용 차수식 흙막이 구조체와 그 시공방법
WO2022059977A1 (ko) 프리캐스트 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13133546A1 (ko) 지하터널의 시공방법
WO2018164412A1 (ko) 수직구용 다중결합 쐐기형 콘크리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수직구 건설 공법
WO2012044091A2 (ko)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및 공법
WO2018101733A1 (ko) 지반 굴착용 파일 가이드 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설치공법
WO2016006748A1 (ko) 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744192B1 (ko) 관로공사용 간이 흙막이 구조물
CN112411572A (zh) 一种建筑基坑支护体系
WO2018147680A1 (ko) 흙막이 가시설 시공 구조 및 방법
WO2024075920A1 (ko) 가이드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이용한 엄지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시공방법
WO2012011783A2 (ko) 말뚝의 보강구조물
WO2016021854A1 (ko) 이동가설지지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구축방법
WO2013022194A1 (ko) 지중 벽체 시공방법
WO2024053817A1 (ko) 깊은 굴착의 단계별 지보를 위한 가이드브라켓과 지반앵커를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 및 이의 시공방법
WO2013069838A1 (en) Tunnel reinforcement struture and tunnel construction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ground displacement using pressurization
KR20100063979A (ko) 연속벽용 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연속벽 시공방법
WO2011139048A2 (ko) 힌지를 이용한 하단 개폐형 말뚝
WO2014189333A1 (ko) 플랜지가 결합된 케이싱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트파일 시공방법
WO2015020257A1 (ko)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WO2010107153A1 (ko) 유선형 케이싱, 이를 이용한 유선형 파일 및 그 시공방법, 이를 이용한 유선형 물막이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6122215A1 (ko) 선단확장 보강판이 결합된 지반보강용 스크류파일
CN216640633U (zh) 一种可重复利用的基坑排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832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09832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