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701069A - 유압 모터의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for a Hydraulic Motor) - Google Patents

유압 모터의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for a Hydraulic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701069A
KR980701069A KR1019970704550A KR19970704550A KR980701069A KR 980701069 A KR980701069 A KR 980701069A KR 1019970704550 A KR1019970704550 A KR 1019970704550A KR 19970704550 A KR19970704550 A KR 19970704550A KR 980701069 A KR980701069 A KR 98070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hydraulic
friction plate
hydraulic motor
brak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6890B1 (ko
Inventor
가주히로 마루타
Original Assignee
안자끼 사또루
고마쓰 세사규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끼 사또루, 고마쓰 세사규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자끼 사또루
Publication of KR98070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701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8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F16D59/02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spring-loaded and adapted to be released by mechanical, fluid, or electromagne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CPOSITIVE-DISPLACEMENT ENGINES DRIVEN BY LIQUIDS
    • F03C1/00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 F03C1/02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3C1/06Reciprocating-piston liquid engines with multiple-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with cylinder axes generally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3C1/0678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 F16D55/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 plurality of axially-movable discs, lamellae, or pads, pressed from one side towards an axially-located member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F16D55/36Brake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discs all lying side by side
    • F16D55/40Brake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discs all lying side by side actuated by a fluid-pressure device arranged in or one the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2055/0004Parts or details of disc brakes
    • F16D2055/0058Fully lined, i.e. braking surface extending over the entire disc circumfer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ydraulic Mo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유압모터의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에 각각 설치된 고정측 마찰판 및 가동측 마찰판과,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을 압착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양 마찰판의 압착방향으로 누르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도입된 고압유에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양 마찰판의 격리방향으로 누르는 피스톤 유압실을 구비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격리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과의 틈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격리방향으로의 스트로크를 상기 틈의 간격보다도 크게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유압 모터의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for a Hydraulic Motor)
[기술분야]
본 발명은 유압 셔블(shovel)의 선회용 유압모터 등으로서 사용되는 유압모터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유압모터로서는, 케이싱내에 축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해당 축에 실린더 블록이 결합되어 해당 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에는 축과 병행으로 복수의 실린더 구멍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각 실린더 구멍내에는 피스톤이 활주가능하게 삽입되어, 그것에 의해 실린더 구멍내에 실린더실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축에는 스러스터 볼이결합되고, 또한 해당 스러스터 볼에는 사판을 따름으로써 해당 축에 대하여 경사가 되는 슈우가 결합되어 있고, 해당 스러스터 볼 및 슈우는, 해당 축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스프링에 의해 상기 사판측에 부가되어 있다. 또한, 각 피스톤의 선단은 슈에 보편적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각 실린더 구멍의 유압실내에 도시하지 않은 유압원으로부터의 유압유를 공급.배출하여 왕복 운동시키면, 상기 사판이 상기 슈우와 함께 해당 피스톤을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과 함께 축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로서는 실린더 블록과 하우징에 복수의 가동측 마찰판과 고정측 마찰판을 상기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적충되도록 교대로 설치하여, 해당 마찰판과 대향하여 스프링에 의해 해당 마찰판측에 눌리지만 피스톤 유압실내의 유압유로 해당 마찰판과 반대측으로 눌리는 피스톤을 설치하여, 해당 피스톤을 스프링에 의해 눌러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을 압착시키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을 제동상태로 하여 회전불가능으로 하고, 상기 피스톤의피스톤 유압실에 고압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피스톤을 스프링에 저항하여 이동시키고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을 격리하여 실린더 블록을 비제동상태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러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는, 피스톤 유압실에 고압유를 공급하면 비제동상태로 되어,피스톤 유압실 내의 고압유를 배출하면 제동상태로 되지만, 비제동상태로부터 제동상태까지의 시간은 피스톤의이동거리롸 이동속도 즉 피스톤 유압실내의 유압유의 배출완료의 요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유압실내의 유압유의 배출완료의 요하는 시간은, 비제동시의 피스톤 유압실 용적과 제동시의 피스톤 유압실 용적과의차이 즉 피스톤 유압실의 유효 용적과, 그 피스톤 유압실내의고압유의유출속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한편, 유압 셔블의 상부차체를 선회하는 선회용 유압모터인 경우에는, 조작밸브를 중립위치에 반려함으로써 유압모터를 정지시키는 조작을 한 후에, 상부차체의 관성력에 의해 약간 회전하고나서 유압모터가 정지한다.
이 때문에, 유압모터의 정지조작과 동시에 브레이크장치를 제동상태로 하면, 유압모터에 과한 제동력이 커지고, 그 때문에 유압모터가 파손하거나 또는 제동시의 충격이 커지기도 하므로, 이들을 피하기 위해서 유압모터의 정지조작 후에 약간의 시간지연을 두고 유압모터가 완전히 멈추고 나서 브레이크장치를 제동상태로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는 피스톤 유압실의유압유 공급회로에 체크 밸브와 스로틀에 의해 구성되는 슬로우 리턴 밸르를 설치하고, 피스톤 유압실에는 공ㅂ유가 스무스하게 유입하기 때문에 단시간에 비제동상태로 되지만, 피스톤 유압실내의 공압유는 스로틀에 의해서 천천히 유출하므로 브레이크장치가 천천히 제동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브레이크장치는 비제동시에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과의간격을 피스톤에 의해 규정하고 있고, 피스톤의비제동시의위치와 제동시의 위치와의 차이(피스톤 이동거리)가 작고, 피스톤의유효 용적이 작기 때문에, 상술한 슬틀을 현저히 작은 개구면적으로서 피스톤을 천천히 이동하여 브레이크장치가 제동상태로 될 때가지의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왜냐하면, 상술한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크게하면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마찰판과의 간격이 커지고, 회전진동등에 의해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이 덜컹거려, 가동측 마찰판이 실린더 블록에 기울어 장착된 상태로 되고, 제동시에 마찰판이 파손되거나, 또는 제동력 부족이 생기기도 하기 때문에, 피스톤의이동거리를 작게하여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과의 간격을 작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면적이 작은 스로틀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가공이 번거롭고, 가공 정밀도에 의한 개구면적의 불균형이라든지 유통하는 고압유의 온도의 변화에 의한 영향이 커서, 브레이크 장치가 제동상태로 될 때까지의시간의 불일치가 커진다.
또한, 피스톤을 대직경으로 하면 이동거리가 짧아도 유효 용적이 크게 되지만, 피스톤을 큰 직경으로 하면 하우징이 커져서 유압모터가 대형으로 된다.
또한, 상술한 슬로우 리턴 밸브를 사용한 경우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장치의 피스톤 유압실과 유압원·탱크를 연통·차단하는 전자전환 밸브와, 그 전자전환 밸브에 통전하는 컨트롤러를 설치하여, 유압모터를 정지 조작한 신호가 컨트롤러에 입력된 후에 소정시간 경과하면 전자전환 밸브에 통전하여 피스톤 유압실을 탱크게 연결하여 브레이크장치를 제동상태로 하도록 한 것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이라면 전자전환밸브, 컨트롤러가 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도 높아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비제동상태로부터 천천히 제동상태로 되어, 그 제동할 때까지의 시간의 불일치를 작게 할 수 있고, 더욱이 유압모터가 대형으로 되지 않고, 제조비용도 싸게 되도록 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하나의 상태에 의하면, 유압모터의하우징과 실린더 블록에 각각 설치된고정측 마찰판 및 가동측마찰판과,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을 압착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양마찰판의압착방향으로 누르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도입된 고압유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양 마찰판의 격리방향으로 누르는 피스톤 유압실을 구비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격리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과의 틈이 간격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격리방향으로의스트로크를 상기 틈의 간격보다도 크게한 유압모터의브레이크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과의틈의 간격을 크게 하지 않고서 피스톤의 격리방향으로의 스트로크를 크게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피스톤 유압실내의 유효 용적이 커지고, 비제동상태시에 피스톤 유압실내에 다량의 유압유가 유입하고 있기 때문에, 그 피스톤 유압실내의유압유가 유출하는 데 시간이 걸리고, 그 만큼만 제동상태로 될 때가지 오랜 시간이 걸린ㄷ. 또한, 피스톤 유압실내의 유효용적이 큰 것에 의해, 스로틀 개구면적을 현저하게 작게 할 필요가 없으므로, 예를 들어 직경이 0.5㎜ 이상 오리피스 스로틀을 상용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제동상태로 될 때가지의 시간의불일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을 큰 직격으로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압모터가 대형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압모터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방향제어밸브로부터 부하압력을 검출하는 부하 압력 검출회로를 상기 피스톤 유압실에 접속하고, 해당 부가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유압모터에 유압유를 공급하는 방향제어밸브를 전환하는 파일럿압을 출력하는 유압 파일럿 밸브를 설치하고, 해당 유압파일럿 밸브의출력측을 상기 피스톤 유압실에 접속하여, 해당 파일럿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것들의 구성에 의하면, 제동·비제동상태로 하기 위해서 부가압력이나 파일럿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밸브 등이 불필요하고 제조비용도 싸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에 이해, 보다 이해가 잘 될 것이다. 또한, 첨부도면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바명을 특정하는 것을 의도할 만한 것이 아니라, 단지 설명 및 이해를 쉽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면중,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장치의 제1실시예를 포함하는 유압모터의 종단면도, 도2는 Ⅰ-Ⅱ선을 따른 단면도, 도3은 도1의 Ⅲ-Ⅲ선을 다른 단면도, 도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유압회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장치의 제2실시예의 유압회로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적합한 상태]
이하에, 본 발명의적합한 실시예에 의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형상의 케이스(1)와 끝판(2)을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모터하우징(3) 내에 축(5)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해당 축(5)에 실린더 블록(4)이 스플라인 결합되어져 축(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실린더 블록(4)에는 축(5)과 병행으로 복수의 실린더 구멍(6)이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형성되고, 각 실린더 구멍(6) 내에는 피스톤(7)이 활주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축(5)에는 스러스터 볼(32)이 스플라인 결합되어지고, 또한 해당 스러스터 볼(32)에는 사판(10)을 다름으로써 축(5)에 대하여 경사가 되는 슈우(9)가 결합되어 있고, 스러스터 볼(32) 및 슈우(9)는 축(5)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스러스터 볼(32)과 실린더 블록(4)과 사이에 개재되어진 스피링(34) 및 핀(35)에 의해 사판(10)측으로 부가 되어 있다. 또한, 각 피스톤(7)의 선단은 볼(31)을 거쳐서 슈우(9)에 보편적으로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각 실린더 구멍(6)의 유압실(8) 내에 도시하지 않은, 유압원으로부터의 유압유를 공급. 배출하여 피스톤(7)을 왕복운동시키면, 사판(10)이 슈우(9)와 함께 해당 피스톤(7)을 원주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4)과 함께 축(5)을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들이, 유압모터의 기본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의 내주면은 소직경 내주면(11)과 중간직경 내주면(12)과 대직경 내주면(13)을 갖는 단붙임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소직경 내주면(11)과 실린더 블록(4)의 외주면(4a)에는, 각각 고정측 마찰판(14)과 가동측 마찰판(15)이 축(5)과 평행한 방향으로 교대로 회전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직경 내주면(11)과에 오목부(11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되고, 고정측 마찰판(14)의 외주면에는 볼록부 (14a)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형성되어, 그 볼록부(14a)가 오목부(11a)에 결합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 볼록(4)의 외주면(4a)에는 오목부(4b)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형성되고, 가동측 마찰판(15)의 내주면에 볼록부(15a)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형성되어, 그 볼록부(15a)가 오목부(4b)에 결합하고 있다.
상기 케이스(1)의 중간직경 내주면(12)에는 스냅링 등의 실린더형상의 스토퍼 (16)가 설치되어 있고, 해당 스토퍼(16)가 고정측 마찰판(14)과 가동측 마찰판(15)의틈을 작게 규정하고 있다.
대직경 내주면(13), 중간 내주면(12) 및 소직경 내주면(11) 내에는 피스톤 (17)이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해당 피스톤(17)은 대직경 내주면(13), 중간 내주면 (12) 및 소직경 내주면(11)에 맞춰서 대직경 기초부(18)와 중간직경 중간부(19)와 소직경 선단부(20)에 의해 중공 단붙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피스톤(17)의 대직경 기초부(18), 중간직경 중간부(19)가 케이스(1)의 대직경 내주면(13), 중간직경 내주면(12)에 활주가능하게 맞물리어 피스톤 유압실(21)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소직경 선단부(20)가 상기 스토퍼(16)의 내경 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되어 있다.
상기 끝판(2)과 피스톤(17)의 사이에 스프링(22)이 설치되어 잇고, 이 스프링(22)에 의해 피스톤(17)이 우측으로 눌려 소직경 선단부(20)가 스토퍼(16)으로부터 마찰판측으로 돌츨하여 고정측 마찰판(14)과 가도측 마찰판(15)을 압착시킴으로써 실린더 블록(4)을 하우징(3)에 고정하는 것으로 제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피스톤 유압실(21)에 고압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피스톤(17)을 스프링(22)에 저항하여 죄측으로 이동시키고 고정측 마찰판(14)과가동측 마찰판915)을 격리시킴으로써 실린더 블록(4)을 비제동상태로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에는 포트(23)가 형성되고, 이 포트(23)는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름 구멍(24)을 거쳐서 상기 피스톤 유압실(21)에 연통하고 있다. 그 기름 구멍(24)에 슬로우 리턴 밸브(25)가 설치되어 있고, 이 슬로우 리턴 밸브(25)는 미세구멍(26)을 갖는 포핏(27)을 스프링(28)으로 유로(24)의 밸브시트(24a)에 꽉 누르도록 구성되고, 또한 그 포핏(27)의 내부에 미세구멍(29)을 갖는 복수의보조 포핏(30)이 순차 삽입되어 잇다. 이구성에 의해, 포트(23)로부터 유입한 고압유가 포핏(27), 보조포핏(3)을 눌러 열고 피스톤 유압실(21)내로 스무스하게 유입하지만, 그 피스톤 유압실(21) 내의고압유는 각 미세구멍(29, 26)을 거쳐서 포트(23)에 천천히 유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이 브레이크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브레이크장치는 이와 같이 구성도어 있기 대문에, 피스톤 유압실(21)에 고압유를 공급하면 피스톤(17)은 끝판(2)에 접할 때가지 스프링(22)에 저항하여 이동하고, 피스톤(17)의 선단면(17a)이 스토퍼(16)에서 고정측 마찰판(14)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경우의 피스톤(17)의이동거리는 L1으로 길다.
이와 같이, 피스톤(17)의 이동거리가 길기 때문에 피스톤 유압실(21)내의 유효 용적이 커지고, 그 때문에 피스톤(17)을 스프링(22)으로 눌러 제동상태로 할 대에 피스톤 유압실(21) 내로부터 유출하는 유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슬로우 리턴 밸브(25)의 스로틀(미세구멍)의 개구면적을 크게 하여도 피스톤(17)이 고정측 마찰판(14)과 가동측 마찰판(15)을 압착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브레이크장치는 천천히 제동상태로 된다.
또한, 비제동시에 피스톤(17)의 선단면(17a)이 고정측 마찰판(14)보다 멀리 떨어지지만, 스토퍼(16)에 의해 고정측 마찰판(14)과 가동측 마찰판(15)의틈이 작게 유지되어, 고정측 마찰판(14)과 가동측 마찰판(15)이 덜컹거리지 않는다.
도4는 상기 제1실시예의 유압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중, 40은 유압펌프로서 그 토출로(41)에는 복수의 방향제어밸브(42)가 병렬로 설치되어 있고, 액추에이터, 예를들면 선회용의유압모터(M)나,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 실린더에 유압유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각 방향제어밸브(42)의입구측에는 각각 압력보상밸브(43)가 설치되어 잇고, 그 압력보상밸브(43)는 체크 밸브부(44)와 감압밸브부(45)를 갖는 종래 공지의것으로, 그것에 대응하는 액추에이터를 동시 조작할 대에 가장 높은 부하압이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하압 검출회로는(46)는 유압 타이머(47)를 거쳐서 유압모터(M)의브레이크장치의 피스톤 유압실(21)에 접속되어 있다. 해당 유압 타이머(47)는 체크 밸브(48)와 스로틀(49)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부하압력 검출회로(46)의 부하 압력이나 피스톤 유압실(21)내에 스무스하게 유입하지만, 피스톤 유압실(21)내의 유압유는 천천히 유출하게 된다. 또, 부하압 검출회로(46)는 스로틀(50)을 거쳐서 탱크 (51)에 접속되어 있다.
제1실시예의 유압회로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제어밸브(42)를 조작하지 않을 때(중립위치(A)일 때)에는 부하압력 검출회로(45)에 부하압력이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브레이크장치의 피스톤 유압실(21) 내의압력은 거의 제로로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장치가 제동상태로 되어 선회용의 유압머터(M)는 제동된다.
한쪽의 방향제어밸브(42) 도는 다른족의방향제어밸브(42)를 조작했을 때(제1. 제2 유압유 공급위치(B, C)로 하였을 때)에는 부하압력 검출회로(46)에부하압력이 도입되어, 그 부하압이 피스톤 유압실(21)내에 공급되기 대문에 브레이크장치가 비제동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방향제어밸브(42)를 조작했을 대의부하아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장치를 비제동상태로 하고 있지만, 선회용의 유압모터(M)를 회전시킬 때나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 실린더를 작동시킬 대에는 브레이크장치가 자동적으로 비제동상태로 되어, 유압모터를 회전시키지 않을 대나 작업기 실린더를 작동시키지 않을 때에는 자동적으로 제동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장치를 제동상태,비제동상태로 하기 위한 전환 밸브나 컨트롤러가 불필요하다.
또한 작업기 실린더를 작동시켰을 때에 브레이크장치를 비제동상태로 하는 것은, 유압 셔블의오프셋 굴착시에 유압으로 상부 본체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즉, 유압 셔블은 그 하부 차체에는 상부본체를 선회용의 유압모터롤 선회가 능하게 설치하고, 해당 상부차체에 붐, 아암 및 버킷으로 이루어지는 굴착기를 작업기 실린더로 상하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한 것이므로, 오프셋 굴착시에는 과대한 회전 토오크가 상부 본체에 작용하고, 그 때 브레이크장치가 제동상태이면 유압모터(감ㅂ속기를 포함한다)에 큰 힘이 작용하여 유압모터 및 감속기의 파손이나 미그러짐 이상음(異音)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브레이크장치는 비제동상태로서 유압으로 사우 본체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장치의 제2실시예의 유압회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의 경우, 52는 파일럿 유압용펌프로서, 그 토출로(53)에는 선회용의 유압파일럿 벨브(54)와 작업기용의 유압 파일럿 밸브(55)가 설치 되어 있다. 그 유압 파일럿 밸브(54)의 제·제2 출력회로(56, 57)는 한쪽의 방향제어밸브(42)의 제1·제2 유압부(42a, 42b)에 각각 접속되고, 유압 파일럿 밸브(55)의 제3·제4 출력회로(58, 59)는 다른쪽의 방향제어밸브(42)의 제1·제2유압부(42a, 4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제2출력회로(56,57)의 고압유는 제2셔틀밸브(62)로 제2검출회로(63)에 검출되도록 되어, 이 제1검출회로(61)와 제3출력회로(58)의 고압유는 제2셔틀밸브(62)로 제2검출회로(63)에 검출되도록 되어 있고, 그 제2검출회로(63)가 유압타이머(47)를 거쳐서 브레이크장치의 피스톤 유압실(21)에 접속되어 있다.
본 제2실예는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회용의 유압파일럿(54)을 정회전 및 역회전의 양방향으로 조작하고 제1·제2 출력회로(56, 57)에 파일럿 유압유를 각각 출력했을 때나, 작업기용의 유압 파일럿 밸브(55)를 굴착의 한방향으로 조작하여 제3출력회로(58)에 파일럿 유압유를 출력했을 때에는, 제2검출회로(63)에 파일럿 유압유가 출력되고, 그것에 의하여 피스톤 유압실(21)내에 유압유가 공급되어 브레이크장치가 비제동상태로 된다. 따라서, 상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도4, 도5에 있어서, 유압펌프(40)는 가변용량형으로서, 그 용량은 사판(70)을 제어피스톤(71)으로 용동하는 것으로 증감제어된다. 제어피스톤(71)은 소직경 유압실(72)과 대직경 유압실(73)에 공급되는 자기 토출압에 의해서 용량증감 방향으로 활주하고, 그 대직경 유압실(73)에는 제어밸브(74)에 의해 자기토출 압유가 공급되어, 그 제어밸브(47)는 부하압력과 자기토출압력에 의해서 전환되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장치에 의하면, 패스톤(17)의 피스톤 유압실(21)내의 유효 용적이 커지고 비제동 시에 피스톤 유압실(21)내에 다량의 유압유가 유입하고 있기 때문에, 그 피스톤 유압실(21)내의 유압유가 유출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그 만큼만 제동으로 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따라서, 유압 타이머(47)를 구성하는 스로틀(49)의 개구면적을 크게, 피스톤 (17)을 소직경으로서도 비제동상태로부터 천천히 제동상태로 되고, 그 때문에 제동상태로 될 때가지의 시간의 불일치를 작게 할 수 있고, 유압모터도 대형으로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브레이크장치는, 제동·비제동상태로 하기 위해서 부가 압력이나 파일럿 압력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전환밸브 등이 불필요하게 되어 제조비용이 싸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개시한 실시예에 관하며,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여러가지의 변경, 생략, 추가가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 있어서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요소에 의해서 규정되는 범위 및 그 균등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지 않으면 안된다.

Claims (3)

  1. 유압모터의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에 각각 설치된 고정측 마찰판 및 가동측 마찰판고,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을 압착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상기 양 마찰판의압착방향으로 누르는 스프링과, 상기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그 내부에 도입된 고압유ㅎ에서 상기 피스톤을 상기 양 마찰판의격리방향으로 누르는 피스톤 유압실을 구비한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이 격리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의 상기 고정측 마찰판과 가동측 마찰판과의 틈의 간격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의 격리방향으로의 스트로크를 상기의틈의 간격보다도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압모터에 압유를 공급하는 방향제어밸브로부터 부하압력을 검출하는 부하압력 검출회로를 상기 피스톤 유압실에 접속하고, 상기 부가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유압모터에 유아유를 공급하는 방향제어밸브를 전환하는 파일럿 압력을 출력하는 유압 파일럿 밸브를 설치하고, 해당 유압파일럿 밸브의 출력측을 상기 피스톤 유압실에 접속하여, 해당 파일럿 압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구동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모터의 브레이크장치.
KR1019970704550A 1994-12-27 1995-12-26 유압모터의브레이크장치 KR1003268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25086 1994-12-27
JP6325086A JPH08177899A (ja) 1994-12-27 1994-12-27 油圧モータのブレーキ装置
PCT/JP1995/002701 WO1996020355A1 (fr) 1994-12-27 1995-12-26 Dispositif de frein pour moteur hydraul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701069A true KR980701069A (ko) 1998-04-30
KR100326890B1 KR100326890B1 (ko) 2002-08-13

Family

ID=18172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550A KR100326890B1 (ko) 1994-12-27 1995-12-26 유압모터의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06872A (ko)
EP (1) EP0797020B1 (ko)
JP (1) JPH08177899A (ko)
KR (1) KR100326890B1 (ko)
CN (1) CN1175299A (ko)
DE (1) DE69528600T2 (ko)
WO (1) WO19960203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062A (ko) * 2018-09-10 2020-05-20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압 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8080B2 (ja) * 1999-05-07 2005-11-16 日立建機株式会社 ブレーキ装置を有する液圧モータ
JP4526066B2 (ja) * 2004-06-28 2010-08-18 株式会社不二越 油圧モータ
JP4613588B2 (ja) * 2004-11-11 2011-01-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摩擦係合装置
DE102006025969A1 (de) * 2006-06-02 2007-12-06 Robert Bosch Gmbh Hydrostatische Kolbenmaschine und Druckring für eine Bremseinrichtung derselben
JP5229963B2 (ja) * 2009-06-30 2013-07-03 東芝機械株式会社 スリップ抑制および起動効率を備えた油圧モータ
JP5523980B2 (ja) * 2010-08-10 2014-06-18 東芝機械株式会社 スリップ抑制および起動効率向上機能を備えた油圧モータ
DE102011053645A1 (de) * 2011-09-15 2013-03-21 Linde Material Handling Gmbh Axialkolbenmaschine mit einem druckmittelgefüllten Gehäuse
US9908515B2 (en) * 2015-06-29 2018-03-06 Deere & Company Drive assembly with multi-function actuator for motor and brake control
JP7281918B2 (ja) * 2019-02-18 2023-05-26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油圧モータ
CN113107922B (zh) * 2021-03-16 2022-11-04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液压马达和调压装置
CN117605779B (zh) * 2024-01-24 2024-04-16 宁波中意液压马达有限公司 一种高压高速液压马达的变量制动结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0666A (en) * 1970-01-08 1972-08-01 Sommer Co Motor brake unit
US3759357A (en) * 1972-03-23 1973-09-18 Caterpillar Tractor Co Brake saver circuit
US4263991A (en) * 1977-05-27 1981-04-28 Lambert Brake Company Combined failsafe and service brake
DE2739994C2 (de) * 1977-09-06 1979-05-10 Losenhausen Maschinenbau Ag, 4000 Duesseldorf Bremssystem für Baumaschinen mit hydraulischem Fahrantrieb
US4415067A (en) * 1981-05-29 1983-11-15 Force Control Industries, Inc. Liquid cooled brake unit
JPS5876463U (ja) * 1981-11-19 1983-05-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モ−タのブレ−キ解放装置
DE3245720C2 (de) * 1982-12-10 1984-12-20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Antriebsanordnung für einen Dreh-, Schwenk- und Fahrantrieb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für einen Bagger
FR2541382B1 (fr) * 1983-02-21 1987-07-03 Poclain Sa Procede et circuit de commande d'un moteur associe a un frein de securite
JPS6087882A (ja) * 1983-10-18 1985-05-17 ジェイエスアール株式会社 振動選別機
US4607730A (en) * 1983-12-09 1986-08-26 Deere & Company Brake mechanism
JPS616404A (ja) * 1984-06-20 1986-01-13 Kayaba Ind Co Ltd 油圧モ−タの制動装置
JPS6193641U (ko) * 1984-11-26 1986-06-17
JPS62100306U (ko) * 1985-12-16 1987-06-26
JPH02248724A (ja) * 1989-03-22 1990-10-04 Honda Motor Co Ltd 摩擦クラッチのストッパー構造
JPH0644742Y2 (ja) * 1989-03-29 1994-11-16 日立建機株式会社 走行油圧モータのパイロット油圧回路
DE4008362A1 (de) * 1990-02-13 1991-08-14 Kinshofer Greiftechnik Hydromotor
DE4104712C2 (de) * 1991-02-15 1995-11-16 Rexroth Mannesmann Gmbh Radialkolbenmaschine mit mechanischer Bremseinrichtung
US5186284A (en) * 1991-05-31 1993-02-16 Case Corporation Fail safe self-adjusting disc brake
DE4214397C2 (de) * 1992-04-30 1995-07-06 Hydromatik Gmbh Hydrostatischer Motor mit einer Bremseinrichtung
US5601160A (en) * 1994-10-20 1997-02-11 Case Corporation Hydraulically actuated brake assembly for an off-highway impl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062A (ko) * 2018-09-10 2020-05-20 케이와이비 가부시키가이샤 브레이크 시스템 및 이것을 구비하는 액압 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6020355A1 (fr) 1996-07-04
DE69528600D1 (de) 2002-11-21
US6006872A (en) 1999-12-28
CN1175299A (zh) 1998-03-04
EP0797020A1 (en) 1997-09-24
DE69528600T2 (de) 2003-06-18
JPH08177899A (ja) 1996-07-12
KR100326890B1 (ko) 2002-08-13
EP0797020B1 (en) 2002-10-16
EP0797020A4 (en)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49175A (ja) 可変容量型油圧ポンプまたはモ−タの制御装置
US5857330A (en) Travelling control circuit for a hydraulically driven type of travelling apparatus
KR980701069A (ko) 유압 모터의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for a Hydraulic Motor)
JP3549124B2 (ja) カウンタバランス弁
JP7162659B2 (ja) 走行モータシフトバルブ、走行モータおよび工学機械
JP5571350B2 (ja) 液圧モータ駆動装置
JP3623101B2 (ja) ハイドロスタティ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システム
US6050091A (en) Brake device for oil hydraulic motor
EP0793022A1 (en) Fluid brake device
JP2002339905A (ja) 流体モータの駆動回路
KR100660783B1 (ko) 유압모터의 자동변속기구
EP0857878B1 (en) Relief mechanism, and hydraulic circuit equipped with relief mechanism
KR970003503B1 (ko) 브레이크밸브
US7069723B2 (en) Anti-reaction valve device, and control unit and hydraulically powered system comprising anti-reaction valve device
JP2654953B2 (ja) 2速モータの制御装置
JP2019219017A (ja) 液圧モータユニット
JPH0571796B2 (ko)
JPH02566B2 (ko)
CN108953262B (zh) 可微动控制的液压阀、液压控制系统及工程机械
JPH11108014A (ja) 油圧シリンダの駆動回路
JPH08177086A (ja) 旋回用油圧モータの油圧回路
JP2545337B2 (ja) プレス
JPH077601Y2 (ja) 合流制御装置
JPH0444121B2 (ko)
JP2513152Y2 (ja) ミストポン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