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171A -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171A
KR980010171A KR1019970035427A KR19970035427A KR980010171A KR 980010171 A KR980010171 A KR 980010171A KR 1019970035427 A KR1019970035427 A KR 1019970035427A KR 19970035427 A KR19970035427 A KR 19970035427A KR 980010171 A KR980010171 A KR 98001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indoor
pipe
indoor unit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5582B1 (ko
Inventor
에이지 와끼자끼
요시하루 시노부
히로유끼 이이다
미와 가미이
미찌아끼 오시까네
아끼라 오오쯔끼
다까시 가시모또
Original Assignee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473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200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01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4770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21947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76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958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4697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745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280579B2/ja
Application filed by 쯔지 하루오, 샤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쯔지 하루오
Publication of KR98001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5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with a moving bed of solid desiccants, e.g. a rotary wheel supporting solid desicc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2Refrigerant piping for connecting the separate outdoor units to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4Protection means thereof, e.g. covers for refriger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58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 F24F2003/146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using regenerators using rotating re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04Bearings or driv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12Details of the casing or co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32Desiccant 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56Rotary wheel comprising a re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68Rotary wheel comprising one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03/00Devices or apparatus used for air treatment
    • F24F2203/10Rotary wheel
    • F24F2203/1084Rotary wheel comprising two flow rotor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15Duct humid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실내의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가 개량된 공기 조화기가 제공된다. 이 가습부는 흡습성 및 통기성을 가진 가습용 부재(2)와, 실외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고, 가습용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거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가습용 부재에 흡착시켜서 건조시키고,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제1 공기류 통로(T0, T1)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고, 가열하여 가습용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가습용 부재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가습하고, 실내로 배기하기 위한 제2 공기류 통로(T0, T2)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내 공기의 가습을 위한 공기의 흡입구는 실내측에 하나 설치하면 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이 간단해져서 소형화되고,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 실외와 공기 조화기가 떨어져 있어도 실외의 공기를 흡기할 필요는 없으므로, 송풍 부하가 경감되고, 소음 경감이 도모되고, 또 종래에 비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가습 장치의 열교환기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재 4a 도 내지 제 4c 도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내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관도.
제 5a 도, 제 5b 도 및 제 5c 도는 도4에서 도시되는 일체로 된 배기 덕트, 냉매 배관 및 드레인 배수 파이프의 단도.
재 6 도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가습 장치의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가습 장치의 사시도.
제 8a 도, 제 8b 도, 제 8c 도 및 제 8d 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통풍 덕트의 냉매 파이프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 9a 도, 제 9b 도 및 제 9c 도는 제 8a 도 내지 제 8d 도의 접속 부분의 단면도.
제 10a 도a 및 제 10b 도b는 제 8a 도 내지 제 8b 도의 통풍 덕트의 측면도.
제 11a 도a와 제 11b 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통풍 덕트와 냉매 파이프를 동심형으로 수납 하여 실내기와 실외기를 접속하는 배관의 단면도.
제 12 도는 제 11a 도와 제 11b 도의 통풍 덕트의 측면도.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 14 도는 제 13 도의 각종 배관이 배관 구멍에 삽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15 도는 제 13 도의 환기 덕트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 16 도은 제 13 도의 실내기에 형성되는 작업 창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 17 도는 제 16 도의 작업창에의 덮개 부재의 착탈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제 18 도는 제 16 도의 작업창으로부터 각종 배관이 실내기의 하방으로 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19 도는 제 17 도의 재봉 눈을 절결한 부분으로부터 배관이 실내기의 하방으로 나온 상태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
제 20 도는 제 13 도의 실내기의 측면으로부터 배관이 외부로 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이용되는 웨더 카버의 분해도.
제 22 도는 제 21 도의 웨더 카버 내의 배관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 23 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를 위한 배관 카버의 요부 단면도.
제 24 도는 재 23 도의 배관 카버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 25 도는 제 23 도의 배관 카버의 요부의 외관 사시도.
제 26 도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배관 카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
제 27 도는 일본 특허 공개 소63-286634호 공보에 기재된 가습 장치의 구성도.
제 28a 도와 제 28b 도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도.
제 29a 도, 제 29b 도, 제 29c 도 및 wp 29d 도는 제 28a 도와 제 28b 도의 통풍 덕트의 근방의 확대도.
제 30 도는 일본 특허 공개 평4-73531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환기 통로 부근의 단면도.
제 31a 도와 제 31b 도는 제 30 도의 환기 통로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31 : 열교환기
2 : 흡착재
3, 34 : 구동용 모터
4 : 구동 벨트
5 : 흡입구
6, 9, 17, 37, 38 : 팬
7, 10, 35, 36 : 공기류
11, 40 : 히터
12 : 히터 덕트
13 : 송풍구
19 : 댐퍼
20 : 실내기
21 : 가습 장치
22 : 배기용 덕
23 : 냉매 배관
24 : 배수 파이프
25 : 배관 구멍
39 : 덕트
41, 42 : 벨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습을 위한 급수가 불필요한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가습을 위한 급수가 불필요한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가 있다. 이 공기 조화기에서는 가습을 위해 흡습성 및 통기성을 갖는 재료(이하, 흡착재라 함)가 이용된다. 가습이 행해질 때, 우선 흡착재에 공기중의 수분이 흡착되면 다음에 히터로 가열된 온풍이 흡착재를 통과하므로, 상기 흡착재로부터 이탈한 수분은 온풍에 흡착되고, 상기 온풍은 가습된 공기가 되어 실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은 급수가 불필요한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소63-286634호 공보에 기재된 가습 장치가 있다. 이는, 실외 공기로부터 수분을 들여와 실내를 가습하는 것이다. 도27은 일본 특허 공개 소63-286634호 공보에 개시된 가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 가습 장치는 실외 공기를 상기 장치에 통과시키기 위한 관의 입구로부터 들어온 실외 공기는 관 축방향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있는 고체 흡착재(131)를 통과할 때, 포함되어 있는 수분이 흡착재(131)에 흡착되고, 건조된 공기로 되어 출구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실내 공기를 상기 장치로 통과시키기 위한 관의 입구로부터 들어온 실내 공기는 히터(132)에 의해 가열되고, 고체 흡착재(131)를 통과할 때 흡착재(131)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을 탈리하여 흡착하고, 습도 높은 공기가 되어 출구로부터 가습된 공기로 되어 실내로 송출된다. 또, 고체 흡착재(131)는 구동용 모터(133)에서 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도27의 가습 장치에서는 실외 공기와 실내 공기를 장치 내부에 들여 오고 있으므로, 장치 내부에서 각각의 공기류 통로가 필요해지며, 또 이들은 독립한 것이어야 하므로 장치의 소형화가 저해된다. 또, 가습 장치와 실외의 거리가 있으면, 실외 공기를 흡입 및 배기하는 데 송풍에 의해 압력 손실이 커져서 이는 송풍 부재의 대형화 및 소음의 증대 등의 문제를 일으킨다.
또, 종래의 공기 조화기로서, 환기, 제습, 상술한 무급수 가습 등 때문에 실외기와 실내기를 접속하는 통풍 덕트를 구비한 것이 있다. 제 28a 도와 제 28b 도는 종래의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121)와 실외 공기를 실내기(121)로 유도하는 통풍 덕트(122)가 도시된다. 또, 실내기(121)를 거치하는 경우, 실내기(121)로부터는 통풍 덕트, 냉매 파이프, 드레인 파이프, 전력선 등이 도28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실내기(121)의 측면을 통하거나, 실내기(121)의 상면 또는 하면을 통하고 나서 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을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실외기에 접속된다. 도29a 내지 도29d는 도28a와 도28b의 통풍 덕트(122)의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29a에 있어서, 통풍 덕트(122)의 근방에는 냉매 파이프(125), 도28a와 도28b의 실내기(121)의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한 드레인을 실외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126) 및 실내기(121)로부터 실외기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127)이 설치된다.
또, 실내기(121)의 거치시에는 대개는 실내기(121)측에는 연장용 냉매 파이프가 사용되어 실외기측의 냉매 파이프와 연장용 냉매 파이프의 접속 부분은 실내기(121)측에 배치된다. 이 접속 부분의 구조가 도29b와 도29c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기측의 냉매 파이프(125a)와 연장용 냉매 파이프(125b)를 접속하는 접속 부분(124)에는 너트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냉매 파이프(125(125a, 125b))의 직경에 대해 접속 부분(124)의 직경은 굵어진다. 접속 부분(124)은 통풍 덕트(122)의 근방에서 통풍 덕트(122)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또, 냉매 파이프(125) 및 접속 부분(124)은 표면을 단열 테이프로 감거나 실내용 카버로 덮는다.
또, 제 29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23) 내부에 통풍 덕트(122), 냉매 파이프(125), 드레인 파이프(126) 및 전력선(127)을 수납하고 일체적으로 구성한 것이 있다. 이 경우, 냉매 파이프(125)의 접속 부분(124)은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직경이 굵어지며, 통풍 덕트(122)의 근방에 위치하게 된다.
제 28a 도와 제 28b 도 및 제 29a 도 내지 제 29d 도에 도시된 공기 조화기에서는 냉매 파이프(125) 및 접속 부분(124)에 단열 테이프가 감길 때 접속 부분(124) 부근에서 대향하는 통풍 덕트(122)에 힘이 가해지고, 통풍 덕트(122)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접속 부분(124)의 직경이 너트 분 만큼 융기되기 때문에, 그 부분의 통풍 덕트(122)와 냉매 파이프(125)의 사이의 공간을 확보하여 접속 부분(124)과 통풍 덕트(122)의 접촉을 방지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었다. 이에 의해 큰 무효 공간이 발생되어 버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 중에서 환기 기능을 구비한 것이 일본 특허 공개 평4-7353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제 30 도는 일본 특허 공개 평4-73531호 공보에 기재된 공기 조화기의 환기 통로 부근의 단면도이다. 제 31a도와 제 31b 도는 제 30 도 의 환기 통로의 단면도이다. 제 30 도에 있어서 공기 조화기는 실내와 실외를 구분하는 벽(115)의 실내측에 실내기(114)를 구비한다. 실내기(114)측의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경우에, 실외의 송풍기(107)에 의해 실내 흡배기구(108)로부터 실내 공기가 덕트(105)에 흡입되어 슬리브(106)를 통하여 실외 흡배기구(109)로부터 취출된다. 실외 공기를 실내로 흡기하는 경우에는 송풍기(107)에 의해 흡배기구(109)로부터 실외 공기가 슬리브(106) 내로 흡입되고, 덕트(105)를 통과하여 흡배기구(108)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슬리브(106)는 벽(115)을 관통하여 냉매 배관(110), 드레인 호스(111) 및 전력선(116)을 실내로부터 실외로 도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슬리브(106) 내에는 또 환기용 통로(117)가 설치된다.
환기용 송풍기(107)와 실내기(114)의 정면측으로 빠지는 덕트(105)는 슬리브(106)와 연통하여 환기 통로(117)가 형성된다. 냉매 배관(110), 드레인 호스(111) 및 전력선(116)이 슬리브(106) 내에서 일체적으로 묶인 배관 다발(112)에는 슬리브(106) 내에 환기 통로(117)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 판(113)이 부착된다.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에서는 냉매 배관(110), 드레인 호스(111) 및 전력선(116)을 슬리브(106) 내에서 배관 다발(112)로 하여 정리하고, 슬리브(106) 내의 나머지 공간을 송풍 통로(117)로서 이용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배관 공사시에 벽(115)에 형성된 배관용 관통 구멍에 냉매 배관(110), 드레인 호스(111) 및 전력선(116)을 삽통시키는 경우, 배관용 관통 구멍과 같은 직경의 슬리브(106)를 배관용 관통 구멍에 삽통해야 하므로, 슬리브(106)를 배관용 관통 구멍에 삽통하는 것은 곤란해지고, 공기 조화기의 부착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부터,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부터의 드레인수의 배수관 및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 파이프 등의 배관과 전선을 수납하여 확보하기 위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형상과 기능을 갖는 배관 카버가 이용된다. 이들 배관과 전선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로부터 벽의 관통 구멍을 거쳐서 벽에 따르도록 절곡되어 실외기에 배치될 때에는 벽에 따르는 직선상의 배관 카버와 관통 구멍에 접속하고, 배관의 굴곡부를 보호화기 위한 코너부의 배관 카버가 설치된다.
코너부의 배관 카버로서, 일본 특허 공고 소62-48119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의 관통 구멍과 벽면에 따르는 별도의 배관 카버에 접속하여 배관류의 팽창된 굴곡부를 덮기 위해 코너부의 배관 카버를 이분하여 부착 공사를 용이하게 한 것이 있다.
또,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3-52028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공기의 흡배기시의 비바람의 실내로의 침입 방지에 관하여 실내의 흡배기 환기 팬이 덕트의 실외측에 설치되고, 실내로의 비바람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 방충용 스크린을 갖는 후드형 웨더 카버가 있다.
또, 일본 특허 공개 평5-71753호 공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외 공기의 유통을 위한 통기구에 관해, 벽의 관통 구멍의 실외측에 공기 조화기와 연동하는 환기 유니트를 구비하여 벽의 관통 구멍의 벽 구멍용 파이프의 내부 공간을 배관류의 삽통로와 환기용 흡기로와 배기로로 구획하고, 외부의 환기 유니트의 하부에 흡기창을 구비한 것이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은 배관류의 굴곡부를 덮는 코너부의 배관 카버에서는 벽에 따르는 별도의 배관 카버에 구경이 다른 것을 사용하고 싶을 때 접속부의 치수의 차이로 인해 부착 공사가 복잡해지고 있었다.
또, 후드형 웨더 카버를 배관류의 코너부에 설치하면 실외기의 설치 조건으로부터 배관류를 어느 쪽 횡방향으로 배향하여 굴곡시키고 싶을 때는 웨더 카버의 측면에 배관 카버를 관통하는 별도의 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 환기 유니트의 아래 등에 단순히 흡기창을 개구한 것 만으로는 개구부로부터 비바람이나 벌레의 침입을 방지할 수가 없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이 우수하고, 또 부착이 용이한 가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갖는다. 그리고 이 가습부는 흡습성 및 통기성을 가진 가습용 부재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고 이 가습용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거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가습용 부재에 흡착시켜서 건조시키고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제1 공기류 통로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고 가열하여 가습용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가습용 부재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가습하고 실내로 배기하기 위한 제2 공기류 통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의 가습을 위한 공기의 흡입구는 실내측에 하나 설치하면 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이 간단해져서 소형화되고,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 실외와 공기 조화기가 떨어져 있어도 실외의 공기를 흡기할 필요는 없으므로, 송풍을 위한 부하는 작다. 게다가, 장치의 소형화와 소음 경감이 도모되고, 또 종래에 비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된다.
상술한 공기 조화기는 제1 공기류 통로만을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환기 장치로서 기능한다.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면, 배기된 공기와 같은 양의 공기가 자연 환기에 의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하므로 효과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다.
상술한 공기 조화기는 제1 공기류 통로에 의한 수분의 흡착과 제2 공기류 통로에 의한 수분의 증발이 연속해서 행해지도록 가습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가습용 부재가 회전하여 수분의 흡착과 증발이 연속하여 행해지므로 실내 공기의 가습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고, 성능이 우수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공기 조화기는 제1 공기류 통로 및 제2 공기류 통로에 공유하여 설치되고, 가습용 부재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 및 실외의 어느 한 쪽으로 교대로 절환하면서 배기시키기 위한 절환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절환부가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에 공유하여 설치되므로,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는 실내로부터 공기 흡입구로부터 가습용 부재의 공기 통과 후의 위치 까지의 사이에서 공용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가 더욱 소형화되어 부착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공기 조화기는 가습용 부재를 공기가 통과 가능하게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가습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구동부로부터 수용부로 전달하기 위한 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되게 하여 구비되어도 좋다.
따라서, 가습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을 위한 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므로 이 공기 조화기는 더욱 소형화되어 부착은 용이해진다. 또, 수용부에 확실하게 회전하기 위한 동력이 전달되므로 우수한 가습 기능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공기 조화기는 적어도 가습용 부재 및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통된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는 각종 배관 및 실내기로부터 배기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덕트에 의해 벽을 사이에 두고 실내기에 접속되는 실외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특히, 이 경우에, 냉매 파이프가 제1 및 제2 부분 파이프의 각 부분 파이프 보다 직경이 큰 접속 부재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구성되고, 또 덕트가 냉매 파이프의 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접속 부재와 대향하는 덕트 면에는 접속 부재와 덕트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덕트 냉매 파이프의 접속 부분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덕트 및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는 각종 배관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상술한 공기 조화기는 적어도 가습용 부재 및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통되는 각종 배관에 의해 벽에서 떼어 실내기에 접속되는 실외기와, 실내기로부터 배기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 한 쪽 단이 실내기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이 관통 구멍이 실내측의 단부에 삽입되는 덕트를 더 구비하고, 이 덕트의 다른 쪽 단의 단면 형상이 관통 구멍의 단면 영역 중 각종 배관이 삽통된 후의 나머지 영역의 형상과 일치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관통 구멍에 있어서 각종 배관이 덕트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환기용 덕트를 이용한 공기의 유통로가 확실히 확보된다. 게다가, 상기 공기 조화기에 의한 환기에 관한 부하가 저감되어 소음이 억제되고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공기 조화기는 적어도 가습용 부재 및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실내기와는 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실외기와, 실내기와 실외기를 접속하기 위해 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통된 각종 배관과, 실내기로부터 배기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 가능하게 관통 구멍을 거쳐 설치된 통풍로와, 관통 구멍의 실외측 단부에서 각종 배관과 통풍로를 구분하면서 내포하여 확보하는 배관 카버를 구비하여, 이 배관 카버가 통풍로의 공기 출입구 부근에 실외로부터 통풍로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을 갖는 통기구가 설치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따라서,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통풍로로부터 실내(실내기)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공기 조화기의 고장이 회피된다.
상술한 배관 카버는 실외의 비 또는 바람이 통기구로부터 통풍로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구를 덮는 웨더 카버를 구비하여 이 웨더 카버는 배관 카버의 부착 방향에 불구하고, 통기구를 유통하는 공기가 하방으로 흐르도록 배관 카버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게 해도 좋다.
따라서, 배관 카버의 부착 방향, 즉 실외에 있어서의 배관의 배향에 불구하고 통기구를 유통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흐르게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실내와 실외의 공기의 환기시에 비 또는 바람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 상술한 웨더 카버는 하방과는 대향되는 부위에 하방으로부터 침입하는 바람이 빠져 나가는 벤트부가 설치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통기구를 거쳐서 통풍로에 침입하는 바람의 풍압이 완화되어 배관 카버의 손상이 회피된다. 또, 통풍로에 바람이 침입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제되고, 성능이 좋은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7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제 1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가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2는 도1의 가습 장치의 열교환기의 구동 기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1에 있어서 가습 장치는 내부에 흡착재(2)를 갖는 통기 가능한 열교환기(1), 열교환기(1)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모터(3) 및 구동 벨트(4), 실내로 통하는 공기의 흡입구(5), 가습 장치 내에서의 화살표로 표시된 공기류(7, 7A, 10 및 10A)를 만들기 위한 팬(6 및 9), 실외로 통하는 공기의 배기구(8),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11) 및 히터 덕트(12) 및 실내로 통하는 공기의 송풍구(13)를 구비한다.도1에 있어서 화살표(7(7A), 10(10A))는 각각 열교환기(1)에 관련한 공기의 재 1도는 도시하고 있다. 제 2 도에는 열교환기(1), 구동용 모터(3) 및 구동 벨트(4)의 연결 상태, 또 흡착재(2)에 있어서의 공기류(7) 및 공기류(10)가 통과하는 영역(범위)이 도시된다.
제 1 도의 가습 장치의 원통형 열교환기(1) 내부에는 벌집형 흡착재(2)가 조립된다. 흡착재(2)는 본 실시예와 같은 벌집형일 필요는 없고, 격자형, 스폰지형 및 그물형 등 통기 가능한 것이면 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용 모터(3)에는 모터(3)에 의해 회전하는 원통형 치차(3A)가 부착된다. 원통형 열교환기(1)의 외주면과 치차(3A)에 구동 벨트(4)가 걸린다. 구동 벨트(4)의 내면은 요철형으로 되어 있으며, 치차(3A)와 맞물린다. 게다가, 치차(3A)가 구동용 모터(3)에 의해 회전하면, 구동 벨트(4)도 회전하고, 그것과 함께 열교환기(1)도 회전한다. 열교환기(1)는 약 10 내지 30 rph의 속도로 회전한다. 열교환기(1)가 회전하면 그에 일체로 되어 있는 흡착재(2)도 회전한다.
제 1 도의 가습 장치에는 팬(6, 9)의 구동에 의해 복수의 공기류 통로가 설치되고, 각각에 공기가 흐른다. 도1에 있어서, 실내로 통하는 흡입구(5)로부터 공기류 통로(T0)가 연장되어 있으며, 도중에 제1 공기류 통로(T1) 및 제2 공기류 통로(T2)로 분기한다.
제1 공기류 통로(T1)에는 팬(6)이 부착되어 있다. 팬(6)이 작동하면 실내로 통하는 흡입구(5)로부터 실내 공기가 취입되고, 공기류(7)로 되어 제1 공기류 통로(T1)을 흐른다. 그리고, 공기류(7)는 도중에 흡착재(2)를 통과하고 배기구(8)로부터 실외로 보내진다.
제2 공기류 통로(T2)에는 팬(9)이 부착된다. 팬(9)이 작동하면 흡입구(5)로부터 실내 공기가 도입되고, 공기류(10)로 되어 제2 공기류 통로(T2)를 흐르고, 흡착재(2)를 통과한다. 제2 공기류 통로(T2)에 있어서, 흡착재(2) 보다 공기류(10)의 상류측에 히터(11)와 히터(11)의 주위를 덮도록 히터 덕트(12)가 설치된다. 공기류(10)는 제2 공기류 통로(T2)를 통하여 히터 덕트(12)로 보내지고, 히터 덕트(12) 내의 히터(11)로 가열되고 나서 흡착재(2)를 통과하여 송풍구(13)로부터 실내로 보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공기류 통로(T1) 및 제2 공기류 통로(T2)는 공기류(7)와 공기 흐름(10)이 함께 흡착재(2)를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1 공기류 통로(T1) 및 제2 공기류 통로(T2)는 각각 독립한 공기류 통로이므로 흡착재(2)의 일부분에 한 쪽 공기류가 통과하면 다른 쪽 공기류가 동시에 그 부분을 통과하는 일은 없다. 즉, 도2 중 화살표(14)로 표시된 범위(이하, 영역 A라 함)에 대응하는 흡착재(2)의 부분에는 공기류(7)밖에 통과시키지 않고, 히터 덕트(12)에 대향하는 위치(이하, 영역 B라 함)의 흡착재(2)의 부분에는 공기류(10)밖에 통과하지 않는다.
제 2 도 중 점(15)는 흡착재(2) 상의 일점을 표시한다. 흡착재(2)는 회전하므로 점(15)도 흡착재(2)와 함께 회전 이동한다. 화살표(16)는 점(15)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다. 화살표(16)와 같이 점(15)이 이동하면, 점(15)이 영역(A)에 있을 때(화살표(16)의 실선 부분), 점(15)은 공기류(7) 만이 통과하고 점(15)이 영역(B)에 있을 때(화살표(16)의 점선 부분), 점(15)은 공기류(10) 만이 통과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가습 장치에 있어서, 팬(6) 및 팬(9)이 작동하면 실내 공기가 가습 장치 내로 흡입된다. 제1 공기류 통로(T1)를 통한 공기류(7)는 영역(A)에 있는 흡착재(2)의 부분을 통과한다. 이 때, 공기류(7) 중의 수분은 흡착재(2)로 흡착된다. 탈수되어 건조된 공기류(7A)는 제1 공기류 통로(T1)를 통하여 배기구(8)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공기류(10)는 제2의 공기류 통로(T2)를 통하여 히터 덕트(12)로 보내고, 히터(11)로 가열된다. 그 후, 공기류(10)가 흡착재(2)를 통과할 때, 흡착재(2)는 열교환기(1)와 함께 구동 모터(3)에 의해 회전하므로 공기류(7) 중의 수분을 흡착한 흡착재(2)의 부분은 영역(B)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열된 공기류(10)가 수분을 포함한 흡착재(2)의 부분을 통과할 때, 흡착재(2)에 흡착되어 있는 수분이 증발되어 수증기가 발생한다. 이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류(10A)는 제2 공기류 통로(T2)를 통하여 송풍구(13)로부터 실내로 보내진다.
제 1 도의 가습 장치에 있어서, 팬(6)과 팬(9) 중 팬(6) 만을 작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팬(6)만이 작동하면,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된다. 실내 공기가 배기되면 배기된 실내 공기와 같은 양의 실외 공기가 자연 환기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내의 환기를 행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
제 3 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중 화살표(18, 18 및 18b)는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통기 가능한 직방체의 열교환기(1)의 내부에는 흡착재(도시 않음)가 조립된다. 흡착재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통기 가능한 것이면 된다.
본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공기류 통로(T0, T1및 T2)가 설치되고, 거기에 공기류(18, 18a 및 18b)가 생긴다. 공기류 통로(T0)는 공기류(18)가 실내로 통과하는 흡입구(5)로부터 열교환기(1) 내의 흡착재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공기류 통로(T0)에 있어서 흡착재 보다 공기류(18)의 하류측에 팬(17)이 설치된다. 팬(17)이 작동하면 실내 공기가 흡입구(5)로부터 도입되고, 공기류(18)로 되어 공기류 통로(T0)를 흐른다.
공기류 통로(T0)에 있어서, 흡착재 보다 공기류(18)의 상류측에 히터(11)가 배치된다. 히터(11)가 작동하고 있을 때는 공기류(18)는 히터(11)에 의해 가열된 후에 흡착재를 통과한다. 히터(11)가 정지하고 있을 때는 공기류(18)는 가열되지 않고 흡착재를 통과한다.
공기류 통로(T0)는 팬(17)의 하류측에서 제1 공기류 통로(T1) 및 제2 공기류 통로(T2)로 분기된다. 공기류 통로(T0)의 분기점에는 댐퍼(19)가 설치된다. 도3 중의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9)가 위치(19 a)에 있으면 공기류(18)는 제1 공기류 통로(T1)를 통과하고 배기구(8)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또, 도3 중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19)가 위치(19b)에 있으면 공기류(18)는 제2 공기류 통로(T2)를 통하고 송풍구(13)로부터 실내로 보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 있어서, 우선 팬(17)이 작동하면, 실내 공기가 장치 내에 흡입된다. 실내 공기는 공기류(18)로 되어 공기류 통로(T0)를 통과하고, 그 도중에서 흡착재를 통과한다.
팬(17)이 작동하기 시작하고 나서 일정 시간 내에는 히터(11)는 정지하고, 댐퍼(19)는 위치(19a)에 있다. 이 때, 공기류(18)는 가열되지 않고 흡착재를 통과하여 공기류(18) 중의 수분이 흡착재에 흡착된다. 댐퍼(19)는 위치(19a)에 있으므로 탈수되어 건조한 공기류(18a)(도면중 실선)는 제1 공기류 통로(T1)를 통하여 배기구(8)로부터 실외로 배기된다. 이를 제1 과정이라 한다.
제1 과정 후, 일정 시간, 히터(11)는 작동하고, 댐퍼(19)는 위치(19b)에 있다. 이 때, 공기류(18)는 히터(11)로 가열된 후에 흡착재를 통과한다. 가열된 공기류(18)가 수분을 포함한 흡착재를 통과하면 흡착재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이 증발하여 수증기가 발생한다. 댐퍼(19)가 위치(19b)에 있으므로,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류(18b)(도면중 점선)는 제2 공기류 통로(T2)를 통하여 송풍구(13)로부터 실내로 보내진다. 이를 제2 과정이라 한다. 제2 과정 후, 다시 제1 과정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는 제1 과정과 제2 과정을 교대로 반복하여 행한다. 즉, 어느 일정 시간 내에서는 공기중으로부터 가습을 위한 수분을 섭취하고, 그 후 일정 시간 내에서는 그 수분을 방출하여 공기를 가습한다. 이를 교대로 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가 가습된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는 실내 공기로부터 수분을 도입하고, 다시 실내 공기로 복귀하고 있으므로,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을 실외로 빠져 나가지 않게 하고 있을 뿐이다. 그러나, 동시에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고 있으므로, 배기한 실내 공기와 같은 양의 실외 공기가 자연 환기에 의해 실내로 유입한다. 이 실외 공기 중의 수분에 의해 실내 공기 중의 수분이 증가하고, 실내 공기가 가습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과정 및 제2 과정을 교대로 행하지 않고, 댐퍼(19)를 위치(19a)에 유지하여 팬(17) 만을 작동시키면(히터(11)는 작동 않음), 실내 공기의 실외로의 배기가 행해진다. 실내 공기가 배기되면 배기된 실내 공기와 같은 양의 실외 공기가 자연 환기에 의해 실내로 유입되므로 실내의 환기를 행할 수 있다.
제 4 도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가습 장치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내장한 상태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상술한 가습 장치를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내에 조립한 때, 가습 장치의 배기용 덕트와 실내기의 냉매 배관 및 드레인 배수 파이프는 벽에 설치된 관통하는 배관 구멍을 공용하면 된다. 배관 구멍은 공용되는 실내기를 부착하기 위한 공사가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그 구체예가 도4에 도시된다.
제 4 도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도시되지 않은 실외기와 벽에 설치된 배관 구멍(25)을 거쳐서 접속되는 실내기(20)가 도시된다. 실내기(20)에는 전술한 가습 장치(21)가 내장된다. 도면 중에서는 가습 장치의 배기용 덕트(22), 공기 조화기의 냉매 배관(23) 및 드레인 배수 파이프(24)가 일체로 되어 배관 구멍(25)을 공용하고 있다. 또, 실외측에서 배관(25)을 덮는 카버(26)를 부착함으로써 비바람이 구멍(25)으로부터 실내로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5a, 도5b 및 도5c는 도4에서 도시되는 일체로 된 배기 덕트(22), 냉매 배관(23) 및 드레인 배수 파이프(24)의 단면도이다. 배기 덕트(22), 냉매 배관(23) 및 드레인 배수 파이프(24)는 예를 들면 도5a, 도5b 및 도5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일체화된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는 안정성 및 신뢰성을 가진 가습 성능을 구비하고, 또 소형화가 추진된 가습 장치가 제공된다.
제 6 도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가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6의 가습 장치는, 회전하는 열교환기(31), 열교환기(3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용 대형 기어(32), 구동용 소형 기어(33) 및 구동용 모터(34), 상기 장치 내의 공기류(35 및 36)를 발생시키기 위한 팬(37 및 38), 실외로 통하는 덕트(39) 및 히터(40)를 포함한다.
통기 가능한 열교환기(31)의 내부에는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재가 형성된다. 열교환기(31)는 그 외주에 기어(3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기어(32)와 연동하는 기어(33)가 부착된 회전 구동 부재인 구동용 모터(34)가 회전함으로써 느린 속도(약 10 내지 30 rph)로 회전 구동된다. 제1 공기류(35) 및 제2 공기류(36)는 실내 공기이다. 제1 팬(37)에 의해 실내로부터 취입된 제1 공기류(35)는 열교환기(31)를 통과할 때 흡착재에 의해 그 수분이 흡착되고 건조 공기가 되며, 제1 팬(37) 및 덕트(39)를 통하여 실외로 배기된다. 제2 팬(38)에 의해 실내로부터 취입된 제2 공기류(36)는 히터(40)를 통과할 때 가열되고, 온도가 올라간 공기로 되어 열교환기(31)를 통과한다. 이 때, 흡착재에 미리 흡착된 수분은 증발하므로 공기류(36)는 고습 공기가 되어 제2 팬(38)을 통하여 실내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실내로부터 실외로 건조 공기를 배기하고 실외로부터 자연 환기에 의해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유입됨으로써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되는 수분량이 증가하고, 습도의 상승이 가능해진다.
또, 열교환기(31) 내부의 흡착재의 형상은 벌집형, 격자형 그물형 및 스폰지형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 공기의 유통이 가능하면 어떤 형상이라도 좋다.
또,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공기류(35) 및 제2 공기류(36)를 형성하기 위한 제1 팬(37) 및 제2 팬(38)은 열교환기(31)에 대해 공기 흡입측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열교환기(31)에 공기를 밀어 넣는 측(도6에 도시한 열교환기(31)의 좌측, 즉 열교환기(31)의 공기가 들어가는 쪽)에 위치해도 좋다. 그 경우, 팬은 두 대일 필요는 없고, 1대로 제1 공기류(35) 및 제2 공기류(36)를 형성해도 좋다.
또, 구동용 대형 기어(32)에 대해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기(1)의 폭 보다 작은 폭의 것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열교환기(31)를 흡착재에 관해 통기 가능하도록 케이스로 덮고, 상기 케이스 표면에 형성되는 것이라도 좋다. 또, 구동용 소형 기어(33)의 회전에 의해 열교환기(31)가 회전하는 구조이면 기어(32)는 열교환기(31)에 직접 접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와 같이, 도6의 제3 실시예의 가습 장치는 열교환기(31)의 회전에 관해, 기어(32), 구동용 모터(34) 및 기어(33)가 설치되고, 구동용 모터(34)에서 기어(32)와 기어(33)를 맞물리면서 회전시킴으로써 열교환기(31)가 회전된다. 따라서, 열교환기(31) 및 구동용 모터(34)에 걸쳐진 공통의 구동 벨트를 이용하여 열교환기(31)를 회전시키는 가습 장치에 비해 본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서는 열교환기(31)와 구동용 모터(34)를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장치가 소형화된다. 또, 구동용 모터(34)의 회전은 기어(32 및 33)를 거쳐서 열교환기(31)에 전달되므로, 본 실시예의 가습 장치는 전술한 구동 벨트를 이용한 가습 장치에 비교하여 열교환기(31)의 회전 불균일이나 회전하지 않는 등의 상황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안정된 가습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는 제3 실시예의 가습 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가습 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을 이루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7 도의 가습 장치는, 열교환기(31)의 내부에 흡착재가 형성된다. 열교환기(31)는 그 외주에 마찰 계수가 높은 부재인 벨트(41)가 접착하여 고정되어 마찰 계수가 높은 부재인 벨트(42)가 부착된 구동용 모터(34)가 회전함으로써 느린 속도(약 10 내지 30 rph)로 회전 구동된다.
벨트(41) 및 벨트(42)는 각각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므로 마찰 계수가 높다. 또, 요철의 형상 대신에 벨트(11) 및 벨트(12)를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구성해도 좋다.
제 7 도에서 구동용 모터(34)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43) 및 스프링(44)을 이용하여 벨트(11)와 벨트(12) 사이에 항상 일정한 압력이 걸리도록 고정된다.
제 7 도의 장치에 있어서의 공기의 흐름이나 가습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며, 열교환기(31)의 형상이나 팬(37, 38)의 부착 위치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벨트(41)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31)의 폭 보다 작은 것일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열교환기(31)를 케이스로 덮고, 이 케이스 표면에 형성되어도 좋다. 또, 벨트(41)는 벨트(42)의 회전에 의해 열교환기(31)가 회전하는 구조라면 열교환기(31)에 직접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간접적으로 접속 고정되어 있으면 된다.
또, 벨트(41)와 벨트(42) 사이에 항상 일정한 압력이 걸리게 하기 위해 스프링(43, 44)으로 대체하여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벨트(41, 42) 사이에 일정 압력을 걸기 위해, 도7과 같이 구동용 모터(34)를 탄성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열교환기(31)를 탄성적으로 고정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서는 열교환기(31)에 벨트(41)를 설치하고, 구동용 모터(34)에 벨트(42)를 설치하고, 열교환기(31)와 구동용 모터(34)는 벨트(41)와 벨트(42)가 압접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서는 열교환기 및 구동용 모터에 걸쳐진 공통의 구동 벨트를 이용한 가습 장치에 비해 열교환기(31)와 구동용 모터(34)에 근접하여 배치할 수 있고, 장치의 소형화가 추진된다. 또, 구동용 모터(34)의 회전은 마찰 계수가 높은 벨트(41, 42)를 거쳐서 열교환기(31)에 전달되므로 회전 불균일이나 회전하지 않는 상황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 높은 가습 성능을 안정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구동용 모터(34)는 스프링(43, 44)으로 고정되므로, 열교환기(31)와 구동용 모터(34)의 위치 관계를 스프링(34, 44)의 탄성력에 의해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31)와 구동용 모터(34)의 조립 정밀도가 간소화되고, 조립성이 향상되고 조립 시간이 감소된다. 따라서, 가습 장치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가습 장치에서는, 처음에는 팬(37)에 의해 실외로부터 도입된 공기류(35)는 열교환기(31)를 통과할 때 흡착재에 의해 그 속의 수분이 흡착되고 건조 공기로 된다. 이 때, 흡착재에 의해 일정량의 수분이 흡착되면 그 이상은 흡착되지 않고, 실내의 공기와 마찬가지의 습도를 유지한 채 팬(37) 및 덕트(39)를 통해 실외로 배기되므로, 환기가 가능해진다. 이 때, 열교환기(31)의 구동용 모터(34) 및 팬(38)이 운전하고 있든 정지하고 있든 환기는 가능하다.
상술한 제3 또는 제4 실시예의 가습 장치에 대해서도 도4와 마찬가지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에 일체화되어 부착된다. 이 경우, 가습 장치의 배기 덕트, 공기 조화기의 냉매 배관 및 배수 파이프는 도4와 도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면서 배관 구멍(25)을 공용한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는 가습 기능 등을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통풍 덕트를 부착하는 경우에 파손되기 어려운 통풍 덕트가 제공된다.
제5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의 통풍 덕트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제 28 도 및 제 29 도에 도시된 종래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제 8a 도, 제 8b 도, 제 8c 도 및 도8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통풍 덕트의 냉매 파이프의 접속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9a 도, 제 9b 도 및 제 9c 도는 재 8a 도 내지 도8d의 접속 부분의 단면도이다. 제 10a 도와 제 10b 도는 제 8a 도 내지 제 8d 도의 통풍 덕트의 측면도이다.
제 8a 도와 제 8b 도에 있어서 냉매 파이프(125)의 접속 부분(124)에 대향하는 통풍 덕트(122)의 표면에는 통풍 덕트(122)의 내면을 향해 오목한 요부(접촉 방지부)(122a)가 형성된다. 통풍 덕트(122)에 요부(122a)가 형성됨으로써 접속 부분(124)과 통풍 덕트(122)의 표면과의 사이에 충분한 거리가 확보된다. 이로써 통풍 덕트(122)의 부착시에 통풍 덕트(122)의 표면에 접속 부분(124)이 접촉하여 통풍 덕트(122)에 힘이 가해지고, 통풍 덕트(122)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 8c 도와 제 8d 도에서는 오목부(122a)와 접속 부분(124)이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즉, 오목부(122a)의 형상은 접속 부분(124)의 형상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오목부(122a)의 경사면은 접속 부분(124)의 경사면과 전체면에 걸쳐서 접촉한다.
그 때문에 통풍 덕트(122)는 도28 및 도29의 종래예 보다는 넓은 면에서 접속 부분(124)이 힘을 받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통풍 덕트(122)에 힘이 가해지는 것이 방지되고, 통풍 덕트(122) 부착시에 접속 부분(124)에 의한 통풍 덕트(122)의 파손이 방지된다.
제 9a 도 내지 제 9c 도에는 제 8a 도의 접속 부분(124)의 통풍 덕트(122)의 길이 방향으로부터 본 단면 구조가 도시된다. 또, 제 9b 도에서는 실외로부터 실내를 향하는 통풍 덕트(122)와 실내로부터 실외로 향하는 통풍 덕트(122)가 도시되고, 오목부(122a)는 이들 두 개의 통풍 덕트(122)의 접속 부분(124)에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다. 도9c도 도9b와 마찬가지로 통풍 덕트(122)가 2개 도시되어 있다. 이 2개의 통풍 덕트(122)는 2개의 냉매 파이프(125)를 상하로부터 협지하도록 배치되어 접속 부분(124)에 대향하는 부분에는 각각 오목부(122a)가 형성된다.
통풍 덕트(122)는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의 일부를 오목하게 하여 오목부(122a)가 형성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오목부(122a)가 형성된 착탈 가능한 접속용 덕트(120)를 통풍 덕트(122)의 필요한 부분에 접속하여 통풍 덕트(122)의 부착을 용이하게 해도 좋다.
제 11a 도와 제 11b 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통풍 덕트와 냉매 파이프를 동심형으로 수납하여 실내기와 실외기를 접속하는 배관의 내면도이다. 재 12 도는 제 11a 도와 제 11b 도의 통풍 덕트의 측면도이다. 제 11a 도와 제 11b 도에서는 배관(128) 중에 2개의 통풍 덕트(122), 드레인 호스(126), 2개의 냉매 파이프(125) 및 전력선(127)을 일체로 하여 수납한 상태가 도시된다.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배관(128) 내의 상부 공간에 2개의 통풍 덕트(122)가 배치되고, 배관(128)의 하부 공간에 드레인 호스(126), 2개의 냉매 파이프(125) 및 전력선(127)이 배치된다. 도11a에서는 2개의 냉매 파이프(125)의 접속 부분(124)의 각각에 대향하는 통풍 덕트(122)의 경계면(122b)에 오목부(122a)가 형성됨으로써, 배관(128) 부착시에 접속 부재(124)가 통풍 덕트(122)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통풍 덕트(122)의 경계면(122b)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 배관(128)의 내부 공간의 유효 이용도 도모되고, 배관(128)의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 1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풍 덕트(122)의 경계면(122b)에 오목부(122a)가 형성된 착탈 가능한 접속 배관(130)이 배관(128)이 필요한 부분에 접속된다. 따라서, 통풍 덕트(122)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에서는 부착 작업이 용이해지는 공기 조화기의 환기 덕트의 개량이 제시된다.
제 13 도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배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3에서는 실내기의 배면측에 배관이 설치된다. 제 13 도에 있어서는 실내기의 정면에 부착되는 전방면 패널(51)과 합성 수지로 형성된 실내기의 캐비넷(52)이 도시된다. 캐비넷(52)의 전방면에는 전방면 패널(51)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또, 도13의 실내기는 배면에 실내기와 도시되지 않은 실외기 사이에 냉매를 흘리는 냉매 파이프(53), 실내기의 도시되지 않은 열교환기에서 응축되어 생기는 드레인수를 실외로 배출하는 드레인 호스(54) 및 실내기로부터 실외기로 급전하는 전력선(55)이 설치된다. 또, 실내기는 도시되지 않은 환기용 송풍기를 내장하여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환기 장치(56), 환기 장치(56)의 통기구에 그 일단이 접속되고 L자형으로 굴곡 형성된 접속 덕트(57) 및 접속 덕트(57)의 타단측에 접속되어 벽으로 형성되는 도시되지 않은 배관 구멍에 삽통되는 환기 덕트(58)를 포함한다.
제 14 도는 제 13 도의 각종 배관이 배관 구멍에 삽통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4에서는 벽(59)에 형성된 배관 구멍(66)에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이 삽통된 상태가 도시된다. 도면 중에 점선으로 도시된 배관 구멍(66)의 공간은 이들 배관이 배관 구멍(66)에 배치된 후의 나머지 공간이다. 이 공간은 환기 덕트(58)가 실외측의 배관 구멍(66)의 개구로부터 소정 거리 만큼 삽입됨으로써,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이 배관 구멍(66) 내에서 고정되면서 확보된다. 또, 환기 덕트(58)를 배관 구멍(66) 내에 삽입하는 거리는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을 배관 구멍(66)의 실내측의 개구측으로 치우쳐서 개관 구멍(66) 내에 환기를 위한 통로를 확보하는 정도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환기 덕트(58)를 배관 구멍(66) 내에 삽입하는 거리는 5 ㎝ 정도로 하면 된다.
재 15 도는 제 13 도의 환기 덕트(58)의 외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5 도에 있어서 통형의 환기 덕트(58)는 한 쪽 단에 원형 개구(58a)를, 다른 쪽 단에 반원형 개구(58b)를 갖는다. 원형 개구(58a)는 접속 덕트(57)에 접속되는 환기 덕트(58)의 한쪽 단에 형성되고, 반원형 개구(58b)는 배관 구멍(66)에 삽통되는 환기 덕트(58)의 다른 쪽 단에 형성된다. 또, 반원형 개구(58b)의 형상은 제 14 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배관 구멍(66)의 공간의 형상과 대략 일치한다. 실외기의 배면의 벽에 형성된 배관 구멍(66)에 각종 배관을 통과하는 공사를 행하는 경우에는 냉매 파이프(53), 전력선(55) 및 드레인 호스(54)가 배관 구멍(66)에 실내측으로부터 통과되어 실외측으로 조출된 후, 환기 덕트(58)가 실내측으로부터 배관 구멍(66)으로 삽통된다.
재 16 도은 제 13 도의 실내기에 형성되는 작업 창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제 17 도는 제 16 도의 작업창에의 덮개 부재의 착탈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18 도는 제 16 도의 작업창으로부터 각종 배관
이 실내기의 하방으로 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9 도는 제 17 도의 재봉 눈을 절결한 부분으로부터 배관이 실내기의 하방으로 나온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20은 도13의 실내기의 측면으로부터 배관이 외부로 나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13 도에 있어서 실내기의 캐비넷(52)의 측면으로부터 각종 배관을 하방으로 돌출시키는 경우를 도16 내지 도1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 16 도에 있어서, 실내기의 캐비넷(52)은 저면을 절결하여 형성된 작업창(52a)과 캐비넷(52)에 부착된 작업창(52a)을 폐쇄하기 위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 캐비넷(52)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덮개 부재(60)를 포함한다. 제 17 도에 있어서, 작업창(52a)의 내면측에는 덮개 부재(60)가 실내기 내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리브(52b)가 형성되고, 리브(52b)에는 절결부(52c, 52d)가 형성된다. 덮개 부재(60)에는 절결부(52c)에 끼워 맞추는 결합부(60a), 절결부(52d)에 걸어서 덮개(60)를 작업창(52a)에 고정하는 걸림 홈(60b) 및 후술하는 배관의 출구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재봉 눈(60c)이 형성된다. 실내기가 부착되는 벽과, 실내기의 캐비넷(52)의 배면 사이의 간극의 폭이 도17에 도시한 거리(d)라면 덮개 부재(60)를 벽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거리(d) 만큼 슬라이드시킨 후,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덮개 부재(60)가 캐비넷(52)의 작업창(52a)에 대해 용이하게 착탈된다.
실내기의 배면에 있는 배관 구멍(66)에 환기 덕트(58)가 삽통되는 경우, 실내기의 캐비넷(52)의 저면의 작업창(52a)으로부터 덮개 부재(60)가 제거된다. 그리고, 부착자는 작업창(52a)으로부터 손을 넣어 배관 구멍(66)에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을 삽통시킨 후에, 배관 구멍(66) 내의 나머지 스페이스를 눈으로 보면서 환기 덕트(58)를 반원형 개구(58b)측으로부터 배관 구멍(66) 내에 소정 거리 만큼 꽂는다. 또, 배관 구멍(66)의 전술한 나머지 공간의 형상은 반원형 개구(58b)의 형상과 대략 일치하고 있으므로, 환기 덕트(58)를 배관 구멍(66)에 꽂는 것 만으로, 환기 덕트(58)는 배관 구멍(66) 내에서 고정된다. 이에 의해, 환기 덕트(58)와, 배관 구멍(66)의 환기 덕트(58)가 삽통된 부분으로부터 실외측의 배관 구멍(66)의 나머지 공간이 일련의 환기 통로로서 형성된다. 환기 덕트(58)가 배관 구멍(66)에 삽통된 후, 작업 창(52)이 덮개 부재(60)로 폐쇄된다.
다음에, 제 18 도을 참조하여 배관 구멍(66)이 실내기의 배면 이외에 형성된 경우의 배관의 배치 상태를 설명한다. 제 18 도에 있어서,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전력선(55) 및 접속 덕트(57)를 실내기의 하방으로 돌아 나오는 경우, 덮개 부재(60)가 제거된 작업창(52a)이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전력선(55) 및 접속 덕트(57)의 출구로서 이용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전력선(55) 및 접속 덕트(57)를 실내기의 측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나오게 하기 위한 출구부로서 덮개 부재(6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재봉 눈(60c)이 이용된다. 이 경우,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기의 부착시에 부착자는 재봉 눈(60c)에 따라서 덮개 부재(60)를 커터 등에 의해 절결하여 출구(60d)를 형성하므로, 출구(60d)를 통과하여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전력선(55) 및 접속 덕트(57)의 단부는 실내기의 외부로 나온다. 또, 재봉 눈(60c)은 가늘고 긴 구멍을 점선형으로 나란히 하여 형성되는 것이지만, 덮개 부재(60)의 표면에 미리 절결용 홈이 형성되어도 좋다.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전력선(55) 및 접속 덕트(57)가 실내기의 측면을 돌아 외부로 나오는 경우, 캐비넷(52)의 측면에는 미리 출구와, 이 출구를 개폐 가능하게 하는 덮개 부재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덮개 부재가 출구로부터 제거된 후,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L자형 접속 덕트(57)의 환기 장치(56)에 부착되는 방향이 변경된다. 즉, 접속 덕트(57)는 환기 장치(56)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되어 그 단부가 실내기의 측면 방향으로 캐비넷(52)의 외부에 위치된 후, 그 단부에 중계를 위한 덕트 등이 접속되어 배관 구멍(66) 까지 유도된다.
제 21 도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공기 조화기에 이용되는 웨더 카버의 분해도이며, 제 22 도는 도21의 웨더 카버 내의 배관의 고정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배관 구멍(66)의 실외측에 배치되는 웨더 카버(70)를 도21과 도22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또, 웨더 카버(70)는 날씨에 의한 악영향으로부터 배관 구멍(66)의 실내측을 보호하기 위해 배관 구멍(66)의 실외측 개구부를 덮게 부착되는 것이다. 도21에 있어서, 웨더 카버(70)는 배관 구멍(66)의 실외측의 개구에 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61), 베이스 프레임(61) 내부에 형성되는 두 개의 걸어 멈춤 갈고리(62), 배관 구멍(66)에 배치되는 각종 배관 및 환기 덕트(58)를 통과하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61)에 형성된 개구(63) 및 베이스 프레임(61)에 부착되어 배관 구멍(66) 내에 비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카버(64)를 포함한다. 또, 웨더 카버(70)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웨더 카버(70)의 하면에는 개구가 형성되어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 등이 이 개구를 통하여 실외기로 유도된다.
재 22 도에 있어서 배관 구멍(66)으로부터 실외로 조출된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은 배관 구멍(66)의 실외측에 고정된 웨더 카버(70)의 베이스 프레임(61)의 두 개의 걸어 멈춤 갈고리(62)에 통과된 밴드(65)에 의해 묶여서 웨더 카버(70) 내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냉매 파이프(53), 드레인 호스(54) 및 전력선(55)의 배관 구멍(66)의 실외측에서의 위치가 고정되므로, 이들 배관에 의해 환기 통로가 막히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환기 통로의 출구가 확장된다. 그 후에 베이스 프레임(61)의 위에 카버(64)가 부착되어 환기 통로로부터 실내로 빗물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에서는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접속하는 전력선 및 배관 등의 굴곡부를 일체적으로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배관의 카버의 개량이 제시된다. 도2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공기 조화기를 위한 배관 카버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실내와 실외를 격리시키는 벽(76)을 관통하게 하여 미리 설치된 배관 구멍(77)에 실내기측으로부터 냉매 파이프 및 드레인 배수 파이프 등을 포함하는 배관군(79)을 삽통시켜서 외벽면에 맞추어 실외기측으로 유도하는 경우에, 배관군(79)은 도시한 바와 같이 배관 구멍(77)의 실외측 개구 부근에서 벽(76)에 따르도록 굴곡된다. 본 실시예의 배관 카버는 이 굴곡부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되고, 상술한 배관군(79)의 삽통로와 실내와 실외 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위한 공기류 통로를 내포하여 보호하는 통형의 것이다. 이 배관 카버의 일단부는 배관 구멍(77)의 실외측 개구부(78)에 연통하여 접속되고, 타단부는 벽(76)에 따르는 도시되지 않은 다른 배관 카버에 연통하여 접속된다.
제 24 도는 제 23 도의 배관 카버의 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25 도는 제 23 도의 배관 카버의 요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제 26 도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배관 카버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23 도는 제 24 도를 참조하여 배관군(79)의 굴곡부의 배관 카버(71)는 폴리에틸렌 등의 경질 수지로 성형되고, 부착 공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측의 하부 카버(72)와 상측의 상부 카버(73)로 이분되어 있으며, 상부 카버(73)에는 공기류를 위한 통기구(74)가 설치된다. 상부 카버(72)와 하부 카버(73)에는 플랜지(75)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관 카버(71)를 벽(76)의 배관 구멍(77)의 개구부(78)를 확보하면서 벽(76)에 밀착하여 부착할 수 있다. 배관 구멍(77)은 실내와 실외 사이에서 연결되는 냉매 파이프 등의 배관군(79)이 삽통되면 배관군(79)의 삽통 후의 나머지 공간은 실내와 실외 사이의 공기의 유통로가 된다. 하부 카버(72) 또는 상부 카버(73)에는 통기구(74)와 카버(71)의 단부의 접속부(82)의 사이에 배관 누름부재(80)가 설치된다. 개구부(78)로부터 나와서 벽(76)에 따르도록 굴곡된 배관군(79)은 배관 누름 부재(80)에 의해 배관 카버(71) 내부에서 고정된다. 또, 배관 누름 부재(80)는 화살표(81)로 표시된 바와 같이, 공기류 통로를 통과하는 실내로부터의 공기가 주로 개구부(78)에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 통기구(74) 및 웨더 카버(83)를 거쳐서 실외로 송출되게 작용한다. 즉, 다른 부분에 공기가 유통되는 것을 저해하기 위한 격벽으로서 작용한다. 또, 웨더 카버(83)는 통기구(74)로부터 배관 카버(71) 내부 및 배관 구멍(77)을 거쳐서 실내 방향으로 비나 바람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코너부의 배관 카버(71)는 벽(76)에 따르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배관 카버에 연통하여 접속되므로, 배관 카버(71)의 구경이나 치수가 다른 배관 카버의 것과 다른 일이 있어도 접속 가능하도록 접속부(82)에는 굵은 직경부와 가는 직경부가 선단을 향해 단계적으로 설치된다. 배관 카버(71)에 접속되는 별도의 배관 카버가 굵은 직경일 때는 미리 접속부(82)의 가는 직경부를 절단하거나 갈라서 삭제하면 된다. 배관 카버(71)가 이용될 때는 우선 배관 구멍(77)에 배관군(79)이 통과된 후, 하부 카버(72)가 하방으로부터 개구부(78)에 맞추어 벽(76)에 나사 고정되어 부착되어 고정된다. 다음에 배관군(79)은 하부 카버(72)에 설치되는 배관 누름 부재(8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밀려 굽혀진다. 다음에, 상부 카버(73)의 배관 누름 부재(80)에 의해 고정되도록 배관군(79)이 눌러지면서 상부 카버(73)는 하부 카버(72)에 결합되어 상부 카버(73)의 플랜지(75)는 벽(76)에 밀착하여 나사 고정된다. 또, 하부 카버(72)와 상부 카버(73)는 개구부(78)로부터 접속부(82)에 걸쳐서 분할되어 있지만, 상부 카버(73)의 상부로부터 접속부(82)에 걸쳐서 분할된 것이라도 좋다. 어떤 분할 형태라도 하부 카버(72)가 벽(76)에 나사 고정된 후에, 상부 카버(73)가 하부 카버(72)에 나사 고정되거나 또는 하부 카버(72)와 상부 카버(73)가 함께 나사 고정되어 이것이 벽(76)에 부착된다.
배관 카버(71)는 제 2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카버(7)와 상부 카버(73)와 웨더 카버(83)로 구성된다. 하부 카버(72)가 벽(76)에 부착될 때 하부 카버(72)의 도23에 도시되는 벽(76)의 개구부(78)에 따라서 설치된 플랜지(75)는 개구부(78)에 따르는 하부 카버(72)의 저면과 함께 벽(76)에 밀착된다. 다른 복수의 구경이 단계적으로 설치된 접속부(82)에는 상기 카버(71)를 별도의 직경이 굵은 배관 카버에 접속하기 위한 직경이 굵은 접속부(84)가 개구부(78) 부근에 설치된다. 직경이 굵은 접속부(84)는 그 위치를 표시하고 강도를 높이기 위해 제 2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형으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띠형의 돌출부는 다른 성형 부분과 같은 두께로 성형해도 좋고, 두껍게 성형된 것이라도 좋다. 접속부(82)의 통상 혹은 소직경에 대향하는 부분을 절단하거나 혹은 가름으로써 상기 배관 카버(71)를 별도의 직경이 굵은 배관 카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직경이 굵은 접속부(84)에는 그 절단 부위를 나타내기 위해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결 홈(85)이 내부에 설치된다.
또, 카버(72, 73)에는 공기의 유통을 저해하기 위해 그리고 배관군(79)을 고정하기 위해 배관군(79)의 배관의 개수와 외경에 대응한 형상의 배관 누름 부재(80)가 설치된다. 하부 카버(72)에는 저부에 카버(72)를 벽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멍(91)이 설치된다. 하부 카버(72)가 부착 구멍(91)을 이용하여 벽(76)에 나사 멈춤 고정된 후, 개구부(78)로부터 나와서 벽(76)에 따르도록 굴곡된 배관군(79)은 배관 누름 부재(80)에 의해 배관 카버(71) 내부에서 고정적으로 배치된다. 하부 카버(72)의 배관 누름 부재(80)의 가까이에는 상부 카버(73)를 하부 카버(72)에 나사 고정하기 위한 보스형이고 관통 구멍을 갖는 상부 카버 부착 구멍(92)이 설치된다. 상부 카버 부착 구멍(92)은 그 구경과 상부 카버(73)를 하부 카버(72)에 부착하는 나사의 직경이나 크기와의 관계를 적절히 선택하면 단순히 상부 카버(73)를 하부 카버(72)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며, 또 상부 카버(73)와 하부 카버(72)를 함께 벽(76)에 나사 고정할 수도 있다.
상부 카버(73)에는 하부 카버(72)와 마찬가지로 플랜지(75)와 접속부(82)가 형성되고, 띠형의 돌출부를 구비한 직경이 굵은 접속부(84)와 내부에는 배관 누름 부재(80)와 절결 홈(8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부 카버(73)에는 배관 구멍(77)의 공기류 통로의 공기를 흡기 및 배기하기 위해 통기구(74)가 배관 구멍(77)의 개구부(78)의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통기구(74)는 일체로 성형된 격자형 방충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으며, 벌레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 카버(73)에는 상부 카버(73)를 하부 카버(72)에 부착하거나 하기 위한 상부 카버 나사 고정 구멍(93)이 상부 카버 부착 구멍(92)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후드형 웨더 카버(83)는 통기구(74)로부터 내부에 비바람이 침입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통기구(74)의 주변에 설치된 웨더 카버 부착 구멍(94)에 웨더 카버 나사 멈춤 구멍(95)이 위치 결정되어 카버(83)와 카버(73)가 일체적으로 나사 고정된다. 웨더 카버(83)는 배관 카버(71)가, 그것이 접속하는 별도의 도시하지 않은 배관 카버의 배치 방향에 따라서 어느 방향으로 부착되어도 통기구(74)를 통과하는 공기가 거의 하방으로 흐르도록 부착된다. 그 때문에, 웨더 카버 나사 멈춤 구멍(95)의 카버(83)의 회전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웨더 카버 부착 구멍(94)이 설치된다.
웨더 카버(83)의 상부의 일부에는 일체로 성형된 격자형 벤트부(86)가 설치된다. 따라서, 실외의 비바람이 심할 때에도 풍압에 의해 웨더 카버(83)의 하방으로부터 통기구(74)의 내측에 비바람이 침입하지 않도록 벤트부(86)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풍압을 완화하여 상방으로 흘릴 수 있다. 벤트부(86)가 격자형이고 웨더 카버(83)의 상부의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은 풍압을 완화하면서 가능한 한 내부에 비가 굴러 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벤트부(86)는 도시되는 형상에 한하지 않고 다른 형상으로 배치되어도 좋고, 예를 들면 복수의 작은 구멍을 웨더 카버(83)의 상부의 구석부에 설치해도 같은 작용을 얻을 수 있다.
제 25 도에서는 제 24 도에 도시한 하부 카버(72)와 상부 카버(73)와 웨더 카버(83)가 일체화된 상태가 도시된다 .
제 26 도에서 배관 카버(71)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배관 카버에 배향하여 접속하는 경우의 웨더 카버(83)의 부착 방향이 도시된다. 이 때, 웨더 카버(83)는 하방으로 공기가 흡배기되도록 부착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의 공기의 가습을 위한 공기의 흡입구는 실내측에 하나 설치하면 되므로, 공기 조화기의 구성이 간단해져서 소형화되고, 부착이 용이해진다. 또, 실외와 공기 조화기가 떨어져 있어도 실외의 공기를 흡기할 필요는 없으므로, 송풍을 위한 부하는 작다. 게다가, 장치의 소형화와 소음 경감이 도모되고, 또 종래에 비해 전력 절약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의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면, 배기된 공기와 같은 양의 공기가 자연 환기에 의해 실외로부터 실내로 유입하므로 효과적으로 실내의 공기를 환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용 부재가 회전하여 수분의 흡착과 증발이 연속하여 행해지므로 실내 공기의 가습을 안정되게 행할 수 있고, 성능이 우수한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절환부가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에 공유하여 설치되므로,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는 실내로부터 공기 흡입구로부터 가습용 부재의 공기 통과 후의 위치 까지의 사이에서 공용된다. 이에 의해, 공기 조화기가 더욱 소형화되어 부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습용 부재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이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 전달을 위한 부재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므로 이 공기 조화기는 더욱 소형화되어 부착은 용이해진다. 또, 수용부에 확실하게 회전하기 위한 동력이 전달되므로 우수한 가습 기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덕트 냉매 파이프의 접속 부분의 접촉에 의한 파손이 방지되어 덕트 및 냉매 파이프를 포함하는 각종 배관의 부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 구멍에 있어서 각종 배관이 덕트에 의해 고정되는 동시에, 환기용 덕트를 이용한 공기의 유통로가 확실히 확보된다. 게다가, 상기 공기 조화기에 의한 환기에 관한 부하가 저감되어 소음이 억제되고 높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통풍로로부터 실내(실내기)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공기 조화기의 고장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카버의 부착 방향, 즉 실외에 있어서의 배관의 배향에 불구하고 통기구를 유통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흐르게 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다. 또, 실내와 실외의 공기의 환기시에 비 또는 바람이 침입하는 것이 방지되어 쾌적한 사용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실내의 공기를 가습하기 위한 가습부를 갖고, 상기 가습부는, 흡습성 및 통기성을 가진 가습용 부재(2)와,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기하고 이 가습용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거기에 포함되는 수분을 가습용 부재에 흡착시켜서 건조시키고 실외로 배기하기 위한 제1 공기류 통로(T0, T1)와, 상기 실내로부터 상기 공기를 흡기하고 가열하여 가습용 부재를 통과시킴으로써 가습용 부재에 흡착된 수분을 증발시켜서 가습하고 상기 실내로 배기하기 위한 제2 공기류 통로(T0, T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류 통로 만을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기류 통로에 의한 수분의 흡착과 제2 공기류 통로에 의한 수분의 증발이 연속해서 행해지는 동시에 상기 가습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3, 34)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습용 부재를 상기 공기가 통과 가능하게 하여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 31)와, 상기 가습용 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수용부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부재(32)를 더 갖고, 상기 수용부와 상기 동력 전달 부재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제1 공기류 통로 및 제2 공기류 통로에 공유하여 설치되고, 가습용 부재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 및 실외의 어느 한 쪽으로 교대로 절환하면서 배기시키기 위한 절환부(19)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가습용 부재 및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에 삽통된 냉매 파이프(125)를 포함하는 각종 배관(125, 126, 127) 및 실내기로부터 배기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한 덕트(122)에 의해 벽을 사이에 두고 실내기에 접속되는 실외기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특히, 이 경우에, 냉매 파이프가 제1 및 제2 부분 파이프(125a, 125b)가 상기 각 부분 파이프 보다 직경이 큰 접속 부재(124)를 이용하여 연결되어 구성되고, 또 덕트가 냉매 파이프의 근방에 배치되는 경우에, 접속 부재와 대향하는 덕트 면에는 접속 부재와 덕트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부(1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가습용 부재 및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를 포함하는 실내기(51, 52, 56, 57)와, 9)에 형성된 관통 구멍(66)에 삽통되는 각종 배관(53, 54, 55)에 의해 벽에서 떼어 실내기에 접속되는 실외기와, 실내기로부터 배기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하기 위해 한 쪽 단(58a)이 실내기에 접속되고 다른 쪽 단(58b)이 관통 구멍이 실내측의 단부에 삽입되는 덕트(58)를 더 구비하고, 이 덕트의 다른 쪽 단의 단면 형상이 관통 구멍의 단면 영역 중 각종 배관이 삽통된 후의 나머지 영역의 형상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기재의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가습용 부재 및 제1 및 제2 공기류 통로를 포함하는 실내기와, 상기 실내기와는 벽(76)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실외기와, 상기 실내기와 실외기를 접속하기 위해 벽에 형성된 관통 구멍(77)에 삽통된 각종 배관(79)과, 상기 실내기로부터 배기되는 실내의 공기와 실외의 공기를 환기 가능하게 관통 구멍을 거쳐 설치된 통풍로와, 상기 관통 구멍의 실외측 단부에서 각종 배관과 통풍로를 구분하면서 내포하여 확보하는 배관 카버(71)를 구비하고, 상기 배관 카버에 있어서, 상기 통풍로의 공기 출입구 부근에 실외로부터 통풍로에 벌레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을 갖는 통기구(74)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카버는 실외의 비 또는 바람이 상기 통기구로부터 통풍로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통기구를 덮는 웨더 카버(83)를 구비하고, 이 웨더 카버는 배관 카버의 부착 방향에 불구하고, 통기구를 유통하는 공기가 하방으로 흐르도록 배관 카버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더 카버는 상기 하방과는 대향되는 부위에 상기 웨더 카버 내에 상기 하방으로부터 침입하는 바람이 빠져 나가는 벤트부(8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5427A 1996-07-30 1997-07-28 가습기능을구비한공기조화기 KR100335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47396A JP3220016B2 (ja) 1996-07-30 1996-07-30 加湿装置
JP96-199473 1996-07-30
JP96-201455 1996-07-31
JP8201455A JPH1047708A (ja) 1996-07-31 1996-07-31 加湿装置
JP99-201455 1996-07-31
JP22194796A JP3497667B2 (ja) 1996-08-23 1996-08-23 空気調和機の通風ダクト
JP96-221947 1996-08-23
JP96-229584 1996-08-30
JP22958496A JP3469722B2 (ja) 1996-08-30 1996-08-30 空気調和機
JP96-237454 1996-09-09
JP23745496A JP3280579B2 (ja) 1996-09-09 1996-09-09 配管カ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171A true KR980010171A (ko) 1998-04-30
KR100335582B1 KR100335582B1 (ko) 2002-06-20

Family

ID=27529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427A KR100335582B1 (ko) 1996-07-30 1997-07-28 가습기능을구비한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6751A (ko)
EP (1) EP0823596B1 (ko)
KR (1) KR100335582B1 (ko)
CN (1) CN1125278C (ko)
DE (1) DE69728095D1 (ko)
HK (1) HK1003184A1 (ko)
TW (1) TW34326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927B1 (ko) * 1999-07-27 2003-07-2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0271B1 (en) * 1998-07-17 2001-01-09 American Standard Inc. Sizing and control of fresh air dehumidification unit
EP1092927B1 (en) * 1999-10-14 2006-07-26 Sharp Kabushiki Kaisha Air conditioner and humidifying/dehumidifying apparatus attached thereto
US6705939B2 (en) 2000-05-31 2004-03-16 Roger R. Roff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espiratory illnesses among occupants of buildings
JP3646722B2 (ja) * 2003-08-18 2005-05-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20070256433A1 (en) * 2006-05-02 2007-11-08 Bhatti Mohinder S Portable air conditioner
WO2015170502A1 (ja) * 2014-05-09 2015-11-12 シャープ株式会社 冷却装置
EP3704417B1 (en) * 2017-10-30 2023-10-1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Filter arrangement,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filter arrangement
CN108644904A (zh) * 2018-06-19 2018-10-1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结构、室内机、空调机组
CN110617594B (zh) * 2018-06-19 2021-05-14 苏州环峰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风净化装置
US11609005B2 (en) 2018-09-28 2023-03-21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Adjustable heat exchanger
US11260345B2 (en) * 2019-12-11 2022-03-01 Institute of Nuclear Energy Research, Atomic Energy Council, Executive Yuan, R.O.C. High-efficiency desiccant wheel
CN112161333B (zh) * 2020-10-13 2024-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加湿结构、空调室内机、空调器及其控制方法
DE102021110902A1 (de) 2021-04-28 2022-11-03 Wolf Gmbh Rotationswärmetauscher
CN114754426B (zh) * 2022-04-25 2023-12-29 浙江思科制冷股份有限公司 一种大空间射流空调机组热湿处理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11743A (en) * 1969-11-19 1971-10-12 Anthony J Manganaro Room air conditioner
SU624069A1 (ru) * 1976-12-29 1978-09-15 Военный Инженерный Краснознаменный Институт Им.А.Ф.Можайского Установка дл тепловлажностной обработки воздуха
IL64915A (en) * 1982-02-02 1985-04-30 Joel Harband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JPS6248119A (ja) 1985-08-27 1987-03-02 Sony Corp 半導体出力回路
JPS61149693A (ja) * 1985-12-02 1986-07-08 因幡電工株式会社 コ−ナ−用の配管カバ−
JPH0676932B2 (ja) * 1986-08-22 1994-09-28 日立建機株式会社 荷重検出器
JPS6352028U (ko) 1986-09-22 1988-04-08
JPS63286634A (ja) * 1987-05-19 1988-11-24 Kobe Steel Ltd 乾式加湿方法および乾式加湿装置
JPH0473531A (ja) * 1990-07-10 1992-03-09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機能付き空気調和機
AU641083B2 (en) * 1991-03-05 1993-09-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2629665B2 (ja) * 1991-09-17 1997-07-0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
JP2841982B2 (ja) * 1991-12-19 1998-12-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除加湿装置
JP3157994B2 (ja) * 1994-10-28 2001-04-23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機能付き空気調和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2927B1 (ko) * 1999-07-27 2003-07-2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습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43264B (en) 1998-10-21
US5896751A (en) 1999-04-27
EP0823596A2 (en) 1998-02-11
KR100335582B1 (ko) 2002-06-20
DE69728095D1 (de) 2004-04-22
EP0823596B1 (en) 2004-03-17
EP0823596A3 (en) 2000-05-03
CN1178310A (zh) 1998-04-08
HK1003184A1 (en) 1998-10-16
CN1125278C (zh) 2003-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582B1 (ko) 가습기능을구비한공기조화기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KR101401186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외기
KR100707448B1 (ko) 공기조화기
AU2002335534B2 (en) Ventilator and air conditioner
EP1598600A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humidity adjusting apparatus.
KR20210064778A (ko) 공기 조화기 및 이에 구비되는 배관 설치 장치
CN209819684U (zh) 空调柜机
JP4683936B2 (ja) 空気調和装置
CN215490038U (zh) 新风管组件、空调室内机以及空调系统
CN220205936U (zh) 新风除湿系统
JPH07197548A (ja) 床構造
JP3220016B2 (ja) 加湿装置
JP2002081701A (ja) 加湿ユニット
JP4344271B2 (ja) 住宅の換気システム
KR100624729B1 (ko) 공기조화기
CN208620444U (zh) 一种空调室内机
KR20230087204A (ko) 공기조화기
JP2883490B2 (ja) 空気調和機
JPH11211148A (ja) 一体型空気調和機
KR970004644Y1 (ko) 농업용 온풍기 닥트
JPH11264577A (ja) 空気調和機
AU2004210611B2 (en) Ventilator and air conditioner
CN117739411A (zh) 空调机
TH31541A (th) เครื่องปรับอากาศที่มีบทบาทการทำให้ชื้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90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00513

Effective date: 2001040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