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10138A - 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10138A
KR980010138A KR1019970034807A KR19970034807A KR980010138A KR 980010138 A KR980010138 A KR 980010138A KR 1019970034807 A KR1019970034807 A KR 1019970034807A KR 19970034807 A KR19970034807 A KR 19970034807A KR 980010138 A KR980010138 A KR 980010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abnormality
time
cook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7191B1 (ko
Inventor
마사지 요네쿠라
츠요시 호소이토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다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다이조
Publication of KR980010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10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6Circuits
    • H05B6/666Safety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댐퍼판 개폐상태의 이상을 검출할 수 있는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댐퍼 모터를 통전하고 마이크로 스위치의 이번회와 다음회의 스위치 동작(단계(P4), 단계(P9)) 사이의 소요시간을 계측하며, 이 계측시간(Tk)이 「7초 초과, 13초 미만」내의 범위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계측시간(Tk)이 소정시간 내가 아닐 때(단계(P9), 단계(P10)의 「예」), 이것으로 댐퍼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없는 것으로 하여 이상을 판정하며(단계(P14)), 상기 이상 판정수가 2회가 되었을 때(단계(P15)), 표시기에 이상을 표시하고(단계(P16)),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조리를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조리기
본 발명은 가열조리실의 벽부에 형성한 통기구를 댐퍼 기구에 의해 개폐하도록 한 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서 히터를 열원으로 한 오븐 기능이나 그릴 기능을 갖음과 동시에 마그네트론을 열원으로 한 전자 렌지 기능을 갖는 가열조리기에서는, 가열조리실의 벽부(기계실과의 간막이벽)에 형성한 통기구를 댐퍼 기구에 의해 개폐하도록 하고 있다. 즉, 마그네트론을 사용하는 렌지 조리시에는 댐퍼 기구에 의해 통기구를 개방하고 팬장치에 의해 바람을 생성하여 마그네트론을 냉각하면서 그 바람을 통기구로부터 가열조리실 내에 공급하며, 상기 가열조리실 문의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가열조리실내의 증기 배출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히터 조리시에는 댐퍼 기구에 의해 통기구를 폐쇄하고 팬장치에 의해 기계실 내의 전기 부품의 냉각을 도모함과 동시에, 가열조리실의 외측 주위에 바람을 통하여 외부상자가 과도하게 뜨거워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댐퍼 기구로서는 크게 나누면, 다음의 두개가 있다.
하나의 댐퍼기구는,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을 개폐 구동하기 위한 댐퍼모터와, 댐퍼모터의 회전기준위치(댐퍼판이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회전기준위치)에서 스위치 동작하는 위치 검출 스위치를 갖고 통기구를 개방는 경우에는, 댐퍼 모터를 상기 기준 위치로부터 소정시간(댐퍼판이 개방위치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되는 시간) 통전하여 댐퍼판을 개방위치로 동작시키고 통기구를 폐쇄하는 경우에는, 댐퍼판이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부터 댐퍼모터를 통전시켜 상기 위치검출 스위치가 스위치 동작한 시점에서 단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다른 댐퍼기구는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댐퍼판과, 상기 댐퍼판을 개폐 구동하기 위한 댐퍼 모터와, 댐퍼 판 폐쇄위치 검출용 단차 및 개방위치 검출용 단차를 갖는 캠과, 상기 각 단차를 검출하는 캠스위치를 설치하고, 댐퍼 모터를 통전하여 캠 스위치가 스위치 동작하는 위치에서 단전하도록 하여, 댐퍼판을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술한 어떤 종래의 구성에서도 모터의 상태가 나빠지거나 전기배선이 단선하여 댐퍼판의 개폐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도 있고, 이 경우에는 조리의 완성 상태나 전기부품 냉각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댐퍼판의 개폐상태를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개폐상태가 나쁜 경우에는 알릴수 있음과 동시에 조리실시를 정지시킬 수 있는 가열조리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댐퍼 제어의 플로우차트.
제2도는 개략적 종단정면도.
제3도는 기계실 부분을 판단하여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외부상자 상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평면도.
제5도는 댐퍼판 폐쇄상태에서의 댐퍼 개폐기구 부분의 평면도.
제6도는 댐퍼판 개방 상태에서의 댐퍼 개폐기구 부분의 평면도.
제7도는 댐퍼 개폐기구 부분의 사시도.
제8도는 렌지 조리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
제9도는 렌지 조리시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도시한 투시 사시도.
제10도는 전기적 구성의 블럭도.
제11도는 전체적인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2도는 댐퍼판 폐쇄 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3도는 댐퍼 감시제어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조리기 본체 4:가열조리실
4a:통기구 5:기계실
6:마그네트론 9:댐퍼 개폐기구
10:팬장치 11:댐퍼판
12:댐퍼 모터 14:캠
16:오목부(스위치 동작부) 17:마이크로 스위치(위치검출 스위치)
21:표시기(알림수단) 22:상부 히터
23:하부 히터
30:제어회로(이상판정수단, 이상대응제어수단, 계측수단 및 개폐제어수단)
청구항 1의 발명은 내부에 가열조리실을 갖는 조리기 본체, 상기 가열조리실의 벽부에 형성된 통기구, 상기 통기구를 개페하기 위한 댐퍼판 및 상기 댐퍼판을 개폐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댐퍼모터를 갖는 댐퍼 개폐기구, 개방된 통기구로부터 가열조리실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장치, 알림수단, 상기 댐퍼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 속도의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없는 것이 판단되었을 때,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이상판정수단, 및 상기 이상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 수단에 이상을 알림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는 이상대응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구성에서는, 댐퍼판의 개폐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이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댐퍼판의 개폐상태가 나빠지는 원인으로서는 모터의 상태가 나쁘거나 전기배선이 단선되는 경우라고 생각되지만, 어떻게 해도 댐퍼판이 개방동작이 지연, 정지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빨라진다. 즉, 모터의 회전이 지연, 정지되거나 지나치게 빨라진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서는 댐퍼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 속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 기준속도의 범위내에서 있지 않은 것이 판단되었을 때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이상판정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댐퍼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있지 않을 때에는 댐퍼의 개폐상태가 나쁘다는 이상이 검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서는 이상이 판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이상대응 제어수단이 알림수단에 이상을 알림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므로, 사용자에 댐퍼 이상을 알림과 동시에, 댐퍼 개폐 이상 상태에서 가열조리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실행의 정지」는 조리가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이것을 도중에 정지시키는 것, 및 조리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에 이것을 개시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이상대응 제어수단을 이상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 상기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이상판정횟수가 소정횟수가 되었을 때 알림수단에 이상을 알림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서는, 이상발생이 일시적이지 않은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이상판정이 나온 경우에도 그 이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다음에 정상을 나타내는 것이 있고, 즉 그 이상은 일시적인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이상판정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상판정 횟수가 소정 횟수가 된 것을 가지고 이상의 발생이 일시적이지 않는 것이 검출되며, 이 때에는 알림수단에 이상을 알리게 함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하므로, 사용자에게 댐퍼개폐 이상을 알림과 동시에, 댐퍼 개폐 이상 상태에서 가열조리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댐퍼 개폐 기구가 위치검출 스위치, 댐퍼 모터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댐퍼판을 개페하도록 설치된 캠, 상기 캠의 원둘레 1군데에 설치되고 상기 댐퍼판을 개방 또는 폐쇄 상태로 한 회전위치에서 상기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동작부, 상기 캠을 1회전시키고 소요시간을 계측하며, 상기 계측시간을 기억하는 계측수단, 및 모터를 위치검출 스위치가 동작한 위치로부터 상기 계측시간의 1/2시간 회전시켜 정지시킴으로써, 댐퍼판에 개방동작 및 폐쇄동작을 할 때까지 회전시켜 정지함으로써 댐퍼판에 다른쪽의 동작을 시키는 개폐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캠에 한개의 스위치 동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 동작부의 위치를 위치 검출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도록 하고 위치검출 스위치가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간 모터를 통전함으로써 댐퍼판을 개방동작 또는 폐쇄동작시키므로, 캠의 구조가 간단하고 스위치 수도 적어 댐퍼 개폐기구의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캠을 1회전시켜 소요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시간을 기억하므로 상기 댐퍼 개폐기구에서의 고유의 캠(1)의 회전 소요시간을 인식할 수 있고, 제품 각각에 양호한 댐퍼 개폐 제어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은 계측수단이 전원투입시에 계측동작 및 기억동작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전원투입시에 미리 댐퍼 개폐제어에 관한 소요시간 데이터의 확보를 실시할 수 있고 조리를 시작할 때마다 상기 소요시간 데이터의 확보를 실시하는 경우와 달리, 계측 동작 및 기억 동작의 실행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개략구성을 서술한다. 가열조리기의 조리기 본체(1)는 외부상자(2)및 내부상자(3)로 구성되어 있다. 즉, 외부상자(2)의 내부에는 내부상자(3)가 상기 외부상자(2)의 내부면과 공간을 두고 설치되어 있고, 내부상자(3)의 내부는 가열조리실(4)로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내부상자(3)는 정면에서 보아 외부상자(2)의 내부 중 약간 왼쪽에 치우쳐 설치되어 있고 그 반대 공간부에 기계실(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열조리실(4)의 벽부인 내부상자(3)의 우측벽부(3a)(기계실(5)과 간막이벽)에는 통기구(4a)가 상하로 나란히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계실(5)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렌지 조리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트론(6), 고압트랜스(7), 고압콘덴서(8) 등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댐퍼 개폐기구(9), 팬장치(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 개폐 기구(9)는 제5도 내지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우측벽부(3a)에는 통기구(4a)를 개폐할 수 있도록 댐퍼판(11)이 한단(11a)측을 축 지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댐퍼판(11)의 상단부에서, 타단(11b)측에는 기계실(5)측으로 뻗어 나간 부(11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뻗어 나간 부(11c)에는 긴 구멍(1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긴 구멍(11d)의 길이 방향을 따른 가장자리부에는 아래쪽을 향한 가이드부(11e)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원으로서의 댐퍼모터(12)는 부착구(13)(제3도, 제4도)를 통하여 내부 상자(3)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댐퍼 모터(12)는 교류동기 모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댐퍼모터(12)의 회전축(12a)은 아래쪽을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12a)에 캠(14)이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 캠(14)의 원주 한곳에는 핀(15)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핀(15)은 상기 긴 구멍(11d)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캠(14)의 외부 둘레면(14a)의 한곳에는 스위치 동작부로서의 오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구(13)에는 위치 검출 스위치로서의 마이크로 스위치(17)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액추에이터(17a)는 상기 캠(14)의 외부 둘레면(14a)에 접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액추에이터(17a)는 상기 오목부(16)에 대응했을 때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하여 상기 오목부(16) 내에 끼워지지만, 이 때 마이크로 스위치(17)는 스위치 on 상태로부터 스위치 off 로 동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17a)가 오목부(16)에 대응한 위치(제5도의 위치)에서는 댐퍼판(11)은 통기구(4a)를 폐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캠(13)이 제5도의 상태로부터 1/2회전한 위치(제6도 참조)를 상기 댐퍼판(11)에 의한 통기구(4a) 개방위치로 하고 있다.
상술한 팬장치(10)에는 팬 모터(10a)와 팬(10b)이 있고, 상기 마그네트론(6)의 아래부분에서 위쪽을 향해 송풍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리기 본체(1)의 전면에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조리실(4)을 여닫는 문(18)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조작패널(19)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패널(19)의 뒤쪽이 상기 기계실(5)로 되어 있다. 조작패널(19)에는 조리메뉴를 설정하는 메뉴 설정 스위치나, 출력을 설정하는 출력설정 스위치,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 스위치 및 스타트 스위치 등의 스위치군을 갖는 조작부(20)(제10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알림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프레이로 이루어진 표시기(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상자(3)의 상판부와 저판부에는 각각 열원으로서의 상부 히터(22) 및 하부 히터(23)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히터(22)는 관형상 히터로 구성되며 하부 히터(23)는 면형상 히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 상자(2)의 저판부의 거의 전역에는 작은 구멍으로 이루어진 흡입구(2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상자(2)의 저판부에 좌측 부분에는 배기구(25)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상자(2)의 저판부와 내부상자(3)의 저판부 사이에 상기 배기구(25)와 상기 흡입구(24)를 차단하도록 간막이 부재인 간막이판(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계실(5)의 후판부 즉 외부 상자(2)의 후판부에는 보조배기구(27)(제8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기구(25) 부분에는 상기 배기구(25)로부터 나온 공기를 앞쪽으로 도출하는 배기덕트(2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 상자(3)의 저판부의 하면부에는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키기 위한 턴테이블 모터(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부상자(3)의 좌측벽부에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 상자(2) 밖으로 통하는 배기통로(29)가 형성되어 있다.
제10도에는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제어회로(30)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조작부(20)로부터의 스위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기(21), 턴테이블 모터(28), 상부 하부 히터(22,23), 팬모터(10a) 및 댐퍼 모터(12)를 구동 제어하며 가열조리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제어회로(30)는 이상판정수단 및 이상대응 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계측수단 및 개폐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상기 계측수단 및 개폐제어수단은 상술한 댐퍼 개폐기구(9)의 일부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30)의 제어내용에 대해서 제1도,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1도에는 전체적인 제어의 플로우차트를 나타내고 있다. 이 플로우차트는 전원 플러그를 전원 콘센트에 접속했을 때, 즉 전원투입과 동시에 시작되는 것으로 한다. 전원 투입과 동시에, 단계(S1)에서의 댐퍼 제어가 실행된다.
상기 단계(S1)의 댐퍼 제어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행된다. 상기 전원 투입시점에서는 댐퍼판(11)의 회동위치는 정해져 있지 않다. 그러나, 제1도의 단계(P1)에서는 이상판정용 기준시간인 「1분」에 대해서 타임 카운트를 시작하고 단계(P2)에서는 댐퍼 모터(12)에 통전한다. 단계(P3)에서는 ROM에 계측시간에 대한 기억값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전원투입시에는 기억 동작은 아직 실행되고 있지 않으므로, 기억값은 없고 따라서 단계(P4)로 이행된다.
상기 단계(P4)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 상태로부터 off로 스위치 동작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17)의 액추에이터(17a)가 캠(14)의 오목부(16)에 끼워졌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상술한 스위치 동작이 없을 때에는 단계(P5)로 이행하여 「1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1분」이 경과하지 않으면 단계(P4)로 되돌아간다. 상기 스위치(P4)에서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으로부터 off로 변화되면, 단계(P6)로 이행되어 댐퍼판(11)의 개방 소요시간을 계측하기 위한 타임 카운트를 시작한다.
이 후, 단계(P7)로 이행하여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으로부터 off로 스위치 동작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즉, 캠(14)이 1회전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상술한 스위치 동작이 없을 때에는 스위치(P8)으로 이행하여 상술한 「1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경과하지 않았으면 단계(P7)로 되돌아 간다. 상기 단계(P7)에서 on으로부터 off로 스위치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시점에서의 경과시간에서 캠(14)의 1회전에 필요한 시간이 계측된 것으로 되어, 상기 계측시간(Tk)이 이상 판단용 기준시간 「7초 초과 13초 미만」의 범위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단계(P9) 및 단계(P10)에서 판단). 상기 이상 판단용 기준시간「7초 초과 13초 미만」은 미리 실험적으로 구해져 있고 제어회로(30)에서의 마이크로 컴퓨터의 ROM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이 경우, 캠(14)의 1회전에 필요한 시간(계측시간(Tk))은 댐퍼 모터(12)의 회전속도에 의한 것이므로 상기 계측시간(Tk)이 이상 판단용 기준시간인 「7초 초과 13초 미만」의 범위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은 댐퍼 모터(12)의 회전속도가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것에 상당한다.
그러나, 계측시간(Tk)이 「7초 초과 13초 미만」의 범위내에 있으면 댐퍼 모터(12)의 회전속도가 정상 범위에 있다고 하여 단계(P11)로 이행되고, 상기 계측시간(Tk)을 댐퍼판(11) 개폐제어의 기준값(Tk')으로서 기억한다. 즉, 단계(P12)로 이행되어 단계(P7)의 스위치 동작 시점에서부터 상기 기준값(TK')의 1/2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경과하면 단계(P13)로 이행하여 댐퍼 모터(12)를 단전한다. 이것으로 댐퍼판(11)은 통기구(4a)를 개방한 위치(제6도 참조)에서 정지한다.
여기에서 계측시간(Tk)이 「7초 초과 13초 미만」의 범위가 아니면 즉, 단계(P7)의 「예」 또는 단계(P10)의 「예」이면, 댐퍼모터(12)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낮거나 지나치게 높아 단계(P14)로 이행되고, 이상이라고 판정된다. 다음 단계(P15)에서는 상기 이상판정 횟수가 소정횟수 예를 들어, 2회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이 때 2회째이면, 단계(P16)로 이행되어 표시기(21)에 댐퍼 이상을 예를 들어 문자로 표시하고 이 시점에서 프로그램의 실행을 정지한다(종료됨). 따라서, 조리의 실행이 실질적으로 정지된다. 또한, 전원 플러를 뽑아 다시 전원 콘센트에 접속하면 제11도의 메인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또한, 단계(S15)에서의 판단이 1회째이면, 단계(P17)로 이행하여 「1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1분」이 경과되지 않았으면 단계(P4)로 되돌아 가며, 「1분」을 경과했으면 단계(P18)로 이행하여 표시기(21)에 댐퍼 이상을 예를 들어 문자로 표시하고 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조리의 실행을 정지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P5) 및 단계(P8)에서 「1분」 경과했다고 판단되면 각 단계의 「예」에 따라서 상술한 단계(P167)로 이행되어 표시기(21)에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단계(P3)에서 RAM에 계측값(TK')이 기억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즉 상기 단계(P1)로부터 단계(P13)까지의 제어가 이미 실행되어 계측시간(Tk)이 구해져 있으면 단계(P19)로 이행하고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으로부터 off로 스위치 동작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스위치 동작하지 않은 상태로 「1분」이 경과하면(단계(P20)에서 판단), 단계(P21)로 이행하여 이상을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킨다.
단계(P19)에서 스위치 동작이 있었다고 판단되면, 단계(P22)로 이행되고 타임 카운트를 시작한다. 다음의 단계(P23)에서는 상기 카운트 시간이 기억값(TK')의 1/2시간을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경과하면 단계(P24)로 이행하여 댐퍼 모터(12)를 단전하고(댐퍼판(11)은 제6도의 개시위치가 됨) 제11도의 메인 프로그램으로 되돌아간다.
여기까지의 설명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원이 투입되었을 때는 댐퍼 모터(12)가 캠(14)이 1회전하는 동안의 소요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시간(Tk)이 소정 시간범위(「7초 초과 13초 미만」)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계측시간(Tk)이 소정시간 내에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단계(P9) 또는 단계(P10)의 「예」), 이것을 가지고 댐퍼 모터(12)의 회전속도가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없다고 판단하여 이상이라고 판정한다(단계(14)). 그리고, 상기 이상판정 회수가 소정회수(2회)가 되었을 때 (단계(P15)), 표시기(21)에 이상을 표시함(단계P16)과 동시에 상기 시점에서 프로그램을 종료함으로써 조리를 정지시킨다. 또한, 이상판정 횟수가 2회째가 아니면 「1분」을 초과했을 때에는 단계(P18)에서 이상이 표시되고 프로그램이 종료되어 조리의 실행이 정지된다.
계측시간(Tk)이 소정 시간범위(「7초 초과 13초 미만」) 내에 있으면 이것을 댐퍼 모터(12)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때의 캠(14)의 1회전 소요시간의 기준값(TK')으로서 기억한다(단계(P11)). 이후, 댐퍼판(11)을 개방위치에 동작시키지만 상기 기준값(TK')의 1/2의 시간경과하고(단계(P12)), 댐펌모터(12)를 단전함으로써(단계(P13)), 댐퍼판(11)을 개방위치로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상술한 댐퍼제어에서 이상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1도의 단계(S2)로 이행된다. 상기 단계(S2)에서는 조작부(20)의 각종 스위치 중, 각종 설정 스위치로부터의 입력이 있었는지의 아닌지를 판단하고 입력이 있으면 단계(S3) 조리모드를 설정하고 단계(S4)에서 스타트 스위치가 조작된 것이 판단되면 단계(S6)로 이행하여 조리모드가 렌지 조리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렌지 조리이면 단계(S7)로 이행하며, 렌지조리가 아니면 단계(S10)로 이행하여 오븐조리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오븐조리일 때에는 단계(S11)로 이행하고 오븐조리가 아닐 때(그릴조리일 때)는 단계(S13)로 이행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렌지조리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S7)에서 댐퍼판(12)의 개방제어를 실행한다. 상기 개방제어는 상술한 제1도의 댐퍼제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단계(P1)에서 「1분」에 관한 타임카운트를 개시하고 단계(P2)에서 댐퍼모터(12)로 통전된다. 이후, 단계(P3)로 이행되지만 이 경우, 기준값(TK')이 기억되어 있으므로 단계(P3)의 「예」에 따라서 단계(P19)로 이행된다. 즉,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으로부터 off로 스위치 동작한 시점으로부터 기준값(TK')에 관한 타임 카운트를 개시하고(단계(P22)), 상기 기준값(TK')을 경과하면(단계(P23)에서 판단) 댐퍼모터(12)를 단전하여(단계(P24)) 댐퍼판(11)을 제6도의 개방위치까지 동작시킨다. 또한, 「1분」이 경과해도 상술한 스위치 동작이 없을 때에는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P21)에서 댐퍼 이상을 표시기(21)에 표시하고 상기 프로그램을 정지, 즉 조리를 정지시킨다.
상술한 댐퍼판(12)의 개방동작에 의해 통기구(4a)가 개방되면, 제11도의 단계(S8)의 렌지 조리로 이행된다. 상기 단계(S8)의 렌지 조리에서는 조리를 설정시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렌지 조리에서는 마그네트론(6)이 통전 구동되고 팬장치(10)의 팬모터(10a)가 통전된다. 마그네트론(6)의 구동에 의해 가열조리실(4) 내의 음식물이 가열된다. 이 경우, 팬장치(10)의 운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4)로부터 흡입되고 내부 상자(3)의 주위를 지나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됨과 동시에 일부는 보조 배기구(27)로부터 배출되고 일부는 통기구(4a)로부터 가열 조리실(4) 내에 유입되며 문(18)의 유리창 내부면의 김이 배기 통로(29)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렌지조리에서는 팬장치(10)의 송풍은 상술한 문(18)의 유리창이 뿌옇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계실(5) 내의 전기부품의 냉각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다음에 오븐 조리 또는 그릴조리가 설정되었으면 단계(S11) 또는 단계(S13)으로 이행하여 댐퍼판 폐쇄제어를 실행한다. 댐퍼판 폐쇄제어는 제12도의 서브루틴의 플로우차트로 나타내고 있다. 즉, 단계(Q13)에서는 「1분」에 관한 타임 카운트를 개시하고 단계(Q2)에서는 댐퍼모터(12)를 통전하며, 단계(Q3)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7)가 on으로부터 off로 스위치 동작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스위치 동작하면 단계(Q4)로 이행하여 댐퍼모터(12)를 단전한다. 이것으로 댐퍼판(11)이 개방위치에 도달했는 때에 상기 회동이 정지된다(제5도 참조).
또한, 상술한 스위치 동작이 없는 상태로 「1분」이 경과하면 (단계(Q5)에서 판단) 단계(Q6)에서 이상 표시를 하고 이 프로그램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상기 제12도에서 댐퍼판(11)이 정상으로 폐쇄되면 제11도의 단계(S12)의 오븐조리로 이행된다. 상기 오븐 조리에서는 상부 히터(22) 및 하부 히터(23)가 통전되고 팬장치(10)의 팬모터(10a)가 통전된다. 상부 히터(22) 및 하부 히터(23)의 통전에 의해 가열조리실(4) 내의 피가열물이 가열된다. 이에 따라 내부상자(3)나 외부상자(2) 또는 기계실(5) 내의 온도가 상승된다.
한편, 팬모터(10a)가 통전에 의해 팬장치(10)의 팬(10b)이 회전 구동된다. 상기 팬(10b)의 회전구동에 의해 제2도 및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24)로부터 외부 공기가 저판부(3a) 아래쪽 공간부에 흡입되어 바람 즉 냉각풍이 생성된다. 이 경우, 일부의 냉각풍은 기계실(5) 후판부의 보조 배기구(27)로부터 배출되지만, 그 밖의 개구로서는 저판부(2a)에만 배기구(25)가 존재하므로 상기 냉각풍의 대부분은 상기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실(5)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지나고 내부상자(3)와 외부상자(2) 사이의 공간부 중 상부 공간부로 유입되며, 이것이 왼쪽 방향으로 통과하여 측판부(3d) 바깥쪽의 공간부에 유입되고 이것이 아래쪽으로 통과하여 배기구(25)로부터 배출된다.
또한, 단계(S10)로 오븐 조리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즉 그릴조리이면 단계(S13)로 이행되고 댐퍼 폐쇄제어가 실행된다. 이것은 상술한 단계(S11)와 동일한 것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단계(S14)에서 그릴조리를 실행하지만 이 경우 상부 히터(22)만이 통전되는 것 이외에는 오븐조리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단계(S8), 단계(S12), 단계(S14)의 각 조리가 종료되면, 단계(S9)로 이행되어 댐퍼판 개방제어(단계(S1), 단계(S7)와 동일한 제어)를 실행하여 단계(S2)로 되돌아 간다.
또한, 제11도에 도시한 메인 프로그램에는 소정 타이밍으로 입력되어 있고 이 입력이 이루어지면 제13도에 도시한 댐퍼 감시제어가 실행된다. 즉, 댐퍼모터(12)는 단전되어야 할 제어상태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단계(R1)), 단전제어 중이면 마이크로 스위치(17)의 스위치 동작(on으로부터 off, 또는 그 반대의 스위치 동작)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고(단계(R2)), 스위치 동작이 있으면 이 동작회수를 카운트한다(단계(R3)). 상기 카운트값은 30분 마다 클리어된다(단계(R4)). 그리고, 이 횟수가 「4」가 되면(단계(R5)에서 판단), 표시기(21)에 이상을 표시하고(단계(R6)) 이 프로그램을 정지시킨다(조리의 실행을 정지). 상술한 단계(R1), 단계(R2), 단계(R5)에서 「아니오」일 때에는 메인 프로그램으로 리턴한다.
상기 댐퍼 감시 제어의 취지는 댐퍼 모터(12)가 단전제어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댐퍼모터(12)를 통단전하는 릴레이의 고장 등으로 댐퍼모터(12)가 통전되어 빠지는 이상이 발생했을 때, 이것을 단계(R2)에서 검출하는 것이다. 이 경우, 가열조리기의 진동이나 전기 소음 등에 의해 마이크로 스위치(17)가 일시적으로 스위치 동작하는 것이 있다. 이것을 고려하여 상기 검출이 30분 동안에 4회 발생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상기 검출이 4회 발생하면 상술한 이상발생이 확실하다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댐퍼판(11)의 개폐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이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댐퍼판(11)의 개폐 상태가 나빠지는 원인으로서는 댐퍼모터(12)의 상태가 나빠지거나 전기배선이 단선되는 경우 등이 생각되지만, 어쨌든 댐퍼판(11)의 개방동작이 지연, 정지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빠르게 된다. 즉, 댐퍼모터의 회전이 지연, 정지되거나 반대로 지나치게 빨라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캠(14)이 1회전하는 동안 소요 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시간(Tk)이 소정 시간 범위(「7초 초과 13초 미만」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함으로써 댐퍼 모터(12)의 회전속도가 기준 속도의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며,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없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이상이라고 판정하도록 했으므로, 댐퍼 개폐 상태가 나쁘다는 이상이 검출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상이 판정되면 표시기(21)에 이상을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므로 사용자에 댐퍼 개폐 이상을 알릴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 개폐 이상 상태에서 가열조리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 그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상판정 횟수가 소정횟수(2회)가 되었을 때 표시기(21)에 이상을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도록 했으므로, 이상 발생이 일시적이 아닌 것을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상판정이 나온 경우에도 그 이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다음에는 정상을 나타내는 것이 있고, 즉 그 이상은 일시적인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상판정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그 이상판정 횟수가 소정 횟수된 것으로 이상의 발생이 일시적이 아님을 검출하며, 이 때에 표시기(21)에 이상을 표시하게 함과 동시에 조리를 정지시키므로 사용자에게 댐퍼 개폐이상을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 개폐이상 상태에서 가열조리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캠(14)에 하나의 스위치 동작부인 오목부(16)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6)의 위치를 마이크로 스위치(17)에 의해 검출하도록 하며, 마이크로 스위치(17)가 검출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시간 댐퍼 모터(12)를 통전함으로써 댐퍼판(12)을 개방동작시키므로 캠(14)의 구조가 간단하고 스위치 갯수도 적어 개폐기구(9)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또한, 이 경우 캠(14)을 1회전시켜 소요 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시간(Tk)을 기억하며, 댐퍼모터(12)를 마이크로 스위치(17)가 동작한 위치에서부터 기억값(TK')에 기초한 시간(Tk′의 1/2 시간) 회전시켜 정지시킴으로써 댐퍼판(12)을 개방동작시키므로, 상기 댐퍼 개폐기구(9)에서의 고유의 캠(14)의 1회전의 소요시간을 인식할 수 있고 제품 각각에 따른 양호한 댐퍼 개폐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전원 투입시에 상술한 계측 동작 및 기억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전원 투입시에 미리, 댐퍼개폐제어에 관한 소요 시간 데이터의 확보를 실시할 수 있고 조리를 개시할 때마다 상기 소요시간 데이터의 확보를 실시하는 경우와 달리, 계측 동작 및 기억동작의 실행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댐퍼판(12)을 개방하는 경우 또한, 폐쇄하는 경우에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분」이 초과해도 개방동작 또는 폐쇄동작하지 않을 때에도 이상을 표시하도록 한 것이므로, 이에 의해서도 댐퍼 제어 이상을 검출 및 알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이크로 스위치(17)의 스위치 동작 시점에서 댐퍼판(11) 폐쇄로 하고 이 시점에서부터 기억값(TK')의 1/2 시간 댐퍼모터(12)를 통전함으로써 댐퍼판(11)을 개방 동작시키도록 했지만, 상기 댐퍼판(11)의 개폐 관계는 반대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캠에서의 스위치 동작부를 오목부(16)로 했지만, 이것은 볼록부이어도 좋다. 또한, 알림 수단으로서 표시기를 도시했지만, 이것은 부져 등이어도 좋다. 또한, 댐퍼모터는 펄스모터이어도 좋다. 또한, 캠(1) 회전의 소요시간(계측시간)의 1/2 시간을 기억시켜도 좋다. 또한, 기억수단으로서는 비휘발성 메모리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 바와 같이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댐퍼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 속도의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기준 속도의 범위내가 아닌 것이 판단되었을 때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이상 판정 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댐퍼판의 개폐 상태가 나쁜 경우에 이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 알림 수단에 이상을 알리게 하며 조리 실행을 정지하는 이상대응제어수단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에 댐퍼판 개폐이상을 알릴 수 있음과 동시에 댐퍼 개폐 이상 상태에서 가열조리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이상대응 제어수단이 이상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 그 횟수를 카운트하고 이 이상판정횟수가 소정의 횟수가 되었을 때 알림 수단에 이상을 알리게 함과 동시에 조리를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기 이상판정횟수가 소정의 횟수가 된 것으로 이상의 발생이 일시적이지 않는 것을 검출할 수 있고 이상의 오검출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캠에 하나의 스위치 동작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 동작부의 위치를 위치 검출 스위치에 의해 검출하도록 하며, 위치 검출 스위치가 검출한 시점에서부터 소정 시간 모터를 통전함으로써 댐퍼판을 개방 동작 또는 폐쇄 동작시킴으로써 캠의 구조가 간단하고 스위치 갯수도 적어 댐퍼 개폐기구의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캠을 1회전시켜 소요시간을 계측하고 이 계측시간을 기억함으로써 상기 댐퍼 개폐기구에서의 고유의 캠(1) 회전의 소요시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제품 각각에 양호한 댐퍼 개폐제어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계측수단이 전원투입시에 계측동작 및 기억동작을 실시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전원투입시에 미리 댐퍼 개폐 제어에 관한 소요 시간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고 조리를 개시할 때마다 상기 소요시간 데이터를 확보하는 경우와 달리, 계측 동작 및 기억동작의 실행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가열조리실이 있는 조리기 본체, 상기 가열조리실의 벽부에 형성된 통기구, 상기 통기구를 개폐하기 위한 댐퍼판과, 이 댐퍼판을 개폐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댐퍼모터를 갖는 댐퍼폐쇄기구, 및 개방된 통기구로부터 가열조리실 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팬장치를 갖는 가열조리기에 있어서, 알림수단; 상기 댐퍼모터의 회전속도가 기준속도의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기준속도의 범위 내에 없는 것이 판단되었을 때 이상이라고 판정하는 이상판정수단; 및 상기 이상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 판정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알림수단에 이상을 알리게 함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는 이상대응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이상대응 제어수단은 이상판정수단에 의해 이상이 판정되었을 때 그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이상판정횟수가 소정횟수가 되었을 때 알림수단에 이상을 알리게 함과 동시에 조리의 실행을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댐퍼 개폐 기구는, 위치 검출 스위치; 댐퍼 모터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에 의해 댐퍼판을 개폐하도록 설치됨 캠; 상기 캠의 원주 한곳에 설치되어 상기 댐퍼판을 개방 또는 폐쇄상태로 한 회전위치에서 상기 위치 검출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스위치 동작부; 상기 캠을 1회전시켜 소요시간을 계측하고 상기 계측시간 또는 이것의 1/2 시간을 기억하는 계측수단; 및 모터를 위치 검출 스위치가 동작한 위치로부터 상기 계측시간의 1/2 시간 회전시켜 정지시킴으로써 댐퍼판에 개방 동작 및 폐쇄 동작 중 한쪽 동작을 시키고 그 정지 위치로부터 위치 검출 스위치가 동작할 때까지 회전시키고 정지시킴으로써 댐퍼판에 다른쪽 동작을 시키는 개폐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4. 제3항에 있어서, 계측수단은 전원 투입시에 계측동작 및 기억동작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조리기.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4807A 1996-07-26 1997-07-25 가열조리기 KR100217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7671 1996-07-26
JP8197671A JP2996920B2 (ja) 1996-07-26 1996-07-26 加熱調理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0138A true KR980010138A (ko) 1998-04-30
KR100217191B1 KR100217191B1 (ko) 1999-09-01

Family

ID=16378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807A KR100217191B1 (ko) 1996-07-26 1997-07-25 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996920B2 (ko)
KR (1) KR100217191B1 (ko)
CN (1) CN115039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0315C (zh) * 2002-05-17 2007-06-06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微波炉的气流调节器控制方法
CN102162531A (zh) * 2010-12-27 2011-08-24 北京七星华创电子股份有限公司 风门装置
JP5879505B2 (ja) * 2011-08-24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調理器
CN107193253B (zh) * 2017-04-10 2019-10-15 上海蔚来汽车有限公司 换电站换电系统动作异常的处理方法
CN108010214A (zh) * 2017-11-30 2018-05-0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装置和烹饪装置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38281A (ja) 1998-02-13
JP2996920B2 (ja) 2000-01-11
CN1150391C (zh) 2004-05-19
KR100217191B1 (ko) 1999-09-01
CN1173615A (zh) 1998-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4171A (en) Clothes dryer automatically determining a period of crease-preventing, intermittent operation
KR960002808B1 (ko) 가열조리기
KR100217191B1 (ko) 가열조리기
KR100485347B1 (ko) 전자렌지 및 그 제어방법
KR20010019506A (ko) 전자레인지의 댐퍼장치
JP3766255B2 (ja) 加熱調理器
KR0177887B1 (ko) 가열조리기
US20140144906A1 (en) Heating cooking device
KR20090127768A (ko)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4041997A (ja) 生ゴミ処理装置
JP3828319B2 (ja) オーブンレンジ
KR100816734B1 (ko) 가습기 겸용 컨벡션 전자레인지 및 이러한 전자레인지의제어방법
KR20000008735U (ko) 전자렌지의 냉각팬 동작 감지장치
JPH06229560A (ja) 加熱調理器
KR100751802B1 (ko) 전자레인지 도어의 습기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4317007A (ja) 加熱調理器
KR101385098B1 (ko) 세탁물 감지장치를 구비하는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254314B1 (ko) 전자렌지의 중량센서를 이용한 전원 제어방법
JPS62243596A (ja) 乾燥機
JPH05240443A (ja) 加熱調理器
KR20220067969A (ko)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JP3066264B2 (ja) 電子レンジ
JPH08121780A (ja) 電子レンジ
KR100283655B1 (ko) 전자렌지의 조리상태 자기진단방법
JPS60133224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