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67969A -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67969A
KR20220067969A KR1020200154804A KR20200154804A KR20220067969A KR 20220067969 A KR20220067969 A KR 20220067969A KR 1020200154804 A KR1020200154804 A KR 1020200154804A KR 20200154804 A KR20200154804 A KR 20200154804A KR 20220067969 A KR20220067969 A KR 20220067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upport
cooling fan
motor
sens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67969A/ko
Publication of KR20220067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연결된 구동감지모듈을 포함하고, 구동감지모듈은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대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냉각팬의 작동 중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가열부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COOKING APPLIANCE AND COOLING UNIT THEREWITH}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된 전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유닛을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호브(Hob), 그리들(Griddle)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리실의 상부에는, 전장실이 형성된다. 전장실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실은, 조리실과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전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은, 시로코팬과 같은 원심형 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장실의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장실 내부를 냉각하고, 전장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밀폐형 조리기기의 외부로 강제로 송풍함으로써 전장실을 냉각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각팬에 고장이 발생되면, 전장실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전장실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전장실 내부에 구비된 전장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전장부품의 고장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선행문헌(미국등록특허 제6772752호)에는, 조리기기를 위한 쿨링 시스템 에어플로우 센서(Cooling system airflow for a cooking appliance)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의 조리기기는, 팬블레이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구동 샤프트를 구비하는 냉각팬과,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게 장착되는 멀티폴 마그넷(Multipole magnet), 및 멀티폴 마그넷에 인접되게 배치된 홀센서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에 따르면, 냉각팬 구동시 멀티폴 마그넷이 구동 샤프트와 함께 회전되고, 홀센서는 멀티폴 마그넷의 회전을 감지한다. 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멀티폴 마그넷의 회전 속도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경우, 콘트롤러는 조리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냉각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해 홀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를 구비할 것이 요구된다. 또한 선행문헌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냉각팬의 회전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홀센서뿐 아니라, 홀센서가 냉각팬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멀티폴 마그넷과 같은 별도의 장치가 더 추가되어야 한다.
즉 선행문헌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냉각팬의 작동 여부 감지를 위해 홀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가 구비되어야 하고, 그리고 이 별도의 센서를 위한 장비의 추가가 또 이루어져야 하므로, 조리기기의 제조비용 및 제조공정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선행문헌: 미국등록특허 제6772752호
본 발명은 냉각팬의 고장 발생 여부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과열로 인한 전장부품의 고장 발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냉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구동축이나 센서 등을 추가할 필요 없이 냉각팬의 고장 발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냉각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팬의 동작 감지뿐 아니라, 냉각팬의 회전 속도도 파악할 수 있는 기능도 함께 갖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샤프트와 연결된 구동감지모듈을 포함하고, 구동감지모듈은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발생되는 기전력 측정 결과를 기초로 냉각팬의 고정 발생 여부에 판별이 이루어짐으로써, 냉각팬의 고장 발생 여부가 신속히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대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냉각팬의 작동 중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 판단 결과에 따라 가열부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된 기전력에 대한 측정 결과를 기초로 냉각팬의 작동 중지 여부를 판단하고, 냉각팬의 작동이 중지되었다고 판단되면 가열부의 동작이 중지되도록 한다.
이를 통해, 냉각팬의 고장 발생을 신속히 파악하여 조리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과열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전장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와;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마련되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는 냉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냉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 속도 증가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회전시 전류를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냉각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팬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모터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지지하며 상기 모터케이스와 결합되는 지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로터를 수용하는 보빈과;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이 형성된 상기 보빈 내부에 로터가 수용되고, 상기 보빈에 코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빈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케이스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를 가로막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팬하우징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모터에 더 인접한 어느 하나에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통과할 수 있게 지지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모터와 더 먼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모터케이스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모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냉각팬과 상기 구동감지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은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측은 상기 모터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로터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냉각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냉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기전력의 크기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된 기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될 수 있게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에 따르면, 온도측정부에 의한 온도 측정 결과를 기초로 냉각팬의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냉각팬의 고장 발생 여부가 신속히 파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의 고장으로 인해 전장부품들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조리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전장부품들을 과열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축이나 센서 등을 추가할 필요 없이 냉각팬모듈의 고장 발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장부품들을 과열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을 작동시키는 모터가 AC모터인지 DC모터인지에 구애 받지 않고, 냉각팬모듈의 작동 중지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종류와 관계 없이 냉각팬모듈의 고장 발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감지모듈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에 대한 측정을 통해 냉각팬의 회전 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각팬모듈의 동작 상태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냉각팬모듈에 의한 전장실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냉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냉각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감지모듈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각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의 사용을 위해 조리기기를 바닥(floor)에 놓은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식기세척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식기세척기의 도어 앞에서 식기세척기를 바라볼 때 식기세척이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되며, 전면패널(13)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본체(10)의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21)이 제공될 수 있다.
쿡탑부(20)의 중앙부에는,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부(22)는 전기를 이용하는 인덕션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22)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5)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15)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5)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5)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8)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5)의 하측에도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6)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16)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5)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6)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7)이 설치된다.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5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51)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캐비티(11)의 외부에는, 전장실(30)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30)은, 캐비티(11)의 상부 및 컨트롤패널(50)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30)의 내부에는,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30)의 전면은, 전면패널(13)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전면패널(13)은, 캐비티(11)와 도어(1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패널(13)은, 적어도 일부분이 전장실(30)의 전방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5)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패널(13)의 상부 영역이 전장실(30)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전면패널(13)에는, 흡기구(14)가 마련될 수 있다. 흡기구(14)는, 전면패널(13)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흡기구(14)는, 전장실(30)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3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전면패널(13)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전장실 내부의 구조]
전장실(30)의 상부, 측부, 배후 경계면은, 전장실(30)을 상부에서 덮는 전장실커버(2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30)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장실커버(25)는 전방 및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장실커버(25)에 의해서는 전장실(30)의 양측부와 배후 경계면이 규정되고, 쿡탑부(20)의 하부 경계면을 규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에 의해 전장실(30)의 상부 경계면이 규정될 수도 있다.
전장실(30)의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장실(30)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컨트롤패널(5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캐비티(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은, 캐비티(11)의 상부에 설치된 서포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서포터는 캐비티(1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회로기판은 캐비티(11)로부터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서 서포터에 결합됨으로써 캐비티(11)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장부품이 배치된 전장실(30)의 내부에는,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장실(30)의 내부 공간은, 전면패널(13)에 형성된 흡기구(14)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흡기구(14)는,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가 전장실(3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전면패널(13)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의 냉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냉각유닛(100)은 전장실(30)에 배치되되, 캐비티(11)의 후면에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닛(100)은, 냉각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120)은,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터보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120)은, 전장실(30) 전방의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조리실(15)의 후방 공간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방 하부에는, 조리실(15)의 후방 공간과 연통하며 전방으로 개방된 하부 통공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팬(120)이 작동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있던 외부 공기가 도어(16)의 하부에 마련된 공기유동구멍을 통해 도어(16)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한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15)로부터 도어(16)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6)가 냉각될 수 있다.
도어(16)의 내부에서 상승한 공기는, 도어(16)의 상부에 마련된 공기유동구멍 및 전면패널(13)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기구(14)를 통해 전장실(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장실(30)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팬(120) 측으로 흡입되면서 전장실(20)에 배치된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킨 후, 조리실(15)의 후방 공간으로 토출된 후, 조리기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냉각유닛의 구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냉각유닛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구동감지모듈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냉각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냉각유닛(100)은 냉각팬모듈(110)을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모듈(110)은, 전장실(30) 내부에 배치된 전장부품의 냉각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모듈(110)은, 모터(130)와 냉각팬(12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30)는, 조리기기(1)에 구비되는 제어부(200; 도 9 참조)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모터(130)는, 로터와 스테이터, 그리고 로터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30)는, 샤프트(133)를 통해 냉각팬(120)과 연결되어 냉각팬(12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냉각팬(120)은, 샤프트(133)와 연결되어 샤프트(133)와 함께 회전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러한 냉각팬(120)은, 샤프트(133)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샤프트(133)와 함께 회전하며 냉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냉각팬모듈(110)은, 팬하우징(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하우징(140)은, 냉각팬(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며 샤프트(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팬하우징(140)은 샤프트(133)의 길이방향(이하. "길이방향"이라 한다)을 따라 냉각팬(120)의 양측에 배치되는 팬지지부(141,142)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팬(120)은, 한 쌍의 팬지지부(141,1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각팬(120)과 연결되는 샤프트(133)는, 한 쌍의 팬 지지부(141,14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팬지지부(141,142) 중, 모터(130)에 더 인접한 팬지지부(141)에 샤프트(13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샤프트(133)와 연결된 냉각팬(120)의 길이방향 일측이 팬지지부(14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팬지지부(142)에는, 냉각팬(1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때 냉각팬(120)에는 돌기축(121)이 냉각팬(12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돌기축(121)이 팬지지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냉각팬(120)의 길이방향 타측이 팬지지부(14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 쌍의 팬지지부(141,142) 중, 모터(130)에 더 인접한 팬지지부(141)에는, 모터(1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팬지지부(141)에 결합되는 모터(130)는, 모터케이스(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케이스(135)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내부에 수용하며, 샤프트(13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케이스(135)는, 제1축지지부(136)와 제2축지지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축지지부(136)는, 모터케이스(135) 내부에 수용된 로터 및 스테이터와 후술할 구동감지모듈(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축지지부(136)는, 구동감지모듈(150)과 인접한 샤프트(133)의 길이방향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축지지부(137)는, 모터케이스(135) 내부에 수용된 로터 및 스테이터와 냉각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축지지부(137)는, 냉각팬(120)과 인접한 샤프트(133)의 길이방향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샤프트(133)는, 모터케이스(135)를 관통하면서 모터케이스(13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33)의 길이방향 일측은, 제1축지지부(136)를 관통하여 모터케이스(135)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모터케이스(135)의 외측에서 구동감지모듈(15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133)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2축지지부(137)를 관통하여 모터케이스(135)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고, 팬지지부(141)를 관통하여 냉각팬(12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축지지부(136)와 제2축지지부(137)는 샤프트(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처럼 이격된 제1축지지부(136)와 제2축지지부(137)는 연결지지부(138,139)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138,139)는, 로터와 스테이터, 그리고 샤프트(133)를 샤프트(133)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지지부(138,139)의 길이방향 일측은 제1축지지부(136)와 연결되며, 연결지지부(138,139)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2축지지부(137)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지지부(138,139)는, 두 부분으로 분리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지지부(138,139)는 제1축지지부(136)와 연결된 제1연결지지부(138)와 제2축지지부(137)와 연결된 제2연결지지부(139)로 분리될 수 있다. 길이방향 일측에 배치된 제1연결지지부(138)와 길이방향 타측에 배치된 제2연결지지부(139)는,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연결지지부(138)와 제2연결지지부(139)는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연결지지부(138)와 제2연결지지부(139)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돌기(139a)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제1연결지지부(138)와 제2연결지지부(139)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끼움돌기(139a)가 억지 끼움되는 돌기결합보스(138a)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끼움돌기(139a)가 제2연결지지부(139)에 구비되어 제2연결지지부(139)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돌기결합보스(138a)가 제1연결지지부(138)에 구비되어 제2연결지지부(139)와 마주보는 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모터케이스(135)는, 팬하우징(140) 및 구동감지모듈(150)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모터케이스(135)에는 제1결합보스(135a)와 제2결합보스(135b)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결합보스(135a)는, 구동감지모듈(150)과 마주보는 측, 바꾸어 말하면 제1축지지부(136)가 배치된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결합보스(135a)는, 제1연결지지부(138)와 제1축지지부(136)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보스(135a)는, 모터케이스(135)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보스(135a)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결합보스(135a) 내부에 형성된 중공은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합보스(135a)의 내부는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끼움홈 또는 끼움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보스(135b)는, 팬하우징(140)과 마주보는 측, 바꾸어 말하면 제2축지지부(137)가 배치된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결합보스(135b)는, 제2연결지지부(139)와 제2축지지부(137)가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보스(135b)는, 모터케이스(135)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보스(135b)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결합보스(135b) 내부에 형성된 중공은 길이방향 타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결합보스(135b)의 내부는 길이방향 일측으로 개방된 끼움홈 또는 끼움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모터케이스(135)와 팬하우징(140) 간의 결합은, 제2결합보스(135b)와 팬지지부(14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스크류(Screw)와 같은 체결부재가 팬지지부(141)를 관통하면서 제2결합보스(135b)와 나사 결합함에 의해, 제2결합보스(135b)와 팬지지부(14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팬하우징(140)에는, 유동덕트(143)가 마련될 수 있다. 유동덕트(143)는, 냉각팬(1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유동덕트(143)는 냉각팬(120)의 상부에서 냉각팬(120)의 출구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유동덕트(143)는, 냉각팬(120)으로부터 방출되는 기체의 유동을 안내하는 한편, 냉각팬모듈(110)의 고정을 위한 결합면을 팬하우징(140)에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유동덕트(143)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유동덕트(143)는 팬지지부(141,142)의 상부에서 한 쌍의 팬지지부(141,142)와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유동덕트(143)의 상부는 유동덕트(143)의 상부에 배치된 배기부(145)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유동덕트(143)의 출구는, 유동덕트(143)의 상부에 배치된 배기부(145)와 연결될 수 있다. 배기부(145)에는, 유동덕트(143)의 출구를 조리기기(1)의 외부로 연통시키는 배기구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30)을 통과한 후 냉각팬(120)으로 흡입된 공기는, 유동덕트(143)에 의해 그 유동이 안내되면서 배기부(145)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냉각팬(120)을 통해 형성된 기류에 의해 전장실(30)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팬(120)에 의해 흡입된 후 최종적으로 배기부(145)를 통해 조리기기(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커버(25)의 배면과 마주보는 유동덕트(143)의 배면은, 팬하우징(140)과 전장실커버(25)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팬하우징(140)과 전장실커버(25) 간의 결합에 의해, 냉각유닛(100)이 전장실(30)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냉각유닛(100)은 구동감지모듈(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감지모듈(150)은, 샤프트(133)와 연결되며, 냉각팬(120)을 회전시키는 샤프트(133)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Electromotive force)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동감지모듈(150)은, 로터(131)와 스테이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모터(130)에 구비되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제1로터(131)와 제1스테이터(132)라 하고, 구동감지모듈(150)에 구비되는 로터와 스테이터를 제2로터(160)와 제2스테이터(170)라 지칭하기로 한다.
제2로터(160)는, 샤프트(13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133)는 모터(130)로부터 길이방향 일측으로 더 돌출되게 연장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샤프트(133)는, 구동감지모듈(150)의 내부에서 제2로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샤프트(133)에 제1로터(131)와 제2로터(160)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로터(131)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133)가 회전되고, 이 샤프트(133)에 연결된 제2로터(160)는 샤프트(13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제2로터(160)는, N극과 S극이 샤프트(133)의 둘레방향을 따라 교차되게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스테이터(170)는, 제2로터(160)의 회전시 전류를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스테이터(170)는, 샤프트(133)의 직경방향 외측에서 제2로터(16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로터(160)와 제2스테이터(170)를 포함하는 구동감지모듈(150)은, 마치 발전기와 같이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구동감지모듈(150)은, 지지케이스(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케이스(180)는, 제2로터(160) 및 제2스테이터(170)를 지지하며 모터케이스(135)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지지케이스(180)는, 보빈(181)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81)은, 제2로터(16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181)이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중공이 형성된 보빈(181) 내부에 제2로터(160)와 제2스테이터(170)가 수용되고, 제2스테이터(170)는 보빈(181)의 내주면과 제2로터(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중공이 형성된 보빈(181) 내부에 제2로터(160)가 수용되고, 제2스테이터(170)는 보빈(181)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중공이 형성된 보빈(181) 내부에 제2로터(160)가 수용되고, 제2스테이터(170)는 보빈(181)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스테이터(170)는, 권취된 코일이 보빈(181)의 외주면에 배치되되, 복수개의 코일 다발이 보빈(181)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케이스(180)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보빈(181)을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지지부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는, 보빈(181)을 사이에 두고 샤프트(133)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는, 적어도 일부분이 보빈(18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181)이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가 각각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는, 각 변의 길이가 보빈(181)의 직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플레이트(182,183)에 따르면, 지지플레이트(182,183)의 모서리와 그 인근 영역이 보빈(181)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가 각 변의 길이가 보빈(181)의 직경 이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82,183)에 포함되는 두 쌍의 변 중, 어느 한 쌍의 변의 길이는 다른 한 쌍의 변의 길이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고정부(185)는 보빈(181)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는, 보빈(181)과 별도로 마련될 수도 있고, 보빈(18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가 보빈(18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아울러 지지케이스(180)는, 고정부(1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85)는, 지지부와 연결되며 팬하우징(140)과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부(185)는, 연결부(186)와 결합부(187)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86)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를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부(186)는, 적어도 일부분이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186)의 길이방향 일측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 중 모터(130)로부터 더 멀게 배치된 것(이하, "제1지지플레이트(182)라 한다)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86)의 길이방향 타측은,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 중 모터(130)와 더 가깝게 배치된 것(이하, "제2지지플레이트(183)라 한다)과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187)는, 지지부로부터 팬하우징(14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87)는, 팬하우징(140)과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부(187)는 제2지지플레이트(183)로부터 길이방향 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187)는, 모터케이스(135)와의 결합을 매개로 팬하우징(14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케이스(135)에는 제1결합보스(135a)가 마련되고, 결합부(187)는 제1결합보스(135a)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187)와 제1결합보스(135a) 간의 결합 방식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87)가 제1결합보스(135a)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결합부(187)와 제1결합보스(135a)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나사 결합 형태로 결합부(187)와 제1결합보스(135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고정부(185)는, 연결부(186)와 결합부(187)가 샤프트(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 중 모터(130)에 더 인접한 어느 하나, 즉 제2지지플레이트(183)에는 끼움홀(183a)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홀(183a)은, 고정부(185)가 제2지지플레이트(183)를 통과할 수 있게 제2지지플레이트(183)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85)가 누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끼움홀(183a)은, 고정부(185)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의 원형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85)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즉 연결부(186)의 단부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182,183) 중 모터(130)와 더 먼 것, 즉 제1지지플레이트(182)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지지플레이트(182)와 고정부(185) 간의 결합 방식은 어느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나사 결합 형태로 제1지지플레이트(182)와 고정부(185)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경우, 연결부(186)의 내부에는 제1지지플레이트(182)를 향해 개방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연결부(186)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플레이트(182)에는, 연결부(186)의 중공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는, 체결홀을 통해 제1지지플레이트(182)를 관통한 후 연결부(186)의 내주면과 맞물리면서 제1지지플레이트(182)와 고정부(185)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185)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는, 상기한 바와 같이 결합부(187)와 제1결합보스(135a) 간의 결합에 의해 모터케이스(135)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85)의 길이방향에 따른 대략 중심부는 제2지지플레이트(183)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186)와 결합부(187)의 경계 부분이 끼움홀(183a)을 통해 제2지지플레이트(183)에 끼워지는 형태로 고정부(185)와 제2지지플레이트(18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케이스(180)에 한 쌍의 고정부(185)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한 쌍의 고정부(185)는, 보빈(181)을 중심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지지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지지플레이트(182,183)는,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의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고정부(185)는 보빈(18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고정부(185)는, 보빈(18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연결부(186)와 결합되면서 지지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
고정부(185)의 개수는 한 쌍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지지케이스(180)에 셋 이상의 고정부(185)가 구비되어 지지부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도 있으며, 지지부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다는 조건이 만족된다면 지지케이스(180)에 하나의 고정부(185)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고정부(185)의 연결부(186)는, 보빈(181)으로부터 보빈(181)의 원심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테이터(170)를 구성하는 코일은, 보빈(181)과 연결부(18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부(185)는, 보빈(181)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를 지지하되, 보빈(181)과 고정부(185) 사이에 코일이 권취되는데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유닛의 작용 효과]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제어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흐름도이며,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냉각유닛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조리기기의 조리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00)는 컨트롤패널(50)의 노브(51) 등을 통해 입력된 조작신호를 기초로 가열부와 냉각팬모듈(1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2)의 동작도 함께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어부(200)는 회로기판(31)에 실장된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00)는,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냉각팬모듈(110)의 동작 중지 여부를 파악하고, 파악된 결과에 따라 조리기기의 조리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4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조리기기가 제1설정모드로 동작될 때 가열부(H)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냉각유닛(100)의 작동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설정모드는, 조리기기의 각종 조리 동작일 수도 있고, 셀프 클리닝 동작일 수도 있다. 이하, 조리기기의 셀프 클리닝 동작이 이루어질 때를 예로 들어 조리기기의 냉각팬 고장 감지 로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리기기의 셀프 클리닝 기능은,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점착)된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이다. 조리기기에서의 셀프 클리닝은, 유분 등 오염물질이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될 경우, 가열부(H)와 같은 열원으로 조리실의 내부를 가열하여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을 태워서 제거하는 소위 파이로리시스(Pyrolysis)라고 하는 열분해 방법을 이용한 형태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셀프 클리닝 기능과 같이 가열부(H)가 고온으로 동작되는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조리실 내부의 온도는 고온으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전장실(30)의 온도도 함께 상승될 수 있는 조건이 된다.
따라서 셀프 클리닝 기능이 실행되는 동안 냉각팬모듈(110)의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면, 전장실(30)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전장실(30) 내부에 구비된 전장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전장부품들 중, 제어부(200)가 마련되는 회로기판은 열에 의한 영향에 취약할 수 있다. 회로기판의 온도는, 회로기판의 작동에 따른 발열로 인해 상승될 수 있고, 캐비티(11)의 열이 전장실(30)로 전달되어 회로기판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서도 상승될 수 있다.
이러한 회로기판이 과열될 경우, 제어부(200)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거나 심할 경우 파손될 수도 있고, 그 결과 조리기기(1) 전체의 동작 제어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셀프 클리닝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냉각팬모듈(110)의 작동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냉각팬모듈(110)이 작동하면, 본체(10)의 전방 하부에 있던 외부 공기가 도어(16)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후 도어(16)의 상부를 통해 토출되면서 도어(16)를 냉각시키고, 도어(16)의 상부로 토출된 공기는 전면패널(13)에 관통되게 형성된 흡기구(14)를 통해 전장실(3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전장실(30) 내부로 유입된 냉기는, 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고, 냉각팬(120)에 흡입된 후, 배기부(145)를 통해 조리기기(1)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각팬모듈(110)의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 구동감지모듈(150)의 작동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감지모듈(150)은 모터(130)의 외측에 배치되고, 모터(130)는 냉각팬(120)과 구동감지모듈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130)에 의해 회전되는 샤프트(133)의 일측은 냉각팬(120)과 연결되고, 샤프트(133)의 타측은 구동감지모듈(15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33)의 타측은, 모터케이스(135)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지지케이스(180)의 내부에서 제2로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130)가 냉각팬(120)을 작동시키기 위해 샤프트(133)를 회전시키면, 샤프트(133)는 냉각팬(12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지지케이스(180)의 내부에서 제2로터(16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제2로터(160)는 제2스테이터(170)의 구심방향 내측에서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제2로터(160)에 의해 발생되는 자기선속의 변화가 제2스테이터(170)의 코일에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냉각팬모듈(120)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때에는, 구동감지모듈(150)이 냉각팬모듈(120)의 동작에 연동되어 유도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모터(130)와 구동감지모듈(150)이 근접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구동감지모듈(150)의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모터(130) 측으로 전달될 가능성도 있다.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모터(130) 측으로 전달되면, 이 유도 전류가 모터(130)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고, 이로 인해 모터(130)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될 우려가 발생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1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구성이 개시된다.
그 일례로서,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82,183)는, 구동감지모듈(150)의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모터(1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부도체 소재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82,183)는, 제2스테이터(170)와 고정부(185) 간의 전기적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구동감지모듈(150)의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지지플레이트(182,183) 및 고정부(185)를 통해 모터(1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지지플레이트(182,183), 특히 제2플레이트(183)는, 구동감지모듈(150)의 제2스테이터(170)와 모터(130)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부도체 소재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182,183)는 구동감지모듈(150)의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모터(1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지지케이스(180)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18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84)는, 모터(130)의 제1스테이터(132)와 제2스테이터(170)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184)는, 제1플레이트(182)와 제2플레이트(183)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스테이터(170)는, 제1플레이트(182)와 제2플레이트(183) 및 차단플레이트(184)에 의해 3면이 가로막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플레이트(182)와 제2플레이트(183) 사이에 배치된 제1스테이터(170)의 주변은, 제1플레이트(182)와 제2플레이트(183)가 이격된 간격만큼 개방되어 있다. 예컨대, 제1스테이터(170)의 주변은, 보빈(181)의 둘레방향을 따라 사방으로 개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테이터(132)의 코일이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차단플레이트(184)는 제1플레이트(182)와 제2플레이트(183) 사이의 개방된 부분을 가로막게 배치되되, 제1스테이터(132)의 코일이 배치된 부분을 향하는 방향과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잇다.
이와 같이 배치된 차단플레이트(184)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플레이트(184)는, 제1플레이트(182) 및 제2플레이트(183)와 함께 제2스테이터(170) 주변을 둘러싸면서, 구동감지모듈(150)의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모터(1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지지케이스(180)에 차단플레이트(184)가 더 구비됨에 따라, 제1플레이트(182)와 제2플레이트(183) 및 차단플레이트(184)가 제2스테이터(170) 주변을 3면에서 둘러싸며 제1스테이터(132)의 코일과 제2스테이터(170) 사이를 더 효과적으로 가로막을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구동감지모듈(150)의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모터(13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에 의해 제2스테이터(170)를 구성하는 코일에 흐르는 유도전류는, 제어부(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스테이터(170)를 구성하는 코일과 제어부(200)가 마련된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된 유도 전류가 회로기판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처럼 회로기판으로 전달된 유도 전류가 제어부(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즉 구동감지모듈(150)에서 유도 전류가 제어부(200)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부(200)는 이와 같이 제어부(200)로 전달된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된 유도 기전력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S10).
제어부(200)는,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유도 기전력의 크기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냉각팬모듈(110)의 작동 중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예컨대,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가 설정치 이하이면, 제어부(200)는 냉각팬모듈(110)의 작동이 중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설정되는 설정치는, 냉각팬(120)의 회전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제어부(200)에서 측정되는 기전력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설정치는 전장실(30)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 정도로 냉각팬(120)이 회전되고 있을 때 제어부(200)에서 측정되는 기전력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00)는,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가 설정치 미만일 때, 냉각팬모듈(110)의 작동이 중지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냉각팬(120)의 동작이 중지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조리기기의 조리 동작을 중지시킬 수 있다(S30). 이에 따라 가열부(H)의 동작이 중지되고, 전장실(30)에 배치된 전장부품들 중 일부의 동작도 중지될 수 있다.
냉각팬모듈(110)의 동작이 중지된 상태라면, 가열부(H)의 동작이 계속될 경우, 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장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될 경우 전장부품들의 고장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냉각팬(120)의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가열부(H)이 계속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팬모듈(110)의 고장이 발생된 것으로 보이는 경우 조리기기의 조리 동작이 중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팬모듈(110)의 고장으로 인해 전장부품들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더라도, 전장부품들의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되거나 그로 인해 전장부품들의 고장이 발생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팬모듈(110)의 작동에 연동되어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 측정 결과를 기초로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에 대한 판별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가 신속히 파악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1)는, 냉각팬모듈(110)의 고장으로 인해 전장부품들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이를 신속히 파악하여 조리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전장부품들을 과열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을 이용하여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구동감지모듈(150) 외에 별도의 다른 센서 등이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는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 측정이 이루어지지만, 이를 위해 홀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가 필요하지 않다. 구동감지모듈(150)에서 발생되는 기전력 측정을 통해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 측정이 충분히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홀센서와 같은 별도의 센서를 이용하여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홀센서가 샤프트(133)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예를 들면, 멀티폴 마그넷(Multipole magnet)이 추가되어야 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구동감지모듈(150)은 홀센서나 멀티폴 마그넷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러한 구동감지모듈(150)은, 모터(130)의 외측으로 연장된 샤프트(133)에 제2로터(160)를 연결하고 이러한 제2로터(160)를 감싸는 제2스테이터(170)를 구비한 지지케이스(180)를 모터케이스(135)에 고정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냉각팬모듈(110)에 쉽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1)는, 별도의 구동축이나 센서 등을 추가할 필요 없이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장치가 간단한 구조로 마련되어 쉽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전장부품들을 과열로 인한 고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구동감지모듈(150)은, 냉각팬모듈(110)의 작동 중지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냉각팬모듈(110)에 구비되는 모터(130)의 전압을 감지할 필요가 없다. 구동감지모듈(150)은, 냉각팬모듈(110)의 작동 중지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단지 샤프트(133)의 회전을 이용할 뿐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구동감지모듈(150)은, 냉각팬(120)을 작동시키는 모터(130)가 AC모터인지 DC모터인지에 구애 받지 않고, 냉각팬모듈(110)의 작동 중지 여부 판단에 필요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1)는, 모터의 종류와 관계 없이 냉각팬모듈(110)의 고장 발생 여부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감지모듈(150)은,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에 따라 다른 크기의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구동감지모듈(150)은 샤프트(133)의 회전 속도 증가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구동감지모듈(150)은 더 큰 기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대로,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가 느려질수록 구동감지모듈(150)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는 감소될 수 있다.
이처럼 구동감지모듈(150)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는,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에 비례하여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가 이전보다 2배로 증가되면, 구동감지모듈(150)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도 2배로 증가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가 어떠한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구동감지모듈(150)에 의해 발생되는 기전력에 대한 측정을 통해 냉각팬(120)의 회전 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냉각팬모듈(110)의 동작 상태에 대한 파악도 가능해지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구동감지모듈(150)은, 냉각팬모듈(110)의 작동 중지 여부만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치지 않고, 냉각팬모듈(110)에 의한 전장실(30)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정보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3 : 전면패널
14 : 흡기구
15 : 조리실
16 : 도어
17 : 핸들
18 : 컨벡션부
20 : 쿡탑부
21 : 상판
22 : 가열부
25 : 전장실커버
30 : 전장실
50 : 컨트롤패널
51 : 노브
52 : 디스플레이
100 : 냉각유닛
110 : 냉각팬모듈
120 : 냉각팬
121 : 돌기축
130 : 모터
131 : 제1로터
132 : 제1스테이터
133 : 샤프트
135 : 모터케이스
135a : 제1결합보스
135b : 제2결합보스
136 : 제1축지지부
137 : 제2축지지부
138 : 제1연결지지부
138a : 돌기결합보스
139 : 제2연결지지부
139a : 끼움돌기
140 : 팬하우징
141,142 : 팬지지부
143 : 유동덕트
145 : 배기부
150 : 구동감지모듈
160 : 제2로터
170 : 제2스테이터
180 : 지지케이스
181 : 보빈
182 : 제1지지플레이트
183 : 제2지지플레이트
183a : 끼움홀
185 : 고정부
186 : 연결부
187 : 결합부
200 : 제어부

Claims (16)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가열하는 가열부;
    상기 캐비티의 외부에 마련되는 전장실; 및
    상기 전장실에 배치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닛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냉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 속도 증가치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는 로터; 및
    상기 로터의 회전시 전류를 유도하는 코일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며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팬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모터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로터 및 상기 스테이터를 지지하며 상기 모터케이스와 결합되는 지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는,
    상기 로터를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중공이 형성된 상기 보빈 내부에 로터가 수용되고, 상기 보빈의 외주면에 코일이 권취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보빈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보빈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냉각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스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부도체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와 상기 스테이터 사이를 가로막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팬하우징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팬하우징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결합부가 상기 샤프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모터에 더 인접한 어느 하나에는, 끼움홀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홀은, 상기 고정부가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통과할 수 있게 지지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 단부가 한 쌍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상기 모터와 더 먼 다른 하나와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의 타측 단부가 상기 모터케이스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상기 모터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는, 상기 냉각팬과 상기 구동감지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일측은 상기 냉각팬과 연결되고, 상기 샤프트의 타측은 상기 모터케이스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지지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로터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의 크기가 설정치 이하이면 상기 가열부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조리기기.
  15.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모터;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며 냉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냉각팬; 및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며, 상기 냉각팬을 회전시키는 상기 샤프트의 회전을 이용하여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감지모듈;을 포함하는 냉각유닛.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감지모듈은, 기전력의 크기에 따라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감지모듈에서 발생된 기전력의 크기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측정될 수 있게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냉각유닛.
KR1020200154804A 2020-11-18 2020-11-18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KR20220067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04A KR20220067969A (ko) 2020-11-18 2020-11-18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804A KR20220067969A (ko) 2020-11-18 2020-11-18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969A true KR20220067969A (ko) 2022-05-25

Family

ID=81797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804A KR20220067969A (ko) 2020-11-18 2020-11-18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6796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752B1 (en) 2003-04-10 2004-08-10 Maytag Corporation Cooling system airflow sensor for a cook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72752B1 (en) 2003-04-10 2004-08-10 Maytag Corporation Cooling system airflow sensor for a cooking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EP2549831A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US8334482B2 (en) Cooking range with air circulation mechanism
US20100012644A1 (en) Dual fan convection performance divider
JP6667082B2 (ja) 加熱調理器
JP2006292181A (ja) 電子レンジ
KR20220067969A (ko) 조리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냉각유닛
JP2016162703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20001851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954138B2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コイルユニット
JP4251156B2 (ja) 加熱調理器
JP5011001B2 (ja) 加熱調理器
US20110214660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cooling fan of an appliance
JP5404740B2 (ja) 誘導加熱調理器及びコイルユニット
US11849527B2 (en) Oven appliance with improved convection cooking performance
JP201904672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210106290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9215091A (ja) 換気ファン付き電子レンジおよび調理システム
KR20110070470A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JP201027788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5593861B2 (ja) 電気炊飯器
JP7216686B2 (ja) 加熱調理器
JP2003074865A (ja) 複合加熱調理装置
CN218237549U (zh) 烹饪装置及集成灶
KR20060035904A (ko) 빌트인 타입 전기오븐의 냉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