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939A - 유체기계 - Google Patents

유체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939A
KR980009939A KR1019970034609A KR19970034609A KR980009939A KR 980009939 A KR980009939 A KR 980009939A KR 1019970034609 A KR1019970034609 A KR 1019970034609A KR 19970034609 A KR19970034609 A KR 19970034609A KR 980009939 A KR980009939 A KR 980009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mechanism
bearing member
shaft
mechanism portion
compression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5278B1 (ko
Inventor
아카라 모리시마
히토시 핫토리
도시오 오타카
모토노리 후타무라
가즈오 사이토
Original Assignee
나시무로 다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시무로 다이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나시무로 다이죠
Publication of KR980009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2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engine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 F01C11/002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engine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 F01C11/0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machines or engine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of similar working principle and of complementary function, e.g.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superchar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0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30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1C1/02, F01C1/08, F01C1/22, F01C1/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1C1/34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1C1/02, F01C1/08, F01C1/22, F01C1/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1C1/08 or F01C1/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1C1/356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1C1/02, F01C1/08, F01C1/22, F01C1/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1C1/08 or F01C1/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01C1/3562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1C1/02, F01C1/08, F01C1/22, F01C1/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1C1/08 or F01C1/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 F01C1/3564Rotary-piston machines or engine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groups F01C1/02, F01C1/08, F01C1/22, F01C1/24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1C1/08 or F01C1/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the inner and outer member being in contact along one line or continuous surfac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the surfaces of the inner and outer member, forming the working space, being surfaces of revol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2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1C1/00 - F01C20/00
    • F01C21/001Injection of a fluid in the working chamber for sealing, cooling and lubricating
    • F01C21/002Injection of a fluid in the working chamber for sealing, cooling and lubricating with control systems for the injection of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한 개의 밀폐케이스(1)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5)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7)를 배치하며, 팽창기구부(5)의 주 베어링부재(43) 및 부 베어링부재(9)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41)와 압축기구부(7)의 주 베어링부재(99) 및 부 베어링부재(101)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95)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 연결하고, 팽창기구부(5)의 외부둘레측을 팽창기구부(5)의 구성요소를 밀폐케이스(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팽창기구부(5)의 구성요소에 장착된 밀봉부재(45)를 통하여 샤프트(41)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15)과 압축기구부실(21)을 형성하므로써, 격벽을 이용하지 않고 한 개의 밀폐케이스내를 분리하여 각 샤프트의 베어링간의 거리를 짧게 하여 성능, 안정을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기계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기계의 개요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4는 고압실과 제 1 샤프트의 밀봉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랜킨사이클과 냉동사이클의 운전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6은 팽창기구부의 실린더를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팽창기구부측의 외부둘레를 밀봉한 도 1과 동일한 단면도.
도7은 팽창기구부의 부 베어링부재를 고정 간막이판을 통하여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히켜 팽창기구부측 외부둘레를 밀봉한 도1과 동일한 단면도.
도8은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를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압축기구부측 외부둘레를 밀봉한 도 1과 동일한 단면도.
도9는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를 고정 간막이판을 통하여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압축기구부측 외부둘레를 밀봉한 도1과 동일한 단면도.
도10은 종래의 랜킨사이클과 냉동사이클의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밀폐케이스 5:팽창기구부
7:압축기구부 9, 101:부 베어링부제
15:팽창기구부실 21:압축기구부실
41, 95:샤프트 43, 99:주 베어링부제
45:밀봉부재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에 랜킨(Rankine)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가 동시에 조립된 유체기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가 동시에 조립된 유체기계로은 일본 특허공개소 57-37666호 공보에 나타낸 것이 알려져 있다.
유체기계는 고온, 고압가스에 의해 팽창기구부에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회전동력을 압축기구부에 전달하고 압축기구부에서 냉매를 압축하여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유체기계는 팽창기구부에서 발생되는 회전 동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압축기구부의 운전을 실시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랜킨 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의 냉매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의 냉매로 동일 냉매를 사용하는 한가지 유체방식이 있다. 이 한가지 유체방식은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관계가 있는 랜킨사이클과 냉동사이클을 구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냉동사이클의 운전조건을 최적 조건으로 설정하면 랜킨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랜킨 사이클의 운전 조건을 최적 조건으로 설정하면 냉동 사이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양 사이클의 최적 운전 조건을 동시에 달성하는 것이 곤란했다.
이 경우, 밀폐케이스 내를 전용 격벽에 의해 구획하고, 한쪽을 팽창기구부가 배치된 팽창기구부실, 다른 쪽을 압축기구부가 배치된 압축기구부실로 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각각 분리하여 독립된 랜킨사이클과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여 달성할 수 있지만 반면에, 부품수가 증가하여 조립, 비용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격벽에 의해 팽창기구부측의 샤프트와 압축기구부 측의 샤프트가 길어져 동일 축심상에서 전도 연결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격벽을 사용하지 않고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를 분리하고, 각 샤프트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성능, 안정을 도모한 유체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번째로,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에 랜킨 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 연결하고, 상기 팽창기구부의 외부 둘레측을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를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에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한다.
두번째로,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연결 하고, 상기 압축기구부의 외부둘레측을 압축기구부의 구성요소를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압축기구부의 구성요소에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한다.
세번째로,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 결합연결하고, 상기 팽창기구부의 외부둘레측을 고정 간막이판을 통하여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팽창기구부의 부 베어링부재에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한다.
네번째로, 한개의 밀폐케이스 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 연결하고, 상기 압축기구부의 외부둘레측을 고정 간막이판을 통하여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측에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한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를 부 베어링부재로 한다.
이와 같은 유체기계에 의하면 팽창기구부의 부 베어링부재, 또는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에 의해 분리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이 형성되고, 팽창기구부에 의해 독립된 랜킨사이클과 압축기구부에 의해 독립된 냉동사이클을 각각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랜킨사이클 및 냉동사이클의 최적인 운전조건을 달 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격벽이 없기 때문에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의 각 샤프트의 베어링사이가 짧아지고, 동일 축선 상에서 정밀한 결합 연결이 용이해져 성능의 안정에 기여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1내지 도5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 공통된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에 있어서, 도면부호 "1"은 유체기계(3)의 밀폐케이스를 나타내고 있으며, 밀폐케이스(1)의 우측에 팽창기구부(5)가, 좌측에 압축기구부(7)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는 후술하는 팽창기구부(5)의 부 베어링부재99)에 의해 흡입관(11)과 토출관(13)을 갖는 팽창기구부실(15)과 흡입관(17) 및 토출관(19)을 갖는 압축기구부실(21)로 분리되어 있다. 팽창기구부실(15)의 팽창기구부(5)는 흡입관(11)에서 보내지는 고압가스가 팽창한 후, 토출관(13)에서 토출되는 독립된 램틴사이클을 구성한다. 압축기구부(7)는 흡입관(17)에서 흡입된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19)에서 토출되는 독립된 냉동사이클을 달성한다.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밀폐케이스(1)내에 배치된 팽창기구부(5)는 실린더(37)와 실린더(38)로 이루어진 트윈타입(twin type)으로 되어 있고, 각 실린더(37, 38)는 중간 간막이판(39)에 의해 각각 독립하도록 구획되며, 양 실린더(37, 38)에 제1 샤프트(41)가 관통되어 있다.
팽창기구부(5)의 제1 샤프트(41)는 주 베어링부재(43)와 부 베어링부재(9)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양 단이 지지되며, 부 베어링부재(99)의 외부둘레측은 밀폐케이스(1)의 내벽면과 밀착하여 밀봉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부 베어링부재(9)의 중심측은 부 베어링부재(9)의 축 통부(9a)에 장착된 밀봉부재(45)에 의해 압축기구부(7)측으로 뻗어나는 제1 샤프트(41)의 외주면의 밀봉을 확보하여 독립된 팽창기구부실(15)과 압축기구부실(21)로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제1 샤프트(41)는 후술하는 가스흡입통로(47)와 상기 각 실린더(37, 38)에 대응하는 부분에 서로 180도 위상을 어긋나게 한 편심축부(49, 50)가 설치되며, 이들 편심 축부(49, 50)에는 상기 양 실린더(37, 38)내에 배치된 제1 로울러(51) 및 제2 로울러(52)가 끼워 맞취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로울러(51, 52)는 편심 축부(49, 50)의 회전에 의해 180도 위상이 어긋난 편심회전이 주어지게 된다.
제1, 제2 로울러(51, 52)의 외주면에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압 또는 스프링 등에 의한 부세수단(55)에 의해서 항성 서로 접촉하는 블레이드(57)가 설치되며, 각 로울러(51, 52) 및 블레이드(57)에 의해 팽창실(59)이 각각 만들어지도록 되어 있다.
제1 사프트(41)에 설치된 고압가스 통로가 되는 가스 흡입통로(47)의 한쪽의 흡입구(47a)는 고압실(61)을 통하여 상기 흡입관(11)과 연이어 통해져 있다.
고압실(61)은 밀폐케이스(9)내에 배치된 격벽(63)에 의해 독립되게 형성되며, 상기 주 베어링부재(43)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겸한 구조로 되어 있다.
격벽(63)과 주 베어링부재(43)의 베어링 단부(43a)와의 사이에는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밀봉부재(65)에 의해서 제1 샤프트(41)와 주 베어링부재(43) 사이는 제2 밀봉부재(67)에 의해서 각각 밀봉되어 있다.
제2 밀봉부재(67)의 밀봉 단면은 주 베어링부재(43)의 베어링 단부(43a)의 단면과 내측 밀봉면은 제1샤프트(41)의 외부둘레면과 각각 접촉하고, 부세스프링 (69)에 의해 항상 주 베어링부재(43)의 베어링 단부(43a)의 단면측에 힘이 가해져 고압실(61)내의 고압가스가 밀폐케이스(9)의 내부, 또는 실린더(37)내의 밀봉 누설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2 밀봉부재(67)는 테프론계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세스프링(69)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고 제1 샤프트(41)의 외주면에 설치된 둘레 흠내에 걸어 맞춰지는 C형 링(71)에 의해 유지되는 와셔(73)와 제2 밀봉부재(67)의 단면 사이에 끼워져 있다.
또한, 제2 밀봉부재(67)의 주기 회전은 제2 밀봉부재(67)의 단면측에 설치된 절개홈(75) 내에 제1회전 샤프트(41)를 관통한 결합 핀(77)이 서로 결려 동기(同期)회전이 얻어지게 된다.
한편, 가스흡입통로(47)의 흡입구(47a)와 반대측이 되는 다른쪽은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편심축부(49, 50)의 외부 둘레면에 180도의 위상차로 설치된 흡입포트(81)를 통하여 각 팽창실(50, 59)과 연이어 통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흡입포트(79) 및 연통(連通)포트(181)는 편심축부(49, 50)가 약 180도 회전하고, 흡입포트(79)와 연통 포트(81)가 서로 연이어 통하게 되어 고압가스가 팽창실(59)내로 보내지는 유입타이밍 제어수단(83)을 구성하고 있다.
팽착기구부(5)를 구성하은 양 실린더(37, 38)는 토출 포트(85, 86)를 각각 잦고 있으며, 한쪽 실린더(37)측의 토출 포트(85)는 주 베어링부재(43)측에, 다른쪽 실린더(38)의 토출 포트(85)는 부 베어링부재(44)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한쪽 실린더(37)측의 토출 포트(85)는 머풀러실(87)내를 향하고, 머프러실(87)에서 밀폐케이스(1)내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관(13)과 연이어 통해 있다. 다른 쪽 실린더(38)측의 토출포트(85)는 중간 간막이판(39)을 끼워 실린더(37, 38)를 관통한 관통구멍(89)을 통하여 상기 머플러실(87)를 향하고, 머플러실(87)에서 밀폐케이스(1)내를 통과하여 상기 토출관(13)과 연이어 통해 있다.
압축기구부(7)는 간막이판(91)으로 구획된 제1, 제2 실린더(93, 94)를 갖는 트윈타입으로 되어 있고, 제1, 제2 실린더(93, 93)에는 제2 샤프트(95)가 관통되어 있다.
압축기구부(7)의 제2 샤프트(95)는 이음매(97)를 통하여 팽창기구부(5)의 제1 샤프트(41)와 동일 축선상에 일체로 결합 연결되며, 또한 주 베어링부재(99) 및 부 베어링부재(101)에 의해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샤프트(95)는 상기 각 실린더(93, 94)에 대응하는 부분에 편심 축부(103, 104)가 설치되며, 편심축부(103, 104)에는 상기 각 실린더(93, 94)내에 배치된 로울러(105, 106)가 끼워 맞춰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로울러(105, 106)는 편심축부(103, 104)의 회전에 의해 180도 위상이 어긋난 편심 회전을 하게 된다.
주 베어링부재(99)와 부 베어링부재(101)에는 개폐밸브(109, 111)를 갖는 토출포트(113, 114)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토출포트(113, 114)는 각 머플러실(117, 119)에서 밀폐케이스(1)의 내부 공간을 통하여 상기 토출관(19)과 연이어 통해 있다.
제1, 제2 실린더(93, 94)에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흡입관(5)과 서로 연이어 통하는 흡입포트(121)와 상기 로울러(105, 106)의 외주면과 배압 또는 스프링 등에 의한 부세수단에 의해서 항상 서로 접촉하는 블레이드(123)가 설치되며, 로울러(105, 106) 및 블레이드(123)에 의해 압축실(125)과 흡입실(127)이 만들어져 있다.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는 팽창기구부(5)측의 부 베어링부재(9)와 압축기구부(7)측의 주 베어링부재(99)가 접합되고, 체결볼트(129)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의 사이가 되는 팽창기구부(5)의 내측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의 각 슬라이딩운동부에 윤활유를 공급하는 급유펌프가, 또한 압축기구부(7)의 외부측이 되는 부 베어링부재(101)의 내부에는 고압가스에 의해 제1 샤프트(41)를 통하여 제2 샤프트(95)에 입력되는 스러스트 힘(P1)을 받는 스러스트 베어링부재(133)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체기계(3)에 의하면, 흡입관(11)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가스는 고입실(61)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고압실(61)에서 가스 흡입통로(47)를 통하여 팽창실(59)내로 보내지며, 팽창을 종료한 냉매는 토출관(13)으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팽창에 의해 발생된 회전 동력은 제1 샤프트(41)에 전해져 압축기구부(7)의 제2 샤프트(95)를 구동하여 각 로울러(105, 106)에 편심회전을 하게 하고 흡입관(17)으로부터 보내진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19)에서 토출되게 한다. 이것에 의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랜킨사이클과 냉동사이클이 얻어지게 되어 랜킨사이클과 냉동사이클의 양 운전 조건을 가장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의 각 샤프트(41, 95)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D)가 짧아지기 때문에 동일 축심상에 정밀도 좋게 배치하기 쉬워져 성능의 안정에 기여한다.
이 경우, 팽창기구부(5)의 외부둘레면을 부 베어링부재(9)로 하여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의 실린더(38)의 외부 둘레를 밀폐케이스(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 베어링부재 (9)의 외주면을 고정 간만이판(135)을 통하여 밀폐케이스(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도9는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를 분리하는 분리수단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압축기구부(7)의 제2 샤프트(95)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주 베어링부재(99) 및 부 베어링부재(101)중, 내측에 위치하는 주 베어링부재(99)의 외부둘레를 밀폐케이스(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을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주 베어링부재(99)의 중심측은 주 베어링부재(99)의 축 통부(99a)측에 장착된 밀봉부재(139)에 의해 팽창기구부(5)측으로 연장된 제2 샤프트(95)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독립된 팽창기구부실(15)과 압축기구부실(21)을 분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구성요소는 도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유체기계(3)에 의하면 흡입관(11)을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가스는 고압실(61)내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고압실(61)에서 가스 흡입 통로(47)를 통하여 팽창실(59)내로 흡입되고, 팽창을 종료한 냉매는 토출관(134)에서 토출된다. 현편, 팽창에 의해 발생한 회전 동력은 제1 샤프트(41)에 전해져 압축기구부(7)의 제2 샤프트(95)를 구동하는 것으로 각 로울러(105,106)를 편심 회전시켜 흡입관(17)으로부터 보내어진 냉매를 압축하여 토출관(19)에서 토출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독립된 랜킨사이클 냉동과 냉매사이클이 얻어지게 되어 랜킨 사이클과 냉동 사이클의 양 운전 조건을 가장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팽창기구부(5)와 압축기구부(7)의 각 샤프트(41, 95)의 베어링 사이의 거리(D)가 짧아지기 때문에 동일 축심상에 정밀도 좋게 배치하기 쉬워져 성능의 안정에 기여한다.
이 경우,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 베어링부재(99)의 외주부를 고정 간막이판(141)을 통하여 밀폐케이스(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구조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기계에 의하면, 전용 격벽을 사용하지 않아도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져 랜캔 사이클과 냉매사이클의 양 운전조건을 가장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팽착기구부와 압축기구부의 각 샤프트의 베어링간의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정밀하게 동일 축선상에 배치하기 쉬워져 성능, 안정에 기여한다.

Claims (7)

  1. 한 개의 밀폐케이스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 연결하고, 상기 팽창기구부의 외부 출레측을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를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축을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로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는 부 베어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구부의 외부둘레측을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를 실린더로 하고,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장착한 팽창기구부의 구성요소를 부 베어링부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4. 한 개의 밀폐케이스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 연결하고, 상기 압축기구부의 외부 둘레측을 압축기구부의 구성요소를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압축기구부의 구성요소로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구부의 구성요소는 주 베어링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6. 한 개의 밀폐케이스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 연결하고, 상기 팽창 기구의 외부둘레측을 고정 간막이판을 통하여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팽창기구부의 부 베어링부재에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7. 한 개의 밀폐케이스내에 랜킨사이클을 구성하는 팽창기구부와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구부를 배치하고, 팽창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와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 및 부 베어링부재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샤프트를 동일 축선상에서 결합연결하고, 상기 압축기구부의 외부둘레측을 고정 간막이판을 통하여 밀폐케이스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밀봉하는 한편, 중심부측을 압축기구부의 주 베어링부재측에 장착된 밀봉부재를 통하여 샤프트의 외부둘레를 밀봉하여, 팽창기구부와 압축기구부를 분리하는 독립된 팽창기구부실과 압축기구부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기계.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4609A 1996-07-23 1997-07-21 유체기계 KR100225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93472A JPH1037705A (ja) 1996-07-23 1996-07-23 流体機械
JP8-193472 1996-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939A true KR980009939A (ko) 1998-04-30
KR100225278B1 KR100225278B1 (ko) 1999-10-15

Family

ID=1630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609A KR100225278B1 (ko) 1996-07-23 1997-07-21 유체기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037705A (ko)
KR (1) KR100225278B1 (ko)
CN (1) CN1080390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48B1 (ko) * 2006-06-13 2008-06-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용적형 유체 기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115B1 (ko) * 2000-10-30 2004-05-17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복수 실린더 로터리 압축기
JP2005248809A (ja) * 2004-03-03 2005-09-15 Denso Corp 流体機械
CN100432437C (zh) * 2004-05-27 2008-11-12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齿轮型压缩机
CN100465446C (zh) * 2004-11-24 2009-03-04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齿轮型压缩机
JP4830565B2 (ja) * 2006-03-17 2011-12-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機械
JP4626635B2 (ja) * 2007-09-10 2011-0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流体機械
CN102477981B (zh) * 2010-11-24 2015-11-04 株式会社丰田自动织机 叶片式压缩机
CN104564678B (zh) * 2013-10-28 2017-06-30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膨胀压缩机装置及具有其的空调器
CN105221188A (zh) * 2014-09-03 2016-01-06 摩尔动力(北京)技术股份有限公司 流体机构
CN106907934B (zh) * 2017-02-28 2019-05-17 中国科学院理化技术研究所 一种利用纤维工业余热的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40276A1 (de) * 1976-09-08 1978-03-09 Klaus Bruchner Drehkolbenmotor
US4479354A (en) * 1979-08-20 1984-10-30 Thomas Cosby Limited expansion vapor cycle
JPH0953590A (ja) * 1995-08-14 1997-02-25 Toshiba Corp ローリングピストン式膨張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048B1 (ko) * 2006-06-13 2008-06-19 히타치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용적형 유체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0390C (zh) 2002-03-06
KR100225278B1 (ko) 1999-10-15
CN1172910A (zh) 1998-02-11
JPH1037705A (ja) 1998-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199B1 (ko) 복수 압축기
KR100225278B1 (ko) 유체기계
JP2005009490A (ja) スクロール式機械
WO2005113985A1 (ja) 回転式圧縮機
KR20070009716A (ko) 회전식 유체기계
JPH0953590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式膨張機
JPH0886289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式回転機械
JP2003161278A (ja) 密閉形ロータリ圧縮機
KR940009526A (ko) 왕복 운동형 압축기
US5015161A (en) Multiple stage orbiting ring rotary compressor
JPH10266980A (ja) スクロール式膨張機
JPH0826865B2 (ja) 2シリンダロータリ圧縮機
US2015307A (en) Rotary pump, compressor, or driven motor
JPH09126171A (ja) 流体機械
KR101667710B1 (ko) 로터리 압축기
US6729864B2 (en) Rotary positive displacement machine
WO2009090888A1 (ja) 回転式流体機械
JPH0882296A (ja) ローリングピストン式膨張機
JPH09250474A (ja) 流体機械
US4118158A (en) Rotary piston compressor
JPH0754782A (ja) 多気筒形回転圧縮機
JPH108916A (ja) 流体機械
JPH08159070A (ja) ロータリー圧縮機
JPH03233107A (ja) 回転ピストン型エンジン
JPH0842474A (ja) ロータリ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