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80009101A -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 Google Patents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80009101A
KR980009101A KR1019970030543A KR19970030543A KR980009101A KR 980009101 A KR980009101 A KR 980009101A KR 1019970030543 A KR1019970030543 A KR 1019970030543A KR 19970030543 A KR19970030543 A KR 19970030543A KR 980009101 A KR980009101 A KR 980009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oil
oil chamber
oil
pressure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4042B1 (ko
Inventor
유지 사카키바라
Original Assignee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기우라 야스나리, 스기야스 고교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스기우라 야스나리
Publication of KR980009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1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8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22Synchronisation of the movement of two or more serv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짧고 또 잘 고장나지 않는 구조의 압유분배기에 의해 2개의 실린더에 등량의 압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있어서는, 좌우의 리프터(1A, 1B)의 실린더(4A, 4B)를 압유분배기(5)를 개재하여 유압유닛(6)에 병렬로 접속한다. 압유분배기(5)에 격벽(9)을 개재하여 제1압유실(10A)과 제2압유실(10B)을 형성한다. 제1압유실(10A)에 피스톤(11)을 수용하고, 피스톤(11)에는 플랜저(12)를 격벽(9)를 관통하여 제2압유실(10B)로 진퇴가능하게 설치한다. 플랜저(12)의 단면적을 제1압유실(10A)의 반정도로 설정하고, 제2압유실(10B)의 단면적을 플랜저(12)보다 크게 설정한다. 관로(17, 18)에 보정회로(20)를 접속하여, 리프트의 하강 끝단 위치에서 양실린더(4A, 4B)의 높이를 같게 보정한다.

Description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압 동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동 리프트의 압유분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동 분배기의 별도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종래예를 나타내는 유압 동조장치의 개략도.
제5도는 별도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압유분배기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1B:리프터 4A, 4B:실린더
5:압유분배기 6:유압유닛
8:실린더 튜브 9:격벽
10A:제1압력실 10B:제2압력실
10C:제3압력실 11:피스톤
12:플랜저 16:제1관로
17:제2관로 18:제3관로
20:보정회로 21A:제1보정밸브
21B:제2보정밸브 23:에어스위치
25:에어실린더 26:전환밸브
27:펌프 28:탱크
31:압유분배기 32:복동실린더
33:복동피스톤 35:간막이벽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실린더를 동조시키는 압유분배기의 개량기술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실린더로 자동차를 승강하는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통상 차량의 편하중 등에 의해 좌우의 리프트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양실린더를 동조시켜 구동하는 유압 동조장치를 장비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동조장치로서, 종래 일본국 실공 평 6-50474호 공보 및 동 특개 평 4-361992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유압 동조장치에 있어서는,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실린더(51, 52)가 압유 분배기(53)를 개재하여 유압유닛(54)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압유 분배기(53)는 동일단면적인 한쌍의 압유실(55, 56)에 피스톤(57, 58)을 수용하고, 양 피스톤(57, 58)을 피스톤 로드(59)로 연결하고, 압유실(55, 56)로부터 등량의 압유를 토출하여, 실린더(51, 52)를 동조시켜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후자의 유압 동조장치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유 분배기(61)에 격벽(62)을 개재하여 큰 직경의 압유실(63)과 작은 직경의 압유실(64)을 형성하고, 이들 압유실(63, 64)에 각각 피스톤(65, 66)을 수용하고, 양 피스톤(65, 66)을 로드(67)로 연결하고, 작은 직경의 압유실(64)의 단면적을 큰 직경의 압유실(63)의 단면적으로부터 로드(67)의 단면적을 뺀 값과 같게 설정하여, 양 압유실(63, 64)로부터 등량의 압유를 토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그러나, 전자의 종래장치에 의하면, 한쌍의 압유실(55, 56)이 동일 단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량을 같게 하기 위해서는 피스톤 로드(59)를 외부로 돌출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압유 분배기(53)의 전체 길이가 길어져, 설치장소의 확보에 곤란을 초래할 뿐 아니라, 노출된 피스톤 로드(59)에 먼지나 수분이 부착하여 압유에 침입하거나, 피스톤 로드(59)의 출구에서 오일이 누출되기 쉬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하여, 후자의 종래장치는, 압유실(63, 64)의 단면적을 다르게 함으로써, 압유 분배기(61)를 짧게 구성할 수 있고, 또 내부에 로드(67)를 격납할 수 있다. 그러나, 각 압유실(63, 64)에 각각 피스톤(65, 66)이 수용되고, 로드(67)를 포함하여 슬라이딩부가 3개소나 있어, 압유중의 이물을 물어들일 가능성이 높아 고장을 초래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짧고 또 잘 고장나지 않는 구조의 압유 분배기에 의해 2개의 실린더에 등량의 압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압 동조장치는 유압유닛에 압유 분배기를 개재하여 2개의 실린더를 병렬로 접속하고, 이들 양 실린더를 동조시켜 짐을 승강하는 리프트에 있어서, 압유 분배기에 격벽을 개재하여 제1압유실과 제2압유실을 형성하고, 제1압유실에는 피스톤을 수용하고, 피스톤에는 격벽을 관통하여 제2압유실로 진퇴가능한 플랜저를 설치하여, 플랜저의 단면적을 제1압유실의 절반정도로 설정하고, 제2압유실의 단면적을 플랜저보다 크게 설정하며, 제1압유실을 제1관로를 개재하여 유압유닛에 접속하는 동시에 제2관로를 개재하여 한쪽의 실린더에 접속하고, 제2압유실을 제3관로를 개재하여 다른쪽의 실린더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관로 및 제3관로에, 리프트의 하강 끝단 위치에서 양실린더의 높이를 같게 하는 보정회로가 접속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에 구체화한 일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는 좌우 2대의 리프터(1A, 1B)를 구비하고, 각 리프터(1A, 1B)의 승강대(2A, 2B)는 X형 신축다리(3A, 3B)에 의해 승강가능하게 지지되고, 실린더(4A, 4B)에 의해 구동된다. 실린더(4A, 4B)는 압유 분배기(5)를 개재하여 유압 유닛(6)에 병렬로 접속되고, 양 실린더(4A, 4B)를 동조시킴으로써, 우측리프터(1A) 및 좌측리프터(1B)의 리프트량을 같게 하고, 정비차량(도시생략)을 항상 수평상태로 승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유압 동조장치에 있어서는, 압유 분배기(5)가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징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압유 분배기(5)의 실린더 튜브(8)의 내부에는 격벽(9)을 개재하여 상하 한쌍의 압유실(10A, 10B)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제1압유실(10A)에는 피스톤(11)이 수용되고, 이 피스톤(11)에는 플랜저(12)가 격벽(9)을 관통하여 상측의 제2압유실(10B)로 진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플랜저(12)의 단면적은 제1압유실(10A)의 반 정도로 설정되고, 제2압유실(10B)의 단면적은 플랜저(1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즉, 플랜저(12)의 직경을 C, 제1압유실(10A)의 내경을 A, 제2압유실(10B)의 내경을 B로 하면, 다음의 관계식이 성립한다.
πC2/4=(πA2/4)/2<πB2/4
실린더 튜브(8)에는, 제1압유실(10A)의 하단, 제1압유실(10A)의 상단, 및 제2압유실(10B)의 상단에 각각 오일출입구(13, 14, 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압유실(10A)은 오일출입구(13) 및 제1관로(16)를 거쳐 유압유닛(6)에 접속되는 동시에, 오일출입구(14) 및 제2관로(17)를 거쳐 우측리프터(1A)의 실린더(4A)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2압유실(10B)은 오일출입구(15) 및 제3관로(18)를 거쳐 좌측리프터(1B)의 실린더(4B)에 접속되어 있다.
제2관로(17) 및 제3관로(18)에는, 리프트의 하강 끝단 위치에서 좌우의 실린더(4A, 4B)의 높이를 같게 하는 보정회로(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보정회로(20)는 제2관로(17)에 접속된 제1보정밸브(21A)와, 제3관로(18)에 접속된 제2보정밸브(21B)와, 이들 양 밸브(21A, 21B)에 접속된 오일탱크(22)로 구성되어 있다.
한쪽의 리프터(1A)에는 리프트의 하강 끝단 위치를 검출하는 에어 스위치(23)가 설치되고, 이 스위치(23)는 에어배관(24)을 거쳐 에어 실린더(25)에 접속되고, 에어 실린더(25)에 의해 양 보정밸브(21A, 21B)가 동시에 전환된다. 또한, 오일탱크(22)는 압유의 에어빼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압유 분배기(5)보다 위측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유압 동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 정비용 리프트의 상승시에는 유압 유닛(6)의 전환밸브(26)가 상승측으로 전환되고, 펌프(27)의 토출유가 제1관로(16)를 통해 오일출입구(13)로부터 압유 분배기(5)의 제1압유실(10A)로 보내져서, 피스톤(11) 및 플랜저(12)가 상승된다. 그리고, 피스톤(11)에 의해 제1압유실(10A) 상부의 압유가 오일출입구(14)로부터 토출되고, 제2관로(17)를 통해 우측리프터(1A)의 실린더(4A)로 공급된다. 이와 동시에 플랜저(12)에 의해 제2압유실(10B)의 압유가 오일출입구(15)로부터 토출되고, 제3관로(18)를 통해 좌측리프터(1B)의 실린더(4B)에 공급된다.
이 때, 플랜저(12)의 단면적이 제1압유실(10A)의 반정도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압유실(10A) 및 제2유압실(10B)로부터 등량의 압유가 토출된다. 따라서, 좌우의 실린더(4A, 4B)의 작동량을 같게 하고, 양 리프터(1A, 1B)의 리프트량을 정확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랜저(12)는 실린더 튜브(8)내에 격납되어 있기 때문에, 압유 분배기(5)의 전체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압유로 먼지나 수분이 혼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압유실(10B)의 단면적이 플랜저(1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제2압유실(10B)측에 있어서 플랜저(12)를 실린더 튜브(8)와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진퇴시킬 수 있어, 압유 분배기(5)의 슬라이딩부를 줄여, 이물의 침입 등에 의한 고장을 적게 할 수 있다.
한편, 리프트의 하강시에는 유압 유닛(6)의 전환밸브(26)가 하강측으로 전환되고, 정비차량의 하중에 의해 실린더(4A, 4B)의 압유가 관로(17, 18)를 통해 압유 분배기(5)의 각 압유실(10A, 10B)로 되돌아와, 피스톤(11) 및 플랜저(12)가 하강하고, 피스톤(11)보다 하측의 압유가 제1관로(16)를 통해 유압 유닛(6)의 탱크(28)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한쪽의 리프터(1A)의 승강대(2A)가 하강 끝단 가까이에 도달하면, 에어 스위치(23)가 하강조작중에만 작동되어, 에어 실린더(25)가 가세되어 보정회로(20)에 있어 보정밸브(21A, 21B)가 전환되어, 제2관로(17) 및 제3관로(18)가 각각 오일탱크(22)에 연통된다.
따라서, 실린더(4A, 4B) 또는 압유 분배기(5) 등의 오일 누출에 의해 양리프터(1A, 1B)의 유압회로중의 압유량이 서로 다른 경우에, 리프트의 하강 끝단 위치에서 유량이 많은 쪽의 회로로부터 압유를 오일탱크(22)로 회수하여, 좌우 실린더(4A, 4B)의 높이를 같게 보정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 의하면, 보정 회로(20)가 압유 분배기(5)의 외부 배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압유 분배기(5)의 내부에 조립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시스템 전체를 간단하고 또 저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3도는 압유 분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압유 분배기(31)는 복동실린더(32)를 일체적으로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8)의 하단부내에는 제3압유실(10C)이 형성되고, 여기에 복동 피스톤(33)이 수용되어 있다. 복동피스톤(33)의 로드(34)는 간막이 벽(35)을 관통하여 제1압력실(10A)의 피스톤(11)에 연결되고, 복동 피스톤(33)의 왕복움직임에 따라 피스톤(11) 및 플랜저(12)가 구동된다. 실린더 튜브(8)의 하단 및 간막이 벽(35)에는 오일출입구(36, 37)가 설치되고, 이들은 관로(38, 39)를 거쳐 유압유닛의 펌프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 이외의 구성은 상기 압유 분배기(5)와 마찬가지이고, 제3도에 제2도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혀 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압유 분배기(31)에 의하면, 제2도의 분배기(5)와 비교하여 전체 길이가 길어지는 난점이 있지만, 복동 실린더(32)가 피스톤(11) 및 플랜저(12)를 적극 구동하기 때문에, 무부하상태에 있어서의 리프트의 하강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즉, 겨울철에는 오일점도의 저하로 인해 배관내의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되고, 또한 시일부재의 경화에 수반하여 슬라이딩 저항도 커지게 되며, 이들 원인에 의해 무부하시의 리프트의 하강속도가 저하되기 쉬운데, 복동 실린더(32)를 구비한 압유 분배기(31)에 의하면, 이러한 문제를 잘 해소할 수 있다. 제3도에 리프트 하강시의 압유의 흐름을 화살표로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대의 리프터를 램식으로 구성하거나, 자동차 정비용 이외의 각종 용도의 리프트에 응용하는 등,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 부의 형상 및 구성을 적절히 변경하여 구체화할 수도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짧고 또 잘 고장나지 않는 구조의 압유 분배기에 의해 2개의 실린더에 등량의 압유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2)

  1. 유압 유닛에 압유 분배기를 개재하여 2개의 실린더를 병렬로 접속하고, 이들 양 실린더를 동조시켜 짐을 승강하는 리프트에 있어, 상기 압유 분배기에 격벽을 개재하여 제1압유실과 제2압유실을 형성하고, 제1압유실에 피스톤을 수용하고, 상기 피스톤에는 격벽을 관통하여 제2압유실로 진퇴가능한 플랜저를 설치하여, 상기 플랜저의 단면적을 제1압유실의 절반정도로 설정하고, 상기 제2압유실의 단면적을 상기 플랜저보다 크게 설정하며, 상기 제1압유실을 제1관로를 거쳐 유압 유닛에 접속하는 동시에 제2관로를 거쳐 한쪽의 실린더에 접속하고, 상기 제2압유실을 제3관로를 거쳐 다른쪽의 실린더에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로 및 제3관로에, 리프트의 하강 끝단 위치에서 양 실린더의 높이를 같게 하는 보정회로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30543A 1996-07-03 1997-07-02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KR100214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73893 1996-07-03
JP17389396A JP3795581B2 (ja) 1996-07-03 1996-07-03 リフトの油圧同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101A true KR980009101A (ko) 1998-04-30
KR100214042B1 KR100214042B1 (ko) 1999-08-02

Family

ID=1596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543A KR100214042B1 (ko) 1996-07-03 1997-07-02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95581B2 (ko)
KR (1) KR100214042B1 (ko)
TW (1) TW34778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888B1 (ko) * 2001-11-19 2004-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오픈용 가스 리프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80C (zh) * 2000-09-30 2002-10-23 阎国俊 液压机械放大式节能电梯
KR101294111B1 (ko) 2012-05-10 2013-08-16 윤계천 높이 제한 조건에 대응한 조선블록 리프팅 행정 배가 장치
CN103043560A (zh) * 2013-01-09 2013-04-17 济南华北升降平台制造有限公司 机械式联动平台
US10081522B2 (en) 2014-10-17 2018-09-25 Vehicle Service Group, Llc Hydraulic synchronizer
CN109368543A (zh) * 2018-11-23 2019-02-22 东莞市华楠骏业机械制造有限公司 多点液压升降同步系统
CN109458369B (zh) * 2018-12-29 2023-10-27 浙江大学舟山海洋研究中心 三缸同步升降机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888B1 (ko) * 2001-11-19 2004-03-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테일 게이트 오픈용 가스 리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7284A (ja) 1998-01-20
JP3795581B2 (ja) 2006-07-12
TW347787U (en) 1998-12-11
KR100214042B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3366A (en) Hydraulic device with synchronously operating jacks
JP5881144B2 (ja) 昇降装置
US20180045228A1 (en) Cylinder/piston unit
KR100214042B1 (ko)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US5143179A (en) Lifting hoist for motor vehicles
US2438285A (en) Telescopic hydraulic jack
CN104671147A (zh) 用于重物升降的升降装置
KR890001065B1 (ko)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KR100231069B1 (ko) 유압실린더의 동조장치
WO2000021871A1 (en) Volumetric operating system for vehicle lifts
CN103057526A (zh) 控制多个支腿同步支撑的液压系统和工程车辆
CN109458369B (zh) 三缸同步升降机构
US2802457A (en) Lift apparatus
KR100403304B1 (ko) 유압실린더
KR950015443A (ko) 선형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조작하는 유압장치
FI90036B (fi) Pao tryckjaemfoerelse grundad programmerad styrning av floedet i en hydraulisk ventil
GB220692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ydraulically operated telescopic devices
JP2632765B2 (ja) 荷役装置におけるリフトシリンダ用油圧回路
CN215109755U (zh) 一种控制同步举升的双缸系统
KR900000684Y1 (ko) 압축 공기식 자동차 리프트
CN210766448U (zh) 一种桥梁维护用顶升装置
KR960002895Y1 (ko) 2주 리프트의 파워 실린더장치
WO2011021231A1 (en) Masts with a whole lifting height
SU842237A1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ый силовой цилиндр
SU1016533A1 (ru) Система пылеподавлени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й креп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