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1065B1 -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1065B1
KR890001065B1 KR1019810005037A KR810005037A KR890001065B1 KR 890001065 B1 KR890001065 B1 KR 890001065B1 KR 1019810005037 A KR1019810005037 A KR 1019810005037A KR 810005037 A KR810005037 A KR 810005037A KR 890001065 B1 KR890001065 B1 KR 890001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oil
fluid chamber
fluid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5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422A (ko
Inventor
에이. 카펜하겐 죠이지
Original Assignee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죠오지 메크린 filed Critical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83000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1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제1a, 1b, 1c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유압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조합될 수 있는 도면.
제2a, 2b, 2c도는 트랩(trap)된 오일 공간에 부가의 오일이 필요한 지를 탐지하고, 유압 엘리베이터의 정상 상승사이클의 시동시 그 오일 공간에 보층하는 단계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개략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엘리베이터카 16 : 실린더부분
22 : 중간부분 28 : 피스톤부분
38 : 제1유체 밀봉장치 42 : 제2유체 밀봉장치
48 : 제3유체 밀봉장치 50 : 제1유체실
52 : 제2유체실 70 : 제1유체 공급수단
74 : 저장기 76 : 제1펌프
100 : 모니터수단 104 : 제2펌프
134, 138 : 라인시동기(line starter)
본 발명은 다단계 또는 신축 잭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유압시시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러한 잭이 실린더 부분, 중간부분, 피스톤 부분으로 되어 있고 중간 부분과 피스톤 부분이 동기로 작동하는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동조 타입의 다단계 혹은 신축 유압잭은 유압 엘리베이터와 같은 유압 시스템에 적합하다. “동기”라는 용어는 중간부분과 피스톤 부분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서 동일 이동으로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뜻한다. 잭이 연장되도록 유압오일은 실린더 부분과 중간 부분이 단부사이에 있는 제1유체실로 유입된다. 피스톤 부분의 단부를 감싸고 있는 제2유체실의 오일은 밀봉이 되어 있으며, 이 제2유체실을 트랩된 오일 공간이라고 칭한다. 오일 이 압력을 받아 제1유체실로 유입되면 중간 부분을 연장시킨다. 제2유체실의 오일은 압축할 수 없기 때문에, 피스톤은 제2유체실의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연장되어야만 한다. 잭 부품은 중간 부분이 움직이면 피스톤 위치가 그와 똑같은 치수로 움직이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한 단(段)이 다른 단에 대해 이동하는 제1, 제2, 제3밀봉 장치는 제2유체실, 즉 트랩된 오일 공간을 형성한다. 제1, 제2밀봉 장치는 외측 실린더 부분의 내측벽과 중간부분의 외측벽사이에 위치하며, 제3밀봉 장치는 중간부분의 내측벽과 피스톤 부분의 외측벽 사이에 위치한다. 단이 밀봉 장치를 통하여 미끄러지기 때문에 약간의 오일이 밀봉장치를 통과하여 누설할 수 밖에 없으며, 제2유체실에 있는 오일의 누설이 많아지면, 중간부분과 피스톤 부분을 동기 운동을 하지 못하게 된다. 즉, 그들은 이동 행정의 하단에서 더 이상 함께 균일하게 움직이지 않으며, 피스톤 부분의 최대 팽창도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일예로 엘리베이터시스템에서, 누설량이 소정의 체격을 넘으면 엘리베이터 카는 그 카가 설치된 건물의 최상부에 도달할 수가 없게 된다.
정기적으로 혹은 필요시 트랩된 오일 공간 즉, 제2유체실에 오일을 보충하는 것을 수동으로 하면 경비와 시간이 낭비가 되므로, 종래의 기술에서는 제2유체실에 오일을 보충하기 위한 다양한 자동의 설비를 사용해왔다. 일예로, 제2유체실과 연결이된 체크 밸브를 구비한 외부 저장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저장기에 정기적으로 오일을 보충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가장 일반적인 종래의 기술의 설비는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 사이에 내부 밸브를 설치하는 형태이다.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오일이 필요할피스톤 부분의 내부단과 중간 부분의 내부단 사이의 공간의 감소로 인한 트랩된 오일 공간에 오일을 자동적으로 보충할 수 있게 할수 있으며, 혹은 오일이 필요한지가 잭의 작동을 조절하는 스위치에 의해 외부에서 탐지될 수 있어서 그 잭을 완전히 후퇴시켜 내부의 오일 보충밸브를 작동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외부 저장기가 필요없으며, 보충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잭의 비정상적인 작동, 즉 잭의 정상작동의 조절을 요구하지 않고, 수리와 유지가 곤란하고 경비가 많이 소요되는 내부 밸브 장치를 배재한 개선된 유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유압시스템에서 단일작동 및 다단계와 동기식 유압잭과, 상기잭이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한 외측 실린더 부분과,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한 피스톤 부분과, 상기 외측 실린더 부분과 상기 피스톤 부분 사이에 위치한 제1단부와 제2단부를 구비한 중간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 부분과 중간부분중 한 부분이 상대부분내에서 신축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실린더내에 장치되고, 유압에 대해 외측 실린더 말단 확장부가 연장되도록 제1, 제2유체 밀봉 장치가 각기 중간 부분의 외측 부분과 외측 실린더의 내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제3유체 밀봉 장치가 각기 중간부분의 내측 부분과 피스톤부분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제2, 제3밀봉장치가 상기 중간 부분의 제2단부와 유체 압력 연결을 하도록 위치한 제1유체실과 상기 내부 피스톤 부분과 유체 압력 연결을 하는 제2유체실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제2유체실의 유압 유체와, 상기 중간 부분과 피스톤 부분의 말단방향 확장부의 연장이 필요할 때에 유압유체를 상기 제1유체실로 유입시키는 상기 잭의 외부에 위치한 유압 유체의 저장기와 제1펌프를 포함하는 제1유체공급 수단으로 구성된 유압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실의 유압유체가 예정된 양보다 감소 했을때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모니터 수단과, 상기 잭의 외부에 위치한 제2펌프를 포함하는 제2유체 공급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펌프는 상기 모니터 수단이 소정의 신호가 제공되는 것을 감응하여 상기 저장기로 부터 상기 제2유체실로 유압 유체를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요약하면, 본 기재된 사항은 단동의 다단계로된 동기 작동유압 잭을 설명하는 것이다. 외측 실린더 부분과 중간 부분의 내부단 사이에 위치한 제1유체실로 오일을 보내는 외부 펌프 외에도 트랩된 오일 공간을 형성하는 제 유체 2실과 유체 흐름 연결이 되어 있는 비교적 소형의 제2외부펌프가 제공된다. 트랩된 오일 공간인 제2유체실에 오일 보충물이 필요한 경우를 외부에서 모니터하여,그 감지에 의해서 제2펌프는 오일 누설양이 보충될때까지 작동하는데, 이 작동 시간은 수초정도 밖에 소요되지 않는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사용된 유압 시스템이 도시되었으며, 오일 보충은 부족이 탐지 되었을때 순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나, 바로 다음 순간에 엘리베이터 카는 건물을 최하층에서 상승하게 된다. 엘리베이터 카가 최하층에서 정상적인 속도로 상승할때, 앤티크리이프 회로는 작동이 중지되고 주펌프가 작동을 시작한다. 제2유체실에 오일 보충이 필요한 것을 앞서 탐지 함으로써 기계의 작동이 시작될때 주펌프와 소형의 제2펌프를 동시에 작동시킨다. 제2펌프는 제2유체실에 오일을 신속히 보충하고 작동이 중지된다. 어떠한 방법으로 카가 상승이동을 할때, 그러한 오일보충을 일으키는 카의 상승이동은 관찰되지 않게된다. 모니터 및 보충수단이 유압 잭의 외부에 장치되기 때문에, 정상적인 정기 검사시에 부품들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으며, 부품의 수리나 교체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a도, 1b도, 1c도는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제작된 유압 시스템(10)을 나타내도록 조립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압 시스템(10)은 단독작동을 하고 다단부분으로 되어 동기로 작동하는 잭(12)(제1b도)및 엘리베이터 카(14) (제1c도)를 포함하는 유압 엘리베이터 시스템으로 가정한다. 잭(12)는 제1단부(18)(제1도)과 제2단부(20)(제1a도)으로 된 외측 실린더 부분(16)과, 제1단부(24) (제1c도)와 제 2단부(26)(제1a도)으로 된 중간부분(22)와, 제1단부(30)(제1c도)과 제2단부 (32) (제1b도)로 된 피스톤 부분(28)을 구비하고 있다. 실린더와 중간 부분(16,22)의 제1단부(18)(제1b)는 개방되어 있고 제2단부(20)(제1a도)는 폐쇄되어 있다. 중간 부분 (22)과 피스톤 부분(28)은 중간부분의 제2단부(26)와 피스톤 부분의 제2단부(32)에 가해지는 유압에 응답하여 중간 부분의 제1단부와 피스톤 부분의 제1단부로 향해 말단부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중간부분 및 피스톤 부분중 어느 하나내에 다른 하나가 외측 실린더 부분(16)내에 신축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다. 실린더와 중간부분은 내부 및 외부면으로 된 관형으로 되어 있으며, 피스톤 부분은 관형 이나 도시된 것과 같이 고형으로 될 수 있다. 고형 피스톤을 쓰면 잭(12)의 전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유체밀봉장치와 베어링조합(36)(제1b도)을 구비한 제1실린더 헤드(34)는 제1유체밀봉장치(38)를 제공하는데, 그 제1유체 밀봉 장치는 실린더(16)의 내부면과 중간부분(22)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유체 밀봉 장치와 베어링의 조합(40)(제1a도)은 제2유체 밀봉장치(42)를 제공하며, 제2유체 밀봉장치는 실린더 부분(16)의 내부면과 중간부분(22)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2실린더 헤드(44)(제1c도)에는 제3유체 밀봉장치(38)를 형성하는 유체 밀봉 장치와 베어링조합(46)이 있으며, 제3밀봉 장치(48)는 중간부분(22)의 내부면과 피스톤 부분(28)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제2유체 밀봉장치(42)와 그 제2유체 밀봉장치(42)와 실린더 부분(16)의 제2단부(20)사이에 위치한 실린더부분(16)은 제1유체실(50)을 형성한다. 제1유체실(5 0)은 중간부분(22)의 제2단부(26)과 유압 연결이 되어 있다.
제1유체 밀봉장치(38)(제1b도), 제2유체 밀봉장치(42)(제1a도)와 제3유체 밀봉장치(48)(제1c도)는 트랩된 오일공간으로 설명한 제2유체실(52)를 형성한다. 제2유체실(52)은 중간부분의 외부면과 실린더 부분의 내부면 사이에 위치한 관형의 제1단부(18)(제1b도)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단부는 제1유체 밀봉장치(38)과 제2유체 밀봉장치(42)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제2유체실(52)는 또한 제3유체 밀봉장치(48)과 중간부분(22)의 제2단부사이에서 중간 부분(22)내에 제2단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2유체실 (52)의 제1단부와 제2단부는 중간 부분의 측벽을 통과하여 위치한 다수의 구멍(54)를 경유하여 상호 유체 유동 소통을 한다. 제2유체실(52)는 피스톤 부분(28)의 제2단부( 32)와 유압소통을 한다.
받침판(56)은 연결핀(58)을 통하여 피스톤 부분(28)의 제1단부(30)과 연결되어 있으며, 피스톤 부분(28)의 단부(30)과 받침판(56)은 충분한 강성을 갖는 적절한 격리 패드(60)으로 분리 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카(14)는 받침판(56)에 볼트로 체결된 받침대(62)를 포함하며, 플랫폼 조립체(64)는 받침대(62)에 체결되어 있다. 플랫폼 조립체(64)는 제2a, 2b, 2c도에 도시된 엘리베이터 캡(66)을 지지한다.
유압 동력 공급기(70)은 잭(12)를 작동시키기 위해 저장기(74)에 있는 유압 오일(72)과 같은 유체로 동력을 제공한다. 전기 모우터(78)에 의해 구동되는 제1유압 펌프(76)는 실린더 부분(16)에 고정된 유입 파이프(77)를 통하여 제1유체실(50)로 유압오일(72)을 공급한다. 펌프(76)의 유입구는 파이프(80)을 통하여 유압오일(72)과 접속되며, 펌프의 유출구는 유압 엘리베이터 밸브(82)와 파이프 (84)와(86)을 통하여 유입 파이프 연결부(77)에 연결되어 있다. 밸브(82)는 유압오일을 저장기(74)로 귀환시키기 위한 파이프(88)을 포함하고 있다. 밸브(82)는 종래의 체크밸브 및 안전밸브와 같이 상향레벨과 상향정지, 하향레벨과 하향정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유압 오일은 제1유체실(50)과 제2유체실(52)를 각각 완전히 채운다. 전형적인 상승사이클 작동에서, 모우터(78)와 밸브(82)의 상향 레벨과 상향정지의 솔레노이드는 상향이동 방향으로 최대의 카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가압된 유압오일을 잭(12)에 보내기 위해 작동된다. 엘리베이터카(14)가 목표층에 근접할때, 즉 정지해야 할 층에 근접할때, 승강구 스위치는 카를 층 수준에서 정지시키기 위해 상향이동과 상향정지 솔레노이드를 바로 작동 중지시킨다. 다음에 펌프 모우터는 카가 층에 정지한 바로후에 작동중지된다.
안타-크리이프 스위치는 카가 정지한 층에 인접한 엘리베이터 카(14)의 위치를 감지하여, 요구되는 펌프와 상향정지 솔레노이드를 재작동시켜 엘리베이터카의 바닥이 건물의 층과 일치하도록 유지하게 한다.
유압 오일을 가압시켜 제1유체실로 유입 시킴으로써 중간 부분(22)의 제2단부 (26)에 압력을 가하여 중간 부분을 상향으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트랩된 오일 공간 즉, 제2유체실(52)의 오일은 압축할 수 없으나 중간 부분(22)이 상승하기 시작하면 가압된다. 피스톤 부분(28)의 제2단부(32)의 유압은 제2유체실(52)과 동일 체적을 유지하며 피스톤을 동시에 상향시켜, 잭(12)과 동기 작동을 이루게 한다. 잭(12)의 여러 부분은 중간부분의 상승거리와 피스톤부분(28)의 상승거리가 일치하도록 치수가 정해져 있다.
하향이동 사이클에서는 유압오일을 저장기(74)로 귀환시키며, 밸브(82)의 하향레벨과 하향정지 솔레노이드는 하향 방향으로 최대 속도를 제공하기 위해 작동된다. 펌프(76)는 작동되지 않는다. 승강구 스위치는 목표층과 엘리베이터 카(14)가 일치 하도록 정지시키기 위해 하향레벨과 하향정지 솔레노이드를 작동중지시킨다. 오일이 제1유체실(50)에서 저장기(74)로 귀환할때, 중간부분(22)은 하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부분(28)은 제2유체실(52)의 오일의 체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간부분(22)과 동시에 이동한다.
엘리베이터 카(14)의 한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해 밀봉장치를 활주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약간의 오일이 유체 밀봉 장치를 통과하여 누설되게 된다. 제1유체 밀봉 장치(38)을 지나 압력하에 상향으로 흐르는 약간의 유체는 실린더 헤드(34)의 구멍(90)과 파이프(94)의 구멍(92)를 통해 저장기(74)로 귀환한다. 공기 배출밸브(96)과 (98 )이 개방되었을 때 공기의 혼합된 오일과 마찬가지로, 유체 밀봉장치(48)(제1c도)를 통과하여 상향으로 이송되는 오일은 저장기(74)로 귀환하기 위에 실린더 헤드(34)의 상부로 향한다.
제2유체실(52)내의 오일 체적의 감소는 결국 중간 부분과 피스톤 부분 사이의 동기 작동이 상실되는 점에 이르게 되고, 피스톤 부분(28)의 최대 연장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14)는 설치된 건물의 최상부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 신축잭을 사용하는 유압시스템은 보통 제2유체실(52)에 오일을 보충하기 위해 내부 밸브를 사용하며, 오일은 제1유체실(50)로 부터 트랩된 오일 부분, 즉, 제2유체실(52)로 흐르게 된다.
본 설비는 내부 밸브의 역할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제2유체실에 오일을 보충하기 위해 비정상적인 작동이 필요하지 않는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2유체실(52)의 오일은 모니터 되어, 동기가 상실되는 점에 도달하기 전에, 또한 엘리베이터 카가 최상층에 도달하지 못하는 점에 이르기 전에, 손실된 오일이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적인 상승사이클 중에 자동적으로 보충되게 한다.
제2유체실(52)의 오일을 모니터하는 것은 외부의 전기 스위치로 용이하게 수행하며, 오일을 보충하는 것은 외부의 오일 라인을 통해 수행하며, 따라서 내부 밸브를 사용하는 종래기술의 설비보다 재동기 특징을 유지하고 검사하기가 용이해 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오일 모니터 수단(100)은 엘리베이터 카가 건물의 최하층에 위치할때 피스톤 부분(28)의 제1단부(30)와 중간부분(22)의 제1단부(24)사이의 거리(102)를 모니터함으로써 제2유체실(52)의 오일을 탐지한다. 제2유체실(52)이 오일을 채워지고, 엘리베이터 카가 최하층에 정지해 있을때, 중간부분의 피스톤 부분의 연장은 동일하다. 주기에 따라 제2유체실(52)에 있는 오일의 누축이 정상보다 증가할때, 중간부분(22)으로 부터 피스톤 부분(28)의 연장은 점진적으로 감소한다.
엘리베이터 카(14)는 정확하게 층 레벨에 정지할 수 있으며, 카는 상기 시간동안 층레벨에 정지되게 되는데, 이 이유는 실린더 부분(16)에서의 중간 부분(22)의 연장이 자동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 카가 건물의 최상층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과 같이 유압시스템이 일부 방법으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점까지 정해진 치수 (102)가 감소하기 전에, 모니터수단(100)은 제2유체실(52)에 오일을 보충하기 시작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보충은 전기 모우터(106)로 구동되는 제2펌프(104)를 통해 수행된다. 실린더 헤드(34)에는 구멍(108)이 있으며, 구멍의 한쪽 단부는 제2유체실(52)과 접속되어 있으며, 구멍의 다른쪽은 외부 파이프(110)과 접속되어 있다. 외부 파이프 혹은 오일라인(110)은 펌프(104)의 유출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펌프의 유입구는 파이프(112)를 통해 저장기(74)내의 유압오일(72)과 접속되어 있다. 제2펌프 (104)는 마찰 HP 모우터로 구동되는 소형의 기어 펌프이며, 이것은 웹스터일렉트릭 컴패니의 1/4마력에서 1/2마력까지의 구동 모우터를 구비한 HB 시리즈 기어 펌프와 같은 것을 사용한다. 펌프는 1278-1420kg/㎠(900-1000 psi)게이지의 작압 압력으로 되어 있는 것이 적절한다.
제1c도는 마이크로 스위치와 같은 제1전기 스위치(LOS-1)과 제2전기 스위치 (LOS-1)을 사용하고, 캡(114)가 수직으로 활주작동을 하는 로드(116)에 장치된 모니터 수단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두개의 스위치는 한번 작동된 제2펌프가 제2유체실에 오일을 완전히 보충할때까지 작동을 하도록 한다. 또한, 적절한 시간지연을 할 수 있는 단일 스위치도 같은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단일 스위치는 시간지연과 후퇴를 하는 계전기를 사용할 수 있고, 이 계전기는 제2펌프를 작동시킨다. 작동 로드(116)는 받침판(56)과 받침대(62)에 적절히 배치된 구멍을 통하여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게 장치되어 있으며, 정지기(118)는 로드(116)를 그 로드(116 )의 하부단과 중간부분(22)의 제1단부(24)사이에 요구되는 소정의 이격 거리(120)를 제공하기 위해 로드(116)에 고정된다. 받침대(62)는 단면이 U-형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고, U-형 배치의 다리부분은 스위치와 캠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높이로 되어 있다. 로드(116)의 하부단은 일예로 제2실린더 헤드(44)의 상부단과 일렬로 되어 있다. 로드(116)와 정지기(118)과 캠(114)의 중량은 받침대(62)의 하부 혹은 후미부분(63)에 대하여 정지기(118)가 정상적으로 유지할만 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정상적인 위치에서, 캠(114)의 하부단은 스위치(LOS-1)의 작동 아암과 접촉되도록 위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LOS-1)는 정상적으로 폐쇄되어 있어서, 캠(1 14)은 스위치를 개방시키기 위해 작동한다. 스위치(LOS-2)의 작동 아암은 수직으로 캠(114)으로 부터 간격이 떨어져 있다. 스위치(LOS-2)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상적인 개방위치로 되어 있으며, 스위치의 작동아암은 스위치의 접점에 근접해 있다. 캠 (114)은 카가 장시간 동안 폐쇄될때 발생할 수 있는 것과 같이 피스톤이 하부에 위치할 때라도 스위치(LOS-2)가 캠상에 위치하도록 제작된다. 따라서, 회로는 시스템에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작동을 시작할때 알맞게 작동하게 된다.
제2a, 2b, 2c도는 모니터수단(100)의 작동과 오일 보충기능을 설명하며, 제2a도는 최하층 혹은 착륙층(121)에 엘리베이터카(14)가 정지한 것을 나타내며, 엘리베이터(122)의 바닥으로 표시된 카의 바닥은 건물의 최하층(121)과 일치되어 있다. 제2도에서, 제2유체실의 오일의 체적은 정상이며 로드(116)의 하단부는 중간 부분 (22)의 제1단부(24)위에 수직으로 이격져 있다. 오일이 제2유체실(52)로 부터 일정시간 동안 누설될때, 로드(116)의 하단부와 중간부분의 제1단부(24)사이의 거리(120)은 로드(116)가 중간부분이 제1단부(24)와 접촉하고 캠(114)을 수직상향으로 인양할때까지 줄어든다. 스위치(LOS-1)는 회로를 다시 동기시키기 위해 다음에 설명되는 방법으로 즉시 정상적인 폐쇄 위치로 작동귀환하나, 스위치(LOS-2)는 제2유체실에 오일을 확실하게 보충하기 위해서 일단 작동된 제2펌프(104)의 작동 시간을 충분히 길게하는 히스테리시스틀 제공하기 위하여, 캠(114)이 예정된 거리로 견인되기 전까지는 작동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제2펌프(104)는 최하층(121)에서 정상적인 상승 사이클이 시작될때, 제1펌프(76)이 시동되어야만 시동된다. 상승이동의 시작시, 이동중에 엘리베이터 카의 수준을 건물층과 일치시키는 안티-크리이프 회로는 작용을 하지않으며, 따라서 카의 상승이동은 제2c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2유체실에 오일을 보충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카의 승객은 느끼지 못한다. 펌프들은 카의 문(122)이 완전히 닫히기 전에는 작동하지 않으며, 제2펌프에 의해 최초의 이동이 시작되어 엘리베이터 카는 상승 이동사이클이 시작되며, 제1펌프의 기동모우터가 Y-△ 기동기에 의해 기동되더라도 제1펌프에 의해 유연하게 운행이 계속된다.
제3도는 엘리베이터 카가 최하층(121)에서 정상적인 상승이동을 시작할때 부족한 오일의 보충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치의 개략적인 선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펌프 모우터(78)는 회로 차단기(132)와 라인시동기(134)를 통해 교류 전위의 3상 전원(130)에 연결되어 있다. 도시된 대로 3상 모우터일수도 있고 필요하면 단상 모우터를 사용할 수도 있는 제2펌프 모우터(106)는 회로 차단기(136)과 라인 시동기(138)를 통해 전원(130)에 연결된다. 적절한 제어 전압은 조정변압기(140)를 통해 얻어지며, 도시한데로 도선(142)와 (144)사이에 교류 제어 전압을 제공하거나, 필요하면 변압기(140)의 출력은 단향제어 전압을 제공하기 위해 정류될 수도 있다.
정상적인 안전회로, 방향회로, 카위치 회로는(146)로 표시 되었고, 밸브(82)의 다양한 부분을 작동시키는 제1a도에 도시된 상하향 솔레노이드(148)도 도시되었다. 구동중에 엘리베이터 바닥을 건물의 층과 일치하도록 유지하는 안티-크리이프 회로는 (149)로 표시되었다. 회로(146)과 솔레노이드(148)는 도선(142)과 (144)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펌프(76)의 펌프 계전기에는 회로(146)을 통해 도선(142 )와 (144)사이에서 연결된 코일(MPR)이 있다.
펌프 모우터(78)의 라인시동기(134)에는 펌프 계전기(MPR)의 정상적인 개방 접점(MPR-1)을 통해 도선(142)와 (144)사이에서 연결된 코일(LS1)이 있다. 따라서 카의 상승문과, 다른 인접 접점이 도무 폐쇄되고, 엘리베이터 카가 상향 이동을 위해 고정되었을 때, (148)로 표시된 솔레노이드가 작동되고, 라인시동기(134)의 코일(LS 1)을 작동시키는 코일(MPR)의 접점(MPR-2)을 교대로 폐쇄시키는 코일(MPR)이 작동되어 모우터(78)와 펌프(76)를 가동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 제2펌프(104)의 펌프 계전기(APR)는 안전회로(146)에서 도선(144)로 정상적인 개방접전(IFR-1)과 스위치(LOS-1)과 (LOS-2)를 통해 연결되도록 제공된다. 펌프계전기(APR)에는 스위치(LOS-2)에 병렬로 연결된 개방 접점(APR-1)과 (APR-2)가 폐쇄될때 라인시동기의 작동코일(LS2)를 작동시키기 위해 연결된 정상개방 접점(APR-2)가 있다. 접점(IFR-2)은 엘리베이터 카(14)가 최하층에 위치할때만 폐쇄되는 층스위치(FS-1)을 통해 도선(142)와(144)사이에서 연결된 주혹은 최하층 계전기(IFR)의 접점이다.
제3도에 도시된 회로의 작동에서, 엘리베이터 카(14)가 최하층에 정재해 있고 모니터수단(100)이 저오일 상태를 탐지한다고 가정한다. 개방된 상태인 스위치(LOS-1)은 이제 작동하지 않고, 폐쇄되며, 스위치(LOS-2)는 폐쇄된 위치에서 작동이 된다. 제1층스위치(FS-1)는 폐쇄되고, 제1층 계전기(IFR)은 접점(IFR-1)이 폐쇄되면서 작동된다. 따라서, 안전회로 및 방향회로(146)는 상향이동의 시작시 모두 폐쇄되며, 펌프 계전기(MPR)는 접점(MPR-1)을, (APR)은 (APR-2)을 폐쇄함으로써 동시에 작동하여 라인시동기(134)의 코일(LS1)과 (138)의 코일(LS2)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펌프(76)과(104)는 제1층에서의 상향이동의 시작과 함께 동시에 작동된다. 1초 내지 2초의 시간이 필요한 제2유체의 오일이 보충될때, 피스톤 부분(28)은 상승하기 시작하고 캠(114)는 스위치(LOS-2)의 작동아암에서 하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LOS-2)를 개방시킨다. 또한, 계전기(APR)은 계전기의 현재 폐쇄된 접점(APR-1)을 통해 작동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계전기(APR)은 제2유체실(52)의 오일의 완전한 보충을 지시하면서 캠(114)이 정상위치로 도달할때까지 작동을 계속하며, 이때의 캠(114)은 계전기 (APR)을 하강시키고 라인시동기(138)의 라인시동기 코일(LS 2)을 차례로 하강시키는 스위치(LOS-1)의 접점을 개방시키도록 스위치(LOS-1)을 작동시킨다. 상향 이동과 상향 정지 솔레노이드는 오일을 우회해서 탱크로 귀환하게 하는 대신 펌프(76)로 부터 유압잭으로 흐르게 된다.
제1층에서의 엘리베이터 카의 정상적인 상향 사이클의 시작에서 펌프(76)과 (104)가 동시에 시동되어 오일을 보충하는 것이 양호한 실시예지만, 정상적인 유압 엘리베이터에 사용할때도 같은 기능을 발휘한다. 즉 상향으로의 정상적인 이동의 기동시 제2펌프는 제1펌프가 시동된 후에 시동되며, 펌프의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순서를 정하는 것도 본 발명의 분야내에 속하는 것이며, 여기에서 트랩된 오일 공간 즉 제2유체실에는 유지경비를 증가시키는 내부 밸브 장치나 특수한 저장기의 수단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오일이 보충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누설 통로에 관계없이, 즉 밀봉 장치의 통과, 공기 누설밸브, 혹은 소형의 외부 보충펌프(104)에서의 누설통로에 관계없이 트랩된 오일 공간에 누설된 오일을 자동으로 보총하는 것이다. 어떠한 내부밸브 장치와, 특별한 작동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다. 최하층에서의 정상적인 상향사이클의 기동시 필요에 따라 오일의 보충이 자동적으로 이루어 진다.
본 발명이 단일 트랩된 오일 공간으로 된 잭에 관해서 설명되었다지만, 부가적인 단으로 된 즉 하나 이상의 트랩된 오일공간으로 된 잭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설명된 시스템은 각 부가 적인 오일공간에 반복하여 설명될 수 있다.

Claims (4)

  1. 단일작동, 다단, 동기유압잭(10)은 제1단부(18)과 제2단부(20)를 구비한 외측실린더부분(16)과, 제1단부(30)와 제2단부(32)를 구비한 내부 피스톤부분(28)과, 상기 피스톤부분(28)과 실린더 부분(16)사이에 배치된 제1단부(24)와 제2단부(26)를 구비한 중간부분(22)과, 상기 내부피스톤부분(28)과 중간부분(22)은 유압에 감응하여 상기 피스톤부분(28)과 중간부분(22)의 제1단부쪽을 향해 단부방향으로 연장시키기 위해 상기 피스톤부분(28)과 중간부분(22)의 둘중 어느 하나내에 및 외측실린더 부분 (16)내에 신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중간부분(22)의 외부 면 외측 실린더부분(16 )의 내부면에 배치된 제1 및 제2유체 밀봉장치(38,42)와, 중간부분(22)의 내부면과 피스톤 부분(28)의 외부면사이에 배치된 제3밀봉 장치(48)과, 상기 제1,2,3 유체 밀봉장치는 상기 중간부분(22)의 제2단부(26)과 유압소통하게 배치딘 제1유체실(50)과 상기 피스톤부분(28)가 유압 소통하게 배치된 제2유체실(52)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체실에는 유압오일이 채워지고, 상기 피스톤 부분과 중간 부분의 단부방향 연장이 요구될 시, 상기 유압오일(72)을 상기 제1유체실로 유입시키기 위해 상기 잭 외부에 배치된 유압오일의 저장기(74)와 제1펌프(76)를 포함하는 제1유체 공급수단(70)으로 구성되는 오일보충의 다단 유압잭용 유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2유체실에 있는 유압오일이 소정의 량으로 줄어들시,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모니터수단(제1c도 (100) )과, 상기 유압잭의 외부에 배치된 제2펌프(104)를 포함하는 제2유체 공급 수단과, 상기 유압잭이 연장되어야 하고 상기 모니터 수단이 소정의 신호를 제공할시, 제1 및 제2펌프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제3도(MPR, APR))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펌프는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모니터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기로부터 상기 제2유체실로 유압오일을 유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유압잭용 유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내부 피스톤부분(28)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최하층 정상정지레벨을 포함하는 수직 통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제2a-c도 (14))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최하층의 정상 정지레벨에 있고, 상기 모니터 수단이 소정의 신호를 제공하고, 및 상기 엘리베이터 카가 상기 최하층의 정상정지레벨로 부터 상향 방향으로 정상구동을 시작할 시, 동시에 두펌프를 작동시키는 제어수단(1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유압잭용 유압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수단은 유압잭이 피스톤부분(28)의 제1단부(30)가 소정의 위치 간격(120)을 두도록 후퇴될시, 중간부분(22)의 제1단부( 24)와 피스톤부분(28)의 제1단부(30)사이의 거리(102)를 모니터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유압잭용 유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수단은 제1 및 제2스위치(제1c도, 제3도 (LOS-1, LOS-2))와 상기 중간부분(22)과 피스톤부분(28)사이의 거리를 감응하여 작동되는 캠부재(1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스위치는 제2유체실이 유압오일로 알맞게 채워질시 작동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제2유체실의 유압오일이 소정의 량으로 줄어들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유압잭용 유압시스템.
KR1019810005037A 1980-12-21 1981-12-21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KR8900010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219,100 US4357995A (en) 1980-12-22 1980-12-22 Hydraulic system including oil replenishment for multi-stage hydraulic jack
US219,100 1980-12-22
US219100 1988-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422A KR830007422A (ko) 1983-10-21
KR890001065B1 true KR890001065B1 (ko) 1989-04-22

Family

ID=2281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5037A KR890001065B1 (ko) 1980-12-21 1981-12-21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357995A (ko)
JP (1) JPS57126399A (ko)
KR (1) KR890001065B1 (ko)
CA (1) CA11589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7460A (en) * 1987-12-31 1989-09-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Hydraulic jack seal assembly
US5060762A (en) * 1990-05-24 1991-10-29 Otis Elevator Company Pressure intensifier for repositioning telescopic plungers in synchronized telescopic cylinders
US5597987A (en) * 1995-01-25 1997-01-28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Twin post, telescoping jack hydraulic elevator system
US6145222A (en) 1998-08-14 2000-11-14 Curtis International, Inc. Vehicle hitch mount assembly for a snow plow
US6240659B1 (en) * 1998-08-14 2001-06-05 Curtis International, Inc. Control system for jack for a snow plow
US6363629B1 (en) 2000-02-18 2002-04-02 Curtis International, Inc. Vehicle hitch mount assembly for a snow plow
US7103995B2 (en) * 2002-09-20 2006-09-12 Curtis Industries Holdings, Llc Jack for a working implement and method
CN104948520B (zh) * 2014-03-26 2017-09-22 广东科达洁能股份有限公司 一种集成式伺服多缸同步器
CN104006029A (zh) * 2014-05-12 2014-08-27 天津优瑞纳斯液压机械有限公司 具有漏油检测结构的液压缸
CN106882725B (zh) * 2017-03-13 2018-11-02 泉州市富永盛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可检测液压油是否泄漏的桥梁专用的千斤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1516A (en) * 1877-06-05 Improvement in telescopic or hydraulic elevators
NL250626A (ko) * 1959-04-24
DE2329328C2 (de) * 1973-06-08 1985-03-28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Automatisches Zuschaltventil
US4043428A (en) * 1975-12-10 1977-08-23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recycle control for hydraulic elevators with telescopic cylinders
US4116577A (en) * 1977-03-21 1978-09-26 National Machine Company, Inc. Flow sensing auxiliary pump by-pass valve
US4201053A (en) * 1978-11-06 1980-05-06 Dover Corporation Telescopic cylinder automatic synchron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57126399A (en) 1982-08-06
CA1158961A (en) 1983-12-20
US4357995A (en) 1982-11-09
JPH0215479B2 (ko) 1990-04-12
KR830007422A (ko) 1983-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065B1 (ko) 다단 유압 잭용 유압 시스템
US5060762A (en) Pressure intensifier for repositioning telescopic plungers in synchronized telescopic cylinders
US3955797A (en) Swimming pool lift
JP2004505873A (ja) アキュムレータを有する油圧エレベータ
US6971481B2 (en) Hydraulic elevator with motor controlled hydraulic driv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hydraulic elevator
CN112412906A (zh) 一种用于举升机的液压控制系统
US4268228A (en) Hydraulic pumping unit
JP3590662B2 (ja) 油圧シリンダの昇降体のロック構造
KR100214042B1 (ko) 리프트의 유압 동조장치
US2647590A (en) Hydraulic elevator
FI90036B (fi) Pao tryckjaemfoerelse grundad programmerad styrning av floedet i en hydraulisk ventil
JP4210095B2 (ja) 液圧エレベーター用多段式シリンダーへの作動液補充方法
JP2915650B2 (ja) リニアモータを使用した油圧式エレベーター
JP2004225877A (ja) パイロット付チェック弁及びそれを用いた昇降装置の油圧回路
JP2003246565A (ja) 省エネルギー型油圧昇降装置
Inglis Hydraulic lifts
KR100336357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착상시 진동 억제방법
KR100335984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CN115492807A (zh) 升降台液压系统及采用该系统的自动叠片机升降台
KR100351285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단계적 부하보상방법
KR100356521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부하 검출방법
JPH0218053Y2 (ko)
KR100335983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캐비테이션 방지방법
KR870001274Y1 (ko) 유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밸브 교체시의 운전제어회로
JP2004107092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の油圧ジャッキおよびそれを用いた油圧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