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984B1 -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 Google Patents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984B1
KR100335984B1 KR1019990042100A KR19990042100A KR100335984B1 KR 100335984 B1 KR100335984 B1 KR 100335984B1 KR 1019990042100 A KR1019990042100 A KR 1019990042100A KR 19990042100 A KR19990042100 A KR 19990042100A KR 100335984 B1 KR100335984 B1 KR 10033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ar
valve
hydraulic
check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335A (ko
Inventor
최승철
Original Assignee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우, 엘지 오티스 엘리베이터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장병우
Priority to KR1019990042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984B1/ko
Publication of KR20010029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9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28Safety devices separate from control system in case of power failure, for hydraulical lifts, e.g. braking the hydraulic jack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유압 엘리베이터의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여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22),(24),(25)가 오프되는 동시에 전동기(7)의 토크 전류치를 일정하게 감소시키고, 유압펌프(6)와 유압 실린더(1)측의 압력을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9)와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8)에 의해 측정하여 비교한 이들의 압력 차이가 소정값 이하로 검출되고, 카(C)의 속도가 기준 속도값 보다 크게 되었을 때에는 메인 체크밸브(26)가 비정상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승객을 구출하기 위한 운전을 수행하여 승객을 대피시키고, 카(C)를 최하층으로 비상 하강시킴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유압 엘리베이터의 카를 안전하게 승강 구동시킬 수 있고, 보수가 필요할 때에 카를 안전하게 하강시켜 보수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착상 제어시 메인 체크밸브의 비정상 동작을 사전에 검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제품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METHOD TO HANDLING SAFELY FOR INVERTER CONTROL TYPE HYDRAULIC ELEVATOR}
발명은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인 체크밸브의 닫힘 동작이 비 정상적인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카를 최하증으로 구출 운전을 수행하여 탑승객을 비상 구출한 후 버퍼에 안착할 수 있게 되는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종래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카의 속도 제어를 유량 제어밸브에 의해, 상승시는 브리드 오프(blead off), 하강시에는 미터 아웃(meter out)을 행한다. 이 때문에 부하의 변동이나, 유온의 변화에 의해 유량 제어 특성이 변하고, 또 운전시간, 승차감이 변하므로 이것을 개선하는 방법이 검토되어 왔다.
한, 최근에는 종래의 밸브 제어를 대신하여, 인버터를 이용하여 전동기를 연속적으로 가변속 운전시켜서 유압펌프의 회전수 제어로 유량을 제어하는 방식의 유압 엘리베이터가 제안되고 있다.
이 인버터 제어 유압 엘리베이터에 있어서의 제어밸브는 유량 제어 대신에 안전에 관한 것이 보다 더 중요하게 요구된다. 즉 카 정지시의 위치 유지와 유압 회로의 보호이다. 따라서 종래의 유량제어밸브가 없이 필요한 유로를 연결시켜 주는 파이롯트 조작형 체크밸브를 이용하고 있다.
본 발명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특허 제93-22245호)된 종래의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는 카를 승강시키는 유압 실린더와, 유압작동유를 펌핑하는 정역회전 유압펌프와, 압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밸브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제어밸브장치는 메인 체크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밸브 및 메인 체크밸브 페쇄용 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개폐 조작되는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와, 정역회전 유압펌프가 직렬로 연결되고, 스톱 밸브에 유압 실린더가 연결되며, 상기 배관라인 일단부는 유압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양측 배관라인의 타단부측을 연결하는 관로에 오리피스, 비상하강용 수동밸브 및 최저압력설정 릴리프 밸브가 연결됨과 아울러, 양측 배관라인 간에 정역회전 유압펌프측으로 체크 밸브와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가 병렬 연결되고, 파이롯트 작동형 릴리프밸브와 유압 탱크측 배관라인 간에 언로딩 솔레노이드밸브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유압 엘리베이터는 상승 운전 및 하강 운전시 목적층에 도달하면 파이롯트 조작형 메인 체크밸브의 양단의 압력은 거의 동일하고, 유압 펌프의 토출 유량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체크 밸브 개방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체크밸브 강제 닫힘용 솔레노이드 벨브도 오프시킴으로써 피스톤을 계속해서 밀고 있는 파이롯트 압력을 유압탱크로 드레인시켜 메인 체크 밸브를 체크밸브 기능으로 전환시킨후 메인 체크밸브 스프링에 의해 완전히 닫힐 때 까지 일정시간 동안 제어를 계속한후에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하여 유압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종료하고 있다.
그리고, 이때 메인 체크밸브는 상승 운전시 메인 체크밸브 스프링력에 의한 압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스프링력이 작도록 설계 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력이 너무 작은 경우에는 압력 손실이 작아 동력 손실이 적으나 메인 체크밸브 스풀면에 이물질의 끼임 등에 의해 체크밸브가 잘 동작되지 않아 밸브가 완전히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전동기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정지 쇼크가 크게 되거나 카가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고정 등 비상시에는 체크밸브 강제 닫힘용 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시켜 메인 체크밸브를 닫히도록 하고 있으나 이는 메인 체크밸브 및 피스톤과 체크밸브 강제 닫힘용 솔레노이드 밸브 즉, 모든 밸브 기능이 정상 동작을 할 경우에만 가능하기 때문에 밸브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안전 사고의 위험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카의 주행 안정성 및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비상 및 보수시에 안전하게 하강시켜 급하강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하며, 특히 메인 체크밸브의 닫힘 동작이 비 정상적인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카를 최하증으로 구출 운전을 수행하여 탑승객을 비상 구출한 후 버퍼에 안착할 수 있게 되는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유압제어회로도.
도 2는 제어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메인 체크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메인 체크밸브에 작용되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실린더압력, 펌프압력 및 카속도에 대한 특성 그래프.
도 6은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과정을 보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압 실린더 1a : 피스톤 로드
1b : 풀리 1b : 풀리
1c : 와이어 로프 2 : 럽춰뱁브
3, 3a, 3b, 3c, 3d, 3e : 라인 4 : 개폐밸브
5 : 댐퍼 6 : 유압펌프
7 : 전동기 8 : 엔코더
9 : 기름탱크 10 : 기름 수준기
11 : 레벨 감지기 12 : 접점식 온도 감지기
13 : 아나로그식 온도 감지기 15 : 핸드펌프
16 : 압력 게이지 17 : 게이지 개폐밸브
18 :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
19 :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
20 : 비상하강 최저압 설정밸브 21 :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밸브
22 :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 23 : 비상 콘트롤 밸브
24 :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 25 :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
26 : 메인 체크밸브 27 : 릴리프 밸브
28 :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
29 :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
30 : 유온상승용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
31 : 캐비테이션 방지밸브
100 : 구동수단 200 : 제어밸브
300 : 설정압력 유지수단 400 : 캐비테이션 방지수단
500 : 비상 하강수단 600 : 온도 조절수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은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와, 압유를 발생시켜 상기 유압 실린더를 구동시키기 위해 기름탱크에 담긴 기름을 펌핑하기 위한 유압펌프와, 이 유압펌프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와, 이 전동기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엔코더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측 압력과, 상기 유압 실린더측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메인 체크밸브의 상단 포트에 연결되는 라인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체크밸브의 상단부 파이롯트 압력실의 압력이 상기 유압 실린더측 라인로 배출됨을 단속하는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와,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체크밸브의 상단부 파이롯트 압력실의 압력이 유압펌프측 라인으로 배출됨을 단속하는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실린더측 라인 사이에 연결되는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실린더측 라인의 사이에 일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는 상기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와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 사이에 연결되는 비상 콘트롤 밸브로 구성되는 제어밸브와, 상기 유압 실린더측 라인에는 연결되는 압력 게이지,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 및 핸드펌프와, 유압펌프측 라인에 연결되는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관로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때에 방출시켜 설정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설정압력 유지수단과, 관로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때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테이션 방지수단과, 보수할 때에 유압 실린더와 카를 안전하게 하강시키기 위한 비상 하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설정압력 유지수단은 유압펌프측 라인에 릴리프 밸브의 하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는 퇴출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퇴출 라인에는 유압 실린더의 설정압력 보다 과도한 압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개방되는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가 연결되며, 상기 릴리프 밸브의 내부에는 퇴출 라인과 연통되는 미세한 관경을 가지는오리피스가 형성되고, 릴리프 밸브의 중간부포트는 퇴출 라인과 직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퇴출 라인에는 직렬로 배치되는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메인 체크밸브를 개방시키는 압력 보다 작은 압력에서 개방되는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가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캐비테이션 방지수단은 캐비테이션 방지밸브의 중간부 포트가 상기 유압펌프측 라인과 상기 메인 체크밸브, 릴리프 밸브와 함께 공통 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 포트는 상기 퇴출 라인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비상 하강수단은 직렬로 배치되는 비상하강 최저압 설정밸브와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밸브가 상기 유압 실린더측 라인과 상기 릴리프 밸브측 퇴출 라인 사이에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유압제어회로도를 보인 것이고, 도 2는 제어 시스템 블록도를 보인 것이며, 도 3은 메인 체크밸브의 단면도, 도 4는 메인 체크밸브에 작용되는 압력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압제어회로는 카(C)를 승강시키기 위한 유압 실린더(1)와, 압유를 발생시켜 상기 유압 실린더(1)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100)과, 상기 구동수단(100)측 압력과, 상기 유압 실린더(1)측 압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밸브(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관로에 과도한 압력이 걸리는 때에 방출시켜 설정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설정압력 유지수단(300)과, 관로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는 때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캐비테이션 방지수단(400)과, 보수할 때에 유압 실린더(1)와 카(C)를 안전하게 하강시키기 위한 비상 하강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의 피스톤 로드(1a) 상단부에는 풀리(1b)가 축착되고, 상기 풀리(1b)에 권회된 와이어 로프(1c)의 일단부가 승강로(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가이드레일 타고 승강하도록 설치되는 카(C)에 고정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는 승강로 일측부에 고정되어 유압 실린더(1)의 작동에 의해 카(C)가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에 압유를 공급하는 라인(3a)에는 관로가 파열 손상되어 관로 압력이 급격히 감소되는 경우 관로를 급속으로 폐쇄하여 유압 실린더(1)측 압력이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럽춰밸브(rupture valve)(2)가 연결되고, 관로를 임의로 개폐하기 위한 개폐밸브(4)가 연결되어 있으며, 관로의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댐퍼(6)가 연결되어 있다. 부호 3은 전체 배관의 라인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기름탱크(9)의 일측부에는 기름량을 육안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름 수준기(10)와, 기름량을 높이에 따른 접점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감지하기 위한 레벨 감지기(11)가 설치되고,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접점식 온도 감지기(12)와, 아나로그식 온도 감지기(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기름탱크(9)의 타측부에는 기름의 온도를 조절하기 쿨러 및/또는 히터와 같은 위한 온도 조절수단(60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동수단(100)은 기름탱크(9)에 담긴 기름을 펌핑하기 위한 유압펌프(6)와, 이 유압펌프(6)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기(7)와, 이 전동기(7)의 회전수를 감지하기 엔코더(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펌프(6)는 상기 메인 체크밸브(26)와 라인(3b)으로 연결되어 있다. 부호 6a는 기름 여과기이다.
상기 제어밸브(200)는 메인 체크밸브(26)의 상단 포트에 연결되는 라인(3c)의 일측에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가 연결되고, 타측에는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가 연결되어, 상기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는 메인 체크밸브(26)의 상단부 파이롯트 압력실의 압력이 상기 유압 실린더측 라인(3a)로 배출됨을 단속하고, 상기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는 상기 메인 체크밸브(26)의 상단부 파이롯트 압력실의 압력이 유압펌프(6)측 라인(3b)으로 배출됨을 단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와 유압 실린더측 라인(3a) 사이에는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연결되고, 상기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유압 실린더측 라인(3a)의 사이에 비상 콘트롤 밸브(23)의 일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타단부는 상기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 체크밸브(26)는 도 3과 같이, 밸브블록(26a)에 커버(26b)가 고정되고, 밸브블록(26a)의 공간부(26c)에 밸브몸체(26d)가 오링(26e)(26g),(26i)을 개재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밸브몸체(26d)의 내측 공간부에는 포트 개폐를 위한 가동체(26j)가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블록(26a)의 하단부에는 상기 유압펌프(6)와 연결되는 포트(26k)가 형성되고, 밸브블록(26a)의 중간부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1)와 연결되는 포트(26l)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26b)에는 파이롯트 압력이 작용하는 포트(26m)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블록(26d)에는 상기 중간부 포트(26l)와 연결되는 유통공(26h)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26j)의 외주면에 경사지게 형성된 단턱부와 밸브블록(26d)에 경사지게 형성된 단턱부 사이에는 상기 유압 실린더(1)의 압력이 작용하는 실린더압력 작용실(26n)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체(26j)의 내측 공간부에는 상단부가 커버(26b)의 내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하단부가 내측 공간부의 저면에 접촉되는 스프링(26o)이 삽입되어 가동체(26j)를 하측으로 눌러 하측 포트(26k)를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정압력 유지수단(300)은 유압펌프측 라인(3b)에 릴리프 밸브(27)의 하단부가 연결됨과 아울러 그 상단부는 퇴출 라인(3d)에 연결되고, 상기 퇴출 라인(3d)에는 유압 실린더(1)의 설정압력(예, 30bar) 보다 과도한 압력(예, 45bar)이 작용하는 경우에 개방되는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28)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릴리프 밸브(27)의 내부에는 퇴출 라인(3d)과 연통되는 미세한 관경(예, 1.5mm)을 가지는 오리피스가 형성되고, 릴리프 밸브(27)의 중간부는 퇴출 라인(3d)과 직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퇴출 라인(3d)에는 직렬로 배치되는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와 상기 메인 체크밸브(26)를 개방시키는 압력 보다 작은 압력(예,20bar)에서 개방되는 유온상승용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30)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캐비테이션 방지수단(400)은 캐비테이션 방지밸브(31)의 중간부 포트가 상기 유압펌프측 라인(3b)과 라인(3e)로 상기 메인 체밸브(26), 릴리프 밸브(27)와 함께 연결되어 있으며, 그 하단부 포트는 상기 퇴출 라인(3d)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비상 하강수단(500)은 직렬로 배치되는 비상하강 최저압 설정밸브(20)와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밸브(21)가 상기 유압 실린더측 라인(3a)과 상기 릴리프 밸브측 퇴출 라인(3d) 사이에 연결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측 라인(3a)에는 압력 게이지(16)와 게이지 개폐밸브(17)가 연결됨과 아울러 또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8)가 연결되고, 정전, 또는 보수 등을 하는 경우에 카(C)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드펌프(15)가 연결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유압펌프측 라인(3b)에는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9)가 연결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압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입력되는 3상교류전원(32)이 리액터(32-1)를 통과하여, 펄스폭 변조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는 컨버터(33)에 의해 승압되고, 또한 직류전원으로 변환된 후 콘덴서(D)에 충전된다. 충전된 직류전원은 펄스폭 변조 제어부(35)에 의해 제어되는 인버터(34)에 의해 가변전압 가변주파수 형태의 교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전동기(7)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있으며, 속도제어부(36)와 운전제어부(37)가 함께 공통제어를 행하여 승강운전 및 승강 속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속도제어부(36)와 운전제어부(37)의 공통 제어란 상기 전동기(7)나 각 밸브와 같이 안전운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제어대상을 제어할 때에 보다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그 속도제어부(36)와 운전제어부(37)가 각각 제어명령(제어패턴)을 하달하고, 이 각각의 제어명령이 서로 일치하는 조건 하에서만 전동기(7)나 파이롯트관로 상의 해당 밸브가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물론, 이때, 안전회로를 통해 안전상에 이상이 검출되지 않아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유압제어회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유압 엘리베이터를 설치한 후, 유압 실린더(1)에 기름을 주입할 때에는 설치 보수장치에서 유압 실린더(1) 기름 넣기 운전을 선택하여 기름을 주입하게 되며, 운전 지령을 계속 주면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가 온되어 개방되고, 전동기(7)가 약 500RPM으로 회전되면서 기름이 유압 실린더(1)에 서서히 주입되며, 운전 지령키에서 손을 떼면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와 전동기(7)가 정지된다.
유압 실린더(1)에 주입되는 기름량을 확인하면서 주입동작을 계속 진행시키면 전동기(7)의 회전에 따라 기름이 유압펌프(6)에 의해 펌핑되어 메인 체크밸브(26)가 개방되면서 이송되고 개폐밸브(4)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1)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어서, 관로에서 공기를 제거하는 공기제거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 공기제거 작업은 유압 실린더(1)에 기름을 주입할 때 설치 보수장치에서 밸브 공기제거 운전을 선택하여 행하게 된다. 이 공기제거 작업은 개폐밸브(4)를 막고 공기제거 운전키를 한번 눌러주면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 밸브(21),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가 온되어 개방되며, 이어서, 전동기(7)를 서서히(약 1000RPM)으로 회전시켜 기름이 모든 관로에 통하게 한 후, 관로에 차있는 공기를 제거하게 된다.
그리고, 기동시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가 온되면 관로가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 밸브(21) 및 기름 탱크(9) 순으로 열린다. 이어서, 상기 전동기(7)를 회전시키면 기름이 유압펌프(6)에 의해 펌핑되는 압력으로 메인 체크밸브(26)를 열고 개폐밸브(4)가 막혀 있으므로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 비상 콘트롤 밸브(23),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 비상하강 최저압 설정밸브(20),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밸브(21) 순으로 흘러 기름탱크(9)로 회수되고, 또, 릴리프 밸브(27),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 및 유온상승용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30) 순으로 통하여 기름탱크(9)로 회수된다.
이러한 공기 제거운전을 약 3분 정도 행하게 되면 기름이 모든 관로를 통하여 흐르므로 공기가 기름탱크(9) 내로 유입되어 방출구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관로의 기름을 제거하면 관로 및 메인 체크밸브(26) 내의 공기 기포가 제거되어 기동 충격이 저감된다.
또한, 설치 운전시 유온을 강제로 올리기 위하여 유온상승 운전을 행하게 되며, 이 유온상승 운전은 설치 보수장치에서 유온상승 운전을 선택하여 행하게 된다.
유온상승 운전을 선택하고 기동 지령을 주면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가 온되어 개방된 후, 전동기(7)가 회전하며, 전동기(7)의 회전에 따른 마찰열 및 릴리프 밸브(27)에서 발생하는 압력 손실 등에 의해 발생하는 열로 유온이 일정 온도로 올라가면 정지 지령이 내려져 전동기(7)가 정지하고, 유온상승 운전이 해제된다.
부름이 없거나 정차(파킹)시에 온도가 일정 온도(예, 5도)가 되면, 전동기(7)를 회전시켜 유온을 올리고, 이 때 부름이 발생하거나, 정차가 해제되면 유온 상승 운전을 해제하고 부름에 응답한다.
메인 체크밸브(26)의 유압 실린더(1)측 관로의 압력은 유압 실린더(1), 즉 카(C)가 누르는 압력이고,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를 온하면 메인 체크밸브(26)의 기름탱크(9)측 압력은 릴리프 밸브(27),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 유온상승용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30), 기름탱크(9) 순으로 관로가 열리게 되고, 유온 상승용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30)에 의해 압력이 설정되며,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가 개방된 상태에서 전동기(7)를 회전시키면 기름이 유압펌프(6)를 통하여 메인 체크밸브(26)로 이송되지만 압력차로 인하여 메인 체크밸브(26)를 열지 못하고, 릴리프 밸브(27), 유온상승 콘트롤 솔레노이드 밸브(29), 유온상승용 파이롯트 릴리프 밸브(30)의 순으로 기름탱크(9) 내로 회수되는 무부하 운전이 되며, 이때 전동기(7) 및 릴리프 밸브(27)에서 발생하는 열로 유온을 상승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유온 상승운전은 동절기 등에 부름이 없거나, 정차(파킹)시 또는 설치시 유온이 떨어졌을 때에 히터와 병행하여 전동기(7)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유온을 올릴 수 있으므로, 최적의 온도에서 제어가 가능하고, 히터가 없는 경우 매우 유용하며, 히터처럼 직접 가열 방식이 아니라 전동기(7)의 마찰열 등을 이용한 간접 가열 방식이므로 기름에 주는 열영향이 적어 사용기간 등이 연장된다. 또 히터 보다 온도 상승율이 좋아 전력 사용측에서도 매우 유리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1)에 기름이 주입되고, 공기가 제거됨과 아울러 기름이 적정 온도로 상승된 이후, 카(C)의 상승 및 하강 운전을 행하게 되는 바, 이하 카(C)의 상승 및 하강 운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 지령이 없는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는 개방되고,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는 닫힌 상태가 유지되며, 파이롯트 압력과 유압 실린더(1)측 압력이 같고, 유압펌프(6)측 압력은 제로(0)인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은 초기상태에서 상승 운전 지령이 발생하면 안전계통에 이상이 없는 경우,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온시키고, 구동제어장치는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8)의 압력신호를 지령으로 하여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9)의 압력신호가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8)의 압력신호와 일치되도록 전동기(7) 토크 지령을 발생시켜, 전동기(7)가 구동되고, 전동기(7)에 연결된 유압펌프(6)가 정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전동기(7)의 정회전에 의해 부하보상 운전을 하여 유압펌프(6)측 압력이 상승하여 유압 실린더(1)측 압력과 동등하게 될 때 카(C) 속도 지령이 발생하고, 이속도 지령에 따라 전동기(20)의 회전속도가 증가하여 유압펌프(6)의 토출 유량이 많아지고 이에 따라 카(C)가 상승하게 된다.
정지층에 다다르면 전동기(7)의 회전속도가 감소하여 이와 연동된 유압펌프(6)의 토출이 정지되고, 이때 전동기(7)에는 기동시의 유압 실린더(1)측 압력을 유지해야 하므로 토크가 계속 가해지고 있다. 정지층에 도달하면 전동기(7)에 가해지는 토크를 해제하여 운전을 종료하며, 이 때 메인 체크밸브(26)는 파이롯트 압력실에 작용하는 압력에 의해 완전히 닫혀 카(C)가 안전하게 정지되어 있는다.
한편, 하강 운전 지령이 발생하면 상승시와 동일하게, 안전 계통에 이상이 없는 경우,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를 온시키고, 전동기(7)를 정회전 구동시켜 유압펌프(6)의 토출압력이 유압 실린더(1)측과 동일하게 되면,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 및 클로즈레노이드 밸브(25)가 온되어 메인 체크밸브(26)가 개방 가능하게 되고, 카(C) 속도 지령에 따라 전동기(7)가 역회전하게 되며 유압 실린더(1)로 부터 배출되는 유량은 유압펌프(6)의 회전속도에 따라 제어되어 카(C)를 하강시키고, 정지층에 거의 도착할 무렵에 전동기(7)의 회전속도를 감소시켜, 유압 실린더(1)로 부터 배출되는 유량을 줄인다.
운전 중 안전 계통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동력이 공급되지 못하는 비상시에는 비상용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2)가 닫히고, 오픈 솔레노이드 밸브(24)는 개방되고, 클로즈 솔레노이드 밸브(25)는 닫히게 되어 유압 실린더(1)의 압력이 밸브의 통로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상 콘트롤 밸브(23)로 흘러 메인 체크밸브(26)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카를 충격 없이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지, 부하보상운전, 상승운전, 하강운전할 때에 각 부분 작용압력(단위 bar)과, 도 4와 같이, 메인 체크밸브(26)의 압력이 작용하는 각 부분의 단면적(단위 Cm2)에 의해 표현되는 압력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 부분에 작용되는 압력과, 압력이 작용되는 부분의 단면적을 PP: 펌프압력, PC: 실린더압력, PB: 파이롯트 압력, FS: 스프링 력, AP: 펌프압력 작용 면적, AC: 실린더압력 작용 면적, AB: 파이롯트 압력 작용 면적이라 하면, 카(C) 정지시에는 작용하는 압력과 밸브닫힘력은 다음과 같다.
PB= PC, PP= 0
밸브닫힘력 : F = 10ㆍAPㆍPC+ FS> 0
이 정지단계에서 펌프압력(PP)이 실린더압력(PC)과 동일하게 되도록 압력이 증가하여 부하보상 단계가 행하여지며, 부하보상이 완료되면 압력과 밸브닫힘력은 다음과 같다.
PB= PC, PP= PC
밸브닫힘력 : F = FS
카(C) 상승운전시에는 위 보하보상 단계에서 파이롯트 압력(PB)이 실린더압력(PC)과 동일하게 되고, 이후 유압펌프(P)의 압력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된다.
PB= PC, PP> PC
이 때 밸브닫힘력 : F = 10ㆍAP(PC- Pp) < 0
카(C) 하강운전시에는 위와 같은 부하보상 단계에서 파이롯트 압력(PB)이 펌프압력(PP)과 동일하게 되고, 이후 유압펌프(P)의 압력이 계속 감소함에 따라 다음과 같이 된다.
PB= PP, PP< PC
밸브닫힘력 : F = 10ㆍAC(PP- PC) < 0
그리고, 위와 같이 상승운전 단계와, 하강운전 단계가 완료되면 다시 부하보상이 된후 정지하여 대기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보수를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밸브(21)를 개방시켜 유압 실린더(1)의 압력을 퇴출 라인(3d)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카(C)를 하강시켜 보수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동/자동 겸용 비상하강밸브(21)과 직렬로 연결된 비상하강 최저압 설정밸브(20)는 내장된 스프링에 의해 카(C)가 걸려 하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관로가 닫히도록 함으로써 보수작업을 안전하게 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C)를 승강 구동시키면서 기름의 온도를 측정하여 예컨데, 기름의 온도가 50도 이하에서는 정상운전을 행하고, 50 ∼ 60도 사이에서는 속도를 저감시켜 운전을 행하며, 60도 이상에서는 기동이 불가능하게 한다. 또한, 적정 온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온도 조절수단(600)의 기름 냉각기(14)와 히터를 제어하여 유압 엘리베이터의 운행에 요구되는 최적 온도(예, 30도)를 계속 유지함으로써 유온 변화에 따른 제어 오차를 줄이고, 최적의 상황에서 운행을 제어할 수 잇어 최적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유온이 적정 온도를 벗어난 경우 카(C)의 속도를 저감시켜 운전하면 전동기(7)에서 발생하는 열이 감소하여 기동불가 온도 조건에 다다르는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으로 카(C)를 승강 구동시킴에 있어서, 인버터 제어방식의 유압 엘리베이터는 종래 밸브 제어방식과는 달리 바이패스 유량이 없기 때문에 전동기(7)의 기동에 의해 유압펌프(6)에서 압유가 생성되면 생성된 압유가 유압회로의 각 부분에 전달될 때까지 순간적으로 릴리프 밸브(27)가 열리된다. 즉, 릴리프 밸브(27)에 설치된 오리피스를 통과하여 압이 공급되는 데 약간의 시간 지연으로 배압실에 압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유체력에 의해 릴리프 밸브(27)가 강제로 밀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유압 실린더(1)측 압력을 기준으로 유압펌프(6)의 토출 압력이 같게 되도록 부하보상 제어를 하게 되면 전동기(7)의 회전에 따라 압유가 잘 생성되지 않아 전동기(7)가 급격하게 회전하게 되고, 유압회로 내에 압력이 전달되어 릴리프 밸브(27)가 정상 동작을 하게 되면 전동기(7)의 회전속도가 증가한 상태이므로 유압펌프(6)측 압력이 급격히 증대하여 유압 실린더(1)측 압력 보다도 높게 되고, 이에 따라 카(C)를 움직이게 되며, 이와 같이 유압회로 내에 압력전달 지연으로 인한 초기 릴리프 밸브(27)가 급격히 열렸다 닫히는 현상에 의해 카(C)가 움직여 승차감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에 전동기(7)의 전류 지령치를 제한 출력하여, 예를들면 스텝(step)으로 일정치를 일정 시간 동안 공급하여, 낮은 압력으로 유압회로 내의 각 부분에 압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된 후 부하보상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같이 부하보상시 전동기(7)의 출력을 제한하여, 일정시간 동안 제한된 출력으로 전동기(7)를 구동시킨 후, 회로압이 정상적으로 될 때에 부하보상 제어를 수행하면, 유압펌프(6)측 압력의 급격 상승을 막아 기동시에 충격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강 운전시 메인 체크밸브(26)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을 계속하게 되면 메인 체크밸브(26)와 유압펌프(6) 사이의 관로에 부압(마이너스 압력)이 발생하게 되며, 이처럼 부압이 발생되면 상기 캐비테이션 방지수단(400)의 포핏형(poppet type)의 체크밸브와 같은 캐비테이션 방지밸브(31)가 개방되면서 기름탱크(9)의 기름이 캐비테이션 방지밸브(31)를 통하여 유압펌프측 라인(3b)을 통하여 순환되면서 메인 체크밸브(26)가 닫힌 상태에서 전동기(7)가 역회전됨에 의한 부압의 발생을 방지하여, 유압 장치에 큰 충격을 가져오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포핏형 캐비테이션 방지밸브(31)에는 약간의 크랭킹 압력이 존재하게 되어 이 크랭크 압력에 의해 유압펌프(6)측에 약간의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이를 해소책으로는 캐비테이션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어밸브 내의유압펌프(6)측 압력을 검출하기 위한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9)에 의해 부압을 검출하여 전동기(7)의 회전을 저지하는 방법이 있기는 하나, 캐비테이션를 발생시키는 압력이 매우 낮아 순간적인 캐비테이션 발생을 막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유압 실린더(1)와 유압펌프(6)의 압력차 및 전동기(7)의 속도, 카(C)의 속도를 상호 비교하여 메인 체크밸브(26)의 동작이 비정상적인 경우에 전동기(7)의 제어를 멈추게 하여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도 5는 실린더압력, 펌프압력 및 카속도에 대한 특성 그래프를 보인 것이고, 도 6은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과정을 보인 흐름도로서, 이하, 이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는 하강 운전시에도 메인 관로를 통하여 유압 실린더(1)측 압유를 유압펌프(6)를 통하여 기름탱크(9)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메인 관로 사이에 정지시 카(C)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메인 체크밸브(26)를 운전 상황에 따라 개폐 구조로 동작시켜야 되며, 만약 운전중에 이물질 등에 의해 메인 체크밸브(26)를 강제로 개방하는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23),(24),(25)가 정상 동작하지 않을 때에는 메인 체크밸브(26)가 닫히지 않아 정지후 카(C)가 추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지층에 도달하여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22),(24),(25)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전동기(7)의 토크 전류치를 일정하게 감소시켜, 이 때 유압펌프(6)와 유압 실린더(1)측의 압력을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9)와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압력센서(18)에 의해 측정하여 비교한 이들의 압력 차이가 소정값 이하로 검출되고, 카(C)의 속도가 기준 속도값 보다 크게 되었을 때에는 메인 체크밸브(26)가 비정상 동작, 즉 닫힘 고장인 것으로 판단하여 승객을 구출하는 구출 운전을 행하게 된다.
즉, 카(C)의 속도 VC, 기준 속도 값 VN, 펌프압력 PP, 실린더압력 PC, 기준 압력차 값 PN에서, VC> VN, PC- PP< PN가 되는 경우 메인 체크밸브(26)의 닫힘 고장으로 검출하여 다시 부하보상 제어를 수행하여 정지층에서 카(C) 내부의 안내 방송으로 비상 운전임을 탑승객에게 알리고, 승객을 모두 대피시킨 후, 최하층으로 자동적으로 내려가도록 하여 카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의 구체적인 한 실시형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운전 모드인가를 확인하여 아니면 다른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700)와, 승강운전 모드이면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동작, 카(C) 위치, 카(C)의 속도를 감지하고, 유압 실린더(1)측의 압력, 유압펌프(6)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701)와, 이후 정지층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702)와,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703)와, 이어서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고,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아니면 위 단계(S702)로 되돌려 행하는 단계(S704)와,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고,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으며, 전동기(7)의 토크 전류치를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단계(S705)와, 이어서 실린더압력과펌프압력을 연산하는 단계(S706) 및 카(C)의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S707)와, 상기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의 압력차가 기준 압력 이하이고, 카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가를 연산하여 아니면 메인 체크밸브(26)가 정상적으로 동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708)와, 상기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의 압력차가 기준 압력차 값 이하로 판단되고, 카 속도가 기준 속도값 보다 크게 검출되면 메인 체크밸브(26)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부하보상 제어를 행하는 단계(S709)와, 메인 체크밸브(26)가 이상임을 승객에게 경고하는 단계(S710)와, 승객을 대피시킬 수 있는 일정 지연시간 후, 카(C)를 비상 하강시키는 단계(S711)와, 카(C)가 최하층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아니면 위 단계(S711)로 되돌려 반복하여 행하는 단계(S712)와, 최하층에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을 적용하여 운전을 행하는 경우에는 카(C)를 승강시킬 때에 승강운전 모드인가를 확인하여 아니면 다른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고, 승강운전 모드이면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동작, 카(C) 위치, 카(C)의 속도를 감지함과 아울러, 유압 실린더(1)측의 압력, 유압펌프(6)측의 압력을 측정한다.
이후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고, 이어서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는지를 감지하여,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고,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지 않았으면 위 단계(S702)로 되돌려 행하며,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고,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으면 전동기(7)의 토크 전류치를 일정하게 감소시켜 구동시킨다.
이어서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을 연산함과 아울러 카(C)의 속도를 연산하고, 상기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의 압력차가 기준 압력 이하이고, 카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가를 연산하여 아니면 메인 체크밸브(26)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였으므로 운전을 종료하고, 상기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의 압력차가 기준 압력차 값 이하로 판단되고, 카 속도가 기준 속도값 보다 크게 검출되면 메인 체크밸브(26)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부하보상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메인 체크밸브(26)가 고장임을 승객에게 경고하고, 승객을 대피시켜 구출한 후, 카(C)를 비상 하강시켜 최하층에 도달하였으면 운전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유압 엘리베이터의 카를 안전하게 승강 구동시킬 수 있고, 보수가 필요할 때에 카를 안전하게 하강시켜 보수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으며, 특히 착상 제어시 메인 체크밸브의 비정상 동작을 사전에 검출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의해 제품의 신뢰성과 경쟁력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2)

  1. 유압 엘리베이터의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여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22),(24),(25)가 오프되는 동시에 전동기(7)의 토크 전류치를 일정하게 감소시키고, 유압펌프(6)와 유압 실린더(1)측의 압력을 유압펌프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9)와 실린더측 압력 측정용 압력센서(18)에 의해 측정하여 비교한 이들의 압력 차이가 소정값 이하로 검출되고, 카(C)의 속도가 기준 속도값 보다 크게 되었을 때에는 메인 체크밸브(26)가 비정상 동작인 것으로 판단하고, 승객을 구출하기 위한 일정 지연시간 후, 카(C)를 최하층으로 비상 하강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운전 모드인가를 확인하여 아니면 다른 모드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700)와, 승강운전 모드이면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 동작, 카(C) 위치, 카(C)의 속도를 감지하고, 유압 실린더(1)측의 압력, 유압펌프(6)측의 압력을 측정하는 단계(S701)와, 이후 정지층에 도달하였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702)와,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는지를 감지하는 단계(S703)와, 이어서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고,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아니면 위 단계(S702)로 되돌려 행하는 단계(S704)와, 카(C)가 정지층에 도달하고, 파이롯트 제어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었으며, 전동기(7)의 토크 전류치를 일정하게 감소시키는 단계(S705)와, 이어서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을 연산하는 단계(S706) 및 카(C)의 속도를 연산하는 단계(S707)와, 상기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의 압력차가 기준 압력 이하이고, 카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인가를 연산하여 아니면 메인 체크밸브(26)가 정상적으로 동작한 것으로 판단하여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708)와, 상기 실린더압력과 펌프압력의 압력차가 기준 압력차 값 이하로 판단되고, 카 속도가 기준 속도값 보다 크게 검출되면 메인 체크밸브(26)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다시 부하보상 제어를 행하는 단계(S709)와, 메인 체크밸브(26)가 이상임을 승객에게 경고하는 단계(S710)와, 승객을 대피시킬 수 있는 일정 지연시간 후, 카(C)를 비상 하강시키는 단계(S711)와, 카(C)가 최하층에 도달하였는지를 확인하여 아니면 위 단계(S711)로 되돌려 반복하여 행하는 단계(S712)와, 최하층에 도달하였으면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KR1019990042100A 1999-09-30 1999-09-30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KR100335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00A KR100335984B1 (ko) 1999-09-30 1999-09-30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100A KR100335984B1 (ko) 1999-09-30 1999-09-30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35A KR20010029335A (ko) 2001-04-06
KR100335984B1 true KR100335984B1 (ko) 2002-05-10

Family

ID=1961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100A KR100335984B1 (ko) 1999-09-30 1999-09-30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9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34323B2 (ja) * 2011-05-13 2014-12-03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クライオポンプシステム、クライオポンプのための再生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951A (ko) * 1993-11-29 1995-06-15 이희종 유압엘리베티어용 제어밸브장치
JPH07206323A (ja) * 1994-01-25 1995-08-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194152A (ja) * 1996-01-12 1997-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202549A (ja) * 1996-01-26 1997-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3951A (ko) * 1993-11-29 1995-06-15 이희종 유압엘리베티어용 제어밸브장치
JPH07206323A (ja) * 1994-01-25 1995-08-08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油圧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9194152A (ja) * 1996-01-12 1997-07-29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JPH09202549A (ja) * 1996-01-26 1997-08-05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圧エレベータ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335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81774A (en) Drive control unit for hydraulic elevator
JP3727367B2 (ja) 油圧エレベーター用制御バルブ装置
JP3447994B2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US6505711B1 (en) Hydraulic elevator, comprising a pressure accumulator which acts as a counterweight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nd regulating an elevator of this type
KR100335984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안전운전방법
KR100335985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유압제어회로
KR100335983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캐비테이션 방지방법
KR100351285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단계적 부하보상방법
KR100351286B1 (ko) 인버터 제어방식 유압 엘리베이터의 부하보상 제어방법
JP3399251B2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KR100336357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착상시 진동 억제방법
KR100351284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운전속도 제어방법
KR960013087B1 (ko) 유압엘리베이터의 안전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356521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부하 검출방법
KR960011572B1 (ko) 유압 엘리베이터용 제어밸브장치
JPH11343077A (ja) 油圧式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3048304B2 (ja) 負荷昇降システム
KR100351283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유온 제어방법
JP3395534B2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KR100351282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유온 제어방법
JPS61169473A (ja) 油圧エレベ−タの安全制御装置
JP2581385B2 (ja) 油圧エレベータ装置
KR100335982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압력 보정방법
JPH05155551A (ja) 油圧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KR100336354B1 (ko) 유압 엘리베이터의 관로공기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