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705894A -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시키기에 적합한 CCD 이미저(Method Of o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 Google Patents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시키기에 적합한 CCD 이미저(Method Of o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705894A
KR970705894A KR1019970701409A KR19970701409A KR970705894A KR 970705894 A KR970705894 A KR 970705894A KR 1019970701409 A KR1019970701409 A KR 1019970701409A KR 19970701409 A KR19970701409 A KR 19970701409A KR 970705894 A KR970705894 A KR 970705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
matrix
segment
matrix segm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루이시우스 빌헬름머스 마리너스 코르트후트
헨드릭 헤이즌스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롤페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롤페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롤페즈
Publication of KR970705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5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60Noise processing, e.g. detecting, correcting, reducing or removing noise
    • H04N25/62Detection or reduction of noise due to excess charges produced by the exposure, e.g. smear, blooming, ghost image, crosstalk or leakage between pixels
    • H04N25/625Detection or reduction of noise due to excess charges produced by the exposure, e.g. smear, blooming, ghost image, crosstalk or leakage between pixels for the control of sme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5/00Circuitry of solid-state image sensors [SSIS]; Control thereof
    • H04N25/70SSIS architectures; Circuits associated therewith
    • H04N25/71Charge-coupled device [CCD] sensors; Charge-transfer registers specially adapted for CCD sensors
    • H04N25/713Transfer or readout registers; Split readout registers or multiple readout regi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풀 프레임(full frame) CCD 이미저들내에 메모리 매트릭스가 없으면, LC 화면상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충분히 빠른 프레임 속도로 이미지를 변환시키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있는 이미징 매트릭스의 한 세그먼트에 이미지가 투사된다. 그리고 적분 시간 후에는 판독 시간 동안 메모리로 사용되고 인접해 있으며 독립적으로 제어가능한 세그먼트에 저장된다. 이때 제1세그먼트 프레시(fresh) 이미지가 수신되며, 전하로 변환된다. 제1에서 제2세그먼트로 정보가 전달되는 동안에 빈 라인들이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라인들 사이에 형성된다. 노출된 제2세그먼트내에서 저장 시간동안 신호들에 추가된 스미어(smear)를 보상하기 위해 신호들로부터 삭제될 수 있는 전하 저장 시간 동안 빈 라인들내에서 보상 전하가 형성되어진다. 신호 라인들이 함께 결합되고, 기판을 통해 드레인 오프되도록 라인들의 총수가 제한될 수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2세그먼트의 전하 패턴이 제1세그먼트로 다시 전달되어진다. 상기 제1세그먼트는 메모리로 사용되며, 이때 이미지는 제2세그먼트에 의해 수신된다. 이와 같이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가지고 풀-프레임을 변환시키고 디스플레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시키기에 적합한 CCD 이미저(Method of op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4분면을 가진 CCD 이미저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동작 시간 동안에 여러 가지 순간들에서 매트릭스를 수신할 때 일어나는 여러 가지 전위 상태를 도시한 도면.

Claims (19)

  1. 행렬로 배열된 감광 소자들의 매트릭스로 구성된 반도체 부분과 최소한 한개의 채널끝이 매트릭스의 로우들에 평행하게, 그리고 매트릭스에 인접해 있는 부분에 연장되어 있는 판독 레지스터들에 합쳐져 있고, 컬럼 방향내의 매트릭스내에 연장되어 있는 CCD 채널들의 시스템을 가진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적분 시간 동안 이미지가 포획되고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라고 불리우는, 매트릭스의 상기 세그먼트들 중 한개에 의해 전하로 변환되는 것과, 적분 시간 후에, 전하가 판독 레지스터에 의해 로우 형식으로 판독되기 전에 전하 패킷형태로 전하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로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라고 불리우는 매트릭스의 다른 세그먼트로 상기 전하가 전달되는 것과 적분 시간 후에 포착된 스미어 전하를 보상하는 전하에 의해 상기 이전의 전하 패킷들의 각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제1과 제2세그먼트 매트릭스 사이의 천이 영역에서 상기 판독 레지스터에 대한 천이 영역으로 전하를 전달하는 동안에 적분된 전하만을 포함하는 최소한 한개의 추가된 전하 패킷들의 오루가 형성되며, 빈 로우는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의 전하가 더 이상 전달되지 않는 동안 이러한 추가 로우의 형성을 위해 전하를 한 로우 상에 걸쳐있는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매트릭스는 최소한 컬럼 방향에서 상기 CCD 채널들 내의 전하 패킷들을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극들의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 최소한 두개의 거의 동일한 세그먼트들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하 결합 장치는 내장된 채널 형태인 것과, 반도체 부분의 표면 또는 그와 가까운 곳에 위치해 있고, 제1전도성 형태로 된 하부 기판영역과 전달 채널들을 분리시키는 제2진도성 형태로 되어 있고 반대 방향에 있는 영역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면에서 경계를 이루고 있는 제1전도성 형태로된 조운(zones)들의 형태로된 전하 전달 채널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하는 동안에 추가된 로우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적분 시간 동안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발생된 전하 패킷들의 로우내에 있는 전하 드레인을 통해 드레인 오프되어지므로, 총 로우들의 수는 추가된 로우에 의해 증가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1매트릭스의 반쪽에서 형성된 전하 패킷들의 기판 영역을 통해 드레인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의 제1전극과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의 인접한 제2전극에 전압들은 인가시킴으로써, 전하 패킷들의 상기 로우들이 드레인 오프되며, 상기 제1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는 제1과 제2매트릭스 간의 경계가 존재하고, 상기 인가 전압들은 제2전극 밑에 형성된 전위 장벽들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제1전극 밑에 전위 웰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전하 패킷들의 한 로우는 상기 전위 웰들에 저장되며, 제1전극에 인가된 전압은 변하기 때문에 전위 방벽은 제1전극 밑에 생기게 되며, 이때 제1전극 밑에 저장된 전하가 기판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제2전극 밑에 잇는 전위 장벽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빈 로우가 제1과 제2미트릭스 세그먼트 사이의 천이 영역에서 형성될 때, 상기 적분 시간동안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형성된 전하 패킷들의 최소한 두개의 연속된 로우들이 함께 추가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선행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시 전자계 이미지가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수신되어 전하로 변환되는 동안에 전해 패킷들의 로우들이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되어진 후에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에 속하는 판독 레지스터에 의해 로우 형식으로 판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서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매트릭스는 양쪽 끝에 있는 판독 레지스터와 함께 사용되며, 전하 패킷들의 로우들은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된 후에, 추가된 로우들과 함께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되어지며, 관련된 판독 레지스터에 의해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로부터 형식으로 판독되고, 이대 전자계 이미지는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수신되어 전하 패턴으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하가 전달되는 동안에, 비데오 정보를 가지고 있는 로우들의 수는 감소되므로,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 저장된 전하 패킷들의 로우들의 총 수는 적분 시간 동안에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 형성되고, 비데오 정보를 갖고 있는 로우들의 총수보다 작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선행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분 시간 동안과 적분 시간 후에 전하가 저장되는 전극들에 서로 다른 전압들이 인가되므로 적분 시간 동안 보다 적분 시간 후에 더 많은 전하 패킷이 이러한 전극들 밑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행렬로 배열된 감광 소자들의 매트릭스로 구성된 반도체 부분과, 끝들중 최소한 한개가 매트릭스의 로우들에 평행하게, 그리고 매트릭스에 인접해 있는 부분에 연장되어 있는 판독 레지스터들에 합쳐져 있고, 컬럼 방향내의 매트릭스내에 연장되어 있는 CCD 채널들의 시스템을 가진 CCD 이미지에 있어서, 적분 시간 동안 전자계 이미지를 수신하고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라고 불리우는, 매트릭스의 상기 세그먼트들 중 한개에 의해 그것을 전하로 변환시키며, 적분 시간 후에, 전하가 판독 레지스터에 의해 로우 형식으로 판독되기 전에 전하 패킷형태로 전하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로서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라고 불리우는 매트릭스의 다른 세그먼트로 상기 전하를 전달하는 수단이 존재하는 것과, 적분 시간 후에 포착된 스미어 전하를 보상하는 방법에 의해 이러한 전하 패킷들의 각각으로부터 전하를 빼며, 제1과 제2세그먼트 매트릭스 사이의 천이 영역에서 상기 판독 레지스터에 대한 천이 영역으로 전하를 전달하는 동안에 적분된 전하만을 포함하는 최소한 한개의 추가된 전하 패킷들의 로우를 형성하고,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의 전하가 더 이상 전달되지 않는 동안 이러한 추가 로우의 형성을 위해 전하를 한 로우 상에 걸쳐있는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빈 로우를 형성하는 수단들이 존재하며, 상기 매트릭스는 최소한 컬럼 방향에서 상기 CCD 채널들 내의 전하 패킷들을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제어 가능한 전극들의 시스템이 제공되어 있는 최소한 두개의 거의 동일한 세그먼트들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전하 결합 장치는 내장된 채널 형태인 것과, 반도체부분의 표면 도는 그 옆에 위치해 있고, 제1전도성 형태로 된 밑에 있는 기판 영역과 전하 전달 채널드를 분리하고 반대 방향에 있으며, 제2진도성 형태로 된 영역에 의해서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면에서 경계를 이루는 제1전도성 형태의 조운(Zones)들의 형태로 된 전하 전달 채널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하가 전달되는 중 추가 로우가 형성되는 과정 동안에,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적분시간에 발생된 전하 패킷들의 로우 내에 있는 전하 패킷들을 전하 드레인을 통해 드레인 오프시키는 수단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하 드레인은 제1전도성 형태의 기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15. 제14항에 있어서, 전하 패킷들의 상기 로우들을 드레인 오프시키기 위해서,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의 제1전극과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의 인접한 제2전극에 전압들을 인가시키고, 제1전극 밑에 저장된 전하가 상기 기판 영역으로 흐르도록 하기 위해 제2전극 밑에 있는 전위 장벽이 유지되는 동안에, 전위 장벽이 제1전극 밑에 형성되도록 제1전극에 인가된 전압을 바꾸는 수단들이 존재하는 것과, 제1과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간의 경계는 상기 제1과 상기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해 있으며, 상기 전압들은 제2전극 밑에 형성된 전위 장벽들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제1전극 밑에 전위 웰들이 형성되도록 하며, 전하 패킷들의 한 로우는 상기 전위 웰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16.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제1과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 사이의 경계에서 추가 로우를 형성하는 동안에, 상기 적분 시간 동안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형성된 전하 패킷들의 최소한 두개의 연속된 로우들을 함께 결합시키는 수단들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17. 제11항에 있어서,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시 전자계 이미지가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수신되어 전하로 변환되는 동안에, 상기 패킷들이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이 된 후에,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와 관련된 판독 레지스터를 통해 전하 패킷들의 로우들을 하나 하나씩 판독하는 수단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18. 제11항에서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자계 이미지가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내에서 수신되어 전하 패턴으로 변환되는 동안에, 전하 패킷들이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에서 제2매트릭스 세그먼트 전달된 후에 추가된 로우들과 함께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로 전달하고, 관련된 판독 레지스터를 통해 제1매트릭스 세그먼트로부터 그 전하 패킷들의 로우들을 로우 형식으로 판독하는 수단들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매트릭스의 양쪽 끝에는 판독 레지스터가 제공되는 CCD 이미저.
  19. 제11항에 있어서,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분 시간보다 적분 시간 후에 이러한 전극들 밑에 더 많은 전하 패킷이 저장될 수 있도록 적분 시간 동안과 적분시간 후에 전하가 저장되는 전극들에 다른 전압들이 인가시키는 수단들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이미저.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701409A 1995-06-23 1996-05-28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시키기에 적합한 CCD 이미저(Method Of o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KR9707058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5201715.0 1995-06-23
EP95201715 1995-06-23
PCT/IB1996/000513 WO1997001238A2 (en) 1995-06-23 1996-05-28 Method of o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5894A true KR970705894A (ko) 1997-10-09

Family

ID=822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1409A KR970705894A (ko) 1995-06-23 1996-05-28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시키기에 적합한 CCD 이미저(Method Of o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96172A (ko)
EP (1) EP0776571A1 (ko)
JP (1) JPH10505724A (ko)
KR (1) KR970705894A (ko)
WO (1) WO19970012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7349A1 (en) * 1996-03-06 2002-05-16 Masanori Yamaguchi Image pickup apparatus and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DE69732099T2 (de) * 1996-10-03 2005-12-08 Dalsa Corp., Waterloo Ladungsgekoppelte bildaufnahmeanordnung und verfahren zur betätigung einer derartigen anordnung
US6337713B1 (en) * 1997-04-04 2002-01-08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Processor for image-pixel signals derived from divided sections of image-sensing area of solid-type image sensor
WO2000019710A1 (en) * 1998-09-25 2000-04-06 Unisearch Limited Ccd readout method
JP2000184282A (ja) * 1998-12-15 2000-06-30 Canon Inc 撮像装置、撮像装置の駆動方法、画像処理方法、情報記録媒体、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6791615B1 (en) * 1999-03-01 2004-09-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DE19909076C1 (de) * 1999-03-02 2000-07-20 Reimar Lenz Verfahren zur Gewinnung eines elektronischen Sucherbildes für eine digitale Stehbildkamera
US7015966B1 (en) 1999-03-15 2006-03-21 Canon Kabushiki Kaisha Reducing discontinuities in segmented imaging sensors
US6693670B1 (en) * 1999-07-29 2004-02-17 Vision - Sciences, Inc. Multi-photodetector unit cell
US6731338B1 (en) * 2000-01-10 2004-05-04 Canon Kabushiki Kaisha Reducing discontinuities in segmented SSAs
US7102679B1 (en) * 2000-04-25 2006-09-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hotosensor array using multiple exposures to reduce thermal noise
JP2004507910A (ja) * 2000-07-05 2004-03-11 ビジョン−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ダイナミック・レンジ圧縮方法
EP2290952A3 (en) * 2000-07-27 2011-08-1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US6952228B2 (en) * 2000-10-13 2005-10-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ickup apparatus
JP2004530286A (ja) * 2000-11-27 2004-09-30 ビジョン−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メージ・センサ内での雑音レベルの軽減
JP4655383B2 (ja) * 2001-02-23 2011-03-23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の画像信号処理装置
US7184084B2 (en) * 2001-02-26 2007-02-27 Florida Atlantic University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sensing with CCD
CN1301491C (zh) * 2001-03-13 2007-02-21 伊强德斯股份有限公司 视觉装置、联动式计数器及图象检测器
US6798450B2 (en) * 2001-06-08 2004-09-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mear in digital images captured using frame-transfer CCD sensor
JP3560240B2 (ja) * 2002-01-18 2004-09-02 ソニー株式会社 Ccd撮像素子
JP3879987B2 (ja) 2002-04-10 2007-02-14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撮像装置
DE10239523A1 (de) * 2002-08-23 2004-03-04 Z/I Imaging Gmbh Kamera, Kameraanordnung sowie Verfahren zum Betrieb von Kamera und Kameraanordnung
US7157720B2 (en) * 2003-08-01 2007-01-02 Ropintassco Holdings, L.P. Multi-mode charged particle beam device
JP4773234B2 (ja) * 2006-03-14 2011-09-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08035004A (ja) * 2006-07-27 2008-02-14 Sanyo Electric Co Ltd 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JP2010098516A (ja) * 2008-10-16 2010-04-30 Sony Corp 撮像素子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カメラ
DE102008052916A1 (de) * 2008-10-23 2010-04-29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Bildsensor
DE102010051438B4 (de) 2010-11-15 2024-03-14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Bildsensor
US8773563B2 (en) * 2011-05-25 2014-07-08 Truesense Imaging, Inc. Multi-purpose architecture for CCD image sensors
DE102011120099B4 (de) 2011-12-02 2024-05-29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Bildsensor und Verfahren zum Auslesen eines Bildsenso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8650A1 (fr) * 1982-12-28 1984-06-29 Thomson Csf Procede d'analyse d'un dispositif photosensible a transfert de ligne
US4731656A (en) * 1986-06-30 1988-03-15 Rca Corporation Solid state imager with transfer smear suppression for moving and stationary images
NL8603008A (nl) * 1986-11-27 1988-06-16 Philips Nv Ccd-beeldopneeminrich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05724A (ja) 1998-06-02
WO1997001238A3 (en) 1997-02-20
US5896172A (en) 1999-04-20
WO1997001238A2 (en) 1997-01-09
EP0776571A1 (en) 1997-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5894A (ko) CCD 이미저를 동작시키는 방법과 이러한 방법을 수행시키기에 적합한 CCD 이미저(Method Of operating a CCD imager, and CCD imager suitable for the imple-mentation of such a method)
US6040859A (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ischarging dark current charge stored therein
US3931465A (en) Blooming control for charge coupled imager
US4598321A (en) CCD imagers with registers partitioned for simultaneous charge transfers in opposing directions
JPH11355663A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JPH02113678A (ja) 固体撮像装置
US6687026B1 (en) Optical scanning apparatus with switchable resolution
JPH05505920A (ja) イメージセンサ
KR950010204B1 (ko) 고체촬상장치
US5510836A (en) Solid state imaging device having an adjustable width/height ratio
KR900019481A (ko) 고체 촬상 소자의 스미어 제거회로
KR100278947B1 (ko) 전하 결합 영상 소자 및 이 전하 결합 영상 소자를 구비하는 카메라
US579643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olid state imaging device
KR100365251B1 (ko) 고체촬상소자의구동방법
CA1214551A (en) High resolution quadrilinear ccd imager
US4603343A (en) Solid state image sensor applied with differing read-out gate voltages
US5237191A (en) Solid-state charge-coupled-device imager
EP0668691A1 (en) Charge coupled imaging device and camera provided with such an imaging device
US4837629A (en) Image pickup method using a CCD-type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with charge dissipation
JP3397151B2 (ja) 固体撮像素子の駆動方法
KR100307929B1 (ko) 액세스와 리셋 겸용의 단일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는 씨모스능동 이미지 센서
JP3577806B2 (ja)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3185939B2 (ja) 固体撮像装置
EP0915519B1 (en) CCD type solid state imaging device
JPH0513746A (ja) 固体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