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1958A -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위한 비대칭 글리콜 및 방향족 이가산 기재의 저 프로필 첨가제 - Google Patents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위한 비대칭 글리콜 및 방향족 이가산 기재의 저 프로필 첨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1958A
KR970061958A KR1019970003205A KR19970003205A KR970061958A KR 970061958 A KR970061958 A KR 970061958A KR 1019970003205 A KR1019970003205 A KR 1019970003205A KR 19970003205 A KR19970003205 A KR 19970003205A KR 970061958 A KR970061958 A KR 970061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itive
acid
glycol
ethylene glycol
aliph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1802B1 (ko
Inventor
데니스 허버트 피셔
Original Assignee
버논 에프, 벤
앳슈랜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595,538 external-priority patent/US5756554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590,033 external-priority patent/US5552478A/en
Application filed by 버논 에프, 벤, 앳슈랜드 인크. filed Critical 버논 에프, 벤
Publication of KR97006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6Unsaturated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0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2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or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16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08G63/18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the acids or hydroxy compounds containing carbocyclic rings
    • C08G63/181Acids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66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 C08G63/668Polyesters containing oxygen in the form of ether groups derived from polycarboxylic acids and polyhydroxy compounds
    • C08G63/672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2Poly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품, 특히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기 위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와 불포화 모노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포화 폴리에스테르 저 프로필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첨가제는 방향족 화합물, 예를 들면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산을 포함하여 테레프탈산에서 유도딘 주성분을 갖는다. 비대칭 글리콜은 중요한 성분으로서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산과 반응하는 올리고머 그릴콜을 제조하기 위해 재생 PET를 분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포화 폴리에스테르 저 프로필 첨가제를 사용하여 바람직한 저 프로필 특성 및 매우 우수한 표면 품질 및 매우 만족스러운 재생 함량을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위한 비대칭 글리콜 및 방향족 이가산 기재의 저 프로필 첨가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Claims (38)

  1. a)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지방족 이가산 디에스테르 또는 무수물과 b)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을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에 첨가하고 150 내지 250℃로 가열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트랜스 에스테르화시켜 제조된, 재생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올리고머 글리콜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수평균 분자량(Mn) 이 3,000 내지 10,000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모노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표면 품질 개선 첨가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가산이 아디프산인 첨가제.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Mn이6,000 내지 16,000인 결합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첨가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이 비대칭 글리콜인 첨가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글리콜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인 첨가제.
  6.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 글리콜이 디에틸렌 글리콜인 첨가제.
  7. 재생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를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 및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지방족 이가산, 디에스테르 또는 무수물의 제1분획과 함께 가열하는단계, 상기 중합체를 용해시키는 단계, 물을 제거하기 위해 가열하여 균질 올리고머를 형성시키는 단계,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지방족산의 제2분획을 첨가하는 단계, 230℃까지 가열하여 3,000 내지 10,000의 수평균 분자량 (Mn)을 달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평균 분자량이 3,000 내지 10,000인 포화 폴리에스테르 표면 품질 개선 첨가제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다관능성 에폭시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첨가하여 결합시켜 Mn이 6,000 내지 16,000인 결합 폴리에스테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이 디에틸렌 글리콜인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이 비대칭 글리콜인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인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산이 아디프산인 방법.
  13. a) 대부분이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또는 에스테르 및 오르토프탈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방향족 화합물이고 일부분이 지방족 이가산, 디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화합물인 포화 이관능성 화합물의 혼합물과 b) 대칭 글리콜 및 비대칭 글리콜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수평균 분자량 (Mn)이 3,000 냐지 10,000이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를 사용한 트랜스에스테르화에 내성을 갖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불포화 모노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포화 폴리에스테르 표면 품질 개선 첨가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글리콜이 2-메틸 -1,3프로판디올인 첨가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 화합물이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세바신산, 아젤라산 및 시클로헥산디오산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첨가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주로 말단 산기를 갖고, 추가로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과반응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6,000인 결합 폴리에스테를 형성하는 첨가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에테르인 첨가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주로 말단 히드록실기를 갖고, 추가로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6,000인 결합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첨가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디이소시아나토디페닐메탄인 첨가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칭 글리콜이 디에틸렌 글리콜이고 상기 방향족 화합물이 이소프탈산이 첨가제.
  21. 제13항에 있어서, 아디프산 및 테레프탈산의 혼합물과 에틸렌 글리콜 및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첨가제.
  22. 대부분이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 또는 에스테르 및 오르토프탈산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방향족 화합물이고 일부분이 지방족 이가산, 디에스테르 또는 무수물 중에서 선택되는 지방족 화합물인 포화 이관능성 화합물의 혼합물과 대칭 글리콜 및 비대칭 글리콜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수평균 분자량(Mn)이 3,000 내지 10,000이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트랜스에스테르화에 내성을 갖는, 포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표면 품질 개선 첨가제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불포화 모노머와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앳슈랜드(Ashland) 지수가 100 미만인 등급 A의 표면 연성도를 갖는 성형물.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가 아디프산 및 테레프탈산의 혼합물과 에틸렌글리콜 및 2-메틸-1,3-프로판디올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는 것인 성형품.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가산 혼합물이 80몰% 이상의 방향족 이가산 및 20몰% 미만의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지방족 이가산을 포함하는 성형품.
  25. 테레프탈산 및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지방족산 에스테르 또는 무수물로부터 선택되는 포화 이관능성 화합물의 혼합물과 에틸레 글리콜 및 에틸렌 글리콜 외의 다른 글리콜 중에서 선택되는 글리콜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불포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트랜스에스테르화에 내성을 갖고 수평균 분자량(Mn)이 3,000 내지 10,000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불포화 모노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열가소성 포화 폴리에스테르 표면 개선 첨가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이 비대칭 글리콜인 첨가제.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이 디에틸렌 글리콜인 첨가제.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글리콜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인 첨가제.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족산이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세바신산, 아겔라산, 옥살산, 말론산, 숙식산및 시클로헥산디오산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인 첨가제.
  30. 제25항에 있어서, 40내지 70몰%의 테페프탈산과 30 내지 60몰%의 지방족의 혼합물과 40 내지 70몰%의 에틸렌 글리콜과 30 내지 60몰%의 에틸렌 글리콜 외의 다른 글리콜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 포함하는 첨가제.
  31. 제25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관능성 에폭시 화합물 또는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수평균 분자량이 6,000 내지 16,000인 결합 폴리에스테를 형성하는 첨가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이 비스페놀 A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이고, 상기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가 틀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4,4'-디이소시아나토 디페닐메탄인 첨가제.
  33. a) 탄소 원자수 12 미만의 지방족 이가산 디에스테르 또는 무수물과 b)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을 재생 폴리에틸 렌테레프탈레이트 중합체에 첨가하고 -150 내지 250℃까지 가열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트랜스 에스테르화시켜 제조된 50중량% 이상인 재생 함량을 갖는 올리고머 글리콜과의 반응 생성물을 포함하고 수평균 분자량(Mn)이 3,000 내지 10,000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및 모노머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포화 폴리에스테르 표면 품질 개선 첨가제.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이가산이 아디프산인 첨가제.
  35. 제34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관능성 에콕시 화합물 또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첨가하여 반응시켜 Mn이 6,000 내지 16,000인 결합 폴리에스테르를 형성하는 첨가제.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이 비대칭 글리콜인 첨가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비대칭 글리콜이 2-메틸-1,3-프로판디올인 첨가제.
  38. 제33항에 있어서, 에틸렌 글리콜 외의 글리콜이 디에틸렌 글리콜인 첨가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3205A 1996-02-02 1997-02-01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위한 비대칭 글리콜 및 방향족 이가산 기재의 저 프로필 첨가제 KR100201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95,538 1996-02-02
US8/590,033 1996-02-02
US08/595,538 1996-02-02
US08/595,538 US5756554A (en) 1996-02-02 1996-02-02 Low profile additives for polyester resin systems based on asymmetric glycols and aromatic diacids
US08/590,033 US5552478A (en) 1996-02-02 1996-02-02 Low profile additives for polyester resin systems based on asymmetric glycols and aromatic diacids
US08/590,033 199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958A true KR970061958A (ko) 1997-09-12
KR100201802B1 KR100201802B1 (ko) 1999-06-15

Family

ID=2708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205A KR100201802B1 (ko) 1996-02-02 1997-02-01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위한 비대칭 글리콜 및 방향족 이가산 기재의 저 프로필 첨가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0201802B1 (ko)
CN (2) CN1194039C (ko)
BR (1) BR9700844A (ko)
HK (1) HK1003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06311B (zh) * 2011-04-22 2013-01-30 常州华科树脂有限公司 模压片状或团状模塑料低收缩剂用饱和聚酯及其制备方法
JP5549779B2 (ja) * 2012-01-30 2014-07-16 東レ株式会社 常圧分散可染性ポリエステル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繊維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CN108264633B (zh) * 2018-01-26 2020-06-26 山东宏信化工股份有限公司 高稳定性石英石树脂及其制备方法
KR102545381B1 (ko) * 2021-07-02 2023-06-20 주식회사 에코폴리머 재활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플레이크를 이용한 친환경 내식성 인발성형용 비닐에스테르수지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6544A (en) * 1992-07-14 1994-03-22 Cook Composites And Polymers Polyester-polyurethane hybrid resin systems containing low levels of unsaturation having improved low profiling behavior
US5470935A (en) * 1992-12-15 1995-11-28 Bayer Corporation Preparation of cast elastomers using 2-methyl-1,3-propanediol as chain exte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9457A (zh) 1997-09-17
CN1346846A (zh) 2002-05-01
CN1194039C (zh) 2005-03-23
HK1003056A1 (en) 1998-10-09
BR9700844A (pt) 1998-09-01
CN1075825C (zh) 2001-12-05
KR100201802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9851A (en) Molding composition
JPS58189227A (ja) 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ト重縮合用触媒
Mandal et al. PET chemistry
US5407752A (en) Polyester resin
GB1568756A (en) Preparation of branched poly (alkylene terephthalates)
JPS60235858A (ja) 難燃性熱可塑性多ブロックコ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組成物
US4131595A (en) Thermoplastic moulding compositions
KR950011545A (ko) 변형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사용한 섬유-보강 열가소성 성형 조성물
CA2366515A1 (en) Process for esterifying 1,3-propanediol
US4562232A (en) Copolyetherester-dimer ester-block copolymers
KR950700360A (ko) 고분자량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함유 폴리(1,4-사이클로헥실렌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강화 성형 조성물(reinforced molding composition based on poly(1,4-cyclohexylene dimethylene terephthalate) containing a high molecular weight aliphatic polyester)
JPS5863718A (ja) 高溶融強度弾性コポリエステル
US4054561A (en) Thermoplastic additives for molding compounds
GB1026993A (en) Polyester compositions for bonding glass fibre mats
KR970061958A (ko) 폴리에스테르 수지계를 위한 비대칭 글리콜 및 방향족 이가산 기재의 저 프로필 첨가제
US4309518A (en)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high-molecular weight linear polyester
US5877262A (en) Polyester resin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JP5581651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
KR102032410B1 (ko) 다이머산 또는 이의 알킬 에스테르와 에폭시화 식물유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US4096102A (en) Moldable compositions comprising thermosetting polyester resin and thermoplastic resin
GB1569229A (en) Block copolyesters of polybutylene terephthalate
JP4907779B2 (ja) 押出成形品
JPS62292833A (ja) ポリエステル・ポリカ−ボネ−ト系エラストマ−
US4581420A (en) Copolyetherester-hexahydrophthalate ester-block copolymers
KR101496633B1 (ko) 내약품성 및 내수축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