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1653A -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1653A
KR970061653A KR1019970004204A KR19970004204A KR970061653A KR 970061653 A KR970061653 A KR 970061653A KR 1019970004204 A KR1019970004204 A KR 1019970004204A KR 19970004204 A KR19970004204 A KR 19970004204A KR 970061653 A KR970061653 A KR 970061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member
restraint device
gas bag
bag module
vehicle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셔 안톤
Original Assignee
라르스 브로르젠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르스 브로르젠, 테에르베 오커판트 레스트레인트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르스 브로르젠
Publication of KR970061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5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백 모듈(3), 차량 구성 요소, 및 차량 구성 요소상에 가스백 모듈(3)을 부착하기 위한 캐치 고정구(1)를 구비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를 개시한다. 캐치 고정구(1)는 가스백 모듈(3)을 차량 구성 요소상에 구속시키기 위해 그와 상응하게 형성된 카운터 부재와 결속되는 로크부재(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제1실시예로서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3개의 캐치 고정구에 의해 조향 휠 허브상에 장착된 구속 장치 및 가스백 모듈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의 구속 장치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에서와 같은 3개의 캐치 고정구를 사용하여 조향 휠 허브에 고정된 가스백 모듈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가스백이 차량의 구성 요소에 아직 장착되지 않은 본 발명의 구속 장치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Claims (17)

  1. 차량 구성 요소, 가스백 모듈(3), 및 가스백 모듈(3)을 상기 차량 구성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캐치 고정구(1)를 구비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로서, 캐치 고정구(1)는 로크 부재(5;25;65)와 이에 상응하게 형성된 카운터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양 부재중 하나는 상기 차량 구성 요소의 일부이고 다른 하나의 부재는 가스백 모듈(3)의 일부이며, 로크 부재(5;25;65)는 상기 구속 장치의 조립 상태에서 상기 카운터 부재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구성 요소는 가스백 모듈(3)이 부착된 허브(17)를 구비한 조향 휠(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구속 장치가 조립되도록 상기 차량 구성 요소쪽으로 가스백 모듈(3)을 가압할 때 상기 카운터 부재와 결속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는 상기 가스백 모듈(3)을 부착 위치로 회전시킬 때 상기 카운터 부재와 결속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5;25;65)는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활주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부재(5;25;65)를 로킹 위치로 가압하기에 적합한 탄성 수단을 추가로 구비하며, 캐치 고정구(1)는 스냅식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캐치 고정구(1)는, 제1장착 상태에서 로크 부재(5;25;65)를 해제 위치로 일시적으로 변위시키고 후속의 제2장착 상태에서 로크 부재(5;25;65)가 상기 카운터 부재와 결속되도록 하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램프 부재(21;41;8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캐치 고정구(1)는 제1삽입식 러그부(7;77)가 가스백 모듈(3)에 부착되고 제2삽입식 러그부(9;79)가 상기 카운터 부재를 형성하는 상기 차량 구성 요소상에 부착된 삽입 가능한 러그 죠인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식 러그부(7;77)에는 개구부(11;91)가 형성되며, 로크 부재(5;25;65)는 상기 개구부(11;91)내에 결속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제2삽입식 러그부(9)는 제1삽입식 러그부(7)에 있는 개구부(11)에 맞춰 정렬되는 개구부(12)를 구비하며, 로크 부재(5)는 양 개구부(11,12)를 통과하여 연장되기에 적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5)는 U형상으로 만곡된 스프링강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5)는 림(13) 및 코너부(15)를 구비하며, 상기 차량 구성 요소는 2개의 유지용 죠오(51) 및 볼트(53)를 구비하며, 로크 부재(5)가 상기 차량 구성 요소에 고정되도록 상기 림(13)은 유지용 죠오(51) 사이에 구속되고 상기 코너부(15)는 볼트(53)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5)는 림(13) 및 코너부(15)를 구비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3)은 2개의 유지용 죠오 및 볼트를 구비하며, 로크 부재(5)가 가스백 모듈(3)에 고정되도록 상기 림(3)은 상기 유지용 죠오 사이에 구속되고 상기 코너부(15)는 상기 볼트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5;25)는 탄성 스프링 부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제2삽입식 러그부(79)는 안내부(61)를 구비하며, 로크 부재(65)는 스프링 하중을 받고, 제1삽입식 러그부(77)의 도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안내부(61)에서 활주식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25)와 상기 카운터 부재중 하나는 후크이고 다른 하나는 아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로크 부재(25)는 스프링강으로 된 부품이며, 가스백 모듈(3)은 구속 작용을 위한 원통형 돌출부(45)를 구비하며, 로크 부재(25)는 원통형 돌출부(45)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속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70004204A 1996-02-14 1997-02-13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KR970061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9602630U DE29602630U1 (de) 1996-02-14 1996-02-14 Ein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Gassackmoduls
DE29602630.1 1996-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53A true KR970061653A (ko) 1997-09-12

Family

ID=8019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204A KR970061653A (ko) 1996-02-14 1997-02-13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90153B1 (ko)
JP (1) JPH09226501A (ko)
KR (1) KR970061653A (ko)
CZ (1) CZ44797A3 (ko)
DE (2) DE29602630U1 (ko)
ES (1) ES210799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397B1 (ko) * 2006-03-23 2007-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과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0201A (en) * 1996-02-21 1997-04-15 Morton International, Inc. Removable, snap-in mounting system for airbag module
DE29802472U1 (de) 1998-02-13 1998-04-23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Lenkrad mit eingestecktem Airbagmodul
DE19927032A1 (de) 1999-06-04 2000-12-14 Petri Ag Anordnung zur Verrastung eines Airbagmoduls mit einem Lenkrad
ES1045447Y (es) * 1999-11-23 2001-03-01 Dalphi Metal Espana Sa Disposicion de fijacion rapida entre el modulo airbag y el volante.
ES1045448Y (es) * 1999-11-23 2001-03-01 Dalphi Metal Espana Sa Disposicion de fijacion rapida perfeccionada del modulo airbag con el volante.
US6276711B1 (en) * 2000-03-27 2001-08-2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Quick disconnect feature for snap-in driver air bag module
FR2812606B1 (fr) * 2000-08-02 2002-10-31 Autoliv Isodelta Element de volant de direction de vehicule avec systeme d'encliquetage, et volant le comportant
US6783150B2 (en) * 2002-09-30 2004-08-3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nap together mounting of an air bag module and a vehicle steering wheel
DE102006041734B4 (de) 2006-09-01 2010-07-2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Airbageinheit in einer Baugruppe eines Kraftfahrzeugs, insbesondere in einem Lenkrad, durch Verrasten
JP5353212B2 (ja) 2008-12-02 2013-11-27 タカタ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5497485B2 (ja) * 2010-03-04 2014-05-21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5432011B2 (ja) * 2010-03-12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取付部構造
JP5432032B2 (ja) * 2010-03-30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FR3098166A1 (fr) 2019-07-04 2021-01-08 Autoliv Development Ab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sur un volant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7069A (en) * 1990-12-20 1992-02-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Restraint system mounting
JP3114396B2 (ja) * 1992-10-30 2000-12-0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インフレ−タ取付構造
US5333897A (en) * 1993-10-25 1994-08-02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 lock pin inflatable restraint module mounting mechanism
US5454586A (en) * 1993-12-06 1995-10-03 Alliedsignal Inc. Driver side air bag module with extruded housing
US5409256A (en) * 1994-01-04 1995-04-25 General Motors Corporation Driver-side air bag module assembly
DE4433259C1 (de) * 1994-09-19 1995-09-21 Daimler Benz Ag Gassackeinhe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397B1 (ko) * 2006-03-23 2007-08-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 에어백과 스티어링 휠의 마운팅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44797A3 (en) 1997-09-17
EP0790153A1 (de) 1997-08-20
ES2107993T3 (es) 2000-01-16
JPH09226501A (ja) 1997-09-02
DE29602630U1 (de) 1996-06-13
ES2107993T1 (es) 1997-12-16
DE59700405D1 (de) 1999-10-14
EP0790153B1 (de) 1999-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1653A (ko) 차량 탑승자 구속 장치
EP0754603B1 (en) Air bag inflator module for snap-on attachment to a steering wheel
JPH0420164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エアバッグ取付構造
KR930021461A (ko) 스티어링 휠내에 브로우잉(blowing) 가능한 에어백이 설치된 차량용 안전부재를 갖는 스티어링 칼럼
US4878366A (en) Locking device for a vehicle wheel and tire
JPH06299743A (ja) シャクルロック用ホルダ
KR970018851A (ko) 전기 접속기
US5222381A (en) Tethered holder for vehicle security device
JP2010513140A (ja) 車両にキャリアを締結する装置
KR100306923B1 (ko) 안전벨트장치및그장치를조립하는방법
JPS5919706B2 (ja) 塑性変形可能な装置を備えた自動車用安全ベルトシステム
US5906389A (en) Gas bag modul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9388607B2 (en) Police car restraint system
JPH01160757A (ja) エアーバッグカバーとリテーナとの連結構造
US20030178825A1 (en) Assembly unit comprising detent elements
KR20020031579A (ko) 에어백 모듈 고정장치
KR970039836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 흡수장치
KR0121844Y1 (ko) 번호판을 이용한 차량의 뺑소니 방지장치
KR970039891A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JP2004217130A (ja) 牽引用フック
KR970039897A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0120008Y1 (ko) 절첩식 시트 백의 잠금장치
KR970039863A (ko) 자동차 안전벨트의 충격흡수장치
KR970039889A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KR970039884A (ko) 차량의 시트벨트 충격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