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8676A -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전류원 - Google Patents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전류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8676A
KR970018676A KR1019960032844A KR19960032844A KR970018676A KR 970018676 A KR970018676 A KR 970018676A KR 1019960032844 A KR1019960032844 A KR 1019960032844A KR 19960032844 A KR19960032844 A KR 19960032844A KR 970018676 A KR970018676 A KR 9700186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source
integrated
output
differential amplifie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9335B1 (ko
Inventor
데이비드 케이 죤슨
대니엘 에드워드 스쿡룬드
마이클 앤쏘니 소나
Original Assignee
제프리 엘. 포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프리 엘. 포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프리 엘. 포멘
Publication of KR97001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9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9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Bipolar junction transisto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 G05F3/24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field-effect type only with compensation for device parameters, e.g. channel width modulation, threshold voltage, processing, or external variations, e.g. temperature, loading, supply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mplifiers (AREA)
  • Logic Circuits (AREA)

Abstract

유리하게는 FET의 선형 영역에서 작동하고 부하와 관련되지 않은 자신의 출력 노드에서 임의의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는 전류원 회로가 제공되었다. 본 회로는 FET의 양단에서 전압 강하의 효과를 끼치는 어떤소자도 도입하지 않고서도 출력전류가 동적으로 측정되는 원리로 작동한다. 전류원은 패드백 제어를 받는 패스 디바이스를 포함하여, 일정 전류가 출력 터미널에 배치된 부하에 관계없이 획득되도록 한다. 패스 디바이스의 작동은 제1 패스 디바이스의 것의 일부분이 되는 물리적 규모를 갖는 제2 패스 디바이스에 의해 미러된다. 제1 및 제2패스 디바이스의 개별 출력에 의해 구동되는 높은 입력 임피던스를 갖는 차동 증폭기는 미러 패스 디바이스가 제1 패스 디바이스와 동일 전압을 갖도록 강제한다.

Description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전류원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FET 전류원의 개략도

Claims (20)

  1. 출력 전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액티브 패스 수단, 상기 출력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 상기 측정 수단과 일체이고 상기 측정 수단에 반응하여 상기 출력 전류를 미러(mirror)하는 제2 액티브 패스 수단 및 상기 측정 수단에 응답하여 상기 출력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출력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집적형 전류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패스 수단을 FET 디바이스인 집적형 전류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액티브 패스 디바이스는 바이폴라 디바이스인 집적형 전류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및 상기 제어 수단은 차동 증폭기인 집적형 전류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에 결합된 기준 전류원을 더 포함하는 집적형 전류원
  6. 일정 전류를 공급하고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선형 영역에서 작동하는 집적형 전류원에 있어서, 제1 고정전위 노드에 결합되고, 그 각각이 입력 및 개별적으로 제1 차동 증폭기를 구동하는 출력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 상기 제2 패스 디바이스의 출력에 결합된 출력을 갖는 상기 제1 차동 증폭기, 고정 기준 전류원에 결합된 제1 입력, 상기 제2 패스 디바이스의 출력 및 제2 고정전위 노드에 결합된 제2 입력, 및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의 입력에 접속된 출력을 갖는 제2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스 디바이스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를 출력시키는 집적형 전류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2 패스 디바이스가 출력한 전류와 상기 고정 기준 전류원이 공급한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디바이스들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학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를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공급하는 집적형 전류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1 입력, 상기 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제2 입력을 구비한 버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버퍼는 상기 제2 패스 디바이스 및 상기 제1 차동 증폭기를 구동하는 집적형 전류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제2 입력은 저항을 통해 상기 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집적형 전류원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원은 저항을 통해 상기 고정 전위 노드에 접속된 집적형 전류원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증폭기는 고이득 증폭기인 집적형 전류원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는 FET 디바이스인 집적형 전류원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는 바이폴라 디바이스인 집적형 전류원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스 디바이스의 출력은 부하에 접속된 집적형 전류원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전류원은 일정 전류가 상기 제1 패스 디바이스의 출력에서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집적형 전류원
  16. 트랜지스터 디바이스의 액티브 영역에서 작동하고 일정 전류를 제공하는 집적되고 로우 Vsd를 갖는 전류원에 있어서, 각각의 제1 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제1 입력, 및 제1 차동 증폭기의 입력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출력을 구비한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 상기 제1 차동 증폭기의 출력에 접속된 제1 입력, 제2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제2 입력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차동 증폭기를 구동하기 위한 버퍼, 고정 기준 전류원에 결합된 제1 입력, 상기 제2 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제2 입력 미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의 제2 입력에 접속된 출력에 구비한 제2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스 디바이스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를 출력하는 집적되고 낮은 Vsd를 갖는 전류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동 증폭기는 상기 제2 패스 디바이스가 출력한 전류와 상기 고정 기준 전류원이 공급한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출력된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패스 디바이스를 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되고 낮은 Vsd를 갖는 전류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준 전류원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집적되고 낮은 Vsd를 갖는 전류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의 제2 입력은 저항을 통해 상기 고정 전위 노드에 결합된 집적되고 낮은 Vsd를 갖는 전류원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준 전류원은 저항을 통해 상기 제2 고정 전위 노드에 접속된 집적되고 낮은 Vsd를 갖는 전류원
KR1019960032844A 1995-09-28 1996-08-07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전류원 KR100249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34,990 1995-09-27
US8/534,900 1995-09-28
US08/534,900 US5661395A (en) 1995-09-28 1995-09-28 Active, low Vsd, field effect transistor current sour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8676A true KR970018676A (ko) 1997-04-30
KR100249335B1 KR100249335B1 (ko) 2000-03-15

Family

ID=24131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844A KR100249335B1 (ko) 1995-09-28 1996-08-07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전류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661395A (ko)
KR (1) KR100249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80844B1 (en) * 1996-09-26 2004-11-1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urrent distribution circuit having an additional parallel dc-current sinking branch
US7013354B1 (en) 1998-10-05 2006-03-14 Canon Kabushiki Kaisha Channel protocol for IEEE 1394 data transmission
US6438604B1 (en) 1998-10-05 2002-08-20 Canon Kabushiki Kaisha Digital video network interface
US6566851B1 (en) 2000-08-10 2003-05-20 Applied Micro Circuits, Corporation Output conductance correction circuit for high compliance short-channel MOS switched current mirror
US6937054B2 (en) * 2003-05-30 2005-08-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grammable peaking receiver and method
JP3852447B2 (ja) * 2003-06-03 2006-11-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出力回路及びそれを内蔵する半導体集積回路
FR2856207A1 (fr) * 2003-06-12 2004-12-17 St Microelectronics Sa Commutateur en technologie bipolaire
US7106042B1 (en) * 2003-12-05 2006-09-1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Replica bias regulator with sense-switched load regulation control
US7319314B1 (en) 2004-12-22 2008-01-15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Replica regulator with continuous output correction
US7859240B1 (en) 2007-05-22 2010-12-2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preventing reverse current flow into a voltage regulator from an output thereof
US8710813B2 (en) * 2008-04-11 2014-04-29 System General Corp. Low drop-out regulator providing constant current and maximum voltage limi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432A (en) * 1976-10-01 1978-05-23 Aiken Industries, Inc. California Instruments Division Constant current-source with high voltage protection, compliance circuit
JPS55611A (en) * 1978-06-09 1980-01-07 Toshiba Corp Constant current circuit
JPS5552611A (en) * 1978-10-11 1980-04-17 Nec Corp Constant-current circuit
US4381484A (en) * 1981-06-01 1983-04-26 Motorola, Inc. Transistor current source
DE3136780A1 (de) * 1981-09-16 1983-03-31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Integrierte halbleiterschaltung
US4399399A (en) * 1981-12-21 1983-08-16 Motorola, Inc. Precision current source
JPS5941022A (ja) * 1982-09-01 1984-03-07 Toshiba Corp 定電流回路
EP0169388B1 (de) * 1984-07-16 1988-09-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tegrierte Konstantstromquelle
US4645948A (en) * 1984-10-01 1987-02-24 At&T Bell Laboratories Field effect transistor current source
US4714872A (en) * 1986-07-10 1987-12-22 Tektronix, Inc. Voltage reference for transistor constant-current source
US4857864A (en) * 1987-06-05 1989-08-15 Kabushiki Kaisha Toshiba Current mirror circuit
IT1228034B (it) * 1988-12-16 1991-05-27 Sgs Thomson Microelectronics Circuito generatore di corrente a specchi complementari di corrente
JP2715642B2 (ja) * 1990-08-22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集積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9335B1 (ko) 2000-03-15
US5661395A (en) 1997-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8676A (ko) 액티브하며 로우 Vsd를 갖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전류원
KR890005979A (ko) 증폭장치
KR880002184A (ko) 테스트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KR940020668A (ko) 조절된 캐스코드 이득 증대를 위한 궤환 증폭기(Feedback Amplifier for Regulated Cascode Gain Enhancement)
KR970068129A (ko) 저전압 연산 증폭기 및 그 연산증폭기에서의 차동 입력 증폭 방법
KR920003627A (ko) 복수개의 전원으로부터 동작하는 공통 에미터 증폭기
KR960039566A (ko) 차동증폭 및 출력오프셋회로와 이를 구비한 반도체집적회로 및 노이즈 제거방법
KR900019342A (ko) 광대역 ab급 crt캐소드 구동기
NL8702379A (nl) Precisieverschilversterker met snelle oversturingsherstelling.
JP3818546B2 (ja) 電流モード・アナログ信号マルチプレクサ
KR940020692A (ko) 집적 회로 증폭 장치(integrated circuit amplifier arrangements)
JPH04286408A (ja) 増幅回路
KR910002128A (ko) 집적 제어 회로
KR910017730A (ko) 광대역 신호 증폭기
KR920013863A (ko) 기준 회로 및 안정 회로를 구비한 전원 장치
KR940008076A (ko) 반도체 집적회로 장치의 입력 회로
KR940025203A (ko) 통신기
KR920017380A (ko) Dc 바이어스 제어 회로
KR970701447A (ko) 증폭 회로(An amplifying circuit)
KR970024172A (ko)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입력 장치(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semiconductor input circuit)
KR870011703A (ko) 집적 회로
US5451903A (en) Low supply voltage output driver
JP2530368B2 (ja) 駆動電流測定回路
KR900004098A (ko) 이득 제어 증폭회로
US5864228A (en) Current mirror current source with current shunting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