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782B1 -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782B1
KR970011782B1 KR1019920005394A KR920005394A KR970011782B1 KR 970011782 B1 KR970011782 B1 KR 970011782B1 KR 1019920005394 A KR1019920005394 A KR 1019920005394A KR 920005394 A KR920005394 A KR 920005394A KR 970011782 B1 KR970011782 B1 KR 9700117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s
jig
work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5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9344A (ko
Inventor
정재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05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782B1/ko
Publication of KR930019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9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부재 고정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작업부재 고정장치의 측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섹션 공유방식의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종래의 시프트 방식의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모터17 : 회전축
18, 19, 20, 21 : 제1, 2, 3, 4 고정수단22, 23, 24, 25 : 고정부재
26, 27, 28, 29 : 가동부재C1 : 클램핑용 실린더
본 발명은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조립라인등에서 차종별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부재를 1대의 장치로 고정가능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작업부재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차체 조립라인은 각각의 작업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를 각 공정에 구비하고 있는데, 이들 지그는 조립라인의 특성에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차종이 바뀌게 되는 경우, 부재의 형상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1조립라인에서 2대의 차종에 사용되는 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지그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식의 지그는 1개의 지그에 2종류의 부재를 고정하여야 하므로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섹션(Section) 공유방식의 지그를 사용하거나,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쉬프트(Shift) 방식의 지그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섹션 공유방식의 지그는, A차종의 부재(1)와 B차종의 부재(2)가 겹쳐지는 섹션의 최외각을 기준으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하고 있기 때문에 부재(1)가 위치하는 홈(3)과 또다른 부재(2)가 위치하는 홈(4)을 각각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지그는, 필요한 부위를 충분히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작업부재의 규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고, 또 차종별로 원하는 위치를 잡을 수 없으며, 2차종중 어느 1차종이 바뀌는 경우 지그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쉬프트 방식의 지그는, 1개의 지그(5)는 고정시키고, 또다른 지그(6)는 상하로 작동가능하게 하여 간섭을 피하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인데, 이러한 방식의 지그는, 상승하는 지그는 고정된 지그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작업부재의 운반높이가 낮아져 운반작업시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의 지그도 차종별로 원하는 최적의 위치를 잡아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2차종중 어느 1차종이 바뀌는 경우 지그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이 바뀌는 경우에도 지그를 교환하지 않고 형상이 다른 작업부재를 고정할 수 있는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위치제어되는 회전축의 선단부에 다수개의 고정수단을 설치하여 선택된 고정수단의 가동부재가 클램핑용 실린더의 작용으로 작업부재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한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정장치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측단면도서, 참조부호 "10"로 지칭되는 프레임은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부(11)와, 이 수평부(11)로부터 연장되어 축면 보강판(12)에 의해 지지되는 수직부(13)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프레임(10)의 수직부(13)일측면상에는 모터(14)가 고정설치되어 커플링(15)을 통하여 분할기구(16)와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분할기구(16)는 프레임(10)의 수직부(13)상단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되는데, 분할기구(16)는 모터(14)의 동력을 직교방향으로 출력할 수 있는 Roller Gear Cam(로울러 기어 캠) 구동방식의 구조를 갖고 출력축에 회전축(17)이 연결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회전축(17)의 선단부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이곳에 각각 다른 차종의 작업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2, 3, 4 고정 수단(18)(19)(20)(21)이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고정수단들은, 크기가 서로 다른 고정부재(22)(23)(24)(25)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데, 이들 고정부재에는 제1힌지부(H1)와 제2힌지부(H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힌지부(H1)에는 클램핑용 실린더(C2)의 측면이 핀으로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제2힌지부(H2)상에는 가동부재(26)(27)(28)(29)가 핀으로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각도의 범위내에서 요동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클램핑용 실린더(C1)의 피스톤 로드 선단부는, 가동부재(26)(27)(28)(29)들의 일측단에 힌지결합되어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요동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고정부재(18)(19)(20)(21)는 작업부재가 위치할 수 있는 단부(30)를 보유하고 있는데, 이 단부(30)는 가동부재(26)(27)(28)(29)의 자유단부와 일정한 거리에 위치되어 작업부재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클램핑용 실린더(C1)는 커플러(31)와 에어호스로 연결되어 작동에 필요한 압축공기를 공급받도록 되어 있는데, 이 커플러(31)는 회전축(17)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는 브라케트(32)에 설치되고 있으며, 이 커플러(31)를 개폐작동시키는 급기용 실린더(C2)는 고정설치된 분할기구(16)상에 설치되어 회전체와 비회전체 사이에서 압축공기를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커플러(31)는 급기용 실린더(C2)가 전진시 압축공기가 클램핑용 실린더(C1)로 들어가 작동토록 되어 있는데, 이것은 파일로서 체크밸브를 갖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요부분이 아니고 또 다른 종류의 커플러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가동부재(26)(27)(28)(29)들은 자유단부가 각각 크기를 달리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작업부재의 형상에 적합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업부재 고정장치는, 작업부재가 이송되어 고정부재(22)(23)(24)(25)들 중 어느 하나의 단부(30)에 위치하게 되면 급기용 실린더(C2)가 전진작동함에 의해 클램핑용 실린더(C1)로 압축공기가 들어가 피스톤 로드를 전진작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해당 가동부재는 고정부재와의 연결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단부(30)에 위치한 작업부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작업부재를 고정시키게 되는데,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작업부재가 다른 형상으로 바뀌게 되면 모터(14)를 구동시켜 회전축(17)을 90도씩 돌려준다.
이 회전작용은 새로운 작업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동부재를 선택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의 가동부재(26)(27)(28)(29)들은 차종에 적합한 구조를 되어 지정된 상태로 이루고 있으므로 모터(14)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작업부재 고정장치는, 차종이 바뀜에 따라 변화되는 작업부재를 고정함에 있어서 1대의 장치로 그에 적합한 지그를 선택하여 전용지그로 고정토록 하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부위를 클램핑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또 확실한 클램핑 작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을 높일 수 있고, 지그교체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동기구(16)를 통하여 회전축(17)을 회전시키는 모터(14)와, 상기한 회전축(17)의 선단부에 등분위치되어 위치결정이 선택되며 각각의 클램핑용 실린더(C1)의 작동에 의해 가동부재(26)(27)(28)(29)가 요동운동하여 차종에 따른 작업부재를 고정하는 제1, 2, 3, 4고정수단(18)(19)(20)(21)들을 포함하는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1, 2, 3, 4고정수단(18)(19)(20)(21)은 회전축(17)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2)(23)(24)(25)와, 이 고정부재들에 각각 측면이 힌지결합되는 클램핑용 실린더(C1)와, 이 클램핑용 실린더(C1)의 피스톤 로드 선단부에 결합연결되며 고정부재(18)(19)(20)(21)의 일측단에 중앙부위가 힌지결합되는 가동부재(26)(27)(28)(29)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KR1019920005394A 1992-03-31 1992-03-31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KR9700117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394A KR970011782B1 (ko) 1992-03-31 1992-03-31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5394A KR970011782B1 (ko) 1992-03-31 1992-03-31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44A KR930019344A (ko) 1993-10-18
KR970011782B1 true KR970011782B1 (ko) 1997-07-16

Family

ID=1933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5394A KR970011782B1 (ko) 1992-03-31 1992-03-31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7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80B1 (ko) * 2008-04-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생산을 위한 핀 클램프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649B1 (ko) * 2000-12-26 2003-08-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용 클램핑 장치
KR100435668B1 (ko) * 2001-07-13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부품용 지그의 클램프장치
KR20040082843A (ko) * 2003-03-20 2004-09-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체 이송 대차용 로케이션 장치
KR101122791B1 (ko) * 2004-11-10 2012-03-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식기랙 보호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980B1 (ko) * 2008-04-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차종 생산을 위한 핀 클램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9344A (ko) 199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00808B1 (en) Processing and transferring apparatus
US6458022B1 (en) Self-centering steady rest clamping device
EP3459697A1 (en) Robot and robot system
KR20090063996A (ko) 너트런너용 볼트공급시스템
KR101842371B1 (ko) 사출성형기용 취출 로봇장치
KR970011782B1 (ko) 다종류의 작업부재 고정장치
KR0136597B1 (ko) 굽힘장치
KR101405231B1 (ko) 트렁크 리드 및 테일 게이트 공용 증타 지그장치
KR101438631B1 (ko) 차량용 패널 지그장치의 각도 조절 클램프
KR20210072495A (ko) 차량용 도어 힌지 장착장치
CN219881635U (zh) 一种焊接机器人用焊接平台
CN216032092U (zh) 取料机器人
KR100460907B1 (ko) 용접용 로봇의 로봇 행거
US6003850A (en) Electric power operated clamp
KR100221345B1 (ko) 벤딩 장치
CN110538937B (zh) 一种自动上料机构
CN220178497U (zh) 一种点焊装置
EP0375008B1 (en) Manipulator of flat sheet, in particular sheet metal plate
JP2604906Y2 (ja) 自動塗装装置
CN217374732U (zh) 翼子板支架柔性切换定位设备
KR20040039991A (ko) 로봇 행거 장치
KR100412661B1 (ko) 로봇 행거
CN217576831U (zh) 一种缓存装置
US5186595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workpiece
KR100282865B1 (ko) 차량의 후드 스테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