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1333B1 -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 Google Patents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1333B1
KR970011333B1 KR1019890014396A KR890014396A KR970011333B1 KR 970011333 B1 KR970011333 B1 KR 970011333B1 KR 1019890014396 A KR1019890014396 A KR 1019890014396A KR 890014396 A KR890014396 A KR 890014396A KR 970011333 B1 KR970011333 B1 KR 970011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ineration ash
molded body
incineration
fired
green co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7812A (ko
Inventor
시로오 다까하시
가즈끼 다니구찌
히로우끼 가와기시
료오지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주우가이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마에가와 히로마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가이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마에가와 히로마사 filed Critical 주우가이로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1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1333B1/ko
Publication of KR91000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1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pyroly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수오니의 성형체 및 소성체의 제조 공정도.
제2도는 분말 성형프레스의 단면 개략도.
제3도는 소성로내의 온도를 나타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호퍼(ash hopper)2 : 채석장치
3 : 컨베이어4 : 회공급호퍼
5 : 공급기6 : 분말 압출 성형프레스
7 : 컨베이어21 : 다이
22 : 패킹부23 : 하부펀치
25 : 상부펀치27 : 진공실
28 : 배출구29 : 실린더
본 발명은 하수오니(sewerage sludge)의 소각회(燒却灰)의 성형체 및 그 소성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하수오니의 처분으로 일단 그 오니를 소각로에서 소각시킨 후에 다음과 같은 방법 중 어느 한가지 방법에 의하여 폐기(廢棄)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 소각회를 회호퍼에서 끄집어내어 이 하수오니의 소각회에 수분을 가하던지 또는 그대로 매립처분지에 투기(投棄)하는 방법.
(나) 소각회에다 시멘트 또는 석회등을 혼합한 후에 과립으로 만들어 고화시켜 매립 처분지에 투기하는 방법.
(다) 소각회를 용융로에서 용융시켜 냉각한 후에 분쇄하여 매립 처분지에 투기처분하던지 콘크리트 골재로 사용하는 방법등이다.
위의 방법 (가)에서는 단위중량당 소각회의 용적이 커지기 때문에 재생 처리장의 사용수명이 상대적으로 단축된다는 것인데, 더욱이 매립처분지의 수명(처분기간)이 짧고, 또 매립 처분후에 소각회가 대기중에 노출되면 바람과 비에 의하여 비산(飛散)·유출하여, 특히 소각회 중에 중금속이 함유되면 금속의 용융으로 인해 2차 공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으므로 환경 위생상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는, 방법(나)에서는 방법(가)의 문제점이 해소되기는 하지만, 폐기 처리되는 소각회의 총량을 과랍화와 고화(固化)에 앞서 첨가제를 혼합하므로 이 첨가제만큼 처분량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방법 (다)에서는 용융로가 있어야만 소각회를 용융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장치 조작비가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인들은 하수오니의 소각회의 특성을 면밀히 파악한 결과, 이 소각회는 일반적인 분말과 마찬가지로 고압에서 압축하면 판델바알스의 힘에 의하여 쉽사리 고화 성형할 수 있음을 알았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수적인 목적은 종래기술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문제점을 제거한 하수오니 소각회 성형체 및 그 소성체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수오니의 소각회만을 가압 성형하여 그 부피비중이 0.9∼2.5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성형체를 소성하여 그 부피비중이 1.4∼3.5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특징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바람직한 실시 태양과 관련하여 명백히 파악할 수 있다.
제1도를 보면 공지의 하수오니의 소각회에서 소각된 분말 또는 입자 상태의 오니의 소각회(W)를 회호퍼(1)에 저장한다. 소각회(W)를 채석장치(quarring device)(2)에서 배출시켜 컨베이어(3)를 통해 회공급호퍼(4)로 보낸 다음 호퍼(4)에 있는 소각회(W)를 고정량 공급기(5)로 일정량을 분말 압축 성형프레스(6)로 보내서 소각회(W)를 0.3∼2.0t/㎠의 압력으로 압출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성형한다. 부호(7)은 컨베이어이다.
위에 나온 분말 압축 성형프레스(6)의 구조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압축 성형프레스(6)에는 중앙에 패킹부(22)가 있는 다이(die)(21)가 구성되어 있다.
이 다이(21)는 세로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고, 패킹부(22)는 다이(21)와 함께 이동하는 고정된 하부펀치(21)에 밀봉패킹(0링)(24)을 통하여 고정된다. 조작수단(도면에는 없음)으로 세로방향으로 상부펀치(25)를 이용시켜 패킹부(22)에 부착하게 한다. 이 상부펀치(25)는 밀봉패킹(0링)(26)을 통하여 이동성 진공실(27)로 커버되는데 이 진공실(27)은 그 아래쪽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다. 진공실(27)은 실린더(29)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여 밀봉패킹(0링)(20)을 통해 다이(21)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배출구(28)는 진공실(27)에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진공펌프(도시되어 있지 않음)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상태에서 소각회(W)를 압축 성형프레스(6)의 패칭부(22) 속으로 공급하면 상부펀치(25)와 진공실(27)은 하강한다. 이 진공실(27)은 밀봉패킹(20)을 통해 실린더(29)에 의해 다이(21)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상부펀치(25)가 다이(21)에 도달하면 패킹부(22)에 있는 소각회(W)가 상부펀치(25)에 의해 압축되는데, 이때 진공실(27)내의 압력은 진공펌프에 의하여 계속해서 낮아지게 된다.
가압 공정이 끝나면 진공실(27)내의 압력을 올려주어 성형체(S)를 끄집어 내는데, 즉 다이를 하강시킨 후 상부펀치와 진공실을 상승시켜 성형체를 끄집어낸다.
이와 같은 공정을 반복한다.
위와 같은 공정에 따라 제조된 성형체(S)의 특성에 관해서는 표 1과 표 2에 나와있는데 압축 성형프레스(6)의 압력을 변화시켰다.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표 1과 표 2에 나와 있는 소각회의 종류중에서 A형과 B형은 각각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것이다.
A형 : 탈수제로서 석회를 사용해서 얻은 탈수된 케이크를 소성 처리한 소각회인데, 그 성분은 CaO 20∼50%, SiO210∼30%, Al2O35∼15%, 나머지는 기타로 되어 있는 것이다.
B형 : 탈수제로서 고 분자물을 사용해서 얻은 탈수제 케이크를 소성처리한 소각회인데, 그 성분은 CaO 3∼10%, SiO220∼45%, Al2O310∼20%, 나머지는 기타로 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이, 평가항목에서 부호 ○은 성형체(S)가 정상적인 처리에 적합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것이고, 부호 △는 성형체(S)의 강도가 비교적 작다는 것이며, 부호 X는 성형체의 강도가 부족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부호 ○인 성형체는 가압하기 전의 체적의 20∼50%인 체적을 가지고 있다.
[표 1]
Figure kpo00001
[표 2]
Figure kpo00002
표 1과 표 2에 있는 부호 ○의 성형체(S)와 표 2에 있는 부호 ○ 및 △인 성형체를 연속 소성로(8)에서 제3도에 있는 바와 같은 로내의 온도 곡선에 따라 소성한 결과는 표 3,4 및 5에 있는 바와 같다.
다시 말하자면 제3도의 소성방법에 있어서 성형체의 표면온도가 소각회의 연화점보다 낮은 미리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때까지 로의 온도를 신속히 상승시킨 다음 표면 온도가 연화점을 넘어서기 전에 서서히 온도를 올려주는 것이다.
예를 들자면, 고분자물 소각회로 된 성형체를 소성할 경우에 있어서 소각회의 연화점인 약 1000℃보다 낮은 일정한 온도, 예컨대 약 900℃까지 로의 온도를 신속히 올린 다음 연화점, 즉 약 1000℃를 통과하기 전에 로의 온도를 서서히 (200℃/h 이하의 속도로) 올려준다. 이어서, 동일한 상승속도로 로의 온도를 소성온도까지 상승시켜 성형체를 소성하는 것이다. 제3도의 (b)에 있는 바와 같이 연화점을 통과하고 나면 로의 온도를 소성온도까지 다시 신속하게 올려주고, 이 상태에서 성형체를 소성한다.
앞서와 같은 방식으로 로의 온도를 올려주면 1000℃를 지닐때까지는 900℃가 되기 때문에 로의 온도 상승속도는 비교적 느리게 된다. 따라서, 성형체의 내부온도는 표면온도가 연화점이 되기 전에 표면온도와 동일하게 되므로 표면이나 내부이거나 간에 성형체는 동일한 온도조건하에서 연화점을 지나 100℃에 도달하게 된다. 이 시간 동안에 성형체는 소성이 되는 것이다.
[표 3]
Figure kpo00003
[표 4]
Figure kpo00004
[표 5]
Figure kpo00005
표 3과 표 4에 있는 소성체 각각은 성형체(S)보다 강도가 훨씬 크고 체적이 있어 성형체보다 20%작으며 중량도 훨씬 가볍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수오니 소각회의 성형체를 첨가제 없이 0.9∼2.5의 부피비중을 가진 것으로 하여 값싸게 제조할 수 있다. 성형체는 정상적으로 취급하기에 필요한 강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성형체의 체적은 가압적 소각회의 것에 비하여 20∼50%까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소성체를 2차적인 공해를 유발할 우려없이 다량으로 일정한 곳에다 폐기처분할 수 있다. 위에서 나온 성형체를 소성하여 부피비중이 1.4∼3.5인 것으로 할 경우 소성체의 체적과 중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소성체를 다량으로 내다버릴 수 있다.
탈수된 고분자물 케이크 소각회로 된 소성체에는 균열이 없기 때문에 벽돌이나 타일을 만들 수도 있다.

Claims (1)

  1. 하수오니 소각회만으로 되고 0.9∼2.5의 부피비중을 가진 성형체를 소성함으로써 얻어진 소성체로서 1.4∼3.5의 부피비중을 가진 소성체.
KR1019890014396A 1989-10-06 1989-10-06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KR970011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396A KR970011333B1 (ko) 1989-10-06 1989-10-06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4396A KR970011333B1 (ko) 1989-10-06 1989-10-06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812A KR910007812A (ko) 1991-05-30
KR970011333B1 true KR970011333B1 (ko) 1997-07-09

Family

ID=1929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4396A KR970011333B1 (ko) 1989-10-06 1989-10-06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13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145B2 (en) 2012-08-07 2018-09-25 Borgwarner Inc. Compressor wheel with balance correction and positive pilo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2145B2 (en) 2012-08-07 2018-09-25 Borgwarner Inc. Compressor wheel with balance correction and positive pilo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7812A (ko) 1991-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42762A (en) Apparatus for disposing of solid wastes
JP3263094B2 (ja) あらゆる種類の廃棄物の輸送方法、中間貯蔵方法、エネルギー的利用方法、材料的利用方法、及びそれらの方法を実施する装置
KR102376743B1 (ko) 소각재를 이용한 건축용골재의 제조방법
KR970011333B1 (ko) 하수오니(汚泥) 소각회 성형체 및 소성체
EP0421011B1 (en) Green compact of incineration ashes of sewerage sludge and its burned product
EP0168532A1 (en) A method for processing dredging mud, such as harbour mud and similar products
JPH09255396A (ja) 細粒廃棄物からブロック体を製造する方法
EP0313016B1 (en) Inorganic, insoluble industrial raw material producible from waste,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use
CN208179868U (zh) 一种垃圾焚烧炉渣综合处理集料制砖送板机
US5079091A (en) Green compact of incineration ashes of sewerage sludge and its burned product
JP3203335B2 (ja) ごみ焼却炉の灰の無害化処理方法
JP2713727B2 (ja) 下水汚泥焼却灰の成形体およびその焼成品
CH665785A5 (fr) Procede de transformation de dechets organiques et mineraux en materiaux solides, inertes et insolubles dans l'eau.
KR102062491B1 (ko) 무기성 슬러지 및 연소재를 이용한 토목건축 기초자재 제조방법
JPH01180288A (ja) 汚泥焼却灰の処理方法
KR20000013143A (ko) 생활쓰레기의 소각처리방법과 그 소각재를 이용한 무기질 성형물의 제조방법
CN212863209U (zh) 一种用于匣钵倒料的设备
JPH02218485A (ja) 都市ゴミ焼却灰の処理方法
JPH02126984A (ja) 下水汚泥焼却灰の成形方法
JP3097203B2 (ja) 焼却灰の固化方法
JP3415109B2 (ja) 都市ごみの焼却灰を焼結した焼結固形物とその製造方法
JP3702256B2 (ja) 骨材の製造方法
CN116003154A (zh) 石油钻井水基废物和油基废物一体化集中处理系统及工艺
JP3076576B2 (ja) 下水汚泥焼却灰の粉末焼成方法
JPH0780429A (ja) ごみ焼却灰の焼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