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477B1 - 분할장치 - Google Patents
분할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8477B1 KR970008477B1 KR1019940006249A KR19940006249A KR970008477B1 KR 970008477 B1 KR970008477 B1 KR 970008477B1 KR 1019940006249 A KR1019940006249 A KR 1019940006249A KR 19940006249 A KR19940006249 A KR 19940006249A KR 970008477 B1 KR970008477 B1 KR 970008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tchet
- worm
- pole
- ratchet pole
- body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6/00—Equipment for precise positioning of tool or work into particular loc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16/02—Indexing equipment
- B23Q16/04—Indexing equipment having intermediate members, e.g. pawls, for locking the relatively movable parts in the indexed position
- B23Q16/06—Rotary indexing
- B23Q16/065—Rotary indexing with a continuous driv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30/00—Special operations in a machine tool
- B23Q2230/002—Using the spindle for performing a non machining or non measuring operation, e.g. cleaning, actuating a mechanism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4—Rotary member or shaft indexing, e.g., tool or work turret
- Y10T74/1418—Preselected indexed posi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4—Rotary member or shaft indexing, e.g., tool or work turret
- Y10T74/1488—Contro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Positioning Apparatus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할장치에 대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II-II에 의해 지시된 평면에서 취하여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정면도에 대향된 배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IV-IV에 의해 지시된 평면에서 취하여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V-V에 의해 지시된 평면에서 취하여서,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제6도는 캠홈의 형상을 도시한 측면도.
제7도는 입력축 및 숫클러치 부재에 대해 제1도에서 화살표 VII방향에서 본 도면.
제8도는 제3도의 일부분을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9,10,11도는 본 발명의 분할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래칫휠의 래칫톱니와 래칫폴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상이한 단계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도, 그리고,
제12도는 일부분이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수정에 따른 분할장치에 대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할장치2 : 가공테이블
3 : 주구동스핀들4 : 클러치부재
5 : 어댑터10 : 몸체구조물
14 : 입력축16 : 구동기어
20 : 워엄축24 : 워엄
27 : 조임수단28 : 피동기어
30 : 테이블축32 : 분할테이블
33 : 분할기어41 : 맞물림노치
44 : 보정핀45 : 회전방지부재
52 : 슬라이더60 : 위치결정장치
61 : 랫치휠62 : 래칫폴 홀더
65,66,67 : 래칫폴80 : 래칫폴 가압기구
82 : 작동캠102 : 로타리축
111 : 슬라이더 로드
본 발명은 공작기계 등의 팰릿 또는 테이블 상에 장착된 분할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워엄기어 기구가 사용되는 분할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타입의 분할장치의 일예는 1992년 5월 26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제07/888,902호에 개시되어 있다(1992년 12월 3일 공개된 일본 공개공보 제4-348,846호에 대응되는 것이다). 이 분할장치는 공장기계(복합공작기계)에 이미 유지되어 있는 공지된 주구동스핀들의 동시화된 탭기능 또는 강성탭기능을 이용함으로써 분할을 수행한다. 복합공작기계의 구동스핀들상에 장착된 클러치부재는 분할장치의 입력축의 상태클러치부재와 맞물림된다. 먼저, 동시화된 탭기능으로, 입력축은 축선방향으로 밀려짐에 따라 정상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정상회전동안에, 워엄축은 입력축과 워엄축 사이에 제공된 한쪽방향클러치 또는 자유휠링기능 때문에 회전하지 않으며, 이에 의해 분할은 수행되지 않는다. 복합공작기계의 구동스핀들이 멈춘후, 역회전방향으로의 회전이 동시화된 탭기능을 갖춘 구동스핀들에 전해진때, 워엄축은 회전하며, 그리고 분할테이블은 분할회전되도록 구동된다.
이 분할장치에서, 워엄축이 회전한후, 이 회전은 회전보정장치에 의해 멈추어진다. 위치결정축의 위치결정핀은 분할테이블의 테이블축의 후방끝에 고정된 클램프 플레이트의 맞물림폴에 관계하여 미끄럼가능한 방식으로 분할장치의 몸체구조물상에 장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이 멈춘후, 위치결정핀은 맞물림폴 사이에서 끼워 맞춤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테이블의 위치결정은 이루어지며, 그리고 이와 동시에 가공동안에 분할테이블에 작용된 모든 회전모멘트는 카운트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상기한 분할장치의 회전보정장치에서, 구동기어는 입력축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 구동기어는 피동기어가 워엄축과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축선방향에 미끄럼가능한 방식으로 워엄축의 하단부상에 제공된 피동기어와 맞물림된다. 삼각돌출부는 이 피동기어 상단부상에 제공된다. 이 돌출부와 맞물림하고 이 돌출부로부터 맞물림 해제하기 위한 대응 절결오목부는 상기 장치의 몸체구조물내에 형성되어 있다. 입력축의 축선이동은 구동기어가 피동기어를 잡도록 하여 워엄축을 따라 상승하게 해서, 이에 의해 돌출부 및 절결오목부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시킨다. 따라서 입력축에 의한 워엄축의 회전의 가속 및 감속은 보정된다.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위치결정핀은 맞물림폴 사이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기구에서, 위치결정축은 몸체 구조물내에 미끄럼가능하게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마찰마모가 장기간 사용후 몸체구조물과 위치결정축 사이의 작은 미끄럼간극내에서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위치결정핀은 맞물림폴에 대하여 쉽게 경사질 수가 있다. 이것은 분할테이블의 위치결정에 있어서의 정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를 야기시킨다.
또한, 단일위치결정핀은 클램프 플레이트의 맞물림폴 사이에 끼워맞춤된다. 이러한 연유로, 정교한 분할각도(예를들어, 1°)가 요구될때, 위치결정핀 및 클램프 플레이트의 맞물림폴의 치수는 매우 작아지며, 이에 의해 이들 부분의 충분한 강도는 얻을 수 없으며 이들의 제조는 불가능하다고는 할 수 없어도 어렵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대적으로 큰 분할각도의 분할기구만이 유용하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의 분할장치의 경우에서 발생하는 또다른 문제는 다음가 같은 것이 있다. 상기 회전보정장치에 있어서, 워엄축의 하단부에서의 피동기어는 워엄축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고, 이로 인하여 돌출부가 몸체구조물에 있는 절결오목부가 맞물림하도록 그리고 절격오목부로부터 맞물림 해제하도록 한다. 이러한 연유로, 워엄기어 하부에서의 피동기어의 이동을 위한 큰 공간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워엄축 방향에서 전체 분할장치의 치수가 크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입력축이 동시화된 탭기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입력축은 구동기어와 함께 상승 및 하강하며, 구동기어의 톱니끝면은 피동기어상에 제공된 플레이트와 가압접촉하는 상태에서 피동기어가 상승 및 하강하도록 한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플레이트는 마찰로 인해 쉽게 마모된다.
분할테이블의 위치결정에 있어서의 정확도가 떨어지지 않는 위치결정장치가 구비된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정교한 분할각도를 실현할 수 있는 위치결정장치를 구비한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워엄축의 크기를 축선방향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워엄축의 회전보정장치를 제공해서, 이에 의해 소형화된 크기의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워엄축이 회전되는 분할장치를 제공해서 이에 의해 분할테이블이 분할회전되게 하며, 또한 이 분할장치는 분할테이블의 위치결정이전에, 분할장치의 몸체구조물에 관계하여 워엄축의 회전을 멈추는 회전보정장치, 그리고 워엄축의 회전이 멈춘 후에 분할테이블에 회전토크를 부여하여 분할테이블과 일체적으로 동축인 분할기어의 기어톱니면이 워엄축의 워엄의 워엄기어면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이 워엄기어면을 유지하도록 작동하는 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분할테이블의 테이블축에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래칫휠의 바깥둘레 주위에 특정각도상 간격이 형성된 복수의 래칫톱니를 가진 래칫힐, 몸체구조물 일부분상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래칫톱니와 맞물림하고 맞물림 해제하도록 적용된 보수의 래칫폴, 그리고 래칫톱니에 대항하여 래칫폴을 가압하여 유지하는 래칫폴 가압수단으로 더 구성된 분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래칫폴, 래칫휠 및 래칫폴 가압수단은 위치결정수단을 구성하며, 래칫폴 가압수단이 워엄축회전의 회전이 멈춘후 한쪽 방향으로 회전토크를 분할테이블에 전달하도록 작동하며, 위치결정수단은 랫치폴중 하나만이 복수의 래칫폴에 의해 래칫톱니의 각도상 간격의 동일분할로 얻어진 위치에서 분할된 래칫톱니와 맞물림하도록 작동한다.
상기 세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워엄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도록 몸체구조물상에 지지된 보정핀과 워엄축에 동축상으로 고정된 피동기어의 일부분의 바깥둘레 주위에 제공된 보정용 로타리 맞물림노치로 구성된 회전보정수단을 가진 분할장치를 제공하는데, 보정핀은 맞물림노치와 맞물림하고 이 맞물림노치로부터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에 있어서, 워엄축은 분할기어에 의해 분할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된다. 그런다음 워엄축은 몸체구조물에 관계하여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멈추어진다. 그리고 나서 회전토크는 위치결정수단에 의해 분할테이블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분할기어의 기어톱니면은 회전으로부터 멈추어진 워엄축의 워엄기어면에 대항하여 가압하여 이 워엄기어면을 유지하도록 야기되어 위치결정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분할기어의 기어톱니면은 정확하게 분할된 워엄톱니면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위치결정시 분할기어의 기어톱니면과 워엄톱니면과의 사이에 어떠한 미끄럼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결정핀과 몸체구조물 사이에 있는 마찰표면에서 장시간 사용후에 마찰마모가 발생하는 종래 기술의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워엄축을 기준으로 높은 정확도를 갖춘 위치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래칫폴중의 하나는 분할테이블의 테이블축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래칫휠의 래칫톱니에 대항하여 가압하고 맞물림하며, 그 결과 단지 하나의 래칫폴은 래칫톱니 사이의 각도상 간격을 동일 분배로 분배하는 위치에서 래칫톱니와 맞물림한다. 이러한 연유로, 래칫톱니 사이의 각도상간격이 톱니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될 때에도, 래칫휠 톱니의 각도간격보다 작은 간격에서 정교한 분할위치로 위치결정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의 또다른 특징은 워엄축에 수직인 몸체구조물상에 배치된 보정핀과 워엄축에 수직이고 동축인 로타리부재에서 수정하는 로타리 맞물림노치의 제공에 있는데, 이들 맞물림노치는 보정핀에 의해 맞물림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워엄축의 한쪽끝의 이동을 위한 큰 간격은 돌출부재가 워엄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공지된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워엄축의 축선방향으로 분할장치의 크기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본래의 특징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읽을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분할장치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지금부터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할장치(1)는 복합공작기계 등의 공작기계의 팰릿 또는 가공테이블(2)상에 장착된다. 이 분할장치(1)위에 역회전 가능한 주구동스핀들(3)이 제공되어 있다. 이 주스핀들(3)은 가공테이블(2)의 표면에 관계하여 X-Y 방향(수평방향) 및 Z 방향(수직방향)으로 위치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구동어댑터(5)는 주스핀들(3)의 하단부에 분리가능하게 동축상으로 부착된다. 이 구동어댑터(5)는 이후에 설명될 분할장치(1)의 입력축(14) 상단부상에 제공된 맞물림 클러치부재(15)와 맞물림 해제가능하게 맞물리는 클러치부재(4)가 하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가공테이블(2)상에 복합공작기계의 가공작동동안, 어댑터(5)는 공구저장실내의 특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복합공작기계는 복합공작기계의 주스핀들(3)의 회전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제어시스템(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어 있다. 그래서 분할시에, 주스핀들(2)은 이 제어시스템에 의해 모든 90°의 배수에서 원하는 각도에 정지된다.
분할장치(1)는 필수적인 작동부분을 지지하는 몸체구조물(10)을 가지고 있다. 몸체구조물(10)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의 한쪽상에 수직의 직통보어(12)가 구비되어 있다. 지지슬리브(11)는 직통보어(12)를 통하여 지나며 수직(축선)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하다. 입력축(14)은 지지슬리브(11)내에 그리고 옆에 있는 상부 및 하부베어링(13)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입력축(14)의 상단부는 몸체구조물(10)의 상부표면에 고정된 슬리브커버(90)를 통하여 상부로 돌출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오목클러치부재(4)내에 있는 오목부를 맞물림하는 돌기부를 가진 클러치부재(15)(제7도)는 입력축(14)의 상단부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동기어(16)는 입력축(14)의 하단부에 키이로 커플링된다. 지지슬리브(11)는 상부에 하부방향으로 대면하는 턱부를 형성하는 계단형부분(11a)이 구비되어 있다. 코일스프링(17)은 지지슬리브(11) 주위로 그리고 계단형부분(11a)과 몸체구조물(10)의 턱부분 사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코일스프링(17)은 압축된 상태이며 이에 의해 지지슬리브(11)상에서 상방향 스프링힘을 발휘한다. 계단형부분(11a)은 래칫폴(65,66,67)이 스프링(17)의 힘에 의해 이하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래칫휠(61)과 맞물리도록 될 때 슬리브커버(90)의 가장 하부표면(90a) 충분히 아래에 위치된다.
워엄축(20)은 상,하 베어링(21,22) 및 워엄축커버(23)에 의해 몸체구조물(10)내에서 입력축(14)과 평행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워엄축(20)은 수직(축선)방향으로의 이동은 방지하지만 축선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은 허용하는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워엄축(20)은 축선방향으로 중간부분에 워엄(24)이 구비된다. 피동기어(28)는 내부링(25) 및 외부링(26)으로 구성된 파지 및 조임수단(27)에 의해 워엄축(20)의 하단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피동기어(28)는 입력축(14)상에 있는 구동기어(16)와 맞물려 있다. 기어비 즉 구동기어:피동기어는 1:2.25로 되어 있다.
조임수단(27)은 하기의 방식으로 조임기능을 수행하는 조임볼트(29)가 구비되어 있다. 조임볼트(29)가 조임되는 즉 외부링(26)내에서 각각의 탭진 홀을 통해 나사잠금되며, 그리고 볼트(29)의 상부끝은 피동기어(28)의 하부표면에 대향하여 접착될 때 외부링(26)은 하부방향으로 끌어당겨져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하강한다. 결과적으로 내부링(25) 및 외부링(26) 각각의 테이퍼진 표면(25a,26a)은 쐐기작용을 하기 위해 상호대항하여 미끄러진다. 이 쐐기작용은 피동기어(28)의 중심구멍(28a)의 내부벽 표면에 대항하여 외부링(26)의 외부둘레표면을 가압하는 효과를 가진다. 동시에, 이 쐐기작용은 워엄축(20)의 외부둘레표면에 대항하여 내부링의 내부표면을 가압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가압력의 결과로, 큰 마찰력이 발생하고 이에 의해 워엄축(20) 및 피동기어(28)는 상호 일체적으로 조여진다.
이 조임수단(27)의 사용으로 인하여, 피동기어(28)의 상대회전단계 및 워엄축(20)의 회전단계의 정교한 조절(분할테이블(32)의 회전단계로도 되는)은 가능하게 된다. 이 조임수단(27)은 워엄축(20)의 회전이 이하에서 설명될 워엄축(20)의 보정장치(40)(제2도)에 의해 멈추어지는 경우와 그리고 분할테이블(32)상에 장착된 지그에 의해 유지되는 가동물이 구동스핀들(3)에 관계하여 특정한 보정방향으로 향하지 않는 경우에 유용하다. 이 경우, 조임수단(27)은 조여지지 않으며, 그리고 분할테이블(32)의 각도위치는 보정된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축(30)은 워엄축(20)의 한쪽에 수직한 축선방향의 상태로 워엄축(20)의 한쪽에 배치되어 있다. 이 테이블축(30)은 몸체구조물(10)상에서 전방 및 후방베어링(3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분할테이블(32)은 이 테이블축(30)의 전방끝에 일체적으로 그리고 동축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분할기어(33)는 테이블축(30)의 대략 중간부분에서 축선방향으로 일체적으로 그리고 동축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분할기어(33)는 워엄기어 또는 헬리컬기어의 형태이며, 상기 워엄축(20)의 워엄(24)과 상호 수직축선인 상태로 맞물림된다. 워엄(24)과 분할기어(33) 사이의 감속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1/40로 맞추어져 있다. 그래서, 입력축(14)이 90°회전할때, 분할테이블(32)은 구동 및 피동기어(16,18) 사이의 기어 1:2.25와 워엄(24) 및 분할기어(33) 사이의 감속비 1/40의 산출결과로 1°로 분할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최소분할단위는 1°이다.
다음으로, 워엄축(20)의 회전을 보정하기 위한 상기 회전보정장치(40)가 설명될 것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용 9개의 로타리 맞물림노치(41)는 상기 피동기어(28)의 상부에 40°의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맞물림노치(41)는 워엄축(20)에 수직인 평면내에 놓여 있으며, 상부방향으로 그리고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각각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이들 맞물림노치(41)의 40°각도상 간격은 구동기어(16)와 피동기어(28) 사이의 상기 감속비 1/40와의 상호관계로부터 초래된 결과이다. 각각의 맞물림노치(41)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대면하는 개구부의 입구에 있는 2개의 림은 (41a)처럼 모따기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된 브래킷(42)은 하부부분이 피동기어(28)의 맞물림노치(41)를 꼭대기부분에서 대면하도록 몸체구조물(40)의 후방면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이 보정핀 브래킷(42)은 워엄축(20)의 회전축으로 향하여 인도된 가이드보어(42b)를 가진 가이드슬리브(42a)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가이드보어(42b)의 축선은 워엄축(20)의 축선에 수직적으로 교차한다. 보정핀 브래킷(42)은 가이드보어(42b)의 한쪽상의 상부에 벌징가공벽(42c)으로 후방향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 벌징가공벽(42c)위아래에, 가이드롤러(43)는 수직축선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보정핀(44)은 가이드보어(42b)내에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맞추어져 있으며, 이에 의해 미끄럼가능한 축선운동으로 안내된다. 이 보정핀(44)의 끝단에, 회전방지부재(45)가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회전방지부재(45)의 한쪽면은 가이드롤러(43)에 의해 안내되어 보정핀(44)의 회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보정핀(44)은 그 전방 작용끝부에서 상,하 2차원 표면상태로 내부끼워맞춤부분(44a)을 가진다. 이 내부끼워맞춤부분(44)의 좌,우 측면은 모따기된 표면(44b)이다.
캠종동부(46)는 가이드롤러(43)에 의해 안내되는 회전방지부재(45)쪽에 대향되는 쪽상에서 회전방지부재(45)의 표면에 고정된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종동부(46)는 이하에서 설명될 래칫폴 가압기구(80)(제8도)의 일부를 구성하는 슬라이더(52)의 하부끝에 고정된 캠부재(47)의 캠홈(47a)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구조물(10)은 후방면에 상,하부 시트(48)가 구비되어 있다. 이 시트(48)에 대항하여 리테이닝 플레이트(50)가 이들 사이에 끼워진 스페이서(49)에 걸쳐서 스크류(5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2)는 각각의 스페이스(49)가 지나가는 상,하부 슬롯(53)을 가지고 있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페이서(49)는 슬라이더(52)의 슬롯(53)의 좌,우 직선적으로 평행한 축과 미끄럼접촉하는 좌,우 가이드표면(49a)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52)는 안내되어, 이 안내된 상태에서, 리테이닝 플레이트(50)와 시트(48) 사이에서 미끄럼가능하게 클램프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부재(54)는 상,하 슬롯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슬라이더(52)에 고정된다. 이 커플링부재(54)는 몸체구조물(10)의 일부분을 통하여 형성된 슬롯(55)을 통하여 수평적으로 뻗어있는 스템(54a)을 가지고 있다. 커플링부재(54)의 이 스템부분(54a)의 원단 또는 전방끝부는 상기된 지지슬리브(11)내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분할장치의 작동에서 워엄축(20)의 분할회전에 앞서, 지지슬리브(11)는 구동스핀들(3)에 의해 입력축(14)과 함께 스프링(17)의 힘에 대항하여 하강하게 된다. 슬라이더(52)가 스템(54a)을 통해 하강되는 결과, 이로인해 슬라이더(52)상의 캠부재(47)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캠종동부(45)에 작용한다. 보정핀(44)은 맞물림되어 있는 로타리 맞물림노치(41)의 밖으로 끄집어 내어진다. 그런다음 워엄축(20)의 분할회전되게 구동된 후, 보정핀(44)은 이하 설명될 위치선정작동 이전에 로타리 맞물림노치(41)와 맞물림되게 맞추어진다. 상기 설명된 캠홈(47a)은 캠종동부(46)가 그 이동으로 상기 작동을 초래할 수 있도록 홈 안내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보정장치(40)는 보정핀(44)이 워엄축(20)에 수직한 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하도록 한다. 이 보정장치(40)에 있어서, 워엄축(20)의 축선상의 끝영역으로 이동하기 위한 큰 공간이 불필요하여, 돌출부재가 워엄축(20)의 축선방향으로 이동되는 종래 기술장치와는 대조적이다. 나아가, 공지의 장치처럼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되는 플레이트가 제거되어, 부품교환하는 노동력이 절감된다.
다음으로, 분할테이블(32)의 위치결정장치(60)(제8도)가 설명될 것이다.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테이블(32)은 테이블축(30)의 전방끝부에 동축으로 고정되어 있다. 래칫휠(61)은 키이에 의해 테이블축(30)의 후방끝부상에 고정되고, 몸체구조물(10)로부터 후방으로 빠져나온 후방면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래칫휠(61)은 그 둘레에 120개의 래칫휠 톱니(61a)가 구비되어 있다. 인접한 래칫톱니(61a)사이의 각도상 간격은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이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구조물(10)의 후방측과 래칫휠(61)의 한쪽측면에, 다시 말해, 래칫휠(61)과 상기 슬라이더(52) 사이에 래칫폴 홀더(62)가 제공되어 있다. 이 래칫폴 홀더(62)는 지지피벗(63)상에 요동가능하게 피벗팅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래칫휠(61)쪽으로 흔들리는 움직임을 행할 수 있다.
래칫폴 홀더(62)의 상부에 있는 오목부(64)에 있어서, 3개의 래칫폴(65,66,67)은 래칫폴 홀더(62)에 고정된 요동핀(68)에 의해 원단부에서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칫폴 홀더(62)의 상부끝에, 판스프링으로 만들어진 제1폴 홀딩스프링(69)이 근단부(69a)에서 고정플레이트(7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제1폴 홀딩스프링(69)은 근단부(69a)로부터 앞쪽으로 뻗은 부분에서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3개의 래칫폴(65,66,67)에 해당하는 텅(tongue)(69b) 또는 3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쪼개져 있다. 각각의 쪼개진 스프링텅(69b)은 래칫폴(65,66,67)중의 대응하는 하나상에서 아래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나아가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휠(61)을 대면하는 래칫폴 홀더(62)의 하부쪽에, 제2폴 홀딩스프링(71)이 그 근단부(71a)에서 고정플레이트(72)에 의해 고정되어 위로 뻗어있다. 그래서, 제2폴 홀딩스프링(71)은 근단부(71a)로부터 위로 뻗어있는 이 스프링(71)부분은 제1폴 홀딩스프링(69)의 경우처럼 각각 세개의 래칫폴(65,66,67)에 해당하는 세개의 쪼개진 부분(71b)으로 나누어져 있다. 세개의 쪼개진 부분(71b)의 상부원단부는 대응 래칫폴(65,66,67)의 아래로 뻗은 부분과 각각 접촉한다.
따라서 래칫폴(65,66,67)은 제1 및 제2폴 홀딩스프링(69,71)에 의해 래칫폴 홀더(62)상에서 탄성적으로 그리고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래칫폴은, 그 원단부(65a,66a,67b)가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휠(61)의 래칫톱니(61a)사이의 각도차이(3°)로 위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분할시에 래칫휠 톱니(61a)는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휠(61)의 수직(연직) 중심선(L)에 관계하여 30°각도 위치에서 워엄된다(이 래칫휠 톱니(61a)는 다른 톱니와 구분하기 위해 "맞물림 래칫톱니(T)"로 불리워질 것이다). 3개의 폴의 원단부(65a,66a,67a)의 각각의 형상 및 길이는 맞물림 래칫톱니(T)에 관하여, 래칫휠(61)에 관계하여 원주방향으로 엇갈림되는 단계가 실현되는 상태로 맞추어져 있다. 제10A도의 상기 언급된 30°위치에서, 중간폴(66)의 원단부(66a)는 제10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래칫톱니(T)와 맞물림한다. 1°이전에서(제9A도의 29°), 폴(65)의 원단부(65a)는 제9B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맞물림 래칫톱니(T)와 맞물림한다. 1°이후에서(제11A도의 31°), 폴(67)의 원단부(67a)는 제11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래칫톱니(T)와 맞물림한다.
다음으로, 위치결정장치(60)내의 래칫폴 가압기구(80)가 설명된다. 제3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81)은 슬라이더(52)에 대면하는 래칫폴 홀더(62)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캠(81)은 상부에 형성된 가압캠표면(81a)과 하부에 형성된 해제캠표면(8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작동캠(82)은 캠(81)을 대면하는 슬라이더(52)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 작동캠(82)은 가압캠표면(81a)과 맞물림하고 가압캠표면(81a)으로부터 맞물림해제하는 가압작동캠표면(82a), 해제캠표면(81b)과 맞물림하고 해제캠표면(81a)으로부터 맞물림해제하는 해제작동캠표면(82b), 그리고 2개의 캠표면(82a,82b)을 연결하는 해제홀딩캠표면(82c)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81)과 작동캠(82)은 래칫폴 가압기구(80)의 작동에 있어서 이하의 방식으로 협력하여 작동한다. 슬라이더(52)가 주스핀들(3)에 의해 하강될 때, 보정핀(44)은 후퇴한다. 동시에 슬라이더(52)의 해제작동캠표면(82b)은 해제캠표면(81b)과 맞물림하여 래칫휠(61)에 대항하여 가압된 상태로 있는 래칫폴(65,66 또는 67)을 해제한다. 보정핀(44)이 전진한 후(보정회전), 슬라이더(52)는 상승한다. 이에 의해 가압캠표면(81a)은 가압작동캠표면(82a)에 의해 맞물림되어 폴홀더(62)를 피벗운동으로 운동하도록 작동한다. 이에 의해 폴(65,66 또는 67)은 래칫휠(61)의 래칫톱니(61a)를 향하여 가압된다. 폴(65,66 또는 67)의 이 가압상태는 스프링(17)의 스프링힘에 의해 계속되는 해제작동때까지 유지된다.
복합공작기계에서 가공작동 동안에 분할할 필요가 발생할 때, 상기 구동변환기(5)는 공구바꿈장치에 의해 구동스핀들(3)상에 장착된다. 그러면 이하의 과정이 수행된다. 첫째 구동스핀들(3)은 입력축(14)위에 똑바로(동축으로) 있을 때까지 X-Y(수평) 평면에서 이동한다. 그런 다음 구동스핀들(3)은 Z 방향(수직으로)으로 하강해서 구동변환기(5)의 클러치부분(4)이 입력축(14)의 클러치부재(15)와 맞물림한다. 구동스핀들(3)은 입력축(14)이 지지슬리브(11)와 함께 스프링(17)의 스피링힘을 거슬러 소정거리로 더 하강되도록 낮추어진다. 이 지지슬리브(11)의 하강의 결과로, 슬라이더(52)는 제3도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위치로부터 제8도에서 나타낸 부분까지 하강한다. 이 운동과 함께, 캠부재(47)가 하강하여, 이에 의해 캠홈(47a)은 캠종동부(46)를 안내한다. 그래서 끼워맞춤된 상태에 있는 보정핀(44)이 끄집어내어져, 끼워맞춤되어 있는 로타리 맞물림노치(41)로부터 보정핀(44)의 내부끼워맞춤부분(44a)이 끄집어내어진다. 따라서 피동기어(28)는 잠금된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해제작동캠표면(82b)은 해제캠표면(81b)과 맞물림하여 래칫폴 홀더(62)가 제3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지지피벗(63)에 대해 피벗운동된다. 따라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래칫톱니는 폴(65,66 또는 67)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부터 해제된다. 각각의 폴(65,66,67)이 맞물림 래칫톱니(T)의 표면(T2)에 대항하여 각각 가압된 구성형태는 제9B,10B,11B도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가압된 상태중의 하나의 폴(65,66 또는 67)이 폴홀더(62)의 폴홀더(62)의 피벗팅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선회되어, 맞물림된 래칫톱니(T)로부터 맞물림 해제할 때, 만약 맞물림 래칫톱니(T)와 폴(65,66,67)이 서로 간섭한다면 폴(65,66,67)은 제2폴 홀딩스프링(71)을 전향시킨다. 이러한 간섭의 경우에 있어서, 폴(65,66,67)은 핀(68)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선회한다. 따라서 이들 폴(65,66,67)은 맞물림 래칫톱니(T)로부터 확실하게 맞물림해제된다.
다음에, 입력축 내부쪽으로 밀려진 상태의 구동스핀들(3)은 구동스핀들 회전각도 제어시스템에 의해 90°각도의 일체의 배수를 통하여 회전된다. 분할테이블(32)이 본 발명에 의해 30°분할회전할 경우, 구동스핀들(3)은 7.5회전된다. 이 회전은 클러치(4,15)를 통하여 전달되어 입력축(14)을 7.5회전시킨다. 이 회전은 구동기어(16)와 회동기어(28)를 통하여 또한 전달된다. 이에 의해 워엄축(20)은 1/2.25 회전한다. 이 회전은 워엄(24)과 분할기어(33)를 통하여 또한 전달된다. 따라서 이에 의해 분할테이블(32)은 1/40 더 회전되는데, 즉 30°분할회전한다.
그러나, 구동스핀들(3)의 회전제어에 있어서 필연적인 에러가 있다. 이것은 워엄축(20)의 회전에 있어서 전진 또는 지체의 상승을 유발해서, 이에 의해 보정용 로타리 맞물림노치중의 하나가 보정핀(44)에 정확하게 직면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약간의 이탈이 원주방향으로 발생한다. 구동스핀들(3)이 워엄축(20)의 분할회전 후 입력축(14)으로부터 떨어져 상승하여 분리될 때, 입력축(14)은 지지슬리브(11)와 함께 스프링(17)의 힘에 의해 상승된다. 이에 의해 슬라이더(52)는 상승하고 캠종동부(46)는 캠홈(47a)에 의해 안내된다. 따라서, 보정핀(44)의 내부끼워맞춤부(44a)는 보정용 로타리 맞물림노치(41)내로 끼워맞춤된다. 이 내부끼워맞춤의 시작에서, 내부끼워맞춤부(44a)의 모따기부분(44b)에 합치되는 맞물림노치(41)의 모따기부분(41a)은 구동기어(28) 즉 워엄축(20)이 보정분할위치로 보정회전이 되게 하여, 이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이 보정회전의 결과로, 분할테이블(32)은 정확하게 회전되어 정확하게 30°회전된 위치에 이르게 된다. 분할하기전 선(L)상에 있는 래칫톱니(61a)는 맞물림 래칫톱니(T)가 되는 제10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보정회전 및 워엄축(20)의 보정회전멈춤은 수행된다. 바로 이 다음에, 상승한 슬라이더(52)의 가압작동 캠표면(82a)은 폴홀더(62)의 가압캠표면(81a) 과 맞물림한다. 이에 의해 폴홀더(62)는 폴(65,66,67)과 함께 래칫휠(61)쪽으로 선회된다. 폴 및 래칫휠의 이 선회운동 동안의 가압 바로 직전의 상태를 제10A도에 나타내고 있다. 이 순간, 폴(66)의 원단부(66a)는 맞물림 래칫톱니(T)의 반경방향으로 맞물림표면(T2)의 바로 전방에 위치되어 있다. 폴(65)의 원단부(65a)는 맞물림 래칫톱니(T)의 대향표면(T1)상에 있다. 그런 다음, 폴홀더(62)가 스프링(17)의 스프링힘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더 선회될 때, 폴(66)의 원단부(66a)는 맞물림 래칫톱니(T)와 맞물려서, 이에 대항하여 제1폴 홀딩 스프링(69)에 의해 가압된다. 맞물리지 않은 다른 폴등(65,66)은 제1폴 홀딩스프링(69)에 의해 다음 래칫톱니(61a)의 표면(T3) 및 표면(T1)상에 각각 유지된다.
폴(66)이 래칫휠(61)의 톱니(T)와 맞물리는 방식으로, 스프링(17)힘 하에서 작동하면서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R)으로 래칫휠(61)에 회전토크를 부여한다. 결과적으로, 분할기어(33)의 기어톱니면(33a)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엄(24)의 워엄톱니면(24a)에 대항하여 가압되어서, 이에 의해 분할테이블(32)을 위치시킨다. 따라서 워엄(24)은 회전에 대항하여 잠금된다. 또한 분할위치가 정확하게 보정된다. 분할기어(33)가 이 워엄톱니면(24a)(제1도)에 대항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위치결정할 때에 워엄톱니면(24a)과 기어톱니면(33a)사이에서 미끄럼 또는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폴(65,66,67)의 원단부에서 약간의 마찰마모가 생겨도, 기준으로 워엄축(20)을 기초로 하여 정확도 높게 위치결정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분할테이블(32)이 제10A도에 나타내어진 상태로부터 입력축(14)의 회전에 의해 1°되돌려진다. 이 경우, 맞물림 래칫톱니(T)는 제9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L)과 29°의 각도를 형성하는 분할위치를 취한다고 한다. 이 시점에서 폴(65)의 원단(65a)은 표면(T2)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다. 폴홀더(62)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52)의 상승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될 때, 폴(65)은 맞물림 래칫톱니(T)와 맞물려 회전토크를 화살표방향(R1)(제9B도)으로 래칫휠(61)에 부여하고 이 상태를 유지한다. 그래서 분할기어(33)의 기어톱니면(33a)은 워엄톱니면(24a)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이에 의해 위치결정된다. 맞물림되지 않은 나머지 폴(66,67)은 폴홀딩스프링(69)에 의해 표면(T3)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분할테이블(32)이 제10A도에 나타난 바와 같은 상태로부터 1°전진될 때, 맞물림 래칫톱니(A) 는 제1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선(L)에 관계하여 31°에서 분할위치를 취한다고 한다. 이 시점에서, 폴(67)의 원단부(67a)는 표면(T2)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다. 폴홀더(62)의 선회결과로, 폴(67)은 맞물림 래칫톱니(T)와 맞물림한다. 그런 다음 폴(6)은 래칫휠(61)에 화살표방향(R2)으로 회전토크를 부여한다. 그래서 위치결정이 이루어진다. 맞물리지 않은 폴(65,66)은 표면(T1)에 대항하여 가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할장치에 있어서, 분할용 위치결정은 분할휠(61)주위에 형성된 래칫톱니(61a)의 원주방향으로 각도상 간격을 더욱 더 정교하게 나눔으로써 얻어지는 위치에서 가능하다. 따라서 래칫톱니(61a)사이의 각도상 간격은 이들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래칫톱니의 제작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가공작동 동안에,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위치결정된 분할테이블(32)은 가공작동 때문에 테이블축(30)에 대한 모멘트에 의해 지배된다. 그러나, 제1도에서 화살표방향(M1)인 모멘트는 분할기어(33)의 기어톱니면(33a)이 워엄(24)의 워엄톱니면(24a)에 대항하여 가압하기 때문에 워엄톱니면(24a)에 의해 지탱된다. 한편, 대향된 방향으로 모멘트(M2)가 부여되었을 때, 이 모멘트는 래칫톱니(61a), 폴(65,66,67), 핀(68), 가압캠표면(81a), 가압작동캠표면(82a), 그리고 슬라이더(52)를 통하여 전달되어 시트(48)의 측벽(48a)(제2도)에 의해 지탱된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래칫폴은 한번에 한개씩 작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특징에 구애받지 않는다. 단 한개의 폴이 래칫톱니와 맞물리는 한, 이 장치는 만족하게 작동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폴이 사용되어, 래칫톱니 사이의 각도상 간격이 3°로 맞추어지고, 이에 의해 최소분할각도 1°를 얻었다. 그러나 폴의 숫자가 증가된다면, 래칫 사이의 각도상 간격이 증가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워엄축은 입력축에 의해 분할회전되게 구동되지만, 워엄축의 상단부는 몸체구조물의 외부로 연장되어, 워엄축의 이 외부로 연장된 부분은 클러치로 구비될 수 있다.
또 가능한 수정은 분할장치 이 자체가 분할하는 모터를 가지는 구성인데, 이에 의해 워엄축이 분할회전되게 구동된다. 제12도에 도시된 이 수정은 몸체(10)가 있고, 이 위에 로타리축(102)을 가진 분할모터(103)가 장착되어 있다. 축(102)은 분할테이블(32)이 모터(10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워엄축의 (20)의 끝에 커플링되어 있다. 몸체구조물(10)은 전기구동수단(105)을 가지고 있어서 보정핀(44)을 이동시킨다. 구동수단은 너트(109)와 스크류 맞물림상태에 있는 출력스크류축(108)을 가진 전기모터(107)이다. 너트(109)는 가이드(106)를 따라 이동가능한 미끄럼부재(110)에 의해 유지된다. 미끄럼부재(110)는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 도시되어 설명된 커플링부재(54)에 연결된 슬라이더 로드(11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르면, 워엄축은 분할기어에 의해 분할테이블 회전시키도록 회전된다. 워엄축의 회전이 멈추고, 회전토크가 위치결정장치의 수단으로 분할테이블에 부여되어, 이에 의해 분할기어의 기어톱니표면은 워엄축의 워엄톱니면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유지되어 회전이 멈추어진다. 이러한 연유로, 미끄럼 위치결정핀 타입의 분할장치와 비교해 볼 때 워엄톱니와 분할기어톱니 사이의 미끄럼 동작으로 인한 마찰마모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오랜기간에 걸쳐 워엄축을 기초로 하여 높은 정확도의 위치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할장치의 몸체구조물상에 지지된 복수의 래칫폴중의 단 하나만이 분할테이블의 테이블축상에 장착된 래칫휠의 래칫톱니 사이의 각도상 간격을 동일한 분배로 나눈 위치에서 래칫휠의 래칫톱니에 대항하여 가압하고 또한 이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래칫톱니 사이의 각도상 간격이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증가할 때에도, 래칫톱니 사이의 각도상 간격보다 작은 간격으로 정교한 분할위치에서 위치결정하는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워엄축에 수직한 보정핀이 몸체구조물의 일부분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워엄축에 수직한 원형상에서 피동기어의 일부둘레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보정용 복수의 로타리 맞물림노치중의 하나와 맞물리고 밖으로 후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돌출부가 워엄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분할장치와 비교해 볼때, 워엄축의 단부의 이동을 위한 큰 공간간격은 불필요하며, 또한 워엄축방향으로 분할장치의 크기가 축소될 수 있다. 그래서 전체 분할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다.
Claims (15)
- 분할장치의 구성요소를 지지하기 위한 몸체구조물; 몸체구조물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테이블축; 테이블축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분할테이블; 몸체구조물상에서 테이블축에 수직하게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체상에 형성된 워엄을 가지고 있는 워엄축; 분할테이블에 동축적으로 그리고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상기 워엄과 맞물림되는 분할기어; 몸체구조물에서 축선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그리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맞물림된 기어에 의하여 워엄축에 커플링되는 입력축; 공작기계의 구동스핀들을 입력축에 맞물림해제 가능하게 커플링하여 이에 의해 입력축 및 워엄축을 통하여 구동스핀들의 회전을 전달하여서 분할테이블을 분할회전되게 구동하는 클러치수단; 분할테이블의 위치결정 이전에, 몸체구조물에 관계하여 워엄축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멈추도록 작동하는 보정수단; 및 워엄축의 회전이 멈춘후, 분할테이블에 회전토크를 부여하여 이에 의해 분할기어의 기어톱니면이 워엄의 워엄톱니면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유지되도록 작동하는 위치결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복수의 래칫톱니가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테이블축에 동축적으로 그리고 일체적으로 고정된 래칫휠; 래칫톱니와 맞물림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래칫폴수단; 몸체구조물상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래칫폴수단을 지지하며, 이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되어 래칫톱니와 맞물림하고 또는 래칫톱니로부터 맞물림해제하는 래칫폴홀더; 및 워엄축이 회전을 멈추게 된 후, 래칫폴수단을 작동시켜서 래칫휠의 래칫톱니를 대항하여 가압해서 유지하고 이에 의해 회전토크를 한쪽방향으로 분할테이블에 부여하도록 작동하는 래칫폴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래칫폴 가압수단은 래칫폴 홀더의 일부분상에 형성된 피동캠표면; 몸체구조물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고, 입력축과 함께 미끄럼이동하기 위해 입력축에 커플링되어 있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일부분상에 형성되고, 구동스핀들에 의해 야기되는 입력축의 축선이동에 의해 슬라이더가 미끄럼이동되게 구동될 때 상기 피동캠표면을 가압하도록 작동되어서, 이에 의해 래칫폴 홀더상에 지지된 래칫폴수단이 래칫톱니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작동 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폴수단은 분할폴 홀더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폴수단은 래칫폴수단과 래칫폴 홀더 사이에 내재된 폴홀딩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폴수단은 복수개의 래칫폴을 포함하고, 래칫톱니는 특정각도상 간격의 일정한 간격으로 래칫휠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복수의 래칫폴중 단 하나만이 래칫폴의 전체 갯수에 의해 상기 각도상 간격을 동일하게 나눔으로써 결정되는 위치에서 분할된 래칫톱니와 맞물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3항에 있어서, 래칫폴 홀더의 다른 부분상에 형성된 제2피동캠표면; 및 슬라이더의 다른 부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가 입력축의 축선이동에 의해 역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구동될 때, 래칫폴수단이 래칫톱니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피동캠표면을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해제작동캠수단으로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워엄축에 수직이며 축선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몸체구조물내에 지지되어 있는 보정핀; 및 워엄축에 동축적으로 그리고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워엄축에 수직하며 원형을 이루어 둘레에 형성되며 각각이 보정핀에 의해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되는 기능을 하는 보정용 복수의 로타리 및 맞물림노치를 가진 로타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보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몸체구조물; 몸체구조물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테이블축; 테이블축에 동축적으로 고정된 분할테이블; 몸체구조물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자체상에 형성된 워엄을 가지고 있는 워엄축; 분할테이블에 동축적으로 그리고 일체적으로 고정되며 워엄과 맞물림되는 분할기어; 워엄축을 회전시켜 이에 의해 분할테이블이 분할회전되게 하는 수단; 분할테이블의 분할작동 이전에 워엄축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회전보정수단; 및 워엄축의 회전이 멈춘후, 분할테이블에 회전토크를 부여하여 분할기어의 기어톱니면이 워엄의 워엄톱니면에 대항하여 가압되어 유지되도록 작동하는 위치결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수단은 복수의 래칫톱니가 둘레에 형성되어 있고 테이블축에 동축적으로 그리고 일체적으로 고정된 래칫휠; 래칫톱니와 맞물림해제 가능하게 맞물리는 래칫폴수단; 몸체구조물상에 피벗식으로 지지되어 래칫폴수단을 지지하며, 이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되어 래칫톱니와 맞물림하고 또는 래칫톱니로부터 맞물림해제하는 래칫폴 홀더; 및 워엄축이 회전을 멈추게 된 후, 래칫폴수단을 작동시켜서 래칫휠의 래칫톱니를 대항하여 가압해서 유지하고 이에 의해 회전토크를 한쪽방향으로 분할테이블에 부여하도록 작동하는 래칫폴 가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래칫폴 가압수단은 래칫폴 홀더의 일부분상에 형성된 피동캠표면; 구동수단에 의해 미끄러지게 구동되기 위해 몸체구조물에 의해 미끄럼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슬라이더; 및 슬라이더의 일부분상에 형성되고, 슬라이더가 미끄럼이동되게 구동될 때 상기 피동캠표면을 가압하도록 작동되어서, 이에 의해 래칫폴 홀더상에 지지된 래칫폴수단이 래칫톱니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하는 가압작동 캠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폴수단은 래칫폴 홀더상에 피벗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래칫폴수단은 래칫폴수단과 래칫폴 홀더 사이에 내재된 폴홀딩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폴수단은 복수의 래칫폴을 포함하고, 래칫톱니는 특정각도상 간격의 일정한 간격으로 래칫휠 둘레에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복수의 래칫폴중 단 하나만이 래칫폴의 전체 갯수에 의해 상기 각도상 간격을 동일하게 나눔으로써 결정되는 위치에서 분할된 래칫톱니와 맞물림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래칫폴 홀더의 다른 부분상에 형성된 제2피동캠표면; 및 슬라이더의 다른 부분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가 역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되게 구동될 때, 래칫폴수단이 래칫톱니로부터 떨어져 이동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2피동캠표면을 가압하도록 작동되는 해제작동캠수단으로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수단은 워엄축에 수직이며 축선방향으로 전진 및 후퇴할 수 있도록 몸체구조물내에 지지되어 있는 보정핀; 및 워엄축에 동축적으로 그리고 일체적으로 고정되고, 워엄축에 수직하여 원형을 이루어 둘레에 형성되며 각각이 보정핀에 의해 맞물림 및 맞물림해제되는 기능을 하는 보정용 복수의 로타리 및 맞물림노치를 가진 로타리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회전보정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9537893A JP3285164B2 (ja) | 1993-03-29 | 1993-03-29 | 割出装置 |
JP93-95378 | 1993-03-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40021190A KR940021190A (ko) | 1994-10-17 |
KR970008477B1 true KR970008477B1 (ko) | 1997-05-24 |
Family
ID=14135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40006249A KR970008477B1 (ko) | 1993-03-29 | 1994-03-28 | 분할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481944A (ko) |
JP (1) | JP3285164B2 (ko) |
KR (1) | KR9700084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9174B1 (ko) * | 2015-01-30 | 2015-06-19 |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 회전테이블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220116B1 (en) | 1999-11-01 | 2001-04-24 | Michael V. Warner | Rotary indexing table |
US6619895B1 (en) * | 2000-06-06 | 2003-09-16 | David L. Durfee, Jr. | Machine spindle actuating indexing unit |
US6328508B1 (en) | 2000-08-02 | 2001-12-11 | Arnold R. Jines | Indexing device for a machine tool |
US20120180584A1 (en) * | 2011-01-13 | 2012-07-19 | Weiss Gmbh Sondermaschinentechnik | Pivotal drive |
CN104308563A (zh) * | 2014-08-29 | 2015-01-28 | 河南众弘机械制造有限公司 | 等分分度夹具 |
CN107052404A (zh) * | 2016-12-30 | 2017-08-18 | 苏州市职业大学 | 一种轴套类零件通用钻模 |
DE102018213226B4 (de) * | 2018-08-07 | 2022-03-17 | Deckel Maho Pfronten Gmbh | Ausrichtvorrichtung zum Justieren eines Werkstücks auf einem Maschinentisch einer numerisch gesteuerten Werkzeugmaschine |
JP6551854B1 (ja) * | 2018-10-03 | 2019-07-31 | 川田鉄工株式会社 | マシニングセンタのインデックス装置 |
CN109483324A (zh) * | 2018-11-29 | 2019-03-19 | 上海骄成机电设备有限公司 | 一种直线运动转分度运动的装置 |
CN109434561A (zh) * | 2018-12-26 | 2019-03-08 | 大连恒基数控机床有限公司 | 一种定等分分度装置 |
CN110315148B (zh) * | 2019-07-08 | 2020-04-14 | 安徽国防科技职业学院 | 一种链刀齿轮加工数控机床的转台分度传动机构 |
CN112548574A (zh) * | 2020-12-24 | 2021-03-26 | 山东中际智能装备有限公司 | 一种定子扭转并焊接的设备 |
DE102021117229A1 (de) * | 2021-07-05 | 2023-01-05 | Lang Technik Gmbh | Spann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andhabung eines Werkstücks |
CN114055248B (zh) * | 2021-11-22 | 2022-10-21 | 江西圣卓科技有限公司 | 一种压电驱动的微小型分度盘及其控制方法 |
CN114310359A (zh) * | 2021-12-24 | 2022-04-12 | 昆山市华霆精密机械有限公司 | 高精密定位转盘及其加工工艺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24291A (en) * | 1971-03-29 | 1973-04-03 | Blond Inc Le | Positioning apparatus |
JP3061209B2 (ja) * | 1991-05-24 | 2000-07-10 | 豊和工業株式会社 | 割出装置 |
JP2904368B2 (ja) * | 1991-05-24 | 1999-06-14 | 豊和工業株式会社 | 割出装置の位置決め装置 |
JP3061210B2 (ja) * | 1991-05-24 | 2000-07-10 | 豊和工業株式会社 | 割出装置の補正機構 |
-
1993
- 1993-03-29 JP JP09537893A patent/JP3285164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
- 1994-03-24 US US08/217,250 patent/US548194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4-03-28 KR KR1019940006249A patent/KR9700084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9174B1 (ko) * | 2015-01-30 | 2015-06-19 | 주식회사 삼천리기계 | 회전테이블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06277985A (ja) | 1994-10-04 |
US5481944A (en) | 1996-01-09 |
KR940021190A (ko) | 1994-10-17 |
JP3285164B2 (ja) | 2002-05-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70008477B1 (ko) | 분할장치 | |
US4570313A (en) | Spindle lock-up device | |
US5320469A (en) | Can seamer | |
US4637285A (en) | Automatic feed device for a facing head | |
US4581917A (en) | Forming disc exchanging method and apparatus | |
JPS6159809B2 (ko) | ||
US20070199415A1 (en) | Material Guide Device And Automatic Lathe | |
JPH04348846A (ja) | 割出装置 | |
JPH035922B2 (ko) | ||
US3037409A (en) | Center adjusting device | |
US2972912A (en) | Gear cutting machine with work spindle positioning means | |
JPH071224A (ja) | 数値制御ブローチ盤 | |
KR910001098Y1 (ko) | 탭 호울더 | |
JPH0453602A (ja) | 工作機械のヘッド | |
JPH1053374A (ja) | 折りたたみ胴上のトルクが負荷される機構に前負荷を印加する装置 | |
JP3290217B2 (ja) | 一方向クラッチを利用した工作機械の割り出し装置 | |
JP3061210B2 (ja) | 割出装置の補正機構 | |
JPH06277986A (ja) | 割出装置の補正装置 | |
JPH0192054A (ja) | 回転割出しテーブル装置 | |
JPS6216248Y2 (ko) | ||
JPH04348848A (ja) | 割出装置の位置決め装置 | |
JPS60255353A (ja) | 刃物台等の割出装置 | |
JPS6122747Y2 (ko) | ||
JPH079208A (ja) | Nc旋盤の割出し刃物台 | |
JPS5822299B2 (ja) | 工具等の保持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41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