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625B1 - 기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625B1
KR970007625B1 KR1019920015905A KR920015905A KR970007625B1 KR 970007625 B1 KR970007625 B1 KR 970007625B1 KR 1019920015905 A KR1019920015905 A KR 1019920015905A KR 920015905 A KR920015905 A KR 920015905A KR 970007625 B1 KR970007625 B1 KR 970007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recording
power
recording apparat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788A (ko
Inventor
토모아끼 마사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02Handling the output data
    • G06K2215/0005Accepting output data; Preparing data for the controlling system
    • G06K2215/0017Preparing data for the controlling system, e.g. status, memory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22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 G06K2215/0082Architecture adapted for a particular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Ink Jet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 Cabl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기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기록헤드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I/F회로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I/F회로의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잉크제트 기록장치의 제어부의 블록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변형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제12도는 자동적으로 전원을 오프하는 경우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 캐리지 17, 116 : 캐리지모터
20, 114 : 기록헤드 21 : 잉크제트헤드카트리지
26 : 헤드회복장치 101 : CPU
102 : RAM 103 : ROM
104 : I/F회로 105, 107 : 입력제어회로
106 : 출력제어회로 108 : 헤드구동회로
109, 110 : 모터구동회로 113 : 파워스위치
117 : 전력공급회로 119 : I/F전력제어회로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록장치(이하 프린터라 칭함)의 전원스위치(파워스위치)는, 전원공급회로용의 스위치이며, 프린터 전원이 온상태일 때에는 프린터의 제어회로에 전력이 공급되고,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일 때에는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었다.
(1) 전원을 온상태로 한때에는, 캐리지가 절대위치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다(홈위치 검출).
(2) 전원이 오프상태일 때에는 기록헤드의 고착을 방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전원을 온상태로 한때에 기록헤드의 회복제어가 필요하다.
(3) 전원을 온상태로 할 때마다 헤드의 회복제어가 필요하므로, 전원의 온/오프 조작을 반복하면 잉크의 소비량이 증가한다.
(4) 전원을 온상태로 한때에 용지의 배출이나 헤드를 캐핑(capping)하는 등의 파워오프 시퀀스를 행하면, 파워오프 시퀀스가 완료할 때까지 전원공급을 정지하지 않도록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특별한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파워스위치에 의한 프린터의 온/오프 절환을, 전력공급회로의 온/오프로 절환하는데 사용하지 않고 인쇄 가능 상태와 인쇄 불가능 상태로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프린터 전원의 온/오프 절환을 전력공급회로의 온/오프 절환에 사용하는 대신에 인쇄 가능 상태와 인쇄 불가능 상태로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프린터 전원의 오프상태 동안에도 인터페이스 신호가 유효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인터페이스 신호에 따라 호스트컴퓨터는 프린트데이터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프린터 전원의 온/오프 상태가 전력공급회로의 온/오프 상태에 대응하는 프린터의 경우,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일때는 프린터축의 인터페이스 신호가 로(low)레벨, 또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특히 프린터축으로부터 호스트축으로 송신되는 프린터가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BUSY신호(액티브일때에는 데이터를 받아들일 수 없다). 오프라인 상태 또는 어떠한 장애가 발생한 것을 표시하는 ERROR신호 또는 용지가 없는 것을 표시하는 PE신호등의 데이터를 프린터가 받아들이지 않는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라인은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호스트측에서 풀업(pull up)되어 있으면 신호라인을 하이레벨, 풀다운(pull down)되어 있으면 로레벨로 된다.
따라서,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일때에, 호스트측은, BUSY신호, ERROR신호 또는 PE신호가 액티브로 되도록 신호라인을 풀업 또는 풀다운시켜, 데이터가 프린터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프린터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전력공급회로의 온/오프 절환에 사용하는 대신 인쇄 가능 상태 및 인쇄 불가능 상태를 제어하는데 사용하는 경우, 프린트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프린터측의 제어회로에는 전력이 공급되므로, BUSY신호, ERROR신호 및 PE신호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되지 않아, 호스트측으로부터 프린트 데이터가 송신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개선된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록데이터의 착오전송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워스위치 수단의 온/오프 상태에 관계없이 제어수단에 전력공급이 행해지며, 기록장치가 데이터를 받아들이지 않는 것을 표시하는 제어신호는 파워스위치가 오프상태일때에 액티브 또는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워스위치 수단의 오프상태에 있어서, 호스트측으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면 온상태로 절환되어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워스위치 수단의 오프상태에 있어서, 호스트측으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면 데이터를 메모리수단에 기억하고, 기록장치가 온상태로 절환된 후 상기 기억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IJH(20)는 열에너지에 의해 발생된 기포에 의해서 잉크를 기록지에 배출하는 잉크제트헤드(기록헤드), IJC(21)는 IJH(20)과 일체이고 이것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탱크 IT를 구비한 탈착가능한 잉크제트헤드카트리지이다.
제1도의 사시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잉크제트헤드카트리지 IJC에 있어서, 잉크제트헤드 IJH의 선단부는 잉크탱크 IT의 앞면으로부터 약간 돌출되어 있다. 잉크제트헤드카트리지 IJC는 후술하는 잉크제트기록장치본체 IJRA에 장착된 캐리지 HC에 고정됨과 동시에, 이 캐리지 HC에 대해서 탈착가능하게 되어 있다.
잉크제트헤드 IJH에 공급되는 잉크를 저장하는 제1잉크탱크 IT(10)는, 잉크흡수체와, 이 잉크흡수체를 삽입하기 위한 용기와, 이 용기를 밀봉하는 덮개(이들 부재는 모두 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잉크 탱크 IT(10)속에는 잉크가 충전되어 있으며, 잉크가 배출됨에 따라서 잉크제트헤드로 잉크를 공급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천장판(4)은 내잉크성이 우수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또는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잉크제트헤드카트리지 IJC는, 후술하는 잉크제트 기록장치 IJRA의 캐리지 HC상에 소정의 방법으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서, 소정의 기록신호의 입력에 따라 캐리지 HC와 기록지 사이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기록지상에 소망의 화상을 기록한다.
제2도는 상기 기구를 구비한 잉크제트기록장치의 외관사시도이다.
(20)은 후술하는 용지반송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반송수단에 의해 플래튼(24)상에 반송된 기록지의 기록면에 잉크를 배출하는 노즐을 구비한 잉크제트헤드카트리지 IJC의 잉크제트헤드(기록헤드)이다. (16)은 기록헤드(20)를 유지하는 캐리지 HC이며, 캐리지모터(17)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18)의 일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안내축(19A), (19B)과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되어 기록헤드(20)가 기록지의 전체폭에 걸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기록헤드(20)에 의해 1라인분의 데이터가 기록되면, 기록지는 소정량 반송되어 그 다음 라인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26)은 기록헤드(20)의 이동경로의 일단부, 예를 들면 홈위치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헤드회복장치이다. 이 헤드회복장치(26)는 전동기구(23)를 개재한 회복모터(22)의 구동력에 의해서 동작되어 기록헤드(20)를 캐핑한다. 이 헤드회복장치(26)의 캡(26A)에 의한 기록헤드(20)의 캐핑과 관련시켜서, 헤드회복장치(26)내에 설치된 적당한 흡인수단(예를 들면, 흡인펌프)에 의해 잉크를 흡수하여 잉크를 배출구로부터 강제로 배출(아이들(idle)배출)시킴으로써 배출구내의 점도가 증가된 잉크를 제거하여 배출회복처리를 행한다. 또, 기록동작 종료시에 캐핑에 의해 기록헤드를 보호한다. 이와 같은 배출회복처리는 전원투입시, 기록헤드 교환시 또는 일정시간이상동안 기록동작이 수행되지 않았을때에 수행된다.
(31)은 헤드회복장치(26)의 측면상에 배치되어, 실리콘고무로 형성된, 와이핑부재로서 기능하는 블레이드이다. 이 블레이드(31)는 블레이드유지부재(31A)에 의해 캔틸레버형태로 유지되어, 헤드회복장치(26)와 같이 모터(22) 및 전동기구(23)에 의해 동작하여, 기록헤드(20)의 배출면과 결합한다. 기록헤드(20)의 기록동작에 있어서의 적절한 타이밍에서 또는 헤드회복장치(26)에 의한 배출회복처리후에, 블레이드(31)는 기록헤드(20)의 이동경로속으로 돌출되어 헤드(20)의 이동에 따라서 헤드(20)의 배출면상의 결로, 습기 또는 먼지등을 닦아낸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프린터의 제어블록도이다. CPU(101)는 ROM(103)내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모터구동회로(109), (110) 및 헤드구동회로(108)를 통해서 용지반송모터(115), 캐리지모터(116)(제2도의 (17)에 상당) 및 기록헤드(114)(제2도의 (20)에 상당)를 제어해서 기록데이터를 인쇄한다. 이 기록데이터는, 호스트컴퓨터로부터 I/F회로(104)를 통해서 수신되어 RAM(102)내의 수신버퍼에 일시로 저장된 후 CPU(101)에 의해서 판독되어 비트전개 또는 각종 인쇄제어를 행한다. 또, 키보드(111)로부터의 입력정보도 입력제어회로(105)를 통해서 CPU(101)로 전달되어, 기록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출력제어회로(106)를 통해서 LED(112)의 표시를 변경하라. 또한, 본 프린터는 별도의 파워스위치(113)를 지니고 있으며, 이 파워스위치(113)의 상태를 입력제어회로(107)를 통해서 CPU(101)에 알린다.
또, 본 프린터의 전력공급회로(117)에는, 항상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있으며, 프린터제어에 필요한 각종 전압 Vcc(논리회로동작용), VM(모터구동용) 및 VH(헤드구동용)를 출력하고 있다.
본 제어회로에는 리세트회로(118)가 내장되어 있으며, 프린터가 새롭게 외부전원에 접속된 때 또는 외부전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이 일단 중지된 후 재개된 때에는, 본 프린터에 전력이 공급되는 동시에 시스템이 리세트되어 CPU(101) 및 제어회로가 초기화된다.
제4도는 I/F(104)의 상세도이다. (104-1)은, CPU(101)로부터의 데이터에 응해서 각 신호선(104-4)을 하이레벨 또는 로레벨로 하기 위한 신호를 드라이버(104-2)에 출력하고, 호스트측으로부터 신호선(104-5)을 통해서 리시버(140-3)에 입력되는 신호에 응해서 CPU(101)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I/F신호송수신 제어회로이다.
또, I/F회로(104)에는 전력공급회로(117)로부터 전압 Vcc가 공급되며, 이 전압 Vcc의 공급이 정지한 경우에는, 드라이버(104-2)의 출력은 하이임피던스 상태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스위치(113)를 오프상태로 한 경우에도 전력공급회로(117)로부터 각 부하에의 전압 Vcc, VM 및 VH의 공급은 오프로 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스위치(113)를 오프상태로 한 경우, 프린터측이 데이터를 받아들이지 않는 상태인 것을 표시하는 신호(BUSY신호, ERROR신호 및 PE신호)중 적어도 1개를 액티브상태로 해서 호스트컴퓨터측으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하, 제5도를 참조하면서 프린터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스텝 S1에서, 파워스위치검출 시퀀스를 개시한다. 스텝 S2에서, 전원스위치가 눌려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파워스위치(113)는 온/오프형 스위치이어도 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스위치(113)가 파워오프 상태로 눌려있을때는 파워온으로 되고, 파워스위치(113)가 파워온 상태에 눌려 있을때는 파워오프로 되는 바와 같은 제어회로를 이용한다. 스텝 S2에서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진 것이 검출되면, 스텝 S3에서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를 판단한다. 만약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지기 전의, 상태가 파워온 상태이면, 사용자는 파워오프를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스텝 S4로 진행하여 I/F신호를 받아들이지 않도록 BUSY신호를 액티브상태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BUSY신호는 설명하였으나, BUSY신호, ERROR신호 및 PE신호등과 같이 프린터가 데이터를 받아 들이지 않는 상태인 것을 호스트측에 표시하는 신호중의 적어도 1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텝 S4가 종료한 후 스텝 S5로 진행하여, LED의 표시를 소등하고 사용자에게 파워오프 상태인 것을 알린다. 또, 스텝 S6에서, 기록헤드에 잉크의 고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록헤드(20)를 캐핑위치로 이동시켜 캡(26A)에 의해 기록헤드를 캐핑한다. 또, 이 순서도에는 기재하지 않았으나, 캐핑과는 별도로 통상 파워오프 시퀀스라 불리우는 일련의 동작(용지의 배출등)을 또한 행한다. 스텝 S7에서는,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진 것을 감지한다. 스텝 S3에서 이전의 상태가 파워오프 상태이거나, 스텝 S7에서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져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파워온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므로, 스텝 S8에서 LED를 점등하여 파워온 상태를 알린다. 스텝 S9에서, I/F신호의 BUSY신호(파워오프시에 액티브한 신호)가 디액티브 상태로 된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딥 스위치(dip switch)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정보를 판독하여 호스트로부터 프린트 데이터가 송신된 것을 감시한다(스텝 S10).
본 실시예에서는 기존의 I/F신호를 이용해서 제어를 행하고 있으나, 특정 프린터에 대해서는 프린터 전원의 온/오프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별도로 준비해서 마찬가지로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오프일 때 특정신호(BUSY신호)를 액티브상태로 하여 호스트컴퓨터에 대해서 프린터가 데이터를 받아 들이지 않는 것을 표시하였으나, 제2실시예에서는 특정신호(본 실시예에서는 BUSY신호)를 하이임피던스(또는 오프상태)로 함으로써 프린터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것과 같은 상태로 해서 호스트컴퓨터가 프린터의 전원이 오프인 것을 감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6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I/F회로(104)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4도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가하였으며, (104-6)은 BUSY신호를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하는 출력제어기능을 지닌 드라이버이다. 제어신호(a)가 로레벨일때에는, 내부신호(b)가 유효로 되며, 신호(a)가 하이레벨일 때는 BUSY신호선이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제7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스텝 S201∼S203, S205∼S208 및 S210은 제5도의 스텝 S1∼S3, S5∼S8 및 S10과 마찬가지이며,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지면, 이전의 상태가 파워온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진행하여 제어신호(a)를 하이레벨로 하고, 신호선을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한다.
또,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진때 그 이전상태가 파워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208을 거쳐서 스텝 S209로 진행하여, 제어신호(a)를 로레벨로 하여 BUSY신호를 유효상태(디액티브상태)로 한 후 스텝 S210으로 진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프린터의 제3실시예의 제어블록도이다. 제3도와 동일한 번호를 부가하였다. (119)는 I/F회로(104)에 대한 전력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I/F전력제어회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I/F회로(104)용의 전원을, 그외의 제어회로용의 전원과 분리하고, I/F전력제어회로(119)는, I/F회로(104)의 전원을 파워스위치(113)에 의한 프린터 전원이 오프일 때 차단(전력공급을 정지)하고 CPU(101)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I/F회로(104)에의 전력공급을 제어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I/F회로(104)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9도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설명한다.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진때 그 이전의 상태가 파워온 상태이면, I/F회로(104)에의 전력공급은 정지된다. 이것에 의해, BUSY신호선(104-4)은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그래서, LED를 소등하고, 파워오프 시퀀스를 수행한다. 그후,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진 것을 감시한다(스텝 S302∼S307).
파워스위치(113)가 눌려진때, 그 이전의 상태가 파워오프 상태이면, I/F회로(104)에의 전력공급을 재개하여 프린트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를 한다(스텝 S308∼S310).
본 실시예에서는, 파워스위치(113)에 의해 프린터가 오프상태인 경우, I/F회로(104)에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BUSY신호선을 하이임피던스 상태로 함으로써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송신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실시예는, 프린터의 전원이 오프일때에 호스트측으로부터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도록 특정한 제어신호를 제어하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인 때에도 호스트컴퓨터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어의 흐름을 제10도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S402에서, I/F회로(104)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스텝 S403에서, 프린터 전원이 온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파워스위치(113)의 상태를 체크한다. 만약 온상태이면, 수신된 데이터의 인쇄를 개시한다. 반면,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이면, 스텝 S405에서 프린터의 전원을 온상태로 하고, 스텝 S406에서 LED를 점등(파워온 시퀀스)한 후, 수신된 데이터의 인쇄를 개시한다(스텝 S404).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한 직후 프린터 전원이 온상태로 되어 인쇄를 개시하고 있으나, 프린터 전원이 오프이었을때는 용지가 바르게 세트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프린터의 수신버퍼가 허용하는 한 수신하고(스텝 S415), 수신버퍼에 데이터가 저장된 것을 LED에 의해 사용자에게 알리고(스텝 S416), 사용자가 파워스위치(113) 또는 기타 지정된 스위치를 누른 경우 프린터 전원이 온상태로 되어, 소정의 파워온 시퀀스후에 인쇄를 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수신후 t시간(예를 들면, 30분)이상 I/F회로(104)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을때에는 전원을 자동적으로 오프해서 전력소비를 절감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호스트측으로부터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동안의 시간을 RAM(102)의 타이머 영역에 설정된 타이머에 의해 계수한다. t시간(본 실시예에서는 30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602), 30분 이상 경과한 경우에는, 프린터 전원을 오프한다(스텝 S603).
이하,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호스트측으로부터 요구에 의해 인쇄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블록도는 제3도와 마찬가지이며,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일 때에는 통상은 호스트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다.
호스트로부터 프린터에 초기화를 지시하는 임프타임(imptime) 또는 이니셜신호선(Init)이 액티브로 되면, 자동적으로 프린터의 전원이 온상태로 되어 프린터는 프린트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제13도는 본 실시예의 제어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스텝 S502에서 호스트측으로부터 Init 신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수신한 경우, 스텝 S503에서 파워스위치(113)의 상태를 판단하고, 파워온 상태이면, 스텝 S504로 진행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인쇄한다.
스텝 S503에서 파워스위치(113)의 상태가 파워오프 상태이면 스텝 S505로 진행하여 프린터 전원을 온한다. 스텝 S506에서, LED를 점등하여 파워온 상태를 표시한 후, 스텝 S504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호스트로부터의 Init 신호에 의해 제어를 행하였으나, 호스트로부터 제어되는 다른 신호선에 의해 프린터가 제어되는 경우에는, 그 신호를 수신하여 프린터 전원을 온하고, 호스트측의 제어에 따르도록 프린터를 제어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제트 기록방법에 의해 화상을 기록하였으나, 감열지에 의한 감열기록 및 잉크시트에 의한 열전사기록등의 기타 기록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잉크제트 기록방법으로서 전기열 변환수단등의 열에너지발생수단에 의해 발생된 열에너지에 의해 잉크방울을 배출함으로써 화상을 기록하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압전소자를 사용하는 전기기계변환체등의 압력에너지발생수단을 이용하는 방법, 레이저등의 전자파를 잉크에 조사함으로써 날아 다니는 방울을 생성시키는 전자에너지발생수단을 이용하는 방법등의 기타 기록방식을 이용해도 된다. 그 중, 전기열변환체등의 열에너지발생수단을 이용하는 방법은, 배출구의 고밀도배열과 기록헤드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상기의 대표적인 구성 및 원리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723,129호 및 동 제4,740,79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소위 온디맨드형이나 연속형중의 어느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온디맨드형의 경우에는, 잉크가 유지되는 시트나 잉크경로에 대응해서 배열된 전기열변환체에, 핵비등을 초과하는 급속한 온도상승을 부여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전기열변환체에 열에너지를 발생시켜, 기록헤드의 열작용면에 핵비등을 일으킴으로써 이 구동신호에 1대 1로 대응한 잉크내에 기포를 형성한다. 이 기포의 성장 및 수축에 의해 배출구로부터 잉크를 배출하여 적어도 1개의 방울을 형성한다. 이 구동신호를 펄스형상으로 하면, 기포의 성장 및 수축이 즉시 수행되어 응답성이 높은 잉크의 배출이 달성된다.
이 펄스형상의 구동신호로서는, 미국특허 제4,463,359호 또는 동 제4,345,2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상기 열작용면의 온도상승율에 관한 미국특허 제4,313,124호에 기재되어 있는 조건을 채택하면, 보다 우수한 기록을 얻을 수 있다.
기록헤드의 구성으로서는 상기 미국특허에 개시되어 있는 배출구, 액로(잉크경로) 및 전기열변환체의 조합(직선형상의 액로 또는 직각액로)이나, 열작용수단이 굴곡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미국특허 4,558,333호나 동 제4,459,600호에 개시된 구성으로 해도된다.
또한, 공통슬릿을 전기열변환체의 배출부로서 사용하는 일본국 특개소 59-123870호나 열에너지의 압력파를 흡수하는 개구부를 배출부에 대응시키는 일본국 특개소 59-138461호 공보에 의거해서 구성해도 된다.
더욱이 기록장치가 기록할 수 있는 기록지의 최대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지닌 플라인형 기록헤드로서는, 상기 미국특허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기록헤드의 조합이나, 하나의 일체형 기록헤드로 구성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본체상에 장착함으로써 장치본체와의 전기적인 접속이나 장치본체로부터의 잉크의 공급이 가능한 교환가능한 팁형기록헤드, 또는 기록헤드자체에 일체적으로 잉크탱크가 설치된 카트리지형 기록헤드를 이용한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기록헤드에 회복수단이나 예비적인 보조수단을 부가하는 것은 본 발명의 효과를 더 한층 안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특히 기록헤드에 대해서는 캐핑수단, 클리닝수단, 가압 혹은 흡인수단, 전기열변환체 또는 기타 가열소자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예비적 가열수단, 기록 이외에 배선을 행하는 예비적인 배출로드등을 안정한 기록을 행하기 위하여 유효하다.
기록장치의 기록모드로서는, 흑색등의 주류색만을 사용하는 것 뿐만 아니라, 기록헤드를 일체적으로 구성하거나 복수개의 기록헤드를 조사시킴으로써 다른 색의 멀티컬러형 또는 색의 혼합에 의한 풀컬러형을 사용해도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액상의 잉크를 사용하였으나, 실온이나 그보다 낮은 온도에서 고체로 되고 실온에서 연화하거나 액체로 되는 것을 사용해도 되며, 또 잉크제트 기록장치에서는, 잉크는, 기록신호인 가시에 액화되는 것인 한 30∼70℃ 사이의 온도제어에 의해 잉크의 점도가 안정한 배출범위로 되도록 온도제어되면 된다.
또한, 열에너지에 의한 승온을 고체상태로부터 액체상태로의 잉크의 상태변화의 에너지로서 사용함으로써 승온을 방지하거나, 또는 방치상태에서 고체로 되는 잉크를 사용해서 잉크의 증발을 방지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기록신호에 응해서 열에너지에 의해 액화되고 이 액상잉크로서 배출되는 잉크나 기록지에 도달할 때 고체로 되기 시작하는 잉크등과 같이 열에너지에 의해서 액화되는 잉크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잉크는, 일본국 특개소 54-56847호 공보 혹은 일본국 특개소 60-7126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시트나 관통공에 액상 또는 고형물로서 유지된 상태에서 전기열변환체에 대향시키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각 잉크에 대해서 막비등방법을 실행하는 것이 가장 유효하다.
본 발명의 기록장치로서는, 워드프로세서나 컴퓨터등의 정보처리장치의 화상출력단말기로서 일체로 또는 별개로 설치된 것 외에, 판독기와 조합된 복사장치 또는 송수신기능을 지닌 팩시밀리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에 호스트측으로부터 프린터에 대해서 프린터데이터가 잘못 전송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2)

  1. 호스트측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에 응해서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기록수단(IJH)과; 상기 기록장치의 상태를 절환하는 스위칭수단(113)과, 상기 스위치수단은 데이터가 호스트측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상태와 데이터가 호스트측으로부터 수신될 수 없는 상태 사이에서 상기 기록장치의 상태를 절환하고; 상기 스위치수단의 절환동작에 관계없이 상기 기록장치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117)과; 상기 기록수단(IJH)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공급수단(117)에 의해 공급된 소정의 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제어수단(101, 102, 103)과,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전력공급수단이 상기 기록장치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할 때 상기 스위치수단의 절환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기록수단이 소정의 최초 공정을 실행하게 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상기 전력공급수단이 상기 기록장치에 소정의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소정의 제어신호(104-4)의 상태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소정의 전력에 의해 작동되는 설정수단(104-1)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제어신호는 상기 기록장치의 데이터가 호스트측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는 상태에 있는지 아닌지를 호스트측에 알리기 위하여 제1상태와 제2상태를 가지고, 상기 설정수단은 상기 스위치수단이 데이터가 호스트측으로부터 수신될 수 없는 상태로 상기 기록장치의 상태를 절환할 때 데이터가 수신될 수 없는 것을 호스트측에 알리기 위하여 제2상태에 소정의 제어신호의 상태를 설정하는,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기록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호스트에 알맞은 기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소정의 제어신호의 제1상태는 소정의 제어신호가 액티브인 것을 나타내고, 소정의 제어신호의 제2상태는 소정의 제어신호가 인액티브인 것을 나타내는 기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2상태는 소정의 제어신호의 상태가 액티브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기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제2상태는 소정의 제어신호의 상태가 하이임피던스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기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호스트측에 소정의 제어신호를 보내는 인터페이스수단과, 상기 인터페이스수단에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력제어수단은 소정의 제어신호의 상태가 하이임피던스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로 설정될 때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에 전력의 공급을 차단하는 기록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복수의 기록소자를 가지는 기록헤드와 기록매체에 대하여 상기 기록헤드를 이동시켜서 스캔기록을 행하는 스캔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기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수단에 의한 스캔기록후 소정량만큼 기록매체를 운반하는 운반수단을 포함하는 기록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기록매체위에 잉크방울을 배출하여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기록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잉크 속의 현상변화를 일으켜서 잉크방울을 배출하는 기록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복수의 기록소자를 가지는 기록헤드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최초공정은 상기 기록헤드의 기록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함인 기록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잉크방울을 배출해서 화상을 기록하고, 소정의 최초 공정은 상기 기록헤드의 잉크배출 상태를 기록하기 위함인 기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헤드는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잉크 속의 현상변화를 일으켜서 잉크방울을 배출하는 기록장치.
KR1019920015905A 1991-09-04 1992-09-02 기록장치 KR970007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4216A JP3058206B2 (ja) 1991-09-04 1991-09-04 記録装置
JP91-224216 1991-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788A KR930005788A (ko) 1993-04-20
KR970007625B1 true KR970007625B1 (ko) 1997-05-13

Family

ID=1681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905A KR970007625B1 (ko) 1991-09-04 1992-09-02 기록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52607A (ko)
EP (3) EP0531061B1 (ko)
JP (1) JP3058206B2 (ko)
KR (1) KR970007625B1 (ko)
AT (2) ATE174708T1 (ko)
AU (1) AU653055B2 (ko)
CA (1) CA2077171C (ko)
DE (2) DE69227871T2 (ko)
HK (1) HK1011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6051B2 (ja) * 1992-04-20 1998-05-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3229146B2 (ja) * 1994-12-28 2001-11-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噴射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0030B2 (ja) * 2001-02-28 2007-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割込み制御回路を有す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記録装置の制御方法
US8991972B2 (en) * 2010-11-17 2015-03-3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aintenance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9459A1 (de) * 1973-10-02 1975-04-03 Siemens Ag Fluessigkeitsstrahlschreiber
CA1127227A (en) * 1977-10-03 1982-07-06 Ichiro Endo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apparatus therefor
JPS5936879B2 (ja) * 1977-10-14 1984-09-06 キヤノン株式会社 熱転写記録用媒体
US4330787A (en) * 1978-10-31 1982-05-18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device
US4345262A (en) * 1979-02-19 1982-08-17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US4463359A (en) * 1979-04-02 1984-07-31 Canon Kabushiki Kaisha Droplet genera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US4313124A (en) * 1979-05-18 1982-01-26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process and liquid jet recording head
US4558333A (en) * 1981-07-09 1985-12-10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head
JPS5955533A (ja) * 1982-09-24 1984-03-30 Fujitsu Ltd 印刷装置のオンライン/オフライン切換方式
JPS59123667A (ja) * 1982-12-28 1984-07-17 Yoshimitsu Nagai スクリ−ン捺染機の大枠昇降装置
JPS59138461A (ja) * 1983-01-28 1984-08-08 Canon Inc 液体噴射記録装置
JPS6068768A (ja) * 1983-08-10 1985-04-19 Murata Giken Kk ファクシミリ受信機
JPS6071260A (ja) * 1983-09-28 1985-04-23 Erumu:Kk 記録装置
GB8408320D0 (en) * 1984-03-30 1984-05-10 Int Computers Ltd Facsimile system
JPS63205256A (ja) * 1987-02-23 1988-08-24 Alps Electric Co Ltd プリンタ
JPS63205257A (ja) * 1987-02-23 1988-08-24 Oki Electric Ind Co Ltd 印刷制御装置
JP2551011B2 (ja) * 1987-07-16 1996-11-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字装置
JPH01269565A (ja) * 1988-04-22 1989-10-27 Canon Inc 印刷装置
US4922348B1 (en) * 1989-02-10 1994-10-11 Bell Telephone Labor Inc Facsimile service
FR2651946A1 (fr) * 1989-09-13 1991-03-15 Decimal Snc P Skalli Cie Procede d'adaptation d'une imprimante a une fonction de telecopie autonome, dispositif et application s'y rapportant.
JPH03143673A (ja) * 1989-10-31 1991-06-19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5669B1 (en) 2005-06-22
AU653055B2 (en) 1994-09-15
ATE298444T1 (de) 2005-07-15
EP0531061A3 (en) 1993-05-26
EP0531061B1 (en) 1998-12-16
EP0531061A2 (en) 1993-03-10
EP0855669A3 (en) 1999-06-23
CA2077171A1 (en) 1993-03-05
EP1591945A2 (en) 2005-11-02
HK1011570A1 (en) 1999-07-16
AU2210492A (en) 1993-04-29
DE69227871T2 (de) 1999-05-27
US5652607A (en) 1997-07-29
JP3058206B2 (ja) 2000-07-04
DE69227871D1 (de) 1999-01-28
EP1591945A3 (en) 2006-04-05
DE69233533D1 (de) 2005-07-28
KR930005788A (ko) 1993-04-20
EP0855669A2 (en) 1998-07-29
ATE174708T1 (de) 1999-01-15
CA2077171C (en) 1998-09-29
JPH0558002A (ja) 1993-03-09
DE69233533T2 (de)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42438B1 (en) Ink jet recording apparatus
US5631674A (en) Recording apparatus
JP348758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該装置における記録ヘッドの吐出状態を回復させる方法
KR100653795B1 (ko) 기록 헤드용 소자 보드, 기록 헤드 및 기록 헤드 제어 방법
EP1393913B1 (en) Printing apparatus and preliminary discharge control method
JPH0714441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673070A (en) Recording apparatus for controlling recording in accordance with battery capacity
EP1442891B1 (en) Inkjet printing apparatus
EP0443801B1 (en) Liquid discharging recording head
KR970007625B1 (ko) 기록장치
JPH0620632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0576285B1 (en) Ink jet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495294B1 (ko) 화상 기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0567035B1 (en) Recording apparatus
US67824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battery power to a timer circuit within a printer while the printer is powered off
US788938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3025377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