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028Y1 -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 Google Patents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28Y1
KR970007028Y1 KR2019940017627U KR19940017627U KR970007028Y1 KR 970007028 Y1 KR970007028 Y1 KR 970007028Y1 KR 2019940017627 U KR2019940017627 U KR 2019940017627U KR 19940017627 U KR19940017627 U KR 19940017627U KR 970007028 Y1 KR970007028 Y1 KR 9700070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rail
fixed
hoo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7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238U (ko
Inventor
이태경
Original Assignee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석진철 filed Critical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7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28Y1/ko
Publication of KR960005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movable, tiltable or pivoting, e.g. movable seats, dampening arrangements of cab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제 1 도는 본 고안의 컨트롤 스탠드의 측면외형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단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
본 고안은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틸팅과 슬라이딩구조를 동시에 갖춘 컨트롤 스탠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에 있어 조정장치가 설치된 컨트롤 스탠드는 운전실의 운전석과 도어측 사이에 형성되어 운전자가이를 통해 각종 장치를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컨트롤 스탠드는 신체조건에 따라 스탠드의 거리조정 구조가 필요하며, 또한 승, 하차시 스탠드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틸팅구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종래의 컨트롤 스탠드는 틸팅 및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는 틸팅과 슬라이딩 구조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별개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스탠드 자체가 이원화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실질적으로 운저자가 편리성을 얻지 못할 뿐아니라 그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 컨트롤 스탠드의 구조상에 틸팅 및 슬라이딩의 복합구조를 갖게 하여 컨트롤 스탠드의 거리조정 및 승, 하차시 틸팅을 보다 간단하게 하여서 운전자로 하여금 편리함을 갖도록 하는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부스탠드와 상부스탠드로 이루어지는 컨트롤 스탠드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핀을 통해 상부스탠드가 하부스탠드에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에 있어 상부스탠드에 레버와 연결된 후크가 하부스탠드에 형성된 걸림핀에 걸려 고정된 상태에서 레버를 작동시킴에 따라 후크가 걸림핀에서 해제되어 가스스프링의 작용으로 상부스탠드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하부스탠드로 부터 틸팅되게 한 것과, 상부 스탠드의 하부에 형성된 상부레일이 하부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고, 상기 하부레일에 형성된 걸림공을 통해 삽입되는 스톱핀을 로드와 링크로 연결하여 버튼을 누름에 따라 링크작용에 의해 걸림공에 삽입된 스톱핀이 해제되어 상부스탠드의 슬라이딩 조정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컨트롤 스탠드의 측면외형도이고, 제 2 도는 제 1 도의 측단면도이며, 제 3 도는 제 1 도의 A-A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스탠드(10)는 상부 스탠드(12)와 하부스탠드(14)로 이루어지며, 상부스탠드(12)의 일측으로 암레스트(16)가 형성되는 한편 상부스탠드(12)와 하부스탠드(14)가 힌지핀(18)을 통해 연결되며, 하부스탠드(14)는 자체패널(17)에 고정수단(19)으로 고정되어 구성된다.
상부스탠드(12)에 연결축(20)으로 고정된 레버(22)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20)에 후크(24)가 고정 형성되고 후크(24)의 상단부와 힌지핀(18)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26)를 통해 링크(28)가 연결되며, 지지플레이트(26)의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30)이 하부스탠드(14)에 고정된 스프링연결편(32)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30)의 인장력에 의해 후크(24)가 하부스탠드(14)의 브래킷(34)에 고정된 걸림펀(36)에 걸려 고정 지지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레버(22)를 작동시킴에 따라 후크(24)가 걸림핀(36)에서 이탈되면 하부스탠드(14)와 상부스탠드(12) 사이에 형성된 가스스프링(38)의 반발력에 의해 상부스탠드(12)가 힌지핀(18)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하부스탠드(14)로 부터 틸팅되게 구성하고,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스탠드(12)의 하부에 상부레일(40)과 하부레일(42)을 형성하되, 상부레일(40)은 상부프레임(44)상에 고정하고, 하부레일(42)은 하부프레임(46)상에 고정하여 상부레일(40)이 하부레일(42)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며, 하부레일(42)에는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걸림공(42a)을 형성하고, 상부레일(40)에는 상기 걸림공(42a)에 삽입되는 스톱핀(48)을 설치하며, 상기 스톱핀(48)은 로드(50)와 링크(52)로 구성된 해제수단(54)을 누름에 따라 상기 스톱핀(48)이 걸림공(42a)으로 부터 빠져나와 상부레일(40)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상부스탠드(12)가 하부스탠드(14)로 부터 전후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여 상부스탠드(12)를 하부스탠드(14)로부터 틸팅시키려면, 먼저 레버(22)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연결축(20)에 고정된 후크(24)가 레버(22)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하여 걸림핀(36)에서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압축되어 있는 가스스프링(38)의 반발력에 의해 힌지핀(1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틸팅된 상태에서 다시 상부스탠드(12)를 하부스탠드(14) 측으로 복귀시에는 상부스탠드(12)의 일측 상부를 누르면 가스스프링(38)이 압축되면서 후크(24)의 경사단부(24a)가 걸림핀(36)에 밀리면서 걸려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스프링(30)이 지지플레이트(26)를 당김에 따라 링크(28)가 화살표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어 이와 연결된 후크(24)가 걸림핀(26)에서 안정적인 고정력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부스탠드(12)가 하부스탠드(14)로 부터 슬라이딩시켜 거리를 조정하려면, 먼저 버튼(54)을 누르게 되면 이와 접촉된 링크(52)가 작동되어 로드(50)를 상방향으로 작동시켜 하부레일(42)의 걸림공(42a)에 삽입되어 있던 스톱핀(48)이 빠져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레일(40)이 하부레일(42)로 부터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됨에 따라 상부스탠드(12)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 누르고 있던 버튼(54)을 놓게 되면 스톱핀(48)이 다시 이동 위치의 걸림공(42a)에 삽입되어 상부레일(40)이 하부레일(42)에서 고정이 이루어져 결국 상부스탠드(12)가 하부스탠드(14)에서 이동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에 의하면 상부스탠드의 틸팅 및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운전자가 레버 또는 버튼의 간단한 조작만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운전자의 운전공간의 확보가 쉽고, 신속한 승, 하차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1)

  1. 하부스탠드와 상부스탠드로 이루어지는 컨트롤 스탠드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핀을 통해 상부스탠드가 하부스탠드에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부스탠드상에 레버를 연결하는 연결축에 후크가 형성되고, 후크의 상단부와 힌지핀에 연결된 지지플레이트를 통해 링크가 연결되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된 스프링이 하부스탠드에 고정된 스프링연결편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의 인장력에 의해 후크가 하부스탠드의 브래킷에 고정된 걸림핀에 걸려 고정 지지되게 형성하고, 하부스탠드와 상부 스탠드 사이에 가스스프링을 형성하여 반발력에 의해 상부스탠드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틸팅되게 구성하며, 상부스탠드의 하부에 상부레일과 하부레일을 형성하되, 상부레일은 상부프레임상에 고정하고, 하부레일은 하부프레임상에 고정하여 상부레일이 하부레일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하며, 하부레일에는 일정간격으로 천공된 걸림공을 형성하고, 상부레일에는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는 스톱핀을 설치하며, 상기 스톱핀은 로드와 링크로 구성된 해제수단에 의해 상기 스톱핀이 걸림공으로부터 이탈 또는 삽입되게 하여 상부스탠드가 하부스탠드로 부터 전후 이동 고정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KR2019940017627U 1994-07-16 1994-07-16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KR9700070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627U KR970007028Y1 (ko) 1994-07-16 1994-07-16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7627U KR970007028Y1 (ko) 1994-07-16 1994-07-16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38U KR960005238U (ko) 1996-02-16
KR970007028Y1 true KR970007028Y1 (ko) 1997-07-11

Family

ID=19388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7627U KR970007028Y1 (ko) 1994-07-16 1994-07-16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238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10944B2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JP2001029161A (ja) ピボット機構を備えた乗物用シート
JPH07144603A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の高さ調節装置
US5289636A (en) Electric shaving apparatus
US4355819A (en) Passive restraint system
KR970007028Y1 (ko) 굴삭기의 컨트롤 스탠드
KR100456515B1 (ko)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JP2889230B1 (ja) ストッパー機構付きステー装置
JPH07323768A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装置
KR920702958A (ko) 선택가능하게 제어된 키보드 지지대
KR0123740Y1 (ko) 자동차용 시트
JPH04742Y2 (ko)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JPH0645489Y2 (ja) 建設機械の操縦装置
KR0178650B1 (ko) 틸트장치
KR100410730B1 (ko)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레버 록킹장치
JPH07305378A (ja) 可動式アームレスト
JPH0221303Y2 (ko)
JPS5849865Y2 (ja) 座席の高さ調整装置
JP3622134B2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0501036B1 (ko)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장치
JP2547518Y2 (ja) レバースイッチのストッパーの構造
KR0143823B1 (ko) 차량의 후드 개방 유지장치
JPH1111557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H01107709A (ja) 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