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579Y1 -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579Y1
KR970006579Y1 KR2019940026903U KR19940026903U KR970006579Y1 KR 970006579 Y1 KR970006579 Y1 KR 970006579Y1 KR 2019940026903 U KR2019940026903 U KR 2019940026903U KR 19940026903 U KR19940026903 U KR 19940026903U KR 970006579 Y1 KR970006579 Y1 KR 9700065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bucket
pin
ro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69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487U (ko
Inventor
박희봉
이이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김무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69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579Y1/ko
Publication of KR960014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제1도는 종래 장치의 평면도.
(A)는 핀이 버켓과 포크사이를 고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핀을 빼낼 수 있도록 고정판을 돌려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도는 종래 장치가 적용된 부분의 발췌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로 버켓이 포크에 고정된 상태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와 같은 평면도로서 버켓이 포크에서 탈거될 수 있도록 핀을 빼낸 상태.
제5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부분의 발췌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버켓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서 핀과 로드의 조립 상세도.
제8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지게차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포크 21 : 핀
22 : 너트 23 : 로드
24 : 브라케트 25 : 안내판
26 : 고정안내판 30 : 버켓
F : 로드삽탈 구멍 G : 핀산탈 구멍
본 고안은 지게차용 힌지드 버켓(Hinged Bucket)에 적용가능하며 다른 기계장치에도 응용이 가능한 버켓 및 핀의 조합에 의해 버켓을 포크에 간편, 안전하게 고정 또는 고정해제시켜 착탈시킬 수 있는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12), 간격유지구(14), 고정판(16)이 결합된 핀(11)등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장치를 사용한 버켓의 착탈은 제1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1)의 머리부분을 누르면 스프링(12)의 신축에 의해 핀(11)에 고정된 고정판(16)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고 이때 롤핀(15)을 중심으로 고정판(16)을 "A"만큼 돌려 핀(11)과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한 후 핀(11)을 브라켓트(24)로부터 빼내면 완전히 빼낸 후 간격유지구(14)가 아래로 흘러 내려 빠지면서 버켓(30)이 포크(17)로부터 탈거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버켓 착탈장치에 스프링(12)을 사용함으로써 작업시 스프링(12)의 힘을 거슬러 핀(11)을 이동 조작해야 하므로 힘이 많이 들고, 착탈시 한 손으로 스프링(12)을 밀고 다른 한 손으로는 고정판(16)을 돌려야 하였으며, 또한 착탈장치가 버켓의 아래쪽에 치우친 곳에 위치하고 있는 관계로 발을 사용해 스프링(12)을 밀고 한 손으로 고정판(16)을 돌리면서 다른 한 손으로는 몸의 균형유지를 위해 뭔가를 잡아야 하였으므로 작업이 곤란하였으며, 버켓 탈거후 핀(11)이 버켓에 붙어 있지 않으므로 핀(11) 및 스프링(12) 등을 분실하는 일이 빈번한 문제점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한손으로 버켓의 착탈작업이 가능하고, 착탈장치의 위치를 작업이 편리한 위치로 옮김으로써 작업상 편의와 안전성을 높이고, 버켓 탈거후에도 착탈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인 핀 조립체가 버켓에 그대로 붙어 있게 하여 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더욱 개선된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를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핀이 삽탈가능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브라케트와, 로드가 삽탈가능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과, 로드의 좌우이동을 허용하도록 윗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안내판이 뒷면에 부착되어 있는 버켓과, 상기 브라케트의 구멍에 삽탈가능하며 상기 로드의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일측에 형성된 핀과, 상기 안내판 및 고정안내판에 삽탈가능하고 한쪽 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단부는 상기 핀에 나사결합되도록 된 로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의 나사부에는 핀을 고정해주기 위한 너트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브라케트와 안내판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핀을 브라케트로부터 안내판쪽으로 빼낼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안내판과 고정안내판 사이의 간격을 상기 로드의 절곡부가 상기 간격내로 끼워져 들어 가거나 빠져 나올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장치로 버켓이 포크로 고정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와 같은 평면도로서 버켓이 포크에서 탈거될 수 있도록 핀을 빼낸 상태이고, 제5또는 본 고안이 적용된 부위의 발췌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버켓의 사시도이고, 제7도는 본 고안의 장치에서 핀과 로드의 조립 상태도이고, 제8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지게차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게차의 포크(17)에 착탈사용되는 버켓(30) 뒷부분에 한쌍의 브라케트(24)와, 안내판(25), 고정안내판(26)이 제3도, 제4도, 제6도와 같이 용접부착되고, 상기 브라케트(24), 안내판(25), 고정안내판(26)에는 핀(21)과 로드(23)가 제3도~제5도와 같이 조립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브라케트(24)와 안내판(25)사이의 간격은 핀(21)이 브라케트(24)에서 안내판(25)쪽으로 빠져 나올 수 있을 만큼의 간격으로 하고, 안내판(25)과 고정안내판(26)사이의 간격(B)(제3도 참조)은 로드(23)의 절곡부가 상기 간격내로 끼워져 들어 가거나 나올 수 있는 정도의 간격으로 한다.
핀(21)과 로드(23)의 조립은 제3도,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판(25)의 구멍(F)에 로드(23)를 삽입하고 브라케트(24)의 구멍(G)에는 핀(21)을 삽입한 다음, 로드(23)의 나사부에 너트(22)를 조립하고 로드(23)의 나사부를 핀(21)의 나사부에 나사조립한다. 이때 나사조립하는 거리는 브라케트(24)와 안내판(25)사이의 거리에 맞춰 제한거리 "C"의 범위 내에서 조립하며, 조립이 끝나면 너트(22)로서 고정시킨다(제7도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제3도~제6도에서와 같이 브라케트(24), 안내판(25), 고정안내판(26)이 부착된 버켓(30)에 핀(21)과 로드(23)를 조립장착한 다음, 버켓(30)의 후면에 부착된 한쌍의 브라케트(24) 사이에 포크(17)를 제4도와 같이 삽입 밀착시킨 후 로드(23)를 밀어서 핀(21)을 브라케트(24)의 구멍(G)에 밀어 넣고 로드(23)의 절곡부를 밑으로 회동시켜 내리면 상기 로드(23) 및 절곡부가 고정안내판(26)과 안내판(25) 사이에 위치하여 핀(21)과 로드(23)는 더 이상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 되며, 이로써 버켓(30)이 포크(17)에 장착 고정되어진다.
상기 버켓(30)을 포크(17)로부터 탈거시에는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로드(23)의 절곡부를 "D" 방향으로 돌려 점선과 같이 세운 후 고정안내판(26)의 개구부를 통해 로드(23)를 "E"방향으로 빼내면 핀(21)이 제4도의 상태와 같이 브라케트(24)와 안내판(25) 사이의 공간내로 빠져 나오면서 버켓(30)이 포크(17)로부터 탈거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장치는 상기와 같은 구성, 작용에 의해 버켓(30)을 지게차의 포크(17)에 간편, 안전하게 착탈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순, 효율화된 구성으로 부품수를 줄이고 작업시 반드시 양손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버켓 탈거후 핀(21)과 같은 장치의 주요구성부품이 버켓에 그대로 붙어 있게 되어 이를 분실할 염려도 없게 된 신규,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핀(21)이 삽탈가능한 구멍(G)이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브라케트(24)와, 로드(23)가 삽탈가능한 구성(F)이 형성되어 있는 안내판(25)과, 로드(23)의 좌우이동을 허용하도록 윗부분이 개구되어 있는 고정안내판(26)이 뒷면에 부착되어 있는 버켓(30)과;
    상기 브라케트(24)의 구멍(G)에 삽탈가능하며 상기 로드(23)의 나사부와 결합되도록 나사홈이 일측에 형성된 핀(21)과;
    상기 안내판(25) 및 고정안내판(26)에 삽탈가능하고 한쪽 단부가 절곡되어 있으며 다른 한쪽 단부는 상기 핀(21)에 나사결합되도록 된 로드(23)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3)의 나사부에는 핀(21)을 고정해주기 위한 너트(22)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케트(24)와 안내판(25) 사이의 간격이 상기 핀(21)을 브라케트(24)로부터 안내판(25)쪽으로 빠져 나올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고, 상기 안내판(25)과 고정안내판(26) 사이의 간격은 상기 로드(23)의 절곡부가 상기 간격내로 끼워져 들어 가거나 빠져 나올 수 있는 간격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KR2019940026903U 1994-10-15 1994-10-15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KR970006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903U KR970006579Y1 (ko) 1994-10-15 1994-10-15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6903U KR970006579Y1 (ko) 1994-10-15 1994-10-15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87U KR960014487U (ko) 1996-05-17
KR970006579Y1 true KR970006579Y1 (ko) 1997-06-27

Family

ID=19395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6903U KR970006579Y1 (ko) 1994-10-15 1994-10-15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5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8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68B1 (ko) 드로우어웨이 팁의 클램프기구
KR940001843A (ko) 칫솔구조물
KR970006579Y1 (ko) 지게차 버켓 착탈장치
EP1075818A3 (de) Bodenwischgerät
US4375772A (en) Screw anchor screw removal device
KR100228135B1 (ko) 후드 스테이 로드 고정클립
JP3276613B2 (ja) リーマボルトの取り外し装置
JPH1133929A (ja) ノックピン抜き装置
JPH0453032Y2 (ko)
JPH0636828Y2 (ja) シリンジ注入装置のシリンジ固定具
JPH0212674Y2 (ko)
KR0130881Y1 (ko) 노트북 컴퓨터용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의 착탈장치
CN219702390U (zh) 一种粉末热喷涂旋转架的喷涂件固定装置
CN214589992U (zh) 一种电气计量箱
JP2578427Y2 (ja) システム機器の取付け機構
KR930003961Y1 (ko) 복사기의 원고대 고정장치
JPH075666Y2 (ja) 電源盤取外し安全構造
JPS5943589Y2 (ja) 広告灯
JPS5823035A (ja) 複写機における引き出し装置
KR100191240B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체결구조
KR970004992Y1 (ko) 공구매거진에 부착된 공구포트의 공구 탈거장치
KR20030033701A (ko) 물 제거하는 기능을 갖는 마대걸레
JPS5830236B2 (ja) エスカレ−タ−ハンドレ−ル取扱工具
JP2572815Y2 (ja) フィルタ取付枠構造
JPH0716343Y2 (ja) 引き出し体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