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0768Y1 -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0768Y1
KR850000768Y1 KR2019820009827U KR820009827U KR850000768Y1 KR 850000768 Y1 KR850000768 Y1 KR 850000768Y1 KR 2019820009827 U KR2019820009827 U KR 2019820009827U KR 820009827 U KR820009827 U KR 820009827U KR 850000768 Y1 KR850000768 Y1 KR 8500007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tape housing
locking
lock
lock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200098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374U (ko
Inventor
이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200098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0768Y1/ko
Publication of KR8400033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3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07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7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02Detail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발췌분해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제2도는 테이프하우징이 록킹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제3도는 테이프하우징이 록킹된 상태에서 해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 작동편
3 : 록크편 6 : 테이프하우징
7 : 고정편 8 : 가이드
9 : 걸림부이다.
본 고안은 비데오테이프레코더의 테이프하우징을 록킹 또는 해정시키는데 있어서, 록킹되는 상태를 알려주므로서 테이프하우징의 록킹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록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록킹장치를 보면, 테이프하우징에 카세트테이프를 넣고 테이프하우징을 누르면 롯드의 회동에 따라 테이프하우징이 하강하게 되며 테이프하우징의 일측 저면에 설치된 록크핀이 록크편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서 록크편의 걸림턱에 테이프하우징이 록킹되도록 되어 있고, 또 테이프하우징이 록킹된 상태에서 플레이버튼을 누르면 작동편이 록크편 선단의 저면으로 이동하여 이젝트버튼을 누르더라도 록크편이 작동되지 못하도록 하므로서 테이프하우징이 해정되지 못하도록 되어있으며 테이프하우징을 해정시키고져 할때는 별도의 이젝트버튼을 누르면 솔레노이드가 회동편을 회동시켜주고 이 회동편이 록크편의 록크봉을 눌러주어 록크편의 걸림턱에 걸려 있던 록크편을 해정시켜주며 테이프하우징은 스프링에 의하여 상승토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것은 테이프하우징을 록킹기킬때 이의 록킹상태를 쉽 게 알 수 없었고 따라서 무리하게 테이프하우징을 누르게 되므로 이에 연결된 각 부품에 무리를 주게되며 심할경우 부품의 파손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또 나사로 기판의 상면에 유설된 작동편이 조립 또는 사용도중 휘어지게되면 플레이버튼을 눌렀을때 작동편의 선단이 록크편의 측면에 걸려 록크편을 제어하지 못하게 되므로서 플레이상태에서 자칫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이젝트버튼을 누르게되면 테이프하우징이 해정되어 상승될 염려가 발생되는 점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걸림부와 가이드를 형성시킨 고정편을 설치하므로서 테이프하우징이 록킹될때 작은 타음을 발생시켜 테이프하우징의 록킹상태를 알 수 있도록하고 사용도중 작동편이 심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므로 록킹 및 해정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기판(1)의 일측 저면에 솔레노이드(4)를 설치하여 이의 선단에 회동편(5)을 설치하고 회동편(5)에 의하여 동작되는 눌름봉(3')을 가진 록크편(3)을 탄설하며 록크편(3)의 선단하방에 작동작(2)을 유설하여 테이프하우징(6)을 록킹 또는 해정시키도록한 통상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후방에 고정부(7')를 형성하고 선단에는 돌출부(8')를 하향돌설시킨 가이드(8)를 절곡형성하며 중앙에 ㄱ형 걸림부(9)를 돌설시킨 고정편(7)을 회동편(5)측방의 기판(1)에 고정설치하고 고정편(7)의 고정부(7')에는 통상의 록크편(3)을 탄지편으로 탄설하되, 이의 눌름봉(3')상면에 회동편(5)의 저면 일단이 접설되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 10는 댐퍼장치, 11은 록크편, 11'는 경사면, 12는 롯드, 13은 스프링, 14는 걸림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3도와 같이 테이프하우징(6)이 상승된 상태에서 테이프하우징(6)을 누르게 되면 제2도에서와 같이 롯드(12)가 회동하면서 테이프하우징(6)이 하강되고 테이프하우징(6)의 저면 일단에 설치된 록크핀(11)이 원호상으로 하강되면서 록크편(3)의 경사면(11')에 올려진 상태가 되며 이상태에서 테이프하우징(6)이 계속하강하므로 록크핀(11)에 눌려지는 록크편(3)이 고정부(7')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록크핀(11)은 경사면(11')을 따라 하강한다. 록크핀(11)이 경사면(11')을 벗어나면 록크편(3)이 압력을 받지 않게되므로 록크편(3)을 탄지하고 있는 탄지편에 의하여 록크편(3)이 복귀되며 이때 록크편(11)이 경사면(11')을 통과한 상태이기 때문에 록크핀(11)은 걸림턱(14)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되어 테이프하우징(6)이 록킹되며 록킹되는 과정에서 록크편(3)이 눌려졌다가 이에 설치된 탄지편에 의하여 복귀되면서 록크편(3)의 상면 일단이 ㄱ형 걸림부(9)에 걸려 작은 타음이 발생되어 록킹상태를 알려주고 또 록크편(3)의 과동작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하우징(6)의 록킹이 완료된후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작동편(2)이 록크편(3)의 선단 저면으로 이동되어 플레이 상태에서 이젝트버튼을 누르더라도 록크편(3)이 작동편(2)에 걸려 작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플레이도중 테이프하우징(6)이 상승되지 않도록한 것인데 록크편(3)의 선단저면과 작동편(2)의 상면사이의 간격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작동편(2)이 조금만 휘어지더라도 작동편(2)선단이 록크편(3)의 측면에 걸리게 되어 플레이동작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또 플레이 동작이 되더라도 작동편(2)이 록크편(3)을 제어하지 못하므로서 부주의등에 의하여 플레이도중 이젝트버튼을 눌렀을 경우 테이프하우징(6)이 상승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이를 돌출부(8')가 형성된 가이드(8)를 작동편(2)이 작동되기전의 상태에서의 작동편(2)직상부에 설치하므로서 작동편(2)이 록크편(3)의 저면 이상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플레이도중 테이프하우징(6)이 부주의등으로 인하여 상승될 염려가 없고 작은 타음으로 록킹상태를 알려주므로서 록킹상태를 알수 있어 부품에 무리한 힘을 가할 염려가 없으며 이에 따라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점등의 특징을 지닌것이다.

Claims (1)

  1. (정정) 작동편(2)과 록크편(3) 및 솔레노이드(4)와 회동편(5)으로 구성된 통상의 록킹장치에 있어서, 선단에 돌출부(8')를 가진 가이드(8)를 절곡형성하고 중앙부에는 ㄱ형 걸림부(9)를 형성시킨 고정편(7)을 기판(1)에 고정설치하여 고정편(7)의 고정부(7') 측방에 록크편(3)을 유설토록 구성하여서된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KR2019820009827U 1982-12-08 1982-12-08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KR8500007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827U KR850000768Y1 (ko) 1982-12-08 1982-12-08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20009827U KR850000768Y1 (ko) 1982-12-08 1982-12-08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374U KR840003374U (ko) 1984-07-25
KR850000768Y1 true KR850000768Y1 (ko) 1985-04-29

Family

ID=7214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20009827U KR850000768Y1 (ko) 1982-12-08 1982-12-08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07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363A (ko) * 2000-11-06 2002-05-11 최태규 쌍축형 압출 성형기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팽화 곡류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363A (ko) * 2000-11-06 2002-05-11 최태규 쌍축형 압출 성형기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팽화 곡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374U (ko) 198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88154A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S63245786A (ja) Icカ−ドコネクタ
KR850000768Y1 (ko)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의 록킹장치
KR920008486B1 (ko) 카세트 삽입장치
KR920000309Y1 (ko) 스위치 장치
JPH047077B2 (ko)
KR0157407B1 (ko) Ic소켓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개폐기구
JP2906110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200497721Y1 (ko) 디지털 도어락
KR890000976Y1 (ko) 휴대용 vtr의 밧데리 케이스 장치
KR890006627Y1 (ko) 레버를 이용한 테이프 유동 방지장치
JP3286465B2 (ja) Icソケット
KR930008441Y1 (ko) 원격제어용 송신기의 수납장치
JP2957934B2 (ja) ボンベ装着装置
KR860000604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압압장치
JPS5953667B2 (ja) ねじなし端子の電線解除装置
KR910000313Y1 (ko) 카세트 데크의 팩 스프링 장치
KR910003852Y1 (ko) Vtr의 카세트 테이프 도어 록 해제 장치
JP2758790B2 (ja) Icソケット
KR0127538Y1 (ko) 파워 스위치의 고정장치
KR920007430Y1 (ko)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의 디스켓 이젝팅장치
KR970004208Y1 (ko) 카세트 로딩장치
KR840002886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캐디레바 및 랫치아암
KR840002243Y1 (ko) 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오딩모터 소손 방지장치
JP3768673B2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