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721Y1 -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721Y1
KR200497721Y1 KR2020200002581U KR20200002581U KR200497721Y1 KR 200497721 Y1 KR200497721 Y1 KR 200497721Y1 KR 2020200002581 U KR2020200002581 U KR 2020200002581U KR 20200002581 U KR20200002581 U KR 20200002581U KR 200497721 Y1 KR200497721 Y1 KR 2004977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over
external object
contact
opening hole
pres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0225U (ko
Inventor
맹철호
김영권
정재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직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직방
Priority to KR2020200002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72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7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7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9/00Lock casings or latch-mechanism casings ; 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to the wing
    • E05B9/08Fastening locks or fasteners or parts thereof, e.g. the casings of latch-bolt locks or cylinder locks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8Feeding by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물건이 삽입되는 열림홀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외부 물건의 삽입에 의해서 오픈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열림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물건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상기 열림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물건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커버의 걸림부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 눌려진 상기 접촉부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디지털 키를 접촉하여 개방되는 디지털 도어락은 그 작동을 위한 전원으로 일반적으로 건전지와 같은 배터리를 이용하며, 디지털 도어락에 배터리 수납 공간이 형성되며, 배터리 커버에 의해 이를 덮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터리 커버의 고정의 위해서 배터리 커버의 하측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본체 측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배터리 커버의 상측에는 디지털 도어락의 본체에 걸리는 후크 구조의 걸림부가 형성된다. 그래서, 배터리 커버의 돌기가 끼워진 상태에서 후크 구조의 걸림부를 본체 측에 대응되는 부분에 걸리도록 하여 배터리 커버를 본체 측에 장착할 수 있다.
장착된 배터리 커버를 본체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가느다란 핀과 같은 외부 물건을 사용하는 방식이 있다. 도 1은 디지털 도어락에서 장착된 배터리 커버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도어락(10)의 본체 하우징(12)에 결합된 배터리 커버(11)를 분리하기 위하여 핀과 같은 외부 물건(20)을 본체 하우징(12)에 형성된 열림홀(13)에 삽입한다(도 1(a) 참조). 열림홀(13)에 삽입된 외부 물건(20)은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를 눌러서 걸림부가 본체 하우징(12)에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하게 한다.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가 본체 하우징(12)에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면, 외부 물건(20)이 걸림부를 누르는 힘은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에서 이탈되도록 한다(도 1(b) 참조).
이렇게 외부 물건(20)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를 직접 누르는 경우에는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가 본체 하우징(12)에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고 외부 물건(20)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를 밀어내면서 배터리 커버(11)가 갑자기 본체 하우징(12)에서 분리되면서 배터리 커버(11)가 바닥으로 떨어져 버릴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배터리 커버(11)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물건(20)이 모서리가 날카로운 경우에는 외부 물건(20)의 모서리에 의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에 흠집이 생길 수도 있다.
또한, 외부 물건(20)이 열림홀(13)의 사이즈에 비해서 얇을 경우에는 외부 물건(20)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를 제대로 누르지 못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사용자는 외부 물건(20)을 열림홀(13)의 내부에서 여러 번 휘젓게 되고 사용자가 이러한 배터리 분리 구조를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15397호 (2015. 10. 14)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 커버가 부드럽게 분리되어 배터리 커버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외부 물건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배터리 커버를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버튼 부재가 제자리에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 물건이 삽입되는 열림홀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외부 물건의 삽입에 의해서 오픈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열림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물건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상기 열림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물건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측에 형성되는 누름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부를 눌러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벗어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가 눌려져 상기 바디부가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가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바디부가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한다.
상기 버튼 부재는 상기 바디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의 이동을 기 결정된 거리 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리는 정도를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걸림부와 접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버튼 부재를 적용함으로써 배터리 커버가 부드럽게 분리되어 배터리 커버가 충격에 의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버튼 부재를 적용하여 외부 물건이 접촉부를 통해 배터리 커버의 걸림부를 누름으로써 외부 물건의 사이즈에 상관없이 배터리 커버가 확실하게 분리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버튼 부재의 스토퍼 및 제한 부재를 통해 버튼 부재가 본체 하우징 내의 제자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디지털 도어락에서 장착된 배터리 커버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부재를 포함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부재가 배치된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버튼 부재의 스토퍼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체 하우징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부재(100)를 포함하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부재(100)는 본체 하우징(12)에 형성되는 열림홀(13) 내에 위치하여 핀과 같은 외부 물건(20)에 의해 눌리는 접촉부(110), 접촉부(110)를 지지하는 형태의 바디부(120), 바디부 하측에 형성되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도 4의 11c)를 누를 수 있는 누름부(150), 눌려진 접촉부(110)에 대하여 원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130) 및 탄성부(130)와 연결되어서 본체 하우징(12) 내에 지지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110)는 열림홀(13) 내에 위치하도록 원통형상일 수 있다. 열림홀(13)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서 외부 물건(20)에 열림홀(13) 내로 삽입되는 경우에 외부 물건(20)이 접촉부(110)에서 이탈되지 않고 접촉부(110) 상을 항상 누를 수 있다. 반대로, 열림홀(13)의 너비에 비해서 외부 물건(20)의 두께가 얇더라도 외부 물건(20)이 접촉부(110)를 통해서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를 누르기 때문에 외부 물건(20)의 두께에 맞추어서 열림홀(130)의 너비를 좁힐 필요가 없다. 즉, 열림홀(13)과 접촉부(110)의 사이즈를 자유롭게 할 수가 있다.
바디부(120)와 지지부(140) 사이에는 탄성부(130)가 형성되고 탄성부(130)는 C자 형상으로 하여 외부 물건(20)이 접촉부(110)를 눌러서 바디부(120)가 아래로 내려갔다가 외부 물건(20)을 열림홀(13)에서 뺀 경우에는 탄성부(130)의 복원력에 의해서 바디부(120)와 접촉부(110)가 원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탄성부(130)는 바디부(120)와 지지부(140)와 같은 소재로 하되 그 두께를 조절하여 구부러짐과 복원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바디부(120)에서 수평 연장된 스토퍼(120a)는 외부 물건(20)이 접촉부(110)를 지나치게 눌러서 접촉부(110)가 열림홀(13)에서 완전히 이탈되어 버튼 부재(100)가 원래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0a)는 디지털 도어락(10)의 본체 내부의 구조물에 걸릴 수 있도록 하여 접촉부(110)와 바디부(120)가 기 결정된 거리 이하로 이동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스토퍼(120a)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5를 통해 설명한다.
지지부(140)에는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 제한부(14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한부(140a)는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가 눌리는 정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를 지나치게 눌러서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에서 갑자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스토퍼(120a)와 함께 접촉부(110)가 열림홀(13)에서 이탈될 정도로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한부(140a)의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4를 통해 설명한다.
바디부(120)의 하측에는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를 누르는 누름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누름부(150)에는 경사면(150a)이 형성되어 걸림부(11c)를 누를 때 갑자기 누르지 않고 지긋이 누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부재(100)가 배치된 디지털 도어락(10)의 내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a)는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에서 이탈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11)에서 연장된 연장부(11a)의 일단에는 경사면(11b)을 가지는 걸림부(11c)가 형성될 수 있다. 배터리 커버(11)를 본체 하우징(12)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걸림부(11c)의 경사면(11b)은 본체 하우징(12)의 내면을 따라서 미끄러지면서 걸림부(11c)가 본체 하우징(12)의 걸림턱(14)에 걸릴 때까지 들어올 수 있다. 걸림부(11c)가 걸림턱(14)에 걸리게 되면 배터리 커버(11)는 본체 하우징(12)에 장착될 수 있다.
걸림부(11c)가 걸림턱(14)에 걸린 상태에서는 걸림부(11c)가 버튼 부재(100)의 누름부(150)를 상향으로 들어올려서 바디부(120)와 접촉부(110)도 상향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접촉부(110)는 열림홀(13)의 상단 인근까지 들어올려져서 외부 물건(20)이 열림홀(13)에 삽입되었을 때 바로 접촉부(110)에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외부 물건(20)이 열림홀(13)에 삽입되면 외부 물건(20)이 접촉부(110)의 상면을 누르게 되어 외부 물건(20)의 누르는 힘이 누름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누름부(150)의 경사면(150a)이 걸림부(11c)의 경사면(11b)와 접하고 있어서 누름부(150)는 걸림부(11c)를 아래로 누르게 되고 걸림부(11c)가 걸림턱(14)에서 걸린 상태에서 벗어나게 되면 누름부(150)의 경사면(150a)와 걸림부(11c)의 경사면(11b)에 의해서 누르는 힘이 걸림부(11c)를 본체 하우징(12)에서 멀어지는 방향(도 4에서 왼쪽 방향)의 힘으로 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부(11c)가 본체 하우징(12)에서 벗어나게 되고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커버(11)의 연장부(11a)의 하면이 버튼 부재(100)의 제한부(140a)에 닿게 되면, 누름부(150)에 의한 누르는 힘에도 불구하고 연장부(11a)는 더 이상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누름부(150)도 더 이상 누를 수가 없게 되어서 결과적으로 접촉부(11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촉부(110)가 열림홀(13)의 외부까지 내려와서 접촉부(110)가 열림홀(1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1)의 연장부(11a)와 걸림부(11c)가 버튼 부재(100)의 누름부(150)와 제한부(140a)의 양측에서 잡힌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에서 갑자기 튀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배터리 커버(11)가 천천히 이탈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버튼 부재(100)의 스토퍼(120a)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하여 본체 하우징(12)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부재(100)의 스토퍼(120a)는 디지털 도어락 본체 내에 형성된 구조물(15)에 걸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외부 물건(20)에 의해서 접촉부(110)가 눌림에 따라서 바디부(12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되면, 바디부(120)에서 수평 연장된 스토퍼(120a)도 같이 내려오다가 스토퍼(120a)가 구조물(15) 상에 닿게 될 수 있다. 그러면, 구조물(15)에 스토퍼(120a)가 걸려서 더 이상 내려오질 못하게 되어 접촉부(110)와 바디부(12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부 물건(20)에 의해 접촉부(110)에 지나친 힘이 가해지더라도 접촉부(110)가 열림홀(13)에서 이탈될 정도로 눌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서 버튼 부재(100)가 제자리에서 이탈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스토퍼(120a)가 걸리는 본체의 구조물(15)이 디지털 도어락(10)의 조립을 위한 나사 등이 결합되는 부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토퍼(120a)가 어느 정도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면서 스토퍼(120a)가 걸릴 수 있는 구조물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을 외부 물건(20)으로 직접 누르는 것이 아니고 버튼 부재(100)를 통해 간접적으로 누를 수 있다. 이를 통해 배터리 커버(11)가 본체 하우징(12)으로부터 갑자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배터리 커버(11)가 바닥에 떨어지는 등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가 외부 물건(20)의 날카로운 모서리에 찍혀서 흠집이 생기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열림홀(12)에 대응하는 크기의 접촉부(110)를 외부 물건(20)이 누름으로써 외부 물건(20)이 열림홀(12)에 비해서 지나치게 얇은 경우에도 외부 물건(20)의 누르는 힘이 배터리 커버(11)의 걸림부(11c)까지 제대로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 부재(100)에 형성된 스토퍼(120a)와 제한부(140a)에 의해서 버튼 부재(100)의 접촉부(110)가 열림홀(12)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버튼 부재(100)가 본체 하우징(12)의 제자리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디지털 도어락
11 : 배터리 커버
11a : 연장부
11b : 경사면
11c : 걸림부
12 : 본체 하우징
13 : 열림홀
14 : 걸림턱
15 : 구조물
100 : 버튼 부재
110 : 접촉부
120 : 바디부
120a : 스토퍼
130 : 탄성부
140 : 지지부
140a : 제한부
150 : 누름부
150a : 경사면

Claims (5)

  1. 외부 물건이 삽입되는 열림홀이 형성되는 본체 하우징;
    상기 외부 물건의 삽입에 의해서 오픈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열림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물건에 의해 눌려지는 버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상기 열림홀 내에 위치하여 상기 외부 물건에 의해 눌려지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를 지지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 하측에 형성되는 누름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커버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리도록 구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걸림부를 눌러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린 상태를 벗어나게 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접촉부가 눌려져 상기 바디부가 이동하면 상기 탄성부가 구부러지고, 상기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접촉부 및 상기 바디부가 원 상태로 복귀하도록 구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는 상기 바디부에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접촉부의 이동을 기 결정된 거리 이하로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걸림부가 상기 누름부에 의해 눌리는 정도를 제한하는 제한부가 형성되는, 디지털 도어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지지부에서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인, 디지털 도어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기 배터리 커버의 상기 걸림부와 접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KR2020200002581U 2020-07-17 2020-07-17 디지털 도어락 KR2004977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81U KR200497721Y1 (ko) 2020-07-17 2020-07-17 디지털 도어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81U KR200497721Y1 (ko) 2020-07-17 2020-07-17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5U KR20220000225U (ko) 2022-01-25
KR200497721Y1 true KR200497721Y1 (ko) 2024-02-06

Family

ID=80048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81U KR200497721Y1 (ko) 2020-07-17 2020-07-17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72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04227U (zh) 2019-01-08 2019-11-29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门锁的电池盖结构及使用它的门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397A (ko) 2014-04-04 2015-10-14 강기철 무게의 중심 조절이 가능하고 공의 타격시 축의 뒤틀림을 방지하는 넥(Neck)을 가진 골프 퍼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704227U (zh) 2019-01-08 2019-11-29 广东汇泰龙科技有限公司 一种门锁的电池盖结构及使用它的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25U (ko) 202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67067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KR100656846B1 (ko) 승강장치를 구비한 립스틱 용기
TW201346494A (zh) 電子裝置
KR200497721Y1 (ko) 디지털 도어락
KR20060000180A (ko) 컴퓨터
KR101765634B1 (ko) 테일게이트의 팝업구조
JP4648218B2 (ja) マンホール用鉄蓋の施錠装置
JP2006091640A (ja) ロック機構付きパッケージ及び光トランシーバ
JPH0548693A (ja) 電池収納装置
JPWO2006006210A1 (ja) カバーロック機構
JP2005076217A (ja) トランクリッド開放レバーの保持構造
KR100738805B1 (ko) 자동차용 트레이의 덮개 잠금장치
JPH11125052A (ja) ドアストッパー
KR200442133Y1 (ko) 현미경슬라이드 보관용 파일
KR101123053B1 (ko) 도어 스토퍼
KR200179366Y1 (ko) 드라이브장착공간이 개폐되는 컴퓨터본체의 프론트커버
JP2020205732A (ja) ロック構造
WO2023210551A1 (ja) 車両用ハンドル
KR200251038Y1 (ko) 실로폰 케이스의 잠금장치
JP7130327B2 (ja) 開閉装置
JP7293708B2 (ja) 蓋体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容器
JP6934237B2 (ja) ごみ箱
JPH0870190A (ja) 蓋体の開閉装置
JP2018039565A (ja) 保冷箱の開閉装置
JP2001298282A (ja) 小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