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36B1 - 오브젝트(object)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오브젝트(object)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36B1
KR970005936B1 KR1019880018225A KR880018225A KR970005936B1 KR 970005936 B1 KR970005936 B1 KR 970005936B1 KR 1019880018225 A KR1019880018225 A KR 1019880018225A KR 880018225 A KR880018225 A KR 880018225A KR 970005936 B1 KR970005936 B1 KR 970005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play
memory
pixe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8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742A (ko
Inventor
시게이찌 나까무라
도루 오까와
마고또 이노우에
세이찌 사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나무꼬
나까무라 마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나무꼬, 나까무라 마사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나무꼬
Publication of KR890010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1/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 G09G1/0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 G09G1/1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 G09G1/1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cathode-ray tube indicators; General aspects or details, e.g. selection emphasis on particular characters, dashed line or dotted line generation; Preprocessing of data using single beam tubes, e.g. three-dimensional or perspective representation, rotation or translation of display pattern, hidden lines, shadows the beam tracing a pattern independent of the information to be displayed, this latter determining the parts of the pattern rendered respectively visible and invisible the pattern of rectangular co-ordinates extending over the whole area of the screen, i.e. television type rast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4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patterns using a display memory without fixed position correspondence between the display memory contents and the display position on the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2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game platform
    • A63F2300/203Image generating hardware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브젝트(object) 표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관계되는 오브젝트 표시장치의 적절한 한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의 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3도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사용해 전체로서 큰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의 원리 설명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오브젝트 메모리의 메모리맵의 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5도는 제1도에 나타낸 라인 버퍼의 메모리의 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6도는 제1도에 나타낸 쉐이프 제너레이터의 메모리의 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메모리의 판독어드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8도는 제1도에 나타낸 오브젝트 검출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제9도는 제1도에 나타낸 회로각부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제10도는 제9도에 나타낸 라인버퍼 메모리의 설명도.
제11도는 캐렉터 제너레이터의 일반적인 메모리의 설명도.
제12도는 제11도에 나타낸 캐렉터 제너레이터의 판독 어드레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오브젝트 표시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제14도는 제13도에 나타낸 오브젝트 검출회로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회로도.
제15도는 종래의 오브젝트 표시장치의 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회로도.
제16도는 캐렉터 제너레이터에 등록되어 있는 오브젝트 이미지의 한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제17도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중첩표시하는 경우의 설명도.
제18도는 제17도에 나타낸 중첩표시를 행한 경우에 전술한 제15도에 나타나는 종래장치의 라인버퍼에 입력되는 테이타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오브젝트 컨트롤러 20 : 오브젝트 정보 메모리
30 : 래치회로 40 : 캐렉터 제너레이터
50 : 표시 오브젝트 검출입력회로 60 : 라인버퍼
70 : 멀티플렉서 200 :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
300 : 쉐이프 제너레이터 400 : 라인버퍼메모리
500 : 판독회로 600 : 어드레스 변환회로
본 발명은 오브젝트의 표시장치 특히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 기억된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판독해 래스터 디스플레이상에 화상표시하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오브젝트의 표시장치는 비데오 게임, 각종의 시물레이터 및 그 이외의 기기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보급되어온 비데오 게임에서는 게임의 진행상황에 맞춘 게임 화면을 작성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제15도에서는 비데오 게임에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오브젝트 표시장치의 한예가 나타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오브젝트 컨트롤러(10)와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를 포함한다.
전술한 오브젝트 컨트롤러(10)는 이미 설정된 게임 프로그램 및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신호에 의거해 CRT의 한 화면분에 표시되는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를 연산한다.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에는 표시 오브젝트를 특정하는 오브젝트 식별신호, CRT상의 오브젝트의 표시단위를 나타내는 수직표시 위치정보, 수평표시 위치정보 및 그외의 부가정보가 포함된다.
그리고 오브젝트 컨트롤러(10)를 사용해 연산된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 그때마다 입력기억된다.
오브제그 정보메모리(20)의 내용은 오브젝트 컨트롤러(10)로부터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가 연산출력될 때마다 새로 갱신된다. 그런데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 기억된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에 의거해 CRT상에 각 오브젝트를 화상표시하기 위해서는 CRT의 각 수평주사마다 다음의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정보를 그때마다 판독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이 종래장치에는 각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해당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표시 오브젝트 검출입력회로(5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검출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는 래치회로(30)를 통해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 출력됨과 동시에 라인버퍼(60)로 출력된다.
이 캐릭터 제너레이터(40)는 각 오브젝트의 형상 및 색채를 나타내는 오브젝트 이미지를 예를들면 제16도 (a) 또는 (b)에 표시된 것과 같이 수직 및 수평방향의 한군의 칼라화소 불록정보로 기억되어 있다.
기억된 각 오브젝트 이미지 즉 블록정보에는 오브젝트 판독용의 오브젝트 식별정보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그 블록내의 수직주사 위치신호(라인넘버)를 입력함에 따라 이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부터 오브젝트 이미지가 한행씩 판독된다.
제11도에는 캐렉터 제너레이터(40) 내에 등록된 복수의 오브젝트의 블록정보의 이미지가 나타나있다.
여기에서 각 오브젝트의 식별정보는 열 캐렉터와 행 캐렉터 코드로 구성된다.
동도면에서는 종 1024의 열 캐렉터 코드 횡(64)의 행 캐렉터 코드로 특정되는 합계 1024×64개의 오브젝트의 정보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각 오브젝트의 블록정보는 제11도처럼 중 8어드레스, 횡 8어드레스의 합계 64화소의 정보로 나타나 있으며, 각 화소에는 각각 8비트의 화소정보가 할당되어져 있다.
통상 각 화소마다 할당되어진 8비트의 화소정보는 색칠의 분리를 표시하는 칼라코드를 나타내며, 동도면에서처럼 각 화소에 대해 8비트의 화소정보가 할당되어 있는 경우에는 28=256의 칼라코드가 표시되어진다.
제12도에는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 등록된 오브젝트에 대한 판독어드레스의 개념도가 나타나 있다.
이 판독어드레스는 행 캐렉터 코드(CCU) 및 열 캐렉터 코드(CCL)로 구성되는 오브젝트 식별정보(CC)와 라인 넘버와 도트 넘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판독 어드레스는 우선 행 캐렉터 코드 및 열 캐렉터 코드를 사용해 표시 오브젝트의 블록정보를 특정화 하고, 오브젝트의 블록내의 수평주사라인을 라인넘버(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로 특정화하고 특정화된 수평주사라인상의 표시화소 어드레스를 도트넘버로 특정화한다.
따라서 전술한 도트넘버를 8도트분씩 순차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부터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각 화소정보(8비트 화소정보)가 순차적으로 판독되어 라인버퍼(60)로 출력된다(제15도).
이같은 일련의 동작을 반복해 라인버퍼(60)에는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1 또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화소정보가 입력된다.
그리고 CRT의 수평주사에 등기해서 라인버퍼(60)에 입력된 한 수평주사분의 오브젝트 화소정보는 멀티플렉서(70)를 통해 도시안된 칼라신호회로로 출력된다
그리고 칼라신호회로로부터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영상신호가 한화소씩 출력된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장치는 아래에 상술한 것과같은 문제를 갖고있어 대책이 요망되어 왔다.
(A) 제1의문제
이같은 표시장치를 사용해 복수의 오브젝트를 화상표시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끼리 서로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우선순위가 높은쪽의 오브젝트를 라인버퍼(60)에 입력시켜야 한다.
예를 들면 제16도에서처럼 투명부분(P) (0으로 나타난 부분)과 불투명분부(U)(0이외의 숫자로 나타나는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2개의 오브젝트(X1)(X2)를 중첩해 제17도에 나타낸 합성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양 오브젝트가 서로 중첩되어 표시되는 영역에는 우선순위가 높은 오브젝트(X1)(예를들면 자기앞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입력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선순위가 높은 오브젝트(X1)의 일부에 투명부분(P)이 있으면 이투명부분에서 다음의 오브젝트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예를들면 제17도에 나타내는 합성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에 그 주사라인의 정보는 제18도(A)에 나타내는 오브젝트(X1)의 화소정보와 동도면(B)에 나타내는 오브젝트(X2)의 화소정보를 중첩시켜 동도면(C)에서처럼 위의 오브젝트(X1)의 투명부분(P)에서 아래의 오브젝트(X2)의 불투명부분이 표시되도록 라인버퍼(60)로 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같은 입력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라인버퍼(60)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입력할 때 오브젝트의 각 화소가 투명한가 아닌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때문에 종래의 장치에서는 라인버퍼(60)로 입력되는 칼라 코드에 의거해서 각 화소가 투명한 아닌가의 판단을 해왔다.
그러나 칼라코드는 8비트 혹은 그이상의 데이터로 구성되고 있다.
특히 많은 색수를 사용하는 근년의 비데오 게임에서는 8비트 이상의 데이터를 사용해 칼라코드를 구성하는 경우도 많다,
따라서 이같은 칼라코드를 이용해서 각 화소마다의 투명불투명을 판단하기 위하여서는 칼라코드를 구성하는 8비트 또는 그이상의 데이타를 모두 집어넣어 판단해야 하며, 그 판단을 스피디하게 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같은 표시장치에서는 화소마다의 투명불투명의 판단에 요하는 시간이 각 수평라인상에 있어서 오브젝트의 표시기능개수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각 화소마다의 투명불투명의 판단이 늦어지면 한 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개수도 이에의해 제한되므로 그 유효한 대책이 요망되고 있다.
또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투명불투명의 판단을 스피디하게 행하기 위해, 칼라코드를 구성하는 각 비트수에 대응된 게이트를 설치해 이들 각 게이트로부터 출력되는 각 비트정보를 동시에 논리연산처리해서 투명불투명의 판단을 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같이 하면 투명불투명의 판단을 행하는 회로가 극히 복잡한 것으로 3되어 그결과 장치전체가 고가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B) 제2의 문제
또 종래의 장치에서는 라인버퍼(60)의 각 화소에 대응된 기억영역에 일반적으로 16비트가 할당되어 있다.
그리고 각 기억영역에 색칠로 나누어 나타내는 8비트의 칼라코드와 칼라파레트의 종류를 특정하는 5비트의 파레트코드와 오브젝트의 우선순위등을 나타내는 3비트의 어트리뷰트코드로 이루어지는 각 오브젝트의 정보 그자체가 입력되어 있다.
때문에 각 오브젝트의 정보량이 증가하면 라인버퍼의 각 기억영역에 입력되는 정보량이 증가해서 대용량의 라인버퍼(60)가 필요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최근의 비데오 게임에서는 오브젝트의 색수의 증가가 현저해 라인 버퍼(60)에 각 화소마다 입력되는 칼라코드 및 칼라파레트코드의 비트수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많은 색수를 사용하는 비데오 게임에서는 용량이 큰 라인버퍼(60)가 필요해져 장치전체가 고가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C) 제3의 문제
또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라인버퍼(60)에 각 오브젝트의 표시정보 예를들면 칼라코드 그 자체가 입력되어 있다.
때문에 각 화소의 기억영역에 입력되는 정보량이 증가하면, 그때마다 라인버퍼(60)를 대용량의 것으로 바꾸어야 하므로 라인버퍼(60)를 커스텀칩화해 장치전체의 코스트다운을 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같은 종래의 과제를 감안한 것으로 그 목적은 라인버퍼에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입력할때 전술한 제 1의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 오브젝트의 각 화소가 투명한가 아닌가를 간단한 회로로 스피디하게 판단하고 각 수평주사라인상에 다수의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일에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제1 및 제3의 문제를 해결함에 따라 표시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데이타의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필요한 최소한의 용량의 라인버퍼를 사용할 수 있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라인버퍼를 커스텀칩화해 장치전체의 코스트다운을 꾀할 수 있는 오브젝트의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일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의 발명의 관계되는 장치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수직표시위치정보, 수평표시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한조의 오브젝트 정보가 각 오브젝트마다 연산되어 연산된 각 오브젝트 정보에 의거해 래스터 디스플레이상에 각 오브젝트를 화상표시하는 장치로써, 연산된 일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기억하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와, 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오브젝트 정보에 의거해 래스터 디스플레이의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각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오브젝트의 블록내 수직주사위치를 연산출력하는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와, 각 오브젝트 이미지가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2값 화소데이타를 사용해 나타낸 블록정보로서 미리 등록되어 오브젝트 인식정보 및 전술한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의거해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내 한 수평주사분의 2값 화소데이타를 각화소의 투명, 불투명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쉐이프 제너레이터와,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각오브젝트의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로부터 판독해 순차적으로 소정의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와, 수평주사라인의 각 화소가 대응된 기억영역을 가지며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의 출력에 의거해 각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소가 투명한가 불투명한가를 판단하고 불투명부분에 대응된 기억영역으로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로의 입력 어드레스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라이버퍼를 포함하며, 이 라인버퍼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 라인분의 입력 어드레스정보에 의거해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로부터 검출 오브젝트의 정보를 판독해 캐렉터 제너레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2의 발명에 관계되는 장치는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정보, 수직표시위치정보, 수평표시위치정보를 포함하는 한조의 오브젝트 정보가 각 오브젝트마다 연산되며, 연산된 오브젝트 정보에 의거해 래스터 디스플레이상에 각 오브젝트를 영상표시하는 장치로, 연산된 1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기억하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와, 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오브젝트 정보에 의거해 래스터 디스플레이의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각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 오브젝트의 블록내의 수직주사위치를 연산출력하는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와, 각 오브젝트 이미지가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2값의 화소 데이타를 사용해 표시된 블록정보를 미리 등록되어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전술한 블록내의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의거해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내의 한 수평주사분의 2값의 화소데이타를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 데이타로 출력하는 쉐이프 제너레이터와, 각 오브젝트의 형상 및 색체의 오브젝트 이미지가 칼라코드를 사용해 각 화소마다에 색체를 특정하는 블록정보로 미리 등록되어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및 전술한 블록내의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의거해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내의 한 수평주사분의 칼라코드 데이타를 각 화소마다 출력하는 캐렉터 제너레이터와, 수평주사라인의 각 화소에 대응된 기억영역을 가지며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의 출력에 의거해 각 검출 옵브젝트이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소가 투명한가, 불투명한가를 판단하고 블투명부분에 대응한 기억영역에 캐렉터 제너레이터로부터 판독된 각 오브젝트의 칼라코드를 순차적으로 기억하는 라인버퍼를 포함하며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전술한 라인버퍼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분의 정보를 화소정보로 순차적으로 판독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a) 제1 및 제2의 발명의 공통의 작용
제1 및 제2의 발명은 모두 제1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우선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연산해야할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검출된 오브젝트의 블록내의 한 수평주사분의 2값의 화소데이타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데이터로 쉐이프 제너레이터로부터 출력된다.
또 이와동시에 검출된 오브젝트의 정보는 각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 대응한 라인버퍼의 기억영역으로 순차직으로 기억된다.
이 입력시에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2값의 화소데이타에 의거해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을 판단한다.
그리고 각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며, 그리고 불투명부분과 대응된 라인버퍼의 기억영역프로만 전술한 오브젝트의 정보입력을 허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출 오브젝트의 각 화소가 투명한가 불투명한가의 판단을 쉐이프 제너레이터로부터 출력되는 2값의 화소데이타를 사용해 행하고 있다.
게다가 2값의 화소데이타는 「O 또는 「I의 1비트 데이타로 표시되므로, 이 2값의 화소데이타 그 자체를 라인버퍼의 입력신호로 사용할 수 있어 투명, 불투명의 관단을 간단한 회로로 스피디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8비트 칼라코드를 병렬처리해서 투명, 불투명을 스피드있게 행하도록 형성된 종래의 장치에 비해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의 관단을 간단한 회로로 그리고 극히 스피디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b) 제 1의 발명특유의 작용
또 전술한 제1의 발명에 관계되는 장치는 제2 및 제 3의 문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우선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연산할 수평주사라인사에 표시되는 오브젝트가 검출되면 검출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로부터 판독하고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의 각 기억영역으로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있다.
이때 수평주사라인의 각 화소에 대응된 라인버퍼의 기억영역에는 전술한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로 입력 어드레스가 순차적으로 기억된다.
그리고 라인버퍼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라인분의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로부터 검출 오브젝트의 정보가 한 화소마다 판독되어 캐렉터 제너레이터로 출력된다. 이처럼 제1의 발명은 라인버퍼에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정보를 직접 입력하지 않고 검출 오브젝트의 정보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정보 즉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에 입력 어드레스를 기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장치에 비해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것의 라인버퍼의 기억용량을 대폭으로 작게할 수 있다.
때문에 메모리 전체로서의 기억용량의 대폭으로 작아져 장치 전체의 코스트다운을 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오브젝트의 색수의 증가나 어트리뷰트정보의 중가에 따라 오브젝트의 표시정보가 많아진 경우에 종래의 장치에 비해 메모리전체의 용량을 대목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오브젝트의 정보량이 중감한 경우라도 라인버퍼의 기억용량을 중감할 필요가 없으므로 필요에 따라 라인버거를 커스텀칩화해서 장치전체의 코스트다운을 꾀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의 장치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기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제1도에는 본 발명을 비데오 게임에 적용한 경우의 적절한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의 장치는 오브젝트 컨트롤러(10)가 CRT상에 표시되는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연산할 때마다, 연산된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 입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a) 오브젝트 정보메모리
제2도에는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의 한예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의 메모리(20)에는 각 어드레스마다 16비트의 기억영역이 할당되어 있으며, 4어드레스분의 기억영역이 한조가 되어 한개의 오브젝트의 정보가 입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우선 판독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가 「00000000의 어드레스 즉 10비트 어드레스의 「0000000000에서 0000000011의 범위의 기억영역에 최초의 오브젝트 정보가 입력되어 있다.
다음에 판독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 「00000001의 어드레스 즉, 어드레스의 0000000111의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2번째의 오브젝트 정보가 입력된다.
이같은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면서 각 오브젝트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입력되어간다.
다음에 메모리(20)에로의 데이타의 입력을 최초의 오브젝트 정보가 입력되는 「0000000000-0000000011 범위의 기억영역을 예로들어 설명한다.
우선 10비트 어드레스의 하위 2행이 「OO인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오브젝트의 수직방향표시위치를 나타내는 9비트의 수직표시위치정보 및 3비트의 수직방향사이즈(V-SIZE)가 기억된다.
다음에 10비트 어드레스의 하위 2행이 「O1의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16비트의 오브젝트 식별 정보(CC) (상위 10비트가 챙 캐렉터 코드(CCU), 하위 6비트가 열 캐렉터 코드(CCL))가 기억된다.
또 10비트 어드레스의 하위 2행이 「10의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오브젝트의 수평표시위치를 나타내는 9비트의 수평표시위치 및 2비트의 수평방향사이즈(H-SIZE)가 기억된다.
또 10비트 어드레스의 하위 2행이 「11의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16비트의 부가정보 데이타(오브젝트의 우선도 데이타, 칼라파레트 데이타등)가 기억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수직방향사이즈(V-SIZE) 및 수평방향사이즈(H-SIZE)의 각 데이타는 복수의 캐렉터 블록을 조합해서 전체로서 하나의 큰 오브젝트를 나타내픈 경우에 사용되어진다.
(b) 캐렉터 제너레이터
그런데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캐렉터 블록 1개당의 크기는 이미 정해져 있으며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 8화소, 횡 8화소의 합계인 64화소분의 볼록정보로 표시된다.
따라서 이대로 CRT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 1개당의 크기는 종 8화소, 횡 8화소가 최대로 되어 이 이상의 크기를 갖는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없다
그러나 게임의 현장감을 높이거나 그 내용을 변화무쌍하게 하기 위해서는 CRT상에 게임의 상황에 다른 크기를 갖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일이 필요해진다.
때문에 실시예의 캐렉터 제너레이터(40)안에는 각종 크기의 오브젝트가 등록되어 있다.
즉 실시예의 캐렉터 제너레이터(40)내에 등록되어 있는 오브젝트는 1 또는 복수의 캐렉터 블록을 매트릭스 모양으로 조합해 구성되며, 임의의 사이즈의 오브젝트 이미지를 나타내도록 설정되어있다.
제3도에는 이 캐렉터 제너레이터(40)내에 이미 등록된 최대 사이즈의 오브젝트의 한예가 나타나 있다.
이 오브젝트는 수직방향으로 0-7의 수직 캐렉터 블록(CCUO)으로 지정되는 8개의 캐렉터 블록을 나란히 하고 수평방향으로 0-3의 수평 캐렉터 블록으로 지정되는 4개의 캐렉터 블록을 나란히해 로서 한개의 큰 오브젝트 이미지(동도면에서는 인간)를 표시하는 합계 32개의 블록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도에 나타내는 큰 사이즈의 오브젝트는 오브젝트 식별정보(CC)에 의해 기준이 되는 최초의 캐렉터 블록이 특정되어(동도면에 있어서는 X로 나타나 있다) 수직방향 사이즈, 수평방향사이즈로 크기가 특정된다.
그리고 오브젝트의 크기와 캐렉터 블록의 크기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수직방향사이즈, 수평방향사이즈는 모두「0」이 주어지게 된다.
(c) 표시 오브젝트의 검출
또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100)는 CRT의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연산해야할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내에 입력된 오브젝트 정보에 의거해 검출한다.
그리도 검출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를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 쉐이프 제너레이터(300) 및 라인버퍼(400)로 순차 출력한다.
그리고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각 기억영역에 판독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기억시킨다.
(d)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
제4도에는 본 실시예에 쓰이는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한예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는 0-1E(16진수로 나타낸다)의 합계(31)의 어드레스로 지정되는 기억영역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된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를 어드레스의 새로운 기억영역에 차례로 입력해간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합계 31의 어드레스를 지정하는 경우에는 5비트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처럼 5비트의 어드레스 데이타를 사용하면 합계 32개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지만, 32번째의 어드레스에 대응된 1F(16진수로 나타낸다)를 투명코드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e) 라인버퍼
또 전술한 라인버퍼(400)는 한 수평주사분의 각 화소수에 대응된 기억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는 CRT의 한 수평주사라인이 288도트의 화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5도에서처럼 0-287의 합계 즉 288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되는 기억영역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은 이 라인버퍼(400)에 검출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것은 아니고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로 입력 어드레스를 입력토록 형성한 것에 있다.
이같이 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라인버퍼(400)의 기억용량을 대폭 작게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것의 라인버퍼(400)의 기억용량을 대폭 작게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전체의 기억용량을 작게해 장치전체의 코스트다운을 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실시예와 같이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가 0-31로 지정되는 경우에는 라인버퍼(400)의 각 기억영역은 5비트의 데이터(25=32개의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도록)가 입력되도록 형성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각 기억영역에 최저 16비트의 오브젝트 정보를 입력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필요로 하는 메모리의 용량이 대폭 작아지는 것을 알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가 증가한 경우에도 단순히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각 기억영역을 확장하는 것만으로 충분한 대응할 수 있어 라인버퍼(400)에 손질을 가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오브젝트의 정보량의 증가, 예를 들면 색수나 어트리뷰트의 증가에 대해서도 신속하게 대응하며 그리고 낮은 코스트가 가능해진다.
(f) 투명, 불투명의 판단
그런데 복수의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표시되는 경우에 서로 중첩하는 부분에서는 우선순위가 높은쪽의 오브젝트의 정보를 입력해야 한다.
예를들면 제5도(a)에 나타나는 S의 영역에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 0(제2도에 나타낸 판독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가 「00000000」의 어드레스)에 입력된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T의 영역에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제2도에 나타낸 판독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가 「00000001」의 어드레스)에 입력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여기에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 「1」의 오브젝트를 CRT 화면의 후방에,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 「0」의 오브젝트를 CRT의 화면의 전방에 표시하는 경우 양 오브젝트가 중첩되어 표시되는 영역에는 어드레스 「0」의 오브젝트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어드레스 「0」의 오브젝트의 일부에 투명부분의 있으면 이 투명부분에서 뒤의 오브젝트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영역 S에 있어서의 어드레스「0」의 오브젝트의 「n-1」「n」의 화소부분을 투명으로 하면, 라인 버퍼(400)의 영역(S)에서는 제5도(b)와 같이 불투명부분에 대응된 기억영역에만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 「0」가 입력되어야 한다.
또 영역(T)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8화소에 걸쳐 전부 불투명으로 하면, 라인버퍼(400)의 영역(T)에는 제5도(c)에서처럼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 「1」가 입력되어야 한다.
또 라인버퍼(400)의 어드레스 「n+1」, 「n+2」의 기억영역에서는 우선순위가 높은 오브젝트의 어드레스「0」가 입력되어야 한다.
따라서 S 및 T로 표시되는 라인버퍼(400)의 영역에서는 제5도(a)에서처럼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어드레스 정보가 입력된다.
이처럼 실시예의 장치에서는 라인버퍼(400)로 각 오브젝트의 어드레스를 입력할때 오브젝트의 각 화소가 투명인가 아닌가를 판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 사항은 이같은 판별에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를 사용한데 있다.
이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는 캐렉터 제너레이터(40)와 같은 크기의 오브젝트 이미지가 각 오브젝트마다 투명/불투명의 2값의 화소블록정보로 이미 등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는 같은 오브젝트 식별정보에 의해 캐렉터 제너레이터(40)와 같은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블록정보가 특정되며, 또 블록내의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의해 한 수평주사분(8화소분)의 2값의 화상데이타를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 판별용 데이타로 출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는 본 실시예로 사용되는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한예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의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는 오브젝트 식별정보(CC), 즉 행 캐렉터 코드(CCU) 및 열 캐렉터코드(CCL)에 의해 지정되는 복수의 2값 화소 블록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
각 블록정보는 수평방향의 8화소, 수직방향의 8화소의 합계 64화소의 매트릭스정보로 이루어지며, 각 화소에는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1비트의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1블록정보는 64비트의 정보로 표시되어진다.
제7도에서는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서 대응되는 오브젝트의 블록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어드레스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의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는 행 캐렉터 코드(CCU), 열 캐렉터 코드(CCL) 및 라인넘버를 지정함에 따라,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정보를 한 수평주사분 판독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 있어서는 행 캐렉터 코드(CCU) 및 열 캐렉터 코드(CCL)에 의해 블록정보를 특정화해 라인넘버에 의해 이 블록정보내에 있어서 몇번째의 수평주사라인정보를 판독할까를 특정한다.
그리고 이 어드레스에 의해 판독되는 수평주사라인의 정보가 특정되면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서는 대응하는 블록정보의 한 수평주사분의 그 값의 화소데이타라 판독되어진다.
이같이 해서 판독된 그 값의 화소데이타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형상을 화소마다 투명, 불투명 데이타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판독된 오브젝트의 투명, 불투명 데이타와 그 오브젝트의 표시위치를 조합(照合)함에 따라 검출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며, 게다가 불투명 부분에 대응된 라인버퍼(400)의 기억 영역에만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로의 검출 오브젝트 입력 어드레스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도 캐렉터 제너레이터(40)와 같이 각종 크기를 갖는 오브젝트를 등록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는 한 개 또는 복수의 캐렉터 블록정보를 매트릭스 모양으로 조합해서 형성된 각종 사이즈의 오브젝트가 설정 등록되어 있다.
예를들면 제3도에는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내에 등록된 최대 사이즈의 오브젝트의 한 예가 나타나 있다.
이 오브젝트는 전술한 대로 수직방향으로 0-7의 수직 캐렉터 블록(CCU0)으로 지정되는 38개의 캐렉터 블록을 나란히 하고, 수평방향으로 0-3의 수평 캐렉터 블록으로 지정되는 4개의 캐렉터 블록을 나란히 해서, 전체로 하나의 큰 오브젝트 이미지(동도면에서는 인간)를 표시하는 합계 32개의 블록정보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3도에 나타내는 큰 사이즈의 오브젝트는 그 오브젝트 식별정보(CC)에 의해 기준이 되는 최초의 캐렉터 블록이 특정되며, 또 수직방향사이즈, 수직방향사이즈에 의해 그 크기가 특정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각 오브젝트의 각 화소가 투명한가 아닌가를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를 사용해 판정하고 있지만,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로 바꾸어 종래 장치와 같이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사용하면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부터 출력되는 각 화소마다의 출력은 8비트의 칼라코드정보를 포함한다.
이 때문에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위해 취급하는 정보량이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8배이상 증가해서 처리속도가 저하된다.
이에 비해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를 사용함으로써, 취급하는 정보량을 줄여 장치 전체의 간단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게다가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보다 빠르게 할 수 있다.
(g) 데이타의 판독
그런데 전술의 d, e에서 상술했듯이 해당 수평라인상에 표시되는 각 오브젝트의 어드레스 정보의 입력이 종료되면, 다음에 판독회로(500)는 라인버퍼(400)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라인분의 어드레스 정보에 의거해한 도트분마다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서 오브젝트 정보를 판독해 어드레스 변환회로(600)로 출력한다.
어드레스 변환회로(600)는 입력된 오브젝트 정보를 캐렉터 제터레이터(40)에 대한 데이터 판독 어드레스로 변환해 멀티플렉서(70)로 출력한다.
이때 멀티플렛서(70)는 어드레스 변환회로(600)로부터의 어드레스 정보와 다른 회로로부터의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해 우선도가 높은 어드레스 정보를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 출력한다.
그리고 캐렉터 제너레이터(40)는 이와 같이 해서 입력되는 판독 어드레스에 의거해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소데이타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이같은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0) 및 라인버퍼메모리(400)로의 데이터 입력 및 판독을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반복해 행한다.
이때문에 CRT상에서는 오브젝트 컨트롤러(10)에 의해 연산된 한 화면분의 오브젝트가 정확하게 표시되어진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를 새로 설치해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억세스하는 일없이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장치전체로서는 어드레스 변환회로(600)에서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스와, 다른 회로에서 출력되는 판독 어드레스를 합한후에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1회 억세스함으로서 화소데이타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용량이 크고 단일품당의 코스트가 큰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다른 표시회로와 함께 사용해 장치 전체의 코스트다운을 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를 램을 사용해 형성하면,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 입력된 각 오브젝트 데이타를 참조해 필요한 오브젝트의 그값의 화상데이타를 블록정보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내에 설정등록하는 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들어 비데오 게임등에 있어서 스테이지가 변할때마다,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종류가 다른 경우에도,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메모리 용량을 각 스테이지마다 사용되는 오브젝트의 블록정보의 용량에 맞추어 설정해 두고, 스테이지가 바뀔 때마다 시간적 유예가 주어지는 스테이지 변환장면에서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 기억된 각 오브젝트의 데이타를 참조해 다음의 스테이지에서 사용되는 새로운 오브젝트의 그 값의 화소데이타의 블록정보를 그때마다 입력토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들면, 비데오 게임이 10스테이지로 구성되며, 각 스테이지마다 사용되는 오브젝트가 다르도록 한 경우에도,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메모리 용량을 필요한 최소량으로 억제해 장치전체의 낮은 코스트화를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를 가정용의 비데오 게임에 적용한 경우에 카트리지내에 있는 롬에 입력되어 있는 캐렉터 데이타를 투명, 불투명의 데이터로 변환해 게임기 본체쪽에 설치된 롬속에 각 스테이지마다 집어넣어 본체쪽의 메모리를 쉐이프 제너레이터로 사용하는 일도 가능하다.
이같은 구성으로 함에 따라, 쉐이프 제너레이터를 게임기 본체에 착탈이 자유롭게 형성된 카트리지쪽에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카트리지와 게임기 본체를 묶는 입출력의 핀 수를 작게해 본체측 및 카트리지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
다음은 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
제8도에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100)의 한 예가 나타나 있다.
실시예에서 이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100)는 오브젝트 카운터(110)와 매치 신호발생회로(12) 및 매치회로(130)를 사용해 형성하고 있다.
(a-1) 각 수평주사마다의 표시 오브젝트 검출동작 전술한 오브젝트 카운터(110)는 각 수평주사마다에 전체의 오브젝트에 대한 오브젝트 판독 어드레스를 오브젝트 정보 메모리(20)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오브젝트 정보 메모리(20)에는 제2도에서처럼 10비트의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오브젝트 카운터(110)는 이 10비트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를 오브젝트로 판독해 어드레스로 순차출력한다.
동도면에서는 「0000 0000」,「0000 0001」,「00000010」의 순으로 전체적인 오브젝트의 판독 어드레스가 순차 출력된다.
이때 이 판독 어드레스는 3단 시프터(108)를 통해 매치 회로(130)로 입력된다.
이같이 해서 오브젝트 카운터(110)로부터 각 오브젝트의 판독 어드레스가 순차적으로 출력되면, 이 판독 어드레스는 하위 2비트에 「00」을 부가해 셀렉터(112), 플립플롭(114)을 통해 오브젝트 메모리(2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 입력된다.
이에 따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CRT에서 수직표시위치(A) 및 수직방향 사이즈(C)가 판독된다.
그리고 수직표시위치(A)와 수직방향사이즈(C)는 래치회로(106)를 통해 매치신호발생회로(120)에 입력된다.
매치신호발생회로(120)는 판독된 각 오브젝트의 수직표시위치신호(A)를 CRT의 수직주사위치신호(B)와 비교해, 그 오브젝트가 해당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경우에는 매치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그 오브젝트의 블록내에 있어서의 수직주사위치신호를 연산출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서 이 매치신호발생회로(120)는 2조의 가산기(122)(124)를 사용해 형성되어 입력되는 A, B, C의 각 신호에 의거해 다음식의 판별을 행한다.
0<C×23-(B-A)+23
Figure kpo00001
C×23+23
그리고 이 판별식이 만족될때 그 오브젝트가 해당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다고 판단해 가산기(124)에서 매치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함께 가산기(122)는 그 오브젝트의 블록내에 있어서의 수직주사위치를 나타내는 라인넘버(Line)를 연산출력한다.
그리고 가산기(124)는 이 오브젝트가 출력할 블록이 예를 들면 제3도에 나타내는 오브젝트내에서 수직방향 몇번째의 블록인가를 나타내는 수직 캐렉터 블록(CCU0)을 연산 출력한다.
실시예의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100)는 이같은 연산을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 기억되어 있는 전 오브젝트에 대해 행해 각 오브젝트가 해당수평주사라인상에 나타나는가 아닌가의 검출을 행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130-1) 및 (130-2)에서처럼 매치회로가 2조 설치되어 있어 CRT의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서로 입력 및 판독을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각 매치회로(130)는 매치카운터(132)와 매치램(134)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검출동작중 매치카운터(132)는 매치신호가 출력될 때 2값을 카운트하고 2값을 매치넘버로서 출력한다.
그래서 한 수평주사라인사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검출 종료후 실시예의 매치카운터(132)는 업카운터에서 다운카운터로 바꿔서 그것까지 카운트한 값에서 돗트클록의 1/8의 주기신호(0.75MHz)에 동기해서 1카운트씩 카운트다운을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매치램(134)은 한 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개수에 대응한 기억영역을 갖는다.
그래서 한 수평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검출 동작중에는 매치카운터(132)에서 출력되는 매치넘버를 입력 어드레스로서 해당기억영역에, 오브젝트 카운터(110)에서 출력되는 검출 오브젝트 판독 어드레스와 매치신호발생회로(120)에서 출력되는 수직주사 위치신호 라인(라인넘버)과 수직 캐렉터 블록(CCU0)을 한조의 정보로서 순차기억한다.
그래서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검출 종료후는 매치카운터(132)에서 차례로 디크리멘트 출력되는 매치넘버를 판독 어드레스로 하여, 매치램(132)에서 오브젝트의 정보가 차례로 판독된다.
그래서 판독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는 제9도에 나타낸 어드레스 지정회로(700)로 출력되면서, 그 오브젝트의 판독 어드레스는 셀렉터(112)로도 출력된다.
이때 셀렉터(112)로 출력된 매치램(134)의 8비트 신호는 2비트 카운터(136)의 출력과 합성되어 합계 10비트의 오브젝트 판독 어드레스로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로 출력된다.
이때 카운터(136)의 출력은 매치램(134)에서 출력되는 8비트의 판독 어드레스가 변화하기 전에, 0에서 11까지 카운트 동작을 행하도록 되어있다.
즉, 이 카운터(136)는 3MHz의 동기 신호에 동기해서 카운트 동작을 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전술한 매치카운터(132)의 다운카운트 스피드에 비교해서 4배의 스피드로 카운트를 행한다.
따라서 예를들면 매치램(134)에서 「00000000」의 판독 어드레스(제2도에 나타낸 어드레스의 상위 8비트)가 출력된 경우를 가정하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10비트 어드레스 「0000000000」에서 「0000000011」까지의 합계 4어드레스분의 정보, 즉 한조의 오브젝트 정보 전부가 판독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이같이 해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된 한조의 오브젝트 정보는 그 내용에 제9도에 나타낸 회로 각부로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복 실시예의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100)는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그 오브젝트의 판독 어드레스 신호, 수직 캐렉터 블록 신호(CCU0), 블록내 수직주사위치 신호라인을 출력하면서 그 오브젝트의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접부 판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9도에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쉐이프 제너레이터(300) 라인버퍼(400),어드레스 변환회로(600) 및 어드레스 지정회로(7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나타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매치램(134)에서 출력된 각 오브젝트의 수직 캐렉터 블록(CCU0),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신호(라인넘버)라인 및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되는 오브젝트 식별정보(CC)는 각각 어드레스 지정회로(700)로 입력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의 장치는 캐렉터 블록 한 개분의 크기의 오브젝트뿐 아니고, 예를들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캐렉터 블록을 매트릭스 배치해서되는 커다란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오브젝트 식별정보(CC)는 단지 오브젝트의 기준이 되는 캐렉터 블록을 특정하는데 지나지 않고, 이대로는 쉐이프 제너레이터(300), 캐렉터 제너레이터(40)내에 등록된 다수의 캐렉터 블록에서 판독대상으로 되는 원하는 캐렉터 블록을 특정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실시예의 장치에는 전술한 어드레스 지정회로(70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어드레스 지정회로(700)는 입력된 데이터 가운데 오브젝트의 기준 캐렉터 블록을 특정하는 행 캐렉터 코드(CCU)와 판독 대상으로 되는 캐렉터 블록이 전술한 기준 캐렉터 블록에서 수직방향으로 몇번째인가를 나타내는 3비트의 수직 캐렉터 블록 데이타(CCU0)를 가산기(710)에서 가산해서 출력한다.
따라서 이 가산기(710)에서는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수직 캐렉터 블록(제3도에 나타낸다)을 특정하는 행 캐렉터 코드가 제7도 및 제12도에 나타낸 판독 어드레스의 일부를 구성하는 새로운 행 캐렉터 코드(CCU)로서 연산출력되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가간기(710)에서 출력된 10비트 데이타, 어드레스 지정회로(700)에 입력된 오브젝트 식별정보의 하위 6비트 데이타, 3비트의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는 각각 제7도 및 제11도에 나타낸 쉐이프 제너레이터(300) 및 캐렉터 제너레이터(40)의 행 캐렉터 코드, 라인넘버로서 이용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같이 해서 출력된 어드레스 정보는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로 출력되면서 래치회로(720)(740) 및 카운터(730)로 출력된다.
이때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는 이것이외에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딘 수평위치 신호, 부가정보데이타등이 입력되어 있다.
그래서 이 표기 오브젝트 메모리(200)는 매치카운터(132)에서 디크리멘트 출력되는 매치넘버에 의해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전술한 것처럼 입력되는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차례로 기억한다.
즉, 실시예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는 그 기억영역이 전술한 제4도에 나타낸 것처럼 형성되어 있고, 매치카운터(132)에서 출력되는 매치넘버를 입력 어드레스로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차례로 입력 기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것같은 래치회로(720)(740) 및 카운터(730)에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어드레스가 입력되면, 먼저 행 캐렉터 코드(CCU)는 래치회로(720)를 통해서 그대로 멀티플렉서(750)로 출력된다.
열 캐렉터 코드(CCL)는 3MHz의 동기신호에 동기해서 카운트업하는 카운터(730)(매치카운터(132)의 4배의 스피드)의 초기값으로서 이용되고, 그 카운트 데이터는 멀티플렉서(750)로 출력된다.
따라서 매치카운터(132)가 매치램(134)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의 데이타를 판독하는 동안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는 수평방향으로 최대 연속 4개의 캐렉터 블록의 한 라인분의 쉐이프 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것은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수평방향으로 최대 4개의 캐렉터 블록에 걸친 오브젝트를 표시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라인넘버 데이터 라인은 래치(740)를 통해서 그대로 멀티플랙서(750)로 출력된다.
또한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는 제6도에 나타낸 데이타가 미리 설정된 쉐이프 제너레이터 롬(310)과 이 롬(310)에서 출력된 8비트 병렬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하는 8비트 시프터(3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쉐이프 제너레이터 롬(310)에서는 입력된 어드레스에 입각하여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한 수평주사분의 8비트 데이타를 판독한다.
판독된 8비트 데이타는 8비트 시프터(320)에 의해 직렬로 변환되어 1화소씩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데이타로서 게이트(800) 셀렉터(810)를 통해서 라인버퍼(400)의 입력신호로서 출력된다.
여기서 게이트(800)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된 오브젝트의 수평방향크기에 대응해서 게이트를 열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는 래치회로(820)에 래치된 수평방향크기에 입각하여 3비트 다운카운터(830)가 다운카운트 제어를 행하는 게이트(800)를 개폐제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된 2비트의 수평방향크기는 래치회로(820)를 통해서 3비트 다운카운터(830)의 초기값의 하위 2비트 데이터로 공급된다.
이때, 초기갓의 상위 1비트는 1로 세트된다.
그래서 이 다운카운터(830)는 카운터(730)와 같은 스피드로 카운트다운하고, 그 카운트 데이타 상위 1비트가 1 일 때, 게이트(800)의 데이터 통과를 허용한다.
다운카운터(830)는 수평방향 크기분 카운트하는 동안, 이 카운트 데이타의 상위 1비트를 1로 하는데, 라인버퍼(400)에는 수평방향 크기내에서 또한 쉐이프 데이타가 1의 경우에만 데이타의 입력이 허가되는 것이 된다.
또한 실시예의 라인버퍼(400)는 라인버퍼 카운터(410), 라인버퍼 메모리(420) 및 마스크(430)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라인버퍼 메모리(420)는 전술한 제5도에 나타낸 것처럼 한 수평주사분의 화소에 대응한 기억영역을 갖고,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서 출력된 두 개값의 화소데이타를 라이트신호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서 오브젝트가 불투명한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일화소분)가 출력된 경우에 라인버퍼 메모리(420)는 라인버퍼 카운터(410)에 의해 지정된 어드레스에 그때 매치카운터에서 디크리멘트 출력되는 매치넘버를 입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매치카운터(132)에서 출력된 매치넘버는 래치회로(840)에 일단 래치되어 마스크회로(430)를 통해서 라인버퍼 메모리(420)에 입력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여기서 전술한 마스크회로(430)는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여기서 전술한 마스크회로(430)는 데이터 판독시에 리드모디파이 라이트, 즉 판독직후에 동일 어드레스에 클리어 정보(이경우에는 투명정보의 1F)를 입력방법에 의해 메모리(420)의 내용을 전부 클리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라인버퍼 카운터(410)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검출 오브젝트의 정보가 출력될 때, 오브젝트의 수평표시위치에 따라 지정되는 어드레스를 입력개시 어드레스로서 수평주사방향 32화소분의 폭(4캐렉터 블록분의 폭)을 가진 입력 어드레스 신호를 라인버퍼 메모리(420)로 출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들면 입력된 매치넘버가 「0」,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서 출력된 32화소분의 투명, 불투명 데이타 가운데 최초의 4화소분만이 불투명인 것을 표시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그 오브젝트의 수평위치신호로서 100번째의 화소를 나타내는 정보가 입력되면, 라인버퍼 카운터(410)는 어드레스(100)를 초기화로서 131까지 그 카운트값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라인버퍼 메모리(420)에는 제10도에 나타낸 것처럼 이 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서 더욱 불투명한 부분인 100에서 103의 어드레스 영역에만 매치넘버「0」이 기억되도록 한다.
이렇게해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수평주사마다, 라인버퍼 메모리(420)내에 해당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각 오브젝트의 매치넘버가 쓰여진다.
이때, 라인버퍼메모리(420)로의 데이터의 입력은 이미 데이타가 들어와 있어도 행해진다.
실시예에서는 뒤에 쓰인 것이 우선된다.
이것은 매치램(134) 및 표본정보메모리(200)에의 새로운 어드레스에의 입력 우선을 의미한다.
실시예의 장치는, 이렇게 해서 라인버퍼메모리(420) 및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 정보를 전부 입력하면, 다음에 판독 회로(500)에 의해, 라인버퍼메모리(420)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라인부의 매치 넘버에 기초해서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에 기억된 오브젝트의 정보를 1화소분씩 일어낸다.
실시예에 있어서, 이 판독회로(500)는 셀렉터(510), 카운터 제어부(511) 및 카운터(410)를 포함한다.
그래서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로의 데이터 입력시에는 래치회로(840)에서 출력된 매치 넘버를 입력 어드레스로서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로 출력한다.
또한 데이타 판독시는, 이 판독회로(500)는 카운터 제어부(511)를 이용해서, 먼저 전술한 라인버퍼카운터(410)를 제어한다.
그래서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0번지에서 287번지로 순차로 인크리멘트되는 판독 어드레스를, 이 카운터(410)에서 라인버퍼메모리(420)로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라인버퍼메모리(420)는, 0번지에서 287번지까지 기억한 정보를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의 판독 어드레스로서 셀렉터(510)를 통해서 순차 출력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동시에, 라인버퍼카운터(410)에서 출력된 판독 어드레스는 셀렉터(850)를 통해서 어드레스 변환회로(600)로 출력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서 판독되는 각 오브젝트의 정보도 같이 해서 어드레스 변환회로(600)로 출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버퍼(400) 및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는 각각 두조가 준비되어 있어서, 한쪽의 조에 데이터 입력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 조에서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지는 듀얼방식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의 장치는, 제8도에 나타낸 것처럼, 두조의 매치회로(130-1), (130-2)가 준비되어 있어서, 두조의 라인버퍼(400) 및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와 서로 연관해서 데이터의 판독이 행해지도록 전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전술한 매치회로(130-1)에 있어서, 매치카운터(132)는 표시해야할 수평주사라인의 2개전의 수평주사가 개시되면 동시에 매치신호에 기초해서 업카운트 동작을 개시한다.
그후 다음의 수평주사가 개시되면, 이 매치카운터(132)는 다운카운트 동작을 개시해서 매치램(134)에의 데이타의 입력과 출력하는 매치넘버에 의한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 및 라인 버퍼램(420)에의 신호 출력을 개시한다.
그래서 매치회로(130-1)의 매치카운터(132)에서 출력되는 매치넘버에 의해, 한쪽 조의 라인 버퍼램(420)과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 매치넘버가 출력된다.
이에 의해 라인버퍼(400)와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로의 데이타 입력이 행해진다.
이때, 다른 조의 매치회로(130-2)에서는 매치카운터(132)가 2개후의 수평주사라인에 표시해야 할 정보를 연산하는 준비를 개시하고 있다.
즉 매치회로(130-2)에서는 매치카운터(132)가 업카운트 동작을 개시하고 있다.
이때 매치회로(132-2)에 대응해서 설치된 다른 조의 라인 버퍼램(420)과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서는 현제 수평주사가 행해지고 있는 라인상에 표시해야할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지고 있다.
이같은 동작은, 2조의 매치 회로, 라인 버퍼램 및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를 이용해서 교대로 행해지기 때문에, 가가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해야할 데이타의 입력 및 판독이 부드럽게 행해진다.
또한 전술한 어드레스 변환회로(600)는 두 개의 가산기(610) 및 (620)을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한쪽의 가산기(610)는, 셀렉터(850)를 통해서 입력되는 라인버퍼카운터(410)의 카운트 값(라인 버퍼램(420)의 판독 어드레스)와,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서 판독된 오브젝트 수평표시위치신호와 감산을 하여 5비트의 감산값을 출력한다.
이같이 해서 구해진 5비트의 감산값은, 현재의 수평주사위치가 그것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좌단에서 몇 화소째인가를 나타낸다.
이 5비트 정보의 가운데, 상위 2비트는 전술한 제3도에 나타낸 것처럼, 복수의 오브젝트를 합해서 전체로서 하나의 커다란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에, 그의 오브젝트가 왼쪽에서 몇번째의 오브젝트인가를 나타내는 수평 캐렉터 블록 데이타이다.
또한, 5비트의 정보 가운데, 하위 3비트는 그 캐렉터 블록의 왼쪽에서 몇번째 화소인가를 나타내는 H 돗트 데이타(돗트 넘버)이다.
또한 한쪽의 가산기(620)는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서 판독된 오브젝트의 행 캐렉터 코드와, 전술한 가산기(610)에서 출력된 5비트 감산값의 상위 2비트를 가산하고, 거기에 표시된 캐렉터 블록의 열의 캐렉터 코드(CCL)를 연산출력한다.
즉, 실시예의 어드레스 변환회로(600)에서 출력된 10비트의 신호(CCU)는 오브젝트 식별정보의 상위 10비트 즉 행 캐렉터 코드를 나타낸다.
또한 가산기(610)에서 출력된 신호(CCL)는 오브젝트 식별정보의 하위 6비트 즉 열 캐렉터 코드를 나타낸다.
또한 가산기(610)에서 출력된 5비트 감산값의 가운데 하위 3비트는 오브젝트의 좌단에서 몇번째 화소인가를 나타내는 돗트 넘버로 신호라인은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신호(라인 넘버)를 각각 나타낸다.
따라서 이 어드레스 변환회로(600)에서는, 제2도에 나타낸 캐렉터 제너레이터용의 판독 어드레스가 출력 되도록 되어, 이 판독 어드레스와 함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에서 된 그의 오브젝트의 부가 정보 데이터(프라이 오리티(priority) 데이타, 파레트 데이타등)이 멀티플렉서(70)로 출력된다(제1도). 멀티플렉서(70)는 이같이 해서 입력된 정보와, 다른 스크롤 화면회로 등에서 보내져 오는 정보와를 비교해서, 어드레스 변환회로(600)에서의 데이타의 우선도가 높은 경우에, 어드레스 변환회로에서 출력되는 정보, 즉 캐렉터 제너레이터 판독 어드레스 및 부가정보 데이타를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 출력한다.
캐렉터 제너레이터(40)는 이같이 해서 정보가 순차입력되면, 캐렉터 제터레이터 판독 어드레스에서 지정된 화소 데이타를 출력하고 이것을 전술한 부가정보 데이타와 같이 칼라신호 회로로 출력된다.
칼라신호회로는 입력된 화소데이타 및 부가정보 데이터에 입각해서 CRT의 칼라신호를 1화소씩 출력한다.
이같이 해서 실시예의 장치는 각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CRT 칼라신호를 1화소씩 출력함에 따라 오브젝트 콘트롤러(10)에 의해 연산된 1화면분의 오브젝트를 CRT상에 화상표시할 수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비데오 게임에 적용한 경우에 예로 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것 이외에 CRT를 이용한 각종 용도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고, 예를들면 퍼스널컴퓨터의 화상표시회로 및 그외의 용도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관한 오브젝트의 표시장치와 종래의 오브젝트의 표시장치에 필요한 메모리에 대해서 비교검토한다.
먼저 비교에 앞서서 그 전제요건으로서, CRT의 한 수평주사라인아 288화소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다.
그래서, 각 오브젝트의 정보로서 8비트의 화소데이타와, 5비트의 파레트 데이터 및 3비트의 프라이 오리티데이타가 주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는 제13도에서 나타낸 종래 장치에서는, 라인버퍼(60)에
16(비트/화소)×288(화소)=4608(비트)
의 메모리 용량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예를들면 한 수평주사라인 상에 최대 31개(5비트로 나타낼 수 있다)까지 오브젝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라인 버퍼(400)에 필요로 되는 메모리 용량은
5(비트/화소)×288(화소)=1440(비트)
로 충분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라인 버퍼(400)이외에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를 필요로 하지만,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최대 31개까지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경우에는
32(비트)×31=992(비트)
의 메모리 용량을 준비하면 충분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되는 메치램(134)은
14(비트)×31=434(비트)
의 메모리 용량을 준비하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장치에서는 총 메모리 용량으로
1440(비트)+434(비트)+992(비트)=2866(비트)
가 있으면 좋다.
따라서 종래 장치와 본 발명 장치와를 단순하게 비교하면
4608(비트)-2866(비트)=1742(비트)
만큼 본 발명의 쪽의 메모리 용량이 작게 끝난다.
이것은 종래 방식에 비교해서 그 총 메모리 용량이 3/5으로 되어 종래 방식에 비교해서 필요로 하는 메모리 용량을 대폭 적게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을 듀얼 라인 버퍼 방식의 장치에 적용하면
1742(비트)×2=3484(비트)
분만큼 메모리 용량을 절약할 수 있고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된다.
특히 각 오브젝트의 정보 예를들면 화소데이타 등은 이후 더욱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 경우 종래 방식에서는 데이타가 1비트 증가할 때 한 수평 주사분, 즉 288비트의 램 용량이 증가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방식에서는 오브젝트 정보가 다소 증가해도 장치 전체의 램 용량은 거의 증가하지 않고 종래 장치에 비교해서 현저한 효과가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적절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전술한 제1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13도에는 본 발명에 관한 오브젝트의 표시장치의 적절한 제2실시예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정적인 사항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은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0)를 이용하지 않고 라인버퍼(400)에 직접 각 오브젝트 칼라코드를 입력 기억하는 것이다.
먼저,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100)는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연산해야할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검출을 행한다.
그래서 검출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판독하여, 판독된 정보를 라인버퍼(400), 쉐이프 제너레이터(300) 및 캐렉터 제너레이터(40)로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있다.
이때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검출 오브젝트 판독 어드레스가 입력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는 제12도에 나타낸 것같은 검출 오브젝트 판독 어드레스가 입력된다.
그래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에서는, 전술한 제1발명의 실시예와 같은 검출, 오브젝트 블록내 한 수평 주사분의 두 개 값의 화소데이타가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 데이터로서 라인버퍼(400)로 출력된다.
이 두개값의 화소데이타는 라인버퍼(400)에 대하는 입력신호로서 이용된다.
또한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서는 검출 오브젝트의 블록내한 수평주사분의 칼라코드가 각 화소마다 라인버퍼(400)로 출력된다.
그래서 라인버퍼(400)는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출력에 기초하여 각 검출 오브젝트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기억영역이 투명인지 불투명인지를 각 화소마다 판단하여, 불투명부분에 대응한 기억 영역에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서는 출력되는 각 검출 오브젝트 칼라코드를 차례로 기억한다.
본 실시예의 장치는 이같이 해서 한 수평주사분의 칼라코드를 라인버퍼(40)의 대응하는 기억영역에 차례로 입력해간다.
이 압력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것처럼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쉐이프 제너레이터(30)에서 출력되는 두 개 값의 화소 데이터에 기초해서 행해진다.
이 때문에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칼라코드로 행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이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로 하는 정보량이 현저하게 적어지고 특히 장치 전체의 간소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 같이 해서 해당 수평라인상에 표시된 각 오브젝트 칼라코드의 입력이 종료하면, 계속해서 판독회로(500)는 수평조사에 동기해서 라인버퍼(400)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분의 칼라코드정보를 차례로 판독하고 화소데이타로서 차례로 출력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라인버퍼(400)에 칼라코드가 입력되기 때문에 라인버퍼(400)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오브젝트의 화소데이타를 나타낸다.
따라서 판독회로(500)의 후단에 전술한 제1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어드레스 변환 회로(600),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설치하지 않고 화소데이타의 출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인버퍼(400)에 칼라코드만을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지 않고 라인버퍼(400)에 칼라코드 및 그밖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기억할 수 있다.
제14도에서는 전술한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의 구체적인 회로구성이 표시되어 있다.
또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대응하는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브젝트 카운터(110)는 각 수평주사마다 3MHz의 블록에 동기해서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판독 어드레스를 오브젝트 정보 메모리(20)로 출력한다.
따라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는 판독 어드레스가 입력되는 3MHz에 동기해서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가 차례로 출력된다.
이때 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출력되는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는 제2도에 나타낸 메모리 맵에 있어서, 판독 어드레스의 하위 2비트가「00」의 영역에 기억된 데이타(D1)와 「01」의 영역에 기억된 D2의 데이타와「10」영역에 기억된 D3의 데이타와「11」의 영역에 기억된 D4의 데이타로 된다.
그래서 D1의 정보는 래치(106)를 통해서 매치신호 발생회로(120)에 입력된다.
매치신호 발생회로(120)는 전술한 제1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매치신호와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신호(LINE)와 수직 캐렉터 블록(CCU0)을 연산 출력한다.
또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출력된 D2의 정보는 래치회로를 통해서 어드레스 지정회로(700)에 입력된다.
어드레스 지정회로(700)는 이같이 해서 입력된 D2의 정보와 매치신호 발생회로(120)에서 출력된 데이타에 입각해서 연산하고, 캐렉터 제너레이터(40) 및 쉐이프 제너레이터(300)로 출력된다.
여기서 어드레스 지정회로(700)의 카운터(730)는 리세트 신호가 입력될 때 입력되는 CCL을 초기값으로서 3MHz 간격이다.
이때 클록의 주파수 3MHz는 오브젝트 카운터(110)의 클록 주파수와 같고, 또한 리세트 신호는 0.75MHz 클록을 카운트해 간다.
이 때문에 이 카운터(730)에서는 최대 4블록분의 열캐렉터 코드가 출력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어드레스 지정회로(700)는 가산기(710)에서 캐렉터 제너레이터의 행 캐렉터 코드, 카운터(730)에서 캐렉터 제너레이터의 열 캐렉터 코드, 래치 회로(740)에서 라인 넘버가 각각 출력되게 된다.
그래서 이같이 출력된 데이타는 제7도에 나타낸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판독 어드레스를 나타내도록 된다.
또한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는 24MHz 클록을 업카운트하는 3비트 카운터(42)의 카운터트 값이 돗트 넘버로서 입력된다.
이 24MHz의 클록 주기는 전술한 오브젝트 카운터(110)의 클록 주기 3MHz의 8배인데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하나의 오브젝트의 정보가 판독될때마다 8돗트분의 데이타가 판독되도록 된다.
여기서 캐렉터 제너레이터(40)를 24MHz로 억세스하는데에는 고속의 램을 사용해고 좋으나 2개의 캐렉터 제너레이터를 서로 억세스함에따라 저속의 롬을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같은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는 어드레스 지정회로(700) 및 3비트 카운터(42)에서 제12도에 나타난 캐렉터 제너레이터 판독 어드레스가 입력되도록 된다.
그래서 이같은 각 판독 어드레스에 입각하여 쉐이프 제너레이터(300) 및 캐렉터 제너레이터(40)에서 출력된 데이타는 셀렉터(810)(44)를 통해서 각각의 라인버퍼메모리(420)에 입력된다.
이때 셀렉터(810)를 통해서 입력된 쉐이프 제너레이터(300)의 출력은 라인버퍼메모리(420)에 대한 라이트 신호로 된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같은 라이트 신호는 앤드게이트(800)를 통해서 셀렉터(810)에 입력되고 있다.
이 앤드게이트(800)에는 쉐이프 셀렉터(300)에서의 신호이외의 매치신호 발생회로(120)에서 출력된 매치신호와 3비트 카운터(830)에서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매치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라인버퍼메모리(420)에의 입력은 허가되지 않는다.
또한 3비트 카운터(830)에서 H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라인버퍼메모리(420)에의 입력은 허가되지 않는다.
이때 실시예에 있어서 셀렉터(44)를 통해서 입력된 캐렉터 제너레이터(40)의 출력 즉 각 화소의 칼라코드는 라인버퍼메모리(420)에의 입력 데이타로 된다.
또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출력된 대이타(D4)도 입력 데이타로서 래치회로(46)를 통해서 셀렉터(44)에 입력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라인버퍼메모리(420)에 칼라코드 및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20)에서 출력된 부가정보 데이타가 입력 데이타로서 입력되도록 된다.
이 데이터에 대하여 입력 어드레스는 후술하는 라인버퍼카운터(410)에서 라인버퍼메모리(420)에 입력된다.
또한 오브젝트 정보메모리(20)에서 출력된 D2의 정보 가운데 수평방향 사이즈(H-SIZE)가 래치회로(820)를 통해서 3비트 카운터(830)에 입력된다.
또한 D3에 포함된 정보 가운데 수평표시위치는 래치회로(440)를 통해서 라인버퍼카운터(410)에 입력된다.
그래서 전술한 3비트 카운터(830)는 0.75MHz의 주기로 프리셋트 신호가 입력될때마다 상위 1비트에 「1」을 프리셋트하고 하위 2비트에 래치회로(820)에서 입력되는 H-SIZE 신호(2비트)를 프리셋트한다.
그래서 이 3비트의 프리셋트 값을 초기치로서 3MHz 클록으로 카운트다운하고 그때 카운트 값의 상위 1비트를 앤드게이트(800)에 출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라인버퍼카운트(410)는 라인버퍼카운트(410a) H 카운터(410b) 및 셀렉터(410c)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라인버퍼카운터(410a)는 라인버퍼메모리(420)에의 데이터 입력 어드레스 출력용으로 이용되어 0.75MHz의 주기로 프리셋트 신호가 입력될때마다 그때 래치회로(420)에서 출력된 수평방향사이즈를 초기값으로서 24MHz의 클록으로 카운트 업한다.
그래서 카운터 값을 셀렉터(410c)를 통해서 라인버퍼메모리(420)로, 입력 어드레스로서 출력하고 있다.
여기서 클록 주기를 24MHz로 한 것은 캐렉터 제너레이터(40)의 돗트 데이터 출력 주기와 같은 타이밍으로 입력 어드레스를 출력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어드레스에 의해 지정된 라인버퍼메모리(420)의 각 기억영역에는 셀렉터(810)에서 라이트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만 셀렉터(44)를 통해서 입력된 캐렉터 제너레이터(40)의 출력(칼라코드) 및 래치회로(440)에서 출력(D4데이타)이 입력 기억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전술한 H 카운터(410b)는 라인버퍼(420)에서는 데이타 판독용으로 이용된다.
즉, 이 H 카운터(410b)는 6MHz의 클록을 카운트하여 0-287의 값을 카운트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카운트 값을 판독 어드레스로서 셀렉터(410c)를 통해서 라인버퍼메모리(420)로 출력한다.
따라서 이 H 카운터(410b)의 출력하는 판독 어드레스가 라인버퍼메모리(420)에 입력되면 이 라인버퍼메모리(420)에서는 CRT의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0번지-287번지로 차례로 판독되도록 된다.
또 실시예에 있어서 전술한 각 셀렉터(44)(810)(410c)는 라인버퍼메모리(420)에의 데이타의 입력 및 판독 타이밍에 동기해서 각각 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버퍼메모리(420)는 두조 설치되고 있고, 한쪽 조의 라인버퍼메모리에 대해 데이터의 입력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조의 라인버퍼메모리(420)에서는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지고 있다.
그래서 데이타 입력이 행해지는 라인버퍼메모리(420)측에 있어서, 셀렉터(44)는 캐렉터 제너레이터(44) 및 래치(46)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변화되고, 이때 셀렉터(810)는 앤드게이트(800)의 출력을 선택하고 셀렉터(410c)는 라인버퍼카운터(410a)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제어된다.
또한 데이타의 판독이 행해지는 라인버퍼메모리(420)측에 있어서 셀렉터(410c)는 H 카운터(410b)의 출력을 선택하도록 변화되고 이와 동시에 다른 셀렉터(810)(44)는 소거신호 소거데이타를 선택하도록 변화된다.
이같이 함에 따라 라인버퍼메모리(420)에서 데이타가 판독되면 이 판독된 화소의 기억데이타는 차례로 소거된다. 소위 리드 모디파이 라이트 동작이 행해지도록 된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제1 및 제2실시예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에서 각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제1의 문제를 해결하고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쉐이프 제너레이터를 이용해서 행함에 따라 그 판단에 필요로 하는 정보량이 대단히 적어져서 장치 전체의 간소화 저코스트한화를 도모할 수 있고, 특히 투명 불투명의 판단을 보다 빠르게 행할 수 있다.
부언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제2 제3의 문제를 해결하고 표시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데이타의 증감에 관계없이 항상 소용량의 라인버퍼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필요에 따라 라인버퍼를 커스텀칩화하고 장치전체의 코스트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 정보, 수직표시 위치정보 수평표시위치정보를 포함한 한조의 오브젝트 정보가 각 오브젝트 마다 연산되고 연산된 각 오브젝트 정보에 입각하여 래스터 디스플레이상에 각 오브젝트를 화상표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산된 한 화소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기억하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와, 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오브젝트 정보에 입각하여 래스터 디스플레이의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각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출하면서 검출 오브젝트의 블록내 수직주사위치를 연산출력하는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와, 각 오브젝트 이미지가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두 개의 화소데이타를 이용해서 나타낸 블록정보로서 미리 등록되어 오브젝트 식별 정보 및 전술한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입각하여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내 한 수평주사분의 두 개의 화소데이타를 각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쉐이프 제너레이터와,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된 각 오브젝트의 정보를 오부젝트 정보메모리에서 판독하고 차례로 소정의 기억영역에 기억하는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와, 수평주사라인의 각 화소에 대응한 기억영역을 갖고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의 출력이 입각하여 각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소가 투명 불투명인가를 판단하여 불투명 부분에 대응한 기억영역에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에 입력 어드레스를 차례로 기억하는 라인버퍼를 포함하여 이 라인버퍼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라인분의 입력 어드레스 정보에 입각하여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에서 검출 오브젝트 정보를 판독 캐렉터 제너레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오브젝트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는 각 수평주사마다 전부의 오브젝트 어드레스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로 출력하고 각 오브젝트 수직표시위치정보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서 판독하는 오브젝트 카운터와, 판독된 각 오브젝트의 수직표시위치정보와 래스트 디플레이의 수직주사위치에 입각하여 그 오브젝트가 해당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되는가 아닌가를 판단하여 표시되는 경우에는 매치신호를 출력하면서 그 오브젝트의 블록내 수직주사위치를 연산출력하는 매치신호 발생회로와, 매치신호의 수를 한 방향으로 카운트하고 매치넘벌로서 출력하는 매치카운터와, 매치신호가 출력될때마다 매치카운터에 의해 지정되는 기억영역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정보메모리에서의 판독 어드레스 및 오브젝트의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를 기억하는 매치램을 포함한 매치카운터는 한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검출종료후는 그 카운트값을 역방향으로 차례로 카운트 출력하도록 형성되어, 매치램은 매치카운터에서 역방향으로 카운트 출력되는 매치넘버가 판독 어드레스로서 입력되어 이때 판독되는 오브젝트의 판독 어드레스를 오브젝트 정보메모리로 출력하고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서 그 오브젝트의 정보를 출력시키는 동시에 판독되는오브젝트 블록내 수직주사위치 정보를 쉐이프 제너레이터 및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로 출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쉐이프 제너레이터는 각 오브젝트 이미지가 투명 불투명을 나타내는 두 개값의 화소데이타를 이용해 나타난 블록정보로서 미리 등록되어 오브젝트 식별 정보 및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입각하여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내 한 수평주사성분의 두개값의 화소데이타를 패러렐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쉐이프 메모리와, 출력된 패러렐 데이타를 각 화소마다의 시리얼 데이타에 차례로 교환출력하는 시프트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표시 오브젝트 메모리는 매치카운터에서 역방향으로 카운트 출력되는 카운트 넘버에 의해 지정된 기억영역에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서 출력되는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정보를 차례로 기억하도록 형성되고 라인버퍼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서 판독된 오브젝트의 수평표시위치정보 및 쉐이프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된 화소열의 투명 불투명 데이타에 입각하여 그 오브젝트가 표시된 각화소에 대응한 기억영역에 그 오브젝트에 대응해서 매치카운터에서 역방향으로 카운터 출력되는 카운트 넘버를 차례로 기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 표시장치.
  4.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식별 정보, 수직표시위치정보, 수평표시위치정보를 포함한 한조의 오브젝트 정보가 각 오브젝트마다 연산되고 연산된 각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해서 래스트 디스플레이상에 각 오브젝트를 화상표시하는 장치로서, 연산된 한 화소분의 오브젝트 정보를 기억하는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와, 이 오브젝트 정보메모리에 기억된 오브젝트 정보에 입각해서 래스트 디스플레이어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각 수평주사라인상에 표시된 오브젝트를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 오브젝트의 블록내 수직위치를 연산출력하는 표시 오브젝트 검출회로와, 각 이미지가 투명, 불투명을 나타낸 두개값의 화소데이타를 이용해서 나타낸 블록 정보로서 미리 등록되어 오브젝트 식별정보 및 전술한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입각하여 대응하는 오브젝트 블록내에 한 수평주사분의 두 개값의 화소데이타를 각 화소의 투명 불투명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쉐이프 제너레이터와, 각 오브젝트의 형상 및 색채의 오브젝트 이미지가 칼라코드를 이용해서 각 화소마다 색채를 특정하는 블록정보로서 미리 등록되고 오브젝트의 식별정보 및 전술한 블록내 수직주사위치정보에 입각해서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블록내 한 수평주사분의 칼라코드데이타를 각 화소마다에 출력하는 캐렉터 제너레이터와, 수평주사라인의 각 화소에 대응한 기억영역을 갖고 전술한 쉐이프 제너레이터의 출력에 입각하여 각 검출 오브젝트의 표시위치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의 화소가 투명인가 불투명인가를 판단하여 불투명 부분에 대응한 기억영역에 캐렉터 제너레이터에서 판독된 각 오브젝트 칼라코드를 차례로 기억하는 라인버퍼를 포하만 수평주사에 동기해서 전술한 라인버퍼에 기억된 한 수평주사분의 정보를 화소정보로서 차례로 판독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브젝트의 표시장치.
KR1019880018225A 1987-12-30 1988-12-30 오브젝트(object) 표시장치 KR970005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35708A JPH0670742B2 (ja) 1987-12-30 1987-12-30 標体の表示装置
JP?62-335708 1987-12-30
JP62-335708 1987-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742A KR890010742A (ko) 1989-08-10
KR970005936B1 true KR970005936B1 (ko) 1997-04-22

Family

ID=1829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8225A KR970005936B1 (ko) 1987-12-30 1988-12-30 오브젝트(object)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23636B1 (ko)
JP (1) JPH0670742B2 (ko)
KR (1) KR970005936B1 (ko)
DE (1) DE3850087T2 (ko)
ES (1) ES205689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51903T1 (de) * 1990-02-05 1997-05-15 Ricoh Kk Animationsanzeigeeinheit und dafür verwendeter externer speicher
US5371512A (en) * 1990-11-19 1994-12-06 Nintendo Co., Ltd. Background picture display apparatus and external storage used therefor
JP5325744B2 (ja) * 2009-10-30 2013-10-23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3918B1 (fr) * 1983-10-19 1986-01-03 Radiotechnique Procede pour engendrer des objets dans une image video
CA1257719A (en) * 1985-02-25 1989-07-18 Stephen Maine Graphics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3636A2 (en) 1989-07-12
ES2056893T3 (es) 1994-10-16
DE3850087T2 (de) 1994-11-24
JPH0670742B2 (ja) 1994-09-07
EP0323636B1 (en) 1994-06-08
DE3850087D1 (de) 1994-07-14
KR890010742A (ko) 1989-08-10
EP0323636A3 (en) 1991-10-23
JPH01179082A (ja) 198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991B1 (ko) 래스터주사방식 디스플레이의 수직필터링방법 및 그 수직필터링장치
EP0473390B1 (en) Superimposition of still pictures consisting of characters
RU210601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исплея подвиж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и внешнее запомин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используемое для него
EP0139932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the display of a cursor
JPS58184993A (ja) ビデオ信号発生システム
EP0491468B1 (en) Display range control apparatus and external storage unit for use therewith
GB2174278A (en) Area-fill graphic image processing system
JPH05501772A (ja) 強化ディジタルビデオエンジン
EP0076082B1 (en) Display processing apparatus
JPH04182696A (ja) 画像処理装置
JPH04106593A (ja) 静止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外部記憶装置
EP056835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 image
ES2197411T3 (es) Aparato de generacion de imagenes, metodo de generacion de imagenes, medio de grabacion de programas de generacion de imagenes, aparato de composicion de imagenes, metodo de composicion de imagenes y medio de grabacion de programas de composicion de imagenes.
KR970005936B1 (ko) 오브젝트(object) 표시장치
US5202672A (en) Object display system
JPS60205486A (ja) データ表示装置
JPS5897378A (ja) 走査形デイスプレイ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装置
JPS5983454A (ja) フオ−ムパタ−ン発生装置
JPS6329472B2 (ko)
EP0195998B1 (en) Display controller
JPH023517B2 (ko)
JPS61120198A (ja) 画像メモリ制御回路
JPS58129473A (ja) メモリ制御方式
JPS59111739A (ja) 画像表示装置
JPS602986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