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86Y1 -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86Y1
KR970005886Y1 KR2019950005287U KR19950005287U KR970005886Y1 KR 970005886 Y1 KR970005886 Y1 KR 970005886Y1 KR 2019950005287 U KR2019950005287 U KR 2019950005287U KR 19950005287 U KR19950005287 U KR 19950005287U KR 970005886 Y1 KR970005886 Y1 KR 970005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ushion member
seat
present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5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3024U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한승준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05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886Y1/ko
Publication of KR9600330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0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시이트백 프레임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
제3도는 종래구조로서, 제1도에 대응되는 시이트백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2 : 와이어
3 : 쿠션용 고무판4 : 연결부재
본 고안은 차량용 사이트에 있어서 등받이부분의 쿠션을 향상시키어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착좌하였을 때 이물감 느낌을 느끼지 않으면서 안락성에 향상되는 차량용 시이트백의 쿠션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이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시이트에 앉아 있을대 이물감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안하여야만 주행피로를 저감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취지에서 최근에는 시이트에 쿠션부재를 이용하여 보다 안락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점진적으로 증대되어 왔다.
종래의 차량 시이트의 등받이 부분의 시이트백을 살펴보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체를 이루는 폐쇄된 프레임(101)사이에 와이어 스프링(102)이 단지 지그재그 방식으로 가로질러 설치되어 운전자와 탑승객의 안락성을 부여 하였으나, 이 와이어스프링(102)를 감싸는 패드의 두께를 시이트 레이아우트상 두껍게 할 수가 없을 경우, 결국 시이트를 이용하는 운전자와 탑승객은 상기 와이어 스프링(102)에 의해 이물감을 느끼게 되어 안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이트를 이용하는 운전자와 탑승객의 이물감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보다 안락한 착좌가 이루어지는 개량된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는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에 여러개의 와이어들로 보유지지되는 고무판이 연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시이트백에서 패드를 제거한 상태의 프레임 정면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I-I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1)에 여러개의 와이어들(2)로 보유지지되는 쿠션용 고무판(3)이 연결부재들(4)을 매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은 요동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용 고무판(3)이 와이어들(2)에 의해 연결되고, 이 와이어들(2)은 프레임(1)에 연결설치됨에 따라 이 쿠션용 고무판(3)이 시이트백의 프레임(1)에 견고하게 설치되어 요동을 흡수함에 따라 착좌자의 안락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는, 평평한 연속적인 쿠션용 고무판(3)이 등받이백의 프레임(1)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객의 등을 보유지지함에 따라 패드의 두께에 상관없이 종래 와이어 스프링을 갖춘 시이트백에서 느끼는 이물감을 제거하여 보다 향상된 안락성을 부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용 시이트백의 안락성을 향상시키어 착좌자들의 편안함을 부여하여 차량 주행피로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잇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틀체를 이루는 프레임에 쿠션용 부재를 갖추어 이루어진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에는 여러개의 와이어들(2)로 보유지지되는 쿠션용 고무판(3)이 연결부재들(4)을 매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KR2019950005287U 1995-03-24 1995-03-24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KR970005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287U KR970005886Y1 (ko) 1995-03-24 1995-03-24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5287U KR970005886Y1 (ko) 1995-03-24 1995-03-24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24U KR960033024U (ko) 1996-10-24
KR970005886Y1 true KR970005886Y1 (ko) 1997-06-16

Family

ID=19409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5287U KR970005886Y1 (ko) 1995-03-24 1995-03-24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8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024U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0496A (en) Vehicle rear seat device
KR970005886Y1 (ko) 차량용 시이트백의 등받이 쿠션부재
JP4179497B2 (ja) 座席
JPH038119Y2 (ko)
JP3114358U (ja) 3座または4座の自動車におけるシート配列
KR0127890B1 (ko) 자동차의 시트쿠션
JP2022125263A5 (ja) 乗物用シート
KR200147888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사이드부 조절장치
JPH08196380A (ja) シート装置
JP4854862B2 (ja) シート・フレーム
KR20000017274U (ko) 패드 꺼짐현상을 개선한 차량용 시트 장치
JPH01268506A (ja) 自動車用シート
JP3070425B2 (ja) 自動車のトリム構造
JPH09271424A (ja) 自動車シート
JP2024036771A (ja) 車両用シート
JP3346714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構造
KR0158340B1 (ko) 자동차 시트의 패드
KR19980018744U (ko) 차량의 조수석 좌,우측부에 설치된 암레스트
JP4066495B2 (ja) 車両用シート
JPH1170029A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JPH0710589Y2 (ja) 中間部クッション材支承式シート装置
KR0137521Y1 (ko)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 쿠션
KR960008991Y1 (ko)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용 시트
KR940007819Y1 (ko) 승하강 가능한 좌석부를 갖는 자동차용 시이트
JP2004057241A (ja) シート・クッション・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