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089B1 - 다기능 콘트롤러 - Google Patents

다기능 콘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089B1
KR970004089B1 KR1019920015840A KR920015840A KR970004089B1 KR 970004089 B1 KR970004089 B1 KR 970004089B1 KR 1019920015840 A KR1019920015840 A KR 1019920015840A KR 920015840 A KR920015840 A KR 920015840A KR 970004089 B1 KR970004089 B1 KR 970004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trol
display
signal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6574A (ko
Inventor
요시카츠 사카이
마사유키 나카가와
가츠히사 츠다
겐지 야마구치
마사오 요코모리
요시유키 가마타
Original Assignee
요꼬가와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나까 타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5157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887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259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007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124991A external-priority patent/JP3278068B2/ja
Application filed by 요꼬가와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나까 타카시 filed Critical 요꼬가와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6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0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7/00Arrangements for obtaining smoot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automatic control
    • G05B7/02Arrangements for obtaining smooth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automatic control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05B11/01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 G05B11/36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 G05B11/42Automatic controllers electric with provision for obtaining particular characteristics, e.g. proportional, integral, differential for obtaining a characteristic which is both proportional and time-dependent, e.g. P. I., P. I. 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21Display graphics with corresponding tex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57Display process, synoptic, legend, pictogram, mim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168Display progress of pro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Feedback Control In General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By Comput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기능 콘트롤러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러의 외관의 1예를 나타낸 구성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제3도는 운전화면과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4도는 트랜드그래프화면과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5도는 튜닝화면과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6도는 제2도의 장치에서의 화면의 전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제8도는 알람화면과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9도는 시그널컨디셔너의 엔지니어링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0도는 제7도의 실시예장치에서의 화면전개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콘트롤러의 구성블록도이다.
제12도는 제어수단에 있어서, 제1의 기능모듈(3a)의 구성블록도이다.
제13도는 제어수단에 있어서, 제2의 기능모듈(3b)의 구성블록도이다.
제14도는 엔지니어링화면(환경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5도는 제1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2의 기능모듈(CASCADE)이 선택된 경우의 화면전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6도는 제3의 기능모듈(실렉터기능모듈)의 구성블록도이다.
제17도는 제4의 기능모듈(프로그래머블콘트롤러 기능모듈)의 구성블록도이다.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앞면패널과 수동백업수단의 설치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20도는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규격화된 신호로 변환하기위한 신호변환기(signal conditioner)를, 콘트롤러 내에 거두어넣는 구성을 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제21도는 프로세스에 설치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직접입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백업장치를 별도의 구성으로 한 경우의 구성블록도이다.
제22도는 콘트롤러 본체쪽과 백업장치와의 외관개념도이다.
제23도는 제21도의 실시예장치에 있어서, 백업장치를 케이스내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접속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로세스량(측정치)1a : 측정치 레지스터(PV1)
1b : 측정치 레지스터(PV2)2 : 설정치 레지스터
2a :설정치 레지스터(SV1)2b : 설정치 레지스터(SV2)
3 : 제어수단3a : 제1기능 모듈(실글루프)
3b : 제2기능 모듈(캐스케이드)3b1 : 제어3기능 모듈(셀렉터)
3c : 제4기능모듈(프로그래머블)4, 41 : 파라미터 설정수단
5 : 출력 레지스터5a : 전압/전류신호 변환회로
6 : 수동 조절수단8 : 화면작성수단
9 : 표시제어수단10 : 표시기
11 : 조작키 기능변경수단31,33 : 제어요소
32,34 : 리미트 처리요소42 : 기능선택 수단
50 : 수동 백업수단51: 퍼텐시아 미터
52 : 검출회로53 : 표시램프
54 : 눈금55 : 조작노브
55S : 백업전환 스위치노브56 : PV지시계
57 : MV 지시계 58,59 : 백업스위치
60 : 콘트롤러 케이스61 : 콘트롤러 내장 기기
62 : 리드선63 : 시그널컨디셔너
63B : 시그널컨디셔너63O : 포켓부
71,71 : 전환스위치81 : 운전화면 작성수단
82 : 트랜드 그래프 화면작성수단83 : 튜닝화면 작성수단
84 : 알람화면 작성수단85 : 엔지니어링 화면작성수단
850 : 메인티넌스수단91 : 화면타이틀
92 : 설정기능 여부표시93 : 설정항목면
94 : 데이터95 : 단위표시
CC1 : 내부커넥터CC2 : 외부커넥터
CC3 : 내부커넥턱MVa : 제어출력
MVb : 수동백업신호SNR : 센서
T1, T2, T4, T5 : 입력단자T3 : 외부단자
T6, T7 : 출력단자
본 발명은, 프로세스의 제어등에 사용되는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앞면의 조작페널에 풀도트의 표시기를 사용하여, 그 표시기에 제어운전을 위한 각종정보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조작키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운전이나 화면의 전환, 각종파라미터의 설정등을 행할 수 있도록한 높은 기능과 양호한 맨머신 인터페이스 기능(man to machine interface function)을 가지는 다기능 콘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싱글루프 콘트롤러가 이 분야에서 널리 실용화되고 있다. 이와같은 싱글루프 콘트롤러는, 분산형(分散形)제어시스템(DCS)에 비하여 엔지니어링 부담이 적고, 조작성이 양호하다고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싱글루프 콘트롤러는, 예를들면, 일본특허공고번호 특공소 57-57721호 공보에서 볼수 있듯이, 그 앞면의 조작패널에는, 제어에 필요한 정보 프로세스량(PV)나, 설정치(SV), 제어출력(MV)를 표시하는 지시계, 설정치를 변경하는 조작키나 조절모우드(자동조절모우드, 수동조절모우드등)를 변경하는 조작키등이 배열되고, 제어연산을 위한 각종파라미터의 설정이나, 각종기능의 지정, 보정연산의 지정등의 설정수단은, 계기의 측면등에 준비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콘트롤러는, 아날로그 콘트롤러와 다르지않는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각종 파라미터의 설정은, 계기를 래크(rack)로부터 꺼내어 측면에 설정수단을 조작하지않으면 안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또, 앞면 패널은, 제어에 필요한 최소한의 지시계와 조작키를 설치한것 뿐이기 때문에, 제어운전에 참고가 될 예를들면, 프로세스량(PV)의 트랜드 정보(trend information)등은, 콘트롤러와는 별도로 레코오더를 준비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한정된 면적의 콘트롤러 앞면패널에, 프로세스의 제어운전을 하는데 필용한 각종 오포레이선정보나, 프로세스량(PV)의 트랜드정보, 콘트롤러의 각종 제어피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정보등을 간단한 키조작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함과 동시에, 앞면패널에 설치할 키의 수를 적게하고, 조작성이 양호한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1대의 콘트롤러로, 하나의 제어루프가 실행하는 싱글루프콘트롤러로서의 기능, 캐스케이드콘트롤러로서의 기능, 실렉터콘트롤러로서의 기능, 프로그램콘트롤러로서의 기능을 공통의 하드웨어로 전환하여,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제어연산수단이나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제어수단등이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라도, 그 백업을 쉽게할 수 있도록한 신뢰성이 높은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필드로 설치한 각종센서로부터의 신호(필드센서신호)를 직접입력할 수 있고, 그 조정도 쉬운 다기능 콘트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게되는 콘트롤러의 외관의 1예를 나타낸 구성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CL는 콘트롤러 본체, PL는 콘트롤러의 앞면패널이고, 여기에는, 예를들면 백라이트부착이 폴도트 액정표시기(10)와, 이 표시기(10)의 옆에 나란히 복수의 조작키(KY1~KY7)가, 또 표시시(10)하부에 나란히 조작키(KY8~KY10)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기(10)는, 소형 CRT 및 문자, 도형등을 섞어서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 각조작키는, 예를들면 푸시버튼 스위치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콘트롤러의 측면에는, 종래 장치와같이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조작키나 표시기 혹은 각종의 설정스위치등은 설치되지 않았다.
제2도는, 본 발명 콘트롤러의 1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1)은 프로세스량(측정치) PV를 격납하는 측정치레지스터, (2)는 설정치 SV를 격납하는 설정치레지스터, (3)은 측정치 PV와 설정치 SV와의 편차에 P1D등의 제어연산을 하는 제어수단, (4)는 제어수단(3)에 사용되는 P1D등의 각종파라미터가 격납되는 레지스터를 포함한 P1D파라미터등을 제어수단(3)에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수단, (5)는 제어수단 (3)에서 연산한 제어출력(조작량)(MV)을 격납하는 출력레지스터이며, 이들의 각기능은 어느것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스트루한 소프트 웨어에 의하여 실현된다.
또한 제2도에서 (6)은 제어출력(MV)을 수동에 의하여 조절하기위한 수동조절수단이며, 수동모우드에 있어서 유효하게 되어, 조작키(KY8~KY1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동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71),(72)는 운전모우드의 전환스위치이며, 후에 설명될 모우드전환의 조작키(KY1~KY3)으로부터의 지시를 받아서, 외부계산기에 의한 운전모우드, 자동운전모우드, 수동운전모우드 등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들구성은, 종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사용한 콘트롤러의 구성과 대략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10)은 콘트롤러의 앞면패널에 설치된, 제1도에도 나타나있는 표시기, KB는 이 표시기(10)의 주위에 설치한 조작키보드이며, 복수의 조작기(KY1~KY10)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키중에서, 조작키(KY7)은, 표시기(10)에 표시하는 화면의 전개를 지시하는 화면전개키로서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8)은 표시기(10)에 표시하는 각종화면을 작성하는 화면작성수단이며, 측정치(PV), 설정치(SV), 제어출력(MV)을 각각 입력함과 동시에, 조작키보드(KB)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고 있다.
이 화면작성수단(8)에 있어서, (81)은 운전화면의 작성수단이며, 측정치(PV)와 제어출력(MV)의 값을 각각 바 그래프로, 설정치(SV)의 값을 측정치(PV)와 관련시켜서 표시기(10)에 표시하는 화면작성기능을 가지고 있다. (82)는 표시기(10)에 측정치(PV)의 변이를 트랜드그래프로서 표시하는 트랜드그래프화면의 작성수단, (83)은 제어수단(3)에 설정하는 각종 제어연산파라미터를 조정, 설정하기 위한 튜닝화면의 작성수단이다.
(9)는 표시기(10)로의 화면표시(화면전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이다. 이 표시제어수단은, 화면전개(展開)키를 KY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표시기(10)에 운전하면 작성수단(81)으로 만들어진 운전화면, 트랜드그래프화면 작성수단(82)으로 만들어진 트랜드그래프화면을 표시하고, 화면전개키 KY7와 이것과는 다른 특정한 조작키, 예를들면 KY9로부터의 신호를 동시에 받은 경우, 표시기(10)에 튜닝화면작성수단(83)으로 만들어진 튜닝화면을 표시하듯이 화면전개의 제어를 한다.
제2도에서 (11)은 표시제어수단(9)에 의한 표시기(10)에서의 화면전개를 받아, 복수의 조작키, 예를들면 조작키(KY1~KY10)의 기능을 변경하는 조작키기능 변경수단이다. 이 조작키기능변경수단(11)은, 예를들면 표시기(10)에 운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각 조작키(KY1~KY6)은, 제어모우드를 변경하거나, 설정치를 변경하거나 하기 위한 조작키로서, 기능하도록, 또, 튜닝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는, 파라미터종류의 선택이나 파라미터치의 설정을 하는 조작키로서 기능하도록 각 조작키의 기능을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운전화면작성수단(81)으로 만들어지는 운전화면과,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표시기(10)에 표시되는 원전화면은, 화면의 대략중앙부근에 측정치(PV)가 그 값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신축하는 바그래프(BG1)로 표시되고, 화면의 아래쪽에는, 제어출(MV)이 그 값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바그래프(BG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 바그래프의 형상은, 이 예에서는, 확대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신축방향으로, 오목볼록부가 소정피치로 늘어선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바그래프의 선단부근에서, 그 길이가 미묘하게 변화되고 있는 것 같은 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제어출력(MV)을 나타낸 바그래프(BG2)에 있어서, 좌측의 "C"의 부호는 제어출력(MV)이 적어져서 예를들면 밸브를 클로즈하는 방향인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설정치(SV)를, 측정치(PV)를 나타내는 바그래프(BG1)와 동일스케일상에 관련시켜서 3각형상의 지시마크(MK)로 표시하고 있다. 이 지시마크의 위치는, 설정치의 변경(조작키 KY4,KY5의 조작)과 함께 스케일(SL)을 따라서 상하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표시형태는, 종래의 콘트롤러의 앞면패널면(계기도)을 모의한 것으로, 종래의 콘트롤러에 친숙해진 오퍼레이터라도 위화감없이, 제어운전상황의 감시나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려되어 있다.
운전화면내에는, PV치, SV치, MV치가 디지탈수치로서도 표시되어 있다. 또, 화면의 상부에는 이 콘트롤러가 담당하고 있는 제어루프에 붙여져 있는 태그넘버(TIC-100)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같은 운전화면에 의하면, 콘트롤러로부터 떨어져서 감시하는 경우, 주요테이터인 PV치, SV치, MV치는 아날로그표시로 인식할 수 있고, 콘트롤러에 접근하면 각 데이터의 구체적인 수치를 디지탈표시로 인식할 수가 있다.
키보드(KB)에 있어서, 조작키(KY1~KY3)은 운전모우드의 전환을 하기위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서, 이들 조작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제2도의 스위치수단(71)(72)이 구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조작키(KY1)을 누르면, 외부 계산기로부터 설정치(SY)가 부여되어 제어운전을 하게되는 외부 계산기운전 모우드로 되고, 조작키(KY2)를 누르면 이콘트롤러 단독으로 제어운전을 하는 자동운전모우드로 되며, 조작키(KY3)을 누르면 제어출력(MV)을 수동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수동조절모우드가 된다.
조작키(KY4),(KY5)는 설정치(SV)를 설정하기 위한 기능이 설정되어, 이들 조작키를 누르는 것으로, 설정치 레지스터(2)의 값이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이 설정치 레지스터(2)의 값은, 표시기(10)의 설정치마크(MK)의 위치로서 인식할 수 있다.
조작키(KY8~KY10)은, 수동조절모우드에 전환되었을 때에 제어출력(MV)을 변경하기 위한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즉 수동조절모우드에 전환된 상태에서는, 이들 조작키로부터의 신호는 수동조절수단(6)에 부여된다.
여기서는, 조작키(KY8)을 누름으로써 제어출력(MV)을 감소, 조작키(KY10)을 누름으로써 제어출력(MV)을 증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조작키(KY8) 또는 (KY10)과, 조작키(증속키)(KY9)을 동시에 누름으로써 제어출력(MV)의 감소 또는 증가의 속도를 빠르게하여 신속히 소망의 제어출력치에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트랜드 그래프화면작성수단(82)으로 만들어지는 화면과,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트랜트 그래프화면에서는, 콘트롤러가 담당하고 있는 제어루프의 측정치(PV)를, 현재시각으로부터 예를 들면 최대 48시간전까지의 과거의 데이터를 트랜드 그래프(TG)로서 표시하고 있다. 또, 현재의 데이터 및 설정치(SV)에 대해서는, 트랜드그래프의 최신 시각위치에 바그래프(BG1) 및 설정치 지시마크(MK)로서 표시하고 있다. 이와같은 트랜드 그래프는, 스타트업 시의 프로세스의 거동파악이나, 안전동작시의 감시, 야간이나 주말의 무인운전상황을 다음날 아침에 인식할 경우등에 편리하며, 예를들면, 어떤 소정의 기록주기내에 발생하는 프로세스치(PV)의 최대치와 최소치를 봉(捧)형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짧은 주기로 발생하는 데이터의 급변도 인식할 수 있도록 제어 되어 있다.
화면의 아래쪽에는, 제어출력(MV)이 그 값에 따라서 좌우방향으로 신축하도록 바그래프(BG2)로 표시되어 있다. 이 바그래프 표시는, 운전화면과 동일하다. 또 화면의 상부에는, 현재시각으로서의 PV치, SV치, MV치 가 디지탈수치로서도 표시되어 있다.
키보드(KB)의 각 조작키 중에서, 조작키(KY1~KY10)(도면에서는 KY1~KY7은 생략)에는, 운전화면이 표시되어 있을때와 똑같은 기능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조작키(KY8~KY10)에, 트랜드그래프의 시간축이 축소확대를 지시하는 기능, 예를들면 조작키(KY4), (KY5)에 레인지(진폭방향)의 확대, 축소하는 기능을 각각 설정하도록 하여도 된다.
제5도는, 튜닝화면작성수단(83)으로 만들어지는 화면의 1예를 나타낸 도면과,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콘트롤러에서의 튜닝요소에서는, P1D 연산파라미터의 튜닝이나, 예를들면 P1D 연산파라미터를 셀프튜닝(STC)하는 경우의 튜닝등이 있으나, 여기서는, P1D 연산파라미터드의 설정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면에는, 튜닝메뉴화면에서 선택되게 된다.
이 P1D 연산파라미터의 튜닝화면은, P1D 연산파라미터에 관련되는 다수의 파라미터를 동시에 명시함과 동시에, 설정항목과 그 파라미터설정치는, 윗편부분의 확대창에 표시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설정하는 파라미터와 다른 파라미터와의 서로의 관련을 파악하면서, 목적으로 하는 파라미터의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화면 우측의 각 조작키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그 조작키에 설정된 기능을 나타낸 기호가 표시되어 있다. 즉, (KY1), (KY2)는 커서위치(반전표시부분)의 이동용 키, (KY3)은 세이브키, (KY4), (KY5)는 파라미터 설정치의 증감키, (KY6)은 체인지키로서의 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체인지키(KY6)은, P1D 연산파라미터의 튜닝화면의 상태에서, 이키(KY6)을 조작하면(누르면), 조작하고 있는 동안만(누르고 있는 동안만) 운전화면 또는 트랜드그래프화면(튜닝화면으로 전개를 하기전에 표시하고 있던 쪽의 화면)을 감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와같은 체인지키를 설치함으로써, 튜닝 결과를 동일한 표시기(10)의 화면에, 운전화면 또는 트랜드 그래프 화면을 표시하여, 감시하면서 파라미터의 값을 변경조정할 수 있게 된다.
튜닝화면으로의 전개에 의해, 각 조작키의 기능은, 조작키 기능변경수단(11)에 의해 화면에 표시된것 같은 각 기능이 변경된다.
이 튜닝화면에 있어서, 설정하고 싶은 항목은, 커서 위치(반전표시)를 조작키(KY1), (KY2)(커서 이동키)를 사용하여 이동선택한다. 이때 선택한 항목은, 상부의 확대창에 확대표시하여 알기쉽도록 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비례 밴드(PB)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조작키(KY4) 또는 (KY5)(증감키)를 조작함으로써, 파라미터의 값(여기서는 450.0의 값)을 그 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으로 희망하는 값으로 변경한다. 이와같이 설정된 파라미터의 값은, 이대로라도 유효하지만, 조작키(KY3)(세이브키)를 조작함으로써, 파라미트설정수단(4)내에 설치되어 있는 불휘발성 메모리(레지스터)등에 기억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6도는 화면의 전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처음에,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운전화면이, 표준화면으로서 표시기(10)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운전화면(표준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면전개키(KY7)을 조작하면, 제4도에 나타낸 트랜드그래프화면이 표시된다. 트랜드그래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재차 화면전개키(KY7)을 조작하면, 운전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이예에서는, 콘트롤러는 하나의 제어루프를 담당하고 있는 경우이지만, 복수의 제어루프를 병렬로하여 담당하도록 구성한 경우, 다른 제어루프에 관해서도 똑같이 운전화면과 트랜드그래프화면이 파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구성한다.
운전화면 또는 트랜드그래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면전개키(KY7)과 증속키(KY9)를 동시에 누르면,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튜닝화면으로 전개하기 위한 튜닝메뉴화면이 표시되고, 여기서 예를들면 P1D 연산파라미터의 튜닝화면을 지정(선택)하면,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튜닝메뉴화면에 있어서, 소망의 튜닝화면으로의 선택은, 각 조작키(KY1~KY8)에 각각의 선택항목을 소프트키로서 설정하는 것으로서 6항목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튜닝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인지키(KY6)을 누르면, 그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은, 운전화면 또는 트랜드그래프화면이 표시된다. 체인지키(KY6)을 눌렀을때에, 운전화면 또는 트랜드그래프화면의 어느 것이 표시될 것인가는, 튜닝메뉴화면으로 전환하기 직전에, 어느 화면이 열려져 있었는냐에 의존한다. 즉, 운전화면으로부터 튜닝화면으로 전개하고 있으면, 체인지(KY6)을 눌렀을때에는, 운전화면이 표시된다. 체인지(KY6)을 놓으면 원래의 튜닝설정화면으로 되돌아간다.
튜닝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면전개키(KY7)과 증속키(KY9)를 동시에 누르면, 운전화면 또는 트랜드 그래프화면으로 되돌아가고, 이들 키를 놓은 후도, 이들 화면 그대로가 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화면작성수단(8)에, 운전화면이나 트랜드 그래프화면과 같은 레벨에서 각종의 알람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람화면의 작성수단(84)을 설치함과 동시에, 튜닝화면의 더욱하위 레벨에, 콘트롤러의 기능선택이나, 입력레인지의 설정, 통신기능의 설정등, 주로 엔지니어링시에 사용되는 엔지니어링화면의 작성수단(85)을 설치한 것이다.
제8도는, 알람화면작성수단(84)으로 만들어지는 알람화면의 1예를 나타낸 도면과,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알람화면에는, 예를들면 트랜드그래프화면으로부터 화면조작키(KY6)의 조작으로 화면전개가 행해지도록되어 있다.
콘트롤러에는, 예를들면 프로세스량(PV)이 어떤상하한 값이 상으로되어 있지 않는지 감시하거나, P1D 연산파라미터를 셀프튜닝해야 할 경우, 그들 파라미터가 올바르게 튜닝되고 있는지 감시하거나, 또, 콘트롤러 자신의 동작이 정상인지 등의 시스템감시를 하는 기능이 여러종류 구비되어 있다.
알람화면은, 이들 감시 결과를 인식하거니, 확인하거나 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화면이며, 프로세스알람표시영역(AR1), 셀프튜닝에러표시영역(AR2), 시스템알람영역(AR3), 등이 준비되어 있다.
또, 화면의 우측하부부근의 조작키 KY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그 조작키에 설정한 클리어기능을 나타낸 기호(CLR)가 표시되어 있다.
각 알람영역에는, 대응하는 알람항목이 표시된다. 여기서 반전표시된 항목 "PL1"은, 현재 발생중의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비반전표시의 항목은, 과거에 발생한 항목을 나타내고 있다. 각 항목의 머리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는, 오퍼레이터의 확인 재촉하는 마크이다.
클리어기능이 설정된 조작키(KY6)을 조작하면, 발생한 알람을 확인했다는 의미가 되고 ※ 마크의 표시가 꺼지도록 되어 있다.
제9도는, 엔지니어링화면작성수단(85)으로 만들어지는 엔지니어링 화면의 1예를 나타낸 도면과, 이 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 각 조작키에 설정되는 각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 엔지니어링화면에는, 튜닝화면으로부터 화면전개키(KY7)과 증속키(KY9)와의 동시 조작으로, 처음에 엔지니어링화면 선택을 위한 메뉴화면이 표시되고, 그 메뉴화면에서 제9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엔지니어링화면이 선택되게 된다.
제9도에는, 콘트롤러에 접속되는 센서입력의 타입이나 레인지등을 설정하기 위한 시그널컨디셔닝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이들 엔지니어링화면은, 콘트롤러의 동작을 개시함에 앞서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어연산을 정지한 상태에서 설정된다. 따라서, 이 화면에서는, 프로세스를 감시하기 위한 제어출력(MV)을 나타내는 바그래프표시는 행해지지 않고 있다. 또, 이 화면의 경우, 설정과 동시에 그 설정치가 내부의 메모리에 자동세이브되도록 되어 있으며, 세이브키로서의 기능을 어느 조작키에도 설정되지 않았다.
이 엔지니어링화면은, 시그널컨디셔너의 엔지니어링을 하기 위한 화면예이며, (91)은 화면타이틀 (92)는 설정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표시, (93)은 설정 항목명으로서, 여기서는 제로점을 조절하는 항목명을 표시하고 있다. (94)는 데이터, (95)는 단위를 나타낸 표시이다. 조작키(KY1)은, 메뉴키(대항목선택키)의 기능이 설정되어 있고, 이하, 조작키 KY2는 파라미터키(소항목선택키), 조작키(KY3)는 커서키, 조작키(KY4), (KY5)는 설정치증감키, 조작키(KY6)은 설정데이터 기록키로서의 기능이 각각 설정되어 있다.
이 엔지니어링 화면에서는 콘트롤러의 신호 입력회로에 설치되는 시그널컨디셔너의 유니트내의 설정 데이터를 판독출력하면서, 그 값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설정이나, 조작지령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그널컨디셔너 유니트에는, 각 항목이 대항목, 소항목의 2계층으로 분류되어 있고, 메뉴키(KY1)과 파라미터키(KY2)로, 페이티를 넘기듯이 차례차례로 판독출력할 수가 있다. 커서키(KY3)에 의해, 판독출력한 데이터를 1횡목마다 횡목선택하고, 그 값의 데이터변경을 증감키(KY4), (KY5)로 행한다. 소망하는 데이터로된 즈음에서, 최후에 기록키(KY6)에 의해, 시스널컨디셔너 유니트내의 메모리에 기록한다.
엔지니어링 화면에서의 데이터 설정은, 콘트롤러의 제어연산을 정지시켜, 비 동작모우드로하고 나서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엔지니어링화면에 최초로 전개된 시점(열린시점)에서는, 설정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표시부(92)에서는, 설정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SETINHIBIT"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동작상태)에 있다.
이 상태에서, 커서키(KY3)을 조작하면, 설정이 가능한 상태 "SETENABLE"로 되어, 제어연산이 정지되고, 시그널컨디셔너 유니트내의 설정데이터를 판독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엔지니어링 화면중에는, 엔지니어링 화면중에서의 파라미터를 변경하는 조작을, 누구던지 자유롭게 하지 못하도록,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이 준비되어 있다. 여기서, 특정한 패스워드(예를들면 4자리의 숫자로 구성된다)를 설정하면 각 엔지니어링화면을 열고 파라미터를 변경할때에 패스워드의 입력이 필요하게 된다.
제10도는, 제7도의 실시예장치에서의 화면전개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6도에 나타낸 화면전개와 다른점은, 운전화면, 트랜드그래프화면으로부터, 화면전개키(KY7)의 조작으로, 제8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알람화면이 표시되는 점이다. 또, 튜닝설정화면이 표시되어있는 상태에서, 조작키(KY7)과 조작키(KY9)를 동시에 조작하면, 제9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엔지니어링 화면으로 전재하는 점이다.
이와같은 구성의 콘트롤러에 의하면 한정된 수의 조작키에 의해 제어운전을 위한 조작이나, 각종 파라미터의 설정등을 할 수 있는 조작성이 양호한 콘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튜닝 설정화면으로 체인지키를 마련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표시기로 제어의 운전 상황을 확인하면서,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가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콘트롤러의 구성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1a)는 제1의 프로세스량(측정치)(PV1)를 격납하는 제1의 측정치 레지스터, (1b)는 제2의 프로세스량(측정치)(PV2)를 격납하는 제2의 측정레지스터, (2a)는 제1의 설정치(SV1)를 격납하는 제1의 설정치레지스터, (2b)는 제2의 설정(SV2)를 격납하는 제2의 설정치레지스터, (3)은 제1, 제2의 측정치레지스터(1a), (1b)에 격납되어 있는 측정치(PV1), (PV2)나 제1, 제2의 설정치레지스터(2a), (2b)에 격납되어 있는 설정치(SV1), (SV2)등을 입력하고, 이들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연산을 실시하거나, 측정치와 설정치와의 편차에 P1D등의 제어연산을 실시하거나 하는 제어수단이다.
이 제어수단(3)에서, (3a)는 제어요소 하나에 대하여 1루프의 제어를 실행하는 싱글루프콘트롤러로서 기능하는 제1의 기능모듈, (3b)는 2개의 제어요소를 직렬로 접속하여 캐스케이드제어를 실행하는 캐스케이드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는 제2의 기능모듈이다.
(41)은 제어수단(3)에서 사용되는 P1D등의 각종 파라미터가 격납되는 레지스터를 포함, P1D 파라미터등을 제어수단(3)에서 설정하는 파라미터설정수단, (42)는 제1, 제2의 기능모듈을 선택하는 기능선택수단이다. (5)는 제어수단(3)에서 연산한 제어출력(조작량)(MV)를 격납하는 출력레지스터이며, 이들의 각 기능은 어느 것이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인스트루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실현된다. (6)은 제어출력(Mr)을 수동에 의하여 조절하기 위한 수동조절수단이며, 수동모우드에 있어서 유효하게 되어, 조작키(KY8~KY10)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수동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기(10)로의 화면표시(화면전개)를 제어하는 표시제어수단(9)은, 기능선택수단(42)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의거, 화면작성수단(8)으로 만들어진 각종 화면의 종류를 자동적으로 교환에서, 표시기(10)에 화면전개키(KY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서 표시하도록 되어 있다.
즉, 기능선택수단(42)에 의해 제1의 기능모듈이 선택된 경우, 싱글루프 콘트롤러로서 필요한 화면으로 교환에서, 화면전개키(KY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제1의 프로세스량(PV1)에 관하며, 표시기(10)에 운전화면작성수단(81)으로 만들어진 운전화면, 트랜드그래프화면작성수단(82)으로 만들어진 트랜드 그래프화면, 튜닝 화면작성수단(83)으로 만들어진 튜닝화면, 알람화면 작성수단(84)으로 만들어진 알람화면, 엔지니어링 화면작성수단으로 만들어진 엔지니어링 화면등을 표시한다.
또, 제2의 기능모듈이 선택된 경우는, 캐스케이드 콘트롤러로서 필요하게될 화면으로 교환, 제1의 프로세스량(PV1)과 제2의 프로세스량(PV2)에 관하며, 화면전개키(KY7)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표시기(10)에 운전화면작성수단(81)으로 만들어진 운전화면, 트랜드그래프화면작성수단(82)으로 만들어진 트랜드그래프화면, 튜닝 화면작성수단(83)으로 만들어진 튜닝화면, 알람화면 작성수단(84)으로 만들어진 알람화면, 엔지니어링 화면작성수단(85)으로 만들어진 엔지니어링 화면들을 표시한다.
제12도에서는, 제어수단(3)에 있어서, 제1의 기능모듈(3a)의 구성 블럭도이다. 이 도면에서, (31)은 제1의 프로세스량(PV1)과 제1의 설정치(SV1)를 입력하며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경보처리, 제어연산처리를 행하는 제어요소, (32)는 제어요소(31)에서의 연산결과에 출력리미트 처리를 행하는 리미트 처리요소이다. 이 기능모듈은, 제1의 프로세스량(PV1)과 제1의 설정치(SV)의 편차에 예를들면 P1D 제어연산을 실시하는 싱글 루프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3도는, 제어수단(3)에 있어서, 제2의 기능모듈(3b)의 구성블록도이다. 이 기능모듈에 있어서, (31)은 제1의 프로세스량(PV1)과 제1의 설정치(SV1)를 입력하고 각각의 신호에 대하여 경보처리, 제어연산 처리를 실시하는 제어요소, (32)는 제어요소(31)에서의 연산 결과에 출력 리미트처리를 실시하는 리미트처리요소, (33)은 제2의 프로세스(PV2)과 제어요소(31)로부터의 신호가 리미트 처리요소(32)를 거쳐, 설정치로서 주어지는 제어요소이며, 2개의 제어요소가 직렬로 접속되어 캐스케이드 제어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34)는 제어요소(33)에서의 연산결과에 출력리트 처리를 실시하는 리미트 처리요소이다.
제14도는, 엔지니어링 화면작성수단(85)으로 만들어지는 엔지니어링 화면에 있어서, 제어수단(3)의 기능 등을 설정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화면(환경설정화면)을 나타내고 있다.
이 화면에 있어서, 조작키(KY1~KY2)(이 화면에서는 이들 키는 항목선택키로서 기능함)에 의해 CTL의 항목(콘트롤러의 기능을 선택하는 항목)을 지정하고, 조작키(KY4~KY5)(데이터의 INC/DIC 키로서 기능하고 있다.)에 의해, 제1의 기능모듈("SINGLE")이거나, 제2의 기능모듈 "CASCADE"을 선택하는 것으로 기능선택을 실시할 수가 있다.
콘트롤러의 기능설정이외의 다른환경, 예를들면 통신 형식이라던지, 스타트모우드, 화면표시의 방법등도 이 화면을 사용하여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엔지니어링 화면에서는, 조작키(KY1),(KY2)에 의해 지정된 항목(파라미터)은, 반전표시되는 동시에, 화면의 타이틀 아래의 확대칭에 그 항목이 반전표시되어 있어서, 설정이 틀리지 않게 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 있다.
제1도의 기능모듈("SINGLE")이 선택된 경우, 표시제어수단(8)이 화면 작성수단(7)으로 작성된 복수의 화면을 교환, 표시기(10)에 화면전개를 실시하는 순서는, 제10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된다.
제15도는, 제2의 기능모듈("CASCADE")이 선택된 경우에, 표시제어수단(9)이 화면작성수단(8)으로 작성된 복수의 화면을 교환, 표시기(10)에 화면전개를 실시하는 순서의 1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운전화면이 표준화면으로 되어 있어서, 화면전개(KY7)을 누를때마다, 운전화면(PV1용)→트랜드그래프화면(제1의 프로세스량(PV1)을 취급하고 있는 화면)→운전화면(PV2용)→트랜드그래프화면(제2의 프로세스량(PV2)을 취급하고 있는 화면)→(알람화면)순으로 화면전개를 한다. 또, 이들 운전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면전개키(KY7)과 증속키(KY9)를 동시에 누르면,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튜닝화면으로 전개하기 위한 튜닝메뉴화면(여기서는 PV1용과 PV2용의 선택이 가능)이 표시되고, 여기서 예를 들면 P1D 연산파라미트의 튜닝화면을 지정하면,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화면으로 전개된다. 튜닝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체인지키(KY6)를 누르면, 그 키를 누르고 있는 동안은, 운전화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튜닝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면전개키(KY7)와 증속키(KY9)를 동시에 누르면,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엔지니어링 화면으로 전개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메뉴화면(여기서는 PV1용과 PV2용의 선택이 가능)이 표시되고, 여기서 기능설정을 위한 환경설정화면을 지정하면, 제14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화면으로 전개한다. 엔지니어링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화면전개키(KY7)와 증속키(KY9)를 동시에 누르면, 원래의 운전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이와같은, 기능선택수단(42)에 있어서, 제1의 기능모듈(싱글루프), 제2의 기능모듈(캐스케이드)의 어느 것을 선택하면, 표시제어수단(8)은, 표시기(10)에 표시되는 화면의 종류를 각 기능모듈에 대응한 것으로 자동적으로 교환하여 표시하고 있다.
제16도는, 제11도에 있어서, 제어수단(3)에 파선의 블록(3b1)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제3의 기능모듈(실렉터기능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실렉터 기능모듈을 구성블록도이다.
이 실렉터 기능모듈은, 2개의 제어요소(31), (33)를 병렬로 접속하여 자동 실렉터제어를 실행하는 실렉터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7도는, 제11도에 있어서, 제어수단(3)에 또 다른 파선블록(3c)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제4의 기능모듈(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기능 모듈)을 설치한 경우의 그 구성블록도이다.
이 기능모듈은, 제어기능과 연산기능을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수단(3)에 이들 각 기능모듈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기능선택수단(43)이 이들 기능모듈에 어느 것인가를 선택하면, 표시제어수단(9)은 이 기능선택에 따른 각종 화면의 교환을 실시하여, 화면 전개키로부터의 신호에 따라서 화면을 전개표시하게 된다.
또한,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튜닝화면으로부터 엔지니어링 화면으로 전개하는 경우, 조작키(KY7)과 증속키(KY9)와를 동시에 누르도록 구성하였으나, 튜닝화면이 전개되는 같은 레벨로 엔지니어링화면이 전개되도록 해도 된다.
이와같은 실시예장치는, 연산제어부에 복수의 기능모듈을 설치해두고, 이들 기능모듈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선택한 기능에 따라 표시기에 표시되는 각종 화면을, 최적인 화면전개가 되도록 교환을 하도록 한것이며, 싱글루프 콘트롤러나, 케스케이드 콘트롤러, 실렉터 콘트롤러, 프로그래머블 콘트롤러등의 각종기능을 공통의 하드웨어 콘트롤러로 쉽게 제공할 수가 있다.
제18도는, 각 실시예에서, 제어연산수단(3)이나 표시제어수단(9)이 고장난 경우라도, 그 백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콘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제19도에서 "SW"는, 출력수단(5)(출력레지스터나 운전모우드 전환 스위치를 포함하고 있다)으로부터의 제어출력(MVa)과, 뒤에 설명하는 수동백업신호(MVb)의 어느것인가를 선택하여 프로세스쪽으로 송출하는 수동 백업수단(50)의 설치위치의 관계를 나타낸 구성개념도이다.
표시기(10)나 키보드(KB)가 설치되어 있는 계기앞면패널은, 통상의 제어운전상태에서는 제1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되어 있으나, 수동백업상태에서는, 화살표(a)로 나타낸바와 같이 앞면패널면(표시기부분)을 스윙업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앞면 패널면을 스윙업하면, 그 안(표시기부분의 배후)에 수동백업수단(50)이 나타나고, 앞면으로부터 수동전환스위치(SW)나, 퍼텐시아미터(51)의 브러시를 움직이기 위한 휘일(55)을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외부기기와의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커넥터(91)(92)등도 나타내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장치에 있어서, 제어연산수단(3)의 고장시와, 표시제어수단(9)의 고장 또는 출력수단(5)의 고장시로 나누어서, 각각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어연산수단(3)의 고장시) 제어연산수단(3)의 고장은, 예를들면 공지의 워치·도그·타이머등에 의해 검출되고, 그 이상검출신호는 출력수단(5)이나 표시제어수단(9)에 전달된다. 출력수단(5)은 이 이상검출신호를 받으면, 제어연산수단(3)으로부터의 래치입력을 금지하고, 수동조절수단(6)으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내부의 출력레지스터를 액세스가능으로 한다. 또, 표시제어수단(9)은 제어연산수단(3)으로부터의 액세스를 무시하여, 자기자신이 가진 A/D 변환기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량(PV)나 제어출력(MVa)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하여, 그들을 표시기(10)에 바그래프 및 디지탈값으로서 표시한다.
따라서, 오퍼레이터는, 표시기(10)에 표시되어 있는 MV표시 바그래(BG1)나 MV값을 보면서, MV조작키(KY8~KY10)을 누르는 것으로, 출력수단(5)내의 레지스터(업 다운 카운터)의 값을 변경하고, 제어출력(MVa)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연산수단(3)이 고장나더라도, 자동적으로 제어출력치(MVa)를 유지하고, 그것을 수동조정수단(6)을 사용하여 수동조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표시제어수단(9)의 고장 또는 출력수단(5)의 고장시)
표시제어수단(9)이 고장나면, 제어출력치(MVa)의 표시가 되지 않게되므로, 수동조절수단(6)에 의한 수동조작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출력수단(5)고장의 경우도 수동조절수단(6)에 의한 수동조작이나, 제어연산수단(3)에 의한 제어운전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이와같은 최악의 상태에 대처하기 위하여, 오퍼레이터는, 수동백업상태로 전환을 하게 된다.
이 수동백업상태로의 전환은, 맨 처음에 제19도의 화살표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면패널면을 스윙업하고, 안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백업수단(50)을 조작가능상태로 하여 실시된다.
즉, 이 상태에서, 수동전환스위치(SW)를 온상태(수동백업수단(50)의 출력(MVa)을 선택하는 상태)로 하면, 수동백업수단(50)으로부터의 수동백업신호(MVb)가 전환스위치(SW)를 통하여 프로세스쪽으로 출력되도록 된다. 그리고, 수동백업신호(MVb)의 값을 눈금(54)의 값을 목표로 하여 휘일(55)에 의해 조정하여 수동 조작할 수가 있다.
여기서, 수동백업상태로의 전환에 즈음하여 (수동전환스위치(SW)를 온상태로 할 때 즈음하여), 수동백업수단(50)의 출력(MVb)이, 그때까지 출력되었던 제어출력(MVa)과 일치하고 있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쪽으로 출력되는 출력이 급변하는 위험이 있다.
수동백업수단(50)내의 일치검출회로(52) 및 표시램프(53)는, 이와 같은 위험을 없애기 위하여 준비되어 있다. 즉, 수동전환스위치(SW)를 온상태로 하기에 앞서서, 휘일(55)을 돌리고, 표시램프(53)가 점등된 상태에서, 수동전환스위치(SW)를 온상태로 하며, 수동백업수단(50)의 출력(MVb)은, 그때까지 출력되고 있던 제어출력(MVa)과 일치(MVb=MVa)한 상태가 되어, 수동백업상태로의 전환을 바프레스로 실시할 수가 있다.
또한, 일치검출회로(52)는, (MVb)와 (MVa)의 차에 따라서 표시램프의 발광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수동백업수단(50)에 의한 수동백업상태에 있을시, 제어연산수단(3)에는, 수동전환스위치(SW)의 스위치테스터와, 수동백업신호(MVb)가 인가되어 있고, 제어연산수단(3)의 동작이 정상인 경우, 제어연산수단(3)은 출력수단(5)으로의 제어출력(MVa)이, 수동백업신호(MVb)의 값에 추종하도록 동작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수동백업상태로부터 통상의 제어운전상태로 전환하더라도(수동전환스위치(SW)를, 수동백업신호(MVb)를 선택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출력수단(5)의 출력신호(MVa)를 선택하고 있는 상태로 전환하더라도), 프로세스쪽으로 출력되는 조작신호가 급변않고, 그 전환을 반프레스로 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제어연산수단이 고장나더라도, 표시제어수단이 정상동작을 하고 있으면 수동조절수단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며, 또, 표시제어수단이나 출력수단이 고장난 경우라도, 수동백업수단(50)에 의한 수동 조작이 가능하며, 신뢰성 높은 콘트롤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수동조작을 한정된 면적의 콘트롤러 앞면쪽으로부터 실시할 수가 있다.
제20도는, 프로세스(필드)에 설치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규격화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신호변환기(시그널컨디셔너)를, 콘트롤러내에 넣은 구성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60)은, 콘트롤러의 케이스를 상정하고 있다. (61)은, 콘트롤러케이스(60) 내에 수용된 콘트롤러내장 기기로서, 콘트롤러의 주요 전기회로가 탑재된 프린트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63)은 센서(SNR)로부터의 신호를 규격화된 신호로 변환하고, 그 변환한 신호를 제어수단(3)에 부여하기 위한 시그널컨디셔너이며, 마이크로프로세서나 메모리를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취급할 수 있는 이미 공지된 회로에 의해 구성된다.
(850)은 시그널컨디셔너(SC)의 메인티넌스수단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블록이며, 표시기(10)에, 엔지니어링 화면작성수단(85)에 의하여, 작성되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그널컨디셔너(63)의 기능을 설정하는데 형편이 좋은 화면을, 표시제어수단(9)의 작용하에 표시하는 기능과, 조작키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센서(SNR)의 종류에 대응하는 소정의 기능을 시그널컨디셔너(63)에 설정하는 기능과를 가지고 있다.
케이스(60)에 있어서, (T1),(T2)는 필드에 설치한 센서(SNR)로부터의 신호가 직접 인가되는 한쌍의 입력단자이며, 여기에 인가된 신호는, 시그널컨디셔너(63)의 입력단으로 유도되고 있다. (T3)은 시그널컨디셔너(63)의 출력단이 접속된 외부단자. (T4),(T5)는 규격화된 프로세스량(PV)이 인가되는 한쌍의 입력단자이며, 여기에 인가된 프로세스량(PV)이 제어수단(3)의 입력단에 인가되도록 되어 있다. (T6),(T7)은 밸브와 같은 조작단(VA)이 접속되는 출력단자로서, 스위치(SW) 를 통하여 선택된 조작신호가 여기에서 출력된다.
(CC)는 케이스에 설치한 각 단자와 내장 기기(61)내의 전기회로와의 사이의 전기적 접속을 하는 붙이고 떼기가 자유로운 커넥터이다.
규격화된 예를 들면 1~5V신호로 되는 프로세스량(PV)을 콘트롤러에 입력시키는 경우, 이 규격화된 신호(PV)는, 단자(T3),(T4)에 인가된다. 이에 대하여, 콘트롤러에 센서를 직결하는 경우는, 센서(SNR)로부터의 신호를 단자(T1),(T2)간에 인가함과 동시에, 외부단자(T3)와 규격화된 신호를 입력하는 하나의 단자(T4)와의 사이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리드선(62)을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시그널컨디셔너(63)로부터 출력되는 규격화된 신호가, 단자(T3),(T4)를 거쳐 제어수단(3)에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제9도는, 메인티넌스수단(850)과 표시제어수단(9)이 시그널컨디셔너(63)를 메인티넌스 할 시에 표시기(10)에 표시하는 SC 메인티넌스화면과, 이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시에 각 조작키에 설정되어 있는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이 화면은, 콘트롤러의 동작을 개시함에 앞서서, 사용되는 것으로, 제어연산을 정지한 상태에서, 각종 기능을 시그널컨디셔너(63)에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장치에 의하면, 제어수단(3)는, 단자(T4),(T5)에 인가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콘트롤러로서의 제어연산동작을 하고 있다. 즉, 센서(SNR)가 단자(T1),(T2)에 직결되어 있는 경우는, 내장 기기(2)내에 설치되어 있는 시그널컨디셔너로 규격화된 신호를 또, 센서가 직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외부의 시그널컨디셔너로 규격화된 신호를,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단자(T4),(T5)부터 입력한다. 그리고, 그 프로세스량(PV)과 SV조작키(KY4), (KY5)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는 설정치(SV)와의 편차에, PID 제어연산을 실시하여, 그 연산결과를 스위치(SW), 출력단자(T6),(T7)를 거쳐 조작단(VA)에 출력한다.
이 실시예장치에 의하면, 콘트롤러의 케이스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T1),(T2)에 센서(SNR)를 직결할 수 있는 것이어서, 배선에 간략하게 되는 외에 계장패널을 콤팩트로 할 수 있다. 또, 콘트롤러의 제어운전에 사용되는 표시기(10)를 이용하여 시그널 컨디셔너(63)의 기능설정을 간단히 할 수가 있다.
또, 시그널 컨디셔너(6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외부단자(T3)와 (T4)간에 접속한 리드선(62)을 통하여 제어수단(3)에 부여하도록 구성한 것이어서, 리드선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규격화된 신호를 단자(T4)에 인가하는 것이 곤란(다시 다른 리드선을 접속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양 신호의 접속을 혼동하지 않고 행할 수가 있다.
제21도는, 프로세스에 설치한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콘트롤러의 보수가 고장시에 프로세스의 감시나, 프로세스(필드)에 출력하고 있는 조작신호를 중단함이 없이 백업할 수 있도록 백업장치를 다른 구성으로 한 경우의 구성블록도이다.
도면에서, 일점쇄선으로 둘러싼 부분(60)은, 콘트롤러의 외부케이스를 상정하고 있다. (61)은 콘트롤러케이스(60)내에 수용된 콘트롤러내장 기기이며, 콘트롤러의 주요 전기회로가 탑재된 프린트판 등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백업장치(50)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제20도와 동일하며, 시그널컨디셔너(63)는, 내장 기기(61)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60)에 있어서, (T6), (T7)은 밸브와 같은 조작단(VA)이 접속되는 조작신호출력단자이며, 제어수단(3)로부터의 조작신호(MV)가 다이오드(D1)를 거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CC1)는 케이스(1)에 설치한 각단자와 내장 기기(61)내의 전기회로와의 사이의 전기적접속을 하는 내부커넥터이며, 내장 기기(61)를 케이스로부터 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CC2)는 케이스(60)에 설치한 외부 커넥터이며, 프로세스량 입력단자(T4), (T5)에 인가되는 신호를 케이스(60)의 외부에 꺼내는 것을 가능케 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커넥터(CC2)는, 프로세스량 입력단자(T4), (T5)에 접속되어 있는 외에, 다이오드(D1)의 양단, 조작신호출력단자(T6), (T7)에도 각각 접속되어 있다.
콘트롤러케이스(60)와는 따로 설치한 백업장치(50)는, 프로세스량(PV) 또는, 시그널컨디셔너(63)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커넥터(CC2)를 거쳐 콘트롤러본체쪽과 결합된다.
이 백업장치(50)에 있어서, (56)은 프로세스량 입력단자(T4),(T5)에 출력되는 신호를 지시하는 PV 지시계, (51)은 수동조작신호를 출력하는 조작신호출력수단이며, 여기에서 출력되는 조작신호는 MV조작노브(55)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57)은 조작신호출력수단(51)이 출력하는 신호를 지시하는 MV지시계이다. 조작신호출력수단(51)은, 내장한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하여 동작이 가능하지만, 동작시간에 제약되므로 그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도시는 하지 않았으나, 전원선으로부터의 전력공급을 받아서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58)은 조작신호 출력수단(51)이 출력하는 신호를 조작신호 출력단자(T6)에 출력하기 위한 스위치, (59)는 내장 기기(61)에 설치되어있는 제어수단(3)으로부터 출력을 조작신호출력단자(T6), (T7)쪽으로 출력시키지 않도록하기 (금지하는)위한 스위치이며, 2개의 스위치(58), (59)는 백업전환스위치노브(55S)에 의해 등기해서 구동되도록 구성 되어있다.
(63B)는 시그널컨디셔너이며, 백업장치(50)에 대하여 붙이고 떼기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CC3)은 내부커넥터이며, 내장 기기(61)에 설치되어 있는 내부커넥터(CC1)와 같은 배열구성으로서, 백업장치(50)를 콘트롤러내장 기기(61)에 대신하여, 케이스(60)내에 수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내장 기기(61)를 케이스로부터 끌어내고, 대신하여 백업장치(50)를 케이스(60)내에 수용한 경우, 시그널컨디셔너(63B)에 센서입력단자(T1), (T2)로부터의 신호가 부여되고, 시그널컨디셔널(63B)로부터의 신호를 외부단자(T3)에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2도는, 콘트롤러 본체쪽과 백업장치(50)와의 외관개념도이다.
콘트롤러 내장 기기(61)에 있어서, 표시기(10)를 포함한 앞면패널은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윙업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태로 하면 외부 커넥터(CC2)의 한편이 앞면패널 안쪽에 나타나서, 백업장치(50)와의 접속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 표시기(10)를 포함한 콘트롤러내장 기기(61)는, 케이스(60)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되어 있으나, 고장시나 보수의 경우에는 케이스(60)내로부터 바로 앞으로 끌어내어 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백업장치(수동조작기)(50)는, 그 앞면패널에 PV 지시계(56), MV지시계(57)가 배치되는 동시에, MV 조작노브(55), 백업전환스위치노브(55S)가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외형은, 콘트롤러내장 기기(61)와 거의 같은 외형 구조로 되어 있는 동시에, 후부 부근에는 시그널컨디셔너(63B)가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할 수 있는 포켓부(630)가 마련되어, 시그널컨디셔너(63B)를 장착한 상태에서 케이스(60)내에 수용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백업장치(50)는, 외부커넥터(CC2)를 통하여 콘트롤러 본체와 접속되어,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된 상태라도 동작이 가능하지만, 콘트롤러내장 기기(61)를 케이스(60)로부터 떼어냄과 동시에, 내장 기기(61)에 설치했던 시그널컨디셔너(63)를 떼내고, 그것을 백업장치(50)쪽의 포켓부(630)에 장착하여, 콘트롤러내장 기기(61)에 대신하여 이 백업장치(50)를 케이스(60)내에 수용해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징치에 있어서는, 규격화된 예를 들면 1~5V신호로 되는 프로세스량(PV)을 콘트롤러에 입력시킬 경우, 이 규격화된 신호(PV)를 프로세스량입력단자(T3), (T4)에 인가한다. 이에 대하여, 콘트롤러에 센서를 직결하는 경우(규격화된 신호이외의 신호를 입력하는 경우)는, 센서(SNR)로부터의 신호를 단자(T1), (T2) 간에 인가하는 동시에, 외부단자(T3)와 프로세스량입력단자(T4)와의 사이에, 파선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리드선(62)을 접속한다. 이것에 의해, 센서로부터 직접입력된 센서신호는, 시그널컨디셔너(63)에 들어가 여기서 규격화된 신호로 변환되고, 그것이 외부단자(T3)에 출력되어 리드선(62), 프로세스량입력단자(T4)를 거쳐, 재차 내장 기기(61)내의 제어수단(43)에 인가되도록 한다.
제어수단(3)로부터의 제어연산결과는, 다이오드(D1)를 거쳐 조작신호출력단자(T6), (T7)에 출력되어, 밸브와 같은 조작단(VA)에 송출된다.
콘트롤러 본체는, 단독으로 동작하는 것을 전제로하고 있으나, 내장 기기(61)가 고장나거나, 그것을 점점, 보수하거나 할 경우는, 백업장치(50)에 의해 백업된다.
이 경우, 콘트롤러의 앞면패널을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윙업하여, 안쪽에 나타나 있는 외부커넥터의 한쪽(CC2a)에, 백업장치(50)에 접속될 외부커넥터(CC2b)의 다른쪽을 접속한다.
백업장치(55)에 있어서, 백업스위치(58), (59)는 처음에는, 어느것이나 오프상태에 있어서, 외부커넥터(CC2)의 끼우고 빼냄을 콘트롤러내장 기기(61)의 동작에 영향을 주지않고 할 수 있다.
외부커넥터(CC2)가 접속되면, 프로세스량 입력단자(T4), (T5)에 인가되어 있는 신호(센서가 단자(T1), (T2)에 직결되어 있는 경우는 시그널컨디셔너(63)로부터의 신호)는, 백업장치(50)내의 버퍼증폭기를 거쳐 PV지시계(56)에 인가되고, 여기서 모니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백업장치(50)의 MV지시계(57)는, 조작신호출력수단(51)으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지시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백업전환스위치노브(55S)를 조작하여, 각 스위치(58), (59)를 온(백업장치)으로 구동하면, 콘트롤러내장 기기(61) (제어수단(3)) 쪽으로부터의 출력은, 스위치(59)에 의해 금지되지만, 이에 대신하여, 조작신호 출력수단(51)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스위치(58), 출력단자(T6), (T7)를 거쳐 필드쪽에 출력된다. 따라서, 필드쪽에 출력되는 조작신호를 조금도 중단시키지 않고, 백업상태로 전환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백업상태로의 전환에 즈음하여, 조작신호출력수단(51)으로부터의 출력신호의 값(MV지시계의 값)을 콘트폴러내장 기기(61)(제어수단(3))쪽으로부터의 출력치(이 값은 표시기(10)에 표시되거나 또는, 도시하지 않는 조작출력지시계에 의해 표시된다)에 일치시키는 밸런스조작후에 행하면, 백업상태로의 전환을 반프레스로할 수 있다.
백업상태에서는, 필드쪽(조작단쪽)에 출력하는 조작신호의 값을, MV지시계(57)에 의해 감시하면서, 또 PV지시계(56)의 지시를 감시하면서 MV 조작노브를 조작하여, 조작단을 수동에 의해 조작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백업상태에서의 수동조작을, 조작계에 센서를 직결하도록한 경우라하더라도, PV값을 감기하면서 행할 수 있는 점에 하나의 특별한 장점이 있다.
제23도는, 콘트롤러내장 기기(61)를 케이스(60)로부터 떼내는 동시에, 내장 기기(61)에 설치했던 시그널컨디셔너(63)를 떼내어, 그것을 백업장치(50)쪽의 포켓부(630)에 장착하여, 콘트롤러내장 기기(61)에 대신하여 이 백업장치(50)를 케이스(60)내에 수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의 접속도이다.
백업상태에서, 콘트롤러내장 기기(61)를 케이스로부터 떼어내더라도, 필드쪽에는 조작신호출력수단(51)으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출력되고 있으므로,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지않는다. 백업장치(50)를 케이스(60)내에 수용하면, 케이스(60) 및 백업장치(50)의 각 내부커넥터(CC1)와 (CC3) 상호간이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되고, 백업장치쪽에 장착한 시그널컨디셔너(63B)로부터의 신호가 PV지시계(56)로 유도된다. 따라서, 콘트롤러에 센서를 직결하도록 한 경우라하더라도, PV값을 백업장치쪽의 PV지시계(56)로 계속해서 모니터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프로세스량(PV)을 취급하는 콘트롤러를 예시하고 있으나, 2 이상의 센서를 직결하거나, 2 이상의 프로세스량을 입력하여 캐스케이드조절이나, 실렉터조절을 실시하는 콘트롤러에 적용하여도 된다.
이 실시예장치에 의하면, 콘트롤러에 센서를 직결할 수 있는 것이어서, 배선이 간략하게되는 외에 계장패널을 콤팩트로 할 수 있다. 또, 센서를 직결하도록 한 콘트롤러의 보수나 고장시에, 콘트롤러내장 기기를 케이스로부터 떼어내더라도, 백업장치쪽에서 PV값을 감시하면서, 백업(수동조작)을 실시할 수가 있다.

Claims (20)

  1. 프로세스로부터 얻어진 프로세스 값을 입력하고, 제어 파라미터에 따라서 제어 연산을 실행하여, 제어출력을 프로세스에 출력하도록 한 콘트롤러에 있어서, 네 개의 측면, 배면부 및 개방 전면부를 가지는 개방박스로 이루어진 본체(CL), 및 전면에 표시 수단 및 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개방 전면부 위에 끼워맞춤된 전장부(PL)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와, 프로세스 값과 출력을 막대 그래프로 표시한 조작화면, 프로세스 값의 경향을 나타내는 트렌드그래프 화면, 및 튜닝화면을 조합하여 또는 각각 별개로 표시하도록 상기 전방부에 설치된 표시수단(10)과, 상기 표시수단내에 표시되는 화면의 내용을 확장하도록 상기 표시수단을 수동으로 지시하기 위하여, 전방부에 설치된 화면확장수단(KY7)과, 제어조작 및 각종 파라미터를 수동으로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수단의 옆쪽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전방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키수단(KY1~7, KY8~10)과, 상기 본체에 포함되며, 상기 표시수단내에 표시되는 조작화면상에 프로세스 값 및 제어출력 값이 막대 그래프로 나타나게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능을 부여받는 복수개의 키수단 중 하나에 의해 조작가능한 운전화면작성수단(81)과, 상기 본체에 포함되며, 상기 표시 수단내에 표시되는 트랜드 그래프 화면상에 프로세스 값의 변화가 나타나게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능을 부여받는 복수개의 키수단 중 하나에 의해 조작 가능한 트렌드 그래프 화면 작성수단(82)과, 상기 본체에 포함되며, 상기 표시수단내에 표시되는 튜닝화면상에, 상기 다수의 키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복수개의 키수단에 부여된 기능을 나타내는 심볼 및 상기 제어연산에 사용되는 제어 파라미터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정보가 나타나게 하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이러한 기능을 부여받는 복수개의 키수단 중 하나에 의해 조작 가능한 튜닝화면 작성수단(83)과, 상기 화면 확장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조작화면 및 상기 트렌드 그래프 화면의 조합을, 그리고 상기 화면 확장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복수개의 키수단 중 하나의 조작으로부터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상기 튜닝화면 만을 상기 표시수단에 표시하도록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포함된 표시 제어수단(9)과, 상기 복수개의 키수단에 부여된 기능 및 상기 복수개의 키수단의 변화된 기능에 해당하여 상기 튜닝화면에 표시되는 심볼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본체에 포함된 키기능 변화수단(11)을 포함하고, 외형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모든 수동조작 가능한 요소 및 표시수단이 상기 컨테이너 전방부의 전면에 포함되며, 임의의 수동 조작 가능한 두 요소가 조작자의 한쪽 손은 두 개의 손가락에 의해 동시적으로 억세스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키수단 중 하나가 키수단의 변화기능을 가져, 상기 변화 키수단이 상기 튜닝화면을 조작하여, 상기 조작화면 또는 트랜드 그래프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각종의 알람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알람화면 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며, 표시 제어수단은, 상기 화면 확장수단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될 때, 또는 상기 조작화면 또는 상기 트렌드 그래프 화면이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알람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콘트롤러의 기능선택, 입력 범위의 설정 조작, 통신 기능의 설정조작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수단내에 엔지니어링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화면 발생 수단을 더 포함하며, 표시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제어수단이 상기 화면 확장수단으로부터의 신호 및 복수의 키수단 중 하나가 동시에 수신되고, 상기 튜닝화면이 상기 표시수단에 동시에 표시될 때, 상기 표시수단내에 엔지니어링 화면을 표시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표시수단이 막대 그래프를 형성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막대 그래프가 확대 및 축소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피치로 요철부를 배열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제어연산을 행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요소와, 상기 하나의 제어요소를 사용하여 제어연산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1기능 모듈(3a)수단과, 상기 두개의 제어요소를 사용하여 제어연산을 실행시키기 위한 제2기능 모듈(3b)수단과, 제1 및 제2기능 모듈수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기능 선택수단(13)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제어수단이 상기 기능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된 기능에 기초하여 표시 수단내에 표시도는 화면을 자동적으로 재배열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7. 제6항에 있어서, 제1의 기능 모듈수단이 선택된 경우, 표시 제어수단은, 막대 그래프로서 제어출력 값 및 프로세스 값을 표시하기 위한 제1조작 화면과, 프로세스 값의 과거 변화를 나타내는 트렌드 그래프로서 프로세스 값을 표시하기 위한 트렌드 그래프 화면을 상기 표시수단내에 조작 화면으로서 표시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8. 제6항에 있어서, 제2의 기능모듈수단이 선택된 경우, 표시 제어수단은, 막대 그래프로서 하나의 프로세스값 및 제어출력 값을 표시하기 위한 제1조작화면과, 하나의 프로세스 값의 이전 변화를 나타내는 제1트렌드 그래프 화면과, 막대 그래프로서 다른 프로세스 값 및 제어 출력 값을 표시하기 위한 제2조작화면과, 다른 프로세스 값의 이전 변화를 나타내는 제2트렌드 그래프 화면을 상기 표시수단내에 조작화면로서 표시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9. 제6항에 있어서, 표시 제어수단이, 프로세스의 제어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화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요소로 다양한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튜닝화면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요소에 의해 실행되는 다양한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엔지니어링 화면을 표시수단내에 표시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조절수단이 상기 튜닝화면 및 상기 엔지니어링 화면으로 확대 전에, 튜닝화면 및 엔지니어링 화면에 해당하는 사항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화면의 표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기능 모듈수단은, 2개의 제어요소를 직렬로 접속하여 캐스케이드 제어를 실행하는 캐스케이드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2. 제6항에 있어서, 제2의 기능 모듈수단은, 2개의 제어요소를 병렬로 접속하여 실렉터 제어를 실행하는 실렉터 콘트롤러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3. 제6항에 있어서, 제어기능과 연산기능을 제공하는 제3기능 모듈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선택수단은 제1, 제2, 제3기능 모듈수단 중 임의의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4.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프로세스 값을 입력하고 신호를 출력함으로서 제어연산을 행하며, 상기 표시 제어수단이 프로세스 값 및 제어출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스 값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표시수단에 표시된 제어 출력값을 수동으로 조정하기 위한 수동 조절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수동 조절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고, 이들 신호를 유지하며, 신호를 프로세스쪽으로 송출하는 기능을 가진 출력수단과, 수동으로 출력 신호를 제어하고, 수동 백업신호를 송출하는 수동 백업수단과, 상기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상기 수동 백업수단으로부터의 수동 백업신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신호를 프로세스로 송출하는 수동 선택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5. 제14항에 있어서, 수동 백업수단은, 포텐시아미터를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6. 제14항에 있어서, 수동 백업수단은, 출력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수동 백업수단으로부터의 신호와 동시에 일어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동시 검출회로를 포함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7. 제14항에 있어서, 수동백업 중에 상기 제어수단을 배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수동 백업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수동 백업 수단으로부터의 상기 신호 다음의 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한 수동 백업조건에서 수동 백업조건으로의 변화가 신호의 변화없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이 상기 콘트롤러의 전방부에서 이동가능한 부분을 포함하여, 상기 부분이 위로 이동할때, 상기 수동 백업수단이 상기 표시수단의 배면에 위치하고, 수동 백업수단이 상기 콘트롤러의 전방으로부터 매니플레이트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19. 제1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이 프로세스 신호에 관련되는 신호와 제어 목표치를 수신하여 제어연산을 하여, 연산결과를 조작신호로서 프로세스에 출력하고, 상기 표시수단이 최소한 하나의 키를 갖추고 있고, 제어조작 및 모니터 제어조작에 필요한 다양한 조작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센서로부터 표준화된 신호로 신호를 조건화하고 조건화된 신호를 제어수단으로 공급하기 위한 신호 조건화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상에 상기 신호 조건화수단의 기능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고, 최소한 하나의 키로부터의 신호에 기하여 신호 조건화수단에 소정 기능을 제공하는 신호 조건화 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20. 제19항에 있어서, 신호 조건화 수단에 연결된 외부단자와, 상기 조건화된 수단을 유도하고, 표준화된 프로세스 값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건화수단의 출력이 외부단자와 내부단자를 연결함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콘트롤러.
KR1019920015840A 1991-09-30 1992-09-01 다기능 콘트롤러 KR9700040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51576 1991-09-30
JP3251576A JPH0588744A (ja) 1991-09-30 1991-09-30 調節計
JP91-259405 1991-10-07
JP3259405A JPH05100707A (ja) 1991-10-07 1991-10-07 調節計
JP91-271249 1991-10-18
JP27124991A JP3278068B2 (ja) 1991-10-18 1991-10-18 調節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6574A KR930006574A (ko) 1993-04-21
KR970004089B1 true KR970004089B1 (ko) 1997-03-25

Family

ID=27334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840A KR970004089B1 (ko) 1991-09-30 1992-09-01 다기능 콘트롤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10809A (ko)
EP (1) EP0535340B1 (ko)
KR (1) KR970004089B1 (ko)
CN (1) CN1057851C (ko)
DE (2) DE6922749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361A (en) * 1996-11-07 1998-10-06 Acevedo; Elkin Display keyboard
DE29709588U1 (de) * 1997-06-02 1997-11-06 PS Automation GmbH Gesellschaft für Antriebstechnik, 67098 Bad Dürkheim Intelligente Steuer- und Regeleinrichtung
US6590577B1 (en) * 1999-05-27 2003-07-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ynamic display of data relationships between static charts
US6417855B1 (en) * 1999-05-27 2002-07-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tilizing thresholds during a dynamic display of data relationships between static charts
US6577323B1 (en) * 1999-07-01 2003-06-10 Honeywell Inc. Multivariable process trend display and methods regarding same
DE29912848U1 (de) * 1999-07-22 2000-08-31 Siemens Ag Reglerbaustein
US6720967B1 (en) 2000-03-01 2004-04-13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work flow information
JP2001306137A (ja) 2000-04-24 2001-11-02 Yamaha Motor Co Ltd 制御対象の特性制御装置
US6972761B1 (en) * 2000-08-09 2005-12-06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work center operations
US7239316B1 (en) 2000-11-13 2007-07-03 Avaya Technolog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graphically manipulating data tables
US7466961B1 (en) 2004-12-13 2008-12-16 Palm, Inc. Compact palmtop computer system and wireless telephone with foldable dual-sided display
US7918738B2 (en) 2001-03-27 2011-04-05 Igt Interactive game playing preferences
US8480466B2 (en) * 2001-03-27 2013-07-09 Ig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iewing a game
US7142195B2 (en) 2001-06-04 2006-11-28 Palm, Inc. Interface for interaction with display visible from both sides
TWI227716B (en) * 2001-10-31 2005-02-11 Nippon Catalytic Chem Ind Amino resin particles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US7390257B2 (en) * 2001-12-06 2008-06-24 Igt Programmable computer controlled external visual indicator for gaming machine
US7095387B2 (en) * 2002-02-28 2006-08-22 Palm, Inc. Display expansion method and apparatus
JP4639821B2 (ja) * 2004-02-24 2011-02-23 オムロン株式会社 目標値加工装置、温度調節器および制御プロセス実行システム
US20080113716A1 (en) * 2006-11-09 2008-05-15 Igt Personalization of video and sound presentation on a gaming machine
US20080113715A1 (en) * 2006-11-09 2008-05-15 Igt Controllable array of networked gaming machine displays
US7833102B2 (en) * 2006-11-09 2010-11-16 Igt Gaming machine with consolidated peripherals
US8096884B2 (en) * 2006-11-09 2012-01-17 Igt Gaming machine with adjustable button panel
US8177637B2 (en) * 2006-11-09 2012-05-15 Igt Button panel control for a gaming machine
US20080113821A1 (en) * 2006-11-09 2008-05-15 Igt Gaming machine with vertical door-mounted display
GB0715368D0 (en) * 2007-08-07 2007-09-19 Qinetiq Ltd Range-fin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11058816A (ja) * 2009-09-07 2011-03-24 Yokogawa Electric Corp 測定装置
US8370659B2 (en) * 2009-09-21 2013-02-05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time-based management of backup battery life in memory controller systems
US8676818B2 (en) * 2010-05-03 2014-03-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ynamic storage and retrieval of process graphs representative of business processes and extraction of formal process models therefrom
JP2013070460A (ja) * 2011-09-21 2013-04-18 Fuji Electric Co Ltd モータ駆動装置
KR101273876B1 (ko) 2011-10-21 2013-06-17 주식회사 우진 원터치형 지시계 고정장치 및 그 고정장치가 설치된 지시장치
WO2013171875A1 (ja) * 2012-05-17 2013-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サーボパラメータ調整装置
CN102681437A (zh) * 2012-05-22 2012-09-19 宁波德曼压缩机有限公司 一种多功能智能控制器
WO2014103309A1 (ja) * 2012-12-28 2014-07-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制御方法
USD766976S1 (en) * 2014-08-18 2016-09-20 Rockwell Collins, Inc. Display panel with icon
CN105894918A (zh) * 2014-12-22 2016-08-24 南京化工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教学培训的数字调节器装置及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14924A1 (de) * 1976-04-07 1977-10-20 Intrometic Prozess Automation Elektronischer regler mit mehrfach genutzter anzeige zur stossfreien betriebsartenumschaltung
JPS5346581A (en) * 1976-10-08 1978-04-26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Recording/indicating controller
US4303973A (en) * 1976-10-29 1981-12-01 The Foxboro Company Industrial process control system
US4427969A (en) * 1980-03-28 1984-01-24 Pitney Bowes Inc. Interface circuit for a meter reading device
JPS5794803A (en) * 1980-12-05 1982-06-12 Hitachi Ltd Adjusting meter
US4403297A (en) * 1981-01-02 1983-09-06 Loveland Controls Company Process control system prover
US4745543A (en) * 1981-08-20 1988-05-17 Fischer & Porter Co. Front panel for a process controller
JPH0612483B2 (ja) * 1981-10-18 1994-02-16 株式会社東芝 プロセスコントロ−ルシステム
US4782338A (en) * 1982-01-21 1988-11-01 Orca Industries, Inc. Display scheme for decompression data
JPS5947638A (ja) * 1982-09-08 1984-03-17 Sharp Corp 図表作成装置
JPS5947681A (ja) * 1982-09-10 1984-03-17 Sharp Corp グラフ作成機
US4478038A (en) * 1982-09-20 1984-10-23 Chandler Evans, Inc. Electronic fuel control with manual training mode
JPS59116897A (ja) * 1982-12-23 1984-07-05 株式会社東芝 デイジタルコントロ−ラ
US4611306A (en) * 1983-05-11 1986-09-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Display menu/chart key
GB2159987B (en) * 1984-06-04 1987-10-28 Gen Electric Distributed input/output systems
JPS6162815A (ja) * 1984-09-04 1986-03-31 Chino Works Ltd 表示装置
US4847785A (en) * 1985-01-22 1989-07-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Interactive display for trend or bar graph
US4658348A (en) * 1985-08-12 1987-04-14 The Foxboro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ntroller
US4851833A (en) * 1985-08-23 1989-07-25 Snap-On Tools Corporation Digital engine analyzer
JPS6274101A (ja) * 1985-09-27 1987-04-04 Toshiba Corp デイジタルコントロ−ラ
US4797670A (en) * 1987-01-30 1989-01-10 Joyner Engineers & Trainers, Inc. Redundant signal selector system
JP2629298B2 (ja) * 1988-09-12 1997-07-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流れ偏向装置
JPH02120618A (ja) * 1988-10-31 1990-05-08 Yamatake Honeywell Co Ltd プロセスパラメータの表示方法
US5250935A (en) * 1990-09-24 1993-10-05 Snap-On Tools Corporation Waveform peak capture circuit for digital engine analyzer
US5086870A (en) * 1990-10-31 1992-02-11 Division Driving Systems, Inc. Joystick-operated driv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510809A (en) 1996-04-23
DE69227497D1 (de) 1998-12-10
EP0535340A3 (en) 1994-05-25
EP0535340B1 (en) 1998-11-04
KR930006574A (ko) 1993-04-21
DE69227497T2 (de) 1999-06-24
CN1057851C (zh) 2000-10-25
CN1071268A (zh) 1993-04-21
DE535340T1 (de) 1993-10-14
EP0535340A2 (en) 199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089B1 (ko) 다기능 콘트롤러
US5654739A (en) Controller including multi-function
US4371922A (en) Process stepping sequential controller
KR101038694B1 (ko) 디지털 지시 조절계
JPH103307A (ja) 数値制御装置
JPS61185007A (ja) 発電プラントの監視制御装置
US5191538A (en) Apparatus for displaying operation sequence of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JP2004155088A (ja) 射出成形機の段取り支援方法
JP2985424B2 (ja) 調節計
JP3341263B2 (ja) 調節計
JP2809009B2 (ja) 生産管理装置
JPS6232510A (ja) シ−ケンサの異常診断装置
AU553015B2 (en) Step sequence control apparatus
JPH05100707A (ja) 調節計
JP3278068B2 (ja) 調節計
JPH0792689B2 (ja) シーケンス制御装置
JPS63166211A (ja) 半導体製造システム
JP3100818B2 (ja) ループ状態表示装置
JP2848154B2 (ja) 生産管理装置
JP3125900B2 (ja) 操作表示パネル
JPH03189704A (ja) 数値制御システム
JPH0447405A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プログラム装置
JP2713836B2 (ja) ディジタル制御装置
KR850000341B1 (ko) 공정제어용 제어기
JP2974997B2 (ja) 抵抗溶接機の溶接パラメータ設定方法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2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