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945B1 - 산화물 압전체 - Google Patents

산화물 압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45B1
KR970003945B1 KR1019940020719A KR19940020719A KR970003945B1 KR 970003945 B1 KR970003945 B1 KR 970003945B1 KR 1019940020719 A KR1019940020719 A KR 1019940020719A KR 19940020719 A KR19940020719 A KR 19940020719A KR 970003945 B1 KR970003945 B1 KR 970003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zoelectric
oxide
piezoelectric material
sintering
dielectric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503A (ko
Inventor
김종목
김승의
황강선
Original Assignee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김홍기 filed Critical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45B1/ko
Publication of KR960007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 C04B35/49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containing also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9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containing also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lead zirconates and lead titanates, e.g. PZ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48Lead-based oxides
    • H10N30/8554Lead-zirconium titanate [PZT] ba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01Alkali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24Rare earth oxide or oxide forming salts thereof, e.g. scandium oxide
    • C04B2235/3225Yttrium oxide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2Metal oxides,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231Refractory metal oxides, their mixed metal oxid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 C04B2235/3251Niobium oxides, niobates, tantalum oxides, tantalates, or oxide-forming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산화물 압전체
본 발명은 산화물 압전체(Piezoelectric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산화물 압전체는 가스레인지, 가스라이터의 착화소자, 초음파세정기, 음향필터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압전모터와 전기전자 부품에로의 적용범위가 확대됨에 따라서 산화물 압전재료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프린터 헤드, 비디오테이프 레코더 헤드 구동장치, 직선형 압전모터 등에 사용되는 압전모터용 압전소자는 최대한의 전기에너지를 수용하여야 이 전기에너지를 많은 양의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산화물 압전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전상수라 함은 유전체에 전계를 인가하게 되면 유전체내의 분극을 중화하기 위하여 전하가 충전되는데, 충전되는 전하의 양은 같은 조건에서 물질에 따라 다르며, 충전되는 전하의 양을 진공상태의 전하량에 대비해서 나타낸 것이며, 유전상수가 큰 물질일수록 같은 조건에서 충전되는 전하량이 크다.
본 발명은 지르코니움 티탄산염계[Pb(Zr0.52Ti0.48)0.98Nb0.02)O3]를 기본 조성으로 하고, 여기에 탄산나트륨(Na2CO3)과 산화이트륨(Y2O3)을 첨가하여 전기적 물성을 개량시킨 산화물 압전재료를 소결하여서 된 산화물 압전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산화물 압전재료로서 5산화2니오비움(Nb2O5)을 첨가한 지르코니움 티탄산염(PbZrO3-PbTiO3)계가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유전상수가 높을수록 그 특성이 우수하게 발현되는 압전모터에 적용시에는 유전상수가 1600 정도로서 그 특성의 한계를 갖게 되어 보다 높은 유전상수를 갖는 재료가 요구되게 되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어온 Nb2O5와 Na2CO3를 첨가한 PbZrO3-PbTiO3계 산화물 압전재료는 카보네이트와 Na+이온의 격자확산에 의해 전기적 특성이 소결 공정에 민감한 변화를 보인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 목적중의 하나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Nb2O5를 첨가한 PbZrO3-PbTiO3계에 첨가물로 Na2CO3와 Y2O3를 첨가함으로서, 종래의 산화물 압전재료에 비하여 보다 높은 유전상수를 갖음과 동시에 첨가제의 첨가량 범위를 폭넓게 조정할 수 있고 Na2CO3와 Y2O3를 함께 첨가함으로 인한 소결 온도 민감성을 억제하는 산화물 압전재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PbZrO3-PbTiO3계에 첨가물로서 Nb2O5를 첨가한 후 하소하고, 여기에 본 발명의 첨가제인 Na2CO3와 Y2O3를 첨가하여 혼합한다. 이때 Na2O3와 Y2O3를 첨가하는 혼합공정에서 Na2CO3가 물에 용이하게 용해되기 때문에 수용액을 중간 매질로 사용하여 습식혼합한다. 혼합된 분말은 건조후 소결 온도를 1100℃에서 1200℃ 사이로 변화시켜가며 열처리한다. 소결된 시편은 전극을 형성시킨 후 분극시키고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게 된다. 표 1에는 보는 바와 같이 참가물인 Na2CO3와 Y2O3의 첨가량이 중량비로 하여 각각 0.3부터 1.0퍼센트 사이의 범위내에서 압전재료의 유전상수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대단히 우수한 1700부터 2000 정도의 값을 보이고 있으며, 각 첨가제의 중량비에 대한 산화물 압전재료의 소결 온도는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소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소결 온도범위는 1100℃에서 1200℃ 사이로서 100℃의 소결가능 범위를 가짐으로서, 이 온도범위에 걸쳐 전기적 특성은 우수하게 나타나므로, 종래의 약 50℃의 범위에 비하여 보다 넓은 100℃ 범위의 소결 온도를 갖게 됨으로써, 소결 공정에 있어서 소결 온도에 의한 민감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며의 산화물 압전재료는 다른 전기적 특성 항목인 전기기계 결합계수(K), 압전상수(d33)와 같은 전기적 특성 또한 종래의 Nb2O5를 첨가한 PbZrO3-PbTiO3계에 비교하여 유사한 특성값을 보이고 있다. 이는 첨가제로 들어간 Na2CO3가 약 950℃ 정도에서 액상으로 전이하며 이에 의한 치밀화가 진행되어 소결 밀도가 증가됨으로 인한 것과 함께 Na+와 Y3+에 의한 전하 보상효과 때문으로 판단된다.
여기에서, 압전상수라 함은 압전재료의 분극(poling)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계를 가해줄때 분극방향으로 형성되는 변형을 말하며, 압전상수가 클수록 기계적 진동이 큰 압전재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기기계 결합계수라 함은 압전재료의 변환효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전기기계 결합계수가 클수록 입력된 전기 또는 기계 에너지가 기계 또는 전기에너지로의 변환이 크게 되며,
로 정의되며 일반적인 세라믹 압전재료의 전기·기계 결합계수는 0.4∼0.7에 분포되어 있다.
이제까지 밝혀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산화물 압전재료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첨가량 영역에서 안정되고 높은 전기기계 결합계수, 압전상수 등을 보였으며, 특히 종래의 Nb2O5를 첨가한 PbTiO3-PbZrO3계에 비하여 보다 증진된 유전상수를 나타내어, 압전모터내의 압전소자의 특성을 향상시켜 고효율의 압전모터 제조에 기여할 수 있는 산화물 압전체의 제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100℃ 정도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소결 온도를 갖는 산화물 압전재료로 제조가 가능함으로서 소결 온도에 대한 민감성이 억제된 산화물 압전재료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상기의 산화물 압전재료를 사용하여 보다 우수한 유전상수와 높은 전기적 특성을 갖음과 동시에 첨가제의 넓은 첨가량비와 넓은 소결 온도를 갖는 압전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 실시예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실시예
세라믹 분말 PbO, ZrO2, TiO2를 PbZrO3-PbTiO3계의 MPB(Morphotropic Phase Baundary) 조성으로 100g을 정량한 후 중량비로 하여 2퍼센트의 Nb2O5를 첨가하고 지르코니아 볼밀을 사용하여 24시간 습식분쇄를 한 후 900℃에서 2시간 유지시켜 하소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하소 분말에 Na2CO3와 Y2O3를 표 1과 같은 중량비로 하여 각각 0.1에서 2.0퍼센트까지 변화시켜가며 첨가하였다. 첨가된 하소 분말을 지르코니아 볼밀을 사용하여 증류수를 매질로 하여 습식 혼합을 한 후 오븐에서 110℃로 건조시켰다. 건조된 분말을 일축 가압 성형하여 표 1과 같이 1100℃에서 1200℃까지 소결 온도를 변화시켜가며 소결하였으며, 각 소결온도에서 각각 2시간을 유지시켰다. 소결체에 전극을 형성시킨 후, 115℃로 유지되는 실리콘 오일내에서 15분동안 3.5kv/㎜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여 분극시켰고, 분극된 시편은 IRE(미국, Institute of Radio engineers) STD에 따라서 유전상수, 압전상수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구하였다.
한편, 일반적인 압전 세라믹스의 경우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를 보면, 특정 주파수 영역에서 공진 및 반공진 주파수에서 임피던스의 극소 및 극대치가 나타나는데, 주파수 증가에 따라 제1, 2, 3…의 공진영역이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압전세라믹의 전기기계 결합계수는 제1공진 영역의 공진 및 반공진 주파수를 측정하므로서 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PbTiO3-PbZrO3(PZT)계의 경우 50∼300㎑ 경우 주파수에 따른 임피던스의 최소치와 최대치를 얻을 수 있는데 PZT 압전체의 전기기계 결합계수가 높기 때문에 최대치는 반공진 주파수에 최소치는 공진 주파수에 근사화시켜 전기기계 결합계수를 구하였다.
압전체의 유전상수는 1㎑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여 유전상수(ε)=C·t/A(C : 정전용량, t : 두께, A : 단면적)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압전상수(d)=K·(ε·S)1/2(K : 전기기계 결합계수, ε : 유전상수, S : 탄성감률)로부터 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정전용량(C) 및 임피던스값은 HP(Hewlett Packard)사의 4194A 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표 1] 첨가제 및 소결 온도에 따른 압전특성

Claims (2)

  1. 지르코니움 티탄산염계의 산화물 압전체에 있어서, 약 2중량%의 오산화이니오비움(Nb2O5)을 함유하는 지르코니움 티탄산염(PbZrO3-PbTiO3)계 압전 재료에 탄산나트륨(Na2CO3)과 산화이트륨(Y2O3)를 각각 0.1∼2.0중량% 첨가한 압전재료를 소결하여서 된 산화물 압전체.
  2. 제1항에 있어서, 압전재료를 1,000∼1,200℃의 온도에서 소결하여서 된 산화물 압전체.
KR1019940020719A 1994-08-23 1994-08-23 산화물 압전체 KR970003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719A KR970003945B1 (ko) 1994-08-23 1994-08-23 산화물 압전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719A KR970003945B1 (ko) 1994-08-23 1994-08-23 산화물 압전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03A KR960007503A (ko) 1996-03-22
KR970003945B1 true KR970003945B1 (ko) 1997-03-24

Family

ID=1939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719A KR970003945B1 (ko) 1994-08-23 1994-08-23 산화물 압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503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9522B2 (ja) 圧電磁器組成物
JP4281726B2 (ja) 圧電磁器組成物、圧電磁器および圧電セラミック素子
JP3750507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セラミック素子
JP2000128632A (ja) 圧電セラミックス
US3594321A (en) Piezoelectric ceramic
KR100667256B1 (ko) 압전 트랜스포머용 고효율 psn-pmn-pzt압전세라믹
KR970003945B1 (ko) 산화물 압전체
KR101306472B1 (ko)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EP0739866B1 (en) Piezoelectric ceramics
KR930001915B1 (ko) 저온 소결 압전요업재료 제조방법
JPH0558729A (ja) 圧電磁器組成物
JP2627480B2 (ja) 酸化物圧電材料
JPH11322423A (ja) 圧電磁器組成物
KR0146991B1 (ko) 산화물 압전소자의 제조방법
JP3771776B2 (ja) 圧電磁器組成物
KR920001408B1 (ko) 압전세라믹 조성물
JP2000239064A (ja) 圧電磁器組成物
KR930011273B1 (ko) 압전세라믹 조성물
JP3508244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25954B2 (ko)
JPH04170364A (ja) 圧電性磁器組成物
KR910007120B1 (ko) 산화물 압전재료
KR100272675B1 (ko) 압전자기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aewkamnerd et al. Material Characterization of (Bi~ 1~/~ 2Na~ 1~/~ 2)~ 0~.~ 9~ 4Ba~ 0~.~ 0~ 6TiO~ 3 Ceramic as a Lamb Wave Device Substrate
US3526597A (en)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