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6472B1 -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6472B1
KR101306472B1 KR1020090125279A KR20090125279A KR101306472B1 KR 101306472 B1 KR101306472 B1 KR 101306472B1 KR 1020090125279 A KR1020090125279 A KR 1020090125279A KR 20090125279 A KR20090125279 A KR 20090125279A KR 101306472 B1 KR101306472 B1 KR 1013064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tio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8365A (ko
Inventor
이재신
김일원
후세인 알리
팜기남
도남빈
정성규
홍인기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25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64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6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64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64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 C04B35/462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 C04B35/475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titanium oxides or titanates based on titanates based on bismuth titan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의 조성을 갖는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종래의 납 계통의 PZT와는 달리 비스무스 계통의 압전 세라믹 소재를 제공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며,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함으로 인하여 전계를 인가할 때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어 압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무연 압전 세라믹, 비스무스계, BNT, BKT, 전계유도 변형율

Description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납을 함유하지 않고, 전계유도 변형특성이 우수한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전 세라믹은 전자산업과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초음파 송수신용, 비파괴용 초음파 트랜스듀스, 어군 탐지기, 광세트, 광변조기 컬러필터, 연소가스 조정용 엑츄에이터를 비롯한 특수용 압전체에 이용된다.
Pb(Zr,Ti)O3 (이하, 'PZT'라고 함) 세라믹 소재는 압전특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 제조 공정기술이 잘 알려져 있는 압전 재료로서 많은 응용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PbTiO3와 PbZrO3의 고용체에 있어서 정방정계-삼방정계의 상경계(MPB: Morphotropic Phase Boundary)에서 강한 압전성을 가지면서 390℃의 퀴리(Curie) 온도를 가지는 PZT 고용체가 발견됨에 따라, 이 세라믹스를 이용해서 압 전효과를 이용한 액츄에이터(Actuator)나 압전 트랜스듀서(Piezoelectric transducer), 센서(Sensor), 진동자(Resonator) 등 여러 전자소자로서 압전 세라믹스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현재 사용하고 있는 압전 특성이 우수한 대부분의 세라믹 소재들은 1000℃이상에서 PbO가 급격히 휘발함으로 인해 생기는 조성의 변동을 방지하기 위해 과잉으로 PbO를 첨가하여 제조하므로 중량비로 50% 이상의 납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해롭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전자산업을 중심으로 납이 함유된 소재의 사용이 규제되고 있으나, PZT 계 압전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무연 소재가 아직 개발되지 않아 규제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지만, 압전 특성이 우수한 무연 소재가 개발되면 PZT계 압전 소재의 사용은 제한될 전망이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원천적으로 납을 포함하지 않는 무연(Pb-free)계통의 재료들의 활용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시점에서 무연 계통의 재료들은 그 특성들이 기존의 PZT를 대체할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까지 개발된 무연 압전 세라믹스 중에서 Bi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재료는 크게 (Bi0.5Na0.5)TiO3(BNT)와 (Bi0 .5K0 .5)TiO3(BKT)가 있으며, 이들은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가지며 우수한 압전 특성을 가진다. 강한 압전성, 실온에서 큰 잔류분극(remnant polarization), 높은 상전이점을 갖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항전계(coercive field)가 높고 절연파괴전압(breakdown voltage)이 낮아서 분극이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용적인 소자로 활용되기에는 압전 특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들 물질에 BaTiO3, CeO2, BiO2 , SrCO3 등을 첨가 및 치환시키는 화학적 개량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 전기적 특성의 개량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무연 압전 세라믹스 중 (Na0 .5K0 .5)NbO3은 높은 상전이 온도, 낮은 항전계, 높은 잔류분극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Na0 .5K0 .5)NbO3에 5mol% LiTaO3가 고용되면 상경계를 이루며 높은 압전 특성을 보인다고 알려져 더욱더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Na2CO3, K2CO3 등의 원료 물질들의 높은 흡습성과 소결 중의 휘발로 인하여 일반 통상적인 소결 방법으로는 높은 특성을 지닌 알카라인 나이오베이트계 소결체를 제조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압전 특성을 향상시켜 종래의 PZT 계통의 압전 소재 부품들을 대체할 수 있고, 경제적인 절감은 물론 환경 친화적성을 가져 올 수 있는 무연 세라믹스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가지 압전특성 중에서도 압전 액추에이터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 금속산화물을 첨가함으로써 전계를 인가할 때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는 무연 압전소재를 제조하는데 착안하여 연구를 계속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종래의 납 계통의 PZT와는 달리 비스무스 계통의 압전 세라믹 소재를 제공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며,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함으로 인하여 전계를 인가할 때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어 압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의 조성을 갖는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조성물의 조성에서 x는 0.16 ~ 0.22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y Ta2O5 + z Nb2O5 + α ZrO2 + β HfO2 + Y2O3의 조성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y+z+α+β+의 합은 0.001 ~ 0.0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Ta2O5 이고, y는 0.005 ~ 0.018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Nb2O5 이고, z는 0.01 ~ 0.02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종래의 납 계통의 PZT와는 달리 비스무스 계통의 압전 세라믹 소재를 제공하므로 환경 친화적이며,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함으로 인하여 전계를 인가할 때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어 압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연 비스무스 계통의 세라믹의 압전 특성을 향상시켜 종래의 PZT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1-x) Bi1/2Na1/2TiO3 - x Bi1 /2K1 /2TiO3 의 조성을 갖는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이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비스무스(Bi)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재료는 크게 (Bi0 .5Na0 .5)TiO3(BNT)와 (Bi0 .5K0 .5)TiO3(BKT)로 대변된다. 조성적으로 ABO3로 표현되며, BNT의 경우는 A자리에 Bi3 +와 Na+이 공존하고, BKT의 경우는 A자리에 Bi3 +와 K+이 공존하는 A위치 복합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를 갖는다. BNT는 실온에서 능면정(rhombohedral) 상구조의 강유전 압전체이고, BKT는 실온에서 정방정(tetragonal) 상구조의 강유전 압전체이다. 실온에서 큰 잔류분극(remnant polarization)을 갖고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항전계(coercive field)가 높고 절연파괴전압(breakdown voltage)이 낮아서 분극(poling)이 어렵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실용적인 소자로 활용되기에는 압전 특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ABO3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에서 화학 양론적 조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A자리에 Bi3 +=0.5이고, Na+=0.5 또는 K+=0.5이고 B자리에 Ti4 +=1.0이 되어 양이온 총가전자 수가 +6이 되어 산소이온 3개의 -6과 더불어 전기적으로 중성을 유지한다. 여기서 가전자 1+의 Na 또는 K의 조성을 0.5로부터 벗어나는 비화학양론적 조성으 로 변화시켜서 세라믹을 제조하면 ABO3상 형성 시 양이온 부족에 따른 불순물이 발생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전하보상이 이뤄진다. 이때 전기적으로 중성이 유지되려면 자체적으로 Bi3 +가 Bi5 +로 천이되거나 또는 음이온 산소 빈자리가 형성되는데 그 과정에 수반하여 압전상수의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비스무스(Bi) 계통의 무연 세라믹은 납을 사용하지 않고 Bi계통의 압전 세라믹스의 소재를 제공하므로 친환경적이고, 원료분말 중에서 흡습성을 갖는 Na2CO3와 K2CO3를 철저히 건조시킨 후 Na 또는 K의 mol 비율이 0.5 보다 부족하게 하는 비화학양론적으로 조절하여 압전특성을 제어하므로 압전상수가 화학양론적인 조성의 경우보다 더 향상되며, 세라믹스들을 소결시킨 후 겉보기밀도를 측정하여 이론밀도(~6.0 g/cm3)와 비교하면서 불순물의 형성을 제어하므로 겉보기밀도 95% 이상의 소결체를 얻을 수 있고, 무연 Bi계통의 세라믹스의 압전 특성을 향상시켜 종래의 납(Pb)계통의 압전 소재 부품들을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절감은 물론 환경 친화적성을 가져 올 수 있다.
특히, 최근 Bi0 .5(Na0 .86K0 .14)0.5TiO3 세라믹스(이른바, BNKT 세라믹스)에 있어서 x=0.16~0.2 부근에서 삼방정상인(Bi0 .5Na0 .5)TiO3와 정방정상인 (Bi0 .5K0 .5)TiO3사이의 상경계가 존재하며, 이 상경계 부근에서 PZT의 상경계 특성과 유사한 유전 및 압전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으나,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아직 전기적 특성의 개량이 더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의 조성을 갖는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한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한 예는 아직까지 없었으며,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금속산화물을 소량 첨가함으로 인하여 전계유도 변형율이 높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강유전체인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고용체는 x=0.16 ~ 0.20 영역에서 정방정-능면정 상경계 영역을 형성한다. 이 상경계 영역에서는 영역 밖의 조성물보다 압전 특성이 우수하지만 전계 유도 변위 특성인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은 250 pm/V 이하로 실용적인 면에서 특성이 부족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고용체에 Ta2O5, Nb2O5, ZrO2, HfO2, Y2O3 등의 금속산화물을 소량 첨가하면 전계유도 변형율이 상승하여 압전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의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였는데, 금속산화물의 첨가량을 변화시키면서 그에 따른 각각의 시편을 제조하고 그에 따른 구조적 특성과 유전 및 압전특성을 조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하기의 식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 y Ta2O5 + z Nb2O5 + α ZrO2 + β HfO2 + Y2O3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 1의 조성에서 x는 0.16 ~ 0.22을 만족하고, y+z+α+β+의 합은 0.001 ~ 0.05를 만족한다.
나아가, 금속산화물은 Ta2O5 이고, y는 0.005 ~ 0.018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으며, 금속산화물은 Nb2O5 이고, z는 0.01 ~ 0.021 범위에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방정 구조를 나타내는 Bi1 /2Na1 /2TiO3 - Bi1 /2K1 /2TiO3 고용체에 미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게 되면 강유전체의 결정구조를 가진 소재의 일부가 정방정에서 의사입방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두 가지 상이 혼재하는 영역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두 가지 상이 공존하는 때에 전계유도 변형율( Smax/Emax, 단위는 pm/V)이 최대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금속산화물을 0.001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금속산화물을 첨가함으로 기대되는 우수한 압전특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미미하고, 0.05 이상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강유전성을 가진 정방정 구조의 상은 사라지고 의사입방정 구조의 상만 존재하게 되어 이때 전왜특성(electrostrictive property)만 남게 되므로 전계유도 변형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에 첨가되는 금속산화물이 총 0.001 ~ 0.05 범위에서 미량으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압전소재에서 가장 중요한 물성은 압전상수(d33, 단위는 pC/N) 또는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 단위는 pm/V) 값이며, 큐리온도라고 일컫는 강유전성 상실온도는 사용온도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물성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존에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납계 압전소재(PZT), 기존의 무연계 압전소재(PT(PbTiO3)),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무연계 압전소재의 압전상수(d33) 값과 큐리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압전소재는 종래의 무연계 압전소재에 비해 높은 압전상수를 나타내고, PZT와도 비슷한 값을 나타내어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납을 사용하지 않고도 (1-x) Bi1 /2Na1 /2TiO3 - x Bi1 /2K1 /2TiO3 의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미량 첨가함에 따라 전계유도 변형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압전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전계유도 변형율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PZT의 전계유도 변형율이 300pm/V인 점을 감안할 때, 300pm/V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것이 실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 1과 같은 조성을 갖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 성물은 고상반응법(solid-state process)으로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원료 분말들로서 Bi2O3, Na2Co3, K2CO3 , TiO2 분말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 분말을 첨가하여 각 조성에 따라 칭량하고 혼합한 후 밀링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볼 밀링방법으로 24시간 동안 습식 혼합을 하였으며, 용매로는 무수 에탄올, 에탄올, 아세톤 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Na2Co3와 K2CO3는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보관 중 주변 환경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무게가 증가하므로 칭량 전 건조가 충분하지 않으면 함유하고 있는 수부의 양만큼 조성이 틀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압전 특성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Na2Co3와 K2CO3분말을 건조오븐에 넣어 80 ~ 100℃에서 20 ~ 28시간 동안 충분히 건조시키면서 이미 함유된 수분의 건조에 따른 무게감소가 더 이상 없는 상태, 즉 완전 건조의 상태를 확인한 후 칭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밀링한 분말을 75 ~ 85℃의 온도에서 건조시키고 고상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800 ~ 900℃에서 1 ~ 3시간 동안 하소한다. 이때, 분말의 균질성을 높이기 위하여 밀링과 건조를 반복한 후 1차 하소보다 높은 온도에서 2차 하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소된 세라믹 분말을 습식 분쇄하고 건조시킨 후, 건조된 분말의 성형을 위한 결합제로서 PVA(Polyvinyl alcohol)을 5 중량% 첨가하여 혼합하고 성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성형시 직경이 15 mm인 금형을 사용하여 약 1톤 /㎠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였다.
다음으로, 성형체를 1150 ~ 1200℃의 온도범위에서 1 ~ 3시간 동안 소결하여 판상의 시편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세라믹 조성물의 압전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우선, 시편을 약 1 ㎜의 두께로 가공한 다음 시편의 양면에 전극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은전극을 인쇄 도포법으로 바르고 650 ~ 750℃에서 20 ~ 40분간 열처리하여 전극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시편을 약 90℃로 유지된 절연유에 넣고 10 ~ 20분 간 4 ~ 5 kV/mm의 전계를 가해 분극처리 한다. 분극처리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조된 세라믹 조성물의 압전특성을 측정한다.
각 시편의 유전특성은 임피던스 해석기(HP4194A)로 1kHz 주파수에서의 유전율과 유전손실계수를 측정하였고, 발진자의 기본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공진주파수(fr), 반공진주파수(fa), 전전용량(C0), 공진임피던스(R)를 측정하였으며, 기계적 품질계수(Qm)와 전기기계결합계수(kp)는 다음의 식 2 및 식 3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77721153-pat00001
Figure 112009077721153-pat00002
또한, 전계유도 변형율은 시편의 양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선형가변 미분변환기(LVDT :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duc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전계유도 변형 곡선에서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을 계산하였다. 또한, 시편의 결정구조의 분석은 XRD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Ta2O5를 첨가한 경우 압전 세라믹의 전계유도 변형율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압전특성을 살펴보았는데, Ta2O5를 첨가한 경우 Ta2O5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변형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첨가량이 0.01 일 때 가장 높은 전계유도 변형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a2O5가 0.025 이상으로 첨가되면 오히려 변형율이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또한, 최대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의 경우 Ta2O5의 첨가량이 0.01 일 때 최대값을 보이다가, 그 이상 첨가 시에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도 3 참조). 또한, Nb2O5를 첨가한 경우에도 정방정에서 의사입방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 Nb2O5의 첨가량이 0.015 일 때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그 이상 첨가 시에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도 5 참조).
또한, X선 회절 분석으로 결정구조를 분석한 결과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는 정방정 구조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고용체에 미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게 되면 강유전체의 결정구조를 가진 소재의 일부가 정방정에서 의사입방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두 가지 상이 혼재하는 영역이 나타나게 되며, 두 가지 상이 공존할 때 전계유도 변형율이 최대를 나타낼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도 4 및 도 6 참조).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은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종래의 납 계통의 PZT와는 달리 비스무스 계통의 압선 세라믹 소재를 제공하므로 환경친화적이며, 소량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함으로 인하여 전계를 인가할 때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어 압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스무스 계통의 무연 세라믹 소재의 압전 특성을 향상시켜 종래의 PZT를 대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절감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스무스 계통의 무연 압전 세라믹 소재의 응용범위는 매우 다양하여 휴대폰, 자동차, TV디스플레이는 물론 각종 의료기기들의 부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필터, 공진기, 진동자, 센서, 엑츄에이터, 변압기 등의 용도 및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의 표 1과 같은 여러 가지 조성을 갖는 압전 세라믹 조성물을 고상반응법(solid-state process)으로 합성하였다.
우선, 원료 분말들로서 공업용으로 통상 사용되는 순도의 Bi2O3, Na2Co3, K2CO3, TiO2, Y2O3, Nb2O5, Ta2O5, ZrO2, HfO2의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여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칭량하고, 볼 밀링방법으로 24시간 동안 습식 혼합을 하였다.
이때, Na2Co3와 K2CO3는 흡습성을 갖기 때문에 보관 중 주변 환경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무게가 증가하므로 칭량 전 건조가 충분하지 않으면 함유하고 있는 수부의 양만큼 조성이 틀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압전 특성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Na2Co3와 K2CO3분말을 건조오븐에서 90 ~ 200℃에서 2 ~ 16시간 동안 충분히 건조시키면서 이미 함유된 수분의 건조에 따른 무게감소가 더 이상 없는 상태, 즉 완전 건조의 상태를 확인한 후 칭량하였다.
다음으로, 반죽상태의 혼합물을 80 ~ 90℃의 온도에서 건조시킨 다음 고상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위하여 분말을 약 850℃에서 2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하소된 세라믹 조성물을 습식 분쇄하고 조립한 다음, 프레스를 이용하여 압축 성형법으로 성형하였다. 성형시 직경이 15 mm인 금형을 사용하여 약 1톤/㎠의 압력을 가하여 성형하였다.
다음으로, 성형체를 전기로에서 1150 ~ 1200℃의 온도범위에서 2시간 동안 소결하여 판상의 시편을 제조하였다.
시료의 조성
실시예 x y z α β
1 0.14 0 0 0 0 0.005
2 0.14 0 0 0.01 0.01 0
3 0.16 0.005 0 0 0.02 0
4 0.16 0 0.02 0 0 0.025
5 0.16 0.015 0.005 0 0 0.005
6 0.16 0.0005 0.005 0 0 0
7 0.16 0 0.005 0 0.01 0
8 0.18 0.005 0 0.01 0.01 0
9 0.18 0 0 0 0 0.025
10 0.18 0 0 0.02 0.01 0.005
11 0.18 0 0 0 0.01 0
12 0.18 0 0.01 0 0 0
13 0.18 0.0005 0 0 0 0
14 0.18 0.005 0.015 0 0 0
15 0.18 0.005 0 0.01 0.03 0
16 0.18 0 0 0.01 0 0
17 0.18 0.05 0 0 0 0.01
18 0.18 0 0 0.02 0 0
19 0.20 0 0.005 0.01 0.03 0.005
20 0.20 0 0.025 0 0.01 0
21 0.20 0.005 0 0 0 0
22 0.20 0 0.01 0 0 0
23 0.20 0 0.005 0.01 0.02 0
24 0.22 0 0 0.04 0 0
25 0.22 0.005 0.005 0 0 0.035
26 0.22 0 0 0.01 0 0
27 0.22 0 0.005 0 0.02 0
28 0.24 0 0.015 0 0 0
29 0.24 0.02 0 0 0 0
30 0.24 0 0.025 0 0.05 0
31 0.18 0 0 0 0 0
32 0.18 0.005 0 0 0 0
33 0.18 0.01 0 0 0 0
34 0.18 0.02 0 0 0 0
35 0.18 0.025 0 0 0 0
36 0.18 0 0 0 0 0
37 0.18 0 0.005 0 0 0
38 0.18 0 0.01 0 0 0
39 0.18 0 0.02 0 0 0
40 0.18 0 0.025 0 0 0
<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압전 세라믹 조성물의 압전특성
본 발명자들은 압전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시편을 1.0㎜의 두께로 가공한 다음 양면에 은전극을 인쇄 도포법으로 바르고 700℃에서 30분간 열처리하여 전극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시편을 분극시키는데, 시편을 90℃로 유지된 절연유 통에 넣고 5 kV/mm의 전계하에서 20 분간 유지시켜 분극처리 하였다.
임피던스 해석기(HP4194A)로 1kHz 주파수에서의 유전율과 유전손실계수를 측정하였다.
발진자의 기본 공진주파수 부근에서 공진주파수(fr), 반공진주파수(fa), 전전용량(C0), 공진임피던스(R)을 측정하였으며, 기계적 품질계수(Qm)와 전기기계결합계수(kp)는 다음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09077721153-pat00003
Figure 112009077721153-pat00004
또한, 전계유도 변형율은 시편의 양면에 고전압을 인가하면서 선형가변 미분변환기(LVDT : linear variable differential transduc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도 1과 같이 측정된 전계유도 변형 곡선에서 Smax/Emax를 계산하였다.
상기와 같이 측정한 결과를 하기의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압전 세라믹 조성물의 압전 특성
실시예 소결온도(℃) 상대유전율 유전손실 kp(%) Qm Smax/Emax(pm/V)
1 1170 1540 0.046 33.0 129 178
2 1180 1697 0.060 28.0 12 185
3 1180 1535 0.057 21.1 10 390
4 1175 1900 0.060 21.0 11 160
5 1170 1535 0.049 19.0 12 210
6 1175 1890 0.045 21.2 10 238
7 1180 1360 0.050 19.0 20 387
8 1180 1606 0.060 21.0 38 414
9 1170 1360 0.043 29.0 106 231
10 1180 1129 0.064 13.2 56 397
11 1180 1324 0.050 18.2 21 387
12 1175 1982 0.055 25.2 11 309
13 1170 1630 0.050 18.3 18 416
14 1175 2088 0.056 21.4 17 382
15 1180 1229 0.050 21.5 16 400
16 1180 1600 0.060 31.0 14 294
17 1170 1540 0.046 33.0 129 158
18 1180 1594 0.060 27.0 30 350
19 1180 1227 0.060 21.2 21 167
20 1175 1949 0.054 21.2 31 192
21 1170 1690 0.050 32.0 29 283
22 1175 1845 0.052 21.2 10 322
23 1180 1127 0.060 14.2 21 425
24 1180 1622 0.063 14.0 38 544
25 1170 1225 0.040 15.0 58 178
26 1180 1520 0.055 28.0 16 267
27 1180 1327 0.050 21.2 41 437
28 1175 2093 0.059 21.2 33 189
29 1170 1603 0.050 19.4 11 186
30 1175 1900 0.050 18.2 21 170
31 1170 1514 0.047 142 34 233
32 1170 1690 0.05 132 29 283
33 1170 1650 0.049 12 12 566
34 1170 1605 0.05 10 12 216
35 1170 1535 0.049 10 12 100
36 1170 1535 0.045 132 29 238
37 1170 1632 0.065 11 12 219
38 1170 1633 0.052 14 6 309
39 1170 1231 0.055 12 9 549
40 1170 1542 0.05 12 12 192
< 실시예 3>
Ta 2 O 5 를 첨가하여 제조한 압전 세라믹의 특성
본 발명자들은 일실시예로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첨가되는 Ta2O5의 첨가량을 달리하여(상기 실시예 31 내지 35)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한 경우 압전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전계유도 변형 특성 곡선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Ta2O5를 첨가한 경우 Ta2O5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변형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0.02 첨가하였을 때 가장 높은 변형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a2O5가 0.05 이상으로 첨가되면 오히려 변형율이 첨가하지 않은 경우보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2의 결과로부터 Ta2O5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최대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 값의 변화를 도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최대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의 경우 Ta2O5의 첨가량이 0.01 일 때 최대값을 보이다가, 그 이상 첨가 시에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용성 면에서 Ta2O5 의 첨가량은 0.005 ~ 0.018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정방정 구조를 나타내는 0.82Bi1 /2Na1 /2TiO3 - 0.18Bi1/2K1/2TiO3 고용체에 미량의 Ta이 첨가되면 강유전체의 결정구조를 가진 소재의 일부가 정방정에서 의사입방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두 가지 상이 혼재하는 영역이 나타나게 되고, 이 두 가지 상이 공존할 때 전계유도 변형율이 최대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Ta2O5가 0.025 이상 첨가되는 경우에는 강유전성을 가진 정방정 구조의 상은 사라지고 의사입방정 구조만 가진 상이 존재하게 되고 이때 전왜특성(electrostrictive property)만 남게 되므로 전계유도 변형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Ta2O5를 첨가함에 따른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0.82Bi1/2Na1/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Ta2O5를 첨가한 시료의 X선 회절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정방정과 입방정를 구분할 수 있는 46도 부근의 회절선을 관찰하면 Ta2O5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정방정상(tetragonal phase)의 (002)면과 (200)면의 회절선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Ta2O5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방정상(tetragonal phase)의 (002)면과 (200)면의 회절선의 강도는 줄어들고 의사입방정상(Pseudo-cubic phase)의 (200)면의 회절강도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a2O5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방정상(tetragonal phase)의 (002)면과 (200)면의 회절 강도는 줄어들고 의사입방정상의 (200)면의 회절강도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Ta2O5을 첨가하면 정방정상에서 의사입방정상으로 상전이가 일어남을 의미하는 것이며, 본 발명자들은 2가지 상이 공존할 때 Smax/Emax 값이 가장 높은 현상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자들은 Bi1 /2Na1 /2TiO3 - Bi1 /2K1 /2TiO3 고용체에 Ta2O5을 첨가하면 정방정에서 의사입방정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면서 두 가지 상이 혼재하는 영역에서 전계유도 변형율이 최대가 됨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4>
Nb 2 O 5 를 첨가하여 제조한 압전 세라믹의 특성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3에서와 같은 현상이 다른 금속산화물 물질을 첨가하였을 때에도 나타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실시예로 0.82Bi1 /2Na1 /2TiO3 - 0.18Bi1/2K1/2TiO3 고용체에 첨가되는 Nb2O5의 첨가량을 달리하여(상기 실시예 36 내지 40) 세라믹 조성물을 제조하였으며, Nb2O5 첨가량의 변화에 따른 최대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 값의 변화를 도 4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Nb2O5의 첨가량이 0.015 일 때 최대값을 보이다가, 그 이상 첨가 시에는 선형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실용성 면에서 Nb2O5 의 첨가량은 0.01 ~ 0.02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Nb2O5를 첨가함에 따른 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0.82Bi1/2Na1/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Nb2O5를 첨가한 시료의 X선 회절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4의 Ta2O5를 첨가한 경우와 같이, 46도 부근의 회절선을 관찰하면 Nb2O5를 첨가하지 않은 경우는 정방정상의 (002)면과 (200)면의 회절선이 관찰되나, Nb2O5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방정상의 (002)면과 (200)면의 회절선의 강도는 줄어들고 의사입방정상의 (200)면의 회절강도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Nb2O5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정방정상의 (002)면과 (200)면의 회절 강도는 줄어들고 의사입방정상 (200)면의 회절강도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결과, Nb2O5를 첨가한 경우에도 Ta2O5를 첨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방정상에서 의사입방정상으로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두 가지 상이 공존하는 영역에서 최대의 전계유도변형율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ZrO2, Y2O3, HfO2를 첨가한 경우에도 관찰되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압전 세라믹 소재의 전계유도 변형율 특성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Ta2O5를 첨가한 경우의 전계유도 변형 특성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Ta2O5를 첨가한 경우의 최대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 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Ta2O5를 첨가한 시료의 X선 회절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Nb2O5를 첨가한 경우의 최대 전계유도 변형율(Smax/Emax) 값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0.82Bi1 /2Na1 /2TiO3 - 0.18Bi1 /2K1 /2TiO3 고용체에 Nb2O5를 첨가한 시료의 X선 회절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유연계 압전소재(PZT), 종래의 무연계 압전소재(PT(PbTiO3)) 및 본 발명의 무연계 압전소재의 압전상수(d33)와 큐리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Claims (5)

  1. (1-x)Bi1/2Na1/2TiO3 - x Bi1/2K1/2TiO3 의 조성을 갖는 세라믹 조성물에 Ta2O5, Nb2O5, ZrO2, HfO2 및 Y2O3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산화물을 첨가하되, 상기 금속산화물은 y Ta2O5 + z Nb2O5 + α ZrO2 + β HfO2 + Y2O3의 조성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y+z+α+β+의 합은 0.001∼0.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조성물의 조성에서 x는 0.16 ~ 0.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Ta2O5 이고, y는 0.005 ~ 0.01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산화물은 Nb2O5 이고, z는 0.01 ~ 0.0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20090125279A 2009-12-16 2009-12-16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3064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79A KR101306472B1 (ko) 2009-12-16 2009-12-16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279A KR101306472B1 (ko) 2009-12-16 2009-12-16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65A KR20110068365A (ko) 2011-06-22
KR101306472B1 true KR101306472B1 (ko) 2013-09-09

Family

ID=44400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279A KR101306472B1 (ko) 2009-12-16 2009-12-16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64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088B1 (ko) * 2011-11-01 2013-10-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율이 높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685097B1 (ko) 2015-10-16 2016-12-09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 비스무스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0941B (zh) * 2017-05-02 2020-09-01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具有巨电致阻变的无铅铁电陶瓷材料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962A (ja) 1999-03-24 2000-10-03 Tokin Corp 圧電体磁器組成物
JP2002348173A (ja) 2001-05-29 2002-12-04 Sumitomo Metal Ind Ltd 圧電セラミック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2004244300A (ja) 2003-01-23 2004-09-02 Denso Corp 圧電磁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電素子及び誘電素子
JP3894112B2 (ja) * 2002-12-03 2007-03-14 日本碍子株式会社 圧電/電歪膜型素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2962A (ja) 1999-03-24 2000-10-03 Tokin Corp 圧電体磁器組成物
JP2002348173A (ja) 2001-05-29 2002-12-04 Sumitomo Metal Ind Ltd 圧電セラミック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3894112B2 (ja) * 2002-12-03 2007-03-14 日本碍子株式会社 圧電/電歪膜型素子
JP2004244300A (ja) 2003-01-23 2004-09-02 Denso Corp 圧電磁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圧電素子及び誘電素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088B1 (ko) * 2011-11-01 2013-10-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변형율이 높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685097B1 (ko) 2015-10-16 2016-12-09 한국세라믹기술원 복합 비스무스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365A (ko)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088B1 (ko) 변형율이 높은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JP4929522B2 (ja) 圧電磁器組成物
Lee et al. Crystal Structure, dielectric and ferroelectric properties of (Bi0. 5Na0. 5) TiO3–(Ba, Sr) TiO3 lead-free piezoelectric ceramics
KR101235434B1 (ko)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압전 소자
JP4684089B2 (ja) 圧電磁器組成物および圧電磁器
CN103172374B (zh) 压电陶瓷和压电元件
KR20060105788A (ko) 압전 자기 및 그 제조방법
JP3934324B2 (ja) 圧電セラミックス
KR101310450B1 (ko) 기계적 품질계수가 우수한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423418B1 (ko)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091192B1 (ko) 저온 소성용 무연 압전세라믹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306472B1 (ko)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KR101099980B1 (ko) 무연 압전 조성물
KR101043041B1 (ko) 초음파 진동자용 무연 압전세라믹스 조성물
KR101635939B1 (ko) 비스무스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액추에이터
KR102023888B1 (ko) 전계유기 변형특성이 우수한 저온소결 무연 압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KR20150042075A (ko) 저온 소결용 압전재료
KR101866845B1 (ko) 전계유기 변형 특성이 우수한 무연 압전 세라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3032761B1 (ja) 圧電セラミックス
KR20180003277A (ko) 전계유기 변형특성이 우수한 무연 압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JP2000264727A (ja) 圧電セラミックス
JP5319208B2 (ja) 圧電磁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圧電素子
JP2008056549A (ja) 無鉛圧電磁器組成物
KR101806207B1 (ko) 변형율이 높고 저온소성이 가능한 삼성분계 무연 압전 세라믹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79061A (ko) 전계유기 변형특성이 우수한 무연 압전 세라믹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