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395Y1 - 창틀 연결구 - Google Patents

창틀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395Y1
KR970003395Y1 KR2019940001317U KR19940001317U KR970003395Y1 KR 970003395 Y1 KR970003395 Y1 KR 970003395Y1 KR 2019940001317 U KR2019940001317 U KR 2019940001317U KR 19940001317 U KR19940001317 U KR 19940001317U KR 970003395 Y1 KR970003395 Y1 KR 970003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vertical
window frame
horizont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13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512U (ko
Inventor
조명호
Original Assignee
조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명호 filed Critical 조명호
Priority to KR20199400013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395Y1/ko
Publication of KR950023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5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395Y1/ko

Links

Landscapes

  • Joining Of Corner Units Of Frames Or Wing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창틀 연결구
제1도는 종래의 제1연결구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제2연결구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3도는 종래의 연결구를 사용한 창틀결합 상태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제1연결구가 결합된 상태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나사 10 : L형본체
11 : 수직돌기 12 : 수평돌기
13 : L홈 14 : 보조레일
15-1 : 좌측수직홈 15-2 : 우측수직홈
15-3 : 중앙수직홈 16-1 : 좌측수평홈
16-2 : 우측수평홈 16-3 : 중앙수평홈
17 : L형나사 끼움홈 18 : 외측L홈
19 : 외축나사 끼움홈
본 고안은 창틀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동일구조의 창틀바를 사용하여 창틀을 조립 가능케하는 창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틀은 창틀바를 창틀크기로 절단하고 각 모서리를 연결구로 조립시켜 창틀을 제조한다.
이러한 창틀은 하부창틀바, 수직창틀바 및 상부창틀바를 각각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는 좌, 우측 하부 및 상부 연결구를 각각 구비하여 각 모서리 별로 조립한다.
이는 제1도에서 종래의 창틀의 우측하부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바(1)와 수직바(2)가 제1연결구(10)에 의해 결착되는 구조를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하부바(1)는 상부벽(1-1)에 하부레일(1-2)이 돌출되고, 하부레일(1-2)사이에는 배수를 위한 턱부(1-3)가 형성된다. 상부벽(1-1) 내측부에는 내턱(1-4)이, 외측부에는 외턱(1-5)이 형성되고, 상하부벽(1-1, 1-6)은 상호 격벽에 의해 제1 내지 5공간(1-71∼1-75)이 형성되며, 제1, 3 및 4공간(1-71, 1-73, 1-74)에는 나사홈(1-8)이 일체로 각각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바(2)는 내측벽(2-1)과 외측벽(2-2)에 의해 이루어지며, 내측벽(2-1)에 수직레일(2-3)이 돌출된다. 이때 내, 외측벽(2-1, 2-2)은 격벽에 의해 좌측공간(2-41), 중간공간(2-42) 및 우측공간(2-43)이 이루어지며, 좌측공간(2-41)에는 좌측나사홈(2-51)이 형성되고, 우측공간(2-43)에는 우측돌기(2-52)가 형성된다.
상부하부바(1) 및 수직바(2)는 제1연결구(3)에 의해 조립되는 바, 제1연결구(3)의 수평부위에는 상기 하부바(1)의 제1 내지 5공간(1-71, 1-75)에 끼움결합되는 수평돌기(3-1)인 제1 내지 5돌기(3-11∼3-15)가 돌출되고, 제1연결구(3)의 수직부위에는 상기수직바(2)의 좌측, 중간 및 우측공간(2-41, 2-42, 2-43)에 대응하여 끼움결합하는 수직돌기(3-2)인 좌측, 중간 및 우측돌기(3-21, 3-22, 3-23)가 돌출되며, 상기 수직 및 수평돌기(3-2, 3-1)는 4각 본체(3-3)에 일체로 이루어지고, 각돌기(3-1, 3-2)가 마주치는 부위의 본체(3-3) 내측면에는 창짝레일홈과 결합되는 보조레일(3-4)이 형성된다.
또한 제2도는 종래의 창틀의 우측상부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로, 상부바(4)와 수직바(2)가 제2연결구(5)에 의해 결착된다.
상기 상부바(4)는 내측벽(4-1)과 외측벽(4-2)에 의해 이루어지며, 내측벽(4-1)에 상부레일(4-3)이 돌출된다. 이때 내, 외측벽(4-1, 4-2)은 격벽에 의해 좌측공간(4-41), 중간공간(4-43) 및 우측공간(4-43)이 이루어지며, 좌측공간(4-41) 및 중간공간(4-42)에는 각각 나사홈(4-5)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바(4) 및 수직바(2)는 제2연결구(5)에 의해 조립되는 바, 제2연결구(5)의 수평부위에는 상기 상부바(4)의 좌측, 중간 및 우측공간(4-41, 4-42, 4-43)에 끼움결합하는 수평돌기(5-1)인 좌측, 중간 및 우측돌기(5-11, 5-12, 5-13)가 돌출되고, 제2연결구(5)의 수직부위에는 상기 수직바(2)의 좌측, 중간 및 우측공간(2-41, 2-42, 2-43)에 각각 대응하여 끼움결합하는 수직돌기(5-2)가 3개의 분할돌기로 돌출된다. 수평돌기(5-1)와 수직돌기(5-2)사이는 수직바(2)의 내측벽(2-1)이 끼워지는 내측공간(5-3)이 형성된다.
이를 조립하면 제3도와 같은 상태를 이룬다.
제3도에서 확연히 구별되듯이 제1연결구(3)는 본체(3-3)에 의해 하부바(1)와 수직바(2)가 지탱되고, 제2연결구(5)는 수직바(2)에 의해 고정되면서 상부바(4)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각 모서리마다 별도의 연결구가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어 수직바(2)와 하부바(1)는 제1연결구(3)로, 수직바(2)와 상부바(4)는 제2연결구(5)로 결착시키는 바, 이는 수직바(2), 하부바(1) 및 상부바(4) 구조가 상이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제1도에 보인 하부바(1)의 하부레일(1-2)은 수직바(2)의 수직레일(2-3)보다는 높고, 상부바(4)의 상부레일(4-3)보다는 낮도록 되어있다.
이는 창짝(도시되지 않음)을 창틀에 끼울 때에 창짝의 윗부분을 먼저 상부레일(4-3)에 끼우고, 이어 아랫부분을 하부바(1)의 하부레일(1-2)에 끼우기 때문에, 상부레일(4-3)이 하부레일(1-2)보다 높게 돌출되도록 설계한 것이다. 또한 수직레일(2-3)은 하부레일(1-2)보다 높도록 하여 창짝과 결합시 외기를 차단토록 한 것이다.
한편 제1연결구(3)의 외측모서리에는 제4도와 같이 저면상에서 볼 때 나사홈이 형성되는 바, 구체적으로 수직바(2)의 나사홈(2-51, 2-52)에 나사(6)를 끼워 결착시키도록 제1연결구(3)의 본체(3-3)로 관통된 수직홈(3-5)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하부바(1)의 나사홈(1-8)에 나사(6)로 결착시키도록 관통된 수평홈(3-6)이 상기 수직홈(3-5) 사이에 배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직홈(3-5) 및 수평홈(3-6)은 대응하는 하부바(1)의 제1도에 보인 나사홈(1-8), 수직바(2)의 제1도 및 2도에 보인 나사홈(2-51, 2-52) 및 상부바(4)의 제2도에 보인 나사홈(4-5)에 각각 결합되도록 설치되어야 하기에, 창틀바 모서리의 연결구(예를 들어 제1연결구(3), 제2연결구(5)는 각 모서리마다 상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고, 조립시에는 좌측상, 좌측하, 우측상(제2연결구(5)에 해당), 우측하(제1연결구(3)에 해당)위치의 연결구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창틀바를 동일구조로 구비하고 연결구를 동일구조로 구비하여 각 모서리를 연결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동일구조의 창틀바에 동일위치의 수직 수평선상에서 나사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상호 나사헤드가 교차되어 조립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동일구조의 창틀바로 창틀을 구현가능케 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L형본체에 수직 및 수평돌기가 돌출되고, 양돌기 사이의 L형본체 내측면의 L홈부위에 보조레일이 형성되는 연결구에서, 보조레일 외측의 L홈 부위에 수평 및 수직으로 L형본체 외측과 각각 관통되는 L형 나사끼움홈이 함께 형성되고, 창틀바의 나사홈에 대응하는 L형본체 부위에 나사끼움홈과 수직면상에서 각각 일치되는 수평 및 수직홈을 형성한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L형본체(10)에 수직 및 수평돌기(11, 12)가 돌출되고, 양돌기(11, 12) 사이의 L형 본체(10)내측면의 L홈(13) 부위에 보조레일(14)이 형성되며 나사결합용 수직홈 및 수평홈이 형성된 연결구에서, L형본체(10)의 좌, 우측 및 중앙수직홈(15-1∼15-3)과 대응하는 좌, 우측 및 중앙수평홈(16-1∼16-3)이 각각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케 하고, L형본체(10)의 L홈(13)에 외측면과 관통되는 L형나사 끼움홈(17)을 나사(6)의 헤드가 상호교차 되지 않도록 나사(6)헤드 사이즈보다 크게 형성하고, L형본체(10)의 외측저면 모서리 중앙에는 중앙 수직홈(15-3) 및 중앙 수평홈(16-3)에 나사(6)의 헤드가 상호교차되지 않을 정도의 홈을 가지는 외측 L홈(18)을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L형본체(10)의 내측면을 이루는 L홈(13)에 형성된 나사끼움홈(17)은 L형본체(10)외측의 외측나사끼움홈(19)과 관통되며, 외측나사끼움홈(19)은 나사끼움홈(17)보다 길게 형성하여 당접하는 수직홈(15-1, 15-2)수평홈(16-1, 16-2)에 나사(6)의 헤드가 교차되지 않게 끼울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창틀바(7)를 상, 하부바 수직바 구별없이 동일구조로 구비하고, 제5도 상태에서 창틀바(7)의 수장홈(7-1)에 수평돌기(12)를 끼우고 제6도에 보인 외측나사 끼움홈(19)으로 나사(6)를 삽입하여 우측 및 좌측 수평홈(16-2, 16-1)에 차례로 나사결합한다. 이때 나사(6)는 외측나사 끼움홈(19) 우측 수평홈(16-2) 및 창틀바(7)의 나사홈(7-2)에 나사결합 함으로서 나사결합된다. 아울러 이런 원리로 좌측 수평홈(16-1)에 나사(6)를 끼워 창틀바(7)와 나사결합된다. 이어 외측 L홈(18)을 통하여 중앙수평홈(16-3)과 창틀바(7)를 나사결합한다. 이렇게 한쪽의 창틀바(7)와 수평돌기(12)가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다른 창틀바를 구비하여 수직으로 세운 다음 수직돌기(11)로 끼움결합하고, 좌우측 및 중앙 수직홈(15-1∼15-3)을 통하여 나사(6)로 상호결합시키면 된다. 이 경우 본 고안은 제7도와 같이 나사끼움홈(17)의 수직 또는 수평높이(a)보다 외측나사끼움홈(19)의 수직 및 수평높이(b)가 나사헤드의 직경(c) 또는 높이(c')만큼 크게 구성되어 있어, 인접하는 나사(6)의 헤드가 나사결합시 상호 당접되지 않도록 되어 같은 구조의 창틀바(7)로 창틀을 제조할 수 있고 동일구조의 연결구로서 창틀 모서리를 연결조립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나사끼움홈(17), 외측나사끼움홈(19) 등은 조립시 캡(도시하지 않음)으로 막아 이물질으 침입 및 외관을 유지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의 수직홈(15-1, 15-2) 및 대응수평홈(16-1, 16-2)은 각각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하여야 하는 바, 이는 동일구조의 창틀바(7)를 사용가능케 하기 위함이다. 물론 창틀바(7)의 나사홈(7-2)과 본 고안 연결구의 수직홈(15-1, 15-2) 및 수평홈(16-1, 16-2)의 위치가 일치하여야 한다.
본 고안에서의 중앙수직홈(15-3) 및 중앙수평홈(16-3)은 역시 창틀바(7)의 대응나사홈(7-2)과 일치하여야 하는 바, 수직홈(15-1, 15-2) 및 수평홈(16-1, 16-2)의 위치보다 외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L형본체(10)의 L홈(13)의 좌, 우측에 나사끼움홈(17)이 형성되어 있어, 외측저면 모서리 부위에 외측 L형 본체(10)의 내구성을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즉, 좌우측 수직홈(15-1, 15-2) 및 좌우측 수평홈(16-1, 16-2)과 중앙수직 및 수평홈(15-3, 16-3)이 상호 수직 및 수평선상으로 엇갈리게 하여 L형본체(10)가 창틀바(7)를 단단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L형본체(10)에서 수평 및 수직돌기(11, 12)로 기술한 것은 설명의 편리를 위한 것으로, 창틀바(7)와 결합시 모서리 위치에 따라 그 역할이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연결구와 동일구조의 창틀바를 사용하여 창틀을 조립시에는 창틀바의 레일높이가 동일하여 창짝의 끼움이 불편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으나, 끼워지는 창짝의 레일홈을 깊게 하고 안내롤러를 소형으로 구성하여 레일홈에 장착시키면,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창틀바와 나사결합되는 수직 및 수평나사홈이 창L형본에의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케하여 동일구조의 창틀바를 이용하여 창틀을 구현시킬 수 있고, 수직 및 수평나사홈을 통하여 나사결합하고, 나사끼움홈을 크게 하여 동일 수직면상의 수직홈 및 수평홈에 끼워지는 나사의 헤드가 상호 겹침을 예방함으로서 동일구조의 창틀바로 창틀을 연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L형 본체(10)에 수직 및 수평돌기(11, 12)가 돌출되고 양돌기(11, 12) 사이의 L형 본체(10)내측면의 L홈(13)부위에 보조레일(14)이 형성되며 나사결합용 수직홈 및 수평홈이 형성된 연결구에서, L형본체(10)의 좌, 우측 및 중앙수직홈(15-1∼15-3)과, 대응하는 좌, 우측 및 중앙수평홈(16-1∼16-3)이 각각 동일 수직면상에 위치케 하고, L형본체(10)의 L홈(13)에 외측면과 관통되는 L형나사 끼움홈(17)을 나사(6)의 헤드가 상호교차 되지 않도록 나사(6)헤드사이즈보다 크게 형성하고, L형본체(10)의 외측저면 모서리 중앙에는 중앙 수직홈(15-3) 및 중앙 수평홈(16-3)에 나사(6)의 헤드가 상호 교차되지 않을 정도의 홈을 가지는 외측 L홈(1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L형나사끼움홈(17)은 L형본체(10) 외측면에 형성한 외측나사끼움홈(19)과 관통되며, 외측나사끼움홈(19)은 L형나사끼움홈(17)보다 나사(6)의 헤드사이즈만큼 크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연결구.
KR2019940001317U 1994-01-25 1994-01-25 창틀 연결구 KR970003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317U KR970003395Y1 (ko) 1994-01-25 1994-01-25 창틀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1317U KR970003395Y1 (ko) 1994-01-25 1994-01-25 창틀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12U KR950023512U (ko) 1995-08-21
KR970003395Y1 true KR970003395Y1 (ko) 1997-04-16

Family

ID=1937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1317U KR970003395Y1 (ko) 1994-01-25 1994-01-25 창틀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3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642B1 (ko) * 2000-06-16 2003-12-06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틀용 샤시의 코너 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512U (ko) 199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37998A (ja) 方立式カーテンウォール
KR970003395Y1 (ko) 창틀 연결구
KR0121567Y1 (ko) 창용 새시
JPH07109871A (ja) 連 窓
KR200258013Y1 (ko) 샤시 모서리 조립구조
JPS5841355Y2 (ja) 金属製框ドア
KR970003394Y1 (ko) 합성수지 창짝
KR200146934Y1 (ko) 복층격자창호의 문짝결합구조
JPH0619025Y2 (ja) 玄関サッシ
JPS6322301Y2 (ko)
JPS6041411Y2 (ja) 格子つき障子
JPH0732841Y2 (ja) 障子の中桟におけるパネル係合溝の排水装置
JPH0619739Y2 (ja) 連窓用縦枠組体
KR920006969Y1 (ko) 조립식 창틀
JPH042319Y2 (ko)
JPH0882176A (ja) 框体における縦框と横框との連結装置
JP2780076B2 (ja) 方 立
JPH03103586A (ja) 連窓における方立部構造
JPH063975Y2 (ja) リブガラス端部の押縁
JPS6333298Y2 (ko)
KR0118965Y1 (ko) 문짝 프레임의 결합 구조
JP2558438Y2 (ja) システム天井への間仕切り取り付け構造
JPH0218236Y2 (ko)
JP2732226B2 (ja) 間仕切りサッシ
JPH02466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